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869A -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869A
KR20190011869A KR1020170094387A KR20170094387A KR20190011869A KR 20190011869 A KR20190011869 A KR 20190011869A KR 1020170094387 A KR1020170094387 A KR 1020170094387A KR 20170094387 A KR20170094387 A KR 20170094387A KR 20190011869 A KR20190011869 A KR 20190011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s
probe
specimen
current
electrical resis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우
문승언
이승민
권정윤
김준수
임솔이
임종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9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1869A/ko
Publication of KR20190011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05Apparatus for holding or moving sing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시편의 일측에 접촉하는 제 1 프로브를 갖는 제 1 고정 모듈, 상기 시편의 타측에 접촉하는 제 2 프로브를 갖는 제 2 고정 모듈, 및 상기 제 1 프로브 및 상기 제 2 프로브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 1 프로브와 제 2 프로브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외부 회로를 포함하는 전기 비저항측정 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제 1 프로브 및 상기 제 2 프로브는 탄성력을 갖고 상기 시편을 양측에서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AN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체 재료의 양단에 전류를 가해주면, 그의 내부의 전기적 특성에 비례하는 전압이 생성되며, 이러한 특성은 물질의 고유 특성인 전기 비저항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전기 비저항은 소재를 나타내는 고유 변수 중 하나로 고려될 수 있으며, 전기 비저항은 웨이퍼(wafer), LCD, 태양전지, 연료전지, OLED 등 다양한 전자 소자에서 소자의 전도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고체 재료의 전기 비저항 특성을 평가하는 경우, 두 개의 프로브(probe)로 임의의 거리에서 교류 전류를 가해주면서 저항을 측정하거나, 동일한 간격의 4개 탐침으로 측정하는 4-포인트 프로브(Four point probe)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때, 4-포인트 프로브 방법은 접촉 저항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정전류를 가해주면서 양단의 전위차를 측정하게 된다. 소자의 크기가 프로브에 비해 충분하게 크면 특성 평가에 큰 제약이 없다. 그러나, 소자가 소형인 경우는 전기 비저항을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기가 작은 샘플의 비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비저항 측정 시 샘플이 손상되지 않는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측정 정밀도가 향상된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는 시편의 일측에 접촉하는 제 1 프로브를 갖는 제 1 고정 모듈, 상기 시편의 타측에 접촉하는 제 2 프로브를 갖는 제 2 고정 모듈, 및 상기 제 1 프로브 및 상기 제 2 프로브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 1 프로브와 제 2 프로브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외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로브 및 상기 제 2 프로브는 탄성력을 갖고 상기 시편을 양측에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에 따르면, 시편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시편의 장착 및 해제가 용이하고, 프로브들의 탐침에 의해 시편에 가해지는 손상이 적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에 따르면, 전류원 및 전압계의 전기 신호가 시편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흐름에 따라, 얇은 두께를 갖는 시편의 비저항 측정이 용이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의 프로브들이 각각 시편의 일면 및 타면에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신호가 시편의 일측에 치우치지 않고 균일하게 흘러 비저항의 측정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프로브들이 시편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프로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프로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개념이 어떤 적합한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막(또는 층)이 다른 막(또는 층) 또는 기판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또는 층) 또는 기판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막(또는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가 다양한 영역, 막들(또는 층들) 등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영역, 막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소정 영역 또는 막(또는 층)을 다른 영역 또는 막(또는 층)과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의 제 1 막질로 언급된 막질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막질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프로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도 1에서 시편이 해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프로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프레임이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은 제 1 지지판(12), 제 2 지지판(14), 및 지지대(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판(12) 및 제 2 지지판(14)은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제 1 지지판(12) 및 제 2 지지판(14)은 지지대(1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은 그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시편(S)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 1 고정 모듈(22)이 제 1 지지판(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고정 모듈(22)은 제 2 지지판(14)을 향하는 제 1 지지판(12)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고정 모듈(22)은 시편(S)에 접촉하는 제 1 프로브들(30)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프로브들(30)은 제 1 고정 모듈(22)의 일면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프로브들(30)은 제 1 전류 프로브(32) 및 제 1 전압 프로브(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류 프로브(32) 및 제 1 전압 프로브(34) 각각은 2개 이상의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전압 프로브(34)는 단수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고정 모듈(24)은 제 2 지지판(1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고정 모듈(24)은 제 1 고정 모듈(22)을 향하는 제 2 지지판(14)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고정 모듈(24)은 제 1 고정 모듈(22)과 이격될 수 있다. 제 2 고정 모듈(24)은 시편(S)에 접촉하는 제 2 프로브들(40)은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프로브들(40)은 제 2 고정 모듈(24)의 일면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 프로브들(40)은 제 2 전류 프로브(42) 및 제 2 전압 프로브(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류 프로브(42)가 배치되는 위치는 제 1 전류 프로브(32)가 배치되는 위치에 수직으로 대응되고, 제 2 전압 프로브(44)가 배치되는 위치는 제 1 전압 프로브(34)가 배치되는 위치에 수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제 2 전류 프로브(42) 및 제 2 전압 프로브(44) 각각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전압 프로브(44)는 단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 2 전류 프로브(42) 및 제 2 전압 프로브(44)가 제공되는 개수는 각각 제 1 전류 프로브(32) 및 제 1 전압 프로브(34)가 제공되는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은 탄성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프로브들(40)은 용수철에 연결된 팁(tip)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프로브들(40)은 그의 일단이 제 2 고정 모듈(24)에 고정되어 있고, 그의 타단에 팁(tip)이 배치되어 있는 캔틸레버(cantilever)일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전류 프로브들(32)은 용수철에 연결된 팁을 포함하거나, 그의 일단이 제 1 고정 모듈(22)에 고정되어 있고, 그의 타단에 팁이 배치되어 있는 캔틸레버일 수 있다.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은 외부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제 1 프로브들(30)의 팁은 외부력에 의해 제 1 고정 모듈(22)을 향해 하강할 수 있다. 제 2 프로브들(40)의 팁은 외부력에 의해 제 2 고정 모듈(24)을 향해 상승할 수 있다.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은 측정하고자 하는 시편(S)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S)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은 각각 제 1 고정 모듈(22) 및 제 2 고정 모듈(24)로부터 제 2 높이(h2)로 돌출될 수 있다. 이후, 시편(S)의 비저항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 사이에 시편(S)이 장착될 수 있다.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은 시편(S)을 그의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은 시편(S)의 높이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은 각각 제 1 고정 모듈(22) 및 제 2 고정 모듈(24)을 향하여 제 1 높이(h1)로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축된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의 복원력에 의해 시편(S)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은 시편(S)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수축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의 탐침에 의해 시편(S)에 가해지는 손상이 적을 수 있다.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이 탄성체이기 때문에, 시편(S)의 장착 및 해제가 용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을 수축시켜 시편(S)의 높이보다 큰 높이의 공간을 확보한 후,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 사이에 시편(S)를 장착 및 해제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은 외부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회로는 전류원(A) 및 전압계(V)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회로는 시편(S)의 비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원(A)은 제 1 배선(52)을 통해 연결된 제 1 전류 프로브(32) 및 제 2 전류 프로브(42)를 통해 시편(S)의 양단에 정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정전류는 시편(S)과 프로브들(30, 40) 간의 접촉 저항을 제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동시에, 전압계(V)는 제 2 배선(54)을 통해 연결된 제 1 전압 프로브(34) 및 제 2 전압 프로브(44)를 통해 시편(S)의 양단 사이의 전위차을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외부 회로는 상기 전류의 양 및 상기 전위차를 이용하여 시편(S)의 비저항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는 다르게, 프로브들이 시편(S)의 일면 상에 모두 접촉되는 경우, 전류원 및 전압계의 전기 신호는 횡방향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때, 시편(S)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프로브들 사이에서 시편(S)의 저항이 급속하게 증가하여, 시편(S)의 비저항 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에서와 같이 제 1 전류 프로브(32) 및 제 1 전압 프로브(34)는 시편(S)의 일측에 접촉하고, 제 2 전류 프로브(42) 및 제 2 전압 프로브(44)는 시편(S)의 타측에 접촉할 수 있다. 제 1 전류 프로브(32) 및 제 2 전류 프로브(42)는 각각 전류원(A)의 양극(兩極)에 연결되고, 제 1 전압 프로브(34) 및 제 2 전압 프로브(44)는 각각 전압계(V)의 양극(兩極)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류원(A) 및 전압계(V)의 전기 신호는 시편(S)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시편(S)이 얇은 두께를 갖는 경우, 프로브들(30, 40) 사이에서 저항이 감소하여, 시편(S)의 비저항 측정이 용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은 평면적 관점에서 다양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류 프로브(32), 제 1 전압 프로브(34), 제 2 전류 프로브(42), 및 제 2 전압 프로브(44)가 각각 2개씩 제공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6에 도시된 제 2 프로브들(40)을 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평면적 관점에서, 제 2 전류 프로브들(42) 및 제 2 전압 프로브들(44)은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되될 수 있다. 또는, 제 2 전류 프로브들(42) 및 제 2 전압 프로브들(44)은 시편(S)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전류 프로브들(42) 및 제 2 전압 프로브들(44)은 시편(S)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전류 프로브들(42) 및 제 2 전압 프로브들(44)은 시편(S)의 일면 상에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 2 전류 프로브들(42) 각각은 제 1 배선(5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전압 프로브들(44) 각각은 제 2 배선(5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전류 프로브들(32) 및 제 1 전압 프로브들(34)은 시편(S)의 타면 상에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제 1 전류 프로브들(32) 및 제 1 전압 프로브들(34)이 배치되는 위치는 제 2 전류 프로브들(42) 및 제 2 전압 프로브들(44)이 배치되는 위치에 수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 1 전류 프로브들(32) 각각은 제 1 배선(5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전압 프로브들(34) 각각은 제 2 배선(54)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프로브들(30) 및 제 2 프로브들(40)이 각각 시편(S)의 일면 및 타면에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신호가 시편(S)의 일측에 치우치지 않고 균일하게 흐를 수 있으며, 시편(S)의 비저항의 측정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프로브들(30, 40)이 시편(S)에 균일하게 접촉함에 따라, 프로브들(30, 40)이 시편(S)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제 1 전류 프로브(32), 제 1 전압 프로브(34), 제 2 전류 프로브(42) 및 제 2 전압 프로브(44) 각각의 수가 많을수록, 시편(S)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더하여, 프로브들(30, 40)이 시편(S)의 일면 상에 일렬로 배열되지 않고, 시편(S)의 양면에 나누어 배치될 수 있으며, 프로브들(30, 40)이 서로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브들(30, 40)이 시편(S)의 좁은 면적에 탐침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으며, 전기 비저항 측정장치는 좁은 면적을 갖는 시편(S)의 비저항을 측정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2: 제 1 지지판 14: 제 2 지지판
16: 지지대 22: 제 1 고정 모듈
24: 제 2 고정 모듈 30: 제 1 프로브
32: 제 1 전류 프로브 34: 제 1 전압 프로브
40: 제 2 프로브 42: 제 1 전류 프로브
44: 제 2 전압 프로브 52: 제 1 배선
54: 제 2 배선
A: 전류원 S: 시편
V: 전압계

Claims (1)

  1. 시편의 일측에 접촉하는 제 1 프로브를 갖는 제 1 고정 모듈;
    상기 시편의 타측에 접촉하는 제 2 프로브를 갖는 제 2 고정 모듈; 및
    상기 제 1 프로브 및 상기 제 2 프로브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 1 프로브와 제 2 프로브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외부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프로브 및 상기 제 2 프로브는 탄성력을 갖고 상기 시편을 양측에서 고정하는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
KR1020170094387A 2017-07-25 2017-07-25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 KR20190011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387A KR20190011869A (ko) 2017-07-25 2017-07-25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387A KR20190011869A (ko) 2017-07-25 2017-07-25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869A true KR20190011869A (ko) 2019-02-08

Family

ID=6536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387A KR20190011869A (ko) 2017-07-25 2017-07-25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18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8022A (zh) * 2019-10-21 2019-12-13 四川大学 一种双面多点位金属镀层电阻高速测量系统及测量方法
CN110568022B (zh) * 2019-10-21 2024-06-04 四川大学 一种双面多点位金属镀层电阻高速测量系统及测量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8022A (zh) * 2019-10-21 2019-12-13 四川大学 一种双面多点位金属镀层电阻高速测量系统及测量方法
CN110568022B (zh) * 2019-10-21 2024-06-04 四川大学 一种双面多点位金属镀层电阻高速测量系统及测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6601B2 (ja) 等方性応力を検出してピエゾホール効果の補償を提供する方法及びデバイス
JP2005300545A5 (ko)
JP2013032938A5 (ko)
DE602004009057D1 (de) Plattenförmige sonde, prozess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r anwendung
US20140015552A1 (en) Single-position hall effect measurements
CN105203847A (zh) 一种薄层材料方块电阻和连接点接触电阻测试方法
CN108872917A (zh) 一种用于探针接触类测试设备的测试装置
US7536919B2 (en) Strain gauge
CN104931741B (zh) 微探针及其制备方法
US9063036B2 (en) Sample for electron microscop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1258591A (ja) 半導体素子の検査方法、半導体素子の検査装置、及び半導体素子
KR20190011869A (ko) 전기 비저항 측정 장치
KR20100006358A (ko) 4 접점 전기전도도 측정을 위한 시편-전극 장착장치
US8152364B2 (en) Method for measuring the creep of a thin film inserted between two rigid substrates, with one cantilever end
CN208607350U (zh) 一种用于探针接触类测试设备的测试装置
US114420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material using a non-destructive multi-point probe
US20090319216A1 (en) Teaching device and teaching method
CN110579651A (zh) 一种压电系数测量装置
US10054501B2 (en) In-situ stress detector for an electrode and a method of use
CN102980507B (zh) 杨氏模量测量仪中待测金属丝长度的测量方法
KR101179143B1 (ko) 가스 검출 장치, 및 방법
US6720789B1 (en) Method for wafer test and wafer test syste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N111798780B (zh) 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209784246U (zh) 用于功能薄膜的电学测试装置
JP2004063486A (ja) プローバのチャック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