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670A -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스위치 - Google Patents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670A
KR20190012670A KR1020170096014A KR20170096014A KR20190012670A KR 20190012670 A KR20190012670 A KR 20190012670A KR 1020170096014 A KR1020170096014 A KR 1020170096014A KR 20170096014 A KR20170096014 A KR 20170096014A KR 20190012670 A KR20190012670 A KR 20190012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motor
compressed air
power source
storage tank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표
Original Assignee
김관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표 filed Critical 김관표
Priority to KR102017009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2670A/ko
Publication of KR20190012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04B49/02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by means of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04B49/065Control using electricity and making use of compu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0Other safet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는 저장탱크에 저정된 압축공기의 기압 변화에 따라 압축기 및 구동모터 작동과 중지를 반복하도록 구현되되, 미리 설정된 조건을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압축기 및 구동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사용자의 별도 입력이 없으면 압축기 및 구동모터의 재구동을 금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압축기 및 구동모터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비의 손상이나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스위치{APPARATUS FOR PROVIDING COMPRESSED AIR TO WORKING TOOL AND SWITCH USED THEREFOR}
본 발명은 카센터나 공장 등에서 작업도구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공기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센터나 공장에서는 예를 들면 볼트를 죄거나 푸는 작업도구, 국부 연마를 위한 작업도구, 압축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작업도구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작업도구들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본 발명과 같은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가 필요하다.
작업도구들은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가 저장된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라인을 통해 오는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되면서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그런 작업들이 필요한 시점에서 즉시 이루어지도록 저장탱크에는 항상 일정 수준의 기압을 가지는 고압의 압축공기가 상시적으로 저장되어 있어야만 한다. 그런데, 작업도구들이 사용되면, 그만큼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은 낮아지게 되므로, 압축공기의 기압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서 낮아지게 되면 압축기를 가동하여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을 요구되는 만큼 상승시킨다. 이 때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구동모터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변동되면서 필요한 시점마다 작동되거나 작동이 멈추게 된다. 즉,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설정된 제1 값이 되면 구동모터의 작동이 멈추고, 압축공기의 기압이 설정된 제2 값보다 낮아지면 구동모터의 작동이 시작되어서 압축공기의 기압이 제1 값이 될 때까지 그 작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도구들이 자주 사용되고, 압축공기의 사용이 많은 현장일수록 구동모터의 작동 및 중지는 빈번하게 반복되고, 그 작동은 더 긴 시간동안 이루어진다.
한편, 저장탱크 내의 압축공기를 작업도구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라인을 가지며, 이 연결라인에 작업도구가 결합된다. 이 때 작업도구의 지속적인 사용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노후화로 연결라인이 터지거나 기타 압축공기가 낭비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상황이 발생되면 해당 부분을 통해 압축공기가 지속적으로 소모된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기 시간 없이 필요한 시점에서 즉시적으로 압축공기를 사용하도록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을 측정하여 필요한 경우 구동모터가 작동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공기가 지속적으로 새는 상황이 발생되면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을 높이기 위해 구동모터는 쉼 없이 가동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구동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해당 부분을 수선한 후 작업도구를 재결합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작업자들이 모두 퇴근한 후에 압축공기가 지속적으로 새어나가는 상황이 종종 발생된다. 이 때는 작업자가 없기 때문에 압축공기가 새는 부위를 수선할 수도 없고, 구동모터와 연결된 전원을 수동적으로 차단시킬 수도 없다. 이렇게 되면, 저장탱크 내의 압축공기가 지속적으로 새나가고, 이에 따라 저장탱크에 있는 압축공기의 기압을 올리기 위해 구동모터가 계속해서 작동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다른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한 다음날 작업자가 출근해야만 해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의 낭비는 후술할 문제적 상황을 고려하면 사업자에게 최소한의 손실에 불과하다.
만일, 압축공기가 새는 양이 많은 경우에는 밤사이 쉴 새 없이 구동모터가 계속 작동되면서 구동모터 및 압축기에 부하가 걸리고, 과열되면서 특별한 문제 상황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그 과열로 인해 구동모터의 코일이 손상되어 망가질 수 있고, 압축기의 오일 증기가 주변으로 새어나와서 주변이 오염되고 압축기도 망가질 수 있다. 더욱 큰 문제는 구동모터의 과열로 발화가 일어나면서 주변의 오일증기에 의해 형성된 오일막들과 상호 작용하여 화재로 발전하는 것이다. 만일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압축공기 제공장치 뿐만 아니라 카센터나 공장까지 불에 탈 수 있고, 그 주위의 건물들로까지 옮겨가 더 큰 화재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45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공기의 공급이 대기시간 없이 즉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압축공기의 비정상적인 손실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조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는 공기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압축기가 구동됨으로써 생성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며, 저장된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작업도구로 압축공기를 보내는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을 측정하는 압력감지기; 상기 압력감지기로부터 온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설정된 제1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제1 값에 미달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되게 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제1 값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과 차단시켜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압력감지기로부터 온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제1 값보다 낮은 기압값인 제2 값보다 낮아지면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되게 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구동모터의 작동 중지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시키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가 전원으로부터 차단되면 상기 구동모터의 자동적인 재구동이 금지된다.
상기한 미리 정해진 구동모터의 작동 중지 조건은 상기 구동모터의 연속적인 구동 시간을 초과하는 것이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연속적인 구동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시킨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전원으로부터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분; 상기 전류감지부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분;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거나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하는 스위치부분; 및 상기 타이머부분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고, 사용자가 가동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시키도록 상기 스위치부분을 제어하는 마이콤; 을 포함한다.
상기한 미리 정해진 구동모터의 작동 중지 조건은 구동모터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것 또는 구동모터의 단위 시간당 전력 사용량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는 공기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압축기가 구동됨으로써 생성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며, 저장된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작업도구로 압축공기를 보내는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을 측정하는 압력감지기;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시키거나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시키는 전환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스위치는, 전원으로부터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분; 상기 전류감지부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분;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거나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하는 스위치부분; 및 상기 압력감지기, 상기 전류감지부분 및 상기 타이머부분에서 오는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거나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분을 제어하는 마이콤; 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압력감지기로부터 온 정보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설정된 제1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제1 값에 미달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되게 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제1 값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과 차단시켜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압력감지기로부터 온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제1 값보다 낮은 기압값인 제2 값보다 낮아지면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되게 상기 스위치부분을 제어하고, 상기 전류감지부분 및 상기 타이머부분으로부터 온 정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고, 사용자가 가동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시키도록 상기 스위치부분을 제어하며, 상기 구동모터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자동적인 재구동이 금지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분을 제어하는 마이콤; 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용 스위치는 압축공기를 작업도구들로 공급하여 작업도구들이 작동될 있게 하는 압축공기 제공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저장탱크에 저장시키는 압축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분; 상기 전류감지부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분;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거나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하는 스위치부분; 및 상기 타이머부분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고, 사용자가 가동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시키도록 상기 스위치부분을 제어하는 마이콤;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압축공기의 비정상적인 손실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한 후 작업자에 의한 수동적인 조작에 의해서만 재가동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전기의 낭비, 장비의 손상 및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 제공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축공기 제공장치에 적용된 제2 스위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 제공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압축공기 제공장치에 적용된 제2 스위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제1 실시예>
도 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100, 이하 '압축공기 제공장치'라 약칭함)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 제공장치(100)는 압축기(110), 구동모터(120), 저장탱크(130), 압력감지기(140), 제1 스위치(150) 및 제2 스위치(160)를 포함한다.
압축기(110)는 공기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동모터(120)는 압축기(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의 압축기(110)와 구동모터(120)를 분리형으로 구비하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일체형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저장탱크(130)는 구동모터(120)에 의해 압축기(110)가 구동됨으로써 생성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저장탱크(130)의 일 측에는 저장된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작업도구(D1 내지 D5)로 압축공기를 보내는 공급라인(L)이 연결되어 있다.
압력감지기(140)는 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을 측정한다. 이러한 압력감지기(140)는 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작업도구(D1 내지 D5)들을 가동시킬 만큼의 고압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성에서 마련된다. 필요에 따라서 압력감지기(140)에는 작업자의 육안으로 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게이지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위치(150)는 압력감지기(140)에서 오는 정보에 따라서 구동모터(120)로 전원을 연결시키거나 구동모터(120)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제1 스위치(150)는 저장탱크(130) 내의 기압 변동에 호응하여 구동모터(120)를 작동시킴으로써 저장탱크(130) 내의 기압을 높이도록 하거나, 구동모터(12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스위치(150)의 기능에 대하여 더 자세히 살펴본다.
상용 전원이 압축공기 제공장치(100)로 연결되면, 압력감지기(140)가 저장탱크(130) 내의 기압을 감지하고, 이를 제1 스위치(150)로 송신한다.
제1 스위치(150)는 압력감지기(140)로부터 온 정보를 판단하여 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설정된 제1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저장탱크(130) 내의 기압이 제1 값에 미달한 경우에는 구동모터(120)로 전원을 연결하여 구동모터(120)가 작동되게 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120)로부터 구동력을 받은 압축기(110)가 구동되면서 압축공기가 생성되면서 저장탱크(130) 내의 기압이 상승한다. 이 과정에서도 압력감지기(140)는 주기적으로 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을 감지해서 제1 스위치(150)로 해당 정보를 송신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저장탱크(130) 내의 기압이 제1 값에 도달하게 되면 제1 스위치(150)는 구동모터(120)를 전원과 차단시켜서 구동모터(12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구동모터(120)의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작업도구(D1 내지 D5)들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저장탱크(130) 내의 기압은 낮아지게 되고, 이에 의해 저장탱크(130) 내의 기압이 설정된 제2 값보다 낮아지게 되면 이러한 정보를 압력감지기(140)로부터 받은 제1 스위치(150)는 구동모터(120)로 전원을 연결하여 구동모터(120)가 재작동되게 한다. 여기서 제2 값은 제1 값보다 낮은 기압값을 가짐은 당연하다. 즉, 제1 스위치(150)는 저장탱크(130) 내의 기압이 제2 값보다 낮아지면 구동모터(120)가 작동되도록 한 후 저장탱크(130) 내의 기압이 제2 값을 넘어가면 구동모터(120)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구동모터(120)로 가는 전류를 단속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스위치(150)가 구동모터(120)를 전원에 연결시키거나 구동모터(120)를 전원으로부터 차단시키면서 구동모터(120)의 작동과 중지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저장탱크(130) 내의 기압은 제1 값과 제2 값 사이에서 변동된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요구되는 작업이 필요할 때 대기 시간 없이 즉시적으로 작업도구(D1 내지 D5)를 이용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 스위치(160)는 제1 스위치(150)가 구동모터(120)를 전원과 연결함으로써 구동모터(120)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구동모터(120)의 작동 중지 조건이 만족되면 구동모터(120)를 전원으로부터 강제적으로 차단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정해진 구동모터(120)의 작동 중지 조건'을 '구동모터(120)의 연속적인 구동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구동모터(120)가 미리 설정된 1시간의 동작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적으로 동작하면 제2 스위치(160)가 구동모터(120)의 동작을 차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모터(120)의 연속적인 구동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제2 스위치(160)는 구동모터(120)를 전원으로부터 차단시켜서 구동모터(12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의 제2 스위치(160)는 도 2에서와 같이 전류감지부분(161), 타이머부분(162), 스위치부분(163) 및 마이콤(164)을 포함한다.
전류감지부분(161)은 전원으로부터 구동모터(120)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한다. 즉, 전류가 공급되어야만 구동모터(120)가 작동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구동모터(120)의 작동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하였다.
타이머부분(162)은 전류감지부분(161)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구동모터(120)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타이머부분(162)에 의해 측정된 정보는 마이콤(164)으로 제공된다.
스위치부분(163)은 구동모터(120)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거나 구동모터(120)를 전원에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
마이콤(164)은 타이머부분(162)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구동모터(120)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한다. 이렇게 마이콤(164)의 제어에 의해 스위치부분(163)이 구동모터(120)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는 상황은 비정상적인 상황으로서 압축공기가 지속적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위치부분(163)이 구동모터(120)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게 되면,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재작동 명령 입력이나 전원 연결 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한 구동모터(120)의 자동적인 재작동은 금지된다.
계속하여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압축공기 제공장치(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압력감지기(140)에 의해 감지된 저장탱크(130) 내의 기압 정보에 따라서 제1 스위치(150)는 전원을 단속하여 구동모터(120)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중지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마이콤(164)은 타이머부분(162)에 의해 측정된 연속적인 전류 공급 시간을 확인한다.
한편, 구동모터(120)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마이콤(164)은 압축공기가 비정삭적으로 새는, 즉, 누설되는 상황으로 인지한다. 이에 따라 마이콤(164)은 스위치부분(163)을 제어하여 구동모터(110)를 전원으로부터 차단시킨다.
본 실시예에에 따른 압축공기 제공장치(100)는 기존에 설치된 압축공기 제공장치에 제2 스위치(160)를 추가적으로 구성시키는 단순한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어서 최소의 비용으로 본 발명이 구현된 제품을 생산해낼 수 있는 이점을 더 가진다.
<제2 실시예>
도 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 제공장치(200)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 제공장치(200)는 압축기(210, 구동모터(220), 저장탱크(230), 압력감지기(240), 전환스위치(260)를 포함한다.
압축기(210, 구동모터(220), 저장탱크(230) 및 압력감지기(240)는 제1 실시예에서의 압축기(210, 구동모터(220), 저장탱크(230) 및 압력감지기(24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전환스위치(260)는 앞선 제1 실시예에서의 제1 스위치(150)와 제2 스위치(160)를 통합시킨 형태로서 구동모터(220)를 전원에 연결시키거나 구동모터(220)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한다. 이를 위해 전환스위치(260)는 도 4에서와 같이 전류감지부분(261), 타이머부분(262), 스위치부분(263) 및 마이콤(264)을 포함한다.
전류감지부분(261) 및 타이머부분(262)은 제1 실시예에서의 전류감지부분(161) 및 타이머부분(162)과 각각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위치부분(263)은 마이콤(264)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220)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거나 구동모터(220)를 전원에 연결한다.
마이콤(264)은 압력감지기(240), 전류감지부분(261) 및 타이머부분(262)에서 오는 정보에 따라 구동모터(220)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거나 구동모터(220)를 전원에 연결하도록 스위치부분(263)을 제어한다. 이러한 마이콤(264)은 두 개의 기능을 가지며, 이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제1 기능
마이콤(264)은 압력감지기(240)로부터 온 정보를 판단하여 저장탱크(230)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설정된 제1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저장탱크(230) 내의 기압이 제1 값에 미달한 경우에는 스위치부분(263)을 제어하여 구동모터(220)로 전원을 연결하여 구동모터(220)가 작동되게 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220)로부터 구동력을 받은 압축기(210가 구동되면서 압축공기가 생성되면서 저장탱크(230) 내의 기압이 상승한다. 이 과정에서도 압력감지기(240)는 주기적으로 저장탱크(230)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을 감지해서 마이콤(264)으로 해당 정보를 송신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저장탱크(230) 내의 기압이 제1 값에 도달하게 되면 마이콤(264)은 스위치부분(263)을 제어하여 구동모터(220)를 전원과 차단시킴으로써 구동모터(22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구동모터(220)의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작업도구(D1 내지 D5)들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저장탱크(230) 내의 기압은 낮아지게 되고, 이에 의해 저장탱크(230) 내의 기압이 설정된 제2 값보다 낮아지게 되면 이러한 정보를 압력감지기(240)로부터 받은 마이콤(264)은 구동모터(220)로 전원을 연결하여 구동모터(220)가 재작동되게 한다.
1. 제2 기능
마이콤(264)은 제1 기능의 수행 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구동모터(220)의 작동 중지 조건이 만족되면 구동모터(220)를 전원으로부터 강제적으로 차단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도 미리 정해진 구동모터(220)의 작동 중지 조건을 구동모터(220)의 연속적인 구동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마이콤(264)은 타이머부분(262)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구동모터(220)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재작동 명령 입력이나 전원 연결 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한 구동모터(220)의 자동적인 재작동은 금지된다.
위와 같은 제2 실시예에서의 전환스위치(260)는 제1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150)와 제2 스위치(160)를 통합한 것으로서, 신규 생산될 압축공기 제공장치(200)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위의 실시예들은 미리 정해진 구동모터(120, 220)의 작동 중지 조건으로서 구동모터의 연속적인 구동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지만, 변형하기에 따라서는 미리 정해진 구동모터의 작동 중지 조건으로서 구동모터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설정하거나 구동모터의 단위 시간당 전력 사용량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구동모터가 과열되거나 전력 사용량이 기준을 초과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그 재작동도 금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 압축공기 제공장치
110, 210 : 압축기
120, 220 : 구동모터
130, 230 : 저장탱크
140, 240 : 압력감지기
150 : 제1 스위치
160 : 제2 스위치
161 : 전류감지부분 162 : 타이머부분
163 : 스위치부분 164 : 마이콤
260 : 전환스위치
261 : 전류감지부분 262 : 타이머부분
263 : 스위치부분 264 : 마이콤

Claims (6)

  1. 공기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압축기가 구동됨으로써 생성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며, 저장된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작업도구로 압축공기를 보내는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을 측정하는 압력감지기;
    상기 압력감지기로부터 온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설정된 제1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제1 값에 미달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되게 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제1 값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과 차단시켜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압력감지기로부터 온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제1 값보다 낮은 기압값인 제2 값보다 낮아지면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되게 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구동모터의 작동 중지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시키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가 전원으로부터 차단되면 상기 구동모터의 자동적인 재구동이 금지되는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미리 정해진 구동모터의 작동 중지 조건은 상기 구동모터의 연속적인 구동 시간을 초과하는 것이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연속적인 구동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시키는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전원으로부터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분;
    상기 전류감지부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분;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거나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하는 스위치부분; 및
    상기 타이머부분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고, 사용자가 가동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시키도록 상기 스위치부분을 제어하는 마이콤; 을 포함하는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미리 정해진 구동모터의 작동 중지 조건은 구동모터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것 또는 구동모터의 단위 시간당 전력 사용량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
  5. 공기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압축기가 구동됨으로써 생성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며, 저장된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작업도구로 압축공기를 보내는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을 측정하는 압력감지기;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시키거나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시키는 전환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스위치는,
    전원으로부터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분;
    상기 전류감지부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분;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거나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하는 스위치부분; 및
    상기 압력감지기, 상기 전류감지부분 및 상기 타이머부분에서 오는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거나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분을 제어하는 마이콤; 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압력감지기로부터 온 정보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설정된 제1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제1 값에 미달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되게 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제1 값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과 차단시켜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압력감지기로부터 온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기압이 제1 값보다 낮은 기압값인 제2 값보다 낮아지면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되게 상기 스위치부분을 제어하고, 상기 전류감지부분 및 상기 타이머부분으로부터 온 정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고, 사용자가 가동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시키도록 상기 스위치부분을 제어하며, 상기 구동모터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자동적인 재구동이 금지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분을 제어하는 마이콤; 을 포함하는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
  6. 압축공기를 작업도구들로 공급하여 작업도구들이 작동될 있게 하는 압축공기 제공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저장탱크에 저장시키는 압축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분;
    상기 전류감지부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분;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거나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하는 스위치부분; 및
    상기 타이머부분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고, 사용자가 가동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전원에 연결시키도록 상기 스위치부분을 제어하는 마이콤; 을 포함하는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용 스위치.
KR1020170096014A 2017-07-28 2017-07-28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스위치 KR20190012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014A KR20190012670A (ko) 2017-07-28 2017-07-28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014A KR20190012670A (ko) 2017-07-28 2017-07-28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670A true KR20190012670A (ko) 2019-02-11

Family

ID=6537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014A KR20190012670A (ko) 2017-07-28 2017-07-28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26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36886B2 (en) An electronic control for monitoring status of a compressor
US7895705B2 (en) Steam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444392B2 (en) Motor control device and motor control system
EP2554307A1 (en) Cordless magnetic base drill
KR101194787B1 (ko) 소방용 엔진펌프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7570464B2 (en) Overload protective apparatus of a compressor and a method thereof
US20120101638A1 (en) Optimum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pid) control method for adapting a process facility system
KR20190012670A (ko) 작업도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공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스위치
US9450532B2 (en) Motor control device and motor control system
JP2012031789A (ja) 小型コンプレッサーの制御方法
US2010007665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stant-pressure fluid
KR20160104179A (ko) 컴프레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0969B1 (ko) 건설기계의 전원제어장치
US9946249B2 (en) Control device of machining tool with power consumption reduction function
KR101722141B1 (ko) 기동조건의 자동 복원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JP3625943B2 (ja) 給水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100673273B1 (ko) 건설중장비의 밧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 콤프레셔작동회로
KR10035115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검사방법 및 검사설비
KR200431602Y1 (ko) 진공모터 제어용 지그
JP2015218655A (ja) 圧縮空気供給システム
JP7413571B2 (ja) 圧縮機及び圧縮機システム
JP2022064013A (ja) 給水装置
CA2016134C (en) Electronic control for monitoring status of a compressor
KR102266188B1 (ko) 오프라인 무정전 전원 장치
KR102462260B1 (ko) 노후 불량모듈 복원을 위한 전자유도방식 이용 태양전지 제거 및 재결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