KR20190013785A - Oled 인식 콘텐츠 생성 및 콘텐츠 구성 - Google Patents

Oled 인식 콘텐츠 생성 및 콘텐츠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785A
KR20190013785A KR1020187034489A KR20187034489A KR20190013785A KR 20190013785 A KR20190013785 A KR 20190013785A KR 1020187034489 A KR1020187034489 A KR 1020187034489A KR 20187034489 A KR20187034489 A KR 20187034489A KR 20190013785 A KR20190013785 A KR 20190013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ed display
content
damage
oled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리칸스 캄바틀라
지밍 제이 주앙 (짐)
준 지앙
아론 제이 스테이스칼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1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8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using evaluation of the usage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인식 콘텐츠 생성 및 구성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OLED 디스플레이와, OLED 디스플레이의 알려진 픽셀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메모리 및 OLED 디스플레이에 연결되어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OLED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를 조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OLED 인식 콘텐츠 생성 및 콘텐츠 구성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팅 장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팅 장치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픽셀 손상에 기초하여 OLED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OLED 디스플레이의 열화(degradation)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휘도가 손실되는 것이 특징이다.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에 따라 OLED 디스플레이(또는 패널)를 이루는 픽셀들이 불균일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이 열화의 속도는 각 픽셀마다 다르다. 또한, 열화 속도는 픽셀의 3원색 각각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블루 서브픽셀은 레드 및 그린 서브픽셀보다 더 빠르게 열화된다. 픽셀들의 열화 속도의 차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적되어 색변이(color shift) 또는 번인(burn-in)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일으키는데, 이는 개인용 컴퓨터(PC)에서 OLED 디스플레이의 광범위한 채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 중 하나이다.
번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OLED 패널의 유용한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보상 기법이 OLED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다. 이들 보상 기법은 디스플레이되었던 콘텐츠의 서브픽셀 수준의 히스토리(일반적으로 누적 데이터(accumulated data)라고도 함)의 정보에 의존한다. 보상 기술은 번인 효과를 시각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지만 계산 집약적이어서 전력 소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번인의 시작(onset)을 지연시키기 위한 현재의 기법들은 "손상"을 픽셀들에 분산시킬 목적으로, 생성된/구성된 콘텐츠를 조작함으로써 평균 픽셀 사용 시간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일단 보상이 시작되면, 그것을 중단할 경우 시각적 결함이 다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되는 임의의 보상 기법들에 더하여 번인의 시작을 지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텐츠의 사후 구성(post-composition) 조작은 전력, 품질 및 사용자 경험 문제가 많아, 이러한 기법들에 대한 요구가 크게 줄어들었다. 손상 회피 기법들은 장기간 정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투명화, 콘텐츠가 필요하지 않을 때 그 콘텐츠의 자동 숨김, 밝기 낮추기 또는 이미 생성된 콘텐츠(프레임 버퍼) 조작하기를 목표로 해왔다. 투명화 및 자동 숨김은 디스플레이될 콘텐츠 및 그 위치가 이미 결정된 경우에 적용되는 기술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들도 이미 생성된 콘텐츠를 조작하는 것이다. 밝기 줄이기는 콘텐츠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손상의 정도가 감소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는 것이다.
최종 사용자는 특정 방식의 이미지를 기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모르게 손상을 분산시키면서 그렇게 느끼도록 일루전(illusion)을 유지하려면 상당한 양의 계산이 필요하다. 즉, 생성된 콘텐츠를 조작해서 콘텐츠가 조작되어 있지 않다는 일루전을 만들어야 하는데,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와 다른 점이 눈에 띄기만 해도 심각한 문제가 된다. 콘텐츠가 조작되어 있지 않다는 인상을 유지하려면 상당한 전력을 소비하는 복잡한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이것은 소비되는 전력을 크게 증가시키거나 아니면 소비되는 전력과 회피되는 시각적 결함 사이의 절충을 강요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첨부 도면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되며, 단지 설명과 이해를 위한 것이다.
도 1은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는 OLED 인식 콘텐츠 생성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3a는 랜덤 트레이스를 따라 비교적 밝은 로고를 이동시키는 OLED 비인식(non-OLED-aware) 애플리케이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도 3a의 예의 콘텐츠에 대한 OLED 인식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콘텐츠 생성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픽셀 사용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조작하는 OLED 인식 애플리케이션의 또 다른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5b는 OLED 인식 컴포저(composer)의 다른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통상의 OLED 비인식 컴포저가 보여주는 시작 메뉴를 보여준다.
도 7은 OLED 인식 컴포저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리된 작업 표시줄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OLED 디스플레이 상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9는 OLED 디스플레이에 대한 알려진 픽셀 사용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OLED 디스플레이 상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의 보다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시스템 레벨 다이어그램의 일 실시예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보다 완전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상세한 설명이 제시된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이들 특정 세부 사항없이 실시 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성들 및 장치들은 본 발명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고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법들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패널)의 픽셀 손상의 시작을 지연시키고/지연시키거나 OLED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손상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콘텐츠 생성 및 콘텐츠 구성 동안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이용된다. 컴퓨팅 장치는 노트북 컴퓨터 시스템, 태블릿, 스마트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OLED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른 유형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들 기법은 전력 소비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작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콘텐츠를 구성하는 컴퓨팅 시스템 내의 엔티티들은 OLED 디스플레이 상의 픽셀 손상을 피하거나 지연시키기 위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법을 이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들 엔티티는 컴퓨팅 시스템 및/또는 운영 체제(OS)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따라서 손상 회피에 대한 책임이 이들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운영 체제로 업스트림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들 엔티티는 OLED 디스플레이의 픽셀 손상 및/또는 보다 빈번하게 사용된 픽셀을 나타내는 히스토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구성하며, 따라서 이들 엔티티는 보다 노화된 픽셀/영역을 덜 빈번하게 사용하여(그리고 덜 노화된 픽셀을 보다 빈번하게 사용하여), 번인의 시작을 지연시킨다. 이 히스토리 인식 방식으로 콘텐츠가 생성 및/또는 구성되면, 콘텐츠가 생성된 후에 콘텐츠를 조작해야 할 필요성이 줄어든다.
일 실시예에서, 사전 구성(pre-composition) 손상 시작 회피(damage-onset-avoidance) 기법들은 손상의 시작 후에 적용 가능한 다른 보상 기법과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후 구성(post-composition) 손상 시작 회피 기법이 일부 시나리오에서 사용된다.
디스플레이될 콘텐츠가 확정되기 전에 손상 분산이 수행되면, 전술한 문제들 대부분이 회피될 수 있거나 또는 그 영향이 감소할 수 있다.
히스토리 인식 콘텐츠 생성(History-aware Content Generation)
일 실시예에서, OLED 디스플레이를 갖는 컴퓨팅 시스템은 OLED를 인식하는 종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들 애플리케이션은, 최종 사용자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할당된 윈도우(스크린 공간) 내의 위치에서 렌더링된 콘텐츠의 컬러를 변경하거나 또는 그 위치에 콘텐츠를 추가할 고유의 자유를 갖는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예로는 스크린 세이버가 있는데, 이 스크린 세이버는 사용자 입력 없이 일방적으로 객체를 생성하거나 이동시키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마음 속에 미리 정해진 정확함에 대한 감각은 없다. 이를 수행할 수 없는 애플리케이션의 예로는 생산성 애플리케이션(워드 프로세서 프로그램(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슬라이드 프로그램(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포인트), 이메일 프로그램(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이 있는데, 이들은 사용자가 콘텐츠가 어떤 정렬된 방식으로 보일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콘텐츠에 대한 히스토리 데이터가 추적되고 유지된다. 히스토리 데이터는 컴퓨팅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히스토리 데이터는 컴퓨팅 시스템(예컨대, 노트북 컴퓨터)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 장치 드라이버에 의해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 드라이버는 이 히스토리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스크린에서 발생한 손상을 나타내는 손상 시그너처(damage signature)를 생성 및/또는 업데이트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히스토리 데이터는 구성이 발생한 후에, GPU 드라이버가 구성이 발생하고 있음을 인식하지 못한 가운데, 운영 체제(OS) 내에서 추적 및 분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는, 히스토리 데이터를 유지하고 이 분석을 수행할 의도로, OS에 의해 GPU 드라이버로 출력되는 프레임을 인터셉트하는 '필터 드라이버'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드라이버는 GPU 드라이버 또는 OS와 함께 작동하여 손상 시그너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 손상 시그너처는 발생된 손상에 기초하여 스크린 영역에 할당된 우선순위 레벨 세트(a set of priority levels)인데, 장래의 사용에 대해, 심하게 노화된 픽셀/영역은 낮은 우선순위를 갖고, 덜 사용된 픽셀/영역은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손상 시그너처는 (상이한 서브픽셀들에 대한 손상이 다를 수 있음을 고려하여) 특정 서브픽셀이 선호되도록 우선순위화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 드라이버는 이 손상 시그너처가 주기적으로 OS에 이용가능하게 만든다. 일 실시예에서, OS는 애플리케이션(예컨대, OLED 인식 애플리케이션)에 손상 시그너처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 드라이버는 애플리케이션에 손상 시그너처를 직접 제공한다.
OLED 인식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면, 애플리케이션은 OS와 상호작용하여 손상 시그너처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낸다. OS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좌표와 겹치는 손상 시그너처의 서브세트를 애플리케이션에 보낸다.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스크린 좌표가 전체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OLED 인식 애플리케이션이 이 데이터를 수신하면, 애플리케이션은 이 손상 시그너처(의 잠재적 서브세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콘텐츠를 생성한다.
도 1은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1 내지 N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컴퓨팅 시스템에서 실행되고 있다. 이들은 하나 이상의 코어,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하나 이상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 내지 N) 중 하나 이상은 OLED 디스플레이 내의 픽셀의 손상 및/또는 사용을 나타내는 히스토리 데이터(130)에 기초하여 OLED 디스플레이(107) 상에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생성하는 OLED 인식 애플리케이션이다. OLED 디스플레이(107) 상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소스(100)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데이터 소스가 있을 수 있음에 주의하라.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운영 체제(102)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운영 체제 및 장치 드라이버(예컨대, GPU 장치 드라이버 등)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장치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 드라이버(103)는 OLED 디스플레이(107)와 연관된 히스토리 데이터(130)를 추적하고 히스토리 데이터(130)를 히스토리 데이터 메모리(104)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히스토리 데이터(13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손상 시그너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 드라이버(103)는 히스토리 데이터(130)(예컨대 손상 시그너처)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히스토리 데이터(130)의 적어도 일부분(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이 생성할 윈도우의 스크린 좌표에 대응하는 히스토리 데이터)을 각각의 OLED 인식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한다.
히스토리 데이터에 응답하여, OLED 인식 애플리케이션 각각은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들(1-N) 및 데이터 소스(들)(100)로부터의 콘텐츠는, 존재할 경우, 장치 드라이버(103)와 OS(102)의 제어하에 커널을 통해 그래픽 하드웨어(105)로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스크린 버퍼(121)(예컨대,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다. 스크린 버퍼(121)로부터, 콘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OLED 디스플레이 제어기(106)의 제어하에 컬러 OLED 디스플레이(107)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2는 OLED 인식 콘텐츠 생성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이 시퀀스는, 하드웨어(회로, 전용 로직 등), 소프트웨어(예컨대,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전용 머신에서 실행되는 것),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싱 로직에 의해 수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퀀스는 드라이버(203)(예컨대, GPU 드라이버(203))에 의해 히스토리 데이터를 추적하고 손상 시그너처를 생성 및/또는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시작한다(프로세싱 블록(210)).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각 픽셀이 추적된다. 드라이버(203)는 OS(202)에 손상 시그너처의 주기적 업데이트를 전송한다(프로세싱 블록(211)). 애플리케이션(201)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자신들의 OLED 인식성을 OS(202)에게 나타낸다(프로세싱 블록(212)). 이에 응답하여, OS(202)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손상 시그너처 서브세트를 생성하고(프로세싱 블록(213)), 그 손상 시그너처 서브세트를 애플리케이션(201)으로 전송한다(프로세싱 블록(214)). 애플리케이션(201)은 손상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생성된 콘텐츠의 속성(예컨대, 컬러, 위치 등)을 조정 또는 변화시키고(프로세싱 블록(215)) OLED 인식 애플리케이션 출력(예컨대, 콘텐츠)을 OS(201)에게 제공하며(프로세싱 블록(216)), OS(201)는 드라이버(203)에게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구성된 프레임 버퍼를 제공한다(프로세싱 블록(217)).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퀀스는 픽셀의 위치를 무작위로 조작하는 디더링 또는 스크린 세이버 등과 같은 현재의 기술과 대조적이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법들을 오랜 시간 사용하면, 일 실시예에서, 전체 스크린 또는 적용 영역 상에서의 픽셀의 고른 사용이라는 통계적으로 평균화되는 효과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위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개시된 기법들은 픽셀의 알려진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픽셀 사용을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픽셀들 간의 불균일한 사용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재조정되는 방식으로 픽셀 사용을 조정한다.
도 3a는 랜덤 트레이스(random trace)를 따라 비교적 밝은 로고를 이동시키는 OLED 비인식(non-OLED-aware) 애플리케이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랜덤 트레이스에 의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른 통계적 평균 효과는 로고가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커버하고 모든 픽셀을 고르게 사용할 것이라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이 OLED를 인식하면, 이 애플리케이션은 OS에 의해 반환된 손상 시그너처의 우선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트레이스를 따라 로고를 이동시키고, 이전에 많이 사용된/노화된 픽셀/영역은 의도적으로 피한다. 따라서 이전에 덜 사용된/노화된 픽셀이 더 많이 사용된다.
도 4는 픽셀 사용 히스토리(예컨대, 픽셀 손상, 손상 시그너처 등)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조작하는 OLED 인식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OLED 인식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손상 시그너처 내의 R, G, B 서브픽셀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생성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손상 시그니처로부터 블루 서브픽셀이 다른 서브픽셀보다 더 많이 노화되었다고 판단하면, 애플리케이션은 레드 또는 그린 컬러를 선호하는 콘텐츠를 생성한다. 이 경우, OLED 인식 애플리케이션은 로고를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덜 노화된 영역이 더 많이 커버되게 할 뿐만 아니라, 어떤 컬러가 이들 선택 영역/위치에서 사용되어야 하는지도 결정한다. 따라서 로고의 트레이스는 그린 컬러 내에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누적된 히스토리 데이터로부터 식별된, 많이 사용된/노화된 픽셀 영역의 세 영역에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OLED 인식 애플리케이션은 콘텐츠를 생성하여 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업데이트하는 빈도를 제어한다. 업데이트 빈도를 제어함으로써 특정 픽셀을 사용하는 빈도가 줄어들어, 그 픽셀의 손상 정도가 줄어든다. 일 실시예에서는, OS가 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업데이트를 제어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하라. 그러한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OS로부터의 제어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히스토리 인식 콘텐츠 구성(History Aware Content Composition)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할 콘텐츠의 구성은 히스토리 데이터(예컨대, 손상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이것은 렌더링된 콘텐츠 구성을 담당하는 코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코드의 예로는 OS의 구성 관리자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렌더링된 출력을 구성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최종 출력을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부분이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상, 이 기법로부터 이익을 얻는 이러한 종류의 컴포저들을 본 명세서에서 OLED 인식 컴포저들이라고 한다. 이들 컴포저들은, 애플리케이션의 출력이 최종 프레임 버퍼 내 어디에서 구성되지를 결정하기 전에 손상 시그너처를 고려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의 OS(102)의 구성 관리자(110)는 OLED 인식 컴포저의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나타날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버퍼 또는 윈도우를 갖는다. 손상된 픽셀 위치의 리스트 또는 각 윈도우에서의 픽셀 사용의 표시를 이용하는 OS는 OLED 디스플레이에 대한 손상을 피하거나 또는 더 이상의 손상을 줄이기 위해 전체 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해 프레임 버퍼에 배치된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즉, OS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윈도우 데이터를 가지면, OS는 윈도우 데이터를 최종 프레임 버퍼에 구성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OLED 인식 컴포저의 다른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OLED 비인식 컴포저는 사용자 입력 또는 몇몇 디폴트 정책에 기초하여 4개의 애플리케이션(A, B, C 및 D)의 출력을 혼합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OLED 인식 컴포저는 다른 영역보다 더 큰 손상을 갖는 영역을 고려하며 그러한 영역을 피하도록 의도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출력을 구성할 것이다. 도 5b에서 볼 수 있듯이, 점선 레드라인은 더 많은 손상을 갖는 영역을 나타내며, 따라서 OLED 인식 컴포저는 이 영역을 피하도록 출력을 구성한다.
손상 정도와 애플리케이션의 출력 특성에 따라 손상이 심한 영역의 사용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라. 그렇더라도 OLED 인식 컴포저는 가능한 한 이들 영역을 피함으로써 추가 손상을 줄일 수 있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OLED 인식 컴포저(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OS의 "셀(shell)"층과 함께)는 손상 시그너처를 이용하여 흔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OS 가젯(gadget), 아이콘 또는 시작 메뉴/작업표시줄/도구모음을 변경한다.
도 6은 통상의 OLED 비인식 컴포저가 보여주는 시작 메뉴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표시줄(601)이 OLED 디스플레이의 우측에 디스플레이된다.
일 실시예에서, 시작 메뉴/작업표시줄/도구모음이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2개 이상의 보다 작은 작은 시작 메뉴/작업표시줄/도구모음으로 분할되어 높은 손상 영역을 피할 기회를 증가시킨다. 도 7은 OLED 인식 컴포저에 의해 작업표시줄 #1과 작업표시줄 #2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작업표시줄을 보여준다. 또한, OLED 인식 컴포저는 점선으로 표시된 높은 손상 영역에 작업표시줄의 일부를 포함한 콘텐츠를 두는 것을 피하였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작 메뉴/작업표시줄/도구모음은 구성 단계 동안 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다른 영역에 동적으로 재배치될 수도 있다.
OS가 임의의 시작 메뉴/작업표시줄/도구모음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를 재배치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그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와 인터페이싱 및/또는 상호작용하는 사용자와 연관된 기능이 반드시 애플리케이션에게 송신되고/되거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작동되도록 할 것을 OS에게서 통지받는다는 점에 유의하라.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손상 시그너처가 특정 서브픽셀이 다른 서브픽셀보다 더 많은 손상을 보여준다고 나타내면, 시작 메뉴/작업표시줄/도구모음을 포함하는 가젯/도구의 컬러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운영 체제 내의 구성 관리자로 하여금 OLED 인식 구성을 인에이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선택(opt into)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 모드는 제어판에서의 설정에 의해 들어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모드는 구성 메모리의 설정에 의해 들어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그러한 어떠한 OLED 인식 동작도 디스에이블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OLED 디스플레이 상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이 프로세스는 하드웨어(회로, 전용 로직 등), 소프트웨어(예컨대,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전용 머신에서 실행되는 것),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싱 로직에 의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스는도 1의 시스템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이 프로세스는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OLED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의 조작이 수행되는 모드로 들어가도록 하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프로세싱 블록(801)).
그러한 OLED 인식 모드에 들어가면, 프로세싱 로직은 OLED 디스플레이의 알려진 픽셀 사용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유지한다(프로세싱 블록(802)). 일 실시예에서, 히스토리 데이터는 손상된 픽셀을 갖는 OLED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서, 히스토리 데이터는 OLED 디스플레이의 픽셀 사용 빈도를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히스토리 데이터는 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된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히스토리 데이터는 손상 회피를 위해 덜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OLED 디스플레이의 부분(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9는 OLED 디스플레이에 대한 알려진 픽셀 사용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유지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이 프로세스는 하드웨어(회로, 전용 로직 등), 소프트웨어(예컨대,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전용 머신에서 실행되는 것),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싱 로직에 의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스는 도 1의 시스템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스는 OLED 디스플레이의 픽셀과 연관된 히스토리 데이터를 추적함으로써 시작한다(프로세싱 블록(901)).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로직은 OLED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손상 시그너처를 생성한다(프로세싱 블록(902)). 프로세싱 로직은 손상 시그너처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프로세싱 블록(903)). 일 실시예에서, 손상 시그너처를 생성하는 엔티티가 손상 임계 값의 변화를 검출할 때마다 손상 시그너츠가 업데이트된다. 일 실시예에서, 픽셀 사용이 회피되어야 하는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다수의 손상 레벨이 있을 수 있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프로세싱 로직이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OLED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를 조작한다(프로세싱 블록(803)).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를 조작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손상 시작 회피 기법, 및 디스플레이를 위해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해 픽셀 손상의 시작 이후에 적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보상 기법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를 조작하는 것은, OLED 디스플레이 내의 다른 위치보다 더 자주 사용되는 픽셀 또는 손상된 픽셀을 갖는 OLED 디스플레이 내의 위치의 사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픽셀 사용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콘텐츠를 조작하는 것은 OLED 디스플레이의 픽셀들의 사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다 균형있게 발생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콘텐츠를 조작하는 것은, OLED 디스플레이의 제1 부분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지정된 콘텐츠를 OLED 디스플레이의 제2 부분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콘텐츠를 변경하는 것과, 콘텐츠에 대한 컬러를 선택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에 대한 컬러를 선택하는 것은 디스플레이될 콘텐츠의 컬러 강도(color intensity)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0은 OLED 디스플레이 상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의 보다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 프로세스는 하드웨어(회로, 전용 로직 등), 소프트웨어(예컨대,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전용 머신에서 실행되는 것),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싱 로직에 의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 프로세스는 도 1의 시스템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 프로세스는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OLED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의 조작이 수행되는 모드로 들어가도록 하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프로세싱 블록(1001)).
그러한 OLED 인식 모드에 들어가면, 프로세싱 로직은 OLED 디스플레이의 알려진 픽셀 사용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추적한다(프로세싱 블록(1002)). 일 실시예에서, 히스토리는 서브픽셀 레벨로 유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히스토리는 픽셀 레벨 또는 몇몇 픽셀 블록의 레벨로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픽셀 사용 데이터(pixel usage data)는 보다 빈번하게 사용되는 픽셀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픽셀 사용 데이터는 덜 빈번하게 사용되는 픽셀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픽셀 사용 데이터는 손상된 픽셀(또는 서브픽셀)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로직은 OLED 디스플레이에서 발생된 픽셀 손상을 나타내는 손상 시그너처를 생성한다(프로세싱 블록(1003)). 일 실시예에서, 손상 시그너처는 보다 큰 손상을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의 픽셀 영역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서, 손상 시그너처는 OLED 디스플레이의 픽셀에 대한 서브픽셀 레벨의 손상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손상 시그너처는 발생한 손상에 기초하여 스크린의 상이한 영역 각각의 장래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도록 이들 상이한 영역에 할당된 우선순위 레벨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손상 시그너처는 발생한 손상을 고려하여 장래 사용을 위해 선호되도록 특정 서브픽셀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싱 로직은 히스토리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손상 시그너처를 업데이트한다(프로세싱 블록(1004)). 일 실시예에서, 히스토리 데이터의 추적, 손상 시그너처의 생성 및 히스토리 데이터의 후속 분석이, 예를 들어 OLED 디스플레이를 위한 콘텐츠 전송에 이용되는 GPU의 장치 드라이버와 같은 장치 드라이버에 의해 수행된다. 이들 기능 중 하나 이상은 다른 프로세싱 로직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이들 기능은 프레임이 구성된 후에 OS에서 내부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전술한 필터 드라이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단 손상 시그너처가 생성되거나 또는 업데이트 되면, 프로세싱 로직은 손상 시그너처를 OS로 전송하고(프로세싱 블록(1005)), OS의 프로세싱 로직은 손상 시그너처의 적어도 일부분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게 전송하는데, 이 부분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될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대응한다(프로세싱 블록(1006)).
손상 시그너처 또는 그 일부분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프로세싱 로직은 손상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생성한다(프로세싱 블록(1007)). 이러한 방식으로, 일 실시예에서, 이들 애플리케이션은 손상 시그너처를 사용하여 콘텐츠 배치 및 컬러 선택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손상 시그너처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은 OS(예컨대, 구성 관리자)가 손상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수정하는 것(프로세싱 블록(1008))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OS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출력이 손상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프레임 버퍼 내 어디에서 구성되는 지를 결정함으로써, 손상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수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손상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은, 구성 동안 OLED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OLED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동적으로 재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손상 시그너처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은, 가능한 경우, OS 내의 하나 이상의 구성 관리자가 손상 시그너처를 사용하여 OLED 디스플레이의 손상된 영역을 피하도록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출력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OS 내의 하나 이상의 구성 관리자는 손상 시그너처를 사용하여, OS로 하여금 손상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요소(예컨대, 작업표시줄, 메뉴 등)를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하나 이상의 복수의 부분을 이들의 원래 지정된 위치 이외의 OLED 디스플레이상의 새로운 위치로 재배치하거나, GUI 요소를 동적으로 재배치하거나, 혹은 파일 또는 프로그램의 그래픽 표현(예컨대, 아이콘)의 하나 이상의 컬러를 동적으로 변경하게 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출력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블록(1008)은 시스템에 OLED 인식 애플리케이션이 없거나 OLED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제공하는 다른 OLED 비인식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라.
도 11은 전술한 기법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 레벨 다이어그램(1100)의 일 실시예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기법은 시스템(1100) 내의 프로세서 또는 시스템(1100)의 다른 부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시스템(1100)은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넷북,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서버, 워크스테이션, 셀룰러 전화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 스마트폰, 인터넷 기기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함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110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을 구현하며, 시스템 온 칩(SOC) 시스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코어(1112 내지 1112N)를 갖는데, 여기서 1112N은 프로세서(1110) 내의 N번째 프로세서 코어를 나타내고, N은 양의 정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1100)은 프로세서(1110 및 1105)를 포함하는 다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105)는 프로세서(1110)의 로직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로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1100)은 프로세서(1110 및 1105)를 포함하는 다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1105)가 프로세서(1110)의 로직과 완전히 독립적인 로직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들(1105 및 1110)이 상이한 논리 유닛을 갖기 때문에, 멀티 패키지 시스템(1100)은 이종 멀티 패키지 시스템이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코어(1112)는 명령어들을 페치하기 위한 프리페치(pre-fetch) 로직, 명령어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드 로직, 명령어들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로직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10)는 시스템(1100)의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캐시하기 위한 캐시 메모리(1116)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캐시 메모리(1116)는 레벨 1, 레벨 2, 레벨 3 캐시 메모리, 또는 프로세서(1110) 내의 캐시 메모리의 임의의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10)는, 프로세서(1110)로 하여금 휘발성 메모리(1132) 및/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1134)를 포함하는 메모리(1130)에 액세스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메모리 제어 허브(MCS)(111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 제어 허브(MCH)(1114)는 독립적인 집적 회로로서 프로세서(11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30) 및 칩셋(1120)과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SSD(1180)가 파워업될 때 SSD(1180)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10)는 또한 무선 안테나(1178)에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장치와 통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안테나 인터페이스(1178)는,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IEEE 802.11 표준 및 그 관련 계열, HPAV(HomePlug AV), UWB(Ultra-Wide Band), 블루투스, WiMAX 또는 임의의 형태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휘발성 메모리(1132)는,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RDRAM(RAMB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1134)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 PCM(phase change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또는 다른 유형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메모리(1130)는 프로세서(1110)에 의해 실행될 정보 및 명령어를 저장한다. 이 메모리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체제 및 장치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칩셋(1120)은 포인트-투-포인트(PtP 또는 P-P) 인터페이스(1117 및 1122)를 통해 프로세서(1110)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칩셋(1120)은 프로세서(1110)로 하여금 시스템(1100) 내의 다른 모듈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1117 및 1122)는 인텔 QPI(QuickPath Interconnect) 등과 같은 PtP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칩셋(1120)은 프로세서(1110, 1105), 디스플레이 장치(1140)(예컨대, OLED 디스플레이) 및 다른 장치(1172, 1176, 1174, 1160, 1162, 1164, 1166, 1177 등)와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칩셋(1120)은 또한 무선 안테나(1178)에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장치와 통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칩셋(1120)은 인터페이스(1126)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140)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음극선 관(CRT) 디스플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시각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칩셋(1120)은 다양한 모듈(1174, 1160, 1162, 1164 및 1166)을 상호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버스(1150 및 1155)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버스 속도 또는 통신 프로토콜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 버스(1150 및 1155)는 버스 브리지(1172)를 통해 함께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칩셋(1120)은 인터페이스(1124)를 통해 비 휘발성 메모리(1160), 대용량 저장 장치(들)(1162), 키보드/마우스(116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66), 그리고 스마트 TV(1176), 가전 제품(1177) 등에 결합되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대용량 저장 장치(1162)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범용 직렬 버스 플래시 메모리 드라이브,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컴퓨터 데이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66)는, 이더넷 인터페이스,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익스프레스 인터페이스,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잘 알려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표준에 의해 구현되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모듈들은 시스템(1100) 내의 개별 블록들로서 도시되었지만, 이들 블록들 중 일부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은 단일 반도체 회로 내에 통합될 수도 있고 또는 둘 이상의 개별적인 집적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와, OLED 디스플레이의 알려진 픽셀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메모리 및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 결합되어,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OLED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를 조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히스토리 데이터가 OLED 디스플레이의 서브픽셀의 사용 빈도를 나타내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히스토리 데이터가 OLED 디스플레이가 손상된 픽셀을 갖는 영역을 나타내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히스토리 데이터가 사전에 식별된 임계 레벨을 넘은 사용으로 인해 추가 사용이 회피되어야 하는 식별된 픽셀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손상 시작 회피(damage-onset-avoidance) 기법과,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해, 픽셀 손상의 시작 후에 적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보상 기법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조작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프로세서가 손상된 픽셀들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내의 다른 위치들보다 더 빈번하게 사용된 픽셀들을 갖는, OLED 디스플레이 내의 위치의 사용을 줄이도록 픽셀 사용을 조정함으로써, 콘텐츠를 조작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프로세서가 OLED 디스플레이의 픽셀들의 사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다 균형있게 발생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조작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프로세서가 OLED 디스플레이의 제1 부분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지정된 콘텐츠를 OLED 디스플레이의 제2 부분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콘텐츠를 변경하는 것과, 콘텐츠에 대한 컬러를 선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콘텐츠를 조작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콘텐츠에 대한 컬러를 선택하는 것이 디스플레이될 콘텐츠의 컬러 강도(color intensity)를 변경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동작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OLED 디스플레이에 발생한 픽셀 손상을 나타내는 손상 시그너처(damage signature)의 적어도 일부분 -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될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대응함 - 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손상 시그너처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OLED 디스플레이의 픽셀들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손상 시그너처를 운영 체제(OS)에게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프로세서가 OS를 실행하도록 동작가능하고, OS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게 손상 시그너처를 제공하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손상 시그너처를 사용하여 콘텐츠 배치 및 색상 선택 중 하나 이상을 수정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프로세서가 히스토리 데이터를 분석하고 OS에 손상 시그너처를 제공하는 장치 드라이버를 실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동작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콘텐츠를 생성하고, 운영 체제 내에서 하나 이상의 구성 관리자(composition manager)를 실행하여 OLED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한 픽셀 손상을 나타내는 손상 시그너처의 적어도 일부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콘텐츠를 사용하여 OLED 디스플레이의 출력을 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손상 시그너처를 사용하는 OS 내의 하나 이상의 구성 관리자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요소를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부분 중 하나 이상을 원래 지정된 위치와 다른 OLED 디스플레이 상의 새로운 위치에 재배치하거나, GUI 요소를 동적으로 재배치하거나, 또는 파일 또는 프로그램의 그래픽 표현의 하나 이상의 컬러를 동적으로 변경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손상 시그너처가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영역들 각각의 장래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도록 발생한 손상에 기초하여 이들 상이한 영역들에 할당된 우선순위 레벨을 나타내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손상 시그너처가, 손상이 발생할 경우 장래에 사용하도록 선호되는 특정한 서브픽셀들을 특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프로세서가 손상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수정하는 운영 체제를 실행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OS가 손상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출력을 프레임 버퍼 내 어디에서 구성할 지를 결정함으로써 손상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수정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프로세서가 손상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은, 구성 동안 OLED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OLED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동적으로 재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프로세서가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OLED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의 조작이 수행되는 모드로 들어가도록 하는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 방법이 OLED 디스플레이의 알려진 픽셀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데이터를 유지하는 단계와,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OLED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히스토리 데이터가 OLED 디스플레이의 픽셀들의 사용 빈도를 나타내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히스토리 데이터가 손상된 픽셀들을 갖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영역들을 나타내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콘텐츠를 조정하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손상 시작 회피 기법과,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해, 픽셀 손상의 시작 후에 적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보상 기법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콘텐츠를 조정하는 단계가, 손상된 픽셀들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내의 다른 위치들보다 더 빈번하게 사용된 픽셀들을 갖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 내의 위치의 사용을 줄이도록 픽셀 사용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콘텐츠를 조정하는 단계가 OLED 디스플레이의 픽셀의 사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다 균형있게 발생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콘텐츠를 조정하는 단계가 OLED 디스플레이의 제1 부분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정된 콘텐츠를 OLED 디스플레이의 제2 부분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콘텐츠를 변경하는 것과, 콘텐츠에 대한 컬러를 선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OLED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한 픽셀 손상을 나타내는 손상 시그너처를 생성하는 단계와, 손상 시그너처의 적어도 일부분을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대응함 - 와, 손상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제품이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경우에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가지며, 이 방법은, OLED 디스플레이의 알려진 픽셀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데이터를 유지하는 단계와,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OLED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히스토리 데이터가 OLED 디스플레이의 픽셀들의 사용 빈도를 나타내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히스토리 데이터가 손상된 픽셀들을 갖는 OLED 디스플레이의 영역들을 나타내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실시예의 청구대상은, 콘텐츠를 조정하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손상 시작 회피 기법과,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해, 픽셀 손상의 시작 후에 적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보상 기법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위 상세한 설명의 몇몇 부분은 컴퓨터 메모리 내의 데이터 비트에 대한 연산의 알고리즘 및 기호 표현과 관련하여 제시된다. 이들 알고리즘의 설명 및 표현은 데이터 처리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그들의 작업 내용을 당업자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이다. 알고리즘은 본 명세서에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원하는 결과에 이르는 일관성있는 시퀀스로 생각된다. 이 단계들은 물리적 양을 물리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요구한다. 일반적으로,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들 양은 저장, 전송, 결합, 비교, 및 기타 조작될 수 있는 전기 또는 자기 신호의 형태를 취한다. 때로는, 주로 일반적으로 사용한다는 이유로, 이들 신호를 비트, 값, 요소, 심볼, 문자, 용어, 숫자 등으로 지칭하는 것이 편리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그러나, 이들 모든 용어 및 유사한 용어들은 적절한 물리량과 연관되어 있으며 단지 이들 양에 적용되는 편리한 명칭일 뿐이다. 다음의 논의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 "프로세싱", "컴퓨팅" 또는 "계산" 또는 "결정" 또는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용어들을 사용한 논의는, 컴퓨터 시스템의 레지스터 및 메모리 내의 물리적인(전자) 양으로 표현된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 또는 다른 그러한 정보 저장부, 전송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물리량으로 유사하게 표현된 다른 데이터로 변환하고 조작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유사한 전자 컴퓨팅 장치의 동작 및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다. 이 장치는 요구되는 목적을 위해 특별히 구성될 수 있거나, 컴퓨터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거나 재구성되는 범용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로피 디스크, 광학 디스크, CD-ROM 및 자기 광학 디스크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디스크,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 EEPROM, 자기 또는 광학 카드, 또는 전자 명령어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의 매체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컴퓨터 시스템 버스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에 제시된 알고리즘 및 디스플레이는 기본적으로 어떤 특정한 컴퓨터나 또는 다른 장치와 관련되지 않는다. 다양한 범용 시스템이 본 명세서의 교시에 따라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요구된 방법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보다 전문화된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편리할 수도 있다. 다양한 이들 시스템에 필요한 구조는 아래 설명에 나타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어떠한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를 참조하여 설명되지 않는다.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시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머신 판독 가능 매체는 머신(예컨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전송하기 위한 임의의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머신 판독 가능 매체는 "ROM", "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많은 변형 및 변경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지만, 설명을 통해 도시되고 기술된 어떠한 특정 실시예도 결코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도록 의도되지 않았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의 세부 사항에 대한 언급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특징만을 나열하는 청구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Claims (20)

  1. 컴퓨팅 시스템으로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와,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알려진 픽셀 사용(known pixel usage)에 대한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 및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 결합되어,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OLED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를 조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서브픽셀의 사용 빈도를 나타내는
    컴퓨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가 손상된 픽셀을 갖는 영역을 나타내는
    컴퓨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는 사전에 식별된 임계 레벨을 넘은 사용으로 인해 추가 사용이 회피되어야 하는 식별된 픽셀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컴퓨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손상 시작 회피(damage-onset-avoidance) 기법과,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해, 픽셀 손상의 시작 후에 적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보상 기법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조작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손상된 픽셀들 또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 내의 다른 위치들보다 더 빈번하게 사용된 픽셀들을 갖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 내의 위치의 사용을 줄이도록 픽셀 사용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콘텐츠를 조작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 발생한 픽셀 손상을 나타내는 손상 시그너처(damage signature)의 적어도 일부분 -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될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대응함 - 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손상 시그너처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픽셀들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상기 손상 시그너처를 운영 체제(OS)에게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팅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운영 체제 내에서 하나 이상의 구성 관리자(composition manager)를 실행하여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한 픽셀 손상을 나타내는 손상 시그너처의 적어도 일부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콘텐츠를 사용하여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출력을 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팅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 시그너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영역들 각각의 장래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도록 발생한 손상에 기초하여 상기 상이한 영역들에 할당된 우선순위 레벨을 나타내는
    컴퓨팅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 시그너처는, 상기 손상이 발생할 경우 장래에 사용하도록 선호되는 특정한 서브픽셀들을 특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손상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수정하는 운영 체제를 실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팅 시스템.
  12. 방법으로서,
    OLED 디스플레이의 알려진 픽셀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데이터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OLED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픽셀들의 사용 빈도를 나타내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는 손상된 픽셀들을 갖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영역들을 나타내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조정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손상 시작 회피 기법과,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해, 픽셀 손상의 시작 후에 적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보상 기법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조정하는 단계는, 손상된 픽셀들 또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 내의 다른 위치들보다 더 빈번하게 사용된 픽셀들을 갖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 내의 위치의 사용을 줄이도록 픽셀 사용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한 픽셀 손상을 나타내는 손상 시그너처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손상 시그너처의 적어도 일부분을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 대응함 - 와,
    상기 손상 시그너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경우에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갖는 제품으로서,
    상기 방법은,
    OLED 디스플레이의 알려진 픽셀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데이터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OLED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픽셀들의 사용 빈도를 나타내는
    제품.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는 손상된 픽셀들을 갖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영역들을 나타내는
    제품.
KR1020187034489A 2016-06-29 2017-05-17 Oled 인식 콘텐츠 생성 및 콘텐츠 구성 KR201900137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96,304 US20180005598A1 (en) 2016-06-29 2016-06-29 Oled-aware content creation and content composition
US15/196,304 2016-06-29
PCT/US2017/033113 WO2018004862A1 (en) 2016-06-29 2017-05-17 Oled-aware content creation and content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785A true KR20190013785A (ko) 2019-02-11

Family

ID=6078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489A KR20190013785A (ko) 2016-06-29 2017-05-17 Oled 인식 콘텐츠 생성 및 콘텐츠 구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005598A1 (ko)
KR (1) KR20190013785A (ko)
CN (1) CN109196575B (ko)
DE (1) DE112017003299T5 (ko)
WO (1) WO2018004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9622B2 (en) 2017-06-04 2020-06-30 Apple Inc. Long-term history of display intensities
JP6950551B2 (ja) * 2018-02-01 2021-10-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210128523A (ko) * 2020-04-16 2021-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제어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220017609A (ko) * 2020-08-05 2022-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4228A (en) * 1994-08-09 1997-12-02 Ricoh Company,Ltd. Document image processor with defect detection
US7009644B1 (en) * 1999-12-15 2006-03-07 Logitech Europe S.A. Dynamic anomalous pixel detection and correction
US6963319B2 (en) * 2002-08-07 2005-11-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US20060017669A1 (en) * 2004-07-20 2006-01-2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ormity and brightness correction in an OLED display
US20140111567A1 (en) * 2005-04-12 2014-04-24 Ignis Innov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on of non-uniformities in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s
GB2429565B (en) * 2005-08-23 2007-12-27 Cambridge Display Tech Ltd Display driving methods and apparatus
TWI327023B (en) * 2006-10-26 2010-07-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compensating pixel value of defect pixel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TW200912848A (en) * 2007-04-26 2009-03-16 Sony Corp Display correction circuit of organic EL panel
KR101487548B1 (ko) * 2007-05-18 2015-01-29 소니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8045145B1 (en) * 2007-06-06 2011-10-25 Kla-Tencor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defect on a specimen
JP2008309895A (ja) * 2007-06-12 2008-12-25 Toshiba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パネル
US8217867B2 (en) * 2008-05-29 2012-07-10 Global Oled Technology Llc Compensation scheme for multi-color electroluminescent display
WO2011024287A1 (ja) * 2009-08-28 2011-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201112222A (en) * 2009-09-25 2011-04-01 Holtek Semiconductor Inc A method for extending d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having brightness compensation and an apparatus realizing the same
KR20120024267A (ko) * 2010-09-06 2012-03-14 삼성전기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US8862906B2 (en) * 2011-04-01 2014-10-14 Intel Corporation Control of platform power consumption using coordination of platform power management and display power management
US9466240B2 (en) * 2011-05-26 2016-10-11 Ignis Innovation Inc. Adaptive feedback system for compensating for aging pixel areas with enhanced estimation speed
JP2013057912A (ja) * 2011-09-09 2013-03-28 Canon Inc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9229575B2 (en) * 2011-10-20 2016-01-05 Garmin International, Inc. Adaptive touchscreen system
US8976161B2 (en) * 2012-03-01 2015-03-1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processing
US9959031B2 (en) * 2012-05-22 2018-05-01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Electronic device with dynamic positioning of user interface element
US9177503B2 (en) * 2012-05-31 2015-11-03 Apple Inc. Display having integrated thermal sensors
JP2014085457A (ja) * 2012-10-23 2014-05-12 Japan Display Inc 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1960795B1 (ko) * 2012-12-17 2019-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090706B1 (ko) * 2012-12-28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광학 보상 시스템 및 광학 보상 방법
US20140253494A1 (en) * 2013-03-11 2014-09-1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display damage and reconfiguring presentation data and actuation elements
US9177534B2 (en) * 2013-03-15 2015-11-03 Intel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for display partial update
KR102207861B1 (ko) * 2013-04-26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JP2014236284A (ja) * 2013-05-31 2014-12-15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KR102163034B1 (ko) * 2013-12-03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불량 화소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9207804B2 (en) * 2014-01-07 2015-12-08 Lenovo Enterprise Solutions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altering interactive element placement based around damaged regions on a touchscreen device
KR102202457B1 (ko) * 2014-04-23 2021-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터치 영역 손상에 따른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9454925B1 (en) * 2014-09-10 2016-09-27 Google Inc. Image degradation reduction
KR102247564B1 (ko) * 2014-11-13 2021-05-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소 처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KR102284142B1 (ko) * 2015-01-13 2021-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그 리페어 방법
KR102328098B1 (ko) * 2015-02-13 2021-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초점 검출 장치 및 방법
US10440299B2 (en) * 2015-09-04 2019-10-08 Apple Inc. Correcting pixel defects based on defect history in an image processing pipeline
US9779686B2 (en) * 2015-12-15 2017-10-03 Oculus Vr, Llc Aging compensation for virtual reality headset display device
US10528214B2 (en) * 2016-12-28 2020-01-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sitioning mechanism for bubble as a custom toolt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96575B (zh) 2022-08-05
CN109196575A (zh) 2019-01-11
DE112017003299T5 (de) 2019-03-21
WO2018004862A1 (en) 2018-01-04
US20180005598A1 (en)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86356A1 (en) History-aware selective pixel shifting
US10573275B2 (en) Techniques for determining an adjustment for a visual output
KR20190013785A (ko) Oled 인식 콘텐츠 생성 및 콘텐츠 구성
CN107251004B (zh) 通过使用欺骗时钟及细粒度频率控制实现的向后兼容性
US8982136B2 (en) Rendering mode selection in graphics processing units
US8687007B2 (en) Seamless display migration
EP31380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unified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nd model
US20140347377A1 (en) Tread with ultra efficient vulcanization system
US10650568B2 (en) In-flight adaptive foveated rendering
US9563253B2 (en) Techniques for power saving on graphics-related workloads
US10572965B2 (en) Dynamic granularity adjustment
US20150287220A1 (en) Rendering text using anti-aliasing techniques, cached coverage values, and/or reuse of font color values
US20160217724A1 (en) Display controller for improving display nois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controller
US8558839B1 (en) Displaying critical system screens in a multiple graphics adapter environment
US20150348224A1 (en) Graphics Pipeline State Object And Model
WO2011109613A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and/or graphics data using multiple processors without losing state information
US9530386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extended graphics processing capabilities
US9171386B2 (en) Caching coverage values for rendering text using anti-aliasing techniques
US20150253880A1 (en) Image segmentation device and image segmentation method
US20190325562A1 (en) Window rendering method and terminal
CN105022580A (zh) 图像显示系统
US8780120B2 (en) GPU self throttling
US20180060263A1 (en) Updated region computation by the buffer producer to optimize buffer processing at consumer end
US8253749B1 (en) Using affinity masks to control multi-GPU processing
US9904665B2 (en) Partial rasterization of web page 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