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030A - 스프레이건 - Google Patents
스프레이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3030A KR20190013030A KR1020170096947A KR20170096947A KR20190013030A KR 20190013030 A KR20190013030 A KR 20190013030A KR 1020170096947 A KR1020170096947 A KR 1020170096947A KR 20170096947 A KR20170096947 A KR 20170096947A KR 20190013030 A KR20190013030 A KR 201900130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paint
- air passage
- air
- val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using fluids, e.g. gas strea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용 스프레이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건은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유동 생성부, 상기 유동 생성부로부터 인출되는 제1 공기 유로, 상기 제1 공기 유로에 연결되는 제1 노즐,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부, 상기 도료 수용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노즐로 도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 도료 유로, 상기 제1 공기 유로로부터 분기되는 제2 공기 유로 및 상기 제2 공기 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노즐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그 끝단이 상기 제1 노즐의 분사 방향에 대해 방사상으로 경사진 방향을 바라보게 형성되어,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는 제2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건은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유동 생성부, 상기 유동 생성부로부터 인출되는 제1 공기 유로, 상기 제1 공기 유로에 연결되는 제1 노즐,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부, 상기 도료 수용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노즐로 도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 도료 유로, 상기 제1 공기 유로로부터 분기되는 제2 공기 유로 및 상기 제2 공기 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노즐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그 끝단이 상기 제1 노즐의 분사 방향에 대해 방사상으로 경사진 방향을 바라보게 형성되어,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는 제2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프레이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장용 스프레이건에 관한 것이다.
흔히 이용되는 도장 방법으로 예컨대 붓이나 롤러를 이용하여 직접 도포하는 방식, 에어 스프레이(air spray) 방식 또는 에어리스 스프레이(airless spary)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에어 스프레이 방식은 건물의 외벽과 같이 비교적 넓은 면적에 도장하는 데에 주로 이용된다. 하지만 에어 스프레이 방식은 노즐을 통해 공기와 도료를 함께 분사하기 때문에 외부 바람 등에 의해 도료가 비산되기 쉽다. 이에 따라 도료가 원치 않게 다른 영역에 도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입자가 작업자의 인체로 들어가 건강을 해할 염려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즐의 끝단에 물리적인 커버를 설치하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이를테면 이러한 방식은 공개특허 10-2013-0125343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에 의하면 분사 영역이 그 커버에 의해 가려져 육안으로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도장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료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레이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건은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유동 생성부, 상기 유동 생성부로부터 인출되는 제1 공기 유로, 상기 제1 공기 유로에 연결되는 제1 노즐,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부, 상기 도료 수용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노즐로 도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 도료 유로, 상기 제1 공기 유로로부터 분기되는 제2 공기 유로 및 상기 제2 공기 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노즐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그 끝단이 상기 제1 노즐의 분사 방향에 대해 방사상으로 경사진 방향을 바라보게 형성되어,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는 제2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노즐의 끝단이 상기 제1 노즐의 분사 방향에 대해 방사상 내측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제1 노즐의 끝단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노즐의 분사 압력은 상기 제1 노즐의 분사 압력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노즐의 분사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레이저 광선을 방출하는 레이저 방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기 유로 중 상기 제2 공기 유로가 분기되는 지점보다 하류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공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기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공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료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2 노즐로 도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2 도료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노즐의 분사 압력은 상기 제1 노즐의 분사 압력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도료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료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노즐은 그 끝단이 상기 제2 노즐의 분사 방향을 따라 인출되어, 상기 제1 노즐의 끝단보다 돌출되도록 연장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건은 제2 노즐이 제1 노즐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일종의 에어 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제1 노즐을 통해 분사된 도료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 제2 밸브 및 제3 밸브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개폐함으로써 제1 노즐과 제2 노즐을 다양한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즐의 끝단이 제1 노즐의 분사 방향에 대해 방사상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게 형성되어 제1 노즐의 끝단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제2 노즐을 앞뒤로 움직이면서 전체적인 도장 영역 또는 에어 커튼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에서 제1 밸브는 개방되고 제2 밸브는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의 제1 밸브, 제2 밸브 및 제3 밸브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의 제1 밸브와 제3 밸브는 폐쇄되고 제2 밸브는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의 제1 밸브와 제2 밸브는 개방되고 제3 밸브는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의 제2 노즐이 제1 노즐의 끝단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른 분사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의 제2 노즐이 제1 노즐의 끝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른 분사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의 제2 노즐의 끝단이 인출되어 연장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에서 제1 밸브는 개방되고 제2 밸브는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의 제1 밸브, 제2 밸브 및 제3 밸브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의 제1 밸브와 제3 밸브는 폐쇄되고 제2 밸브는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의 제1 밸브와 제2 밸브는 개방되고 제3 밸브는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의 제2 노즐이 제1 노즐의 끝단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른 분사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의 제2 노즐이 제1 노즐의 끝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른 분사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의 제2 노즐의 끝단이 인출되어 연장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100)의 개요도로서 이해의 편의상 전반적인 구성을 단순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스프레이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종래의 도장용 스프레이건의 구조와 이하의 설명을 두루 참작하여 스프레이건(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프레이건(100)은 유동 생성부(미도시), 제1 공기 유로(111), 제2 공기 유로(112), 제1 도료 유로(121), 제2 도료 유로(122), 도료 수용부(130), 제1 노즐(140), 제2 노즐(150), 레이저 방출부(160), 제1 밸브(171), 제2 밸브(172) 및 제3 밸브(173)를 포함한다.
제1 공기 유로(111)는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유동 생성부, 예컨대 에어 컴프레서로부터 인출되어 제1 노즐(140)에 연결된다. 이로써 유동 생성부로부터 제1 공기 유로(111)를 따라 제1 노즐(140)로 공기의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동 생성부 그 자체의 구성은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도료 유로(121)는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부(130)로부터 인출되어, 제1 공기 유로(111)로부터 제1 노즐(140)로 이어지는 공기의 유동에 합류됨으로써 도료 수용부(130)로부터 제1 노즐(140)로 도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기가 제1 공기 유로(111)를 따라 제1 노즐(14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때, 제1 도료 유로(121)에 의해 제공된 도료도 함께 제1 노즐(14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제2 공기 유로(112)는 제1 공기 유로(111)로부터 분기되어 제2 노즐(150)에 연결된다. 이로써 유동 생성부로부터 제1 공기 유로(111)의 상류 측 일부와 제2 공기 유로(112)를 따라 제2 노즐(150)로도 공기의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노즐(150)은 제1 노즐(14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2 노즐(150)은 그 끝단이 제1 노즐(140)의 분사 방향에 대해 방사상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게 형성된다. 이를테면 제2 노즐(150)의 끝단이 제1 노즐(140)의 분사 방향에 대해 방사상 내측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방사상 외측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제2 노즐(150)의 끝단이 방사상 내측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상 제2 노즐(150)의 끝단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노즐(140)의 분사 방향에 대해 방사상 내측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제2 노즐(150)은 제1 노즐(140) 끝단에 가까워지거나 그 끝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나아가 제2 노즐(150)은 이른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져 제2 노즐(150)의 끝단이 그 분사 방향을 따라 인출되어 연장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2 노즐(150)의 끝단에는 제2 노즐(150)의 분사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레이저 광선을 방출하는 레이저 방출부(160)가 배치된다.
제2 도료 유로(122)는 제1 도료 유로(121)로부터 분기되어, 제2 공기 유로(112)로부터 제2 노즐(150)로 이어지는 공기의 유동에 합류됨으로써 도료 수용부(130)로부터 제2 노즐(150)로 도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기가 제2 공기 유로(112)를 따라 제2 노즐(15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때, 제2 도료 유로(122)에 의해 제공된 도료도 함께 제2 노즐(15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제1 밸브(171)는 제1 공기 유로(111) 중 제2 공기 유로(112)가 분기되는 지점보다 하류 측에 설치되어 제1 공기 유로(1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밸브(172)는 제2 공기 유로(112)에 설치되어 제2 공기 유로(1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3 밸브(173)는 제2 도료 유로(122)에 설치되어 제2 도료 유로(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스프레이건(100)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 스프레이건(100)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100)에서 제1 밸브(171)는 개방되고 제2 밸브(172)는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유동 생성부가 작동하면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 공기 유로(111)를 따라 제1 노즐(140)로 공기의 유동이 형성된다.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도료 유로(121)에 의해 제공된 도료가 제1 노즐(14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됨으로써 원하는 바에 따라 도장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밸브(172)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기의 유동이 제2 공기 유로(112)로는 유입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이에 따르면 제1 노즐(140)을 이용해서만 도장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스프레이건에 유사한 방식으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3 밸브(173)가 개방되어 있더라도 도료가 제2 노즐(15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기는 어려울 것이므로 제3 밸브(173)는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100)의 제1 밸브(171), 제2 밸브(172) 및 제3 밸브(173)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동 생성부가 작동하면 제1 공기 유로(111)를 따라 제1 노즐(140)로 공기의 유동이 형성되며, 제1 도료 유로(121)에 의해 제공된 도료가 제1 노즐(140)을 통해 외부로 함께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제2 밸브(172)와 제3 밸브(173)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기의 유동이 제2 공기 유로(112)로 유입되며, 제2 도료 유로(122)에 의해 제공된 도료가 제2 노즐(150)을 통해 외부로 함께 분사된다.
즉 도료가 제1 노즐(140)과 제2 노즐(150)을 통해 동시에 분사된다. 다시 말해 제1 노즐(140)과 제2 노즐(150)을 모두 이용하여 도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 번에 다량의 도료가 분사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감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노즐(150)이 제1 노즐(14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 끝단이 제1 노즐(140)의 분사 방향에 대해 방사상 내측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게 형성될 경우, 제1 노즐(140)을 통해 분사된 도료를 기준으로 할 때 제2 노즐(150)에 의해 방사상 내측으로 다소 외압이 가해지게 되는 결과가 된다. 이를테면 제2 노즐(150)을 통해 분사된 공기가 일종의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셈이다. 따라서 제1 노즐(140)을 통해 분사된 도료가 방사상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노즐(140)의 분사 영역이 제2 노즐(150)에 의해 과도하게 억압되거나 오히려 제2 노즐(150)에 의해 분사된 도료가 더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노즐(150)의 분사 압력은 제1 노즐(140)의 분사 압력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노즐(150)의 끝단의 직경을 제1 노즐(140)의 끝단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또는 별도의 압력 조절부(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100)의 제1 밸브(171)와 제3 밸브(173)는 폐쇄되고 제2 밸브(172)는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유동 생성부가 작동하면 제1 밸브(171)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공기 유로(111)를 따라 제1 노즐(140)로는 공기의 유동이 형성되지 못하는 반면, 제2 밸브(172)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 공기 유로(111)의 상류 측 일부와 제2 공기 유로(112)를 따라 제2 노즐(150)로 공기의 유동이 형성된다.
다만 제3 밸브(173)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도료가 제2 노즐(150)을 통해 분사되지는 못한다.
결과적으로 이에 따르면 제2 노즐(150)을 통해 공기만 분사된다. 이로써 제2 노즐(150)을 이용하여 도장 영역을 쉽고 빠르게 건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노즐(150)의 분사 압력이 다소 낮게 형성된다면 도장 영역이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제2 노즐(150)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제2 노즐(150)에 의한 바람을 고온으로 형성함으로써 도료를 보다 빠르게 건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그 표면에 다양한 효과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100)의 제1 밸브(171)와 제2 밸브(172)는 개방되고 제3 밸브(173)는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경우와 비교할 때 제1 노즐(140)을 통해서만 도료가 분사되며, 제2 노즐(150)을 통해서는 도료가 분사될 수 없고 단지 공기만 분사될 수 있는 차이점이 있다.
특히 이 경우 제2 노즐(150)의 분사 압력은 제1 노즐(140)의 분사 압력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노즐(150)의 끝단의 직경을 제1 노즐(140)의 끝단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또는 별도의 압력 조절부를 설치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이에 의하면 제2 노즐(150)을 통해 분사된 공기가 앞서 언급한 에어 커튼을 보다 강력하고 확실하게 형성하여 제1 노즐(140)을 통해 분사된 도료가 비산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스프레이건(100)은 제2 노즐(150)을 이용하여 제1 노즐(140)을 통해 분사된 도료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때 제2 공기 유로(112)가 제1 공기 유로(111)로부터 분기되고 제2 도료 유로(122)가 제1 도료 유로(121)로부터 분기되되 제1 공기 유로(111), 제2 공기 유로(121) 및 제2 도료 유로(121)에 제1 밸브(171), 제2 밸브(172) 및 제3 밸브(173)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이들을 적절하게 개폐하는 단순한 조작만으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100)의 제2 노즐(150)이 이동함에 따른 분사 영역을 도시한 것으로서 편의상 제1 노즐(140)과 제2 노즐(150) 위주로만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제2 노즐(150)이 제1 노즐(140)의 끝단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제2 노즐(150)이 제1 노즐(140)의 끝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1 노즐(140)의 끝단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대상(O)을 가상할 때, 제2 노즐(150)이 제1 노즐(140)의 끝단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O)에 대한 제2 노즐(150)의 분사 영역의 직경(D)이 커진다. 즉 제1 밸브(171), 제2 밸브(172) 및 제3 밸브(173)가 모두 개방되어 있다면 전체적인 도장 영역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한편 에어 커튼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제2 노즐(150)이 제1 노즐(140)의 끝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O)에 대한 제2 노즐(150)의 분사 영역의 직경(D)이 작아진다. 즉 제1 밸브(171), 제2 밸브(172) 및 제3 밸브(173)가 모두 개방되어 있다면 전체적인 도장 영역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한편 에어 커튼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노즐(150)을 앞뒤로 움직이는 단순한 조작만으로 전체적인 도장 영역 또는 에어 커튼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레이저 광선을 통해 그 크기를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100)의 제2 노즐(150)의 끝단이 인출되어 연장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역시 편의상 제1 노즐(140)과 제2 노즐(150) 위주로만 나타내었다.
제2 노즐(150)의 끝단이 인출되어 연장될 경우,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노즐(150)의 끝단이 제1 노즐(140)의 끝단 너머로 더 돌출되게 연장될 경우 제2 노즐(150)의 일부가 제1 노즐(140)을 통해 분사된 도료에 대한 물리적인 커튼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한편, 제2 노즐(150)의 끝단과 상기 대상(O)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제1 노즐(140)을 통해 분사된 도료가 외측으로 비산되는 정도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유동 생성부,
상기 유동 생성부로부터 인출되는 제1 공기 유로,
상기 제1 공기 유로에 연결되는 제1 노즐,
도료를 수용하는 도료 수용부,
상기 도료 수용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노즐로 도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 도료 유로,
상기 제1 공기 유로로부터 분기되는 제2 공기 유로 및
상기 제2 공기 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노즐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그 끝단이 상기 제1 노즐의 분사 방향에 대해 방사상으로 경사진 방향을 바라보게 형성되어,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는 제2 노즐을 포함하는 스프레이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의 끝단이 상기 제1 노즐의 분사 방향에 대해 방사상 내측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게 형성되는 스프레이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제1 노즐의 끝단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레이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의 분사 압력은 상기 제1 노즐의 분사 압력보다 큰 스프레이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의 분사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레이저 광선을 방출하는 레이저 방출부를 더 포함하는 스프레이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유로 중 상기 제2 공기 유로가 분기되는 지점보다 하류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공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스프레이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공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스프레이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료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2 노즐로 도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2 도료 유로를 더 포함하는 스프레이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의 분사 압력은 상기 제1 노즐의 분사 압력보다 작은 스프레이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료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료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스프레이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은 그 끝단이 상기 제2 노즐의 분사 방향을 따라 인출되어, 상기 제1 노즐의 끝단보다 돌출되도록 연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프레이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6947A KR20190013030A (ko) | 2017-07-31 | 2017-07-31 | 스프레이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6947A KR20190013030A (ko) | 2017-07-31 | 2017-07-31 | 스프레이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3030A true KR20190013030A (ko) | 2019-02-11 |
Family
ID=6536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6947A KR20190013030A (ko) | 2017-07-31 | 2017-07-31 | 스프레이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13030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39963A (zh) * | 2019-08-06 | 2019-10-18 | 中微半导体设备(上海)股份有限公司 | 喷嘴、包含所述喷嘴的喷枪及其工作方法 |
KR102237532B1 (ko) * | 2020-06-09 | 2021-04-08 | 문지훈 | 분무용 정전식 핸드건을 이용하여 분무되는 에폭시 도료 |
KR102242599B1 (ko) * | 2020-12-10 | 2021-04-20 | 김갑수 | 비산방지 에어커튼 방식 스프레이 건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공법 |
KR20210129487A (ko) * | 2020-04-20 | 2021-10-28 | 주식회사 두레마을 | 싸이클로형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분사건 |
CN116732993A (zh) * | 2023-08-15 | 2023-09-12 | 成都理工大学 | 一种风调式混凝土喷射装置 |
-
2017
- 2017-07-31 KR KR1020170096947A patent/KR20190013030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39963A (zh) * | 2019-08-06 | 2019-10-18 | 中微半导体设备(上海)股份有限公司 | 喷嘴、包含所述喷嘴的喷枪及其工作方法 |
KR20210129487A (ko) * | 2020-04-20 | 2021-10-28 | 주식회사 두레마을 | 싸이클로형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분사건 |
KR102237532B1 (ko) * | 2020-06-09 | 2021-04-08 | 문지훈 | 분무용 정전식 핸드건을 이용하여 분무되는 에폭시 도료 |
KR102242599B1 (ko) * | 2020-12-10 | 2021-04-20 | 김갑수 | 비산방지 에어커튼 방식 스프레이 건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공법 |
CN116732993A (zh) * | 2023-08-15 | 2023-09-12 | 成都理工大学 | 一种风调式混凝土喷射装置 |
CN116732993B (zh) * | 2023-08-15 | 2023-10-13 | 成都理工大学 | 一种风调式混凝土喷射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13030A (ko) | 스프레이건 | |
US6494387B1 (en) | Low-pressure atomizing spray gun | |
JP4865765B2 (ja) | スプレイガン | |
MX2016004228A (es) | Unidades, sistemas y metodos relacionados con boquillas. | |
CN108246533A (zh) | 喷嘴梢 | |
CN106029238A (zh) | 喷枪 | |
JP6444163B2 (ja) | スプレーガン | |
JP5613352B1 (ja) | スプレーガン | |
GB0700447D0 (en) | Powder diffuser nozzle for an electrostatic dusting device with oriented jet | |
MX2021005960A (es) | Atomizador giratorio. | |
KR102310874B1 (ko) | 대면적 도장작업이 가능한 도료분사장치 | |
SE0104222L (sv) | Spruthuvud | |
JPH07171446A (ja) | 内部混合型塗装用スプレーガン | |
KR20180049557A (ko) |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 |
KR200181342Y1 (ko) | 분사액 확산 방지용 스프레이 건 | |
CN210753293U (zh) | 一种细长型圆点喷嘴 | |
CN214917196U (zh) | 一种喷枪 | |
CN217120595U (zh) | 一种喷枪 | |
CN201079754Y (zh) | 喷雾器调节式双喷头 | |
JPH0527465B2 (ko) | ||
JP3401293B2 (ja) | 静電塗装用スプレイガン | |
KR20240043995A (ko) | 정전 분무용 노즐 조립체 | |
US20110068201A1 (en) | Build-up minimizing spray gun tip | |
KR101446081B1 (ko) | 은경막 코팅용 스프레이 노즐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장치 | |
JPH01143660A (ja) | スプレーガンのエアカーテン装置付エアキャ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