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000A - 배수 패널과 그것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 - Google Patents

배수 패널과 그것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000A
KR20190012000A KR1020170094826A KR20170094826A KR20190012000A KR 20190012000 A KR20190012000 A KR 20190012000A KR 1020170094826 A KR1020170094826 A KR 1020170094826A KR 20170094826 A KR20170094826 A KR 20170094826A KR 20190012000 A KR20190012000 A KR 20190012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ember
panel
drain
draina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1698B1 (ko
Inventor
이근효
Original Assignee
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호 filed Critical 이창호
Priority to KR1020170094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6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6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corrosion by soil o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전면부를 형성하고 몸체의 중앙부에 일정크기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전방벽부재와; 상기 전방벽부재의 후면부에 일정이격을 두고 대응되게 위치하고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후방벽부재와; 상기 전방벽부재와 후방벽부재의 양측벽사이에 위치하고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수 패널로서; 상기 전방벽부재에는 몸체의 일측 가장자리면과 상부 가장자리면에 일정너비로 돌출되는 돌출면부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그에 대응되는 반대편 몸체의 또다른 일측 가장자리면과 하부 가장자리면의 각각에 일정너비로 함몰되어 상기 돌출면부를 끼워 결합되도록 수용면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방벽부재의 양측 가장자리 후면에는 상기 측면벽부재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돌출결합부와 결합하여 배수 패널을 조립할 수 있도록 제1 결합레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배수패널의 좌우측면과 후면 가장자리에 돌출부와 안내레일홈을 착탈 결합가능하도록 각각 형성하여 측면보조패널과 후면벽부재를 각각 슬라이딩 착탈조립시키므로써, 배면 토사물에 대해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배수 패널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시공안정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수 패널과 그것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Drainage Panel and Building Facilit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수 패널과 그것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패널의 좌우측면과 후면 가장자리에 돌출부와 안내레일홈을 착탈 결합가능하도록 각각 형성하여 측면보조패널과 후면벽부재를 각각 슬라이딩 착탈조립시키므로써, 배면 토사물에 대해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배수 패널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시공안정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배수 패널과 그것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물이란 어떤 목적을 위해 설비해 놓은 기계나 장치, 도구, 구조물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그런데, 통상 도로의 사면에서 흙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거나 또는 평활한 부지의 확보를 위하여 사용되는 콘크리트 옹벽시설물 혹은 옹벽구조물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옹벽(Retaining Wall) 구조물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게 세워지는 벽체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보다 가파른 흙을 쌓거나 또는 산을 깎을 때에 발생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이러한 종래의 옹벽 종류로는 폴리머재질의 격자형 지오그리드(geogrid)를 보강재로 사용하는 블록식 옹벽 타입과, 네일 앵커 및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 타입 등이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패널식 옹벽 시공방법중 일례를 살펴보면, 사면에 형성된 천공홀내에 소정 길이의 앵커바를 삽입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후에 사면 아래쪽 지면에 베이스 블럭을 평행하게 배열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후에 기 시공된 베이스 블럭 위로 다수의 프리캐스트 패널을 적층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패널식 옹벽 시공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면(70)에 형성된 천공홀(71)내에 소정 길이의 앵커바(72)를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앵카바(72)를 삽입한후에 사면(70) 아래쪽 지면에 베이스 블럭(73)을 평행하게 배열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 시공된 베이스 블럭(73) 위로 다수의 프리캐스트 패널(74)을 적층시켜 시공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프리캐스트 패널(74)는 직사각형 판체로 성형되는 동시에 그 상면에는 체결홈(202)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체결용 돌출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패널(74)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202)내에 상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패널(74)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용 돌출부(204)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프리캐스트 패널(74)의 적층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체결용 돌출부(204)의 돌출 길이는 체결홈(202)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체결용 돌출부(204)가 체결홈(202)내에 삽입되면, 체결홈(202)의 바닥에서 체결용 돌출부(204)의 선단 사이에는 배수홈(206)이 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패널식 옹벽 시공방법은 체결용 돌출부의 양면이 체결홈의 입구쪽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그 밀착된 부분이 오히려 기밀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어, 체결홈의 바닥과 체결용 돌출부의 선단 사이 공간인 배수홈으로 물이 새어 들지 않아 배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패널의 적층 시공시 또는 적층 완료 후에 프리캐스트 패널에 외부력(산사태 또는 집중호우, 지진 등)이 작용하는 경우, 프리캐스트 패널 간의 적층 결합력이 떨어져 파손 내지 무너져 내리는 현상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면에 형성된 천공홀내에 앵커바가 삽입된 후, 그라우팅되기 전에 앵커바의 처짐으로 인하여 앵커바의 외경 일부가 천공홀내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천공홀의 내벽에 닿는 현상이 발생되어, 앵커바의 전체 표면에 그 라우팅이 제대로 입혀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더나아, 상기와 같은 종래와 같은 패널식 옹벽 시공방법은 모두 콘크리트 외관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자연 친화적이지 못하며, 주변 보행자 또는 거주자들에게도 친숙하지 못하다. 게다가, 기존에는 옹벽 시설물을 시설시 따로 배수부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옹벽 시설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미흡하고, 우천시 옹벽 시설물로 토압력이 발생하여 흙이 무너짐으로써, 환경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배수패널의 좌우측면과 후면 가장자리에 돌출부와 안내레일홈을 착탈 결합가능하도록 각각 형성하여 측면보조패널과 후면벽부재를 각각 슬라이딩 착탈조립시키므로써, 배면 토사물에 대해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배수 패널을 시공할 수 있는배수 패널과 그것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활지에 대체로 시공되는 배수패널의 전면에 태양광을 집속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부를 함께 설치하므로써, 배면 토사에 대한 배수처리를 수행함과 더불어 태양광을 통한 전기도 얻을 수 있는 배수 패널과 그것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전면부를 형성하고 몸체의 중앙부에 일정크기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전방벽부재와; 상기 전방벽부재의 후면부에 일정이격을 두고 대응되게 위치하고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후방벽부재와; 상기 전방벽부재와 후방벽부재의 양측벽사이에 위치하고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수 패널로서;
상기 전방벽부재에는 몸체의 일측 가장자리면과 상부 가장자리면에 일정너비로 돌출되는 돌출면부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그에 대응되는 반대편 몸체의 또다른 일측 가장자리면과 하부 가장자리면의 각각에 일정너비로 함몰되어 상기 돌출면부를 끼워 결합되도록 수용면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방벽부재의 양측 가장자리 후면에는 상기 측면벽부재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돌출결합부와 결합하여 배수 패널을 조립할 수 있도록 제1 결합레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배수구가 내부에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부에 좌,우 혹은 상부방향으로 서로 결합시켜 다수의 층으로 축조되는 배수 패널과; 상기 배수 패널의 제3 관통홀과 연결홀에 각각 몸체의 일부가 통과하여 결합되고 타단부가 연결부재를 매개로 배면의 토사물에 고정되는 고정케이블과; 상기 축조된 배수 패널의 배수관통홀에 배수를 위해 충진되는 자갈을 포함하는 배수패널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패널의 좌우측면과 후면 가장자리에 돌출부와 안내레일홈을 착탈 결합가능하도록 각각 형성하여 측면보조패널과 후면벽부재를 각각 슬라이딩 착탈조립시키므로써, 배면 토사물에 대해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배수 패널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시공안정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배수 패널의 후면부에 다수개의 배수구멍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배수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므로써, 배면 토사물로 다량의 우수가 유입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배출하게되므로 그에 따라 배수효율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본 발명은 개활지에 대체로 시공되는 배수패널의 전면에 태양광을 집속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부를 함께 설치하므로써, 배면 토사에 대한 배수처리를 수행함과 더불어 태양광을 통한 전기도 얻을 수 있어 그에 따라 배수 패널의 다용도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패널식 옹벽 시공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전방벽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전방벽부재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또다른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또다른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또다른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또다른 제4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조립시공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구조를 후면을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일실시예에 태양광 패널부를 결합시킨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패널시설물의 조립시공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부가 결합된 배수패널시설물의 조립시공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전방벽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전방벽부재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또다른 제1 내지 제4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조립시공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구조를 후면을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일실시예에 태양광 패널부를 결합시킨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패널시설물의 조립시공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부가 결합된 배수패널시설물의 조립시공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전면부를 형성하고 몸체의 중앙부에 일정크기의 제1 관통홀(1)이 형성되는 전방벽부재(2)와;
상기 전방벽부재(2)의 후면부에 일정이격을 두고 대응되게 위치하고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후방벽부재(3)와;
상기 전방벽부재(2)와 후방벽부재(3)의 양측벽사이에 위치하고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벽부재(4)를 포함하여 배수 패널(5)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벽부재(2)에는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의 일측 가장자리면과 상부 가장자리면에 일정너비로 돌출되는 돌출면부(6A,6B)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그에 대응되는 반대편 몸체의 또다른 일측 가장자리면과 하부 가장자리면의 각각에 일정너비로 함몰되어 상기 돌출면부(6A,6B)를 끼워 결합되도록 수용면부(7A,7B)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벽부재(2)에는 예컨대 사각형상으로 전면부만 천공된 제1 관통홀(1)의 내측으로 케이블(8)을 수용가능하게 일정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관통된 제3 관통홀(9)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8)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시공최종단계에서 케이블(8)의 나사산에 원형캡(10)을 체결하게 되고, 이후 상기 제3 관통홀(9)의 전면을 덮어 가리우는 사각캡부재(11)를 씌워 결합시킬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벽부재(2)의 양측 가장자리 후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측면벽부재(4)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돌출결합부(12)와 결합하여 배수 패널(5)를 조립할 수 있도록 제1 결합레일홈(13)이 형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측면벽부재(4)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 단부 중앙에 전방벽부재(2)의 제1 결합레일홈(13)에 결합되는 돌출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후방벽부재(3)의 가장자리를 끼워 결합시키는 제2 결합레일홈(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벽부재(2)에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단몸체의 일정영역이 관통되어 식물이 성장하도록 전면 관통홀(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벽부재(3)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수가 가능하도록 몸체 전면에 다수개의 후방배수홀(16)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정중앙에는 케이블(8)이 삽입되게 일정직경의 연결홀(17)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벽부재(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면으로 측면벽부재(4)를 결합한 후 다시 그 후방으로 후방벽부재(3)을 최종 결합하여 배수 패널(5)를 조립완료할 경우 전방벽부재(2)와 후방벽부재(3) 사이에 식재 혹은 배수가 가능하게 상,하부가 관통되는 일정용적의 배수관통홀(1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립된 배수 패널(5)의 배수관통홀(18)에는 자갈(G)이 채워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우천시 배수 패널(5)로 토압력이 발생해도 추후 설명하는 배수 패널(5)로 축조한 시설물이 토압력을 지지함과 아울러 배수 패널(5)의 후방벽부재(3)에 형성된 다수개의 후방배수홀(16)을 통해 빗물 등이 배수부 역할을 수행하는 배수관통홀(18)로 들어오게 되어 천천히 배수된다. 그에더하여, 상기 배수관통홀(18) 내에 자갈(G)이 채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배수 패널(5)은 안정적으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배수부로부터 배수구로 빗물 등이 배수시 한꺼번에 배수되지 않고 시간차를 두고 배수시킴으로써 배수구가 막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배수패널의 조립을 살펴보면, 상기 전방벽부재(2)의 양측 가장자리 후면에 형성된 제1 결합레일홈(13)에 측면벽부재(4)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결합부(12)를 끼워 결합한후 후방벽부재(3)의 가장자리 형성된 제2 결합레일홈(14)에 후방벽부재(3)을 끼워 결합하므로 배수 패널(5)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배수 패널(5)의 조립이 완료될 경우 전방벽부재(2)와 후방벽부재(3) 사이에 식재 혹은 배수가 가능하게 상,하부가 관통되는 일정용적의 배수관통홀(1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벽부재(4)의 또다른 제1 실시예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방측 몸체 단부에 결합을 위한 요홈결합수단(3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요홈결합수단(36)에 삽입 고정되는 보조배수블록(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벽부재(4)에는 식재와 배수가 가능하도록 내부의 상,하부가 관통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조되고, 몸체의 양쪽 후면에 일정길이로 날개부(37)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몸체의 일측면 전체가 측면벽부재(4)에 면접촉되게 조립되면서 후면부 전체가 측면벽부재(4)의 보조벽부재에 면접촉되어 지지되도록 조립되는 보조배수블록(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배수블록(20)는 몸체의 후면부 전체에 배수가 가능하도록 배수공(21)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측면벽부재(4)와 보조배수블록(20)에는 상기 요홈결합수단(36)을 형성하지 않고 보조배수블록(20)의 날개부(37)만을 상기 측면벽부재(4)에 면접촉시켜 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벽부재(4)의 또다른 제1 실시예의 조립시공을 살펴보면, 배수 패널(5)를 시공한후에 보조배수블록(20)의 몸체의 일측면 전체를 상기와 같이 시공된 배수 패널(5)의 측면벽부재(4)에 면접촉되게 시공하면서 요홈결합수단(36)를 통해 서로 결합시켜 배수공(21)이 형성된 후면부 전체를 상기 측면벽부재(4)의 보조벽부재(19)에 면접촉되도록 지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보조배수블록(20)의 후면부 전체에는 배수가 가능하도록 배수공(21)이 다수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배면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배수블록(20)와 같이 시공되는 배수 패널(5)에는 후방벽부재(3)이 설치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상기 측면벽부재(4)의 또다른 제2 실시예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방측 몸체 양단부에 날개돌기부(19)를 형성하고 상기 날개돌기부(19)에 지지되는 보조배수블록(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벽부재(4)에는 식재와 배수가 가능하도록 내부의 상,하부가 관통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조되고, 몸체의 양쪽 후면에 일정길이로 날개부(37)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몸체의 일측면 전체가 측면벽부재(4)에 면접촉되게 조립되는 보조배수블록(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배수블록(20)는 몸체의 후면부 전체에 배수가 가능하도록 배수공(21)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벽부재(4)와 보조배수블록(20)의 각각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을 위한 요홈결합수단(36)이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측면벽부재(4)의 또다른 제2 실시예의 조립시공을 살펴보면, 배수 패널(5)를 시공한후에 배수 패널(5)의 측면벽부재(4)의 후방측 몸체 양단부에 형성된 날개돌기부(19)에 보조배수블록(20)의 날개부(37)가 각각 걸어지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요홈결합수단(36)를 통해 서로 결합시켜 배수공(21)이 형성된 후면부 전체를 상기 측면벽부재(4)의 보조벽부재(19)에 면접촉되도록 지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보조배수블록(20)의 후면부 전체에는 배수가 가능하도록 배수공(21)이 다수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배면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배수블록(20)와 같이 시공되는 배수 패널(5)에는 후방벽부재(3)이 설치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상기 측면벽부재(4)의 또다른 제3 실시예로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방측 몸체 양단부에 안쪽으로 돌출형성되는 날개돌기부(19)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날개돌기부(19)에 걸어 지지되는 보조배수블록(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벽부재(4)에는 후방측 몸체 양단부에 형성된 날개돌기부(19)에 각각 걸어지지되도록, 식재와 배수가 가능하도록 내부의 상,하부가 관통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조되고, 몸체의 양쪽 후면에 일정길이로 날개부(37)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몸체의 일측면 전체가 측면벽부재(4)에 면접촉되게 조립되는 보조배수블록(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배수블록(20)는 몸체의 후면부 전체에 배수가 가능하도록 배수공(21)이 다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측면벽부재(4)의 또다른 제3 실시예의 조립시공을 살펴보면, 배수 패널(5)를 시공한후에 보조배수블록(20)의 몸체의 일측면 전체를 상기와 같이 시공된 배수 패널(5)의 측면벽부재(4)의 후방측 몸체 양단부에 형성된 날개돌기부(19)에 보조배수블록(20)의 날개부(37)가 각각 걸어지지되도록 하면서 타측면은 측면벽부재(4)와 면접촉되게 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배수블록(20)의 후면부 전체에는 배수가 가능하도록 배수공(21)이 다수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배면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배수블록(20)와 같이 시공되는 배수 패널(5)에는 후방벽부재(3)이 설치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배수 패널(5)의 또다른 제4 실시예로, 도 5(d)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수 패널(5)로서, 전방벽부재(2) 하나만을 이용하여 보조배수블록(20)과 함께 시공하는 것이다. 나머지 구조와 기능은 상기 도 5의 실시예들과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배수 패널(5)로서, 전방벽부재(2) 하나만을 이용하여 시공할 경우 시공비용이나 시공시간이 기존의 배수패널에 비해 상당히 저감된다.
이에 더하여, 본원발명 배수 패널(5)의 또다른 실시예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벽부재(2)의 전면부에 태양광을 집광하는 태양광셀(22)가 설정된 배열과 크기로 다수개 설치된 태양광 패널부(23)와; 상기 전방벽부재(2)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 패널부(23)의 상단부가 내측의 힌지(24)와 결합되어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광 패널부(23)이 힌지(24)를 매개로 유동시키는 힌지구동부(25)와; 상기 힌지구동부(25)의 일측에 구동축과 결합되어 힌지구동부(25)를 회전구동시키므로 태양광 패널부(23)을 태양의 위치에 따라 유동시키는 구동모터부(26)와; 상기 태양광 패널부(23)의 전면에 다수개 설치되어 태양의 위치를 센싱하여 구동모터부(26)로 전송하는 위치검출센서(2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벽부재(2)에는 시설시 필요할 경우 측면벽부재(4)의 상단에도 확장하여 결합시키므로써, 태양광 패널부(23)이 태양의 위치에 따라 안정적으로 펼치거나 닫을 수 있다.
예컨대, 한국의 시설물 중에는 옹벽용으로 이용되는 시설물이 무수히 많은데, 이런 시설물들에 태양광을 집광시키는 복수의 태양광셀(22)를 갖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부(23)을 설치할 경우, 친환경적 요소를 갖는 태양광에 의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태양광을 더욱 잘 집속시키기 위해서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광 패널부(23)의 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즉, 태양은 남중 고도(태양의 위치와 지평면이 수직인 고도)에 위치할 때, 많은 양의 태양광을 가장 잘 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시설된 태양광 패널부(23)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전방벽부재(2)는 측면벽부재(4)에 힌지구동부(25)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수 패널(5) 혹은 태양광 패널부(23)이 구비된 배수 패널(5)로 측조되는 배수패널 시설물(28)은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수구(29)가 내부에 형성된 베이스판(30)과; 상기 베이스판(30) 상부에 좌,우 혹은 상부방향으로 서로 결합시켜 다수의 층으로 축조되는 배수 패널(5)과; 상기 배수 패널(5)의 제3 관통홀(9)와 연결홀(17)에 각각 몸체의 일부가 통과하여 결합되고 타단부가 연결부재(31)를 매개로 배면의 토사물(32)에 고정되는 고정케이블(8)과; 상기 축조된 배수 패널(5)의 배수관통홀(18)에 배수를 위해 충진되는 자갈(G)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1)은 연결홀(17)측에 연결되는 고정케이블(8)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리 형상의 제1 연결부(33)와, 상기 제1 연결부(33)과 결합되면서 타단이 배면의 토사물(32)에 고정되는 지지부(34)에 고정되는 제2 연결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33)과 제2 연결부(35)의 결합부위에 고리대신 암수의 수납 나사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고정구조에 의해, 배수패널 시설물(28)은 배면의 토사물(32)에 의해 발생하는 토압력에 대항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갖게 된다.
즉, 배수관통홀(18)에 채워지는 자갈(G)에 의해 배수패널 시설물(28)의 지지력이 강화되고, 연결부재(31)의 제1 연결부(33)과 제2 연결부(35)가 상기 배수패널 시설물(28)을 견고히 지지함과 아울러 배면의 토사물(32)에 고정됨으로써 배수패널 시설물(28)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30)에는 배수부 역할을 수행하는 배수관통홀(18)과 베이스판(30)의 배수구(29)가 연결되는 유로(도시안됨)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패널 시설물(28)의 배면의 토사물에서 흘러들어오는 빗물 등은 배수관통홀(18)을 타고 흘러내려가 유로를 통해 베이스판(30)의 배수구(29)로 배출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발명 배수패널 시설물의 실시예들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원 발명은 먼저, 배수구(29)가 내부에 형성된 베이스판(30)과 배면의 토사물(32)가 시공되는 제1 과정(S1)과;
상기 제1 과정(S2)후에 상기 베이스판(30) 상부에 좌,우 혹은 상부방향으로 배수 패널(5)를 서로 결합시켜 다수의 층으로 축조하는 제2 과정(S2)과;
상기 제2 과정(S3)후에 상기 배수 패널(5)의 제3 관통홀(9)와 연결홀(17)에 고정케이블(8)의 몸체를 통과시키는 한편 상기 고정케이블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1 연결부(33)을 타단이 배면의 토사물(32)에 고정되는 지지부(34)에 고정되는 제2 연결부(35)와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제3 과정(S3)과; 상기 축조된 배수 패널(5)의 배수관통홀(18)에 배수를 위해 자갈(G)을 충진하여 배수패널 시설물의 시공을 완료하는 제4 과정(S4)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본 발명 배수패널 시설물의 조립시공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배수구(29)가 내부에 형성된 베이스판(30)과 배면의 토사물(32)를 시공한후에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배수 패널(5)의 전방벽부재(2)의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면부(6A,6B)를 도 에 도시된 바와같이 또 다른 배수 패널(5)의 전방벽부재(2)의 좌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수용면부(7A,7B)에 끼워결합시키는 시공방식을 계속 수행하므로 수평방향으로 패널벽을 쌓아가게 된다. 반면에 상기와 같은 시공된 배수 패널(5)의 전방벽부재(2)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면부(6A,6B)에 또다른 배수 패널(5)의 전방벽부재(2)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수용면부(7A,7B)를 끼워 결합시키는 방식을 계속 수행하여 수직방향으로 패널벽을 적층시키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 패널(5)를 조립시공할 경우 고정케이블(8)을 개개마다 설치하거나 혹은 일정간격마다 시공환경에 맞게 고정설치할 수 있게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조립시공된 배수 패널(5)에 고정케이블(8)을 설치할 경우 고정케이블(8)을 상기 배수 패널(5)의 전방벽부재(2)의 제3 관통홀(9)와 연결홀(17)에 고정케이블(8)의 몸체를 통과시키는 한편 상기 고정케이블(8)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1 연결부(33)을 타단이 배면의 토사물(32)에 고정되는 지지부(34)에 고정되는 제2 연결부(35)와 결합시켜 고정시키면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정케이블(8)을 설치한 후 상기 제3 관통홀(9)에 돌출된 고정케이블(8)의 단부 나사산에 원형캡(10)을 체결하고 이후 상기 제3 관통홀(9)의 전면을 덮어 가리우게 제1 관통홀(1)의 전면에 사각캡부재(11)을 덮어 씌워 결합시키므로 본발명에 의한 배수 패널(5)의 시공을 완료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 배수패널의 다른 실시예인 태양광 패널부(23)이 구비된 배수 패널(5)의 조립시공은 배수 패널(5)의 측조는 상기 조립시공과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태양광 패널부(23)이 구비된 배수 패널(5)의 조립시공이 완료될 경우 태양광 패널부(23)의 전면에 다수개 설치된 위치검출센서(27)이 현재 태양의 위치를 센싱하여 구동모터부(26)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구동모터부(26)는 태양의 최적 집속위치를 계산한후 그 결과값에 따라 태양광 패널부(23)이 결합되어 있는 힌지구동부(25)를 유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태양광 패널부(23)은 태양이 최적으로 집속되는 방향으로 힌지구동부(25)를 매개로 선회운동을 하게되므로 상기 태양광 패널부(23)에 다수개 설치된 태양광셀(22)이 태양에너지를 집광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축적하게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본 발명 배수 패널(5)에 구비된 태양광 패널부(23)을 통해 생산된 전기는 필요한 곳에 적절히 사용하게된다.
따라서, 한국의 시설물 중에는 옹벽용으로 이용되는 배수시설물이 무수히 많은데, 이런 배수시설물들에 태양광을 집광시키는 복수의 태양광셀(22)를 갖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부(23)을 설치할 경우, 친환경적 요소를 갖는 태양광에 의한 전기를 생산하여 적절히 사용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태양광을 더욱 잘 집속시키기 위해서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상기와 같이 태양광 패널부(23)의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즉, 태양은 남중 고도(태양의 위치와 지평면이 수직인 고도)에 위치할 때, 많은 양의 태양광을 가장 잘 집속할 수 있으므로 이 방향으로 조절하면 최적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1 : 제1 관통홀 2, 2A-N: 전방벽부재
3 : 후방벽부재 4 : 측면벽부재
5 : 배수 패널 6A,6B: 돌출면부
7A,7B: 수용면부 8 : 케이블
9 : 제 3 관통홀 10: 원형캡
11: 사각캡부재 12:돌출결합부
13: 제1 결합레일홈 14: 제2 결합레일홈
15: 전면 관통홀 16: 후방배수홀
17: 연결홀 18: 배수관통홀
19: 날개돌기부 20: 보조배수블록
21: 배수공 22: 태양광셀
23: 태양광 패널부 24: 힌지
25: 힌지구동부 26: 구동모터부
27: 위치검출센서 28: 배수패널 시설물
29: 배수구 30: 베이스판
31: 연결부재 32: 토사물
33: 제1 연결부 34: 지지부
35: 제2 연결부 36: 요홈결합수단
37: 날개부

Claims (15)

  1.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전면부를 형성하고 몸체의 중앙부에 일정크기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전방벽부재와; 상기 전방벽부재의 후면부에 일정이격을 두고 대응되게 위치하고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후방벽부재와; 상기 전방벽부재와 후방벽부재의 양측벽사이에 위치하고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수 패널로서;
    상기 전방벽부재에는 몸체의 일측 가장자리면과 상부 가장자리면에 일정너비로 돌출되는 돌출면부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그에 대응되는 반대편 몸체의 또다른 일측 가장자리면과 하부 가장자리면의 각각에 일정너비로 함몰되어 상기 돌출면부를 끼워 결합되도록 수용면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방벽부재의 양측 가장자리 후면에는 상기 측면벽부재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돌출결합부와 결합하여 배수 패널을 조립할 수 있도록 제1 결합레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부재에는 사각형상으로 전면부만 천공된 제1 관통홀의 내측으로 케이블을 수용가능하게 일정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관통된 제 3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시공최종단계에서 케이블의 나사산에 원형캡을 체결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3 관통홀에는 전면을 덮어 가리우는 사각캡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벽부재에는 일측 단부 중앙에 전방벽부재의 제1 결합레일홈에 결합되는 돌출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후방벽부재의 가장자리를 끼워 결합시키는 제2 결합레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부재에는 상단몸체의 일정영역이 관통되어 식물이 성장하도록 전면 관통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부재에는 배수가 가능하도록 몸체 전면에 다수개의 후방배수홀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정중앙에는 케이블이 삽입되게 일정직경의 연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부재와 후방벽부재 사이에는 식재 혹은 배수가 가능하게 상,하부가 관통되는 일정용적의 배수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벽부재에는 후방측 몸체 단부에 결합을 위한 요홈결합수단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요홈결합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 요홈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벽부재의 후면에 걸어 지지되도록 몸체의 양쪽 후면에 일정길이로 날개부가 형성된 보조배수블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벽부재에는 후방측 몸체 양단부에 안쪽으로 날개돌기부가 각각 돌출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날개돌기부에 걸어 지지되도록 몸체의 양쪽 후면에 일정길이로 날개부가 형성된 보조배수블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벽부재에는 후방측 몸체 양단부에 안쪽으로 날개돌기부가 각각 돌출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날개돌기부에 걸어 지지되도록 몸체의 양쪽 후면에 일정길이로 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벽부재의 요홈결합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 요홈결합수단이 형성되는 보조배수블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부재에는 전면부에 태양광을 집광하는 태양광 셀이 설정된 배열과 크기로 다수개 설치된 태양광 패널부와; 상기 전방벽부재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 패널부의 상단부가 내측의 힌지와 결합되어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광 패널부가 힌지를 매개로 유동시키는 힌지구동부와; 상기 힌지구동부의 일측에 구동축과 결합되어 힌지구동부를 회전구동시키므로 태양광 패널부를 태양의 위치에 따라 유동시키는 구동모터부와; 상기 태양광 패널부의 전면에 다수개 설치되어 태양의 위치를 센싱하여 모터구동부로 전송하는 위치검출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패널.
  12.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전면부를 형성하고 몸체의 중앙부에 일정크기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몸체의 일측 가장자리면과 상부 가장자리면에 일정너비로 돌출되는 돌출면부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그에 대응되는 반대편 몸체의 또다른 일측 가장자리면과 하부 가장자리면의 각각에 일정너비로 함몰되어 상기 돌출면부를 끼워 결합되도록 수용면부가 각각 형성되는 전방벽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패널.
  13. 배수구가 내부에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부에 좌,우 혹은 상부방향으로 서로 결합시켜 다수의 층으로 축조되는 배수 패널과; 상기 배수 패널의 제3 관통홀과 연결홀에 각각 몸체의 일부가 통과하여 결합되고 타단부가 연결부재를 매개로 배면의 토사물에 고정되는 고정케이블과; 상기 축조된 배수 패널의 배수관통홀에 배수를 위해 충진되는 자갈을 포함하는 배수패널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패널 시설물에는 상기 배수 패널의 전면벽부재의 상부에 태양광 패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패널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홀측에 연결되는 고정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리 형상의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면서 타단이 배면의 토사물에 고정되는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패널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
KR1020170094826A 2017-07-26 2017-07-26 배수 패널과 그것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 KR102111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826A KR102111698B1 (ko) 2017-07-26 2017-07-26 배수 패널과 그것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826A KR102111698B1 (ko) 2017-07-26 2017-07-26 배수 패널과 그것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000A true KR20190012000A (ko) 2019-02-08
KR102111698B1 KR102111698B1 (ko) 2020-05-15

Family

ID=6536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826A KR102111698B1 (ko) 2017-07-26 2017-07-26 배수 패널과 그것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69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206B1 (ko) * 2009-01-08 2009-11-25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지반 보강재의 설치 간격에 대응하는 가변형 지압판을 이용한 보강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00100093A (ko) * 2009-03-05 2010-09-15 오성훈 식생 옹벽패널
KR20110042410A (ko) * 2009-10-19 2011-04-27 (주) 신풍컨설턴트 식생 블록, 식생 블록 고정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 옹벽, 그리고 그 옹벽의 시공방법
KR20110055761A (ko) * 2009-11-20 2011-05-26 김성례 대형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20120030513A (ko) * 2012-03-05 2012-03-28 김희준 셋 앵커 형태의 락볼트 및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JP2012507649A (ja) * 2008-11-05 2012-03-29 アラン ブロ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複数要素から成る擁壁ブロック
KR20130064854A (ko) * 2011-12-09 2013-06-19 (주)온누리태양에너지 태양 추적식 트랙커를 구비한 태양광 및 태양열 복합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7649A (ja) * 2008-11-05 2012-03-29 アラン ブロ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複数要素から成る擁壁ブロック
KR100927206B1 (ko) * 2009-01-08 2009-11-25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지반 보강재의 설치 간격에 대응하는 가변형 지압판을 이용한 보강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00100093A (ko) * 2009-03-05 2010-09-15 오성훈 식생 옹벽패널
KR20110042410A (ko) * 2009-10-19 2011-04-27 (주) 신풍컨설턴트 식생 블록, 식생 블록 고정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 옹벽, 그리고 그 옹벽의 시공방법
KR20110055761A (ko) * 2009-11-20 2011-05-26 김성례 대형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20130064854A (ko) * 2011-12-09 2013-06-19 (주)온누리태양에너지 태양 추적식 트랙커를 구비한 태양광 및 태양열 복합시스템
KR20120030513A (ko) * 2012-03-05 2012-03-28 김희준 셋 앵커 형태의 락볼트 및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698B1 (ko)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075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US8555569B2 (en) Structure for rigidly connecting solar panels to a fixture
AU20082023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photovoltaic modules
EP2257675B1 (en) Water shielding barrier
JP2019022443A (ja) パネル支持装置
US20140230877A1 (en) Sensing, interlocking solar module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KR101266440B1 (ko) 터널형 방음시설
KR101885873B1 (ko)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지지구조물
KR100839566B1 (ko) 조경 또는 방수를 위한 상부 패널, 이를 이용한 옥상 이중바닥 구조물 및 옥상 구조물
CN111615952B (zh) 一种绿色建筑的绿化幕墙系统
CN103352549B (zh) 一种钢结构倒流式双层彩板雨篷
KR20190012000A (ko) 배수 패널과 그것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물
WO2006111728A1 (en) A kit for assembling a fence
KR101022696B1 (ko) 태양광 발전유닛용 지지프레임의 기초 시공방법
KR101109137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42283B1 (ko) 지붕 무타공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체
KR101810912B1 (ko) 배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시설물
KR101842156B1 (ko)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
KR101462568B1 (ko) 샌드위치패널의 구조물 설치용 베이스브라켓
JP3181892U (ja) 太陽電池発電装置
KR101312013B1 (ko)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20120285553A1 (en) Self-weighted water tank device for solar energy system
JP5882704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敷設構造及び太陽電池パネルの固定部材
KR102483974B1 (ko) 태양광 패널 지지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지지시스템
JP2014098249A (ja) 太陽電池パネルを備える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