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156B1 -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 - Google Patents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156B1
KR101842156B1 KR1020170134661A KR20170134661A KR101842156B1 KR 101842156 B1 KR101842156 B1 KR 101842156B1 KR 1020170134661 A KR1020170134661 A KR 1020170134661A KR 20170134661 A KR20170134661 A KR 20170134661A KR 101842156 B1 KR101842156 B1 KR 101842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solar panel
flange
fram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성
남민균
Original Assignee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4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이 횡방향으로 구비되고, 서브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과 교차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형성되는 방음터널용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각관형 몸체의 상부에 안착플랜지가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플랜지의 상부에 태양광 패널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스페이서 프로파일이 결합되되,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은 안착플랜지에 구비되는 체결플랜지의 상방 수직으로 스페이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부의 내측에는 패널 끼움홈이 형성되어 태양광 패널이 끼움 결합된다.
이로써, 체결 스크류와 태양광 패널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태양광 패널이 시공과정에 스크류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Solar Panel Structure for Soundproof Tunnel}
본 발명은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횡방향의 메인프레임과 길이방향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방음터널용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각관형 몸체에 안착플랜지가 돌출 형성되어 상부에 태양광 모듈의 스페이서 프로파일이 안착 결합되며,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은 체결플랜지의 상방 수직으로 스페이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부의 내측에 태양광 패널이 끼움 결합되는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로에 인접한 주거시설의 소음저감을 위하여 도로를 중심으로 양측에 방음벽을 설치하게 된다. 방음벽은 일종의 거리감쇠의 개념으로서 음이 회절하면서 발생되는 경로차에 의하여 소음을 저감하는 방식이나,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의 경우 매우 높은 방음벽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수음점이 소음원 보다 높게 위치함에 따라 방음벽의 소음저감 효과에 한계가 발생하기 때문이며, 고층부의 경우 소음원에서 발생되는 직접음에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의 수직 일자형 방음벽에서 고층부와 저층부 전반에 걸쳐 발생되는 회절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완벽한 소음방지를 할 수 있도록 방음터널이 제안되었으며, 현재 다수의 자동차 전용도로에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방음터널은 H형강으로 수직, 수평부재를 구비하고, 횡방향의 수평부재에 길이방향의 보조프레임을 교차되도록 설치함으로써 구조체를 형성하며, 측부와 상부에 파형강판과 같은 패널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상부에 위치하는 수음원에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최근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른 미세먼지 발생과 환경오염 등의 이슈가 증가하면서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국가적 차원을 넘어 국제적인 흐름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 중 태양광 발전은 가장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은 이미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관공서와 같은 공공시설물은 물론 일반 주택의 지붕이나 무휴지 등에도 다수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최근에는 방음터널의 상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함으로써 공용 전기를 생산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2015년 이래로 태양광 패널을 활용한 방음터널이 점진적으로 확대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터널의 상부에 방음패널을 설치하고, 방음패널의 상부에 별도의 추가적인 프레임을 형성하여 방음패널을 설치함에 따라 시공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비경제적이고, 유지관리가 어려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7042호 '발열체가 구비된 터널형 방음판'(2012. 08. 20.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가 제안된 바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방음터널의 상부에 태양광 패널을 결합시공하는 방법을 시사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결합방법은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 다른 선행기술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553400호 '방음패널용 프레임 연결장치를 이용한 터널형 방음벽'(2015. 09. 09.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이 제안된 바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적용되는 방음패널을 태양광 패널로 한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프레임에 방음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다수의 프레임을 상호 결합함에 따라 부품 수가 많아 결합구조가 복잡하여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다수의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상호 간섭을 없애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프레임의 단면을 확장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단순히 박판형 금속판을 겹친 상태에서 나사로 단순 체결함에 따라 충분한 결합력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프레임의 크기에 대응되는 규격화된 방음패널만 결합이 가능하여 유연한 시공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으며, 태양광의 직사에 의하여 가열된 금속 프레임의 열이 합성수지재 방음패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프레임이 중첩설치되는 추가적인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함에 있어 체결의 용이성을 확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며, 시공상에 부재간의 간섭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방음터널 프레임의 형상과 무관하게 태양광 패널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태양광 패널을 체결함에 있어 견고성과 내구성을 도모할 수 있고, 부품을 간소화하면서도 프레임 과열에 의한 패널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를 제안하는 것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10)이 횡방향으로 구비되고, 서브프레임(20)이 상기 메인프레임(10)과 교차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형성되는 방음터널용 구조체(TS)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20)은 각관형 몸체(21)의 상부에 한 쌍의 안착플랜지(22)가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관형 몸체(21) 상부 중심에는 가이드 돌부(23)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플랜지(22)의 상부에 가이드 돌부(23)를 중심으로 인접된 태양광 패널(P)의 한 쌍의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이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은 안착플랜지(22)에 구비되는 체결플랜지(31)의 상방 수직으로 스페이서부(3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부(32)의 내측에는 패널 끼움홈(33)이 형성되어 태양광 패널(P)이 끼움 결합되되, 상기 체결플랜지(31)는 한 쌍의 수평플레이트(31a) 사이에 복수의 수직리브(31b)가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중공부(31c)가 형성되며, 상기 서브프레임(20)의 안착플랜지(22) 상부에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체결플랜지(31)가 구비되고, 체결 스크류(S)가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안착플랜지(22)와 체결플랜지(31)의 한 쌍의 수평플레이트(31a)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어 하나의 안착플랜지(22)에 하나의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이 결합되며, 상기 서브프레임(20)은 앵글클립(A)을 바탕으로 메인프레임(10)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프레임(20)의 상부에는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찬넬형 스페이서(40)가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인접한 태양광 패널(P)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구속시킨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H형 빔(11)의 상부에 지지프레임(12)이 결합되되,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측면에는 안착턱(12a)이 형성되어 상기 서브프레임(20)의 단부가 안착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면(12b)과 안착플랜지(22)의 높이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스페이서부(32)는 적어도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32a) 사이에 복수의 수평리브(32b)가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중공부(32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스페이서부(32) 내측에는 패널 끼움홈(33)의 상부로 실링홈(34)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홈(34)에 실링재(35)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에 의하면, 스페이서 프로파일의 스페이서부 내측에 패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부에 의하여 여유분의 공간이 제공되어 체결플랜지의 스크류 체결에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로써, 스크류와 태양광 패널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태양광 패널이 시공과정에 스크류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의 상부에 태양광 모듈의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찬넬형 스페이서를 횡방향으로 구비함으로써 방음터널 프레임의 형상과 무관하게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태양광 패널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프로파일의 체결플랜지는 한 쌍의 수평플레이트 사이에 복수의 수직리브가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중공부가 형성됨으로써 스크류를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을 체결함에 있어 수평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견고성과 내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이 복수의 레이어로 형성되어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가 열전도를 차단하여 프레임 과열로부터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프레임의 상부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부를 중심으로 한 쌍의 스페이서 프로파일이 상호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어 폭방향 시공 오차를 예방하고, 시공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를 도시한 이미지.
도 2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방음터널용 패널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 확대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를 도시한 횡단면도 및 종(길이방향)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와 그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태양광 모듈(M)을 결합하기 위한 기본 구조체인 방음터널용 구조체(TS)는 메인프레임(10)이 횡방향으로 구비되고, 서브프레임(20)이 상기 메인프레임(10)과 교차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로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터널의 길이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정의하며, 이와 수직된 곡면의 형성방향을 횡방향으로 정의한다.
통상적으로 방음터널용 구조체(TS)는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횡방향으로 일정한 곡률을 지니는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곡면부가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메인프레임(10)이 마련되되, 상기 메인프레임(10)은 H형 빔(11)을 기본프레임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은 H형 빔(11)의 상부로 지지프레임(12)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2)에 길이방향으로 서브프레임(20)이 안착되거나 태양광 모듈(M)이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H형 빔(11)의 상부에 지지프레임(12)이 결합되되,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측면에는 안착턱(12a)이 형성되어 상기 서브프레임(20)의 단부가 안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2)은 각관형 프레임의 상부에 폭이 작은 각관형 프레임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안착턱(12a)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안착턱(12)에 서브프레임(20)의 단부가 안착 구비되도록 하여 볼팅이나 용접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안착턱(12a)에 안착 구비되지 않더라도, 앵글클립(A)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2)과 서브프레임(20)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면(12b)에는 태양광 모듈(SM)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면(12b)과 안착플랜지(2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태양광 모듈(SM)에 기울어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그 높이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서브프레임(20)은 각관형 몸체(21)의 상부에 안착플랜지(22)가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방음터널의 길이방향은 곡률의 변화가 없도록 일정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직선형 서브프레임(20)을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20)의 안착플랜지(22)의 상부에는 태양광 모듈(SM)이 결합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SM)은 태양광 패널(P)의 테두리에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이 구비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착플랜지(22)에는 태양광 모듈(SM)의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이 결합된다.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은 안착플랜지(22)에 구비되는 체결플랜지(31)의 상방 수직으로 스페이서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L자형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부(32)의 내측에는 패널 끼움홈(33)이 형성되어 태양광 패널(P)이 끼움 결합된다.
통상적으로, 태양광 패널(P)에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을 먼저 결합하여 태양광 모듈(SM)을 형성하고, 이를 방음터널의 서브프레임(20) 등에 결합하여 시공하는 것이나, 이와 별개로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을 서브프레임(20) 등에 먼저 결합하고,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패널 끼움홈(33)에 태양광 패널(P)을 끼움 결합할 수 있어 시공의 용이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프레임(20)의 안착플랜지(22)와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체결플랜지(31)는 체결 스크류(S)를 바탕으로 상호 결합된다.
이때, 상기 패널 끼움홈(33)에 끼움 결합되는 태양광 패널(P)은 스페이서부(32)에 의하여 체결플랜지(3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이로써 시공과정에서 체결 스크류(S)와 태양광 패널(P)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태양광 패널(P)이 시공과정에 체결 스크류(S)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프레임(20)의 각관형 몸체(21) 상부 중심에는 가이드 돌부(23)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부(23)를 중심으로 인접된 한 쌍의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이 상호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시공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돌부(23)를 중심으로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을 정확한 위치에 구비할 수 있으므로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이나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SM)의 폭방향 시공 오차를 예방하여 시공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고, 아울러 비숙련공도 쉽게 시공할 수 있어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체결플랜지(31)는 한 쌍의 수평플레이트(31a) 사이에 복수의 수직리브(31b)가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중공부(3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이 한 쌍의 수평플레이트(31a)를 포함하는 복수의 레이어로 형성됨으로써, 그 자체로 견고한 프레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직리브(31b)가 그 사이에 다수의 중공부(31c)를 형성함으로써 직사에 의하여 가열된 프레임의 열전도를 차단하여 태양광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이 복수의 수평플레이트(31a) 및 수직리브(31b)에 의하여 복수의 프레임과 동일한 체결의 견고성 및 열전도 차단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프레임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성과 부품을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20)의 안착플랜지(22) 상부에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체결플랜지(31)가 구비되고, 체결 스크류(S)가 상기 안착플랜지(22)와 체결플랜지(31)의 한 쌍의 수평플레이트(31a)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 스크류(S)를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P)을 체결함에 있어 한 쌍의 수평플레이트(31a)를 관통하여 체결의 견고성과 내구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스페이서부(32)는 적어도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32a) 사이에 복수의 수평리브(32b)가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중공부(32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스페이서부(32)로의 열전도 차단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보다 높은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열전도 차단을 기대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끼움홈(33)에 태양광 패널(P)을 끼움 결합함에 있어서 시공과정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측압에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스페이서부(32) 내측에는 패널 끼움홈(33)의 상부로 실링홈(34)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홈(34)에 실링재(35)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홈(34)에 끼움 결합되는 실링재(35)는 태양광 패널(P)과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패널 끼움홈(33) 사이에 발생되는 틈에 의하여 이물질이나 빗물이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보다 견고한 결합력이 확보되도록 압력을 분산하며, 풍하중에 의한 압력 등을 흡수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실링재(35)는 시공성이 확보되고, 시공 후에는 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상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심에 중공이 형성되어 중공에 의하여 형상변형이 용이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종래의 방음터널용 구조체의 방음패널은 그 구조체의 프레임 규격에 대응되도록 제작하여, 그 폭과 길이가 구조체의 프레임 규격에 종속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서브프레임(20)의 상부에는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찬넬형 스페이서(40)가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태양광 패널(P)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은 서브프레임(20)을 중심으로 인접한 태양광 모듈(SM)의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이 대칭되게 구비되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은 곡률을 지니도록 형성되므로 폭방향의 사이즈는 서브프레임(20)의 간격에 종속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서브프레임(20)이 형성되는 길이방향은 곡률의 변화 없이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길이방향은 길이에 종속됨이 없이 유연하게 시공될 수 있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스 프로파일(30)의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찬넬형 스페이서(40)를 횡방향으로 구비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스페이서 프로파일(30) 간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구속이 가능하다.
상기 찬넬형 스페이서(40)는 수평플랜지(41)를 중심으로 한 쌍의 수직웨브(42)가 직립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웨브(42)에 각각 인접한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이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찬넬형 스페이서(40)의 수평플랜지(41)와 서브프레임(20)을 상호 나사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 시공방법(M)은, 메인프레임(10)을 횡방향으로 구비하고, 서브프레임(20)을 상기 메인프레임(10)과 교차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방음터널용 구조체를 전제로 하며, 도 8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모듈 형성단계(S10), 스페이서 구비단계(S20), 태양광 모듈 구비단계(S30) 및 스크류 체결단계(S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양광 모듈 형성단계(S10)는, 태양광 패널(P)의 테두리에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을 결합하여 태양광 모듈(SM)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태양광 모듈 형성단계(S10)는 패널 끼움단계(S11) 및 실링재 끼움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끼움단계(S11)는 상기 체결플랜지(31)의 상방 수직으로 형성된 스페이서부(32)의 패널 끼움홈(33)에 태양광 패널(P)을 끼움 결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패널 끼움홈(33)에 태양광 패널(P)을 끼움 결합할 수 있어 시공의 용이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패널 끼움홈(33)에 끼움 결합되는 태양광 패널(P)은 스페이서부(32)에 의하여 체결플랜지(3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이로써 시공과정에서 체결 스크류(S)와 태양광 패널(P)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태양광 패널(P)이 시공과정에 체결 스크류(S)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실링재 끼움단계(S12)는 상기 스페이서부(32)의 패널 끼움홈(33) 상부로 형성된 실링홈(34)에 실링재(35)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실링재(35)는 태양광 패널(P)과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패널 끼움홈(33) 사이에 발생되는 틈에 의하여 이물질이나 빗물이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보다 견고한 결합력이 확보되도록 압력을 분산하며, 풍하중에 의한 압력 등을 흡수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태양광 모듈 형성단계(S10)는 방음터널 구조체(TS)의 시공과는 별도의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후술할 스크류 체결단계(40) 이후의 단계로서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 구비단계(S20)는 상기 서브프레임(20)의 상부에 태양광 모듈(SM)의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찬넬형 스페이서(40)를 횡방향으로 구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찬넬형 스페이서(40)는 수평플랜지(41)를 중심으로 한 쌍의 수직웨브(42)가 직립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웨브(42)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이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스페이서 프로파일(30) 간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구속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태양광 모듈 구비단계(S30)는 상기 서브프레임(20)의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안착플랜지(22)의 상부에 태양광 모듈(SM)에 결합된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플랜지(31)가 안착되도록 구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은 안착플랜지(22)에 구비되는 체결플랜지(31)의 상방 수직으로 스페이서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L자형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 체결단계(S40)는 상기 서브프레임(20)의 안착플랜지(22)와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체결플랜지(3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체결 스크류(S)를 체결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P)은 스페이서부(32)에 의하여 체결플랜지(3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이로써 시공과정에서 체결 스크류(S)와 태양광 패널(P)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류 체결단계(S40) 이후에는 상기 서브프레임(20)의 안착플랜지(22)에 상호 대칭되게 구비된 인접된 한 쌍의 스페이서 프로파일(30) 사이에 백업재(50)를 구비하고 코킹하는 백업재 구비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업재(50)는 서브프레임(20)과 스페이서 프로파일(30)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이나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써 프레임의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업재(50)를 매개로 횡방향으로 인접한 스페이서 프로파일(30)간의 결합을 도모할 수 있어 추가적으로 태양광 모듈(SM)간의 결합력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S:방음터널용 구조체 P:태양광 패널
S:체결 스크류 10:메인프레임
11:H형 빔 12:지지프레임
12a:안착턱 12b:상면
20:서브프레임 21:각관형 몸체
22:안착플랜지 23:가이드 돌부
30:스페이서 프로파일 31:체결플랜지
31a:수평플레이트 31b:수직리브
31c:중공부 32:스페이서부
32a:수직플레이트 32b:수평리브
32c:중공부 33:패널 끼움홈
34:실링홈 35:실링재
40:찬넬형 스페이서 50:백업재
M: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시공방법
S10:태양광 모듈 형성단계 S11:패널 끼움단계
S12:실링재 끼움단계 S20:스페이서 구비단계
S30:태양광 모듈 구비단계 S40:스크류 체결단계
S50:백업재 구비단계

Claims (11)

  1. 메인프레임(10)이 횡방향으로 구비되고, 서브프레임(20)이 상기 메인프레임(10)과 교차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형성되는 방음터널용 구조체(TS)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20)은 각관형 몸체(21)의 상부에 한 쌍의 안착플랜지(22)가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관형 몸체(21) 상부 중심에는 가이드 돌부(23)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플랜지(22)의 상부에 가이드 돌부(23)를 중심으로 인접된 태양광 패널(P)의 한 쌍의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이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은 안착플랜지(22)에 구비되는 체결플랜지(31)의 상방 수직으로 스페이서부(3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부(32)의 내측에는 패널 끼움홈(33)이 형성되어 태양광 패널(P)이 끼움 결합되되, 상기 체결플랜지(31)는 한 쌍의 수평플레이트(31a) 사이에 복수의 수직리브(31b)가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중공부(31c)가 형성되며,
    상기 서브프레임(20)의 안착플랜지(22) 상부에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체결플랜지(31)가 구비되고, 체결 스크류(S)가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안착플랜지(22)와 체결플랜지(31)의 한 쌍의 수평플레이트(31a)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어 하나의 안착플랜지(22)에 하나의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이 결합되며,
    상기 서브프레임(20)은 앵글클립(A)을 바탕으로 메인프레임(10)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프레임(20)의 상부에는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찬넬형 스페이서(40)가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인접한 태양광 패널(P)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구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H형 빔(11)의 상부에 지지프레임(12)이 결합되되,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측면에는 안착턱(12a)이 형성되어 상기 서브프레임(20)의 단부가 안착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면(12b)과 안착플랜지(22)의 높이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스페이서부(32)는 적어도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32a) 사이에 복수의 수평리브(32b)가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중공부(32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프로파일(30)의 스페이서부(32) 내측에는 패널 끼움홈(33)의 상부로 실링홈(34)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홈(34)에 실링재(35)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134661A 2017-10-17 2017-10-17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 KR101842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661A KR101842156B1 (ko) 2017-10-17 2017-10-17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661A KR101842156B1 (ko) 2017-10-17 2017-10-17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156B1 true KR101842156B1 (ko) 2018-03-26

Family

ID=6191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661A KR101842156B1 (ko) 2017-10-17 2017-10-17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1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788B1 (ko) * 2021-03-26 2021-09-09 주식회사 태광이피씨 태양광 구조물을 위한 지붕 위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33542B1 (ko) * 2021-11-25 2022-08-18 주식회사 풍성인더스 다중 방수 구조를 겸비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576Y1 (ko) * 2010-03-26 2010-12-22 두원산업(주) 태양전지 모듈 고정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576Y1 (ko) * 2010-03-26 2010-12-22 두원산업(주) 태양전지 모듈 고정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788B1 (ko) * 2021-03-26 2021-09-09 주식회사 태광이피씨 태양광 구조물을 위한 지붕 위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33542B1 (ko) * 2021-11-25 2022-08-18 주식회사 풍성인더스 다중 방수 구조를 겸비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208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및 그 시공 방법
US20160043689A1 (en) Solar panel install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737304B1 (ko) 적층식 태양광패널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외단열 외벽 시스템
KR101851657B1 (ko) 방음터널에 설치가 용이한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021487B1 (ko) 터널 방음벽의 루프용 방음패널 고정장치
KR20140100820A (ko) 터널형 방음판넬 조립체
KR101842156B1 (ko)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
JP5365937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取付装置
KR102342496B1 (ko)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용 설치 구조물
KR20120124626A (ko) 터널형 방음시설
KR102083860B1 (ko) 조립식 지붕의 태양광 모듈 고정 장치
KR102071306B1 (ko)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 없는 방음터널용 태양광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22379B1 (ko) 경량화된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용 설치 구조물
KR20080006430U (ko) 흡음기능을 가진 방음벽용 방음패널
KR101809452B1 (ko) 태양전지패널 장착이 용이한 방음벽
KR101826395B1 (ko) 트러스형 방음터널 구조물
KR101569653B1 (ko) 태양광 모듈 설치용 강판 지붕 구조물
JP2001152619A (ja) 太陽電池パネルの支持構造
JP5473515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方法および取付構造
JP2023038079A (ja) 建物
KR102415555B1 (ko) 건물의 마감재로 기능하는 조립형 단위 태양광발전 모듈 및 그 시공방법
KR101441809B1 (ko) 방음터널의 천장부 누수차단구조
KR101498551B1 (ko) 조립식 지붕에 태양전지 모듈 설치를 위한 마운팅 구조체
KR102366965B1 (ko) 터널 방음벽의 천장판 시공방법
JP2014051824A (ja) 光起電建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