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603A -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603A
KR20190012603A KR1020170095853A KR20170095853A KR20190012603A KR 20190012603 A KR20190012603 A KR 20190012603A KR 1020170095853 A KR1020170095853 A KR 1020170095853A KR 20170095853 A KR20170095853 A KR 20170095853A KR 20190012603 A KR20190012603 A KR 20190012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coupled
presen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167B1 (ko
Inventor
서영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1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모터용 와이어클립장치는, 모터커버부에 결합되는 설치부와, 설치부에 안착 결합되고, 모터커버부 상에 설치되는 와이어부를 커버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결합되고, 구동모터에 설치되는 접지와이어가 압착되는 터미널부를 포함하고, 본체부와 터미널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WIRE CLIP APPARATUS FOR MOTOR}
본 발명은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와 터미널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와이어부를 고정할 수 있는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동모터의 레졸버 스테이터 어셈블리(RESOLVER STATOR ASSEMBLY)는 레졸버 스테이터, 와이어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 와이어는 모터커버를 따라서 레졸버 스테이터의 외측으로 일부가 빠져나온다.
모터커버 상에는 와이어클립(CLIP WIRE)이 설치되어 와이어의 형상을 유지 및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최근에는 접지와이어가 추가되면서 와이어클립과 결합되는 링터미널(RING TERMINAL)이 설치되어 접지와이어를 압착시킨다.
종래 와이어클립과 링터미널은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결합되고, 링터미널은 볼팅(BOLTING) 조립만으로 모터커버에 설치됨으로 인해 모터 구동 중 회전될 가능성이 있고, 링터미널이 와이어클립의 외측을 향해 설치됨으로 인해 스테이터와 간섭이 일어날 여지가 있으며, 모터커버면과 이격되어 내구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05014호(2003.01.15 공개, 발명의 명칭: 리졸버 스테이터 코일의 터미널 연결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체부와 터미널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부품 수가 절감되며,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는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는: 모터커버부에 결합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에 안착 결합되고, 상기 모터커버부 상에 설치되는 와이어부를 커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구동모터에 설치되는 접지와이어가 압착되는 터미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터미널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설치부에 안착되는 고정본체; 상기 와이어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부를 고정시키는 와이어고정부; 및 상기 설치부에 걸쳐지며 상기 고정본체와 상기 와이어고정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설치부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설치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고정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본체보다 상기 모터커버부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상기 와이어고정부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설치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설치부의 외측면에서 홈부의 형상으로 제1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본체에는 상기 설치부에 안착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에는 상기 스토퍼부가 안착되도록 제2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토퍼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는, 본체부와 터미널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와 터미널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부품 수가 절감되며,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미널부가 고정본체보다 모터커버부에 더 근접하게 배치됨으로 인하여, 터미널부의 변형 범위를 축소시키고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미널부가 연결부와 결합되는 와이어고정부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스테이터부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토퍼부로 인하여 본체부가 설치부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토퍼부가 복수 개 구비됨으로 인하여 단수 개가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본체부의 회전 차단력을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안착부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연결부가 안착되고, 본체부가 설치부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안착부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스토퍼부가 안착되고, 본체부가 설치부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1)는 설치부(100), 본체부(300), 터미널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100)는 모터커버부(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부(300)가 설치된다. 설치부(100)의 중앙부에는 체결부재(40)가 관통되도록 홀부가 형성되고, 설치부(100)의 상면에 본체부(300)가 안착되고 체결부재(40)에 의해 본체부(300)와 설치부(100)가 나사 결합된다.
이로 인하여 본체부(300)가 설치부(100) 상에 위치 고정되고, 모터커버부(10)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부(20)를 고정시켜 와이어부(20)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10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체부(300)가 설치되도록 다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설치부(100)는 모터커버부(10) 상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설치부(100)는 별물로써 모터커버부(10)에 결합될 수 있고, 모터커버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100)에는 제1안착부(101)가 형성된다. 제1안착부(101)는 뒤에 설명할 연결부(330)가 안착되도록 설치부(100)의 외측면에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안착부(101)의 폭은 연결부(330)의 폭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1안착부(101)에 연결부(330)가 안착되고 연결부(330)가 제1안착부(101) 내에서 좌우 방향(도 2 기준) 이동이 차단되어 본체부(3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제1안착부(101) 내에 연결부(330)가 안착되어 설치부(100)의 외측으로 연결부(330)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터커버부(10) 상에서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1)가 설치되는데 요구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100)에는 제2안착부(103)가 형성된다. 제2안착부(103)는 뒤에 설명할 스토퍼부(311)가 안착되도록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안착부(103)의 폭은 스토퍼부(311)의 폭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2안착부(103)에 스토퍼부(311)가 안착되고, 스토퍼부(311)가 제2안착부(103) 내에서 좌우 방향(도 2 기준) 이동이 차단되어 본체부(3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제2안착부(103) 내에 스토퍼부(311)가 안착되어 설치부(100)의 외측으로 스토퍼부(311)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터커버부(10) 상에서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1)가 설치되는데 요구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300)는 설치부(100)에 안착 결합되는 것으로 모터커버부(10) 상에 설치되는 와이어부(20)를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300)는 고정본체(310), 와이어고정부(320), 연결부(33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본체(310)는 설치부(100)에 안착되는 것으로, 설치부(100)의 상면(도 1 기준)에 안착된다. 고정본체(310)에는 중앙부에 홀부가 형성되고, 체결부재(40)가 고정본체(310)와 설치부(100)를 관통하여 고정본체(310)를 설치부(100)에 고정 결합시킨다.
체결부재(40)가 고정본체(310)와 설치부(100)를 나사 결합시킴으로 인하여 본체부(300), 구체적으로 고정본체(310)가 설치부(100)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본체(310)에는 스토퍼부(311)가 형성된다. 스토퍼부(311)는 설치부(100)에 안착되는 것으로, 설치부(100)에 위치 고정되도록 고정본체(3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스토퍼부(311)는 고정본체(310)에서 외측 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스토퍼부(311)가 설치부(100)에 걸쳐지며 위치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스토퍼부(311)는 설치부(100)에 형성되는 제2안착부(103)에 안착되며 위치 고정된다. 제2안착부(103)는 설치부(100) 상에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토퍼부(311)는 제2안착부(103)에 안착되어 본체부(300), 구체적으로 고정본체(310)가 설치부(100)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더하여 뒤에 설명할 와이어고정부(320)가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와이어부(20)를 커버하며 와이어부(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311)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스토퍼부(311)가 단수 개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설치부(100) 상에 안착되는 본체부(300), 구체적으로 고정본체(310)의 회전 차단력이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고정부(320)는 와이어부(2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와이어부(20)를 고정시킨다.
와이어고정부(320)는 고정본체(310)와 연결되며, 뒤에 설명할 연결부(330)에 의해 고정본체(310)와 결합된다. 와이어고정부(320), 연결부(330), 고정본체(310)는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고정부(320)는 일단부가 연결부(330)와 결합되고, 이에 대향되는 타단부는 모터커버부(10)와 접촉된다.
와이어고정부(320)의 타단부가 모터커버부(10)와 접촉됨으로 인해 본체부(300)가 일측은 설치부(100)에 고정 결합되고, 이에 대향되는 타측은 모터커버부(10)에 접촉 지지됨으로 인하여 복수 개의 와이어로 형성되는 와이어부(20)를 커버하여 모터커버부(10) 상에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30)는 설치부(100)에 걸쳐지는 것으로, 고정본체(310)와 와이어고정부(320)를 연결시킨다. 연결부(330)의 일단부는 고정본체(310)에 결합되며, 이에 대향되는 타단부는 와이어고정부(320)에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30)는 설치부(100)의 축 방향으로 상하 방향(도 3 기준)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결부(330)의 상측(도 2 기준)은 고정본체(310)에 결합되고, 연결부(330)의 하측(도 2 기준)은 와이어고정부(320)에 결합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30)는 설치부(100)에 형성되는 제1안착부(101)에 안착되고, 이로 인하여 연결부(330)가 제1안착부(101) 상에서 좌우(도 2 기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더하여 연결부(330)가 제1안착부(101) 상에서 위치 고정됨으로 인하여 본체부(300), 구체적으로 고정본체(310), 와이어고정부(320)가 설치부(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330)는 고정본체(310)의 외측면을 따라 'ㄱ'자 형상으로 결합된다. 연결부(330)는 고정본체(310), 와이어고정부(320), 스토퍼부(311)와 일체로 형성되고, 뒤에 설명할 터미널부(5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모터커버부(10) 상에 설치되는 와이어부(20)를 커버하며 와이어부(20)의 이탈을 방지하고 고정 안정성이 향상되고,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1)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부(500)는 본체부(300)에 결합되는 것으로, 터미널연결부(510), 집게부(520)를 포함한다. 터미널부(500)는 본체부(300)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연결부(510)는 본체부(300)와 결합되는 것으로, 설치부(1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연결부(510)는 고정본체(310)에 결합되고, 고정본체(310)의 외측면을 따라 'ㄱ'자 형상으로 결합된다.
이로 인하여 뒤에 설명할 집게부(5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집게부(520)가 본체부(300), 구체적으로 고정본체(310)보다 하측(도 2 기준)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부(520)는 터미널연결부(510)와 결합되는 것으로 구동모터에 설치되는 접지와이어(30)가 안착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집게부(520)는 접지와이어(30)가 안착되도록 'V'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접지와이어(30)가 안착되고 집게부(520)의 양측면을 압착시킴으로 인하여 접지와이어(30)가 고정된다.
집게부(520)는 고정본체(310)와 결합되는 터미널연결부(510)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에 결합되며,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본체(310)보다 하측(도 2 기준)에 배치되고, 고정본체(310)보다 모터커버부(10)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설치부(100)의 상면(도 2 기준)에 안착되는 고정본체(310)보다 하측(도 2 기준)에 집게부(520)가 배치됨으로 인하여 집게부(520)가 모터커버부(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에 비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1)는 설치부(100), 본체부(300), 터미널부(500)를 포함한다.
설치부(100)는 일물 또는 별물로써 모터커버부(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모터커버부(10) 상에서 돌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300)가 설치부(100) 상에 안착 결합되고, 모터커버부(10) 상에 설치되는 와이어부(20)를 커버하며 위치 고정시킨다. 이로 인하여 와이어부(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300), 터미널부(500)가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부(300)와 터미널부(500)가 별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부피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터미널부(500)가 본체부(300)와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본체부(300)와 독립적으로 제조될 필요가 없어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설치부(100)에 설치할 때 터미널부(500)를 별도로 조립시키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300)는 고정본체(310), 와이어고정부(320), 연결부(330)를 포함하고, 고정본체(310)와 와이어고정부(320)가 연결부(330)와 각각 결합되며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부(330)가 설치부(100)에 걸쳐지며 설치부(100)의 외측면을 따라 설치부(1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 인해, 고정본체(310)와 와이어고정부(320)가 단을 달리하여 형성되고, 고정본체(310)와 와이어고정부(320) 간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와이어고정부(320)가 모터커버부(10) 상에 설치되는 와이어부(20)의 외측을 둘러싸며 위치 고정시켜 와이어부(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설치부(100)에는 제1안착부(101)가 형성되고, 연결부(330)가 제1안착부(101)에 안착됨으로 인하여 연결부(330)와 결합되는 고정본체(310)가 설치부(100) 상에서 회전되는 것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본체(310)에는 설치부(100)에 형성되는 제2안착부(103)에 안착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부(311)가 형성되고, 스토퍼부(311)로 인하여 본체부(300)가 설치부(100)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스토퍼부(311)가 복수 개 구비됨으로 인하여 단수 개가 구비되는 것에 비하여 설치부(100) 상에서 본체부(300)가 회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1)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1)는 설치부(200), 본체부(400), 터미널부(600)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부(600)는 연결부(430)와 결합되는 것으로 집게부(6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부(600), 구체적으로 집게부(620)는 연결부(430)와 결합되는 와이어고정부(420)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부(620)가 연결부(430)와 결합되는 와이어고정부(420)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설치부(2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부(500)에 비해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1)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부(도면 미도시)와 터미널부(600) 간 간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집게부(620)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접지와이어(30)가 빠져나갈 공간을 제공하여 접지와이어(30)와 스테이터부 간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부(500)와 달리 고정본체(410)와 연결되는 터미널연결부(510)가 필요하지 않고, 바로 직접적으로 와이어고정부(420)에 결합됨으로 인해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1)는, 터미널부(600)가 와이어고정부(420)에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1)와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 해당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10: 모터커버부
20: 와이어부 30: 접지와이어
40: 체결부재 100, 200: 설치부
101, 201: 제1안착부 103, 203: 제2안착부
300, 400: 본체부 310, 410: 고정본체
311, 411: 스토퍼부 320, 420: 와이어고정부
330, 430: 연결부 500, 600: 터미널부
510: 터미널연결부 520, 620: 집게부

Claims (8)

  1. 모터커버부에 결합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에 안착 결합되고, 상기 모터커버부 상에 설치되는 와이어부를 커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구동모터에 설치되는 접지와이어가 압착되는 터미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터미널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설치부에 안착되는 고정본체;
    상기 와이어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부를 고정시키는 와이어고정부; 및
    상기 설치부에 걸쳐지며 상기 고정본체와 상기 와이어고정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설치부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설치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고정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본체보다 상기 모터커버부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상기 와이어고정부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연결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설치부의 외측면에서 홈부의 형상으로 제1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에는 상기 설치부에 안착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에는 상기 스토퍼부가 안착되도록 제2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KR1020170095853A 2017-07-28 2017-07-28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KR102248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853A KR102248167B1 (ko) 2017-07-28 2017-07-28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853A KR102248167B1 (ko) 2017-07-28 2017-07-28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603A true KR20190012603A (ko) 2019-02-11
KR102248167B1 KR102248167B1 (ko) 2021-05-04

Family

ID=65369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853A KR102248167B1 (ko) 2017-07-28 2017-07-28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332A (ko) * 2021-04-27 2022-11-03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리졸버의 와이어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222U (ja) * 1992-12-25 1994-07-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ターミナルキャップ及び該ターミナルキャップのターミナルへの取付構造
KR100504924B1 (ko) * 2003-09-24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의 마그네트 와이어 클램핑용 터미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222U (ja) * 1992-12-25 1994-07-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ターミナルキャップ及び該ターミナルキャップのターミナルへの取付構造
KR100504924B1 (ko) * 2003-09-24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의 마그네트 와이어 클램핑용 터미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332A (ko) * 2021-04-27 2022-11-03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리졸버의 와이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167B1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3752A1 (en) Brushless Motor
JP2005106210A (ja) 流体移送用チューブのブラケット
US20120274053A1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sealing element
JP2009521359A (ja) 取付け組立体及び取付け方法
US8742639B2 (en) Connection module for DC motors
US20230044002A1 (en) Coupling device for mounting an airbag module to be oscillating on a vehicle steering wheel
KR20190012603A (ko) 모터용 와이어 클립장치
CN112172909A (zh) 用于车辆的方向盘
GB2169754A (en) Electric motor with a bracket for its mounting
JP2011502880A (ja) 外部ミラーユニット用の取付構造
US9593836B2 (en) Device for fastening a fan
JPH0825177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JP2006057664A (ja) 脈動減衰装置
CA2733490C (en)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subassembly on a motor vehicle body
US10673298B2 (en) Electric motor provided with stator-integrated housing
JP2009112185A (ja) モータ
KR20210003428A (ko) 차량용 스티어링휠
US20220167533A1 (en) Electromagnetic shield member and wire harness
KR101966943B1 (ko) 엔진마운팅 인슐레이터와 차체멤버의 조립장치
CN114109999A (zh) 螺母紧固件组件
KR20200017840A (ko)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2290439B1 (ko) 프로텍터 고정장치
KR102610772B1 (ko) 접지용 멀티 어스단자
JP7463984B2 (ja) グロメットアセンブリ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11663875A (zh) 车辆前机盖总成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