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116A -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및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및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116A
KR20190013116A KR1020170097185A KR20170097185A KR20190013116A KR 20190013116 A KR20190013116 A KR 20190013116A KR 1020170097185 A KR1020170097185 A KR 1020170097185A KR 20170097185 A KR20170097185 A KR 20170097185A KR 20190013116 A KR20190013116 A KR 20190013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nucleic acid
magnet
sample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놀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놀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놀루션
Priority to KR1020170097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3116A/ko
Publication of KR20190013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98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involving analyte bound to insoluble magnetic carrier, e.g. using magnetic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 B01L3/50851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or cooling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12N15/100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 C12N15/1006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by means of a solid support carrier, e.g. particles, polymers
    • C12N15/101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by means of a solid support carrier, e.g. particles, polymers by using magnetic b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06Preparing nucleic acids for analysis, e.g.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9Multi-well plates; Microtitration p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346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465Separating and mixing arrangements
    • G01N2035/00564Handling or washing solid phase elements, e.g. b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및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에 장착되는 웰의 일부를 선별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핵산의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및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마그넷 입력된 프로토콜에 따라 조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하로 연장되며 자석으로 이루어진 마그넷로드(11); 상기 마그넷로드(11)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마그넷로드(11)가 진입되거나 퇴피 가능하고, 진입된 상기 마그넷로드(11)의 자속을 통과시킬 수 있는 교반로드(13); 일 측 단부에 구비된 제1 웰(24), 타측 단부에 구비된 제2 웰(26) 및 상기 제1 웰(24) 과 상기 제2 웰(26) 사이에 구비되는 다단의 중앙 웰(25)로 형성되는 웰(22)을 포함하고, 상기 웰(22) 내부로 상기 교반로드(13)가 진입되거나 퇴피 가능한 추출키트(20); 및 상기 제1 웰(24)이 수용되는 제1 수용홈(42), 상기 제2 웰(26)이 수용되는 제2 수용홈(44)으로 상기 추출키트(20)를 장착하고, 상기 제1,2 수용홈(42,44)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2 웰(24,26)을 가열할 수 있는 온도조절부(48)가 구비되는 수용슬롯(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웰(24)과 상기 중앙 웰(25)은 제1 연결부(27)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1 연결부(27)에 의해 상기 제1 웰(22)의 하부는 상기 중앙 웰(25)과 이격되어 상기 수용슬롯(40)과 간섭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2 웰(26)과 상기 중앙 웰(25)은 제2 연결부(28)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2 연결부(28)에 의해 상기 제2 웰(26)의 하부는 상기 중앙 웰(25)과 이격되어 상기 수용슬롯(40)과 간섭되지 아니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및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Nucleic acid extraction instrument using magnet beads and Nucleic acid extraction method using magnet beads}
본 발명은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및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넷비드를 이용한 핵산 추출장치에 장착되는 웰의 일부를 선별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핵산의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및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마그넷비드(Magnetic Beads)를 바이오 분야에 적용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는 DNA나 RNA와 같은 핵산 및 단백질 정제에서부터 질병의 관찰을 위해 이용되고 있으며, 질병의 직접적인 치료를 위해 이용되고 있다.
마그넷비드를 이용하여 핵산을 추출하는 장치는 Chaotropic salt를 이용하여 표면에 실리카(silica)가 코팅된 마그넷비드에 핵산이 부착되게 한 후에 외부 자기장을 이용하여 핵산이 부착된 마그넷비드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정제하고 마그넷비드에서 핵산을 분리함으로써 핵산을 추출하게 된다.
이러한 장치는 마그넷비드에 핵산을 부착하고 분리하기 위한 마그넷로드, 교반로드, 추출키트를 포함하는데, 추출하고자 하는 핵산이 포함된 핵산샘플이나 마그넷비드는 추출키트에 구비된 복수개의 웰에 수용된다. 핵산은 핵산샘플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핵산샘플에서 추출된 핵산을 자성을 갖는 마그넷비드에 핵산이 부착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이동 및 세척함으로써 정제된 핵산을 채집할 수 있게 된다. 기존의 장치는 정제된 핵산을 별도의 용기로 옮겨 보관 또는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핵산의 채집 과정이 번거로웠다.
또한, 결핵균의 경우 공기를 통한 전염이 가능하므로 추출과정에서의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결핵균의 불활성화 과정으로서 소정의 시간과 온도로 핵산샘플을 가열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열 과정은 핵산 추출과정과 별도의 과정으로 처리해야 하는 아쉬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추출키트의 특정 웰을 선별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핵산샘플을 비활성 시킨 상태에서 핵산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핵산 추출에 필요한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추출된 핵산을 손쉽게 채집하고 안전하게 보관 및 운송하기 위한,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와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그넷비드를 이용하여 샘플에서 핵산을 추출하기 위한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프로토콜에 따라 조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하로 연장되며 자석으로 이루어진 마그넷로드(11); 상기 마그넷로드(11)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마그넷로드(11)가 진입되거나 퇴피 가능하고, 진입된 상기 마그넷로드(11)의 자속을 통과시킬 수 있는 교반로드(13); 일 측 단부에 구비된 제1 웰(24), 타측 단부에 구비된 제2 웰(26) 및 상기 제1 웰(24) 과 상기 제2 웰(26) 사이에 구비되는 다단의 중앙 웰(25)로 형성되는 웰(22)을 포함하고, 상기 웰(22) 내부로 상기 교반로드(13)가 진입되거나 퇴피 가능한 추출키트(20); 및 상기 제1 웰(24)이 수용되는 제1 수용홈(42), 상기 제2 웰(26)이 수용되는 제2 수용홈(44)으로 상기 추출키트(20)를 장착하고, 상기 제1,2 수용홈(42,44)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2 웰(24,26)을 가열할 수 있는 온도조절부(48)가 구비되는 수용슬롯(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웰(24)과 상기 중앙 웰(25)은 제1 연결부(27)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1 연결부(27)에 의해 상기 제1 웰(22)의 하부는 상기 중앙 웰(25)과 이격되어 상기 수용슬롯(40)과 간섭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2 웰(26)과 상기 중앙 웰(25)은 제2 연결부(28)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2 연결부(28)에 의해 상기 제2 웰(26)의 하부는 상기 중앙 웰(25)과 이격되어 상기 수용슬롯(40)과 간섭되지 아니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용홈(42)과 상기 제2 수용홈(44)은 상기 온도조절부(48)에 의해 독립적으로 온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슬롯(40)은 외측면이 단열되어 상기 수용슬롯(40)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중앙 웰(25)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웰(24)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웰(24)의 하부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1 입구부(24a)를 규정하는 저부에는, 상기 제1 수용홈(42)과 형합되어 상기 추출키트(20)를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부(2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홈(42)은 상기 지지부(29)와 상보적인 결속부(46)가 마련되어 상기 추출키트(20)와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 제2 연결부(28)에는 상기 제2 웰(26)과 과 인접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그루브(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그루브(30)는 상기 제2 웰(26)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28)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v'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28)에는, 상기 제2 웰(26)과 이웃한 상기 중앙 웰(25)의 측면에서 상기 그루브(30) 부근까지 연장되되, 상기 제2 웰(26)과는 연결되지 않는 보강리브(3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핵산을 추출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으로서, 상기 제1 웰(24)에 핵산샘플(104)을 주입하고 상기 추출키트(20)를 상기 수용슬롯(40)에 장착하는 장착단계; 장착된 상기 제1 웰(24)의 핵산샘플(104)을 상기 온도조절부(48)로 가열하는 샘플가열단계; 상기 제1 웰(24)에 수용된 핵산샘플(104)을 용해하는 샘플용해단계; 상기 샘플가열단계 후, 상기 중앙 웰(25)의 어느 하나에 담겨 있던 마그넷비드(100)를 상기 제1 웰(24)에 옮기고 상기 마그넷비드(100)에 핵산(102)을 부착시키는 핵산부착단계; 상기 핵산부착단계 후, 핵산(102)이 부착된 상기 마그넷비드(100)를 상기 중앙 웰(25)의 다른 하나로 이동시켜 적어도 1회 이상 세척하는 핵산세척단계; 및 상기 핵산세척단계 후, 상기 핵산(102)이 부착된 상기 마그넷비드(100)를 상기 제2 웰(26)로 이동시킨 후 상기 핵산(102)을 상기 마그넷비드(100)로부터 분리하는 핵산용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핵산용리단계 이전 또는 동시에, 상기 제2 웰(26)을 가열하는 용리가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핵산용리단계는 핵산이 분리된 상기 마그넷비드(100)를 상기 제2 웰(26)로부터 상기 중앙 웰(25)의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핵산용리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웰(26)을 상기 추출키트로부터 분리하여 냉동보관하는 냉동보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 샘플가열단계와 상기 샘플용해단계의 적어도 일부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샘플용해단계와 상기 핵산부착단계의 적어도 일부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샘플용해단계는 상기 제1 웰(24)을 상기 교반로드로 교반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샘플가열단계에서 상기 제1 웰(24)은 섭씨 85도 내지 95도의 온도까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리가열단계에서 상기 제2 웰(26)은 섭씨 55도 내지 60도의 온도까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및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에 의하면, 특정 웰을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므로 핵산을 추출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나 결핵균과 같이 유해요소로 이루어진 핵산샘플에서 핵산을 추출하고자 할 때, 핵산샘플을 고온으로 가열하는 것을 핵산추출 일련의 과정으로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핵산추출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염이나 오염을 막을 수 있고, 핵산 추출에 필요한 시간이나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핵산을 추출할 때 추출키트를 추출장치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핵산 추출과정이 완료되면 추출된 핵산이 수용된 특정 웰만 쉽게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제1 웰의 하부는 중앙 웰과 이격되어 수용슬롯과 간섭되지 아니하고, 제2 웰의 하부는 중앙 웰과 이격되어 수용슬롯과 간섭되지 아니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1 수용홈과 제2 수용홈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지지부와 결속부가 형합되어 추출키트가 수용슬롯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2 연결부에 제2 웰과 과 인접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그루브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그루브가 "v"형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2 연결부에 형성된 보강리브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1 웰에 핵산샘플을 주입하고 추출키트를 수용슬롯에 장착하는 장착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1 웰에 수용된 핵산샘플을 가열하는 샘플가열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제1 웰을 가열하면서 제1 웰에 수용된 핵산샘플을 용해하는 샘플용해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마그넷비드를 제1 웰에 옮기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제1 웰에서 마그넷비드에 핵산을 부착시키는 핵산부착단계 또는 핵산샘플과 마그넷비드가 수용된 제1 웰에서 핵산샘플이 용해되면서 마그넷비드에 부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핵산이 부착된 마그넷비드를 세척하는 핵산세척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제2 웰을 가열하며 마그넷비드로부터 핵산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핵산이 분리된 마그넷비드를 중앙 웰로 옮기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6은 그루브를 따라 제2 웰을 분리하고 냉동보관하는 냉동보관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DNA와 RNA와 같은 핵산은 유전정보를 발현하여 단백질분자를 합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핵산의 효과적인 추출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핵산의 효과적인 추출 방법으로 마그넷비드(Magnetic Beads)를 바이오 분야에 적용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
마그넷비드를 이용한 핵산 추출은 Chaotropic salt를 이용하여 표면에 실리카(silica)가 코팅된 마그넷비드에 핵산이 부착되게 한 후에 외부 자기장을 이용하여 핵산이 부착된 마그넷비드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정제하고 마그넷비드에서 핵산을 분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용해 완충액이 수용된 공간에 핵산샘플을 주입하고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면 핵산을 둘러싼 세포벽이 깨지게 되는데, 핵산을 둘러싼 세포벽을 깨뜨림으로써 핵산을 추출할 수 있다. 핵산은 음전하를 띄고 마그넷비드에 코팅된 실리카(silica)도 음전하를 띄고 있으나 핵산은 Chaotropic salt 존재하에서 양이온 브릿지(positive ion bridge)를 형성함으로써 음전하의 실리카와 결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마그넷비드에 추출된 핵산을 부착시킨다. 핵산이 부착된 마그넷비드는 자성체에 의하여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고 세척할 수 있는데, 핵산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뒤 마그넷비드에 부착된 핵산을 분리하면 정제된 핵산을 얻을 수 있다.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본 발명의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는 마그넷비드를 이용하여 샘플에서 핵산을 추출하기 위한 마그넷비드를 이용한 핵산 추출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프로토콜에 따라 조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하로 연장되며 자석으로 이루어진 마그넷로드(11), 마그넷로드(11)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며 마그넷로드(11)가 진입되거나 퇴피 가능하고 진입된 마그넷로드(11)의 자속을 통과시킬 수 있는 교반로드(13), 교반로드(13)가 진입되거나 퇴피 가능한 웰(22)로 구비된 추출키트(20) 및 추출키트(20)가 장착되며 온도조절이 가능한 수용슬롯(40)을 포함한다.
마그넷로드(11)는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그넷로드(11)가 교반로드(13)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교반로드(13)는 마그넷로드(11)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이 외부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하지 않으며 자화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내부에 장착되는 추출키트(20)와 수용슬롯(4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키트(20)는, 일 측 단부에 구비된 제1 웰(24), 타측 단부에 구비된 제2 웰(26) 및 제1 웰(24) 과 제2 웰(26) 사이에 구비되는 다단의 중앙 웰(25)을 포함하는 웰(22)로 구비된다. 웰(22) 내부로 교반로드(13)가 진입되거나 퇴피 가능한데, 웰(22) 내부에 진입된 교반로드(13)가 웰(22) 내부에서 상하 왕복운동하며 핵산샘플의 세포막 파괴, 마그넷비드와 핵산의 결합 및 분리 마그넷비드에 부착된 핵산의 세척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제1 웰(24)과 중앙 웰(25)은 제1 연결부(27)에 의해 연결되고 제2 웰(26)과 중앙 웰(25)은 제2 연결부(28)에 의해 연결되어, 모든 웰(22)은 상부가 연결된 하나의 유닛으로 거동된다. 다만, 제1 웰(24)의 하부는 중앙 웰(25)과 이격된 상태로 제1 연결부(27)에 의해 제1 웰(24)과 중앙 웰(25)이 연결되고, 제2 웰(26)의 하부는 중앙 웰(25)과 이격된 상태로 제2 연결부(28)에 의해 제2 웰(26)과 중앙 웰(25)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슬롯(40)에는 제1 수용홈(42)과 제2 수용홈(44)이 구비되는데, 제1 웰(24)과 제2 웰(26)의 하부가 각각 제1 수용홈(42)과 제2 수용홈(44)으로 삽입되며 추출키트(10)가 수용슬롯(3)에 장착된다. 제1 웰(24)과 제2 웰(26)은 제1 연결부(27)와 제2 연결부(28)에 의해 하부가 중앙 웰(25)과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1 웰(24)의 하부와 제2 웰(26)의 하부는 수용슬롯(40)과 간섭되지 않고 추출키트(20)를 수용슬롯(49)에 장착할 수 있다.
제1 웰(24)과 중앙 웰(25) 그리고 제2 웰(26)에는 핵산샘플에서 핵산을 추출하기 위한 재료가 수용되는데, 각각의 웰(22)에는 상이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수용되는 재료에 따라 각각 다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제1 웰(24)은 용해 완충액이 수용된 상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제1웰(24)에는 핵산을 추출하고자 하는 핵산샘플(104)이 주입된다. 그리고 제1웰(24)에는 중앙 웰(25)로부터 마그넷비드(100)가 이동되어 투입되고, 핵산샘플(104)에서 핵산을 추출한 뒤 추출된 핵산(102)을 마그넷비드(100)에 부착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 웰(25)에는 추출된 핵산(102)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액이 수용되어 있어서, 상기 세척액이 수용된 중앙 웰에서 마그넷비드(100)에 부착된 핵산(102)을 세척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웰(26)에는 핵산(102)을 마그넷비드(100)에서 분리하여 정제된 핵산(102)을 채집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웰(24)과 중앙 웰(25) 및 제2 웰(26)에 가해지는 열은 핵산 분리 작업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제1 웰(24)을 가열함으로써, 제1 웰(24)에 주입된 핵산샘플을 활성 또는 비활성 시킬 수 있다. 특히 핵산샘플이 결핵균일 경우, 고온으로 바람직하게는 섭씨 85도 내지 95도의 온도로 제1 웰(24)을 가열하여 결핵균을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핵산 추출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이나 감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1 웰(24)을 가열하면서 교반작업을 하게 되면, 세포벽을 쉽게 깨뜨릴 수 있어 핵산추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핵산(102)을 마그넷비드(100)에서 분리하는 용리단계에서 핵산(102)의 농도가 높을 경우 핵산(102)의 끈적임 성질로 인해 핵산(102)끼리 엉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마그넷비드(100)에서 핵산(102)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용리단계에서 핵산(102)끼리 엉기는 현상이 발생할 때, 적당한 온도를 공급하면 핵산(102)끼리 엉기는 현상을 줄일 수 있어 용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용슬롯(4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수용홈(42,44)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부(4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웰(24)과 제2 웰(26)에서 해당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각각 필요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제1 수용홈(42)과 제2 수용홈(44)은 온도조절부(48)에 의해 독립적으로 온도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슬롯(40)은 외측면을 단열처리 함으로써 수용슬롯(40)에서 발생한 열이 중앙 웰(25)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웰(24)에서는 교반작업을 통하여 핵산샘플에서 핵산이 추출되고, 자성을 갖는 마그넷비드에 추출된 핵산이 부착되는데, 하나의 마그넷비드에 수 많은 핵산이 부착된다. 핵산샘플이 수용되는 공간을 다른 부분보다 넓게 형성하여 핵산샘플을 많이 주입할 수 있게 되면, 핵산의 산출량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핵산샘플이 수용되는 제1 웰(24)은 다른 웰(22)보다 큰 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제1 웰(24)의 상부에 마련된 제1 입구부(24a)는 제1 웰(24)의 하부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웰(24)에 보다 많은 핵산샘플을 수용할 수 있고, 제1 웰(24)에서 교반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핵산샘플이 넘치거나 다른 웰(22)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제1 입구부(24a) 저부가 평평한 부분을 포함하면 제1 웰(24)에서 교반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핵산샘플, 제1 웰(24) 내부에 수용된 물질이 제1 입구부(24a) 저부의 평평한 부분에 정체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제1 웰(24)의 상부에 마련된 제1 입구부(24a)는 제1 웰(24)의 하부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되되, 제1 입구부(24a)의 폭은, 입구 측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입구부(24a)의 저부를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웰(24)과 제2 웰(26)의 하부를 제1 수용홈(42)과 제2 수용홈(44)에 삽입시켜 추출키트(20)를 수용슬롯(40)에 장착하게 되는데, 제1 웰(24)과 제2 웰(26)에는 각각 수용되는 물질이 다를 뿐만 아니라 이루어지는 작업 또한 다르다. 따라서 추출키트(20)가 수용슬롯(40)에 장착될 때, 제1 웰(24)은 제1 수용홈(42)에, 제2 웰(26)은 제2 수용홈(44)에 맞춰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핵산 추출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추출키트(20)는 수용슬롯(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웰(24)이 제1 수용홈(42)과 형합된 상태로 추출키트(20)가 수용슬롯(40)에 지지 및 고정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웰(24)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 웰(24)의 하부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1 입구부(24a)를 규정하는 저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부(29)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수용홈(42)에는 지지부(29)와 상보적인 결속부(46)가 마련되어 제1 웰(24)과 형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1 웰(24)의 하부가 제1 수용홈(42)에 삽입되고, 지지부(29)와 결속부(46)가 맞물리면서 추출키트(20)가 수용슬롯(40)에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29)와 결속부(46)의 위치는, 지지부(29)가 결속부(46)와 형합되며 추출키트(20)가 수용슬롯(40)에 수용된 상태에서, 교반로드(13)가 웰(22)에 진입하거나 퇴피되는 좌표에 대해 추출키트(20)의 웰(22)이 정렬되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단으로 구성된 제1 웰(24), 제1 웰(24)의 측면으로 이어지는 중앙 웰(25) 그리고 중앙 웰(25)의 측면으로 이어지는 제2 웰(26)을 하나의 행으로 보았을 때, 이 발명의 추출키트(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추출키트(20)의 지지부(29)를 제1 수용홈(42)의 결속부(46)에 맞춰서, 추출키트(20)를 수용슬롯(40)에 장착하면, 교반로드(13)가 웰(22)과 웰(22)을 구분하는 격벽에 부딪히지 않고 웰(22)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교반로드(13)와 웰의 위치가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웰(24)의 지지부(29)와 제1 수용홈(42)의 결속부(46)는 교반로드(13) 웰(22)에 진입하거나 퇴피되는 좌표에 대해 추출키트(20)의 웰(22)이 정렬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부(29)는, 제1 웰(24)은 제1 수용홈(42)에 제2 웰(26)은 제2 수용홈(44)에 맞춰서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지지부(29)가 구비된 제1 웰(24)을 제2 수용홈(44)에 삽입하는 경우, 지지부(29)가 제2 수용홈(44)의 상단부와 간섭하게 되어 추출키트(20)가 수용슬롯(40)에 제대로 장착되지 않으므로, 제1 웰(24)과 제2 웰(26)의 하부를 제1 수용홈(42)과 제2 수용홈(44)에 맞춰서 추출키트(20)를 수용슬롯(40)에 장착할 수 있다.
지지부(29)는 제1 웰(24) 뿐만 아니라 제2 웰(26)에서 형성될 수 있지만, 제2 웰(26)에 추출된 핵산이 수용되면 제2 웰(26)은 추출키트(20)에서 따로 분리되어 냉동보관 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29)는 제2 웰(26) 측에 형성하기보다는 제1 웰(24)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29)는 제1 입구부(24a)를 규정하는 부재의 저부 한쪽 면에 배열되어 수용슬롯(40)에 장착된 추출키트(20)의 한쪽 면을 지지할 수 있다. 하지만, 지지부(29)가 제1 입구부(24a)를 규정하는 부재의 저부 양쪽 면에 배열되어 수용슬롯(40)에 장착된 추출키트(20)의 양쪽 면을 지지하도록 하면 더 안정적인 지지를 할 수 있으므로 지지부(29)는 제1 입구부(24a)를 규정하는 부재의 저부 양쪽 면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키트(20)는 추출과정에서 하나의 유닛으로 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핵산 추출과정이 완료되면 제2 웰(26)에는 추출된 핵산만 수용되는데, 추출된 핵산을 보관하거나 이용하기 위하여 추출된 핵산이 수용되는 제2 웰(26)을 추출키트(20)에서 따로 분리 가능하도록 추출키트(2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키트(20)로부터 제2 웰(26)을 분리하기 위해 제2 웰(26) 측에 모멘트를 발생시키면, 제2 연결부(28)에 응력이 발생하고 제2 연결부(28)가 잘라지거나 깨지면서 제2 웰(26)을 분리할 수 있다. 그런데, 제2 웰(26)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자칫 제2 웰(26)을 형성하는 측벽에 응력이 집중되어 제2 웰(26)의 측벽이 손상되거나, 제2 연결부(28)가 잘라지거나 깨지는 충격으로 웰(22) 내부에 든 내용물이 밖으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28)는 제2 웰(26)과 인접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그루브(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연결부(28)에서 그루브(30)가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연결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제2 연결부(28)에 응력이 발생될 때 그루브(30)를 경계로 추출키트(10)로부터 제2 웰(26)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30)는 제2 연결부(28)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v'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루브(30)가 'v 형으로 형성되면, 제2 연결부(28)에 응력이 발생될 때 그루브(30)를 형성하는 면과 면이 만나는 곳에서 응력이 집중되므로 더욱 쉽게 추출키트(20)에서 제2 웰(26)을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부(28)에 의해 제2 웰(26)과 중앙 웰(25)이 연결될 때, 제2 웰(26)의 하부가 수용슬롯(40)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제2 연결부(28)는 제2 웰(26)의 하부와 중앙 웰(25)의 이격된 거리만큼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제2 웰(26)이 길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2 연결부(28)에 그루브(30)가 형성된 경우에도, 제2 연결부(28)에 응력이 발생될 때 제2 연결부(28)가 그루브(30)를 경계로 분리되지 않고, 제2 연결부(28)의 중간이 잘라지거나 깨지면서 제2 웰(26)이 분리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8)가 제2 웰(26)에 인접한 부분을 따라 잘라지지 않게 되면 제2 웰(26)의 측면에 절단된 제2 연결부(28)가 돌출된 상태로 남아있게 되는데, 제2 웰(26)을 보관하거나 이용하는 과정에서 제2 연결부(28)의 절단부분에 베이거나, 제2 연결부(28)의 돌출 부분이 주변 기구에 걸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28)에는 제2 웰(26)과 이웃한 중앙 웰(25)의 측면에서 그루브(30) 부근까지 연장되되, 제2 웰(26)과는 연결되지 않는 보강리브(3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리브(32)는 제2 연결부(28)에서 그루브(30)를 제외한 부분의 단면계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제2 연결부(28)에 응력이 발생될 때, 제2 연결부(28) 중간이 잘라지거나 깨지는 일 없이, 그루브(30)를 따라 제2 웰(26)이 추출키트(2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에 장착되는 추출키트(20)를 구성하는 웰(22)에는 핵산추출에 필요한 재료들이 수용된다. 웰(22)은 복수로 이루어져 각각의 웰(22)에는 서로 다른 재료들이 수용되며, 수용된 재료에 따라 그에 맞는 추출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추출작업은 핵산샘플에서 정제된 핵산을 채집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진행되며, 웰(22)에는 작업 단계별로 장치(교반로드 및 마그넷로드)가 움직이는 동선을 따라 재료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핵산 추출방법은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핵산을 추출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으로서, 제1 웰(24)에 핵산샘플(104)을 주입하고 추출키트(20)를 수용슬롯(40)에 장착하는 장착단계를 포함한다. 제1 웰(24)에는 용해 완충액이 수용되어, 제1 웰(24)로 주입되는 핵산샘플(104)의 pH를 유지시키고 교반작업 시 세포벽이 깨지도록 돕는다. 추출키트(20)를 추출장치(1)내에 장착할 때에는, 제1 웰(24)이 제1 수용홈(42)에 삽입되고, 제2 웰(26)이 제2 수용홈(44)에 삽입되도록 추출키트(20)를 수용슬롯(40)에 장착한다.
그리고, 핵산샘플(104)이 주입된 추출키트(20)가 수용슬롯(40)에 장착되면 장착된 상기 제1 웰(24)의 핵산샘플(104)을 상기 온도조절부(48)로 가열하는 샘플가열단계를 포함한다. 핵산샘플(104)을 가열하게 되면, 핵산샘플(104)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고, 세포벽을 깨뜨려 핵산(102)이 추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핵산샘플의 비활성화 온도와 용해완충액의 활성화 온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용해 완충액의 활성화 온도는 섭씨 50도 내지 60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핵산샘플(104)이 결핵균일 경우 핵산(102) 추출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염이나 오염을 막기 위해 핵산샘플(104)을 고온으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결핵균을 비활성 시킬 수 있도록 85도 내지 95로 가열할 수 있다.
핵산샘플(104)을 가열한 후에, 핵산샘플(104)을 용해하는 샘플용해단계를 통하여 핵산(102)을 추출한다. 샘플가열단계와 상기 샘플용해단계의 적어도 일부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핵산샘플(104)을 용해하는 것은 핵산(102)을 둘러싼 세포벽을 깨뜨리고 그 안에 있는 핵산(102)을 세포벽 밖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작업은 핵산샘플(104)이 주입된 제1 웰(24) 내부로 교반로드(13)을 진입시킨 상태에서 핵산(102)을 둘러싼 세포벽을 깨드릴 수 있는 소정의 시간과 속도로 교반로드(13)를 상하 왕복시키며 이루어진다.
핵산(102)을 둘러싼 세포벽이 깨지면, 마그넷비드(100)를 제1 웰(24)로 이동하여 마그넷비드(100)에 핵산(102)을 부착시키는 핵산부착단계가 수행된다. 샘플용해단계와 핵산부착단계의 적어도 일부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핵산(102)은 마그넷비드(100)에 부착되는 성질이 있다. 제1 웰(24)에 마그넷비드(100)와 핵산(102)이 수용된 상태에서 교반로드(13)를 이용하여 교반한다.
핵산샘플(104)에서 세포벽을 깨는 샘플용해단계와 세포벽에서 유출된 핵산(102)을 마그넷비드(100)에 부착시키는 핵산부착단계는 별개로 이루어 질 수 있지만, 마그넷비드(100)를 핵산샘플(104)이 주입된 제1 웰(24)로 이동한 뒤 교반함으로써 핵산샘플(104)을 용해시키면서 핵산(102)이 마그넷비드(100)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마그넷비드(100)에 부착된 핵산(102)은 제1 웰(24)에서 세척액이 수용된 중앙 웰(25)로 이동하여 핵산(102)을 세척하는 핵산세척단계를 통하여, 마그넷비드(100) 및 이에 부착된 핵산(102)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핵산(102)의 세척은 핵산(102)이 마그넷비드(100)에 부착된 상태로 이루어지는데, 중앙 웰(25)을 구성하는 각기 다른 웰의 내부에서 적어도 1회 이상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세척액은 1 이상의 중앙 웰(25)에 각각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세척된 핵산(102)은, 마그넷비드(100)에 부착된 상태로 제2 웰(26)으로 이동되어, 핵산(102)을 마그넷비드(100)로부터 분리하는 핵산용리단계가 수행된다. 마그넷비드(100)에 부착된 핵산(102)의 분리는 제2 웰(26)의 내부로 진입된 교반로드(13)의 상하 왕복에 의해 이루어진다. 교반로드(13)의 상하 왕복은 마그넷비드(100)에 핵산(102)을 부착시키는 상하 왕복보다 더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그 지속 시간은 짧을 수 있다.
제2 웰(26)에서 마그넷비드(100)에 부착된 핵산(102)을 분리시킬 때, 마그넷의 잔류자속밀도는 온도의 상승과 함께 감소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제2 웰(26)의 내부로 교반로드(13)를 진입시키기 이전 또는 동시에, 제2 웰(26)을 가열하는 용리가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웰(26)의 온도가 55도 내지 60도가 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웰(26)에는 정제된 핵산(102)이 채집되어 보관되므로, 제2 웰(26) 내부에 있는, 핵산(102)이 분리된 마그넷비드(100)는 제2 웰(26)로부터 중앙 웰(25)의 어느 하나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웰(26)에 채집된 핵산(102)은 보관할 때에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동보관될 수 있다. 제2 웰(26)에 채집된 핵산(102)을 별도의 용기로 옮긴 후에 보관할 수 있지만, 핵산(102)이 수용된 제2 웰(26)을 추출키트(20)에서 분리한 뒤에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제2 웰(26)을 추출키트(20)에서 분리할 때, 중앙 웰(25)과 제2 웰(26)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28)에, 위에서 설명한 바 있는, 그루브(30) 또는 보강리브(32)가 형성되면 제2 웰(26)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웰(26)의 상단부를 덮으며, 제2 웰(26)의 입구 상단과 상보적인 형상의 삽입부가 구비된 캡을 이용하여 제2 웰(26)의 입구를 차폐시킴으로써, 제2 웰(26) 내부의 핵산(102)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물질이 제2 웰(26)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로 제2 웰(26)에 채집된 핵산(102)를 보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11: 마그넷로드
13: 교반로드
20: 추출키트
22: 웰
24: 제1 웰
24a: 제1 입구부
25: 중앙 웰
26: 제2 웰
26a: 제2 입구부
27: 제1 연결부
28: 제2 연결부
29: 지지부
30: 그루브
32: 보강리브
40: 수용슬롯
42: 제1 수용홈
44: 제2 수용홈
46: 결속부
48: 온도조절부
100: 마그넷비드
102: 핵산
104: 핵산샘플

Claims (16)

  1. 마그넷비드를 이용하여 샘플에서 핵산을 추출하기 위한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프로토콜에 따라 조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하로 연장되며 자석으로 이루어진 마그넷로드(11);
    상기 마그넷로드(11)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마그넷로드(11)가 진입되거나 퇴피 가능하고, 진입된 상기 마그넷로드(11)의 자속을 통과시킬 수 있는 교반로드(13);
    일 측 단부에 구비된 제1 웰(24), 타측 단부에 구비된 제2 웰(26) 및 상기 제1 웰(24) 과 상기 제2 웰(26) 사이에 구비되는 다단의 중앙 웰(25)로 형성되는 웰(22)을 포함하고, 상기 웰(22) 내부로 상기 교반로드(13)가 진입되거나 퇴피 가능한 추출키트(20); 및
    상기 제1 웰(24)이 수용되는 제1 수용홈(42), 상기 제2 웰(26)이 수용되는 제2 수용홈(44)으로 상기 추출키트(20)를 장착하고, 상기 제1,2 수용홈(42,44)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2 웰(24,26)을 가열할 수 있는 온도조절부(48)가 구비되는 수용슬롯(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웰(24)과 상기 중앙 웰(25)은 제1 연결부(27)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1 연결부(27)에 의해 상기 제1 웰(22)의 하부는 상기 중앙 웰(25)과 이격되어 상기 수용슬롯(40)과 간섭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2 웰(26)과 상기 중앙 웰(25)은 제2 연결부(28)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2 연결부(28)에 의해 상기 제2 웰(26)의 하부는 상기 중앙 웰(25)과 이격되어 상기 수용슬롯(40)과 간섭되지 아니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42)과 상기 제2 수용홈(44)은 상기 온도조절부(48)에 의해 독립적으로 온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슬롯(40)은 외측면이 단열되어 상기 수용슬롯(40)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중앙 웰(25)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웰(24)이 상기 제1 수용홈(42)과 형합된 상태로 상기 추출키트(20)가 상기 수용슬롯(40)에 지지 및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제1 웰(24)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웰(24)의 하부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1 입구부(24a)를 규정하는 저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부(2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홈(42)은 상기 지지부(29)와 상보적인 결속부(46)가 마련되어 상기 제1 웰(24)과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28)에는 상기 제2 웰(26)과 과 인접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그루브(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30)는 상기 제2 웰(26)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28)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v'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28)에는, 상기 제2 웰(26)과 이웃한 상기 중앙 웰(25)의 측면에서 상기 그루브(30) 부근까지 연장되되, 상기 제2 웰(26)과는 연결되지 않는 보강리브(3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핵산을 추출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으로서,
    상기 제1 웰(24)에 핵산샘플(104)을 주입하고 상기 추출키트(20)를 상기 수용슬롯(40)에 장착하는 장착단계;
    장착된 상기 제1 웰(24)의 핵산샘플(104)을 상기 온도조절부(48)로 가열하는 샘플가열단계;
    상기 제1 웰(24)에 수용된 핵산샘플(104)을 용해하는 샘플용해단계;
    상기 샘플가열단계 후, 상기 중앙 웰(25)의 어느 하나에 담겨 있던 마그넷비드(100)를 상기 제1 웰(24)에 옮기고 상기 마그넷비드(100)에 핵산(102)을 부착시키는 핵산부착단계;
    상기 핵산부착단계 후, 핵산(102)이 부착된 상기 마그넷비드(100)를 상기 중앙 웰(25)의 다른 하나로 이동시켜 적어도 1회 이상 세척하는 핵산세척단계; 및
    상기 핵산세척단계 후, 상기 핵산(102)이 부착된 상기 마그넷비드(100)를 상기 제2 웰(26)로 이동시킨 후 상기 핵산(102)을 상기 마그넷비드(100)로부터 분리하는 핵산용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핵산용리단계 이전 또는 동시에, 상기 제2 웰(26)을 가열하는 용리가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핵산용리단계는 핵산이 분리된 상기 마그넷비드(100)를 상기 제2 웰(26)로부터 상기 중앙 웰(25)의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핵산용리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웰(26)을 상기 추출키트로부터 분리하여 냉동보관하는 냉동보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샘플가열단계와 상기 샘플용해단계의 적어도 일부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샘플용해단계와 상기 핵산부착단계의 적어도 일부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샘플용해단계는 상기 제1 웰(24)을 상기 교반로드로 교반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샘플가열단계에서 상기 제1 웰(24)은 섭씨 85도 내지 95도의 온도까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용리가열단계에서 상기 제2 웰(26)은 섭씨 55도 내지 60도의 온도까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KR1020170097185A 2017-07-31 2017-07-31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및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KR20190013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185A KR20190013116A (ko) 2017-07-31 2017-07-31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및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185A KR20190013116A (ko) 2017-07-31 2017-07-31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및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116A true KR20190013116A (ko) 2019-02-11

Family

ID=6537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185A KR20190013116A (ko) 2017-07-31 2017-07-31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및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3116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9757A (zh) * 2019-04-30 2019-06-25 广州瑞能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核酸提取仪
KR20200098963A (ko) * 2019-02-13 2020-08-21 주식회사 이지다이아텍 자동 단백질 정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 정제 방법
KR102158793B1 (ko) * 2020-02-24 2020-09-23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메디칼 핵산 추출 장치
CN112048429A (zh) * 2020-09-25 2020-12-08 杭州迪安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核酸提取仪的高效提取震荡模块及核酸提取仪
CN112226361A (zh) * 2020-10-15 2021-01-15 东南大学 一种基于磁珠转移和阀控移液的核酸检测卡盒及检测方法
KR102339508B1 (ko) * 2020-07-01 2021-12-14 박은용 핵산의 추출 및 유전자 증폭이 가능한 등온증폭장치
KR102443820B1 (ko) 2022-05-10 2022-09-16 주식회사 제놀루션 핵산추출장치
KR102635366B1 (ko) 2023-05-23 2024-02-08 주식회사 제놀루션 검체처리장치 및 검체처리방법
KR102635367B1 (ko) 2023-05-23 2024-02-08 주식회사 제놀루션 검체처리장치 및 검체처리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963A (ko) * 2019-02-13 2020-08-21 주식회사 이지다이아텍 자동 단백질 정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 정제 방법
CN109929757A (zh) * 2019-04-30 2019-06-25 广州瑞能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核酸提取仪
CN109929757B (zh) * 2019-04-30 2024-03-22 广州瑞能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核酸提取仪
KR102158793B1 (ko) * 2020-02-24 2020-09-23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메디칼 핵산 추출 장치
KR102339508B1 (ko) * 2020-07-01 2021-12-14 박은용 핵산의 추출 및 유전자 증폭이 가능한 등온증폭장치
CN112048429A (zh) * 2020-09-25 2020-12-08 杭州迪安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核酸提取仪的高效提取震荡模块及核酸提取仪
CN112226361A (zh) * 2020-10-15 2021-01-15 东南大学 一种基于磁珠转移和阀控移液的核酸检测卡盒及检测方法
CN112226361B (zh) * 2020-10-15 2021-11-26 东南大学 一种基于磁珠转移和阀控移液的核酸检测卡盒及检测方法
KR102443820B1 (ko) 2022-05-10 2022-09-16 주식회사 제놀루션 핵산추출장치
KR102635366B1 (ko) 2023-05-23 2024-02-08 주식회사 제놀루션 검체처리장치 및 검체처리방법
KR102635367B1 (ko) 2023-05-23 2024-02-08 주식회사 제놀루션 검체처리장치 및 검체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3116A (ko)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및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JP3630493B2 (ja) 分注機を利用した液体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1747397B (zh) 用于自动提取核酸的系统和方法
JP4956727B2 (ja) Rna分離精製方法
CN104046556A (zh) 核酸扩增反应装置和核酸扩增方法
KR101955708B1 (ko) 핵산 추출튜브 및 이를 이용한 핵산 추출방법
JP6894453B2 (ja) 試料調製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使用方法
US10668417B2 (en) Device having a filter layer and method for extracting nucleic acids from formalin-fixed and paraffin-embedded samples
JP2017018053A (ja) 核酸抽出キット、核酸抽出方法および核酸抽出装置
CN206069882U (zh) 核酸测序设备
WO2001024937A2 (en)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90013115A (ko) 핵산 추출키트 및 핵산 추출장치
US10794859B2 (en) Electrophoresis assisted method and device for purifying a charged target molecule from a sample
KR101512709B1 (ko) 핵산 시료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핵산 증폭물의 제조 방법
US8129174B2 (en) Separating method and an apparatus performing such a method
KR102159583B1 (ko) 핵산 추출 단일 카트리지 및 핵산 추출 장치
US20120261348A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biomaterial and method of extracting biomaterial using the apparatus
EP3303580B1 (en) Electrophoresis assisted method for purifying a target nucleic acid using a delayed elution approach
KR20150107374A (ko) 오일과 친수성 자성 비드를 이용한 핵산 추출 및 증폭 방법
JP2001333763A (ja) 自動分離抽出装置及びその抽出方法
SE503729C2 (sv) Extraktionssystem
US11143664B2 (en) Sample processing method and sample processing apparatus
JP2006006258A (ja) 核酸の核酸抽出方法および核酸抽出装置
WO2020131779A1 (en) Acoustic energy based cell lysis and nucleic acid fragmentation
KR20240011563A (ko) 핵산 자동추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