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008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008A
KR20190012008A KR1020170094840A KR20170094840A KR20190012008A KR 20190012008 A KR20190012008 A KR 20190012008A KR 1020170094840 A KR1020170094840 A KR 1020170094840A KR 20170094840 A KR20170094840 A KR 20170094840A KR 20190012008 A KR20190012008 A KR 20190012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weight
cleaned
suction head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1735B1 (ko
Inventor
주성태
이병조
김동한
조정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735B1/ko
Priority to PCT/KR2018/008110 priority patent/WO2019022431A1/ko
Priority to US16/634,368 priority patent/US11197594B2/en
Publication of KR20190012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2Rigidly anchored edge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 효율을 향상시킨 청소기를 제공한다.
청소기는 본체,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흡입장치 및 상기 흡입장치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흡입장치를 연결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장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흡입헤드, 상기 흡입헤드와 상기 연장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흡입장치가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흡입구가 피청소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장치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웨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 효율을 향상시킨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실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실내를 청결하게 하는 기구로서, 가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가 많이 사용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는 송풍장치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빨아들인 후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 등과 같은 장치로 분리해냄으로써 실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소기는 송풍장치와 집진장치 등이 내장되는 본체,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는 흡입장치 및 본체와 흡입장치를 연결하고 핸들관이 설치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청소기의 핸들관을 잡고 흡입장치를 청소하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입장치를 피청소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흡입장치를 이동시키면서 피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다.
흡입장치가 하드한 피청소면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 경우, 흡입장치와 피청소면이 잘 밀착되어야 높은 흡입력을 유지할 수 있다. 흡입장치는 피청소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부드럽게 이동 가능하고, 높은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그러나, 피청소면이 카페트인 경우, 흡입장치가 피청소면에 밀착되어 높은 흡입력을 유지하면 흡입부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카페트를 청소할 때 사용자는 흡입장치와 피청소면의 마찰로 인해 피청소면을 따라 흡입장치를 이동시킬 때 많은 힘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장치의 이동 시 흡입장치가 카페트인 피청소면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흡입장치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 보다 자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입장치에 별도의 웨이트를 배치하도록 개선된 청소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흡입헤드를 회전할 수 있도록 축을 이루는 회전축과 흡입헤드 사이에 웨이트를 배치할 수 있도록 개선된 청소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흡입장치의 내부에 수용되는 웨이트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도록 개선된 청소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본체,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흡입장치 및 상기 흡입장치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흡입장치를 연결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장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흡입헤드, 상기 흡입헤드와 상기 연장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흡입장치가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흡입구가 피청소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장치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웨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흡입헤드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연장부재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제1회전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흡입헤드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제2회전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헤드는 상기 흡입구가 마련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헤드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는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의 가로 길이는 상기 흡입헤드의 가로 길이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웨이트는 상기 흡입장치의 내부에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웨이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웨이트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웨이트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웨이트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3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바디 및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부유시키는 마찰부재를 고정하도록 상기 프레임바디의 하부에 구성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3고정부재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홀더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는 상기 홀더 및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흡입헤드 및 상기 흡입헤드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흡입헤드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흡입헤드와 상기 제1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제2회전축 사이에 배치되는 웨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헤드는 상기 흡입구가 마련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헤드는 상기 웨이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흡입헤드, 상기 흡입헤드가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조휠, 상기 보조휠이 회전할 수 있도록 축을 이루는 제1회전축, 상기 흡입헤드가 회전할 수 있도록 축을 이루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으로부터 전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헤드의 내부에 수용되고, 원기둥 형상을 포함하는 웨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제2회전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입장치의 내부에 별도의 웨이트를 배치하도록 개선함으로써, 피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해 흡입헤드를 이동 시, 흡입구가 피청소면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입헤드를 회전할 수 있도록 축을 이루는 회전축과 흡입헤드 사이에 웨이트를 배치할 수 있도록 개선함으로써, 특히, 피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해 흡입헤드를 후방으로 이동 시, 흡입구가 피청소면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입장치의 내부에 수용되는 웨이트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도록 개선함으로써, 피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해 흡입헤드를 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장치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하부케이스에 배치된 웨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웨이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고정부재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의 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업라이트 형 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1)는 본체(10) 및 본체(10)에 장착되는 집진장치(1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청소기(1)의 구동을 위한 주요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집진장치(11)는 청소기(1)를 사용함으로써,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되는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다.
청소기(1)는 피청소면에 접촉되는 흡입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피청소면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본체(1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미 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0)의 팬모터(미 도시)에서 생성되는 흡입력에 의해 흡입장치(100)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피청소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본체(10)의 주행을 위한 메인휠(12)이 구비될 수 있다. 메인휠(12)은 본체(10)의 양쪽 측방에 구비될 수 있다. 메인휠(12)은 일 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인휠(12)의 개수, 위치 및 주행 방향은 사용자가 청소기(1)를 사용할 시 본체(10)의 이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캐스터(미 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청소기(1)는 흡입장치(10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본체(10)와 흡입장치(100)를 연결하는 연장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흡입장치(100)의 후방이란, 사용자가 청소기(1)를 사용할 시, 흡입장치(100)로부터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연장부재(20)는 금속 재질의 연장관(21) 및 플렉서블하게 구비되는 수지 재질의 연장호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21)과 연장호스(22) 사이에는 핸들관(23)이 마련될 수 있다. 연장관(21), 핸들관(23) 및 연장호스(22)는 모두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연장관(21), 핸들관(23) 및 연장호스(22)를 순차로 통과하여 집진장치(11)로 유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관(23)을 잡고 조작하여 흡입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핸들관(23)에는 청소기(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230)는 복수의 버튼, 스위치 또는 다이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장치(11)는 선회 기류를 발생시켜 원심력에 의해 공기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일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집진장치(11)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는 배출포트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집진장치(11)는 내부에 수집된 이물질을 버릴 수 있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피청소면과 접촉되어 피청소면의 이물질과 공기를 함께 흡입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피청소면과 밀착될 때 높은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즉, 흡입장치(100)는 피청소면과 밀착되어 흡입장치(100)와 피청소면 간에 틈이 없을 때 팬모터(미 도시)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을 최대로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흡입장치(100)가 접촉되는 피청소면은 하드한 바닥면일 수 있고, 카페트일 수 있다. 흡입장치(100)가 마루바닥과 같은 하드한 바닥면과 접촉되는 경우, 흡입장치(100)는 바닥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바닥면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즉, 흡입장치(100)와 하드한 바닥면과의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작아, 사용자는 흡입장치(100)가 바닥면과 밀착된 상태에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흡입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흡입장치(100)가 카페트와 접촉되는 경우, 흡입장치(100)와 카페트가 밀착되면 흡입력에 의해 흡입장치(100)의 내부가 밀폐된 상태가 되어 흡입장치(100)가 카페트를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없다.
즉, 흡입장치(100)와 카페트와 같은 피청소면 사이의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높아, 사용자는 카페트를 청소하면서 흡입장치(100)를 이동시키는 데 상대적으로 많은 힘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카페트와 같은 피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해 흡입장치(100)를 이동 시, 흡입장치(100)가 카페트와 같은 피청소면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에 구비되는 흡입장치(10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입장치(100)는, 피청소면에 접촉되는 흡입헤드(110) 및 연장관(21)에 연결되는 연결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헤드(110) 및 연결부재(200)는 서로에 대해 일 방향 또는 복수의 방향으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흡입헤드(11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210) 및 연장부재(20)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210) 및 제2연결부재(220)는 서로에 대해 일 방향 또는 복수의 방향으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220)에는 제2연결부재(220)를 연장관(21)에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부(221)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220)에는 연장관(21)이 연결된 제2연결부재(220)를 본체(10)에 마련된 고정부(미 도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부(22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210)에는 흡입헤드(110)가 피청소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휠(211)이 마련될 수 있다. 흡입헤드(110)가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할 때 보조휠(211)은 바닥면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보조휠(211)은 제1연결부재(210)의 좌우 양쪽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조휠(211)은 흡입헤드(110)가 피청소면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한도 내에서, 개수 및 위치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휠(211)에 의해 흡입장치(100)는 흡입헤드(110)의 전방(F) 및 흡입헤드(110)의 후방(B)으로의 이동이 상대적으로 수월할 수 있고, 흡입헤드(110)의 오른 쪽(R) 및 흡입헤드(110)의 왼 쪽(L)으로의 이동이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흡입헤드(110)에는 흡입헤드(110)와 피청소면 간의 밀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버튼(170)이 구비될 수 있다. 버튼(170)은 피청소면의 성질에 따라 청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버튼(17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장치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210)에는 제2연결부재(220)와 연통되는 유입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팬모터(미 도시)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의 이물질은 흡입헤드(110)에 마련된 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흡입된 이물질은 유입구(212)로 유입되어 제2연결부재(220), 연장관(21) 및 연장호스(22)를 통해 집진장치(11)로 이동할 수 있다.
유입구(212)와 제2연결부재(220)는 플렉서블한 연결호스(213)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212)과 제2연결부재(220)는 아코디언 주름이 있는 연결호스(213)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구(212)와 제2연결부재(220)는 플렉서블한 연결호스(213)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흡입헤드(110)에는 흡입헤드(110)와 피청소면 간의 밀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버튼(170)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버튼(170)을 조작하여 흡입헤드(110)에 마련된 에어홀(132)을 개폐시킬 수 있다.
흡입헤드(110)는 상부케이스(120) 및 상부케이스(120)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30)는 서로 결합되어 내부공간(121)을 형성할 수 있다.
흡입헤드(110)는 상부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40)은 버튼(170)의 조작에 의해 상부케이스(120) 측으로 이동하거나 하부케이스(13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레임(140)은 프레임바디(150) 및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부유시키는 마찰부재(135)를 고정하도록 프레임바디(150)의 하부에 구성되는 홀더(16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바디(150)에는 흡입구(131)와 연통되는 흡입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팬모터(미 도시)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흡입헤드(110)에 마련된 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은 흡입부(151) 및 유입구(212)로 유입되어 제2연결부재(220), 연장관(21) 및 연장호스(22)를 통해 집진장치(11)로 이동할 수 있다.
프레임바디(150)의 일면에는 팬모터(미 도시)의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블레이드(152)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152)는 프레임(140)이 상부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3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121) 내에 수용되면 하부케이스(130) 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152)는 프레임바디(15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일 례로 블레이드(152)는 흡입부(151)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52)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프레임바디(15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바디(150)의 일면에는 브러시(153)가 구비될 수 있다. 브러시(153)는 블레이드(15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프레임(140)이 상부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3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121) 내에 수용되면, 브러시(153)는 하부케이스(130) 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러시(153)는 프레임바디(150)의 외측 모서리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153)와 블레이드(152)는 프레임바디(150)의 일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52)는 프레임바디(150)의 전방(F) 및 후방(B)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브러시(153)는 프레임바디(150)의 전방(F) 또는 후방(B)의 모서리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153)와 블레이드(152)는 프레임바디(150)의 일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140)이 버튼(170)에 의해 하부케이스(130) 측으로 이동하면, 브러시(153)와 블레이드(152)가 피청소면과 밀착되어 피청소면과 흡입헤드(110) 사이에서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프레임(140)은 상부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30)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마련되어, 하부케이스(130)에 형성되는 에어홀(132)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바디(150)에는 하부케이스(130)에 형성되는 에어홀(132)을 개폐할 수 있는 돌출부(154)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154)는 에어홀(13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프레임바디(15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54)는 프레임바디(150)의 일면의 좌우 방향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돌출부(154) 및 에어홀(132)의 형성 위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30)에는 흡입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31)는 하부케이스(130)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30)는 좌우 방향(L, R 방향)으로 연장된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30)의 외측 둘레에는 프레임바디(150)에 마련된 브러시(153) 및 블레이드(152)가 삽입될 수 있게 마련되는 삽입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33)은 브러시(153)에 대응되도록 하부케이스(130)의 외측 모서리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33)은 블레이드(152)에 대응되도록 하부케이스(130)의 전후 방향(F, B)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30)에는 피청소면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클리닝부(134)가 마련될 수 있다. 클리닝부(134)는 흡입구(131)를 기준으로 하부케이스(130)의 전후 방향(F, B)에 위치될 수 있다.
클리닝부(134)는 비교적 짧은 길이의 털이 있는 패브릭일 수 있다. 클리닝부(134)에 구비되는 털은 사선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하부케이스(130)의 전방(F)에 위치되는 클리닝부(134)에 마련된 털은 후방(B)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하부케이스(130)의 후방(B)에 위치되는 클리닝부(134)에 마련되는 털은 전방(F)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클리닝부(134)는 카페트와 같은 피청소면에 접촉되어 피청소면에 위치된 동물의 털과 같이 피청소면에 부착되어 쉽게 떼어지지 않는 이물질을 간섭하여 피청소면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피청소면으로부터 떼어진 이물질은 팬모터(미 도시)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131)로 흡입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30)에는 고무와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되는 마찰부재(135)가 구비될 수 있다. 흡입헤드(110)가 카페트를 따라 이동할 때, 마찰부재(135)는 카페트와 마찰하여 카페트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부유시킬 수 있다.
부유된 이물질은 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마찰부재(135)에 의해 카페트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30)의 일 측에는 에어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홀(132)은 버튼(170)의 조작에 따라 프레임(1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세히, 에어홀(132)은 프레임바디(150)에 마련된 돌출부(15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120) 및 하부케이스(130)는 프레임(140)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121)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120)의 저면에는 탄성부재(180)가 장착되는 장착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22)는 상부케이스(12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탄성부재(180)는 장착부(122)에 장착되어, 프레임(140)을 상부케이스(120) 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피청소면이 하드한 바닥면일 경우, 사용자는 버튼(170)을 가압하여 에어홀(132)을 닫을 수 있다. 피청소면이 마루바닥과 같이 하드한 바닥면일 경우, 에어홀(132)이 개방되어 있으면 팬모터(미 도시)에 의한 흡입력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력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피청소면이 하드한 바닥면일 경우, 에어홀(132)을 닫고 청소를 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40)은 하부로 이동하고, 프레임바디(150)에 구비되는 브러시(153) 및 블레이드(152)는 하부케이스(13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153)는 바닥면을 쓸(sweep) 수 있다.
돌출된 브러시(153)에 의해 팬모터(미 도시)의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블레이드(152)는 하부케이스(130)와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130)에 구비되는 마찰부재(135)는 카페트와 마찰되어 카페트에 위치된 이물질을 부유시킬 수 있다.
팬모터(미 도시)의 흡입력이 발생되면,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되어 유입구(212)를 통해 유입되고, 제2연결부재(220), 연장관(21) 및 연장호스(22)를 통해 집진장치(11)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한 바닥면을 청소하는 경우, 에어홀(132)을 닫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청소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청소면이 카페트일 경우, 사용자는 버튼(170)을 가압하여 에어홀(132)을 개방시킬 수 있다. 프레임(140)은 상부로 이동하여 블레이드(152)와 브러시(153)는 흡입헤드(1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30)는 피청소면인 카페트에 접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흡입구(131)가 카페트와 같은 피청소면에 밀착되는 경우, 흡입구(131)와 피청소면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흡입구(131)를 이동시키기가 어려울 수 있다. 즉, 피청소면을 따라 흡입헤드(110)를 이동시키는 데 상대적으로 많은 힘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그러나, 피청소면이 카페트일 경우라도 흡입헤드(110)의 일 측에 에어홀(132)을 개방시켜 피청소면과 흡입헤드(110)가 형성하는 공간이 밀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흡입헤드(110)를 카페트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1)는 피청소면의 상태에 따라 흡입장치(100)에 마련되는 에어홀(132)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카페트와 같은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에어홀(132)을 개방시켜 흡입장치(100)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마루바닥과 같은 하드한 재질의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에어홀(132)을 닫아 팬모터(미 도시)의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카페트와 같은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흡입헤드(110)와 피청소면 사이의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높아, 흡입헤드(110)가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할 때, 흡입구(131)가 피청소면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흡입헤드(110)의 흡입구(131)와 피청소면 사이의 실링이 파괴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흡입헤드(110)를 후방(B)으로 이동할 시 두드러지게 발생할 수 있다.
청소기(1)는 흡입장치(100)가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할 때 흡입구(131)가 피청소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흡입장치(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웨이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300)는 흡입헤드(110)에 추가적인 무게를 제공할 수 있다.
웨이트(300)는 흡입구(131)와 연장부재(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웨이트(300)는 흡입구(131)로부터 후방(B)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흡입헤드(110)를 카페트와 같은 피청소면으로부터 후방(B)으로 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흡입헤드(1130)의 피청소면으로부터의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웨이트(300)는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흡입장치(100)를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 시 흡입장치(100)가 피펑소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웨이트(3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트(300)의 단면이 원형이 아닌,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웨이트(300)의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경우, 가공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재료비를 더욱 절감할 수 있다.
웨이트(300)는 약 45g의 무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00)는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회전축(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축(230)에 의해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는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회전축(230)은 흡입헤드(110)가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조휠(211)이 회전하는 축을 이룰 수 있다.
사용자가 흡입장치(100)를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할 때, 흡입장치(100)가 피청소면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은 제1회전축(230)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웨이트(300)는 흡입구(131)와 제1회전축(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트(300)의 배치에 의해, 제1회전축(230)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210)는 제1연결부재(210)와 흡입헤드(11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회전축(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축(240)에 의해 흡입헤드(110)와 제1연결부재(210)는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회전축(240)은 흡입헤드(1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축을 이룰 수 있다.
사용자가 흡입장치(100)를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할 때, 흡입장치(100)가 피청소면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은 제2회전축(240)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웨이트(300)는 흡입구(131)와 제2회전축(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트(300)의 배치에 의해, 제2회전축(240)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웨이트(300)는 흡입헤드(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웨이트(300)는 상부케이스(120) 및 하부케이스(13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121)에 배치될 수 있다.
웨이트(300)는 프레임바디(150)와 하부케이스(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웨이트(300)는 홀더(160)와 하부케이스(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하부케이스에 배치된 웨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300)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300)의 가로 방향 길이가 짧으면 흡입헤드(110)의 양 단부에서 휨이 발생할 수 있고, 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흡입장치(100)로 카페트인 피청소면을 이동 시 흡입헤드(110)의 좌우 방향으로의 들뜸이 발생할 수 있어, 청소 효율을 저하할 수 있다.
웨이트(300)의 가로 길이는 흡입헤드(110)의 가로 길이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웨이트(300)의 길이는 사용자가 흡입장치(100)로 카페트인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 흡입헤드(110)의 좌우 방향으로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웨이트(300)는 흡입장치(100)의 내부에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웨이트(3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해 흡입장치(100)를 이동 시, 흡입장치(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웨이트(300)가 고정되지 않는 경우, 웨이트(300)의 이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고정부재(310)는 웨이트(300)를 고정함으로써,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310)는 웨이트(300)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고정부재(311) 및 웨이트(3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2고정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310)는 웨이트(30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3고정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부재(310)의 개수는 웨이트(300)를 고정하여, 사용자가 흡입장치(100)를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웨이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311) 및 제3고정부재(313)는 하부케이스(130)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312)는 홀더(160)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웨이트(300)를 흡입헤드(110)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고정부재(310)의 위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웨이트(300)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제1고정부재(311)는 'ㄴ'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웨이트(300)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제1고정부재(311)의 형상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정부재(311)의 형상은 '1'자, 'ㄱ'자 또는 'ㄷ'자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고정부재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부재(312)는 홀더(16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312)는 웨이트(300)의 형상과 일부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웨이트(3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제2고정부재(312)의 형상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고정부재(312)의 형상은 '1'자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고정부재(313)는 웨이트(300)의 형상과 일부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웨이트(30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제3고정부재(313)의 형상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고정부재(313)의 형상은 'U'자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청소기 10 : 본체
11 : 집진장치 12 : 메인휠
20 : 연장부재 21 : 연장관
22 : 연장호스 23 : 핸들관
230 : 조작부 100 : 흡입장치
110 : 흡입헤드 120 : 상부케이스
121 : 내부공간 122 : 장착부
130 : 하부케이스 131 : 흡입구
132 : 에어홀 133 : 삽입홀
134 : 클리닝부 135 : 마찰부재
140 : 프레임 150 : 프레임바디
151 : 흡입부 152 : 블레이드
153 : 브러시 154 : 돌출부
200 : 연결부재 210 : 제1연결부재
211 : 보조휠 212 : 유입구
213 : 연결호스 220 : 제2연결부재
221 : 체결부 222 : 후크부
300 : 웨이트 310 : 고정부재
311 : 제1고정부재 312 : 제2고정부재
313 : 제3고정부재 F : 흡입헤드의 전방
B : 흡입헤드의 후방 R : 흡입헤드의 오른 쪽
L : 흡입헤드의 왼 쪽

Claims (20)

  1. 본체;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흡입장치; 및
    상기 흡입장치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흡입장치를 연결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장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흡입헤드,
    상기 흡입헤드와 상기 연장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흡입장치가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흡입구가 피청소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장치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흡입헤드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연장부재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회전축을 포함하는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제1회전축 사이에 배치되는 청소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흡입헤드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제2회전축 사이에 배치되는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헤드는 상기 흡입구가 마련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헤드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원기둥 형상을 포함하는 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의 가로 길이는 상기 흡입헤드의 가로 길이의 절반 이상인 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흡입장치의 내부에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청소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웨이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웨이트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웨이트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웨이트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3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바디 및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부유시키는 마찰부재를 고정하도록 상기 프레임바디의 하부에 구성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3고정부재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구성되는 청소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홀더에 구성되는 청소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홀더 및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청소기.
  16.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흡입헤드 및 상기 흡입헤드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흡입헤드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흡입헤드와 상기 제1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제2회전축 사이에 배치되는 웨이트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헤드는,
    상기 흡입구가 마련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청소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헤드는 상기 웨이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9.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흡입헤드;
    상기 흡입헤드가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조휠;
    상기 보조휠이 회전할 수 있도록 축을 이루는 제1회전축;
    상기 흡입헤드가 회전할 수 있도록 축을 이루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으로부터 전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헤드의 내부에 수용되고, 원기둥 형상을 포함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청소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제2회전축 사이에 배치되는 청소기.
KR1020170094840A 2017-07-26 2017-07-26 청소기 KR102341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840A KR102341735B1 (ko) 2017-07-26 2017-07-26 청소기
PCT/KR2018/008110 WO2019022431A1 (ko) 2017-07-26 2018-07-18 청소기
US16/634,368 US11197594B2 (en) 2017-07-26 2018-07-18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840A KR102341735B1 (ko) 2017-07-26 2017-07-26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008A true KR20190012008A (ko) 2019-02-08
KR102341735B1 KR102341735B1 (ko) 2021-12-22

Family

ID=6504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840A KR102341735B1 (ko) 2017-07-26 2017-07-26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97594B2 (ko)
KR (1) KR102341735B1 (ko)
WO (1) WO20190224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312A (ko) * 2021-04-09 2022-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890A (ko) * 2001-03-16 2004-01-16 비젼 로보틱스 코포레이션 상자형 자동 진공 청소기
KR20060057753A (ko) * 2004-11-24 2006-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0817A (en) * 1974-10-18 1976-03-02 Levack Walter R Anti-clamping suction head for sweeping swimming pools
US4962559A (en) * 1988-11-16 1990-10-16 Rainbow Lifegard Products, Inc. Submersible vacuum cleaner
DE19504333C2 (de) 1995-02-10 1997-10-23 Aeg Hausgeraete Gmbh Staubsaugermundstück
US5983446A (en) * 1998-01-16 1999-11-16 Hsia; Chih-Yu Multiple suction nozzle vacuum heads
US6123779A (en) * 1999-06-01 2000-09-26 Fantom Technologies Inc. Pressure based sens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n agitator in a vacuum cleaner head
KR100346972B1 (ko) 1999-06-03 2002-07-31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고정구조물의 하중측정장치
JP2001269294A (ja) * 2000-03-23 2001-10-02 Sharp Corp 電気掃除機
KR100582519B1 (ko) 2004-07-09 2006-05-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KR101659009B1 (ko) 2009-11-17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WO2012018146A1 (ko) 2010-08-03 201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GB2526512B (en) 2014-03-19 2017-07-26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890A (ko) * 2001-03-16 2004-01-16 비젼 로보틱스 코포레이션 상자형 자동 진공 청소기
KR20060057753A (ko) * 2004-11-24 2006-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97594B2 (en) 2021-12-14
US20210093135A1 (en) 2021-04-01
KR102341735B1 (ko) 2021-12-22
WO2019022431A1 (ko)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079B1 (ko)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도구
CN106691315B (zh) 用于吸尘器的滚筒以及具有该滚筒的吸尘器
KR20200038981A (ko) 진공 청소기용 표면 청소 헤드
KR101473786B1 (ko) 충전식 진공청소기
KR20190012008A (ko) 청소기
KR102015320B1 (ko) 청소기
US11076732B2 (en) Vacuum cleaner
CN106333627B (zh) 吸入口器具及电动吸尘器
JP2001149281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2205799A (ja) 吸込口体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掃除機
JP2017006185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07054433A (ja) 電気掃除機
JP3542274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20180085584A (ko) 청소기
JP3470100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2017018413A (ja) 電気掃除機
KR200241184Y1 (ko) 대류식 칠판지우개
KR200148058Y1 (ko) 진공청소기
JP3542286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2000037327A (ja) 掃除機用床ノズル
JP3542287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20230146955A (ko) 진공 청소기 노즐
KR0115197Y1 (ko) 진공청소기의 비산먼지 흡입장치
JP2000189363A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2010148672A (ja) 吸込口体、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