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952A -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952A
KR20190012952A KR1020170096723A KR20170096723A KR20190012952A KR 20190012952 A KR20190012952 A KR 20190012952A KR 1020170096723 A KR1020170096723 A KR 1020170096723A KR 20170096723 A KR20170096723 A KR 20170096723A KR 20190012952 A KR20190012952 A KR 20190012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surplus
standard
codes
attribu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8478B1 (ko
Inventor
김진강
배재류
민기업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6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4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는 조선소 별로 입력되는 자재 또는 제품에 조선소의 개별 번호를 부여하여 S자재 코드를 생성하는 S자재관리부재; 프로젝트 별로 입력되는 자재 또는 제품에 프로젝트의 개별 번호를 부여하여 O자재 코드를 생성하는 O자재관리부재; 벤더 별로 입력되는 자재 또는 제품에 벤더의 개별 번호를 부여하여 B자재 코드를 생성하는 B자재관리부재; 및 상기 S자재 코드, 상기 O자재 코드, 상기 B자재 코드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분석하는 메인관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관리부재는 분석된 상기 S,O,B자재 코드를 상위분류에서 하위분류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S,O,B자재 코드들이 기설정된 표준연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표준 연계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S,O,B자재 코드에 추가적으로 부여하여 통합 관리한다.

Description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와 방법{Integrated materials system and method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조선소에서는 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공사를 위해 필요한 각종 자재에 대해 코드를 부여하여 자재의 수급이동설치 등을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각 조선소별 자체적으로 기준을 정한 자재 코드에 기반하여 관리하고 있으나 주문주, 설치해역, 적용 선급 등이 공사별로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공통 자재 표준화의 어려움을 겪고 있어 비효율적인 재고 관리, 필요 자재에 대한 적기, 적소 활용이 용이치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동일한 국가에 위치한 조선소들이 서로 다른 자재 표준을 사용함으로써 공동 조달이나 잉여자재의 교환 등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원천적으로 자재 표준화를 시도할 수 없는 한계가 분명하였다.
또한, 선박의 경우에는 설계 및 구매 단계에서부터 철저한 계획과 관리를 통해 스크랩 및 잉여재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나, 해양 공사의 경우에는 잦은 설계변경으로 인해 벌크/밸브/전계장 등에 잉여재가 다수 발생할 수 밖에 없고, 대체 자재 수급이 적기에 이뤄지지 않아 공기 지연에도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선박 건조 흐름을 살펴보면, 먼저 수주된 선박의 종류별, 크기별 등에 따라 초기 설계가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대일정의 생산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이어, 상세 설계를 함과 아울러 자재의 구매 일정을 수립하고, 해당 구매 일정과 연동되도록 중일정의 생산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마지막 단계로서 생산 설계 및 소일정의 생산계획을 부서별, 공종별로 수립하고, 자재가 입고되면 실질적인 생산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대일정, 중일정 및 소일정의 생산계획의 흐름에 따라 하나의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건조 또는 제작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자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자재는 조선소별 또는 자재공급업체별로 상이한 명칭 또는 코드로 관리되고 있어 잉여 자재가 발생하는 경우 폐기 또는 재활용처리과정에서 추가적인 비용이 들어 경제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이다.
특히, 조선소에서 잉여 자재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상당한 양의 잉여 자재가 발생될 때 그 잉여 자재를 처리하는데만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잉여 자재에 관한 관리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작업자가 잉여 자재의 종류에 따라 수작업으로 이를 분류하여 기록하는 정도의 수준이어서 잉여 자재를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77982호(2015.07.08) "선박 및 해양 구조물 자재 관리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 조선소뿐만이 아니라 나아가 복수의 조선소들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재 또는 제품의 기본정보와 각 주체의 개별코드 정보를 받아서 통합연계 자재코드를 생성함으로써, 기자재 공기 및 납기와 잉여재 활용을 개선할 수 있고 자재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선소에서 남은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를 표준코드로 통일시켜 잉여 자재의 판매를 가능하게 한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와 방법을 제공함에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재 또는 제품을 관리하는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에 있어서, 조선소 별로 입력되는 자재 또는 제품에 조선소의 개별 번호를 부여하여 S자재 코드를 생성하는 S자재관리부재; 프로젝트 별로 입력되는 자재 또는 제품에 프로젝트의 개별 번호를 부여하여 O자재 코드를 생성하는 O자재관리부재; 벤더 별로 입력되는 자재 또는 제품에 벤더의 개별 번호를 부여하여 B자재 코드를 생성하는 B자재관리부재; 및 상기 S자재 코드, 상기 O자재 코드, 상기 B자재 코드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분석하는 메인관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관리부재는 분석된 상기 S,O,B자재 코드를 상위분류에서 하위분류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S,O,B자재 코드들이 기설정된 표준연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표준 연계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S,O,B자재 코드에 추가적으로 부여하여 통합 관리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재 또는 제품을 관리하는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조선소, 프로젝트, 벤더 별로 자재 또는 제품의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조선소, 상기 프로젝트, 상기 벤더 별로 개별적인 자재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단계; 상기 조선소, 상기 프로젝트, 상기 벤더 별로 생성되는 개별적인 상기 자재 코드를 입력 받아 분석하고, 기설정된 표준연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표준 연계 번호를 추가적으로 부여하는 코드연계단계; 및 입력 또는 저장된 상기 자재 또는 상기 제품의 기본정보, 개별적인 상기 자재 코드 및 상기 표준 연계 번호가 부여되는 상기 자재 코드를 저장하고, 이들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하는 코드관리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선소 또는 자재공급업체에서 관리하는 자재 중 잉여 자재가 있는 경우, 정보통신망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종류에 상응하는 속성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선박에 설치되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사전 설정된 표준코드를 저장한 표준코드DB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설정된 표준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표준코드를 상기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에 설치되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사전 설정된 표준코드를 저장한 표준코드DB; 및 조선소 또는 자재공급업체에서 관리하는 자재 중 잉여 자재가 있는 경우, 정보통신망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설정된 표준코드를 상기 표준코드DB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표준코드를 상기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하여 관리하는 자재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통신망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잉여자재 등록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설정된 표준코드를 상기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와, 상기 잉여자재 등록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해당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수량을 포함하는 잉여 자재의 등록정보를 잉여 자재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자재의 구매를 요청하는 구매자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표준코드를 통해 상기 잉여 자재DB로부터 상기 잉여 자재의 존재 유무, 가격 및 수량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잉여 자재의 수량 중에서 상기 구매자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수량을 이용하여 계산된 자재대금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자재대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구매자용 단말기로부터 구매를 요청한 자재의 배송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에 설치되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사전 설정된 표준코드를 저장한 표준코드DB; 잉여 자재의 표준코드와,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수량을 포함하는 잉여 자재의 등록정보를 저장한 잉여 자재DB; 및 자재의 구매를 요청하는 구매자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표준코드를 통해 상기 잉여 자재DB로부터 상기 잉여 자재의 존재 유무, 가격 및 수량을 조회하고, 조회된 잉여 자재의 수량 중에서 상기 구매자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수량을 이용하여 계산된 자재대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구매자용 단말기로부터 구매를 요청한 자재의 배송 처리를 수행하는 자재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재 또는 제품의 기본정보와 각 주체의 개별코드 정보를 받아서 통합연계 자재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일방 주체의 자재코드를 입력 받아 타 주체의 자재코드를 확인, 재고 유무, 잉여재 유무를 실시시간으로 확인하고,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방 주체의 자재코드를 입력 받아 타 주체의 자재코드를 확인, 재고 유무, 잉여재 유무를 실시시간으로 확인하고, 피드백함으로써, 기자재 공기 및 납기와 잉여재 활용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선소 또는 자재공급업체에서 남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일치하는 표준코드를 검색하여 검색된 표준코드를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함으로써 조선소 또는 자재공급업체에서 서로 상이하게 관리되었던 자재의 명칭 또는 코드를 표준코드로 통일화하여 잉여 자재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잉여 자재를 처리하기 위해 종래에 필요했던 많은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폐기처분하지 않고 표준코드로 통일화된 자재를 필요로 하는 조선소에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재의 구매를 희망하는 구매자용 단말기로부터 표준코드로 잉여 자재의 존재 유무, 가격 및 수량을 조회할 수 있음에 따라 필요한 수량만큼 자재를 신속하게 공급받을 수 있게 한 효과도 있다. 특히, 자재의 특성상 주문 후에 약 1년 정도 소요되는 자재인 경우, 해당 자재가 잉여 자재DB에 존재하는 경우 오랜시간 기다리지 않고 2-3일 정도의 짧은시간 내에 잉여 자재를 공급받아 선박 건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일화된 표준코드를 알고 있는 구매 요청자의 경우, 표준코드의 입력을 통해 잉여 자재의 존재 유무, 가격 및 수량을 조회가능하고, 표준코드를 모르는 구매 요청자의 경우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하여 표준코드를 찾은 다음 표준코드의 입력을 통해 잉여 자재의 존재 유무, 가격 및 수량을 조회할 수 있어, 잉여 자재를 구매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번호생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자재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에 휴대 기기가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는 도 6에 도시된 자재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9 및 도 10는 잉여 자재 등록 화면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자재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선박이란,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선박 및 각종 구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를 비롯하여, OIL FPSO,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LNG 수송선, 유조선이나 LNG RV(LNG Regasification Vessel)와 같은 선박 및 해상 구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는 S자재관리부재(10), O자재관리부재(20), B자재관리부재(30) 및 메인관리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S자재관리부재(10)는 조선소 별로 입력되는 자재 또는 제품에 조선소의 개별 번호를 부여하여 S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S자재관리부재(10)는 다수의 조선소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조선소는 제1 조선소 내지 제n 조선소를 포함할 수 있다. S자재관리부재(10)는 제1 S자재관리부재(10) 내지 제n S자재관리부재(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1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제1 S자재관리부재(10)는 제1 조선소에 배치되어 제1 S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S자재관리부재(10)는 제2 조선소에 배치되어 제2 S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S자재 코드는 제2 S자재 코드와 동일한 코드일 수 있고, 다른 코드일 수 있다. S자재관리부재(10)는 조선소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그에 최적화되도록 S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O자재관리부재(20)는 프로젝트 별로 입력되는 자재 또는 제품에 프로젝트의 번호를 부여하여 O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O자재관리부재(20)는 다수의 프로젝트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프로젝트는 제1 프로젝트 내지 제n 프로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O자재관리부재(20)는 제1 O자재관리부재(20) 내지 제n O자재관리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1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제1 O자재관리부재(20)는 제1 프로젝트에 배치되어 제1 O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O자재관리부재(20)는 제2 프로젝트에 배치되어 제2 O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O자재 코드는 제2 O자재 코드와 동일한 코드일 수 있고, 다른 코드일 수 있다. O자재관리부재(20)는 프로젝트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그에 최적화되도록 O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B자재관리부재(30)는 벤더 별로 입력되는 자재 또는 제품에 벤더의 개별 번호를 부여하여 B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B자재관리부재(30)는 다수의 벤더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벤더는 제1 벤더 내지 제n 벤더를 포함할 수 있다. B자재관리부재(30)는 제1 B자재관리부재(30) 내지 제n B자재관리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1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제1 B자재관리부재(30)는 제1 벤더에 배치되어 제1 B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B자재관리부재(30)는 제2 벤더에 배치되어 제2 B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B자재 코드는 제2 B자재 코드와 동일한 코드일 수 있고, 다른 코드일 수 있다. B자재관리부재(30)는 프로젝트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그에 최적화되도록 B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메인관리부재(100)는 자재 또는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와 S자재 코드, O자재 코드, B자재 코드 중 하나 이상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메인관리부재(100)는 입력되는 S자재 코드, O자재 코드, B자재 코드를 분석할 수 있다. 메인관리부재(100)는 다수 또는 하나의 S,O,B자재관리부재(10,20,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S,O,B자재 코드, 자재 또는 제품의 기본정보를 입력 또는 전송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관리부재(100)는 제1 S자재관리부재(10) 내지 제n S자재관리부재(1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S자재관리부재(10) 내지 제n S자재관리부재(1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메인관리부재(100)는 제1 O자재관리부재(20) 내지 제n O자재관리부재(20) 각각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O자재관리부재(20) 내지 제n O자재관리부재(2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메인관리부재(100)는 제1 B자재관리부재(30) 내지 제n B자재관리부재(30) 각각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B자재관리부재(30) 내지 제n B자재관리부재(3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메인관리부재(100)는 분석된 S,O,B자재 코드들을 상위분류에서 하위분류로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S,O,B자재 코드들이 기설정된 표준연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표준 연계 번호를 생성하여 S,O,B자재 코드들 각각에 추가적으로 부여하고,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메인관리부재(100)는 분석부(101), 분류부(102), 부품체크부(103) 번호생성부(104) 및 통합관리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101)는 입력되는 S,O,B자재 코드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101)는 S,O,B자재 코드를 자재 또는 제품의 재질, 크기, 무게, 색상을 비롯하여, 적용되는 기기와 장치 또는 결합되는 부품까지 세분화하여 분석할 수 있다.
분류부(102)는 분석부(101)로부터 분석된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상위분류에서 하위분류로 분류할 수 있다. 분류부(102)는 S,O,B자재 코드를 자재 또는 제품의 최소 품목까지 순차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부품체크부(103)는 분류부(102)로부터 분류된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이들 중 공통된 부품들을 체크할 수 있다. 부품체크부(103)는 분류된 S자재 코드, O자재 코드, B자재 코드에서 공통된 부품,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품, 서로 연관 또는 호환되는 부품, 결합되는 부품 등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부품체크부(103)는 그룹화된 부품을 체크함으로써, S자재 코드, O자재 코드, B자재 코드 간의 호환성 또는 관련성을 체크할 수 있다.
번호생성부(104)는 부품체크부(103)로부터 체크된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표준연계범위와 비교하여 표준연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표준 연계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번호생성부(104)는 체크된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표준연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표준 연계 번호를 생성하고, 표준연계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표준 연계 번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표준연계범위는 S,O,B자재 코드 간의 공통된 부품의 수로 설정될 수 있다.
통합관리부(110)는 번호생성부(104)로부터 생성된 표준 연계 번호를 공급받아, S,O,B자재 코드에 추가적으로 부여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다. 통합관리부(110)는 입력 또는 저장된 자재 또는 제품의 기본정보, S,O,B자재 코드 및 표준 연계 번호가 부여되는 S,O,B자재 코드를 저장하고, 이들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메인관리부재(100)는 저장부(105), 매칭부(106) 및 디스플레이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05)는 입력되는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5)는 메인관리부재(100) 또는 통합관리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재 또는 제품의 기본정보, S,O,B자재 코드 및 표준 연계 번호가 부여되는 S,O,B자재 코드를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매칭부(106)는 표준 연계 번호가 추가된 S,O,B자재 코드들을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매칭부(106)는 공통된 표준 연계 번호를 중심으로 다수의 S,O,B자재 코드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부(106)는 제1 S자재 코드의 표준 연계 번호와 제1 B자재 코드의 표준 연계 번호 중 표준 연계 번호가 동일하면, 제1 S자재 코드와 제1 B자재 코드를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7)는 자재 또는 제품, S,O,B자재 코드들을 입력하거나 검색하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7)는 자재, 제품 또는 S,O,B자재 코드들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7)는 S자재관리부재(10), O자재관리부재(20) 및 B자재관리부재(30)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S자재관리부재(10), O자재관리부재(20) 및 B자재관리부재(30)는 디스플레이부(107)를 통해 자재 또는 제품, S,O,B자재 코드들을 입력하거나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는 조선소 별, 프로젝트 별, 벤더 별의 개별적인 자재 코드에 서로 연계 통합 또는 표준화할 수 있는 표준 연계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다양한 프로젝트와 자재 사양 등으로 인해 선주, 조선소, 기자재 업체 간에 효율적인 자재 적용 및 관리를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이에 조선소의 건조 공사시 발생하는 잉여재에 대한 관리시스템 미비로 불필요한 인력 소모, 공정 지연에 따른 생산성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는 조선소 별, 프로젝트 별, 벤더 별의 개별적인 자재 코드에 서로 연계 통합 또는 표준할 수 있는 표준 연계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설계, 생산, 인도 후 자재 관리에 효율성을 높이고 더불어 잉여재의 상호 활용, 원가절감 등 조선소 및 기자재 업체 손실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방법은 코드생성단계(S10), 코드연계단계(S20) 및 코드관리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생성단계(S10)는 주체 별로 자재 또는 제품의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주체 별로 개별적인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자재관리부재(10)는 조선소 별로 입력되는 자재 또는 제품에 조선소의 개별 번호를 부여하여 S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S자재관리부재(10)는 조선소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그에 최적화되도록 S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O자재관리부재(20)는 프로젝트 별로 입력되는 자재 또는 제품에 프로젝트의 번호를 부여하여 O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O자재관리부재(20)는 프로젝트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그에 최적화되도록 O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B자재관리부재(30)는 벤더 별로 입력되는 자재 또는 제품에 벤더의 개별 번호를 부여하여 B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B자재관리부재(30)는 프로젝트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그에 최적화되도록 B자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코드연계단계(S20)는 주체 별로 생성되는 개별적인 코드를 입력 받아 분석하고, 기설정된 표준연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표준 연계 번호를 추가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코드연계단계(S20)는 분석단계(S21), 분류단계(S22), 체크단계(S23), 번호생성단계(S24) 및 매칭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단계(S21)는 입력되는 S자재 코드, O자재 코드, B자재 코드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단계(S21)는 S,O,B자재 코드를 자재 또는 제품의 재질, 크기, 무게, 색상을 비롯하여, 적용되는 기기와 장치 또는 결합되는 부품까지 세분화하여 분석할 수 있다.
분류단계(S22)는 분석단계(S21)에서 분석된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상위분류에서 하위분류로 분류할 수 있다. 분류단계(S22)는 S,O,B자재 코드를 자재 또는 제품의 최소 품목까지 순차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체크단계(S23)는 분류단계(S22)에서 분류된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이들 중 공통된 부품들을 체크할 수 있다. 체크단계(S23)는 분류된 S자재 코드, O자재 코드, B자재 코드에서 공통된 부품,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품, 서로 연관 또는 호환되는 부품, 결합되는 부품 등으로 그룹화하고 체크할 수 있다. 체크단계(S23)는 그룹화된 부품을 체크함으로써, S자재 코드, O자재 코드, B자재 코드 간의 호환성 또는 관련성을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번호생성단계(S24)는 체크단계(S23)에서 체크된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표준연계범위와 비교하여 표준연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표준 연계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번호생성단계(S24)는 체크된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표준연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표준 연계 번호를 생성하고, 표준연계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표준 연계 번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표준연계범위는 S,O,B자재 코드 간의 공통된 부품의 수로 설정될 수 있다.
번호생성단계(S24) 이후에는 매칭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단계(S25)는 표준 연계 번호가 추가된 S,O,B자재 코드들을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매칭단계(S25)는 공통된 표준 연계 번호를 중심으로 다수의 S,O,B자재 코드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단계(S25)는 제1 S자재 코드의 표준 연계 번호와 제1 B자재 코드의 표준 연계 번호 중 표준 연계 번호가 동일하면, 제1 S자재 코드와 제1 B자재 코드를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코드관리단계(S30)는 번호생성부(104)로부터 생성된 표준 연계 번호를 공급받아, S,O,B자재 코드에 추가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코드관리단계(S30)는 입력 또는 저장된 자재 또는 제품의 기본정보, S,O,B자재 코드 및 표준 연계 번호가 부여되는 S,O,B자재 코드를 저장하고, 이들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코드관리단계(S30)는 S,O,B자재관리부재(10,20,30)들 중 하나의 자재관리부재에서 관리자 또는 담당자가 S,O,B자재 코드를 검색하면, S,O,B자재 코드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게다가, 검색된 S,O,B자재 코드에 표준 연계 번호가 있을 경우에는 동일한 표준 연계 번호를 가지는 S,O,B자재 코드까지 동시에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코드관리단계(S30)는 자재 또는 제품의 기본정보, 입력되는 S,O,B자재 코드, 표준 연계 번호가 부여된 S,O,B자재 코드, 및 표준 연계 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S,O,B자재 코드를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코드관리단계(S30)는 이들을 날짜별, 시간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거나, 장소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방법은 조선소 별, 프로젝트 별, 벤더 별의 개별적인 자재 코드에 서로 연계 통합 또는 표준화할 수 있는 표준 연계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다양한 프로젝트와 자재 사양 등으로 인해 선주, 조선소, 기자재 업체 간에 효율적인 자재 적용 및 관리를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선소 측면에서는 내부적으로 호선별 자재보다 공통 자재가 많아야 타호선 재고 및 잉여재의 용이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현재 조선소 공사의 다양성과 다양한 스펙으로 인해 각 사의 코드 생성 시스템은 불어나는 호선 자재를 공통 자재 코드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관리 방법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개별적인 자재 코드에 서로 연계 통합 또는 표준화할 수 있는 표준 연계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조선소별 내부적으로 자재의 재고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재고를 줄이고 불필요한 추가 자재 발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벤더 측면에서 기자재 물류센터를 통해 조선소에 통합 물류 방식으로 공급하는 자재가 많아, 벤더별 패킹 리스트 등으로 호환 관리하는 것이 현 관리체계로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관리 방법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개별적인 자재 코드에 서로 연계 통합 또는 표준화할 수 있는 표준 연계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공통재, 긴급자재 등의 기자재 업체와 조선소 간의 효율적인 물류 공급 컨트롤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또한, 주문주/선주 측면에서 주문주는 프로젝트 Tag No. 기반으로 자재명, 사양과 벤더, 조선소 코드를 참조하여 자재 발주를 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관리 방법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개별적인 자재 코드에 서로 연계 통합 또는 표준화할 수 있는 표준 연계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호선 인도 전 주문주 Spare, 인도 후 Maintenance에도 코드의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번호생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번호생성단계(S24)는 체크단계(S23)에서 체크된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을 수 있다.
체크된 S,O,B자재 코드는 표준연계범위와 비교(S241)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연계범위는 S,O,B자재 코드 간의 공통된 부품의 수로 설정될 수 있다. 즉, S,O,B자재 코드 간의 공통된 부품의 수가 일정한 범위를 넘으면, 서로 호환될 확률이 매우 높아질 수 있다. 이에 통합관리부(110) 또는 메인관리부재(100)는 표준연계범위를 주체 별로 따로 설정하여 각각의 자재 또는 제품에 대한 호환성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주체는 조선소, 프로젝터, 벤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된 S,O,B자재 코드가 표준연계범위에 만족(S241)하면, 표준 연계 번호를 생성(S242)할 수 있다. 생성된 표준 연계 번호는 S,O,B자재 코드에 추가적으로 부여(S243)될 수 있다.
표준 연계 번호가 부여된 S,O,B자재 코드들끼리 서로 매칭될 수 있다. 이에 이들 중 하나가 검색되면, 동일한 표준 연계 번호가 부여된 S,O,B자재 코드들도 동시에 검색될 수 있다.
또한, 체크된 S,O,B자재 코드가 표준연계범위에 만족(S241)하지 않으면, 표준 연계 번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S,O,B자재 코드에 표준 연계 번호가 부여되지 않는다.
통합관리부(110, 도 1 참조) 또는 메인관리부재(100, 도 1 참조)는 표준 연계 번호가 부여된 S,O,B자재 코드들과 표준 연계 부호가 부여되지 않은 S,O,B자재 코드들을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방법은 조선소 별, 프로젝트 별, 벤더 별의 개별적인 자재 코드에 서로 연계 통합 또는 표준화할 수 있는 표준 연계 코드를 추가적으로 부여함으로써, 다양한 프로젝트와 자재 사양 등으로 인해 선주, 조선소, 기자재 업체 간에 효율적인 자재 적용 및 관리를 개선시킬 수 있다.
도 4는 자재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S,O,B자재 코드는 다수의 숫자와 알파벳으로 표시될 수 있다.
S,O,B자재 코드는 공사 코드, 자재 플래그, 전장재류, 자재 종류, 자재 소분류, 형식, 재질, 색상, 일련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사코드(CODE)는 4자리로 배열될 수 있다. 공사코드는 알파벳으로 표시될 수 있다.
자재 플래그(FLAG)는 공사코드의 마지막 자리 이후에 한 자리로 배열될 수 있다. 자재 플래그(FLAG)는 알파벳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은 표준자재, A는 비표준 자재, E는 주문주 공급자재, T는 제작품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저장재류(ELECTRIC MATERIAL)는 자재 플래그의 이후에 한자리로 배열될 수 있다. 저장재류는 알파벳으로 표시될 수 있다.
자재 종류(ITEM)는 저장재류의 이후에 한자리로 배열될 수 있다. 자재 종류는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자재 소분류(ITEM)는 자재 종류의 이후에 한자리로 배열될 수 있다. 자재 소분류는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형식(TYPE)은 자재 소분류의 이후에 한자리로 배열될 수 있다. 형식은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재질(MATERIAL)은 형식의 이후에 한자리로 배열될 수 있다. 재질은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색상(COLOL)은 재질의 이후에 한자리로 배열될 수 있다. 색상은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일련번호(SERIAL No.)는 색상의 이후에 4자리로 배열될 수 있다. 일련번호는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일련번호 이후, 표준 연계 번호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리로 배열될 수 있다. 표준 연계 번호는 숫자 또는 알파벳이 혼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S,O,B자재 코드를 통해 공사 코드, 자재 플래그, 전장재류, 자재 종류, 자재 소분류, 형식, 재질, 색상, 일련번호 및 표준 연계 번호 등을 동시에 인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에 휴대 기기가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는 S자재관리부재(10), O자재관리부재(20), B자재관리부재(30), 메인관리부재(100) 및 휴대 기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S자재관리부재(10), O자재관리부재(20), B자재관리부재(30), 메인관리부재(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휴대 기기(200)는 관리자 또는 담당자들이 휴대할 수 있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200)는 자재코드를 검색하거나 검색된 자재코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휴대 기기(200)는 자재코드를 검색할 경우, 검색된 자재코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이에 대한 실물 사진 그리고 호환 가능한 자재 코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관리자 또는 담당자는 휴대 기기(200)를 휴대하고, 담당지역 또는 담당구역을 순찰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 또는 담당자는 휴대 기기(2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자재코드 등을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재 또는 제품에 대한 재고사항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200)를 통해 자재 코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자재코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 사진 그리고 호환 가능한 자재 코드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자재관리부재(10), O자재관리부재(20), B자재관리부재(3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07)를 통해서도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재 코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자재코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 사진 그리고 호환 가능한 자재 코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는 휴대 기기(200)뿐만 아니라 4차 산업에도 용이하게 적용되거나 도입될 수 있다. 4차 산업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가상현실, 위치기반이 접목된 사업을 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는 휴대 기기(200) 또는 4차 산업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자재 표준화와 긴급자재, 잉여재 상호 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통합적 분류 및 발주 품목 단순화를 통해 Vendor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납품 단가를 인하시킬 수 있다.
상기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는 복수의 조선소를 컴퓨터통신망으로 서로 연결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선협회나 정부출연연구소 등 특정장소에 서버를 두고 운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자재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는 선박 건조시 사용하고 남은 잉여 자재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300)(이하,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라 한다)와,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잉여 자재의 종류에 따라 제공되는 속성정보 입력창을 통해 입력받은 속성정보와 일치하는 자재의 표준코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표준코드를 이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하여 관리하는 자재 관리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속성정보 입력창은 자재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300)는 조선소 또는 자재공급업체에서 관리되는 자재 중 잉여 자재를 등록할 수 있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조선소 또는 자재공급업체의 관리자에 의해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300)를 통해 선박 건조시에 사용하고 남은 잉여 자재 또는 자재공급업체의 잉여 자재를 등록할 수 있다.
상술된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300)는 노트북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300)는 카메라가 설치된 전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사진파일을 수신하거나, 카메리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300)는 정보통신망(400)을 통해 자재 관리 서버(500)에 통신접속을 이룬 후 등록하고자 하는 잉여 자재 등록정보를 입력받는다. 잉여 자재 등록정보는 잉여 자재의 종류,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 및 잉여 자재의 수량을 포함한다.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300)는 사용자에 의해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받고, 잉여 자재의 종류에 상응하게 설정된 속성정보를 입력받으며, 잉여 자재의 수량을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받은 후에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받고 그 후에 잉여 자재의 수량을 입력받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받을 때 잉여 자재의 수량을 함께 입력받을 수도 있다.
조선소에서 사용하고 남은 잉여 자재 또는 자재공급업체에서 남은 잉여자재는 선박 건조시에 사용되는 자재를 포함한다.
정보통신망(400)은 유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TCP/IP 프로토콜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WAP 프로토콜 등을 사용한 인터넷망, 내부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300)는 정보통신망(400)(예를 들면, 인터넷망)을 통해 자재 관리 서버(500)에 연결되어 있다.
자재 관리 서버(500)는 잉여 자재의 종류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종류에 설정되어 있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속성정보 입력창을 제공한다. 속성정보 입력창에는 자재의 크기, 무게, 길이, QR코드 및 사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자재 관리 서버(500)는 속성정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모두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설정된 표준코드를 표준코드DB(510)로부터 검색한다. 표준코드DB(510)에는 사전 정의된 자재의 속성정보에 매칭시켜 표준코드가 설정되어 있다.
더 자세하게, 자재 관리 서버(500)는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 중 예를 들면, 자재의 크기, 무게 및 길이와 모두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1차로 검색하고, 검색된 자재의 속성정보에 매칭시켜 설정된 표준코드를 2차로 검색하여 검색된 표준코드를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한다.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 중 자재의 크기, 무게 및 길이 외에도 QR 코드를 이용하여 자재의 표준코드를 검색하거나, 자재를 촬영한 사진을 영상 처리 기법으로 해석하여 자재의 표준코드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검색된 표준코드를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하여 관리함으로써, 잉여 자재가 발생되더라도 조선소 또는 자재공급업체에서 동일한 자재의 속성정보를 갖는 표준코드로 통일화시킬 수 있어서 잉여 자재의 판매가 가능하다. 또한, 수개월동안의 소요시간이 필요한 예를 들면 긴급 자재의 표준코드가 잉여 자재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신속하게 자재를 수급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자재 관리 서버(500)는 잉여 자재 등록부(500a), 표준코드 검색부(500b) 및 잉여 자재 관리부(500c)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잉여 자재 등록부(500a)는 정보통신망(400)에 통신 접속을 이룬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300)로부터 잉여 자재 등록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신호에 반응하여 잉여 자재 등록을 위한 화면정보를 제공한다. 잉여 자재 등록을 위한 화면 정보에는 잉여 자재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한다.
잉여 자재 등록부(500a)는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300)로부터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 또는 선택받으면, 입력 또는 선택받은 잉여 자재의 종류에 상응하게 설정된 속성정보 입력창을 화면상에 제공한다. 속성정보 입력창은 자재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어 있으며, 자재의 종류별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잉여 자재 등록부(500a)는 속성정보 입력창을 통해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잉여 자재 수량을 입력받는다.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는 잉여 자재의 크기, 무게 및 재질 등을 포함한다.
표준코드 검색부(500b)는 잉여 자재 등록부(500a)에 의해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일치하는 표준코드를 표준코드DB(510)로부터 검색한다. 표준코드DB(510)에는 자재의 속성정보와 매칭시켜 표준코드를 저장하고 있다.
잉여 자재 관리부(500c)는 표준코드 검색부(500b)로부터 검색된 표준코드를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하고, 결정된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와 잉여 자재의 수량을 잉여 자재DB(520)에 저장 및 관리한다.
잉여 자재 관리부(500c)는 정보통신망(400)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구매요청자의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구매를 희망하는 자재의 자재코드를 입력받으면, 잉여 자재 DB(520)에서 일치하는 자재코드를 찾고, 잉여 자재DB(520)에 자재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자재코드와 연관지어 저장된 자재의 수량을 제공하여 구매를 희망하는 수량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매를 희망하는 자재의 자재코드는 자재의 속성정보별로 설정된 표준코드로서, 표준코드를 모르는 구매 희망자의 경우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하여 표준코드를 찾아야 한다. 구매 희망자가 표준코드를 알고 있는 경우 표준코드를 찾는 과정없이 자재의 자재코드입력란에 표준코드를 입력하면 구매할 수 있는 자재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잉여 자재의 등록시 표준코드로 통일화시켜 자재의 자재코드를 관리함으로써 잉여 자재의 관리가 용이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를 이용한 통합 자재 관리 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자재 관리 서버(500)는 정보통신망(400)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받는다(S110).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하는 사용자는 조선소 또는 자재공급업체에서 자재를 관리하는 관리자일 수 있다.
자재 관리 서버(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여 자재의 종류에 상응하게 설정된 속성정보 입력창을 제공한다(S130).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속성정보 입력창을 제공하거나, 도 9의 속성정보 입력창과 도 10의 속성정보 입력창을 포함하는 하나의 속성정보 입력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자재 관리 서버(500)는 크기, 무게, 길이, 재질, 사진, 그리고 QR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속성정보 입력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잉여 자재가 파이프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자재 관리 서버(500)는 속성정보 입력창을 통해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받는다(S150).
자재 관리 서버(500)는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모두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설정된 표준코드를 표준코드DB(510)로부터 검색한다(S170). 표준코드DB(510)에는 자재의 속성정보와 매칭시켜 표준코드가 설정되어 있다.
즉 자재 관리 서버(500)는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모두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표준코드DB(510)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자재의 속성정보에 매칭시켜 저장된 표준코드를 검색할 수 있다.
자재 관리 서버(500)는 검색된 표준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검색된 표준코드를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하여 관리한다(S190).
이후, 자재 관리 서버(500)는 결정된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와 해당 잉여 자재의 수량을 잉여 자재DB(520)에 저장 및 관리한다. 잉여 자재의 수량은 표준코드를 검색한 이후에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잉여 자재의 코드가 조선소 또는 자재공급업체별로 상이하여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모두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매칭시킨 표준코드로 통일화시켜 관리함으로써 조선소 또는 자재공급업체에서 남은 잉여 자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는 표준코드가 부여된 잉여 자재를 창고에 보관하고, 보관된 창고에서 잉여 자재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는 잉여 자재의 표준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표준코드가 부여된 잉여 자재의 수량 및 발송일을 포함하는 잉여 자재의 발송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잉여 자재의 발송정보를 기반으로 잉여 자재의 도착이 확인되면 창고에 배치될 배치정보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정보는 잉여 자재에 부여된 표준코드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표준코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자재의 종류에 상응하게 설정된 속성정보 입력창을 통해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받아 상술된 표준코드DB(510)로부터 검색하여 검색된 표준코드를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됨은 물론이다.
상술된 배치정보는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와,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수량을 포함하는 잉여 자재의 등록정보에 연관지어 잉여 자재DB(520)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재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로부터 표준코드가 입력되면 표준코드를 통해 잉여 자재DB(520)에 저장 및 관리되는 잉여 자재의 존재 유무, 가격 및 수량을 조회하여 제공하고,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자재대금비용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어 배송 처리를 수행할 때 잉여 자재DB(520)에 저장된 배치정보를 조회하여 창고에서 해당 자재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자재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는 선박 건조시 조선소에서 사용하고 남은 잉여 자재를 등록하기 위한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700)와, 등록된 잉여 자재를 구매 요청하는 구매자용 단말기(750)와,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700)로부터 등록 요청된 잉여 자재의 등록정보를 입력받아 잉여 자재DB(920)에 저장 및 관리하고, 구매자용 단말기(750)로부터 요청된 자재의 가격 및 수량을 이용하여 계산된 자재대금의 결제가 완료되면 배송처리를 수행하는 자재 관리 서버(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재 관리 서버(900)는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700)로부터 수신된 잉여 자재의 종류에 따라 제공되는 속성정보 입력창을 통해 입력받은 속성정보와 일치하는 자재의 표준코드를 검색한다. 속성정보 입력창은 자재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자재 관리 서버(900)는 검색된 표준코드를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조선소별 상이하게 관리하는 동일한 잉여 자재에 대해 표준코드로 통일시켜 잉여 자재의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재 관리서버(900)는 자재의 구매를 요청하는 구매자용 단말기(750)로부터 입력된 표준코드를 통해 잉여 자재DB(920)로부터 잉여 자재의 존재 유무, 가격 및 수량을 조회하고, 조회된 잉여 자재의 수량 중에서 구매자용 단말기(750)로부터 입력된 수량과 해당 잉여 자재의 가격을 이용하여 계산된 자재대금을 제공하여 제공된 자재대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를 요청한 자재의 배송처리를 수행한다.
잉여 자재는 조선소에서 사용하고 남은 재고로, 그 잉여 자재의 가격 또는 단가는 자재공급업체를 통해 구매하는 가격 또는 단가보다 적은 금액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 요청자는 원하는 자재를 조선소에서 사용하지 않고 남은 잉여 자재로 구매할 수 있어, 원가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자재를 구매할 수 있다.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700)는 조선소에서 관리되는 자재 중 잉여 자재를 등록할 수 있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조선소의 관리자에 의해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700)를 통해 선박 건조시에 사용하고 남은 잉여 자재를 등록할 수 있다.
상술된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700)는 노트북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700)는 카메라가 설치된 전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사진파일을 수신하거나,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700)는 정보통신망(800)을 통해 자재 관리 서버(900)에 통신접속을 이룬 후 등록하고자 하는 잉여 자재 등록정보를 입력받는다. 잉여 자재 등록정보는 잉여 자재의 종류,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잉여 자재의 수량을 포함한다.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700)는 사용자에 의해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받고, 잉여 자재의 종류에 상응하게 설정된 속성정보를 입력받으며,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수량을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받은 후에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받고 그 후에 잉여 자재의 수량을 입력받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받을 때 잉여 자재의 가격과 수량을 함께 입력받을 수도 있다.
구매자용 단말기(750)는 자재의 구매를 요청하는 구매자로부터 표준코드 또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자재의 구매가 가능한 경우, 수량 및 배송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술된 구매자용 단말기(750)는 노트북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통신망(800)은 유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TCP/IP 프로토콜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WAP 프로토콜 등을 사용한 인터넷망, 내부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700) 및 구매자용 단말기(750)는 정보통신망(800)(예를 들면, 인터넷망)을 통해 자재 관리 서버(900)에 연결되어 있다.
자재 관리 서버(900)는 잉여 자재의 종류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종류에 설정되어 있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속성정보 입력창을 제공한다. 속성정보 입력창에는 자재의 크기, 무게, 길이, QR코드 및 사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자재 관리 서버(900)는 속성정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모두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설정된 표준코드를 표준코드DB(910)로부터 검색한다. 표준코드DB(910)에는 사전 정의된 자재의 속성정보에 매칭시켜 표준코드가 설정되어 있다.
더 자세하게, 자재 관리 서버(900)는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 중 예를 들면, 자재의 크기, 무게 및 길이와 모두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1차로 검색하고, 검색된 자재의 속성정보에 매칭시켜 설정된 표준코드를 2차로 검색하거나 또는 설정된 표준코드를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한다.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 중 자재의 크기, 무게 및 길이 외에도 QR 코드를 이용하여 자재의 표준코드를 검색하거나, 자재를 촬영한 사진을 영상 처리 기법으로 해석하여 자재의 표준코드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검색된 표준코드를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하여 관리함으로써, 잉여 자재가 발생되더라도 조선소 또는 자재공급업체에서 동일한 자재의 속성정보를 갖는 표준코드로 통일화시킬 수 있어서 잉여 자재의 판매가 가능하다. 또한, 수개월 동안의 소요시간이 필요한 예를 들면 긴급 자재가 잉여 자재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신속하게 자재를 수급할 수 있다.
한편, 자재 관리 서버(900)는 결정된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와,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700)로부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수량을 포함하는 잉여 자재의 등록정보를 잉여 자재DB(920)에 저장 및 관리한다.
자재 관리 서버(900)는 정보통신망(800)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구매자용 단말기(750)로부터 입력된 표준코드를 통해 잉여 자재DB(920)로부터 잉여 자재의 존재 유무와 수량을 조회하여 구매자용 단말기(750)에 제공하면, 구매자용 단말기(750)로부터 조회된 수량의 전부 또는 일부의 수량을 선택 또는 입력받아서 잉여 자재의 등록정보에 포함된 가격을 이용하여 계산된 자재대금을 구매자용 단말기(750)에 제공한다.
또한, 자재 관리 서버(900)는 자재 대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자용 단말기(750)로부터 구매를 요청한 자재의 배송 처리를 수행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자재 관리 서버(900)는 잉여 자재 등록부(900a), 표준코드 검색부(900b), 잉여 자재 관리부(900c) 및 구매 처리부(900d)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잉여 자재 등록부(900a)는 정보통신망(800)에 통신 접속을 이룬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700)로부터 잉여 자재 등록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신호에 반응하여 잉여 자재 등록을 위한 화면정보를 제공한다. 잉여 자재 등록을 위한 화면 정보에는 잉여 자재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한다.
잉여 자재 등록부(900a)는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700)로부터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 또는 선택받으면, 입력 또는 선택받은 잉여 자재의 종류에 상응하게 설정된 속성정보 입력창을 화면상에 제공한다. 속성정보 입력창은 자재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어 있으며, 자재의 종류별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잉여 자재 등록부(900a)는 속성정보 입력창을 통해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수량을 입력받는다.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는 잉여 자재의 크기, 무게 및 재질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속성정보 입력창에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수량을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속성정보 입력창에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하고,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수량을 별도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공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준코드 검색부(900b)는 잉여 자재 등록부(900a)에 의해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일치하는 표준코드를 표준코드DB(910)로부터 검색한다. 표준코드DB(910)에는 자재의 속성정보와 매칭시켜 표준코드를 저장하고 있다.
잉여 자재 관리부(900c)는 표준코드 검색부(900b)로부터 검색된 표준코드를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하고, 결정된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수량을 포함하는 잉여 자재 등록정보를 잉여 자재DB(920)에 저장 및 관리한다.
잉여 자재 관리부(900c)는 정보통신망(800)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구매요청자의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구매를 희망하는 자재의 표준코드를 입력받으면, 잉여 자재 DB(920)에서 입력받은 자재의 표준코드와 일치하는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를 찾고, 잉여 자재DB(920)에 자재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자재코드의 가격 및 수량을 제공한다.
구매 처리부(900d)는 구매를 희망하는 자재의 자재대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자가 원하는 배송지로 자재의 배송 처리를 수행한다.
자재대금은 카드결제방식, 계좌이체결제방식 및 포인트결제방식 중 선택된 결제방식을 통해 결제될 수 있다. 자재의 배송 처리는 구매자용 단말기(750)로부터 배송지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배송지 정보와 자재를 택배 서비스센터로 보내고, 택배 서비스센터에서 배송완료되면 구매자에게 배송완료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용 단말기(750)로부터 입력받는 표준코드는 자재의 속성정보별로 설정된 표준코드로서, 표준코드를 모르는 구매 희망자의 경우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하여 표준코드를 찾아야 한다. 구매 희망자가 표준코드를 알고 있는 경우 표준코드를 찾는 과정없이 자재의 자재코드 입력란에 표준코드를 바로 입력하면 구매할 수 있는 자재의 가격과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잉여 자재의 등록시 표준코드로 통일화시켜 자재의 자재코드를 관리하고, 자재의 구매를 희망하는 구매자용 단말기(750)로부터 입력된 표준코드를 통해 잉여 자재의 존재 유무, 가격 및 수량을 조회할 수 있어, 조선소에서 필요로 하는 자재를 잉여 자재로 쉽게 구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를 이용한 통합 자재 관리 방법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자재 관리 서버(900)는 정보통신망(800)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700)로부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종류 및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를 통해 표준코드를 검색하여 검색된 표준코드를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한다(S310).
더 자세하게, 자재 관리 서버(900)는 정보통신망(800)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잉여 기자재 등록용 단말기(700)로부터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종류에 상응하게 설정된 속성정보 입력창을 제공하여 제공된 입력창을 통해 속성정보를 입력받는다. 이와 같이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모두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표준코드DB(910)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자재의 속성정보에 매칭시켜 표준코드를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한다. 표준코드DB(910)에는 자재의 속성정보와 매칭시켜 표준코드가 설정되어 있다.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700)를 통해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하는 사용자는 조선소에서 자재를 관리하는 관리자일 수 있다.
자재 관리 서버(900)는 결정된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와,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10)로부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수량을 포함하는 잉여 자재의 등록정보를 잉여 자재DB(920)에 저장 및 관리한다(S330).
이후, 자재 관리 서버(900)는 정보통신망(20)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구매자용 단말기(750)로부터 자재의 구매가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50).
상기 S350 단계의 판단결과, 정보통신망(800)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구매자용 단말기(750)로부터 자재의 구매가 요청되지 않은 경우, 자재 관리 서버(900)는 소정시간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소정시간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자재 관리 서버(900)와의 접속이 종료되면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기 S350 단계의 판단결과, 정보통신망(800)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구매자용 단말기(750)로부터 자재의 구매가 요청된 경우, 자재 관리 서버(900)는 구매자용 단말기(750)로부터 표준코드를 입력받는다(S370). 본 실시예에서는 표준코드를 직접 입력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표준코드를 모르면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제공될 수 있다. 자재 관리 서버(900)는 입력창을 통해 입력받은 자재의 속성정보와 모두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매칭시켜 저장된 표준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자재 관리 서버(900)는 입력받은 표준코드를 기초로 잉여 자재DB(920)로부터 일치하는 잉여 자재의 존재 유무, 가격 및 수량을 조회한다(S390).
자재 관리 서버(900)는 조회된 잉여 자재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수량을 참고하여 구매자용 단말기(750)로부터 입력된 수량을 가격에 곱하여 계산된 자재대금을 제공한다(S410).
자재 관리 서버(900)는 자재 대금의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 요청한 자재의 배송 처리를 수행한다(S430). 자재의 배송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배송지 정보를 입력받아 배송지 정보로 자재가 배송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잉여 자재의 코드가 조선소별로 상이하여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잉여 자재를 용이하게 판매할 수 있다.
즉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모두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매칭시킨 표준코드로 통일화시켜 관리함으로써 조선소 또는 자재공급업체에서 남은 잉여 자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고, 자재의 구매를 요청하는 구매요청자도 표준코드 또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하여 잉여 자재DB(32)에 저장된 잉여 자재의 존재 유무, 해당 잉여 자재의 가격과 수량을 조회하여 제공함으로써 조선서에서 필요로 하는 자재를 타 조선소에서 사용하고 남은 잉여 자재로 구입하여 선박 건조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자재의 특성상 주문후 긴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자재의 경우, 잉여 자재로 등록되어 있다면 오랜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어 선박 건조시 자재 수급이 늦어질때 발생되는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 : S 자재관리부재 20 : O 자재관리부재
30 : B 자재관리부재 100 : 메인관리부재
101 : 분석부 102 : 분류부
103 : 부품체크부 104 : 번호생성부
105 : 저장부 106 : 매칭부
107 : 디스플레이부 110: 통합관리부

Claims (25)

  1. 자재 또는 제품을 관리하는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에 있어서,
    조선소 별로 입력되는 자재 또는 제품에 조선소의 개별 번호를 부여하여 S자재 코드를 생성하는 S자재관리부재;
    프로젝트 별로 입력되는 자재 또는 제품에 프로젝트의 개별 번호를 부여하여 O자재 코드를 생성하는 O자재관리부재;
    벤더 별로 입력되는 자재 또는 제품에 벤더의 개별 번호를 부여하여 B자재 코드를 생성하는 B자재관리부재; 및
    상기 S자재 코드, 상기 O자재 코드, 상기 B자재 코드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분석하는 메인관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관리부재는
    분석된 상기 S,O,B자재 코드를 상위분류에서 하위분류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S,O,B자재 코드들이 기설정된 표준연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표준 연계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S,O,B자재 코드에 추가적으로 부여하여 통합 관리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
  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리부재는
    입력되는 상기 S,O,B자재 코드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상기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상위분류에서 하위분류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분류부로부터 분류된 상기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이들 중 공통된 부품들을 체크하는 부품체크부;
    상기 부품체크부로부터 체크된 상기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상기 표준연계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표준연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상기 표준 연계 번호를 생성하는 번호생성부; 및
    상기 번호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표준 연계 번호를 공급받아, 상기 S,O,B자재 코드에 추가적으로 부여하여 통합 관리하는 통합관리부;
    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리부재는 입력되는 상기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리부재는
    상기 표준 연계 번호가 추가된 상기 S,O,B자재 코드들을 서로 매칭시키는 매칭부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S자재관리부재, 상기 O자재관리부재, 상기 B자재관리부재, 상기 메인관리부재 각각은
    상기 자재 또는 상기 제품, 상기 S,O,B자재 코드들을 입력하거나 검색하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리부재는
    상기 S,O,B자재 코드들이 검색되면,
    검색된 상기 S,O,B자재 코드와 상기 표준 연계 번호가 부여된 상기 S,O,B자재 코드까지 함께 검색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
  7. 자재 또는 제품을 관리하는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조선소, 프로젝트, 벤더 별로 자재 또는 제품의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조선소, 상기 프로젝트, 상기 벤더 별로 개별적인 자재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단계;
    상기 조선소, 상기 프로젝트, 상기 벤더 별로 생성되는 개별적인 상기 자재 코드를 입력 받아 분석하고, 기설정된 표준연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표준 연계 번호를 추가적으로 부여하는 코드연계단계; 및
    입력 또는 저장된 상기 자재 또는 상기 제품의 기본정보, 개별적인 상기 자재 코드 및 상기 표준 연계 번호가 부여되는 상기 자재 코드를 저장하고, 이들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하는 코드관리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자재 코드는
    상기 조선소 별로 입력되는 상기 자재 또는 상기 제품에 상기 조선소의 개별 번호가 부여되는 S자재 코드;
    상기 프로젝트 별로 입력되는 상기 자재 또는 상기 제품에 상기 프로젝트의 개별 번호가 부여되는 O자재 코드; 및
    상기 벤더 별로 입력되는 상기 자재 또는 상기 제품에 상기 벤더의 개별 번호가 부여되는 B자재 코드;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코드연계단계는
    입력되는 상기 S자재 코드, 상기 O자재 코드, 상기 B자재 코드를
    분석하는 분석단계;
    상기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상기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상위분류에서 하위분류로 분류하는 분류단계;
    상기 분류단계에서 분류된 상기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이들 중 공통된 부품들을 체크하는 체크단계; 및
    상기 체크단계에서 체크된 상기 S,O,B자재 코드를 공급받아, 표준연계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표준연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표준 연계 번호를 생성하는 번호생성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코드연계단계는
    상기 번호생성단계에서 추가된 상기 표준 연계 번호가 부여되는 상기 S,O,B자재 코드들을 서로 매칭하는 매칭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코드관리단계는
    상기 S,O,B자재 코드가 검색되면, 상기 S,O,B자재 코드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고,
    검색된 상기 S,O,B자재 코드에 상기 표준 연계 번호가 부여된 경우, 동일한 상기 표준 연계 번호를 가지는 상기 S,O,B자재 코드까지 동시에 검색하는 통합 자재 관리 방법.
  12. 조선소 또는 자재공급업체에서 관리하는 자재 중 잉여 자재가 있는 경우, 정보통신망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종류에 상응하는 속성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선박에 설치되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사전 설정된 표준코드를 저장한 표준코드DB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설정된 표준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표준코드를 상기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잉여 기자재의 종류에 상응하는 속성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속성정보 입력창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속성정보 입력창을 통해 상기 잉여 자재의 크기, 무게, 재질, 길이, QR코드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입력받는, 통합 자재 관리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잉여 자재의 수량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수량과 상기 결정된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를 잉여자재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표준코드DB를 참조하여 상기 자재의 크기, 무게, 재질 및 길이와 모두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설정된 표준코드를 검색하는, 통합 자재 관리 방법.
  16. 선박에 설치되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사전 설정된 표준코드를 저장한 표준코드DB; 및
    조선소 또는 자재공급업체에서 관리하는 자재 중 잉여 자재가 있는 경우, 정보통신망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설정된 표준코드를 상기 표준코드DB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표준코드를 상기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하여 관리하는 자재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자재 관리 서버는 상기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종류에 상응하는 속성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속성정보 입력창을 제공하고,
    상기 속성정보는 잉여 자재의 크기, 무게, 재질, 길이, QR코드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자재 관리 서버는 상기 잉여 자재의 수량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수량과 상기 결정된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를 잉여 기자재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자재 관리 서버는 상기 표준코드DB를 참조하여 상기 잉여 자재의 크기, 무게, 재질 및 길이와 모두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설정된 표준코드를 검색하거나, 상기 QR코드의 스캔정보와 일치하는 자재의 표준코드를 검색하거나, 또는 영상 해석 기법으로 해석된 사진의 해석정보와 일치하는 자재의 표준코드를 검색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
  20. 정보통신망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잉여자재 등록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설정된 표준코드를 상기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와, 상기 잉여자재 등록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해당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수량을 포함하는 잉여 자재의 등록정보를 잉여 자재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자재의 구매를 요청하는 구매자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표준코드를 통해 상기 잉여 자재DB로부터 상기 잉여 자재의 존재 유무, 가격 및 수량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잉여 자재의 수량 중에서 상기 구매자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수량을 이용하여 계산된 자재대금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자재대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구매자용 단말기로부터 구매를 요청한 자재의 배송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로부터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종류에 상응하는 속성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선박에 설치되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사전 설정된 표준코드를 저장한 표준코드DB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설정된 표준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표준코드를 상기 잉여 기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방법.
  22. 선박에 설치되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사전 설정된 표준코드를 저장한 표준코드DB;
    잉여 자재의 표준코드와,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수량을 포함하는 잉여 자재의 등록정보를 저장한 잉여 자재DB; 및
    자재의 구매를 요청하는 구매자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표준코드를 통해 상기 잉여 자재DB로부터 상기 잉여 자재의 존재 유무, 가격 및 수량을 조회하고, 조회된 잉여 자재의 수량 중에서 상기 구매자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수량을 이용하여 계산된 자재대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구매자용 단말기로부터 구매를 요청한 자재의 배송 처리를 수행하는 자재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자재 관리 서버는 상기 잉여 자재의 종류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종류에 상응하는 속성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속성정보 입력창을 제공하고,
    상기 속성정보는 잉여 자재의 크기, 무게, 재질, 길이, QR코드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자재 관리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잉여 자재 등록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잉여 자재의 속성정보와 일치하는 자재의 속성정보에 설정된 표준코드를 상기 표준코드DB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잉여 자재의 자재코드와 연관지어 해당 잉여 자재의 가격 및 수량을 포함하는 잉여 자재의 등록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잉여 자재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자재 관리 서버는 상기 구매자용 단말기로부터 구매를 희망하는 자재의 속성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자재의 속성정보와 일치하는 표준코드를 상기 표준코드DB로부터 검색하여 검색된 표준코드를 상기 구매자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합 자재 관리 장치.
KR1020170096723A 2017-07-31 2017-07-31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와 방법 KR102508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723A KR102508478B1 (ko) 2017-07-31 2017-07-31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723A KR102508478B1 (ko) 2017-07-31 2017-07-31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952A true KR20190012952A (ko) 2019-02-11
KR102508478B1 KR102508478B1 (ko) 2023-03-09

Family

ID=65369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723A KR102508478B1 (ko) 2017-07-31 2017-07-31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47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5157A (zh) * 2020-07-14 2020-11-10 襄阳微时间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信息编码的预制构件施工管理方法
KR20210055538A (ko) 2019-11-07 2021-05-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타워형 자재창고 시스템
KR20210063130A (ko) 2019-11-22 2021-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 프로젝트에 대한 자재 속성 체계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21145497A1 (ko) * 2020-01-13 2021-07-22 김재훈 빅데이터에 기반한 전자 부품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의 전자 부품에 대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144390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대림 터널 시공문서 자동 생성 방법
KR20230050720A (ko) 2021-10-08 2023-04-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빅데이터를 이용한 선박의 자재관리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6954A (ko) * 1999-12-08 2001-07-11 신한철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표준화된 품목 콘텐츠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4581A (ko) * 2009-11-18 2011-05-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를 위한 발주 처리 시스템
JP2013182321A (ja) * 2012-02-29 2013-09-12 Nec Soft Ltd 製造業支援装置及び製造業支援方法
KR20150077982A (ko) 2013-12-30 2015-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및 해양 구조물 자재 관리 방법
KR20170056243A (ko) * 2015-11-13 2017-05-23 에이스엔지니어링(주) 제품의 표준화 번호 넘버링(numbering) 방법과 제품의 표준화 번호 넘버링 기능이 구비된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6954A (ko) * 1999-12-08 2001-07-11 신한철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표준화된 품목 콘텐츠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4581A (ko) * 2009-11-18 2011-05-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를 위한 발주 처리 시스템
JP2013182321A (ja) * 2012-02-29 2013-09-12 Nec Soft Ltd 製造業支援装置及び製造業支援方法
KR20150077982A (ko) 2013-12-30 2015-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및 해양 구조물 자재 관리 방법
KR20170056243A (ko) * 2015-11-13 2017-05-23 에이스엔지니어링(주) 제품의 표준화 번호 넘버링(numbering) 방법과 제품의 표준화 번호 넘버링 기능이 구비된 관리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538A (ko) 2019-11-07 2021-05-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타워형 자재창고 시스템
KR20210063130A (ko) 2019-11-22 2021-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 프로젝트에 대한 자재 속성 체계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21145497A1 (ko) * 2020-01-13 2021-07-22 김재훈 빅데이터에 기반한 전자 부품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의 전자 부품에 대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144390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대림 터널 시공문서 자동 생성 방법
CN111915157A (zh) * 2020-07-14 2020-11-10 襄阳微时间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信息编码的预制构件施工管理方法
CN111915157B (zh) * 2020-07-14 2023-12-08 襄阳微时间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信息编码的预制构件施工管理方法
KR20230050720A (ko) 2021-10-08 2023-04-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빅데이터를 이용한 선박의 자재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478B1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8478B1 (ko) 선박의 통합 자재 관리 장치와 방법
US7617133B1 (en) Dynamic determination of item returns during transit
US81709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hipment of packages
US8560461B1 (en) Shipment splitting analyzer
US85604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mand driven collaborative procurement, logistics, and authenticity establishment of luxury commodities using virtual inventories
WO2005103988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national shipping and brokerage operations support processing
JP2003167999A (ja) プラント管理システム
US201101848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products and materials using an electronic sku finder
US7487119B2 (en) Physical distribution business management method, physical distribution business manage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220000529A (ko) 실시간으로 재고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US117273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cessing
US200600898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reporting of vendor non-compliance
US104101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ceiving, inspection, and supplier quality system
JP3997067B2 (ja) 在庫管理方法、および、在庫管理システム
KR101767185B1 (ko) 실시간 자산관리서버를 구비하는 통합형 복화운송시스템
US7730046B2 (en) Nomination locking system and method
US20170147978A1 (en) Executing shipments based on physical trade documents
JP2001184420A (ja) 物流システム及び物流装置
KR20220153720A (ko) 상품 분류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0400984B1 (ko) 경매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0024A (ko) 수요자 기반 조선, 해운 및 기자재 통합 디지털 플랫폼 시스템
KR20210102574A (ko) 실시간으로 재고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KR20010066954A (ko)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표준화된 품목 콘텐츠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0521987B1 (ko) 마케팅 딜러를 통한 물류 관리 방법
US10319025B2 (en) Executing terms of physical trade doc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