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801A -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801A
KR20190011801A KR1020190010780A KR20190010780A KR20190011801A KR 20190011801 A KR20190011801 A KR 20190011801A KR 1020190010780 A KR1020190010780 A KR 1020190010780A KR 20190010780 A KR20190010780 A KR 20190010780A KR 20190011801 A KR20190011801 A KR 20190011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olyol
sugar alcohol
polyol
dentifrice composition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594B1 (ko
Inventor
문교태
유아람
하원호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90010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5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폴리올 및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펌프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와의 접촉이 활발한 펌핑형 용기에 치약 조성물을 적용할 때 나타나는, 굳어지거나 급격히 점도가 상승하여 토출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감성 품질이 우수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Toothpaste composition for using pumping type container}
본 발명은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펌핑형 용기 내에서 굳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국 콜게이트사에서 최초 개발된 페이스트상 치약은 알루미늄 튜브에 담겨져 판매되었고 1970년대까지도 이러한 알루미늄 튜브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페이스트상 치약의 용기를 현대와 같이 알루미늄이 적층필름 재질로 개발된 것은 고분자 및 고분자 가공 기술의 발전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튜브형태의 치약의 경우에는 튜브 토출시 잔량 및 페이스트상 제품의 고점도 등으로 인하여 사용상의 불편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치약의 풀림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용기에 흐르는 특성을 가지는 액상 치약 제품이 출시되었으나 너무 잘 흐르는 경우 칫솔 위에서 흘러 치약제품 내에 약물을 치아 및 잇몸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소비자의 사용자 편리성 증진을 위하여 다음으로 적용된 것이 진공펌프 형의 플라스틱 용기를 적용하여 고점도의 페이스트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시도가 있었으며, 일부 제품은 시판 중에 있으나 가격적인 문제 및 기존 페이스트 치약의 풀림성이 약한 특성 등이 상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페이스트제에 사용되는 습윤제 및 보습제는 솔비톨을 사용하고 있다. 솔비톨의 경우에는 70% 용액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사용하지만 물이 건조된 경우에는 고체로 전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하여 샴프나 바디워시에 사용하고 있는 딥펌프(디스펜서 펌프, 펌핑형 용기)를 사용하여 소비자의 사용 편리성을 높이고자 하는 노력을 하였으나 딥펌프의 경우에는 용기 특성상 외부 대기와의 자유로운 이동 등으로 인하여 내용물이 건조 되면서 점도가 높아져 토출이 안되는 문제점과 심지어 굳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여 상업적으로 판매된바 없다.
굳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액상 폴리올의 경우에는 쓴맛을 내는 특성이 있어 감성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선호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교적 저가이면서 단맛을 줄 수 있는 고형의 폴리올과 굳지 않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액상 폴리올을 혼용하여 감성적인 불쾌감을 해결하면서도 딥펌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치약 조성물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점도 유지력이 우수한 액상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도 변화 등으로 굳어지는 현상 없이 치약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통기가 되는 딥펌프와 같은 용기에서도 당알코올을 사용함에도 점도의 급격한 증가와 굳음 현상이 없이 펌핑을 할 수 있으며 감성적으로도 쓴맛 등을 상쇄해줄 수 있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당알코올 및 액상 폴리올을 모두 포함하는,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을, 바람직하게는 펌핑형 용기에서 당알코올 및 액상 폴리올을 함께 사용하여 내용물이 일정한 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건조 현상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치약 조성물이 펌핑형 용기와 같이 외부 공기와 직접적인 접촉을 하는 경우, 치약 조성물이 쉽게 굳어져 치약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히, 치약 조성물의 보습성분으로 이용되는 당알코올이 보습효과는 가질 수 있으나, 접촉한 물이 증발될 때 치약 조성물이 쉽게 굳어진다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치약 조성물에 포함된 당알코올과 액상 폴리올을 서로 반응시켜 캡슐화시킴으로써 액상 폴리올이 당알코올 주변을 둘러싸고, 당알코올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상기와 같이 액상 폴리올이 당알코올 주변을 감싸는 구조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액상 폴리올의 히드록시기(hydroxyl group) 또는 에테르(ether group)과 당알코올의 히드록시기(hydroxyl group)가 서로 수소결합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수소결합으로 인해 굳음 및 급격한 점도 변화로 인한 토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본 발명의 발명자가 착안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펌핑, 딥펌프 또는 디스펜서 펌프'라는 용어는, 용기의 누름부를 이용한 펌핑작용을 통해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간단히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용기 내부에 있는 치약 조성물을 피스톤의 펌핑작용을 통해 용기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하는 구조를 의미하며, 즉, 상기 펌핑작용으로 용기 내부에 장착된 피스톤에 의해서 내용물이 용기의 내부 하단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솔비톨을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솔비톨은 6개의 탄소에 6개의 히드록시기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솔비톨이 물과 접촉할 경우에는 1개의 솔비톨 분자에 6개의 물이 수소결합하여 결정수를 형성하고 형성된 결정수가 일부 또는 모두 증발되는 경우에는 결정형을 띠어 굳는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딥펌프에 사용하기 위하여 솔비톨 1분자에 포함되어 있는 6개의 탄소에 공유결합되어 있는 6개의 히드록시기 중 1개 이상을 액상의 폴리올과 수소결합을 이루게 하여 굳거나 급격한 점도 변화를 감소시키고자 한다.
상기 당알코올은 고형 폴리올, 고화성 폴리올이라고도 하며, 에리스리톨, 아라비톨, 자일리톨, 리비톨, 솔비톨, 만니톨, 갈락티톨, 말티톨, 락티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솔비톨이 이용될 수 있으며, 솔비톨액, 비결정성 솔비톨, 결정성 솔비톨 등 형태의 제한은 없다.
상기 당알코올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7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당알코올을 사용하여도 감성품질의 개선이 일어나지 않으며,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치약 조성물이 굳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액상 폴리올은 당알코올(sugar alcohol)과 같이 물에 용해되어 습윤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상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는 폴리올을 의미한다.
상기 액상 폴리올은 액상 치약이 공기와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건조 현상을 방지하여 액상 치약의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내용물이 굳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액상 폴리올은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내지 600,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측면에서 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300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액상 폴리올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10중량% 내지 85 중량% 포함되고, 상기 당알코올의 히드록시기와 수소결합하는 액상 폴리올의 히드록시기 또는 에테르기의 몰비가 0.2배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상 폴리올을 전체 중량 대비 85 중량% 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제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거나, 0.2배 비율 미만으로 수소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딥펌프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할 때 굳거나 점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액상 폴리올이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이 탄소대비 히드록시기의 함량비가 높으나 분자량이 낮은 경우에는 당알코올과 상기 액상 폴리올이 강한 수소결합력을 가진다. 그러나, 증기압에 의한 재 분리 및 결합(rearrangement)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비율일 때 치약 조성물이 굳는 문제 및 급격한 점도 변화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상 폴리올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이 분자량이 큰 경우에는 고분자량의 액상 폴리올과 상기 당알코올이 수소결합하여 당알코올을 캡슐화하는 특성을 나타내며 상기 당알코올의 히드록시기와 액상 폴리올의 히드록시기 또는 에테르기의 몰비가 적어도 1:0.2일 때 굳거나 급격한 점도 변화를 억제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상 치약 조성물은 상기 연마제 외에 액상 폴리올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상기 당알코올 및 액상 폴리올 이외에,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그 제형 및 사용 목적에 따라 통상적인 성분들로서, 연마제, 착향제, 감미제, 약효제, pH조정제, 방부제, 결합제, 기포제, 증백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인산일수소칼슘, 침강 실리카, 흄드실리카, 콜로이드성 실리카, 제올라이트, 탄산 칼슘, 함수 알루미나, 카오린, 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5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연마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치약내의 고형분과 칫솔에 의한 치태 제거를 기대할 수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치아의 손상을 유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도록 착향제와 감미제를 첨가할 수 있다. 착향제는 구강에 잔류하며 지속적으로 향을 발산함으로써 상쾌감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착향제로는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등의 민트와 상쾌감을 높여 줄 수 있는 멘톨, 유칼립톨, 아네톨, 티몰 등과 같은 향원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윈터그린, 메틸 살리실레이트, 유게놀, 메론, 딸기, 오렌지, 바닐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착향제는 조성물 총 중량의 0.001 내지 10 중량%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제형이 가질 수 있는 기본적인 맛을 극복하기 위하여 감미제를 첨가할 수 있다. 감미제는 구강내 잔류하면서 지속적으로 맛을 제공해줌으로써 타액의 발생을 지속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감미제로는 사카린, 수크랄로스, 설탕, 자일리톨, 솔비톨, 락토스, 만니톨, 말티톨, 에리쓰리톨, 아스파탐, 타우린, 사카린염, D-트립토판 등을 1 종 혹은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카린염 중에서는 사카린나트륨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감미제의 양은 조성물 총 중량의 0.001 내지 20 중량%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강위생을 위하여 사용되는 약효제로는 충치 예방, 잇몸질환 예방, 치석 침착 예방, 미백 등의 효과가 있는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충치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효제에는 불소 이온을 포함한 미국 식품의약품 안전청에서 안전한 물질로 인정한 화합물이 포함된다. 불소 이온의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은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불화암민을 들 수 있다.
불소의 함량은 국가에 따라 사용량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850 내지 1500 ppm 범위의 불소 이온 농도를 갖도록 이들 공급원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재석회화제 역시 충치 예방제로 작용할 수 있다. 재석회화는 치아의 주요 구성 성분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재생하고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주성분은 2가의 칼슘 양이온과 인산 음이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칼슘이온과 인산이온을 동시에 공급하거나 구강 내의 화학평형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생성되는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칼슘 2가 이온이나 인산 음이온 1 종 이상이 함유된 것이면 재석회화제로 될 수 있다. 칼슘과 인을 제공하는 물질은 원료상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제2인산칼슘, 염화칼슘, 카제인 포스펩티드, 칼슘 글리세로포스페이트, 제1인산나트륨, 제2인산나트륨, 제3인산나트륨, 제1인산칼륨, 제2인산칼륨, 제3인산칼륨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재석회화제는 조성물 전체의 0.001 내지 20 중량%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1 중량% 미만에서는 재석회화 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20 중량% 보다 많으면 제제가 본래 갖고 있는 성질을 잃게 될 수 있다.
구강 위생용품을 사용하는 목적 중 하나는 구강 내에 생존하고 있는 구강 내 유해 미생물에 대한 살균 또는 항염 작용을 통하여 진행되고 있는 잇몸질환의 완화뿐만 아니라 잇몸질환을 미리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항균제로 알려진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사이클로헥시딘,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트리클로산, 잔토리졸, 후박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항염 작용을 위하여 센텔라아시아티카정량추출물, 글리시리진산디칼륨, 비타민류와 효소, 아미노카프로산, 알라토인 및 그 유도체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약효제는 0.005 중량 % 내지 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약효제 함량이 0.005 미만인 경우에는 약효를 나타내기 어려우며, 5 중량%를 초과 함유하는 경우에는 기본 배이스의 맛을 변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잇몸 질환 이외에도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과산화수소,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 칼슘 퍼옥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치석 침착 억제 효과를 얻기 위하여 피로인산나트륨, 산성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메타인산나트륨 등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약효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의 0.001 내지 10 중량%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H조정제로는 인산, 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호박산, 호박산나트륨, 주석산, 주석산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강용 조성물의 산성도는 일반적으로 5 내지 8이다.
결합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보머, 카라기난, 잔탄검, 알지네이트류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구강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 0.5 내지 3 중량%이다.
방부제로서는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포제로는 알킬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나트륨, 알킬살루코시네이트, 라우릴살루코시네이트,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나트륨염, 미리스리토일 글루나메이트 나트륨염,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엑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록사머) 등의 음이온, 양쪽성 및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포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구강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2 내지 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 0.5 내지 3.5 중량%이다.
증백제로는 산화티탄을 사용하며 적당하기로는 0.1% 내지 2 중량% 사용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대기와의 접촉에 의해 굳어지는 문제점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외부 공기 유입이 용이한 펌핑형 용기에 적용할 때 굳어지거나 급격한 점도 상승이 일어나는 현상이 개선되었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펌핑형 용기의 사용상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외부 공기와의 접촉으로 치약 조성물이 굳어지는 현상이 나타나, 펌핑형 용기에 치약 조성물을 담아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형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업계에서 그동안 많은 비용이 투자되었던 진공펌프 형태 대신, 단가가 저렴하고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는 펌핑형 용기를 적용함으로써 제품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감성 품질이 좋지 못하였던 액상 폴리올을 당알코올과 반응시켜 우수한 감성 품질을 제공하면서도 치약의 굳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발명이다.
도 1은 글리세린이 솔비톨과 수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2는 고분자량의 액상 폴리올인, 폴리에틸렌글리콜 300을 이용하여 당알코올과 물의 직접적인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치약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액상폴리올과 고형 폴리올(또는 당알코올)을 먼저 혼합하여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2차로 정제수 및 향 액에 약효제, 산탄검, 사카린, 방부제, 계면활성제 등 분말성분을 완전히 분산시켜 2 차 혼합하고, 그 다음에 필요시 실리카 등의 연마제와 약효제를 투입하고 진공 상태 하에서 혼합하여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함량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침강 실리카 0.00 15.00 15.00 15.00 15.00 0.00 15.00
글리세린 35.00 35.00 30.00 20.00 10.00 5.00 5.00
솔비톨 70% 용액 45.00 45.00 45.00 45.00 45.00 50.00 50.00
라우릴 황산 나트륨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사카린 나트륨 0.20 0.20 0.20 0.20 0.20 0.20 0.20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0.15 0.15 0.15 0.15 0.15 0.15 0.15
산탄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불화나트륨 0.22 0.22 0.22 0.22 0.22 0.22 0.22
비타민 E 0.20 0.20 0.20 0.20 0.20 0.20 0.20
향료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정제수 15.23 0.23 5.23 15.23 25.23 40.23 25.23
실시예 6 내지 10 와 비교예 3내지 4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치약 조성물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액상폴리올과 고형 또는 고형화 폴리올을 먼저 혼합하여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2차로 향 액에 약효제, 산탄검, 사카린, 방부제, 계면활성제 등 분말성분을 완전히 분산시켜 2 차 혼합하고, 그 다음에 실리카 등의 연마제와 약효제를 투입하고 진공 상태 하에서 혼합하여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3
비교예
4
침강 실리카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글리세린 20.00 20.00 10.00 5.00
폴리에틸렌글리콜300 20.00 10.00 5
프로필렌글리콜 20.00
솔비톨 70% 용액 50.00 50.00 40.00 40.00 40.00 60.00 60.00
에리스리톨 10.00
자일리톨 10.00 10.00
라우릴 황산 나트륨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사카린 나트륨 0.20 0.20 0.20 0.20 0.20 0.20 0.20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0.15 0.15 0.15 0.15 0.15 0.15 0.15
산탄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불화나트륨 0.22 0.22 0.22 0.22 0.22 0.22 0.22
비타민 E 0.20 0.20 0.20 0.20 0.20 0.20 0.20
향료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정제수 10.23 10.23 10.23 10.23 10.23 15.23 15.23
실시예 비교예의 액상폴리올/ 고상(고상화)폴리올의 비율
상기 표 1 내지 2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액상 폴리올과 고상 폴리올의 비율은 각각의 탄소수 대비 산소의 함유 수를 이용하여 비율을 측정하였으며, 예를 들어 글리세린의 히드록시기 중 산소의 수는 1분자당 3개를 함유하며, 솔비톨의 경우 분자 1개당 히드록시기의 수는 6개를 포함하며 70% 액상인 경우에는 0.7을 곱하여 주어 투입량 대비 산소의 몰수를 계산하여 비율을 산정하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비교예 비교예
1 2 3 4 5 1 2
액상폴리올/고상폴리올 히드록시기 몰비 1.10 1.10 0.94 0.63 0.31 0.14 0.14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3
비교예
4
액상폴리올/고상폴리올 히드록시기 몰비 0.35 0.46 0.52 0.52 0.29 0.12 0.07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상폴리올(당알코올)과 액상 폴리올의 몰비가 실시예에서는 0.2이상의 값을 나타냄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에는 0.2미만의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경시에 따른 점도 변화
상기 표 1 내지 2 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경시에 따른 점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점도 측정
상기 표 1 내지 2의 실시예 1 내지 10과 비교예 1 내지 4 같이 제조한 치약에 대하여 제조직후와 딥펌프에 담아 놓고 2개월 후 및 12개월 후 점도 변화를 25℃에서 브룩필드점도계(DV-Ⅲ Ultra Rheometer) RVT형으로 스핀들 7번을 이용하여 회전속도를 분당 10회전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점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점도(×1,000cP)
제조직후 1개월 12개월
실시예 1 25.6 34.9 41.5
실시예 2 25.1 32.3 42.8
실시예 3 25.6 31.1 41.0
실시예 4 25.2 34.5 40.2
실시예 5 25.7 31.8 43.5
실시예 6 25.4 33.2 40.1
실시예 7 25.8 32.8 40.6
실시예 8 25.3 33.1 40.2
실시예 9 25.5 33.0 43.1
실시예 10 25.9 34.8 44.0
비교예 1 25.2 54.5 200이상
비교예 2 25.5 54.0 200이상
비교예 3 25.5 53.9 200이상
비교예 4 25.8 54.3 200이상
비교예로 사용한 솔비톨의 함량에 따라서 보았을 때 상온에서 12개월간 방치한 경우에는 치약의 표면이 굳는 현상으로 인하여 점도의 측정 자체가 불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개월 후에도 수분 증발에 따른 급격한 점도 변화가 관찰 되었다. 그러나 연마제 함량에 따른 특성 변화에 있어서 연마제 함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점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부터 연마제 함량은 경시 점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여지며, 또한 액상 폴리올 종류에 따른 점도 변화의 경우에도 경시 점도의 현격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저함량의 액상폴리올이 함유된 경우에는 경시에 따른 점도 변화가 현격하게 일어남을 확인하였으며, 저함량의 액상 폴리올과 고형 폴리올이 동시에 함유된 경우에는 점도가 급격히 증가하다가 장기간 경시후에는 굳는 문제가 발생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저함량 액상 폴리올은 초기에는 토출 특성을 유지 할 수 있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토출이 어려움을 확인해 줄 수 있는 바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연마제의 종류 및 함량과 액상 폴리올을 사용한 경우에도 급격한 점도 변화로 인한 딥펌프 사용시 토출 특성이 변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액상 폴리올과 연마제의 조합으로 공기가 통하는 용기에서도 급격한 점도 변화와 굳는 현상이 없이 딥펌프를 사용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딥펌프의 토출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을 250밀리리터 용량의 딥펌프에 적용한 후 잔량이 20그램 이하로 남도록 지속적으로 펌핑하여 토출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토출 특성
초기 1개월 12개월
실시예 1 토출완료 토출완료 토출완료
실시예 2 토출완료 토출완료 토출완료
실시예 3 토출완료 토출완료 토출완료
실시예 4 토출완료 토출완료 토출완료
실시예 5 토출완료 토출완료 토출완료
실시예 6 토출완료 토출완료 토출완료
실시예 7 토출완료 토출완료 토출완료
실시예 8 토출완료 토출완료 토출완료
실시예 9 토출완료 토출완료 토출완료
실시예 10 토출완료 토출완료 토출완료
비교예 1 토출완료 200 밀리리터 토출안됨
비교예 2 토출완료 200 밀리리터 토출안됨
비교예 3 토출완료 195 밀리리터 토출안됨
비교예 4 토출완료 190 밀리리터 토출안됨
비교예로 사용한 고형 폴리올과 액상 폴리올의 히드록시기 몰비가 0.2 미만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초기 제조 후에는 모든 내용물이 토출 되었으나, 1개월 후부터는 완전히 토출 되지 못하고 1/5 정도의 내용물이 잔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2개월 후에는 비교예에서는 모두 토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액상의 폴리올을 함유할 지라도 그 몰비가 0.2 이하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급격한 점도 변화 및 굳는 현상이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에 실시예의 경우에는 수분의 증발에 의하여 점도의 상승은 나타났으나 액상 폴리올과 고상폴리올의 히드록시기간 수소결합에 의하여 서서히 점도의 상승은 관찰되었으나 굳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출 특성도 모든 치약 조성물에서 잔량이 남지 않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였던 고상폴리올을 사용한 경우의 급격한 점도 변화는 고형 폴리올에서 물이 증발되어 펌프의 표면에 노출됨으로써 굳는 현상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Claims (8)

  1. 당알코올 및 액상 폴리올을 모두 포함하는,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은 에리스리톨, 아라비톨, 자일리톨, 리비톨, 솔비톨, 만니톨, 갈락티톨, 말티톨, 락티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폴리올은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내지 600,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폴리올은 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300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당알코올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6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의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가 상기 액상 폴리올의 히드록시기 또는 에테르기와 수소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폴리올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10 내지 85 중량% 미만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의 히드록시기와 수소결합 가능한 상기 액상폴리올의 히드록시기 또는 에테르기의 몰수는 상기 당알코올의 히드록시기 몰수의 0.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KR1020190010780A 2019-01-28 2019-01-28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KR101998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80A KR101998594B1 (ko) 2019-01-28 2019-01-28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80A KR101998594B1 (ko) 2019-01-28 2019-01-28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031A Division KR101945392B1 (ko) 2017-11-16 2017-11-16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998A Division KR102044938B1 (ko) 2019-05-07 2019-05-07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801A true KR20190011801A (ko) 2019-02-07
KR101998594B1 KR101998594B1 (ko) 2019-07-10

Family

ID=6536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780A KR101998594B1 (ko) 2019-01-28 2019-01-28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5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8869A (en) * 1990-01-31 1993-01-12 Lion Corporation Liquid dentifrice compositions
KR20070028512A (ko) * 2004-07-06 2007-03-12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치마 조성물
KR20080053406A (ko) * 2002-10-04 2008-06-12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액체 치약 조성물
JP2009215176A (ja) * 2008-03-07 2009-09-24 Lion Corp 歯磨組成物及び歯磨製品
KR20110067358A (ko) * 2009-12-14 2011-06-22 이차용 카렌듈라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07397A (ko) * 2012-03-22 2013-10-02 (주)한일제약 거품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8869A (en) * 1990-01-31 1993-01-12 Lion Corporation Liquid dentifrice compositions
KR20080053406A (ko) * 2002-10-04 2008-06-12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액체 치약 조성물
KR20070028512A (ko) * 2004-07-06 2007-03-12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치마 조성물
JP2009215176A (ja) * 2008-03-07 2009-09-24 Lion Corp 歯磨組成物及び歯磨製品
KR20110067358A (ko) * 2009-12-14 2011-06-22 이차용 카렌듈라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07397A (ko) * 2012-03-22 2013-10-02 (주)한일제약 거품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594B1 (ko)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841B1 (ko)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TWI432216B (zh) 潔齒劑組成物
JP6524072B2 (ja) 口腔用組成物
KR101792198B1 (ko) 구강용 조성물
KR20160131488A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101984544B1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102026942B1 (ko) 액상 치약 조성물
JP5233399B2 (ja) 口腔スプレー用組成物及び口腔用製剤
JP5196127B2 (ja) 口腔用組成物
JP2004026658A (ja) 口腔用組成物
KR101998594B1 (ko)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JP7317433B2 (ja) ポンプ型歯磨剤組成物
KR101945392B1 (ko)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KR102044938B1 (ko)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KR102594171B1 (ko) 거품 치약 조성물
KR20170026439A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102089534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2294485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JP2003183141A (ja) 歯磨組成物
KR20180099348A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2071361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20200027490A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2232713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1880846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JPH0796489B2 (ja) 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