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911A -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 Google Patents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911A
KR20190011911A KR1020170094573A KR20170094573A KR20190011911A KR 20190011911 A KR20190011911 A KR 20190011911A KR 1020170094573 A KR1020170094573 A KR 1020170094573A KR 20170094573 A KR20170094573 A KR 20170094573A KR 20190011911 A KR20190011911 A KR 20190011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components
unit
sentences
sent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순
Original Assignee
신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순 filed Critical 신경순
Priority to KR102017009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1911A/ko
Publication of KR20190011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6F17/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와, 학습자가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끊어서 읽을 수 있도록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듣고 따라서 말할 수 있도록 상기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가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반복횟수만큼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영어 문장의 형식을 알지 못하고 형식을 따로 익히지 않아도 단기간에 영어 단어, 영어 문장 및 그 형식이 저절로 익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및 그 방법{LANGUAGE LEARNING APPARATUS FOR STUDYING ENGLISH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토리(Story) 기반의 영어 문장에 맞추어 끊어서 반복적으로 듣고 따라 읽을 수 있도록 한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각 국가간 또는 민족 간의 장벽이 차츰 허물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현실적으로 세계 공통어나 다름없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영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한글이라고 하는 민족 고유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많은 사람들이 학창시절부터 영어 학습에 대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지만,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한다는 것은 매우 성취하기 힘든 과제로 인식되어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 사람들이 영어 학습, 특히 영문 해석에 있어서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보다 영어와 한글이 기본적으로서 확연히 다른 언어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영어는 소위 위치 언어로서 단어가 문장 중에 배치된 위치에 따라 각 단어들 사이의 문법적 관계가 변화한다. 그러나, 한글은 각 단어의 위치와 상관없이 용언(用言)과 체언(體言)의 어미의 변화를 통해서 단어와 단어 사이의 문법적 관계가 형성된다.
이처럼 영어는 기본적인 언어 체계가 한글과 상이하기 때문에 영어 단어를 많이 암기하고 있어도 이들 단어가 배열하여 문법적으로 완성된 하나의 문장을 작성하거나, 영문을 한글로 해석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영어를 정복하기 위해서는 한글과는 상이한 영어문장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모든 영어문장은 주어와 술어, 목적어, 보어라는 4가지의 기본적인 구성성분과, 여기에 필요에 따라 적당한 수식어들이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장성분들의 배치구조에 따라 제1 형식 내지 제5 형식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상기 문장성분들은 각각 명사나 동사, 형용사, 부사, 구, 절 등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영어문장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구성성분들의 배치순서를 이해하고, 나아가 이들 각 문장성분에는 어떤 종류의 구성요소가 사용되는지 이해해야 한다.
지금까지 영어학습은 영어와 우리말의 어순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영어어순을 우리말식으로 거꾸로 이해하게 해서 언어자체가 갖는 순차적인 이해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영어문장이 하나로 묶여있어서 각 문장성분을 단락별로 담고 있는 의미어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다.
이로 인해서 대부분의 영어학습자들은 항상 영어를 직독직해식으로 읽지 못하고 한국말의 어순대로 거꾸로 읽었고 이러한 치명적인 읽기의 문제 때문에 듣기와 쓰기, 말하기를 매우 복잡하고 어렵게 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영어문장을 순차적으로 이해하는 학습은 반드시 필수적이고 그래야 좀더 효과적으로 영어를 읽고 듣고 쓰고 말할 수 있게 된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6-014987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토리(Story) 기반의 영어 문장에 맞추어 끊어서 반복적으로 듣고 따라 읽을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영어 문장의 형식을 알지 못하고 형식을 따로 익히지 않아도 단기간에 영어 단어, 영어 문장 및 그 형식이 저절로 익혀질 수 있도록 한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학습자가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끊어서 읽을 수 있도록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듣고 따라서 말할 수 있도록 상기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가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반복횟수만큼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의 마지막에 이들이 결합된 최종 영어 문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최종 영어 문장을 한국어 문장으로 번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의 마지막에 이들이 결합된 최종 영어 문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해당 최종 영어 문장이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반복횟수만큼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 및 배열하여 순차적으로 내려쓰는 방식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우측 또는 하측 위치에 한국어로 번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형식 내지 제5 형식 중 어느 하나의 문장 형식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문장에 대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이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에 대한 한국어 번역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학습자의 음성을 획득하는 음성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해당 학습자의 음성이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해당 학습자의 음성이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어 문장의 형식은, 제1 형식, 제2 형식, 제3 형식, 제4 형식, 및 제5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음성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으로서, (a) 상기 입력부를 통해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를 통해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듣고 따라서 말할 수 있도록 상기 단계(a)에서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가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반복횟수만큼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계(c) 이후에,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분리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의 마지막에 이들이 결합된 최종 영어 문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최종 영어 문장을 한국어 문장으로 번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 이후에,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분리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의 마지막에 이들이 결합된 최종 영어 문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해당 최종 영어 문장이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반복횟수만큼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 및 배열하여 순차적으로 내려쓰는 방식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우측 또는 하측 위치에 한국어로 번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이전에, 제1 형식 내지 제5 형식 중 어느 하나의 문장 형식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문장에 대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이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에 대한 한국어 번역정보를 별도의 저장부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d) 이후에, 별도의 음성획득부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학습자의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획득된 해당 학습자의 음성이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획득된 해당 학습자의 음성이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영어 문장의 형식은, 제1 형식, 제2 형식, 제3 형식, 제4 형식, 및 제5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술한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스토리(Story) 기반의 영어 문장에 맞추어 끊어서 반복적으로 듣고 따라 읽을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영어 문장의 형식을 알지 못하고 형식을 따로 익히지 않아도 단기간에 영어 단어, 영어 문장 및 그 형식이 저절로 익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실제 화면을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분리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언어 학습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실제 화면을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실제 화면을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는, 크게 입력부(100), 디스플레이부(200), 음성출력부(300), 제어부(400), 및 전원공급부(5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는, 저장부(600), 음성획득부(700), 무선 통신부(800), 및 근거리 통신부(900) 등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력부(100)는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입력부(100)는 화면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을 손가락으로 접촉하여 입력하는 장치인 통상의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터치스크린은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두께를 최소화함에 있어서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통상적으로 그 구조가 도전투광판으로 이루어진 ITO(Indium Tin Oxide)와, 상기 ITO의 테두리에 은분 페인트를 페인트 형성한 전극부와, 상기 전극의 하부를 절연하는 절연코팅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ITO는 투광성 수지로 이루어진 ITO필름과, 상기 ITO필름의 하부에 도전성 물질이 코팅 형성된 ITO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손가락으로 ITO의 상면을 터치하게 되면 손가락을 통하여 정전용량의 변동에 따라 4변에 구비된 각 전극이 이를 감지함으로써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학습자가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끊어서 읽을 수 있도록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00)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L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표면 전도형 전자방출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숫자, 문자 또는 도형 등을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300)는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학습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음성출력부(300)는 통상의 스피커(Speaker)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통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음성 증폭회로를 비롯한 연결 잭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바, 특히 입력부(100)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듣고 따라서 말할 수 있도록 입력부(100)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가 음성출력부(300)를 통해 기 설정된 반복횟수(예컨대, 5회 내지 15회 등)만큼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상기 분리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의 마지막에 이들이 결합된 최종 영어 문장을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최종 영어 문장을 한국어 문장으로 번역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상기 분리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의 마지막에 이들이 결합된 최종 영어 문장을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입력부(100)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해당 최종 영어 문장이 음성출력부(300)를 통해 기 설정된 반복횟수만큼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입력부(100)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 및 배열하여 순차적으로 내려쓰는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제어부(400)는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우측 또는 하측 위치에 한국어로 번역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제어부(400)는 음성획득부(700)로부터 획득된 해당 학습자의 음성이 음성출력부(300)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음성획득부(700)로부터 획득된 해당 학습자의 음성이 별도의 저장부(6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500)는 각 부들 즉, 입력부(100), 디스플레이부(200), 음성출력부(300), 제어부(400), 저장부(600), 음성획득부(700), 무선 통신부(800), 및 근거리 통신부(900)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충전 가능한 통상의 휴대용 배터리(Battery)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저장부(600)는 제1 형식 내지 제5 형식 중 어느 하나의 문장 형식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문장에 대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이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에 대한 한국어 번역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영어 문장의 형식은, 제1 형식, 제2 형식, 제3 형식, 제4 형식, 및 제5 형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문장의 형식'이라 함은 영어 문장의 5가지 기본적인 형식 즉, 제1 형식 내지 제5 형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의미하고, '문장의 성분'이라 함은 상기 문장의 형식을 구성하는 문법적 요소 즉, 주어(Subject)와 동사(Verb), 목적어(Object), 보어(Complement) 및 수식어(Modifier) 등을 의미하며, '구성요소'라 함은 상기 문장의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품사나 구, 절, 예컨대 명사, 동사, 형용사, 동명사, to부정사, 명사절, 부사구 등을 의미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모든 영어 문장은 다음 5가지 형식으로 분류되고, 각 문장의 형식을 구성하는 문장의 성분에 대한 배치구조는 다음과 같다.
1) 제1 형식; 주어(S) + 동사(V),
예문 : The sun rises. -> 해가 뜨다.
2) 제2 형식; 주어(S) + 동사(V) + 보어(C),
예문 : I am happy. -> 나는 행복합니다.
3) 제3 형식; 주어(S) + 동사(V) + 목적어(O),
예문 : I love you. ->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4) 제4 형식; 주어(S) + 동사(V) + 간접목적어(I.O) + 직접목적어(D.O),
예문 : I give him a book. -> 나는 그에게 책을 주었다.
5) 제5 형식; 주어(S) + 동사(V) + 목적어(O) + 목적격보어(O.C),
예문 : They elected the leader. -> 그들은 그 지도자를 선출하였다.
또한, 저장부(600)는 제어부(40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600)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획득부(700)는 입력부(100)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학습자의 음성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통상의 마이크(Microphone)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무선 마이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8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Server)(미도시) 등과 음성 및 문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예컨대,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일 수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의 무선 통신부(800)가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서버 등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부(9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은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4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600)에 저장되고, 제어부(4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또는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단말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제어부(4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또는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상의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계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계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계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계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 LED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 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며,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분리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언어 학습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실제 화면을 예시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제어부(400)가 주체가 되어 수행함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은, 먼저, 입력부(100)를 통해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입력신호를 출력한다(S100).
이후에, 제어부(400)를 통해 상기 단계S100에서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영어 문장의 형식(바람직하게, 제1 형식, 제2 형식, 제3 형식, 제4 형식, 및 제5 형식)에 따라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200).
이때, 상기 단계S200은, 제어부(400)를 통해 상기 단계S100에서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 및 배열하여 순차적으로 내려쓰는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400)에서는 상기 단계S200에서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우측 또는 하측 위치에 한국어로 번역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400)를 통해 상기 단계S200에서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300).
다음으로, 제어부(400)를 통해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듣고 따라서 말할 수 있도록 상기 단계S100에서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가 음성출력부(300)를 통해 기 설정된 반복횟수만큼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400).
추가적으로, 상기 단계S300 이후에, 제어부(400)를 통해 상기 단계S200에서 분리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의 마지막에 이들이 결합된 최종 영어 문장을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최종 영어 문장을 한국어 문장으로 번역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계S300 이후에, 제어부(400)를 통해 상기 단계S200에서 분리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의 마지막에 이들이 결합된 최종 영어 문장을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S400 이후에, 제어부(400)를 통해 상기 단계S100에서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해당 최종 영어 문장이 음성출력부(300)를 통해 기 설정된 반복횟수만큼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S100 이전에, 제1 형식 내지 제5 형식 중 어느 하나의 문장 형식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문장에 대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이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에 대한 한국어 번역정보를 별도의 저장부(60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영어 문장의 형식은, 제1 형식, 제2 형식, 제3 형식, 제4 형식, 및 제5 형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문장의 형식'이라 함은 영어 문장의 5가지 기본적인 형식 즉, 제1 형식 내지 제5 형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의미하고, '문장의 성분'이라 함은 상기 문장의 형식을 구성하는 문법적 요소 즉, 주어(Subject)와 동사(Verb), 목적어(Object), 보어(Complement) 및 수식어(Modifier) 등을 의미하며, '구성요소'라 함은 상기 문장의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품사나 구, 절, 예컨대 명사, 동사, 형용사, 동명사, to부정사, 명사절, 부사구 등을 의미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모든 영어 문장은 다음 5가지 형식으로 분류되고, 각 문장의 형식을 구성하는 문장의 성분에 대한 배치구조는 다음과 같다(도 4a 내지 도 4e 참조).
1) 제1 형식; 주어(S) + 동사(V),
예문 : It is sleeping. -> 그것은 잠자는 중이다.
① sleep(잠자다) - 동사(V)
② sleeping(잠자는 중) - 동사(V)
③ is sleeping(잠자는 중이다) - 동사(V)
④ It(그것은) - 주어(S)
⑤ It is sleeping(그것은 잠자는 중이다) - 완성 문장
2) 제2 형식; 주어(S) + 동사(V) + 보어(C),
예문 : Sandra wants to become a teacher. -> 샌드러는 교사가 되기를 원합니다.
① does Sandra(샌드러는 ~합니까?) - 주어(S)
② want(원하다) - 동사(V)
③ does Sandra want(샌드러는 ~원합니까?)
④ become(되다) - 연결동사(V)
⑤ want to become(되기 원하다) - 보어(C)
⑥ does Sandra want to become(샌드러는 되기 원합니까?)
⑦ what(무엇)
⑧ What does Sandra want to become?(샌드러는 무엇이 되길 원합니까?)
⑨ Sandra wants to become a teacher(샌드러는 교사가 되기를 원합니다) - 완성 문장
3) 제3 형식; 주어(S) + 동사(V) + 목적어(O),
예문 : because she enjoys solving -> 그녀가 푸는 것을 즐거워하기 때문에
① enjoy((~하는 것을) 즐거워하다) - 주어(S)
② she enjoys(그녀는 즐거워합니다) - 주어(S) + 동사(V)
③ because((~가 ~하기) 때문에) - 간접목적어
④ because she enjoys(그녀가 즐거워하기 때문에)
⑤ solve(풀다)
⑥ solving(푸는 것) -목적어(O)
⑦ enjoy solving(푸는 것을 즐거워하다)
⑧ she enjoys solving(그녀는 푸는 것을 즐거워한다)
⑨ because she enjoys solving(그녀가 푸는 것을 즐거워하기 때문에) - 완성 문장
4) 제4 형식; 주어(S) + 동사(V) + 간접목적어(I.O) + 직접목적어(D.O),
예문 : Today he brought us pizza and hamburgers. -> 오늘 그는 우리에게 피자와 햄버거들을 갖다 주셨습니다.
① bring(가져오다, 갖다 주다) - 동사(V)
② us(우리에게) - 간접목적어(I.O)
③ bring us(우리에게 갖다 주다) - 동사(V) + 간접목적어(I.O)
④ brought(갖다 주었다) - 동사(V)
⑤ brought us(우리에게 갖다 주었다)
⑥ he brought us(그는 우리에게 갖다 주셨습니다)
⑦ pizza and hamburgers(피자와 햄버거를) - 직접목적어(D.O)
⑧ he brought us pizza and hamburgers(그는 우리에게 피자와 햄버거를 갖다 주셨습니다)
⑨ today(오늘)
⑩ Today he brought us pizza and hamburgers(오늘 그는 우리에게 피자와 햄버거들을 갖다 주셨습니다) - 완성 문장
5) 제5 형식; 주어(S) + 동사(V) + 목적어(O) + 목적격보어(O.C),
예문 : by making them run thirty laps in the field. -> 그들을 그 운동장에서 서른 바퀴를 달리게 함으로써.
① make them run thirty laps(그들을 서른 바퀴를 달리게 만들다)
② making them run(그들을 달리게 만드는 것) - 동사(V)(사역)
③ by(~에 의해, ~함으로써)
④ by making them run(그들을 달리게 만드는 것에 의해 = 그들에게 달리게 함으로써) - 목적격보어(O.C)(원형부정사)
⑤ making them run thirty laps(그들을 서른 바퀴 달리게 함)
⑥ by making them run thirty laps(그들을 서른 바퀴 달리게 함으로써)
⑦ the field(그 운동장) - 목적어(O)
⑧ in(~안에서)
⑨ in the field(그 운동장 안에서)
⑩ run thirty laps in the field(그 운동장에서 서른 바퀴를 달리다)
⑪ by making them run thirty laps in the field(그들을 그 운동장에서 서른 바퀴를 달리게 함으로써) - 완성 문장
또한, 상기 단계S400 이후에, 별도의 음성획득부(700)를 통해 상기 단계S100에서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학습자의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와, 제어부(400)를 통해 상기 획득된 해당 학습자의 음성이 음성출력부(300)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00)를 통해 상기 획득된 해당 학습자의 음성이 별도의 저장부(6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입력부,
200 : 디스플레이부,
300 : 음성출력부,
400 : 제어부,
500 : 전원공급부,
600 : 저장부,
700 : 음성획득부,
800 : 무선 통신부,
900 : 근거리 통신부

Claims (14)

  1.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학습자가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끊어서 읽을 수 있도록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듣고 따라서 말할 수 있도록 상기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가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반복횟수만큼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의 마지막에 이들이 결합된 최종 영어 문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최종 영어 문장을 한국어 문장으로 번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의 마지막에 이들이 결합된 최종 영어 문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해당 최종 영어 문장이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반복횟수만큼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 및 배열하여 순차적으로 내려쓰는 방식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우측 또는 하측 위치에 한국어로 번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제1 형식 내지 제5 형식 중 어느 하나의 문장 형식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문장에 대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이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에 대한 한국어 번역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학습자의 음성을 획득하는 음성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해당 학습자의 음성이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음성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해당 학습자의 음성이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8.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음성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으로서,
    (a) 상기 입력부를 통해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를 통해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듣고 따라서 말할 수 있도록 상기 단계(a)에서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가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반복횟수만큼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 이후에,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분리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의 마지막에 이들이 결합된 최종 영어 문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최종 영어 문장을 한국어 문장으로 번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 이후에,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분리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의 마지막에 이들이 결합된 최종 영어 문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해당 최종 영어 문장이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반복횟수만큼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따라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 및 배열하여 순차적으로 내려쓰는 방식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우측 또는 하측 위치에 한국어로 번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전에, 제1 형식 내지 제5 형식 중 어느 하나의 문장 형식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문장에 대한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이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된 해당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의 성분 및 구성요소에 대한 한국어 번역정보를 별도의 저장부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 이후에, 별도의 음성획득부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학습자의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획득된 해당 학습자의 음성이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획득된 해당 학습자의 음성이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방법.
KR1020170094573A 2017-07-26 2017-07-26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KR20190011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573A KR20190011911A (ko) 2017-07-26 2017-07-26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573A KR20190011911A (ko) 2017-07-26 2017-07-26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911A true KR20190011911A (ko) 2019-02-08

Family

ID=6536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573A KR20190011911A (ko) 2017-07-26 2017-07-26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19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8672A (zh) * 2019-08-13 2019-11-08 吴波 一种利用积木法实现教学的英语句子学习系统
KR20200127326A (ko) 2019-05-02 2020-11-11 최재우 영어 학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KR20220126408A (ko)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퍼넥티브 영어 학습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영어 학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326A (ko) 2019-05-02 2020-11-11 최재우 영어 학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CN110428672A (zh) * 2019-08-13 2019-11-08 吴波 一种利用积木法实现教学的英语句子学习系统
KR20220126408A (ko)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퍼넥티브 영어 학습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영어 학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69531B2 (en) Device for extracting information from a dialog
US20190005013A1 (en) Conversation system-build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783884B2 (en) Electronic device-awaken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40349259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US20140377722A1 (en) Synchronous presentation of content with a braille translation
CN103136969A (zh) 帮助指导者参与的语言教学系统
KR20190011911A (ko) 최단기 영어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장치
US20080195375A1 (en) Echo translator
US20140377721A1 (en) Synchronous presentation of content with a braille translation
KR101845304B1 (ko) 언어 학습 시스템
CN113793398A (zh) 基于语音交互的绘画方法与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190130774A (ko) 언어 교육을 위한 영상의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Mahamud et al. Watch IT: An assistive device for deaf and hearing impaired
CN106886582A (zh) 一种在终端设备内置学习助手的方法及系统
US20140337006A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realizing language interpretation in a browser
Siebra et al. Accessibility devices for mobile interfaces extensions: A survey
US20230015797A1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90097484A (ko) 다중 표현 문장이미지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와 언어 학습 교재
KR20140088327A (ko) 동적인 대화를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220109185A (ko) 단어 간의 유사도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09487A (ko) 청크 기반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KR20120115907A (ko) 어학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
KR102453876B1 (ko) 외국어 스피킹 훈련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JP2020119043A (ja) 音声翻訳システムおよび音声翻訳方法
CN111159472A (zh) 多模态聊天技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