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820B1 - 핵산추출장치 - Google Patents

핵산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820B1
KR102443820B1 KR1020220057498A KR20220057498A KR102443820B1 KR 102443820 B1 KR102443820 B1 KR 102443820B1 KR 1020220057498 A KR1020220057498 A KR 1020220057498A KR 20220057498 A KR20220057498 A KR 20220057498A KR 102443820 B1 KR102443820 B1 KR 102443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rod
cap
holder
sea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희종
노근수
김민이
김기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놀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놀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놀루션
Priority to KR1020220057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98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involving analyte bound to insoluble magnetic carrier, e.g. using magnetic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 B01L3/50851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or cooling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01L7/52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with provision for submitting samples to a predetermined sequence of different temperatures, e.g. for treating nucleic acid samp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12N15/100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 C12N15/1006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by means of a solid support carrier, e.g. particles, polymers
    • C12N15/101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by means of a solid support carrier, e.g. particles, polymers by using magnetic b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06Preparing nucleic acids for analysis, e.g.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594Quality control, including calibration or testing of components of the analyser
    • G01N35/00613Qual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9Multi-well plates; Microtitration p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346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465Separating and mixing arrangements
    • G01N2035/00564Handling or washing solid phase elements, e.g. b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mat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21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하는 카트리지(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안착부(220)를 포함하는, 랙(200); 상기 안착부(220) 상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와 결합되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220)와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사이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캡(C)과 결합되는, 캡 홀더(6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를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1구동부(700); 상기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캡 홀더(600)와 결합된 캡(C)을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2구동부(800); 및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랙(200)에 대해서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부(M)를 포함하는,포함하는, 핵산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핵산추출장치의 크기 및 낭비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핵산추출장치{NUCLEIC ACID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핵산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낭비되는 공간을 줄이고 큰 처리량(throughput) 또는 높은 샘플 용량 추출의 니즈(needs)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핵산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틱 비드(magnetic bead)를 이용하여 생물, 바이러스 등에서 채취된 시료로부터 핵산이나 생물학적 물질(단백질 등)을 추출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마그네틱 비드를 이용하여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라이시스(Lysis)&바인딩(Binding), 워싱(Washing), 일루션(Elution) 등 여러 단계를 수행해야 하므로 추출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에, 상기 여러 단계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추출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13116호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핵산추출장치는 공간낭비가 심하고 큰 처리량(throughput) 또는 높은 샘플 용량 추출의 니즈(needs)를 모두 충족시킬 수 없다.
KR 10-2019-001311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낭비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핵산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큰 처리량(throughput) 또는 높은 샘플 용량 추출의 니즈(needs)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고 사용성이 증가하며 핵산추출비용이 절감되는 핵산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트리지의 형상이 서로 다르더라도 열전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핵산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품의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핵산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하고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는 핵산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21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하는 카트리지(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안착부(220)를 포함하는, 랙(200); 상기 안착부(220) 상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와 결합되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220)와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사이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캡(C)과 결합되는, 캡 홀더(6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를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1구동부(700); 상기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캡 홀더(600)와 결합된 캡(C)을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2구동부(800); 및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랙(200)에 대해서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부(M)를 포함하는, 핵산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구동부(M)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랙(200)에 대해서 제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900) 및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랙(200)에 대해서 제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제4구동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900)는 상기 랙(20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4구동부(1000)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캡 홀더(60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랙(20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캡 홀더(600),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 및 수평구동부(M)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300); 및 상기 하우징(1300) 및 랙(200)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되고 하우징(1300)을 개폐하는 도어(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구동부(M)는 상기 랙(20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안착부(220) 중에서 제1방향의 타측에 형성되는 안착부(220)에는 히터(224)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캡(C)이 상기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된 상태에서, 좌우 회동에 따라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와 상기 캡 홀더(600)에 결합된 상기 캡(C)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되거나 상기 공간을 벗어나는 차단판(1100); 및 상기 차단판(1100)을 회동시키는 제5구동부(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5구동부(1200)는, 상기 공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5모터(1210) 및 상기 제5모터(1210)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1100)은 상기 회전축(1220)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구동부(M)는, 상기 랙(20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900)가 상기 랙(200)의 제2방향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5구동부(1200)가 상기 캡 홀더(60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의 제2방향의 일측에 배치되거나, 제3구동부(900)가 랙(200)의 제2방향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5구동부(1200)가 캡 홀더(60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의 제2방향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210);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하는 카트리지(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안착부(220); 상기 안착부(220) 상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로드 모듈(50)과 결합되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220)와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사이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캡(C)을 포함하는 캡 모듈(60)과 결합되는, 캡 홀더(6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마그네틱 로드(R)를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 모듈(60)의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1구동부(700); 상기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 모듈(60)의 캡(C)을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2구동부(800); 및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키거나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 및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을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각각의 웰(W)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부(M)를 포함하는 핵산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은 각각 복수 종류를 가진다.
상기 복수 종류의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은 각각 상기 웰(W), 마그네틱 로드(R) 및 캡(C)의 개수, 간격 또는 크기가 종류 별로 서로 다르다.
상기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이 상기 안착부(22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캡 홀더(600)에 안착되거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동부(700) 및 제2구동부(800)가 구동하는 경우에 서로 간섭되지 않는 상기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의 종류의 조합이 복수 개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안착부(220)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안착부(220a)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10) 상에 설치되는 히터(224) 및 상기 히터(224) 상에 안착되고 히터(224)의 열을 전달하는 열전도어댑터(2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종류의 카트리지(20) 중에서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는 종류 별로 하부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열전도어댑터(226)는 2 이상의 종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열전도어댑터(226)의 상부는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의 하부의 형상과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는,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웰(W)의 하단부를 각각 규정하고 외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한 개 이상의 하단돌출부(2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는 상기 하단돌출부(22)의 개수, 간격 또는 크기가 서로 달라서 하부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열전도어댑터(226)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 각각의 상기 한 개 이상의 하단돌출부(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둘러싸는 한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열전도어댑터(226)의 상부는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의 하부의 형상과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10), 안착부(22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캡 홀더(600),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 및 수평구동부(M)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300); 및 상기 하우징(1300) 및 베이스프레임(210)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되고 하우징(1300)을 개폐하는 도어(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224)의 상면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열전도어댑터(226)의 하면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각각 제1걸림돌기(B1) 및 제1걸림홈(G1)이 형성되거나 제1걸림홈(G1) 및 제1걸림돌기(B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돌기(B1)는 상기 제1걸림홈(G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홈(G1)의 제1방향의 폭은 상기 제1걸림돌기(B1)의 제1방향 폭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가 제1지지부재(SP1)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에 고정홈(FG)이 형성되거나,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고정홈(FG)이 형성되고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제1지지부재(SP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SP1)는, 상기 고정홈(FG)에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삽입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삽입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상하방향으로 고정홈(FG)의 내측면과 인접하여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고정수단(FM)은 상기 고정홈(FG)이 형성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해서 고정홈(FG)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제2삽입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FM)이 상기 고정홈(FG)에 삽입된 상기 제1지지부재(SP1)의 내측에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10), 안착부(22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캡 홀더(600),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 및 수평구동부(M)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300); 및 상기 하우징(1300) 및 베이스프레임(210)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되고 하우징(1300)을 개폐하는 도어(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방향은 제1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SP1)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FG)은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SP1)는 상하방향 및 상기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홈(FG)의 내측면과 인접하여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FM)은 상기 고정홈(FG) 및 제1지지부재(SP1)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1지지부재(SP1) 중에서 상기 고정홈(FG)에 삽입된 부분의 중앙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SP1)를 포함하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는 제1지지부재(SP1)의 상기 제1삽입방향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S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SP2)는 상하방향 및 상기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SP1)의 제1삽입방향의 상기 단부보다 일측에 위치하는 제1부위(E1) 및 타측에 위치하는 제2부위(E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FG)이 형성되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또는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은 내측에 고정홈(FG)이 형성되는 제3지지부재(SP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재(SP3)는 상기 제2지지부재(SP2)의 상기 제1부위(E1) 및 제2부위(E2)와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홈(FG)이 형성되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또는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은 내측에 고정홈(FG)이 형성되는 제3지지부재(SP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FM)은, 상기 제3지지부재(SP3)와 결합되는 고정부(FP), 상기 고정부(FP)와 체결되되 고정부(FP)로부터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이동부(MP) 및 상기 고정부(FP)와 이동부(MP)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부(FP)와 이동부(MP)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MP)는, 상기 제3지지부재(SP3)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FP)와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접할 수 있는 손잡이부(HP) 및 상기 손잡이부(HP)와 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고정홈(FG)의 내측에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진입가능한 핀부(P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재(SP3)에는 상기 고정홈(FG)의 내측과 제3지지부재(SP3)의 외측을 연통시키고 상기 핀부(PP)가 관통배치되는 제1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FG)에 삽입된 상기 제1지지부재(SP1)에는 상기 핀부(PP)의 단부가 진입가능한 제2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외력을 가해서 상기 이동부(MP)를 상기 고정부(FP)로부터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상기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키면 상기 핀부(PP)의 단부가 상기 고정홈(FG) 및 제2홀(H2)의 내측으로부터 퇴피될 수 있다.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제1탄성부재가 가하는 힘에 의해서 상기 이동부(MP)가 상기 고정부(FP)를 향해서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핀부(PP)의 단부가 상기 고정홈(FG) 및 제2홀(H2)의 내측으로 진입되고 이에 따라 고정홈(FG)에 삽입된 제1지지부재(SP1)의 내측에 제2삽입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FP)에 가이드홈(GG)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MP)에 가이드돌기(GP)가 형성되거나, 상기 고정부(FP)에 가이드돌기(GP)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MP)에 가이드홈(G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GP) 또는 가이드홈(GG)은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돌출 또는 요입되거나 제2삽입방향을 따라 돌출 또는 요입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MP)는 상기 가이드돌기(GP)가 상기 가이드홈(GG)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동부(MP)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돌기(GP)는 상기 손잡이부(HP) 또는 고정부(FP)의 상기 제2삽입방향의 단부로부터 상기 가이드홈(GG)이 형성된 상기 고정부(FP) 또는 손잡이부(HP)를 향해서 제2삽입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GG)은 상기 고정부(FP) 또는 손잡이부(HP)의 상기 제2삽입방향의 단부로부터 가이드돌기(GP)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요입될 수 있다.
외력을 가해서 상기 손잡이부(HP)를 상기 고정부(FP)로부터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상기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키면 상기 가이드돌기(GP)가 상기 가이드홈(GG)을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GP)가 상기 가이드홈(GG)을 빠져나온 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방향을 회전축으로 해서 상기 손잡이부(HP)를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면 가이드돌기(GP)의 제2삽입방향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홈(GG)이 형성된 상기 고정부(FP) 또는 손잡이부(HP)의 제2삽입방향의 단부와 제2삽입방향으로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핀부(PP)의 단부가 상기 고정홈(FG) 및 제2홀(H2)의 내측으로부터 퇴피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210);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제2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하는 카트리지(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안착부(220); 상기 안착부(220) 상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와 결합되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220)와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사이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캡(C)과 결합되는, 캡 홀더(6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를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1구동부(700); 상기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캡 홀더(600)와 결합된 캡(C)을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2구동부(800); 및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제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부(M)를 포함하는 핵산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안착부(220)는, 상기 카트리지(20)가 안착되는 안착지지부(221) 및 상기 안착지지부(221)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안착지지부(221)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고정하는 제1래치(222a)와 제2래치(222b)를 포함한다.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래치(222a) 및 제2래치(222b)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래치(222a)가 상기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래치(222b)가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타측에 설치되거나,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래치(222a)가 상기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래치(222b)가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래치(222a) 및 제2래치(222b)는 각각, 상기 안착지지부(221)에 결합되는 래치몸체(2222), 상기 안착지지부(221)와 래치몸체(2222) 사이에 배치되고 래치몸체(2222)에 제2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머리(2224) 및 상기 래치몸체(2222)와 래치머리(2224) 사이에 배치되고 래치머리(2224)가 상기 안착지지부(221) 쪽으로 회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22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머리(2224)는, 상기 안착지지부(221) 쪽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2225) 및 경사부(2225)의 하부 끝단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22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0)는, 상기 경사부(2225)를 따라 아래로 이동해서 상기 안착지지부(221)에 안착되고 상기 단차부(2226)에 결속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210);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하는 카트리지(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안착부(220); 상기 안착부(220) 상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와 결합되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220)와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사이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캡(C)과 결합되는, 캡 홀더(6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를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1구동부(700); 상기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캡 홀더(600)와 결합된 캡(C)을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2구동부(8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부(M);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 또는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R) 또는 캡(C)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 개 이상의 확인센서(CS); 및 상기 확인센서(CS)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서 핵산추출 과정을 진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 및 수평구동부(M)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핵산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의 가장자리에는 안착부(220)의 내측으로 요입되고 적어도 상방으로 개방되는 가장자리홈(E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0)가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경우에 카트리지(20)의 가장자리가 상기 가장자리홈(EG)의 상단을 가로막을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0)에 광을 조사하는 각각의 상기 확인센서(CS)는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의 상기 가장자리홈(EG)에 상방으로 광을 조사하고 가장자리홈(EG) 상단의 상기 카트리지(20)의 가장자리에 반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장자리홈(EG)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광통과홀(LP)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광통과홀(LP)은 각각의 상기 가장자리홈(EG)과 상하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광통과홀(LP)의 아래에 상기 카트리지(20)에 광을 조사하는 각각의 상기 확인센서(CS)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핵산추출장치(10)가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21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하는 카트리지(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안착부(220)를 포함하는, 랙(200); 상기 안착부(220) 상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와 결합되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220)와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사이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캡(C)과 결합되는, 캡 홀더(6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를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1구동부(700); 상기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캡 홀더(600)와 결합된 캡(C)을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2구동부(800); 및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랙(200)에 대해서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부(M)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개수의 안착부(220)를 구비하는 핵산추출장치에 있어서 안착부(220)가 제1방향 및 제2방향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나란히 배열된 경우보다 안착부(220)가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경우에 안착부(220)의 밀집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핵산추출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낭비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가 소형화, 경량화될 수 있다. 또한, 핵산추출 과정에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캡 홀더(600)가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전체 거리 및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구동부(M)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랙(200)에 대해서 제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900) 및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랙(200)에 대해서 제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제4구동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900)는 상기 랙(20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4구동부(1000)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캡 홀더(60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분리되고 각 구동부가 이동시키는 대상이 서로 다르므로 서로 교차하는 제1/제2 방향으로의 이동 구현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제1/제2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랙(20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캡 홀더(600),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 및 수평구동부(M)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300); 및 상기 하우징(1300) 및 랙(200)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되고 하우징(1300)을 개폐하는 도어(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구동부(M)는 상기 랙(20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안착부(220) 중에서 제1방향의 타측에 형성되는 안착부(220)에는 히터(224)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224)의 배선(WR. 도 12) 및 랙(200)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히터(224)가 하우징(1300) 안쪽에 배치되므로 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C)이 상기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된 상태에서, 좌우 회동에 따라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와 상기 캡 홀더(600)에 결합된 상기 캡(C)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되거나 상기 공간을 벗어나는 차단판(1100); 및 상기 차단판(1100)을 회동시키는 제5구동부(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소한의 부품으로 간단하게 차단판(1100)을 구현할 수 있다. 이처럼 간단하게 구성할 경우에 차단판(1100) 회전을 위해서 제1방향으로의 회전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랙(200)에 대해서 제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1방향으로 미리 확보된 공간을 차단판(1100) 회전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차단판(1100) 회전을 위해서 추가로 요구되는 공간은 없거나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5구동부(1200)는, 상기 공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5모터(1210) 및 상기 제5모터(1210)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1100)은 상기 회전축(12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판(1100)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제1방향의 여유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구동부(M)는, 상기 랙(20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900)가 상기 랙(200)의 제2방향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5구동부(1200)가 상기 캡 홀더(60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의 제2방향의 일측에 배치되거나, 제3구동부(900)가 랙(200)의 제2방향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5구동부(1200)가 캡 홀더(60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의 제2방향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판(1100)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제2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 공간을 낭비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핵산추출장치(10)가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210);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하는 카트리지(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안착부(220); 상기 안착부(220) 상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로드 모듈(50)과 결합되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220)와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사이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캡(C)을 포함하는 캡 모듈(60)과 결합되는, 캡 홀더(6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마그네틱 로드(R)를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 모듈(60)의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1구동부(700); 상기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 모듈(60)의 캡(C)을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2구동부(800); 및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키거나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 및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을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각각의 웰(W)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부(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은 각각 복수 종류를 가진다. 상기 복수 종류의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은 각각 상기 웰(W), 마그네틱 로드(R) 및 캡(C)의 개수, 간격 또는 크기가 종류 별로 서로 다르다. 상기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이 상기 안착부(22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캡 홀더(600)에 안착되거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동부(700) 및 제2구동부(800)가 구동하는 경우에 서로 간섭되지 않는 상기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의 종류의 조합이 복수 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핵산추출장치에 설치되는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의 종류의 조합을 바꾸기만 하면 핵산추출을 위한 웰(W), 마그네틱 로드(R) 또는 캡(C)의 개수, 간격 또는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동시에 처리되는 샘플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샘플 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한 개의 핵산추출장치로 용이하게 큰 처리량(throughput) 또는 높은 샘플 용량 추출의 니즈(needs)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으므로 핵산추출장치의 사용성(usability)이 증가하고 핵산추출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개 이상의 안착부(220)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안착부(220a)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10) 상에 설치되는 히터(224) 및 상기 히터(224) 상에 안착되고 히터(224)의 열을 전달하는 열전도어댑터(2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종류의 카트리지(20) 중에서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는 종류 별로 하부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열전도어댑터(226)는 2 이상의 종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열전도어댑터(226)의 상부는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의 하부의 형상과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224)와 카트리지(20) 사이에 카트리지(20)의 하부 형상과 대응하는 열전도어댑터(226)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에너지효율이 향상되고 핵산추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의 하부 형상에 따라 이와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는 열전도어댑터(226) 종류로 교체할 수 있다. 이에, 하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가 동일한 히터(224) 상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의 하부의 형상이 서로 다르더라도 히터(224)의 열이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에 모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는,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웰(W)의 하단부를 각각 규정하고 외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한 개 이상의 하단돌출부(2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는 상기 하단돌출부(22)의 개수, 소격 또는 크기가 서로 달라서 하부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열전도어댑터(226)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 각각의 상기 한 개 이상의 하단돌출부(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둘러싸는 한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열전도어댑터(226)의 상부는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의 하부의 형상과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224)와 카트리지(20) 사이에 설치되는 열전도어댑터(226)가 카트리지(20)에 구비되는 한 개 이상의 웰(W)의 하단부 각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이에, 열전달율이 커지므로 핵산추출장치의 에너지효율이 향상되고 핵산추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의 하단부 형상에 따라 이와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는 열전도어댑터(226) 종류로 교체할 수 있다. 이에, 하단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가 동일한 히터(224) 상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의 하단부의 형상이 서로 다르더라도 히터(224)의 열이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에 모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프레임(210), 안착부(22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캡 홀더(600),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 및 수평구동부(M)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300); 및 상기 하우징(1300) 및 베이스프레임(210)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되고 하우징(1300)을 개폐하는 도어(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224)의 상면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열전도어댑터(226)의 하면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각각 제1걸림돌기(B1) 및 제1걸림홈(G1)이 형성되거나 제1걸림홈(G1) 및 제1걸림돌기(B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돌기(B1)는 상기 제1걸림홈(G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홈(G1)의 제1방향의 폭은 상기 제1걸림돌기(B1)의 제1방향 폭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걸림돌기(B1) 및 제1걸림홈(G1)이 구비되므로 열전도어댑터(226)를 히터(224) 상의 올바른 위치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열전도어댑터(226)가 히터(224)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걸림돌기(B1)와 제1걸림홈(G1)이 히터(224)와 열전도어댑터(226) 중에서 도어(1400)와 가까운 위치(히터와 열전도어댑터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제1걸림홈(G1)의 제1방향 폭이 제1걸림돌기(B1)의 제1방향 폭보다 크므로, 제1걸림돌기(B1)가 제1걸림홈(G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걸림돌기(B1)에 간섭되지 않고 열전도어댑터(226)의 제1방향의 타측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다. 따라서, 열전도어댑터(226)를 하우징(1300) 외부로 용이하게 빼낼 수 있고 열전도어댑터(226)를 히터(224) 상의 올바른 위치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이에, 열전도어댑터(226)를 히터(224) 상의 올바른 위치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열전도어댑터(226)의 종류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가 제1지지부재(SP1)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에 고정홈(FG)이 형성되거나,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고정홈(FG)이 형성되고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제1지지부재(SP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SP1)는, 상기 고정홈(FG)에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삽입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삽입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상하방향으로 고정홈(FG)의 내측면과 인접하여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고정수단(FM)은 상기 고정홈(FG)이 형성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해서 고정홈(FG)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제2삽입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FM)이 상기 고정홈(FG)에 삽입된 상기 제1지지부재(SP1)의 내측에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지지부재(SP1)가 제1삽입방향으로 삽입되고 고정홈(FG)의 상하방향의 내측면에 간섭되므로, 핵산추출 과정에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진동하더라도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올바르게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핵산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FM)은, 제1지지부재(SP1)가 고정홈(FG)에 삽입되는 방향(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제2삽입방향으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내측에 삽입되므로, 핵산추출 과정에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이동하거나 진동하더라도 제1지지부재(SP1)가 고정홈(FG)을 빠져나가기 어렵고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올바르게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핵산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프레임(210), 안착부(22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캡 홀더(600),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 및 수평구동부(M)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300); 및 상기 하우징(1300) 및 베이스프레임(210)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되고 하우징(1300)을 개폐하는 도어(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방향은 제1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을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종류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부재(SP1)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FG)은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지지부재(SP1)가 제1삽입방향으로 돌출돼서 변형되기 쉬운 형상이더라도 제1지지부재(SP1)가 하우징(1300)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부재(SP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올바르게 결합될 수 있고 올바르게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핵산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지지부재(SP1)가 고강도의 무거운 재질로 구성되더라도 이로 인하여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무게가 증가하지 않는다. 이에, 제1지지부재(SP1)의 변형이 방지되면서 동시에 복수 종류의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보관 및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부재(SP1)는 상하방향 및 상기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홈(FG)의 내측면과 인접하여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FM)은 상기 고정홈(FG) 및 제1지지부재(SP1)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1지지부재(SP1) 중에서 상기 고정홈(FG)에 삽입된 부분의 중앙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핵산추출 과정에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상하방향 및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제2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진동하더라도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올바르게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핵산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작은 개수 및 크기의 고정수단(FM)으로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을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안정적으로 고정결합시킬 수 있고 고정수단(FM)을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가 소형화, 경량화될 수 있고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종류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부재(SP1)를 포함하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는 제1지지부재(SP1)의 상기 제1삽입방향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S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SP2)는 상하방향 및 상기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SP1)의 제1삽입방향의 상기 단부보다 일측에 위치하는 제1부위(E1) 및 타측에 위치하는 제2부위(E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FG)이 형성되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또는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은 내측에 고정홈(FG)이 형성되는 제3지지부재(SP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재(SP3)는 상기 제2지지부재(SP2)의 상기 제1부위(E1) 및 제2부위(E2)와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핵산추출 과정에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이동하거나 진동하더라도 제3지지부재(SP3)가 제2지지부재(SP2)에 접해서 지지되므로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올바르게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핵산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홈(FG)이 형성되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또는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은 내측에 고정홈(FG)이 형성되는 제3지지부재(SP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FM)은, 상기 제3지지부재(SP3)와 결합되는 고정부(FP), 상기 고정부(FP)와 체결되되 고정부(FP)로부터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이동부(MP) 및 상기 고정부(FP)와 이동부(MP)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부(FP)와 이동부(MP)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MP)는, 상기 제3지지부재(SP3)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FP)와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접할 수 있는 손잡이부(HP) 및 상기 손잡이부(HP)와 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고정홈(FG)의 내측에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진입가능한 핀부(P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재(SP3)에는 상기 고정홈(FG)의 내측과 제3지지부재(SP3)의 외측을 연통시키고 상기 핀부(PP)가 관통배치되는 제1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FG)에 삽입된 상기 제1지지부재(SP1)에는 상기 핀부(PP)의 단부가 진입가능한 제2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외력을 가해서 상기 이동부(MP)를 상기 고정부(FP)로부터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상기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키면 상기 핀부(PP)의 단부가 상기 고정홈(FG) 및 제2홀(H2)의 내측으로부터 퇴피될 수 있다.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제1탄성부재가 가하는 힘에 의해서 상기 이동부(MP)가 상기 고정부(FP)를 향해서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핀부(PP)의 단부가 상기 고정홈(FG) 및 제2홀(H2)의 내측으로 진입되고 이에 따라 고정홈(FG)에 삽입된 제1지지부재(SP1)의 내측에 제2삽입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수단(FM)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FM)의 조작이 용이하므로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종류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또한, 핀부(PP)의 단부가 제1지지부재(SP1)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탄성부재가 작용하므로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올바르게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핵산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FP)에 가이드홈(GG)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MP)에 가이드돌기(GP)가 형성되거나, 상기 고정부(FP)에 가이드돌기(GP)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MP)에 가이드홈(G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GP) 또는 가이드홈(GG)은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돌출 또는 요입되거나 제2삽입방향을 따라 돌출 또는 요입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MP)는 상기 가이드돌기(GP)가 상기 가이드홈(GG)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동부(MP)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MP)가 올바른 방향으로 이동해서 제1지지부재(SP1)의 제2홀(H2)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올바르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이동부(MP)가 잘못 이동해서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결합되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핵산추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핵산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MP)가 잘못 이동해서 고정수단(FM)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돌기(GP)는 상기 손잡이부(HP) 또는 고정부(FP)의 상기 제2삽입방향의 단부로부터 상기 가이드홈(GG)이 형성된 상기 고정부(FP) 또는 손잡이부(HP)를 향해서 제2삽입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GG)은 상기 고정부(FP) 또는 손잡이부(HP)의 상기 제2삽입방향의 단부로부터 가이드돌기(GP)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요입될 수 있다. 외력을 가해서 상기 손잡이부(HP)를 상기 고정부(FP)로부터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상기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키면 상기 가이드돌기(GP)가 상기 가이드홈(GG)을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GP)가 상기 가이드홈(GG)을 빠져나온 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방향을 회전축으로 해서 상기 손잡이부(HP)를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면 가이드돌기(GP)의 제2삽입방향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홈(GG)이 형성된 상기 고정부(FP) 또는 손잡이부(HP)의 제2삽입방향의 단부와 제2삽입방향으로 접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핀부(PP)의 단부가 상기 고정홈(FG) 및 제2홀(H2)의 내측으로부터 퇴피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수단(FM)에 가이드돌기(GP) 및 가이드홈(GG)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MP)에 외력을 계속 가하지 않아도 핀부(PP)의 단부가 고정홈(FG) 및 제2홀(H2)의 내측으로부터 퇴피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복수 종류의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핵산추출장치(10)는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210);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제2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하는 카트리지(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안착부(220); 상기 안착부(220) 상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와 결합되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220)와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사이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캡(C)과 결합되는, 캡 홀더(6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를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1구동부(700); 상기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캡 홀더(600)와 결합된 캡(C)을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2구동부(800); 및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제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부(M)를 포함하는 핵산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안착부(220)는, 상기 카트리지(20)가 안착되는 안착지지부(221) 및 상기 안착지지부(221)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안착지지부(221)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고정하는 제1래치(222a)와 제2래치(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래치(222a) 및 제2래치(222b)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방향의 양측에 래치(222)가 설치된 복수 개의 안착부(220)가 제2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더라도 이웃하는 안착부(220)들 사이의 제2방향의 간격이 크게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핵산추출 과정에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캡 홀더(600)가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제2방향 거리 및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래치(222a) 및 제2래치(222b)가 카트리지(20)의 양측을 비대칭적으로 고정시키므로 카트리지(20)를 제1래치(222a) 및 제2래치(222b)에서 빼내기 용이하다. 이에,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래치(222a)가 상기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래치(222b)가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타측에 설치되거나,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래치(222a)가 상기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래치(222b)가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20)의 제1방향의 일측 및 타측이 모두 래치(222)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래치(222a) 및 제2래치(222b)는 각각, 상기 안착지지부(221)에 결합되는 래치몸체(2222), 상기 안착지지부(221)와 래치몸체(2222) 사이에 배치되고 래치몸체(2222)에 제2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머리(2224) 및 상기 래치몸체(2222)와 래치머리(2224) 사이에 배치되고 래치머리(2224)가 상기 안착지지부(221) 쪽으로 회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22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머리(2224)는, 상기 안착지지부(221) 쪽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2225) 및 경사부(2225)의 하부 끝단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22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0)는, 상기 경사부(2225)를 따라 아래로 이동해서 상기 안착지지부(221)에 안착되고 상기 단차부(2226)에 결속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래치(222)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핵산추출장치(10)가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210);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하는 카트리지(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안착부(220); 상기 안착부(220) 상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와 결합되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220)와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사이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캡(C)과 결합되는, 캡 홀더(6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를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1구동부(700); 상기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캡 홀더(600)와 결합된 캡(C)을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2구동부(8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부(M);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 또는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R) 또는 캡(C)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 개 이상의 확인센서(CS); 및 상기 확인센서(CS)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서 핵산추출 과정을 진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 및 수평구동부(M)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수로 안착부(220)에 카트리지(20)를 설치하지 않거나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마그네틱 로드(R)를 결합시키지 않거나 캡 홀더(600)에 캡(C)을 결합시키지 않은 경우에 핵산추출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막거나 핵산추출 과정을 중단할 수 있다. 이에, 실수를 방지하고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의 가장자리에는 안착부(220)의 내측으로 요입되고 적어도 상방으로 개방되는 가장자리홈(E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0)가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경우에 카트리지(20)의 가장자리가 상기 가장자리홈(EG)의 상단을 가로막을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0)에 광을 조사하는 각각의 상기 확인센서(CS)는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의 상기 가장자리홈(EG)에 상방으로 광을 조사하고 가장자리홈(EG) 상단의 상기 카트리지(20)의 가장자리에 반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인센서(CS)에서 조사되고 카트리지(20)에서 반사되는 광의 이동거리가 작아지므로 광 손실이 작고, 카트리지(20) 아래쪽의 가장자리홈(EG)의 내측의 광을 감지하므로 주변의 광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카트리지(20)의 설치여부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장자리홈(EG)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광통과홀(LP)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광통과홀(LP)은 각각의 상기 가장자리홈(EG)과 상하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광통과홀(LP)의 아래에 상기 카트리지(20)에 광을 조사하는 각각의 상기 확인센서(CS)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20)에 광을 조사하는 한 개 이상의 확인센서(CS)가 여유공간이 부족한 베이스프레임(210) 상에 배치되지 않고 여유공간이 충분한 베이스프레임(2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공간적 제약없이 확인센서(CS)를 설치할 수 있고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21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핵산추출장치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핵산추출 과정에서 베이스프레임(210) 또는 랙(200)이 예컨대 제1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확인센서(CS)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제조 및 유지관리가 용이해지고 제조 및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핵산추출장치에서 도어를 연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의 핵산추출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 및 도 4의 상태에서 카트리지, 마그네틱 로드 모듈 및 캡 모듈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7의 핵산추출장치에 도 3 및 도 4와 다른 종류의 카트리지, 마그네틱 로드 모듈 및 캡 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 내지 도 7과 다른 종류의 열전도어댑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 내지 도 7 및 도 9의 상태에서 열전도어댑터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3 및 도 4의 랙이 제1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에서 일부구성을 생략하고 랙을 베이스로부터 분리시킨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안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가 도 15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와 대응하는 열전도어댑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와 대응하는 열전도어댑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의 열전도어댑터의 하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도 21 및 도 22와 종류가 다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로드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로드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도 26 내지 도 28의 마그네틱 로드 모듈의 고정수단의 상태도이다.
도 32 및 도 33은 마그네틱 로드 모듈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4는 도 26과 종류가 다른 마그네틱 로드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6 및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8은 캡 모듈이 캡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9 및 도 40은 도 36 및 도 37과 종류가 다른 캡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와 관련된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와 관련된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구동부와 관련된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판 및 제5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5 내지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추출장치를 이용하여 마그네틱 비드를 옮기는 과정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gr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개시되는 핵산추출장치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핵산추출장치에서 도어를 연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의 핵산추출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 및 도 4의 상태에서 카트리지, 마그네틱 로드 모듈 및 캡 모듈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7의 핵산추출장치에 도 3 및 도 4와 다른 종류의 카트리지, 마그네틱 로드 모듈 및 캡 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 내지 도 7과 다른 종류의 열전도어댑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 내지 도 7 및 도 9의 상태에서 열전도어댑터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추출장치(10)는 베이스(100), 랙(200), 기초프레임(FF), 메인프레임(30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캡 홀더(600),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 수평구동부(M), 차단판(1100), 제5구동부(1200), 하우징(1300), 도어(1400), 디스플레이부(1500) 및 입력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 중에서 일부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수평구동부(M)는 제3구동부(900) 및 제4구동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핵산추출장치(10)는 제어부(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핵산추출장치(10)는 한 개 이상의 확인센서(C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베이스(100)는 판 형상일 수 있고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은 베이스(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베이스(100) 상에는 랙(200) 및 기초프레임(FF)이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00)에는 한 개 이상의 제3가이드레일(GR3)가 설치될 수 있다(도 13). 또한, 베이스(100)에는 한 개 이상의 확인센서(CS)가 설치될 수 있다(도 13).
[랙]
도 11 및 도 12는 도 3 및 도 4의 랙이 제1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에서 일부구성을 생략하고 랙을 베이스로부터 분리시킨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안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가 도 15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와 대응하는 열전도어댑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와 대응하는 열전도어댑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의 열전도어댑터의 하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랙(200)은 베이스(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랙(200)은 베이스(100) 상에 제1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랙(200)은 수평구동부(M)의 제3구동부(900)에 의해서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후술한다.
도 14를 더 참조하면, 랙(200)은 베이스프레임(210) 및 한 개 이상의 안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210)은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예컨대,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예컨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안착부]
한 개 이상의 안착부(220)는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안착부(220)에는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하는 카트리지(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220)가 복수 개인 경우에, 복수 개의 안착부(220)는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제1방향 및/또는 제2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안착부(220)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안착부(220a)는, 히터(224) 및 열전도어댑터(2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안착부(220)는 제1안착부(220a) 및 제2안착부(220b)의 두 종류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안착부(220b)를 먼저 살펴본다.
도 15를 더 참조하면, 제2안착부(220b)는 안착지지부(221) 및 제1래치(222a)와 제2래치(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지지부(221)는 베이스프레임(2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안착지지부(221)는 안착부(220)의 외괸을 이룰 수 있다. 안착지지부(221)에 카트리지(20)가 안착될 수 있다.
제1래치(222a)와 제2래치(222b)는 안착지지부(221)의 제2방향의 일측(예컨대, 좌측) 및 타측(예컨대, 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래치(222a)와 제2래치(222b)는 안착지지부(221)에 안착된 카트리지(20)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고정할 수 있다.
이 때에, 제1방향으로, 제1래치(222a) 및 제2래치(222b)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제2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안착부(220)에 있어서 제2방향의 일측의 안착부(220)의 제2래치(222b)와 제2방향의 타측의 안착부(220)의 제1래치(222b)가 제1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고 제2방향으로 중첩되어서 설치될 수 있다.
19항//이에 따라, 제2방향의 양측에 래치(222)가 설치된 복수 개의 안착부(220)가 제2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더라도 이웃하는 안착부(220)들 사이의 제2방향의 간격이 크게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핵산추출 과정에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캡 홀더(600)가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제2방향 거리 및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래치(222a) 및 제2래치(222b)가 카트리지(20)의 양측을 비대칭적으로 고정시키므로 카트리지(20)를 제1래치(222a) 및 제2래치(222b)에서 빼내기 용이하다. 이에,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방향으로, 제1래치(222a)가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일측(예컨대, 전측)에 설치되고 제2래치(222b)가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타측(예컨대, 후측)에 설치되거나, 제1방향으로, 제1래치(222a)가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타측에 설치되고 제2래치(222b)가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20항//이에 따라, 카트리지(20)의 제1방향의 일측 및 타측이 모두 래치(222)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더 참조하면, 제1래치(222a) 및 제2래치(222b)는 각각, 래치몸체(2222), 래치머리(2224) 및 제2탄성부재(2228)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몸체(2222)는 안착지지부(221)에 결합될 수 있다.
래치머리(2224)는 안착지지부(221)와 래치몸체(22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래치머리(2224)는 래치몸체(2222)에 제2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래치몸체(2222)에 마련된 회전축(2227)에 래치머리(2224)가 결합될 수 있다.
래치머리(2224)는 경사부(2225) 및 단차부(2226)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2225)는 안착지지부(221) 쪽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단차부(2226)는 경사부(2225)의 하부 끝단에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2228)는 래치몸체(2222)와 래치머리(22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2228)는 래치머리(2224)가 안착지지부(221) 쪽으로 회동하도록 힘을 가할 수 있다.
카트리지(20)는 경사부(2225)를 따라 아래로 이동해서 안착지지부(221)에 안착되고 단차부(2226)에 결속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20)의 가장자리 하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돌출된 부분이 래치머리(2224)의 단차부(2226)에 결속될 수 있다(도 17).
21항//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래치(22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안착부(220a)는 히터(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안착부(220a)는 안착지지부(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안착부(220a)는 제1래치(222a)와 제2래치(22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안착부(220a)는 열전도어댑터(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지지부(221) 및 제1래치(222a)와 제2래치(222b)는 제1안착부(220a)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히터(224)는 베이스프레임(2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터(224)는 베이스프레임(210) 상에 설치된 안착지지부(22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랙(200)이 수평구동부(M)에 의해서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도어(1400, 도 1 및 도 2)가 제1방향의 일측(예컨대, 전측)에 형성되는 경우에, 복수 개의 안착부(220) 중에서 제1방향의 타측에 형성되는 안착부(220)에는 히터(22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방향의 타측의 안착부(220)가 제1안착부(220a)일 수 있다.
3항//이에 따라, 히터(224)의 배선(WR. 도 12) 및 랙(200)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히터(224)가 하우징(1300) 안쪽에 배치되므로 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히터(224)가 설치된 제1안착부(220a) 각각에는 온도 센서(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고, 제1안착부(220a) 별로 개별적으로 온도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핵산을 추출하기 위해서 예컨대, 제1라이시스 단계, 제2라이시스 단계, 제1세정 단계, 제2세정 단계, 제3세정 단계 및 일루션 단계의 6 개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카트리지(20)에 구비된 모든 웰(W)에서는 동일한 핵산추출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므로 6 개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 6개의 카트리지(20)가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도면과 같이 랙(200)에는 총 6개의 안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6개의 단계 중에서 가열이 필요한 단계는 제1라이시스 단계, 제2라이시스 단계 및 일루션 단계일 수 있다. 가열이 필요한 3개 단계가 수행되는 3개의 카트리지(20)는 3개의 제1안착부(220a)에 안착될 수 있다. 3 개의 제1안착부(220a)는 가까이에 모여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가열 시 열을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열전도어댑터]
열전도어댑터(226)는 히터(224) 상에 안착될 수 있다(도 5 내지 도 7, 도 9). 열전도어댑터(226)는 히터(224)의 열을 카트리지(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열전도어댑터(226)는 2 이상의 종류를 가질 수 있다. 2 이상의 종류의 열전도어댑터(226)의 상부는 종류 별로 하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의 하부의 형상과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도 18, 19, 22, 24).
8항//이에 따라, 히터(224)와 카트리지(20) 사이에 카트리지(20)의 하부 형상과 대응하는 열전도어댑터(226)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에너지효율이 향상되고 핵산추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의 하부 형상에 따라 이와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는 열전도어댑터(226) 종류로 교체할 수 있다. 이에, 하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가 동일한 히터(224) 상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의 하부의 형상이 서로 다르더라도 히터(224)의 열이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에 모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열전도어댑터(226) 각각의 상부에는 하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 각각의 한 개 이상의 하단돌출부(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둘러싸는 한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도 18, 19, 22, 24). 여기에서, 하단돌출부(22)는 후술한다.
이에,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열전도어댑터(226)의 상부는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의 하부의 형상과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9항//이에 따라, 히터(224)와 카트리지(20) 사이에 설치되는 열전도어댑터(226)가 카트리지(20)에 구비되는 한 개 이상의 웰(W)의 하단부 각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이에, 열전달율이 커지므로 핵산추출장치의 에너지효율이 향상되고 핵산추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의 하단부 형상에 따라 이와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는 열전도어댑터(226) 종류로 교체할 수 있다. 이에, 하단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가 동일한 히터(224) 상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의 하단부의 형상이 서로 다르더라도 히터(224)의 열이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에 모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히터(224)의 상면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열전도어댑터(226)의 하면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각각 제1걸림돌기(B1) 및 제1걸림홈(G1)이 형성되거나 제1걸림홈(G1) 및 제1걸림돌기(B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도 20을 참조하면, 열전도어댑터(226)의 하면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제1걸림홈(G1)이 형성될 수 있다. 히터(224)의 상면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제1걸림돌기(B1)가 형성될 수 있다(도 13, 도 14).
제1걸림돌기(B1)는 제1걸림홈(G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걸림홈(G1)의 제1방향의 폭은 제1걸림돌기(B1)의 제1방향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걸림홈(G1)이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일 수 있다(도 20).
이 때에, 도어(1400)가 하우징(1300) 및 베이스프레임(210)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도 1, 도 2).
10항//이에 따라, 제1걸림돌기(B1) 및 제1걸림홈(G1)이 구비되므로 열전도어댑터(226)를 히터(224) 상의 올바른 위치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열전도어댑터(226)가 히터(224)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걸림돌기(B1)와 제1걸림홈(G1)이 히터(224)와 열전도어댑터(226) 중에서 도어(1400)와 가까운 위치(히터와 열전도어댑터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제1걸림홈(G1)의 제1방향 폭이 제1걸림돌기(B1)의 제1방향 폭보다 크므로, 제1걸림돌기(B1)가 제1걸림홈(G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걸림돌기(B1)에 간섭되지 않고 열전도어댑터(226)의 제1방향의 타측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다. 따라서, 열전도어댑터(226)를 하우징(1300) 외부로 용이하게 빼낼 수 있고 열전도어댑터(226)를 히터(224) 상의 올바른 위치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이에, 열전도어댑터(226)를 히터(224) 상의 올바른 위치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열전도어댑터(226)의 종류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한편, 히터(224)의 상면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 및 열전도어댑터(226)의 하면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에는 각각 제2걸림돌기(B2) 및 제2걸림홈(G2)이 형성되거나 제2걸림홈(G2) 및 제2걸림돌기(B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전도어댑터(226)의 하면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에 제2걸림홈(G2)이 형성되고 히터(224)의 상면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에 제2걸림돌기(B2)가 형성될 수 있다(도 20, 도 13, 도 14).
제2걸림돌기(B2)는 제2걸림홈(G2)에 삽입될 수 있다. 제2걸림홈(G2)의 제1방향의 폭은 제2걸림돌기(B2)의 제1방향 폭과 대응할 수 있다. 즉, 제2걸림홈(G2)의 제1방향의 폭이 제2걸림돌기(B2)의 제1방향 폭보다 클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어(1400)가 하우징(1300) 및 베이스프레임(210)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된 경우에는, 제2걸림돌기(B2)가 제2걸림홈(G2)에 삽입된 상태에서 열전도어댑터(226)의 제1방향의 일측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는 불편한 동작을 취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카트리지]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도 21 및 도 22와 종류가 다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카트리지(20)는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할 수 있다. 웰(W)에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에는 예를 들면, 시료(sample), 마그네틱 비드(magnetic bead),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 세정 버퍼(wash buffer), 일루션 버퍼(elution buffer) 등이 수용될 수 있다.
각 웰(W)에서는 핵산추출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카트리지(20)에 구비된 모든 웰(W)에서는 동일한 핵산추출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카트리지(20)는 복수 종류를 가질 수 있다. 복수 종류의 카트리지(20)는 웰(W)의 개수, 간격 또는 크기가 종류 별로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20)는 24개의 웰(W)을 구비하는 제1종류(도 21, 도 22)와 96개의 웰(W)을 구비하는 제2종류(도 23, 도 24)를 가질 수 있다.
제1종류와 제2종류의 카트리지(20)는 도면과 같이 웰(W)의 개수 뿐만 아니라 개별 웰(W)의 크기(용량)도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1종류의 카트리지(20)를 사용하면 샘플 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2종류의 카트리지(20)를 사용하면 동시에 처리되는 샘플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복수 종류의 카트리지(20)는 모두 안착부(220)에 안착될 수 있다(도 1, 도 8). 즉,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카트리지(20)로 교체할 수 있다.
복수 종류의 카트리지(20) 중에서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는 종류 별로 하부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도 22, 도 24).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는,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어서 한 개 이상의 웰(W)의 하단부를 각각 규정하고 외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한 개 이상의 하단돌출부(2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도 22, 도 24). 이에,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는 하단돌출부(22)의 개수, 간격 또는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기초프레임]
기초프레임(FF)은 베이스(100) 상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기초프레임(FF)은 예를 들면 판 형상일 수 있다(도 3 내지 도 12).
기초프레임(FF)에는 한 개 이상의 제4가이드부(GR4)가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제4가이드부(GR4)는 가이드레일일 수 있다.
제4가이드부(GR4)는 제2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가이드부(GR4)는 메인프레임(300)이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
메인프레임(300)은 제4구동부(1000)와 연결될 수 있고 제4가이드부(GR4)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도 3 내지 도 6, 도 8 내지 도 12). 메인프레임(300)은 제4구동부(1000)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메인프레임(300)의 일측(예컨대, 정면 우측)은 차단판(1100) 및 제5구동부(1200)와 결합될 수 있다(도 7 내지 도 10).
메인프레임(300)에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캡 홀더(600),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가 설치될 수 있다.
[마그네틱 로드 홀더, 마그네틱 로드 모듈]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로드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로드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도 26 내지 도 28의 마그네틱 로드 모듈의 고정수단의 상태도이다. 도 32 및 도 33은 마그네틱 로드 모듈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4는 도 26과 종류가 다른 마그네틱 로드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는 안착부(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는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는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로드 모듈(50)과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가 제1지지부재(SP1)를 포함하고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에 고정홈(FG)이 형성되거나,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고정홈(FG)이 형성되고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제1지지부재(SP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가 제1지지부재(SP1)를 포함하고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에 고정홈(FG)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SP1)는, 고정홈(FG)에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삽입방향(예컨대, 제1방향)으로 삽입되고 제1삽입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제2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상하방향으로 고정홈(FG)의 내측면과 인접하여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도 33).
고정수단(FM)은 상기 고정홈(FG)이 형성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해서 고정홈(FG)의 내측에 삽입되되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제2삽입방향(예컨대, 상하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고정수단(FM)이 고정홈(FG)에 삽입된 제1지지부재(SP1)의 내측에 제2삽입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11항//이에 따라, 제1지지부재(SP1)가 제1삽입방향으로 삽입되고 고정홈(FG)의 상하방향의 내측면에 간섭되므로, 핵산추출 과정에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진동하더라도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올바르게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핵산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FM)은, 제1지지부재(SP1)가 고정홈(FG)에 삽입되는 방향(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제2삽입방향으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내측에 삽입되므로, 핵산추출 과정에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이동하거나 진동하더라도 제1지지부재(SP1)가 고정홈(FG)을 빠져나가기 어렵고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올바르게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핵산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어(1400)가 하우징(1300) 및 베이스프레임(210)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우에, 제1삽입방향은 제1방향일 수 있다.
12항//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을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종류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제1지지부재(SP1)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포함되고, 고정홈(FG)은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에 형성될 수 있다.
13항//이에 따라, 제1지지부재(SP1)가 제1삽입방향으로 돌출돼서 변형되기 쉬운 형상이더라도 제1지지부재(SP1)가 하우징(1300)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부재(SP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올바르게 결합될 수 있고 올바르게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핵산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지지부재(SP1)가 고강도의 무거운 재질로 구성되더라도 이로 인하여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무게가 증가하지 않는다. 이에, 제1지지부재(SP1)의 변형이 방지되면서 동시에 복수 종류의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보관 및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SP1)는 상하방향 및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제2방향)으로 고정홈(FG)의 내측면과 인접하여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도 33).
고정수단(FM)은 고정홈(FG) 및 제1지지부재(SP1)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되 제1지지부재(SP1) 중에서 고정홈(FG)에 삽입된 부분의 중앙부에 삽입될 수 있다(도 32).
14항//이에 따라, 핵산추출 과정에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상하방향 및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제2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진동하더라도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올바르게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핵산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작은 개수 및 크기의 고정수단(FM)으로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을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안정적으로 고정결합시킬 수 있고 고정수단(FM)을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가 소형화, 경량화될 수 있고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종류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제1지지부재(SP1)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는 제1지지부재(SP1)의 제1삽입방향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S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재(SP2)는 상하방향 및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제2방향)으로 제1지지부재(SP1)의 제1삽입방향의 상기 단부보다 일측에 위치하는 제1부위(E1) 및 타측에 위치하는 제2부위(E2)를 포함할 수 있다(도 25).
고정홈(FG)이 형성되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또는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은 내측에 고정홈(FG)이 형성되는 제3지지부재(S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지지부재(SP3)는 제2지지부재(SP2)의 제1부위(E1) 및 제2부위(E2)와 접할 수 있다(도 32).
15항//이에 따라, 핵산추출 과정에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이동하거나 진동하더라도 제3지지부재(SP3)가 제2지지부재(SP2)에 접해서 지지되므로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올바르게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핵산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3을 더 참조하면, 고정수단(FM)은 고정부(FP), 이동부(MP) 및 제1탄성부재(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FP)는 제3지지부재(SP3)와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MP)는 고정부(FP)와 체결되되 고정부(FP)로부터 제2삽입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동부(MP)는 손잡이부(HP) 및 핀부(PP)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HP)는 제3지지부재(SP3)의 외측에 배치되고 고정부(FP)와 제2삽입방향(예컨대, 상하방향)으로 접할 수 있다.
핀부(PP)는 손잡이부(HP)와 결합되고 단부가 고정홈(FG)의 내측에 제2삽입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는 고정부(FP)와 이동부(MP)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부(FP)와 이동부(MP)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제3지지부재(SP3)에는 고정홈(FG)의 내측과 제3지지부재(SP3)의 외측을 연통시키고 핀부(PP)가 관통배치되는 제1홀(H1, 도 27)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FG)에 삽입된 제1지지부재(SP1)에는 핀부(PP)의 단부가 진입가능한 제2홀(H2, 도 25)이 형성될 수 있다.
외력을 가해서 이동부(MP)를 고정부(FP)로부터 제2삽입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키면 핀부(PP)의 단부가 고정홈(FG) 및 제2홀(H2)의 내측으로부터 퇴피될 수 있다(도 30).
외력을 제거하면, 제1탄성부재가 가하는 힘에 의해서 이동부(MP)가 고정부(FP)를 향해서 제2삽입방향으로 이동하고, 핀부(PP)의 단부가 고정홈(FG) 및 제2홀(H2)의 내측으로 진입되고 이에 따라 고정홈(FG)에 삽입된 제1지지부재(SP1)의 내측에 제2삽입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도 28, 도 32, 도 33).
16항//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수단(FM)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FM)의 조작이 용이하므로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종류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또한, 핀부(PP)의 단부가 제1지지부재(SP1)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탄성부재가 작용하므로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올바르게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핵산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고정부(FP)에 가이드홈(GG)이 형성되고 이동부(MP)에 가이드돌기(GP)가 형성되거나, 고정부(FP)에 가이드돌기(GP)가 형성되고 이동부(MP)에 가이드홈(GG)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GP) 또는 가이드홈(GG)은 제2삽입방향으로 돌출 또는 요입되거나 제2삽입방향을 따라 돌출 또는 요입될 수 있다. 이동부(MP)는 가이드돌기(GP)가 가이드홈(GG)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동부(MP)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17항//이동부(MP)가 올바른 방향으로 이동해서 제1지지부재(SP1)의 제2홀(H2)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올바르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이동부(MP)가 잘못 이동해서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결합되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핵산추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핵산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MP)가 잘못 이동해서 고정수단(FM)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GP)는 손잡이부(HP) 또는 고정부(FP)의 제2삽입방향의 단부로부터 가이드홈(GG)이 형성된 고정부(FP) 또는 손잡이부(HP)를 향해서 제2삽입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GG)은 고정부(FP) 또는 손잡이부(HP)의 제2삽입방향의 단부로부터 가이드돌기(GP)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요입될 수 있다.
외력을 가해서 손잡이부(HP)를 고정부(FP)로부터 제2삽입방향으로 상기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키면 가이드돌기(GP)가 가이드홈(GG)을 빠져나올 수 있다.
가이드돌기(GP)가 가이드홈(GG)을 빠져나온 상태에서 제2삽입방향을 회전축으로 해서 손잡이부(HP)를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면 가이드돌기(GP)의 제2삽입방향의 단부가 가이드홈(GG)이 형성된 고정부(FP) 또는 손잡이부(HP)의 제2삽입방향의 단부와 제2삽입방향으로 접할 수 있다(도 31).
이에 핀부(PP)의 단부가 고정홈(FG) 및 제2홀(H2)의 내측으로부터 퇴피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18항//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수단(FM)에 가이드돌기(GP) 및 가이드홈(GG)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MP)에 외력을 계속 가하지 않아도 핀부(PP)의 단부가 고정홈(FG) 및 제2홀(H2)의 내측으로부터 퇴피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복수 종류의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은 복수 종류를 가질 수 있다. 복수 종류의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은 마그네틱 로드(R)의 개수, 간격 또는 크기가 종류 별로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은 24개의 마그네틱 로드(R)를 구비하는 제1종류(도 26)와 96개의 마그네틱 로드(R)를 구비하는 제2종류(도 34)를 가질 수 있다.
제1종류와 제2종류의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은 도면과 같이 마그네틱 로드(R)의 개수 뿐만 아니라 마그네틱 로드(R)의 간격 및 크기도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1종류의 마그네틱 로드 모듈(50)를 사용하면 샘플 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2종류의 마그네틱 로드 모듈(50)를 사용하면 동시에 처리되는 샘플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복수 종류의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은 모두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마그네틱 로드 모듈(50)로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마그네틱 로드(R)는 후술하는 캡 홀더(600)에 결합된 캡(C)의 내부로 진입되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될 수 있다.
마그네틱 로드(R)가 캡(C)의 내부로 진입하면 웰(W)에 수용된 마그네틱 비드가 캡(C)에 달라붙을 수 있고, 마그네틱 로드(R)가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하면 캡(C)에 달라붙은 마그네틱 비드가 캡(C)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마그네틱 로드(R)는 웰(W)에 수용된 마그네틱 비드를 다른 웰(W) 또는 다른 카트리지(20)로 옮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틱 로드(R)를 사용하여 마그네틱 비드를 다른 카트리지의 웰(W)로 옮기면서 핵산추출 단계가 순서대로 수행될 수 있다.
[캡 홀더, 캡 모듈]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6 및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8은 캡 모듈이 캡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9 및 도 40은 도 36 및 도 37과 종류가 다른 캡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캡 홀더(600)는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부(220)와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5 내지 도 38을 참조하면, 캡 홀더(600)는 한 개 이상의 캡(C)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캡 홀더(600)는 한 개 이상의 캡(C)을 포함하는 캡 모듈(60)과 결합될 수 있다.
캡 홀더(600)는 관통공(610) 및 삽입홈(620)을 포함할 수 있다(도 35).
관통공(610)은 상하로 관통된 중공일 수 있고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610)은 캡 홀더(600)에 결합된 캡(C)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관통공(610)을 통해 마그네틱 로드(R)가 캡 홀더(600)에 결합된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퇴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관통공(610)을 통해 마그네틱 로드(R)가 캡 홀더(600)에 삽입된 캡 모듈(60)의 캡(C) 내부로 진입되거나 퇴피될 수 있다.
삽입홈(620)은 예를 들면 제1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방향의 일단(예컨대, 전단)이 개방된 중공일 수 있다. 삽입홈(620)은 관통공(610)과 연통될 수 있고 삽입홈(620)의 적어도 일부분은 관통공(610)과 중첩될 수 있다. 삽입홈(620)을 통해서 캡 모듈(60)이 캡 홀더(600)에 삽입설치될 수 있다.
고정장치(L)는 삽입홈(620)이 형성된 캡 홀더(600)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고정장치(L)는 삽입홈(620)이 형성된 캡 홀더(600)의 전방 단부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장치(L)는 삽입홈(620)을 닫아서 삽입홈(620)에 캡 모듈(6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반면에, 고정장치(L)를 고정 해제하여 삽입홈(620)이 개방되면 삽입홈(620)에 삽입된 캡 모듈(60)을 빼낼 수 있고 삽입홈(620)에 캡 모듈(60)을 삽입할 수 있다.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면, 캡 모듈(60)은 복수 종류를 가질 수 있다. 복수 종류의 캡 모듈(60)은 캡(C)의 개수, 간격 또는 크기가 종류 별로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캡 모듈(60)은 24개의 캡(C)을 구비하는 제1종류(도 36, 37)와 96개의 캡(C)을 구비하는 제2종류(도 39, 도 40)를 가질 수 있다.
제1종류와 제2종류의 캡 모듈(60)은 도면과 같이 캡(C)의 개수 뿐만 아니라 캡(C)의 간격 및 크기도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1종류의 캡 모듈(60)을 사용하면 샘플 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2종류의 캡 모듈(60)을 사용하면 동시에 처리되는 샘플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복수 종류의 캡 모듈(60)은 모두 캡 홀더(6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캡 모듈(60)로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이 안착부(22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캡 홀더(600)에 안착되거나 결합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1구동부(700) 및 제2구동부(800)가 구동하는 경우에 서로 간섭되지 않는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의 종류의 조합이 복수 개일 수 있다.
여기에서 간섭되지 않는다는 것은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이 서로 손상되지 않고 핵산추출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웰(W)이 24개인 제1종류의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R)가 24개인 제1종류의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C)이 24개인 제1종류의 캡 모듈(60)로 구성되는 제1조합으로 핵산을 추출할 수 있고 웰(W)이 96개인 제2종류의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R)가 96개인 제2종류의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C)이 96개인 제2종류의 캡 모듈(60)로 구성되는 제2조합으로도 핵산을 추출할 수 있다.
7항//이에 따라, 핵산추출장치에 설치되는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의 종류의 조합을 바꾸기만 하면 핵산추출을 위한 웰(W), 마그네틱 로드(R) 또는 캡(C)의 개수, 간격 또는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동시에 처리되는 샘플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샘플 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한 개의 핵산추출장치로 용이하게 큰 처리량(throughput) 또는 높은 샘플 용량 추출의 니즈(needs)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으므로 핵산추출장치의 사용성(usability)이 증가하고 핵산추출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제2구동부]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와 관련된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제2구동부(800)는 메인프레임(3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800)는 캡 홀더(600) 및 제1구동부(700)와 연결될 수 있고 캡 홀더(600) 및 제1구동부(700)를 상하로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제2구동부(800)가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구동부(800)는 캡 홀더(600)에 결합된 캡(C)을 안착부(220)의 수용홈(210)에 안착된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구동부(800)는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캡 홀더(600)와 결합된 캡 모듈(60)의 캡(C)을 안착부(220)에 안착된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구동부(800)는 제2모터(810), 제2구동풀리(820a), 제2종동풀리(820b), 제2벨트(830), 제2볼스크류볼트(840), 제2볼스크류너트(850) 및 제2커플러(8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모터(810)는 메인프레임(3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모터(810)의 회전축은 제2구동풀리(820a)와 결합될 수 있다.
제2구동풀리(820a) 및 제2종동풀리(820b)는 메인프레임(300)에 설치될 수 있고, 제2벨트(83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벨트(830)는 풀리(820a, 820b)와 마주하는 일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모터(810)에 의해 제2구동풀리(820a)가 회전하면 제2벨트(830)에 의해 제2종동풀리(820b)가 회전할 수 있다.
제2볼스크류볼트(840)는 제2종동풀리(820b)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볼스크류너트(850)는 제2볼스크류볼트(84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고, 제2커플러(86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종동풀리(820b)가 회전하여 제2볼스크류볼트(840)가 회전하면 제2볼스크류너트(850)가 승강할 수 있다.
제2커플러(860)는 제2볼스크류너트(850), 캡 홀더(600) 및 제1모터(7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2커플러(860)는 캡 홀더(600) 및 제1모터(71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모터(710)가 상하로 이동하면 제1구동부(700) 전체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2커플러(860)는 제2가이드부(GR2)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커플러(860)는 제2가이드부(GR2)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드결합부(M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구동부]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와 관련된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2를 더 참조하면, 제1구동부(700)는 제2구동부(800)의 제2커플러(86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구동부(700)는 제2구동부(800)를 통해 메인프레임(30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구동부(700)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연결될 수 있고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제1구동부(700)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결합된 마그네틱 로드(R)를 캡 홀더(600)에 결합된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부(700)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마그네틱 로드(R)를 캡 홀더(600)와 결합된 캡 모듈(60)의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구동부(700)는 제1모터(710), 제1볼스크류볼트(720), 제1볼스크류너트(730) 및 제1커플러(7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모터(710)는 제2구동부(800)의 제2커플러(86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제2구동부(800)에 의해 제1모터(710)의 높이가 바뀔 수 있다.
제1모터(710)의 회전축은 제1볼스크류볼트(7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모터(710)에 의해 제1볼스크류볼트(720)가 회전하면 제1볼스크류너트(730)가 승강할 수 있다.
제1커플러(740)는 제1볼스크류너트(730) 및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1커플러(760)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커플러(740)는 제1가이드부(GR1)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커플러(740)는 제1가이드부(GR1)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드결합부(M1)와 결합될 수 있다.
[수평구동부]
수평구동부(M)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랙(200) 또는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수평구동부(M)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각각의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키거나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마그네틱 로드(R) 및 캡 홀더(600)와 결합된 캡(C)을 안착부(220)에 안착된 카트리지(20)의 각각의 웰(W)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착부(220)가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경우에는, 수평구동부(M)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랙(200) 또는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각각의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1항//이에 따라, 동일한 개수의 안착부(220)를 구비하는 핵산추출장치에 있어서 안착부(220)가 제1방향 및 제2방향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나란히 배열된 경우보다 안착부(220)가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경우에 안착부(220)의 밀집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핵산추출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낭비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장치가 소형화, 경량화될 수 있다. 또한, 핵산추출 과정에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캡 홀더(600)가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전체 거리 및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수평구동부(M)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랙(200)에 대해서 제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900) 및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랙(200)에 대해서 제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제4구동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구동부(900)는 랙(20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4구동부(1000)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캡 홀더(60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2항//이에 따라,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분리되고 각 구동부가 이동시키는 대상이 서로 다르므로 서로 교차하는 제1/제2 방향으로의 이동 구현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제1/제2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제3구동부(900) 및 제4구동부(1000)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3구동부]
도 13에서, 제3구동부(900)는 베이스(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3구동부(900)는 랙(20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제3구동부(900)는 캡 홀더(600)에 결합된 캡(C) 및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결합된 마그네틱 로드(R)를 제1방향의 다른 웰(W), 예컨대, 다른 카트리지(40)의 웰(W)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3구동부(900)는 제3모터(910), 제3볼스크류볼트(920) 및 제3볼스크류너트(9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모터(910)는 베이스(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3모터(910)의 회전축은 제3볼스크류볼트(9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3볼스크류볼트(920)가 회전하면 제3볼스크류너트(930) 및 제3볼스크류너트(930)와 결합된 랙(200)이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랙(200)은 베이스(100) 상에 설치된 제3가이드부(GR3)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랙(200)은 제3가이드부(GR3)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가이드결합부(M3)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랙(200)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4구동부]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구동부와 관련된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제4구동부(1000)는 기초프레임(FF)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4구동부(1000)는 메인프레임(300)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제4구동부(1000)는 메인프레임(300)에 설치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캡 홀더(60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4구동부(1000)는 캡 홀더(600)에 결합된 캡(C) 및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결합된 마그네틱 로드(R)를 제2방향의 다른 웰(W), 예컨대, 다른 카트리지(40)의 웰(W)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4구동부(1000)는 제4모터(1010), 제4볼스크류볼트(1020) 및 제4볼스크류너트(10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모터(1010)는 기초프레임(FF)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4모터(1010)의 회전축은 제4볼스크류볼트(10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4볼스크류볼트(1020)가 회전하면 제4볼스크류너트(1030) 및 제4볼스크류너트(1030)와 결합된 메인프레임(300)이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메인프레임(300)은 기초프레임(FF) 상에 설치된 제4가이드부(GR4)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메인프레임(300)은 두 개의 제4가이드부(GR4)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가이드결합부(M4)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메인프레임(300)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차단판, 제5구동부]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판 및 제5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4를 더 참조하면, 차단판(1100)은 캡(C)이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된 상태에서, 좌우 회동에 따라 안착부(220)에 안착된 카트리지(20)와 캡 홀더(600)에 결합된 캡(C)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되거나 상기 공간을 벗어날 수 있다(도 48, 도 49).
4항//이에 따라, 최소한의 부품으로 간단하게 차단판(1100)을 구현할 수 있다. 이처럼 간단하게 구성할 경우에 차단판(1100) 회전을 위해서 제1방향으로의 회전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랙(200)에 대해서 제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1방향으로 미리 확보된 공간을 차단판(1100) 회전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차단판(1100) 회전을 위해서 추가로 요구되는 공간은 없거나 작을 수 있다.
제5구동부(1200)는, 제5모터(1210) 및 회전축(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5모터(1210)는 상기 공간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1220)은 제5모터(1210)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차단판(1100)은 회전축(1220)과 결합될 수 있다.
5항//이에 따라, 차단판(1100)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제1방향의 여유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수평구동부(M)는, 랙(20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구동부(900)가 랙(200)의 제2방향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5구동부(1200)가 캡 홀더(60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의 제2방향의 일측에 배치되거나, 제3구동부(900)가 랙(200)의 제2방향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5구동부(1200)가 캡 홀더(60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의 제2방향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6항//이에 따라, 차단판(1100)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제2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 공간을 낭비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차단판(1100) 및 제5구동부(1200)는 메인프레임(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4구동부(1000)가 메인프레임(300)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메인프레임(300)에 설치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캡 홀더(600),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와 차단판(1100) 및 제5구동부(1200)가 제2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차단판(1100)은 제5구동부(1200)에 의해 안착부(220)에 안착된 카트리지(20)와 캡 홀더(600)에 결합된 캡(C)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되거나 퇴피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판(1100)은, 핵산추출을 위한 복수 개의 단계 중에서 현재 단계의 다음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 캡 홀더(600)에 결합된 캡(C)이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된 후에 다른 웰(W)의 상부로 이동할 때에, 안착부(220)에 안착된 카트리지(20)와 캡 홀더(600)에 결합된 캡(C)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될 수 있다(도 48 및 도 49).
또한, 차단판(1100)은, 캡 홀더(600)에 결합된 캡(C)이 웰(W)의 내부로 진입해야 하는 경우에는 안착부(220)에 안착된 카트리지(20)와 캡 홀더(600)에 결합된 캡(C)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퇴피될 수 있다(도 45 및 도 46).
이에 따라, 캡(C)에서 떨어지는 마그네틱 비드, 세정액(예컨대, 에탄올), 샘플 등의 물질이 웰(W)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캡(C)의 이동거리가 길거나 이동 중에 진동/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이동 경로의 하부에 위치한 웰(W)에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핵산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대용량의 핵산을 한꺼번에 추출하는 경우에는 핵산추출의 다음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 다량의 마그네틱 비드를 다른 카트리지(20) 또는 다른 웰(W)에 한꺼번에 옮겨야 한다. 이 때에, 마그네틱 로드(R)가 삽입된 캡(C)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 다량의 마그네틱 비드 중 일부는 쉽게 떼어질 수 있고 다량의 마그네틱 비드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세정액 등의 물질이 캡(C)에서 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다량의 마그네틱 비드를 캡(C)에 부착시켜서 한꺼번에 옮기더라도 차단판(1100)이 웰(W)에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대용량의 핵산을 올바르게 효과적으로 추출할 있다.
차단판(1100)의 상면에는 캡 홀더(600)에 결합된 캡(C)에서 떨어지는 물질을 담는 홈(1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캡(C)에서 떨어지는 물질을 모을 수 있다. 이에, 캡(C)에서 떨어지는 물질을 모으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불필요하므로 제조 및 유지관리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
제어부(미도시됨)는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 및 수평구동부(M)를 제어할 수 있다. 수평구동부(M)는 제3/제4구동부(900, 1000)일 수 있다.
제어부는 제1/제2/제3/제4/제5구동부(700, 800, 900, 1000, 1200)를 제어할 수 있고 제1안착부(220a)의 히터(224)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순서가 정해진 복수 개의 단계(예컨대, 제1라이시스단계, 제2라이시스단계, 제1세정단계, 제2세정단계, 제3세정단계, 일루션단계) 별로 제1/제2/제3/제4/제5구동부(700, 800, 900, 1000, 1200)의 제어정보 또는 히터(224)의 온도의 제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1/제2/제3/제4/제5구동부(700, 800, 900, 1000, 1200)를 제어하거나 히터(224)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확인센서(CS)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서 핵산추출 과정을 진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하우징]
하우징(1300)은 핵산추출장치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하우징(1300)은 랙(20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캡 홀더(600),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 및 수평구동부(M)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300)에는 확인센서(CS)가 설치될 수 있다(도 2).
[도어]
도어(1400)는 하우징(1300) 및 랙(200)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1400)는 하우징(1300)을 개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1500)는 상기 복수 개의 단계 중에서 현재 수행되는 단계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
입력부(1600)는 디스플레이부(1500)와 함께 구비되는 터치스크린장치일 수 있다.
입력부(1600)는 사용자로부터 제1/제2/제3/제4/제5구동부(700, 800, 900, 1000, 1200)의 제어정보 또는 히터(224)의 온도의 제어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확인센서]
확인센서(CS)는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도 2, 도 7, 도 9, 도 10, 도 11, 도 13).
확인센서(CS)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는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에 광을 조사할 수 있고(도 7, 도 9, 도 10, 도 11, 도 13),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마그네틱 로드(R) 또는 캡 홀더(600)와 결합된 캡(C)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도 2).
수광부는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R) 또는 캡(C)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확인센서(CS)는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확인센서(CS)는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R) 또는 캡(C)이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22항//이에 따라, 실수로 안착부(220)에 카트리지(20)를 설치하지 않거나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마그네틱 로드(R)를 결합시키지 않거나 캡 홀더(600)에 캡(C)을 결합시키지 않은 경우에 핵산추출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막거나 핵산추출 과정을 중단할 수 있다. 이에, 실수를 방지하고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카트리지(20)의 설치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센서(CS)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각각의 안착부(220)의 가장자리에는 안착부(220)의 내측으로 요입되고 적어도 상방으로 개방되는 가장자리홈(EG)이 형성될 수 있다(도 7, 도 14, 도 15, 도 17).
카트리지(20)가 안착부(220)에 안착된 경우에 카트리지(20)의 가장자리가 가장자리홈(EG)의 상단을 가로막을 수 있다(도 17).
카트리지(20)에 광을 조사하는 각각의 확인센서(CS)는 각각의 안착부(220)의 가장자리홈(EG)에 상방으로 광을 조사하고 가장자리홈(EG) 상단의 카트리지(20)의 가장자리에 반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23항//이에 따라, 확인센서(CS)에서 조사되고 카트리지(20)에서 반사되는 광의 이동거리가 작아지므로 광 손실이 작고, 카트리지(20) 아래쪽의 가장자리홈(EG)의 내측의 광을 감지하므로 주변의 광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카트리지(20)의 설치여부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 때에, 가장자리홈(EG)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21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광통과홀(LP)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광통과홀(LP)은 각각의 가장자리홈(EG)과 상하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각각의 광통과홀(LP)의 아래에 카트리지(20)에 광을 조사하는 각각의 확인센서(CS)가 배치될 수 있다(도 7, 도 14, 도 15, 도 17). 예를 들면, 확인센서(CS)는 베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24항//이에 따라, 카트리지(20)에 광을 조사하는 한 개 이상의 확인센서(CS)가 여유공간이 부족한 베이스프레임(210) 상에 배치되지 않고 여유공간이 충분한 베이스프레임(2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공간적 제약없이 확인센서(CS)를 설치할 수 있고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21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핵산추출장치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핵산추출 과정에서 베이스프레임(210) 또는 랙(200)이 예컨대 제1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확인센서(CS)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제조 및 유지관리가 용이해지고 제조 및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실시예]
도 45 내지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추출장치를 이용하여 마그네틱 비드를 옮기는 과정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복수의 핵산추출 단계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캡 홀더(600)가 하강하여 캡(C)이 카트리지(20)의 웰(W)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이 때에, 캡 홀더(600)가 하강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도 함께 하강할 수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가 하강하여 마그네틱 로드(R)가 캡(C)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마그네틱 로드(R)의 자력에 의해 웰(W)에 수용된 마그네틱 비드가 캡(C) 표면에 부착시키기 위함이다.
도 47을 참조하면, 캡 홀더(600)가 상승하여 캡(C)이 카트리지(20)의 웰(W) 내부로부터 퇴피될 수 있다. 캡 홀더(600)가 상승하므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도 함께 상승할 수 있다. 다만, 마그네틱 로드(R)는 캡(C) 내부로 진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마그네틱 비드가 캡(C) 표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48 및 도 49를 참조하면, 차단판(1100)이 카트리지(20) 및 캡(C) 사이의 공간으로 회동해서 진입할 수 있고, 차단판(1100)이 상기 공간에 진입한 상태에서 캡 홀더(600) 등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도면에서는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캡(C)을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캡(C) 표면에서 떨어진 이물이 이동 경로의 아래에 위치하는 카트리지(20)의 웰(W)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핵산추출장치
20: 카트리지 50: 마그네틱 로드 모듈
60: 캡 모듈
100: 베이스 FF: 기초프레임
200: 랙 210: 베이스프레임
220: 안착부 221: 안착지지부
222: 래치 224: 히터
226: 열전도어댑터
300: 메인프레임
500: 마그네틱 로드 홀더
600: 캡 홀더
700: 제1구동부
800: 제2구동부
900: 제3구동부
1000: 제4구동부
1100: 차단판
1200: 제5구동부
1300: 하우징 1400: 도어
1500: 디스플레이부 1600: 입력부

Claims (24)

  1.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21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하는 카트리지(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안착부(220)를 포함하는, 랙(200);
    상기 안착부(220) 상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와 결합되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220)와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사이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캡(C)과 결합되는, 캡 홀더(6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를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1구동부(700);
    상기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캡 홀더(600)와 결합된 캡(C)을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2구동부(8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랙(200)에 대해서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부(M);
    상기 캡(C)이 상기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된 상태에서, 좌우 회동에 따라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와 상기 캡 홀더(600)에 결합된 상기 캡(C)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되거나 상기 공간을 벗어나는 차단판(1100); 및
    상기 차단판(1100)을 회동시키는 제5구동부(1200)를 포함하는,
    핵산추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동부(M)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랙(200)에 대해서 제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900) 및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랙(200)에 대해서 제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제4구동부(1000)를 포함하고,
    상기 제3구동부(900)는 상기 랙(20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4구동부(1000)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캡 홀더(60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핵산추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랙(20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캡 홀더(600),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 및 수평구동부(M)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300); 및
    상기 하우징(1300) 및 랙(200)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되고 하우징(1300)을 개폐하는 도어(1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구동부(M)는 상기 랙(20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안착부(220) 중에서 제1방향의 타측에 형성되는 안착부(220)에는 히터(224)가 설치되는, 핵산추출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구동부(1200)는, 상기 공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5모터(1210) 및 상기 제5모터(1210)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220)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판(1100)은 상기 회전축(1220)과 결합되는, 핵산추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동부(M)는, 상기 랙(20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900)를 포함하고,
    상기 제3구동부(900)가 상기 랙(200)의 제2방향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5구동부(1200)가 상기 캡 홀더(60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의 제2방향의 일측에 배치되거나, 제3구동부(900)가 랙(200)의 제2방향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5구동부(1200)가 캡 홀더(60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의 제2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는, 핵산추출장치.
  7.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210);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하는 카트리지(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안착부(220);
    상기 안착부(220) 상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로드 모듈(50)과 결합되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220)와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사이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캡(C)을 포함하는 캡 모듈(60)과 결합되는, 캡 홀더(6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마그네틱 로드(R)를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 모듈(60)의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1구동부(700);
    상기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 모듈(60)의 캡(C)을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2구동부(800); 및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키거나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 및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을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각각의 웰(W)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부(M)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은 각각 복수 종류를 가지고,
    상기 복수 종류의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은 각각 상기 웰(W), 마그네틱 로드(R) 및 캡(C)의 개수, 간격 또는 크기가 종류 별로 서로 다르고,
    상기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이 상기 안착부(22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캡 홀더(600)에 안착되거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동부(700) 및 제2구동부(800)가 구동하는 경우에 서로 간섭되지 않는 상기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의 종류의 조합이 복수 개이고,
    상기 한 개 이상의 안착부(220)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안착부(220a)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10) 상에 설치되는 히터(224) 및 상기 히터(224) 상에 안착되고 히터(224)의 열을 전달하는 열전도어댑터(226)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종류의 카트리지(20) 중에서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는 종류 별로 하부의 형상이 서로 다르고,
    상기 열전도어댑터(226)는 2 이상의 종류를 가지고,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열전도어댑터(226)의 상부는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의 하부의 형상과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는,
    핵산추출장치.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는,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웰(W)의 하단부를 각각 규정하고 외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한 개 이상의 하단돌출부(22)를 각각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는 상기 하단돌출부(22)의 개수, 간격 또는 크기가 서로 달라서 하부의 형상이 서로 다르고,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열전도어댑터(226)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 각각의 상기 한 개 이상의 하단돌출부(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둘러싸는 한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열전도어댑터(226)의 상부는 상기 2 이상의 종류의 카트리지(20)의 하부의 형상과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는, 핵산추출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10), 안착부(22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캡 홀더(600),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 및 수평구동부(M)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300); 및
    상기 하우징(1300) 및 베이스프레임(210)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되고 하우징(1300)을 개폐하는 도어(1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224)의 상면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열전도어댑터(226)의 하면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각각 제1걸림돌기(B1) 및 제1걸림홈(G1)이 형성되거나 제1걸림홈(G1) 및 제1걸림돌기(B1)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돌기(B1)는 상기 제1걸림홈(G1)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1걸림홈(G1)의 제1방향의 폭은 상기 제1걸림돌기(B1)의 제1방향 폭보다 큰, 핵산추출장치.
  11.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210);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하는 카트리지(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안착부(220);
    상기 안착부(220) 상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로드 모듈(50)과 결합되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220)와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사이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캡(C)을 포함하는 캡 모듈(60)과 결합되는, 캡 홀더(6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의 마그네틱 로드(R)를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 모듈(60)의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1구동부(700);
    상기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 모듈(60)의 캡(C)을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2구동부(800); 및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키거나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 및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을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각각의 웰(W)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부(M)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은 각각 복수 종류를 가지고,
    상기 복수 종류의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은 각각 상기 웰(W), 마그네틱 로드(R) 및 캡(C)의 개수, 간격 또는 크기가 종류 별로 서로 다르고,
    상기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이 상기 안착부(22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및 캡 홀더(600)에 안착되거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동부(700) 및 제2구동부(800)가 구동하는 경우에 서로 간섭되지 않는 상기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및 캡 모듈(60)의 종류의 조합이 복수 개이고,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가 제1지지부재(SP1)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에 고정홈(FG)이 형성되거나,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고정홈(FG)이 형성되고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이 제1지지부재(SP1)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SP1)는, 상기 고정홈(FG)에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삽입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삽입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상하방향으로 고정홈(FG)의 내측면과 인접하여 마주하거나 접하고,
    고정수단(FM)은 상기 고정홈(FG)이 형성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해서 고정홈(FG)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제2삽입방향으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FM)이 상기 고정홈(FG)에 삽입된 상기 제1지지부재(SP1)의 내측에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삽입되는, 핵산추출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10), 안착부(220),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캡 홀더(600),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 및 수평구동부(M)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300); 및
    상기 하우징(1300) 및 베이스프레임(210)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되고 하우징(1300)을 개폐하는 도어(1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방향은 제1방향인, 핵산추출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SP1)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에 포함되고,
    상기 고정홈(FG)은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에 형성되는, 핵산추출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SP1)는 상하방향 및 상기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홈(FG)의 내측면과 인접하여 마주하거나 접하고,
    상기 고정수단(FM)은 상기 고정홈(FG) 및 제1지지부재(SP1)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1지지부재(SP1) 중에서 상기 고정홈(FG)에 삽입된 부분의 중앙부에 삽입되는, 핵산추출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SP1)를 포함하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모듈(50) 또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는 제1지지부재(SP1)의 상기 제1삽입방향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SP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SP2)는 상하방향 및 상기 제1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SP1)의 제1삽입방향의 상기 단부보다 일측에 위치하는 제1부위(E1) 및 타측에 위치하는 제2부위(E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홈(FG)이 형성되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또는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은 내측에 고정홈(FG)이 형성되는 제3지지부재(SP3)를 포함하고,
    상기 제3지지부재(SP3)는 상기 제2지지부재(SP2)의 상기 제1부위(E1) 및 제2부위(E2)와 접하는, 핵산추출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FG)이 형성되는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또는 마그네틱 로드 모듈(50)은 내측에 고정홈(FG)이 형성되는 제3지지부재(SP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FM)은, 상기 제3지지부재(SP3)와 결합되는 고정부(FP), 상기 고정부(FP)와 체결되되 고정부(FP)로부터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이동부(MP) 및 상기 고정부(FP)와 이동부(MP)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부(FP)와 이동부(MP)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MP)는, 상기 제3지지부재(SP3)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FP)와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접할 수 있는 손잡이부(HP) 및 상기 손잡이부(HP)와 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고정홈(FG)의 내측에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진입가능한 핀부(PP)를 포함하고,
    상기 제3지지부재(SP3)에는 상기 고정홈(FG)의 내측과 제3지지부재(SP3)의 외측을 연통시키고 상기 핀부(PP)가 관통배치되는 제1홀(H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FG)에 삽입된 상기 제1지지부재(SP1)에는 상기 핀부(PP)의 단부가 진입가능한 제2홀(H2)이 형성되고,
    외력을 가해서 상기 이동부(MP)를 상기 고정부(FP)로부터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상기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키면 상기 핀부(PP)의 단부가 상기 고정홈(FG) 및 제2홀(H2)의 내측으로부터 퇴피되고,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제1탄성부재가 가하는 힘에 의해서 상기 이동부(MP)가 상기 고정부(FP)를 향해서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핀부(PP)의 단부가 상기 고정홈(FG) 및 제2홀(H2)의 내측으로 진입되고 이에 따라 고정홈(FG)에 삽입된 제1지지부재(SP1)의 내측에 제2삽입방향으로 삽입되는, 핵산추출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FP)에 가이드홈(GG)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MP)에 가이드돌기(GP)가 형성되거나, 상기 고정부(FP)에 가이드돌기(GP)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MP)에 가이드홈(GG)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GP) 또는 가이드홈(GG)은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돌출 또는 요입되거나 제2삽입방향을 따라 돌출 또는 요입되고,
    상기 이동부(MP)는 상기 가이드돌기(GP)가 상기 가이드홈(GG)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동부(MP)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핵산추출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GP)는 상기 손잡이부(HP) 또는 고정부(FP)의 상기 제2삽입방향의 단부로부터 상기 가이드홈(GG)이 형성된 상기 고정부(FP) 또는 손잡이부(HP)를 향해서 제2삽입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홈(GG)은 상기 고정부(FP) 또는 손잡이부(HP)의 상기 제2삽입방향의 단부로부터 가이드돌기(GP)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요입되고,
    외력을 가해서 상기 손잡이부(HP)를 상기 고정부(FP)로부터 상기 제2삽입방향으로 상기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키면 상기 가이드돌기(GP)가 상기 가이드홈(GG)을 빠져나올 수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GP)가 상기 가이드홈(GG)을 빠져나온 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방향을 회전축으로 해서 상기 손잡이부(HP)를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면 가이드돌기(GP)의 제2삽입방향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홈(GG)이 형성된 상기 고정부(FP) 또는 손잡이부(HP)의 제2삽입방향의 단부와 제2삽입방향으로 접하고,
    이에 따라 상기 핀부(PP)의 단부가 상기 고정홈(FG) 및 제2홀(H2)의 내측으로부터 퇴피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핵산추출장치.
  19.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210);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제2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하는 카트리지(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안착부(220);
    상기 안착부(220) 상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와 결합되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220)와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사이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캡(C)과 결합되는, 캡 홀더(6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를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1구동부(700);
    상기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캡 홀더(600)와 결합된 캡(C)을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2구동부(800); 및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제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부(M)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220)는, 상기 카트리지(20)가 안착되는 안착지지부(221) 및 상기 안착지지부(221)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안착지지부(221)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고정하는 제1래치(222a)와 제2래치(222b)를 포함하고,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래치(222a) 및 제2래치(222b)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고,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안착부(220)에 있어서 제2방향의 일측의 안착부(220)의 제2래치(222b)와 제2방향의 타측의 안착부(220)의 제1래치(222b)가 제1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고 제2방향으로 중첩되어서 설치되는,
    핵산추출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래치(222a)가 상기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래치(222b)가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타측에 설치되거나,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래치(222a)가 상기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래치(222b)가 안착지지부(221)의 중심보다 일측에 설치되는, 핵산추출장치.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치(222a) 및 제2래치(222b)는 각각, 상기 안착지지부(221)에 결합되는 래치몸체(2222), 상기 안착지지부(221)와 래치몸체(2222) 사이에 배치되고 래치몸체(2222)에 제2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머리(2224) 및 상기 래치몸체(2222)와 래치머리(2224) 사이에 배치되고 래치머리(2224)가 상기 안착지지부(221) 쪽으로 회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2228)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머리(2224)는, 상기 안착지지부(221) 쪽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2225) 및 경사부(2225)의 하부 끝단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2226)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20)는, 상기 경사부(2225)를 따라 아래로 이동해서 상기 안착지지부(221)에 안착되고 상기 단차부(2226)에 결속되어서 고정되는, 핵산추출장치.
  22.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210);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면에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웰(W)을 구비하는 카트리지(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안착부(220);
    상기 안착부(220) 상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마그네틱 로드(R)와 결합되는,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착부(220)와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 사이에 배치되고, 한 개 이상의 캡(C)과 결합되는, 캡 홀더(6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를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캡(C)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1구동부(700);
    상기 캡 홀더(60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캡 홀더(600)와 결합된 캡(C)을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의 웰(W)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웰(W)의 내부로부터 퇴피시키는 제2구동부(80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 대해서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캡 홀더(600)를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부(M);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기 카트리지(20), 상기 마그네틱 로드 홀더(500)와 결합된 상기 마그네틱 로드(R) 또는 상기 캡 홀더(600)와 결합된 상기 캡(C)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카트리지(20), 마그네틱 로드(R) 또는 캡(C)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 개 이상의 확인센서(CS); 및
    상기 확인센서(CS)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서 핵산추출 과정을 진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구동부(700), 제2구동부(800) 및 수평구동부(M)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의 가장자리에는 안착부(220)의 내측으로 요입되고 적어도 상방으로 개방되는 가장자리홈(EG)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20)가 상기 안착부(220)에 안착된 경우에 카트리지(20)의 가장자리가 상기 가장자리홈(EG)의 상단을 가로막고,
    상기 카트리지(20)에 광을 조사하는 각각의 상기 확인센서(CS)는 각각의 상기 안착부(220)의 상기 가장자리홈(EG)에 상방으로 광을 조사하고 가장자리홈(EG) 상단의 상기 카트리지(20)의 가장자리에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핵산추출장치.
  23. 삭제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홈(EG)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광통과홀(LP)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광통과홀(LP)은 각각의 상기 가장자리홈(EG)과 상하방향으로 연통되고,
    각각의 상기 광통과홀(LP)의 아래에 상기 카트리지(20)에 광을 조사하는 각각의 상기 확인센서(CS)가 배치되는, 핵산추출장치.
KR1020220057498A 2022-05-10 2022-05-10 핵산추출장치 KR102443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498A KR102443820B1 (ko) 2022-05-10 2022-05-10 핵산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498A KR102443820B1 (ko) 2022-05-10 2022-05-10 핵산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820B1 true KR102443820B1 (ko) 2022-09-16

Family

ID=83445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498A KR102443820B1 (ko) 2022-05-10 2022-05-10 핵산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47025A (zh) * 2022-10-14 2023-03-07 北京卓诚惠生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自动核酸提取与pcr检测一体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89665A1 (en) * 2013-11-01 2016-10-06 Leadway (Hk) Limited Nucleic acid extraction apparatus
KR20190001797A (ko) * 2017-06-28 2019-01-07 (주)오상헬스케어 자동화된 핵산 분리 장치
KR20190013116A (ko) 2017-07-31 2019-02-11 주식회사 제놀루션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및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EP3588094A1 (en) * 2018-06-25 2020-01-01 MASMEC S.p.A. Robotized device for the loading and the handling of a plurality of coating elements usable in a molecular extraction process, in particular nucleic aci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89665A1 (en) * 2013-11-01 2016-10-06 Leadway (Hk) Limited Nucleic acid extraction apparatus
US10472621B2 (en) * 2013-11-01 2019-11-12 Leadway (Hk) Limited Nucleic acid extraction apparatus
KR20190001797A (ko) * 2017-06-28 2019-01-07 (주)오상헬스케어 자동화된 핵산 분리 장치
KR20190013116A (ko) 2017-07-31 2019-02-11 주식회사 제놀루션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장치 및 마그넷비드 핵산 추출방법
EP3588094A1 (en) * 2018-06-25 2020-01-01 MASMEC S.p.A. Robotized device for the loading and the handling of a plurality of coating elements usable in a molecular extraction process, in particular nucleic aci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47025A (zh) * 2022-10-14 2023-03-07 北京卓诚惠生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自动核酸提取与pcr检测一体机
CN115747025B (zh) * 2022-10-14 2023-09-22 北京卓诚惠生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自动核酸提取与pcr检测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820B1 (ko) 핵산추출장치
US5102623A (en) Infinitesimal liquid reactor
EP1470253B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rmal cycling
US6982063B2 (en) Automated pipetting system
KR940011431B1 (ko) 핵 연료 집합체 취급 장치 및 그 방법
EP1720016A2 (en) Spotting and picking processes and apparatuses
US6764650B2 (en) Sample rack handling system
EP2916638A1 (en) Nozzle management device
US72895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tube guide of upper interval equipment of a nuclear reactor
AU2003207550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rmal cycling
US20210301284A1 (en) Nucleic acid extrac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JP2020175358A (ja) 自動ノズル洗浄−検査管理システム
CN110631878A (zh) 一种液基细胞自动制片医疗设备的样本移送机构
KR101331241B1 (ko) 채혈관 제조를 위한 튜브정렬장치
CN110631877B (zh) 一种液基细胞制片的解扣分离机构
JPH0581715B2 (ko)
KR102159583B1 (ko) 핵산 추출 단일 카트리지 및 핵산 추출 장치
JPS5913999A (ja) 放射性物質処理用の大型セルのための遠隔操作可能なマニプレ−タ保持機構
CN116461997A (zh) 样本处理装置
KR102512066B1 (ko) 핵산추출장치
JPH04138232A (ja) 入子自動交換装置
CN109352641B (zh) 光盘抓取装置
KR100699061B1 (ko) 핵연료집합체들을 장전하기 위한 설비
KR102635367B1 (ko) 검체처리장치 및 검체처리방법
KR100968477B1 (ko) 핵산자동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산자동추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