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667A -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667A
KR20190012667A KR1020170096008A KR20170096008A KR20190012667A KR 20190012667 A KR20190012667 A KR 20190012667A KR 1020170096008 A KR1020170096008 A KR 1020170096008A KR 20170096008 A KR20170096008 A KR 20170096008A KR 20190012667 A KR20190012667 A KR 20190012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ooth
led
image
camer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311B1 (ko
Inventor
김영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닥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닥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닥터스
Priority to KR1020170096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311B1/ko
Priority to US16/625,829 priority patent/US11547304B2/en
Priority to PCT/KR2018/006225 priority patent/WO2019022361A1/ko
Publication of KR2019001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86Optical arrangements with imag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88Optical arrangements with focusing or zoom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a proximal camera, e.g. a CCD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3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providing two or more waveleng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4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with illumination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1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measuring fluorescence e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는, 구강내부의 치아 이미지 촬영 및 치아우식탐지가 가능한 의료용 촬영장치에 있어서, 치아 이미지를 촬영을 위한 이미지센서를 구비하는 카메라유닛과, 상기 카메라유닛의 동작제어 및 신호전달을 위한 피씨비기판과, 상기 카메라유닛이 촬영하는 치아를 향해 발광하는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가 실장된 광원패널과, 상기 카메라유닛과 상기 피씨비기판과 상기 광원패널이 내장되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헤드부; 신호 입력을 위한 조작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헤드부로부터 전달받은 치아 이미지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제1 엘이디와, 400㎚ ~ 410㎚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는 제2 엘이디와, 800㎚ ~ 1000㎚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는 제3 엘이디로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유닛은, 450㎚ ~ 650㎚ 파장대의 빛과 800㎚ ~ 1000㎚ 파장대의 빛이 투과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상기 이미지센서의 전방에 장착되는 듀얼밴드 패스필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Complex imaging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본 발명은 치아나 구강내를 촬영하기 위한 의료용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부품 교체 없이도 다양한 방식의 치아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구강내 병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얼굴(portrait)을 포함한 전반적인 모습에 대한 이미지부터 치아 전체의 이미지, 치아 하나의 이미지 또는 하나의 치아에 대한 특정부분의 근접 촬영된 확대이미지 등의 치아외형 영상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치아의 우식탐지(early caries detecting)를 위해서 특정파장(405㎚ 내외)의 조명 아래에서 치아가 발생시키는 형광을 이용하여 초기상태에서 우식을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를 '정량 분석적 형광법'(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이라 한다. 이는 우식 정도를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형광 스펙트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건전한 치아에서는 밝은 녹색의 형광 배경의 영상이 관측되나, 치아우식증이 발생된 부분은 어두운 영상이 관측되어 치아 우식을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우식 탐지를 위한 또 다른 촬영방법으로, '투사법' (Transillumination)을 이용한 촬영방법이 있는데, 이는 치아에 800㎚ ~ 1300㎚ 파장의 근적외선을 조사한 상태에서 치아를 촬영하여 치아의 내부를 투사하는 방법으로서, 서로 인접해 있는 치아 사이의 인접면 우식을 탐지하는데 유리하고 치아의 크랙을 탐지하는데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아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해서는 치아의 외형이미지를 촬영한 이미지와, 정량 분석적 형광법을 이용해 촬영한 치아 이미지와, 투사법을 이용해 촬영한 치아 이미지가 각각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여러 종류의 치아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 종래의 경우에는 치아의 외형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정량 분석적 형광법을 이용한 촬영 카메라장치와, 투사법을 이용한 촬영 카메라장치가 별도로 필요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구매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을 조사하면서 촬영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헤드부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다목적 의료용 카메라 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18684호)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목적 의료용 카메라 장치는 촬영 방법이 바뀔 때마다 헤드부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바, 치아 촬영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각 헤드부들이 본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므로, 헤드부의 분실 및 파손이 빈번하게 유발된다는 단점도 있다.
KR 10-1618684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헤드부 등의 부품 교체 없이도 다양한 방식으로 치아를 촬영할 수 있어, 치아의 우식 감지를 위한 진료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드부의 분실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 절감이 가능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는, 구강내부의 치아 이미지 촬영 및 치아우식탐지가 가능한 의료용 촬영장치에 있어서, 치아 이미지를 촬영을 위한 이미지센서를 구비하는 카메라유닛과, 상기 카메라유닛의 동작제어 및 신호전달을 위한 피씨비기판과, 상기 카메라유닛이 촬영하는 치아를 향해 발광하는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가 실장된 광원패널과, 상기 카메라유닛과 상기 피씨비기판과 상기 광원패널이 내장되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헤드부; 신호 입력을 위한 조작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헤드부로부터 전달받은 치아 이미지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제1 엘이디와, 400㎚ ~ 410㎚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는 제2 엘이디와, 800㎚ ~ 1000㎚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는 제3 엘이디로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유닛은, 450㎚ ~ 650㎚ 파장대의 빛과 800㎚ ~ 1000㎚ 파장대의 빛이 투과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상기 이미지센서의 전방에 장착되는 듀얼밴드 패스필터를 구비한다.
상기 프리즘렌즈는 치아 이미지 입사면이 하측을 향하고 치아 이미지 출사면이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원패널은 상기 프리즘렌즈의 입사면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가 하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제1 엘이디와 제2 엘이디와 제3 엘이디는, 상기 프리즘렌즈의 입사면 주변을 둘러싸도록 교번으로 배열된다.
상기 광원패널은 가장자리 부위가 하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고, 상기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는 상기 광원패널의 저면 중 하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된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프리즘렌즈의 입사영역 중심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상기 카메라유닛은, 상기 프리즘렌즈의 출사면에 안착되는 자동초점 조절렌즈와, 상기 자동초점 조절렌즈와 상기 듀얼밴드 패스필터 사이에 장착되는 이미지 렌즈를 더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프리즘렌즈의 입사면을 덮는 부위에 원접촬영을 위한 보강렌즈를 구비하는 원접촬영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충전거치대를 통해 충전 가능한 충전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를 이용하면, 헤드부 등의 부품 교체 없이도 다양한 방식으로 치아를 촬영할 수 있어 치아의 우식 감지를 위한 진료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드부의 분실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헤드부로 다양한 방식의 영상촬영이 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에 포함되는 헤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에 포함되는 헤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에 포함되는 헤드부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에 포함되는 헤드부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에 포함되는 광원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에 포함되는 듀얼밴드 패스필터의 광투과율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에 포함되는 광원패널 제2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에 포함되는 광원패널 제3 실시예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에 포함되는 원접촬영유닛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에 포함되는 헤드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에 포함되는 헤드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에 포함되는 헤드부의 분해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는 구강내부의 치아 이미지 촬영 및 치아우식탐지를 의료용 촬영장치의 일종으로서, 본체부(100)와 헤드부(200)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신호 입력을 위한 조작패널(110)이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200)로 전력을 공급할 뿐만아니라 상기 헤드부(200)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헤드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치아 이미지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부(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와 신호 전달을 위한 기판등이 내장되는데, 이와 같은 본체부(100)의 내부구조는 종래의 의료용 카메라 장치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는, 헤드부(200)를 교체 장착하지 아니하더라도 다양한 방식의 치아 촬영이 가능하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상기 헤드부(200)는, 치아 이미지를 촬영을 위한 이미지센서(245)를 구비하는 카메라유닛(240)과, 상기 카메라유닛(240)의 동작제어 및 신호전달을 위한 피씨비기판(230)과, 상기 카메라유닛(240)이 촬영하는 치아를 향해 발광하는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260)가 실장된 광원패널(250)과, 상기 카메라유닛(240)과 상기 피씨비기판(230)과 상기 광원패널(250)이 내장되는 상부하우징(210) 및 하부하우징(220)으로 구성되되, 상기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260)가 상이한 파장대의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첫 번째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260)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제1 엘이디(261)와, 400㎚ ~ 410㎚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는 제2 엘이디(262)와, 800㎚ ~ 1000㎚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는 제3 엘이디(263)로 구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정량 분석형 형광법(QLF)으로 치아의 이미지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400㎚ ~ 410㎚ 파장대의 빛이 필요하고, 투사법(Transillumination)으로 치아의 이미지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800㎚ ~ 1000㎚ 파장대의 빛이 요구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를 이용하면 헤드부(200) 교체 없이 백색광의 빛과 400㎚ ~ 410㎚ 파장대의 빛과 800㎚ ~ 1000㎚ 파장대의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으므로 일반 이미지 촬영과, 정량 분석형 형광법을 이용한 촬영과, 투사법을 이용한 촬영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유닛(240)은, 정량 분석형 형광법을 이용한 촬영이미지와 투사법을 이용한 촬영이미지가 투과될 수 있도록 450㎚ ~ 650㎚ 파장대의 빛과 800㎚ ~ 1000㎚ 파장대의 빛이 투과 가능한 듀얼밴드 패스필터(244)를 구비되는데, 상기 듀얼밴드 패스필터(24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 프리즘렌즈(241)는 치아 이미지 입사면이 하측을 향하고 치아 이미지 출사면이 후방을 향하도록 직각삼각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제작되며, 입사면(도 4에서는 하측면)이 하부하우징(220)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이때 상기 광원패널(250)은 촬영대상 치아(더 명확하게는 프리즘렌즈(241)로 이미지가 입사되는 치아) 전체에 걸쳐 고르게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프리즘렌즈(241)의 입사면 주변을 둘러싸는 폐곡선 또는 폐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빛을 발광하는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260)는 상기 광원패널(250)의 저면에 장착되는바, 촬영대상 치아의 각 방향으로 고르게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유닛(240)은, 상기 프리즘렌즈(241)의 출사면에 안착되는 자동초점 조절렌즈(242)와, 상기 자동초점 조절렌즈(242)와 상기 듀얼밴드 패스필터(244) 사이에 장착되는 이미지 렌즈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동초점 조절렌즈(242)는 상기 프리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이미지 정보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액체(liquid) 렌즈 또는 VCM(Voice Coil MOtor) 사용렌즈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즘렌즈(241)의 출사면에 자동초점 조절렌즈(242)가 장착되면, 별도의 초점 조절을 하지 아니하더라도 헤드부(200)의 끝단측(더 명확하게는 프리즘렌즈(241)의 입사면이 위치하는 부위)을 환자의 구강 내에 위치시키는 조작만으로 초점이 맞는 치아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미지렌즈(243)는 일반적인 촬영장치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이미지렌즈(24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헤드부(200)로 전달하기 위한 전력을 유선으로 전달받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무선으로 전력 공급을 할 수 있도록 충전거치대(20)를 통해 충전 가능한 충전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거치대(20)는 본체부(100)의 끝단측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 내부에는 충전전류 공급을 위한 충전단자가 마련되는데, 이와 같은 충전거치대(20) 구조는 현재 다양한 용도로 상용화되어 있는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영상촬영장치가 상기 충전거치대(20)를 통해 충전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에 포함되는 헤드부(200)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에 포함되는 광원패널(250)의 저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에 포함되는 듀얼밴드 패스필터(244)의 광투과율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는 촬영대상 치아에 조명을 인가하기 위한 발광엘이디(260)가 한 종류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이한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는 여러 종류의 엘이디로 구성된다는 점에 첫 번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광원패널(250)에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제1 엘이디(261)와, 400㎚ ~ 410㎚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는 제2 엘이디(262)와, 800㎚ ~ 1000㎚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는 제3 엘이디(263)가 혼합되어 배치된다. 이때 제1 엘이디(261)와 제2 엘이디(262)와 제2 엘이디(262) 중 어느 한 종류의 엘이디만을 점등시키더라도 치아의 각 부위로 고른 조명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엘이디(261)와 제2 엘이디(262)와 제3 엘이디(263)는, 상기 프리즘렌즈(241)의 입사면 주변을 둘러싸도록 교번으로 배열된다.
한편, 일반적인 구강내 촬영이나 구강 내 치아촬영을 위해 제1엘이디(261)를 작동시켜 백색광을 조사하여 촬영하는 경우, 백색광이 듀얼밴드 패스필터(244)를 통과하여 이미지센서(245)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듀얼밴드 패스필터(244)는 450㎚ ~ 650㎚ 파장대의 빛이 투과 가능한 구조로 제작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적 형광법으로 치아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엘이디(262)를 작동시켜 400㎚ ~ 410㎚ 파장대의 녹색빛을 치아에 조사하는데, 초기 우식이 일어나고 있는 지점에서는 빛이 산란되어 어두운 색으로 보이게 되고, 치태나 치석이 있거나 치아에 크랙 및 우식이 있는 부분에는 붉은색으로 산란된다. 이와 같이 어두운 색이나 붉은색으로 산란된 빛이 듀얼밴드 패스필터(244)를 통과하여 이미지센서(245)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듀얼밴드 패스필터(244)는 450㎚ ~ 650㎚ 파장대의 빛이 투과 가능한 구조로 제작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를 이용하여 투사법으로 치아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제3 엘이디(263)를 작동시켜 800㎚ ~ 1000㎚ 파장대의 빛을 치아에 조사함으로써, 투명화된 치아의 내부를 투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800㎚ ~ 1000㎚ 파장대의 빛은 파장대가 변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이미지센서(245)로 전달되는바, 상기 듀얼밴드 패스필터(244)는 800㎚ ~ 1000㎚ 파장대의 빛이 투과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즉, 상기 듀얼밴드 패스필터(244)는 450㎚ ~ 650㎚ 파장대의 빛과 800㎚ ~ 1000㎚ 파장대의 빛이 모두 투과 가능하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8에서는 450㎚ ~ 650㎚ 파장대의 빛과 930㎚ ~ 950㎚ 파장대의 빛이 투과 가능한 듀얼밴드 패스필터(244)의 광투과율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듀얼밴드 패스필터(244)의 광투과 파장대는 발광엘이디(260)의 종류나 촬영대상 치아의 특성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는, 제1 엘이디(261)와 제2 엘이디(262)와 제2 엘이디(262) 중 어느 한 종류의 엘이디만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고, 제1 엘이디(261)와 제2 엘이디(262)와 제2 엘이디(262) 중 두 종류 이상의 엘이디를 작동시켜 복합적인 촬영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엘이디(262)와 제3 엘이디(263)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치아를 촬영함으로써, 정량 분석적 형광법에 의한 치아 촬영과 투사법에 의한 치아 촬영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는, 일반적인 치아 촬영과, 정량 분석적 형광법에 의한 치아 촬영과, 투사법에 의한 치아 촬영이 순차적으로 자동진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세 가지 촬영이 동시에 진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모드에 따라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에 포함되는 광원패널(250) 제2 실시예의 저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에 포함되는 광원패널(250) 제3 실시예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프리즘렌즈(241)의 입사면 주변을 둘러싸는 광원패널(25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면,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260)를 촘촘히 배열한다 하더라도 모서리 부위에는 발광엘이디(260) 설치가 불가하므로, 촬영대상 치아 중 상기 광원패널(250)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측으로는 조명이 충분히 인가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는 촬영대상 치아의 각 부위에 조명을 고르게 인가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패널(250)을 링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광원패널(250)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면, 상기 광원패널(250)의 저면에 장착된 발광엘이디(260)는 수직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게 되는바, 프리즘렌즈(241)의 입사면 수직 하방에는 상대적으로 조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때,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를 이용하여 치아를 촬영할 때에는 프리즘렌즈(241)의 입사면을 치아 상부에 위치시킨 후 촬영을 하게 되는데, 상기 발광엘이디(260)는 프리즘렌즈(241)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열되므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발광엘이디(260)가 수직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치아의 주변이 밝아지고 치아는 상대적으로 어두워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는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260)가 촬영대상 치아를 밝게 비출 수 있도록, 상기 광원패널(250)의 가장자리 부위가 하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패널(250)의 가장자리 부위가 하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면, 상기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260)는 상기 광원패널(250)의 저면 중 하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된 부위에 장착되는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발광엘이디(260)는 상기 프리즘렌즈(241)의 입사영역 중심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발광엘이디(260)의 발광방향이 중심부를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지도록 설정되면, 촬영대상 치아에 조명을 집중시킬 수 있으므로 치아를 보다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광원패널(250)의 절곡 또는 만곡 각도는 프리즘과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에 포함되는 원접촬영유닛(300)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는 근접촬영에 적합하도록 제작되는바, 환자의 치아 전체를 한 번에 촬영하는데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10)는 원접촬영이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부(200)에 결합되는 원접촬영유닛(30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접촬영유닛(300)은, 헤드부(200)의 끝단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되, 상기 프리즘렌즈(241)의 입사면을 덮는 부위에 원접촬영을 위한 보강렌즈(310)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00)에 원접촬영유닛(30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치아 전체나 구강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 즉, 원접촬영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20 : 충전거치대
100 : 본체부 110 : 조작패널
200 : 헤드부 210 : 상부하우징
220 : 하부하우징 230 : 피씨비기판
240 : 카메라유닛 241 : 프리즘렌즈
242 : 자동초점 조절렌즈 243 : 이미지렌즈
244 : 듀얼밴드 패스필터 245 : 이미지센서
250 : 광원패널 260 : 발광엘이디
261 : 제1 엘이디 262 : 제2 엘이디
263 : 제3 엘이디 300 : 원접촬영유닛
310 : 보강렌즈

Claims (7)

  1. 구강내부의 치아 이미지 촬영 및 치아우식탐지가 가능한 의료용 촬영장치에 있어서,
    치아 이미지를 촬영을 위한 이미지센서를 구비하는 카메라유닛과, 상기 카메라유닛의 동작제어 및 신호전달을 위한 피씨비기판과, 상기 카메라유닛이 촬영하는 치아를 향해 발광하는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가 실장된 광원패널과, 상기 카메라유닛과 상기 피씨비기판과 상기 광원패널이 내장되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헤드부; 및
    신호 입력을 위한 조작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헤드부로부터 전달받은 치아 이미지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제1 엘이디와, 400㎚ ~ 410㎚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는 제2 엘이디와, 800㎚ ~ 1000㎚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는 제3 엘이디로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유닛은, 450㎚ ~ 650㎚ 파장대의 빛과 800㎚ ~ 1000㎚ 파장대의 빛이 투과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상기 이미지센서의 전방에 장착되는 듀얼밴드패스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렌즈는 치아 이미지 입사면이 하측을 향하고 치아 이미지 출사면이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원패널은 상기 프리즘렌즈의 입사면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가 하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엘이디와 제2 엘이디와 제3 엘이디는, 상기 프리즘렌즈의 입사면 주변을 둘러싸도록 교번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원패널은 가장자리 부위가 하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고,
    상기 다수 개의 발광엘이디는 상기 광원패널의 저면 중 하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된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프리즘렌즈의 입사영역 중심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유닛은, 상기 프리즘렌즈의 출사면에 안착되는 자동초점 조절렌즈와, 상기 자동초점 조절렌즈와 상기 듀얼밴드 패스필터 사이에 장착되는 이미지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프리즘렌즈의 입사면을 덮는 부위에 원접촬영을 위한 보강렌즈를 구비하는 원접촬영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충전거치대를 통해 충전 가능한 충전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KR1020170096008A 2017-07-28 2017-07-28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KR101979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008A KR101979311B1 (ko) 2017-07-28 2017-07-28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US16/625,829 US11547304B2 (en) 2017-07-28 2018-05-31 Composite device for medical image capturing
PCT/KR2018/006225 WO2019022361A1 (ko) 2017-07-28 2018-05-31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008A KR101979311B1 (ko) 2017-07-28 2017-07-28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667A true KR20190012667A (ko) 2019-02-11
KR101979311B1 KR101979311B1 (ko) 2019-05-17

Family

ID=6504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008A KR101979311B1 (ko) 2017-07-28 2017-07-28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47304B2 (ko)
KR (1) KR101979311B1 (ko)
WO (1) WO2019022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2460A4 (en) * 2019-09-20 2022-11-09 The Yoshida Dental Mfg. Co., Ltd. MEDICAL OPTICAL IMAGING DEVICE
GB202018550D0 (en) * 2020-11-25 2021-01-06 Alero Tannhelsesenter As Dental transillumination device
GB2618151A (en) * 2022-04-29 2023-11-01 Dyson Technology Ltd Systems & methods for oral insp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517A (ja) * 1997-11-14 1999-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
JP2004237081A (ja) * 2003-01-14 2004-08-26 Morita Mfg Co Ltd 診断用撮影器
JP2011172609A (ja) * 2010-02-23 2011-09-08 Panasonic Corp 口腔内カメラ
KR101618684B1 (ko) 2014-10-08 2016-05-09 주식회사 굿닥터스 다목적 의료용 카메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6327B2 (en) * 2002-07-26 2010-07-13 Olympus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having multiple imaging modes
DE102004001856B4 (de) * 2003-01-14 2019-05-23 J. Morita Mfg. Corp. Bilderstellungsgerät für Diagnosezwecke
US6957907B2 (en) * 2003-04-11 2005-10-25 Ultradent Products, Inc. Illumination apparatus having a light-converting lens for increasing visual contrast between different oral tissues
GB0807611D0 (en) * 2008-04-25 2008-06-04 Univ Manchester Dental imaging and apparatus thereof
US8982200B2 (en) * 2009-10-27 2015-03-17 Panasonic Healthcare Holdings Co., Ltd. Intraoral camera with light collecting faces that deflect light close to an imaging window
US20110149058A1 (en) * 2009-12-21 2011-06-23 Rongguang Liang Intra-oral camera with polarized and unpolarized light
JP2013034569A (ja) * 2011-08-05 2013-02-21 Gc Corp 口腔内検査装置、口腔内検査装置の作動方法
CN105050537B (zh) * 2012-09-14 2017-11-03 3M创新有限公司 牙科照射装置、牙科照射系统
US9808148B2 (en) * 2013-03-14 2017-11-07 Jan Erich Sommers Spatial 3D sterioscopic intraoral camera system
DE102013006636B4 (de) * 2013-04-18 2019-02-21 Dürr Dental SE Dentalkamera zur Kariesdetektion
US10458848B2 (en) * 2015-03-25 2019-10-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ntal imaging and illumination device
KR101717284B1 (ko) * 2015-09-22 2017-03-17 주식회사 올인원바이오 다중 모드 촬영이 가능한 구강 촬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517A (ja) * 1997-11-14 1999-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
JP2004237081A (ja) * 2003-01-14 2004-08-26 Morita Mfg Co Ltd 診断用撮影器
JP2011172609A (ja) * 2010-02-23 2011-09-08 Panasonic Corp 口腔内カメラ
KR101618684B1 (ko) 2014-10-08 2016-05-09 주식회사 굿닥터스 다목적 의료용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311B1 (ko) 2019-05-17
US11547304B2 (en) 2023-01-10
WO2019022361A1 (ko) 2019-01-31
US20200146556A1 (en)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0984B2 (en)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JP4088313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院内処理システム
KR101618684B1 (ko) 다목적 의료용 카메라 장치
JP4482021B2 (ja) カメラ
JP5371858B2 (ja) 電子内視鏡装置
KR101979311B1 (ko)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US10716463B2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JP200704704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616318B2 (ja) カメラ
US20220038613A1 (en) Imaging device
JP2012085916A (ja) 電子内視鏡システム、電子内視鏡システムのプロセッサ装置、及び蛍光画像の高感度化方法
JP2012081048A (ja) 電子内視鏡システム、電子内視鏡、及び励起光照射方法
JPWO2019176253A1 (ja) 医療用観察システム
CN216984858U (zh) 照明模组、内窥镜成像系统及内窥镜
JP2011110073A (ja) 口腔内カメラ
US20220133140A1 (en) Light source apparatus, medical observation system, adjustment apparatus, illumination method, adjustment method, and program
KR101701921B1 (ko) 구강 촬영장치
CN116507260A (zh) 齿列图像摄影系统及齿列图像摄影方法
CN102551647A (zh) 电子内窥镜系统及其处理器装置、荧光图像的高灵敏度化方法
JP5410374B2 (ja) 口腔内観察装置
JP4491316B2 (ja) 口腔内撮影装置
KR20210074788A (ko) 연속촬영 및 동시촬영이 가능한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JP6949383B2 (ja) 歯科用撮像画像取得装置
JP2006184033A (ja) 撮影装置
JP4324491B2 (ja) 照明装置用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