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636A - 향상된 입력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향상된 입력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636A
KR20190011636A KR1020170094415A KR20170094415A KR20190011636A KR 20190011636 A KR20190011636 A KR 20190011636A KR 1020170094415 A KR1020170094415 A KR 1020170094415A KR 20170094415 A KR20170094415 A KR 20170094415A KR 20190011636 A KR20190011636 A KR 20190011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control signal
unit
interface devic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917B1 (ko
Inventor
강회식
김광수
초대열
소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니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니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니틱스
Priority to KR1020170094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9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Abstract

터치패널에 대한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진동모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진동모터 구동부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모듈과,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모터 구동전류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진동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공개된다.

Description

향상된 입력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장치{A user interface driving device providing enhanced input feedback and an electric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용 전자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인 터치패널에 대한 터치입력에 빠르게 반응하도록 되어 있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용 전자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인 터치패널 및 상기 터치패널을 구동하여 상기 터치패널에 대한 터치입력을 처리하는 터치제어회로에 관한 종래기술은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2011-0126026, 2016-0006982, 2016-0081529 등에 공개되어 있다.
상기 터치입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이하 간단히 AP)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AP는, 상기 전자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또는 기타 이벤트에 대응하여 출력하기로 되어 있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AP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를 위한 드라이버들에게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각종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자(진동유닛),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AP는, 예컨대 상기 진동자에 포함된 진동모터를 구동하는 진동모터 구동부(다른 말로, 진동모터 구동모듈, 진동모터 구동IC, 진동모터 구동칩)에게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하거나, 상기 스피커에 포함된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VCM 드라이버에게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에게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진동모터를 구동하는 종래기술로는 예컨대 US09158379B, 및 US09508236B 등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터치입력에 반응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반응은 즉각적으로 발생해야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그런데 상기 AP가 아이들 모드(idle mode)(다른 말로, 슬립 모드 또는 휴지 모드)에 있을 때에는 AP가 웨이크업(wake-up)하기 위한 지연시간이 필요하다. 상기 터치입력이 발생하면 이를 처리하는 터치감지부(다른 말로, 터치감지모듈, 터치감지IC, 터치감지칩)이 그 관련 정보를 AP에게 전달하게 되는데, AP가 아이들 모드에 있는 경우 AP의 웨이크업에 소요되는 시간 때문에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의 출력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AP가 활성화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상기 AP가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발생시키는 경우 소프트웨어 간의 실행 우선순위에 의해 상기 제어신호의 생성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가 액티브 모드에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AP가 폴링 방식으로 상기 터치입력을 비연속적으로 인식한다면 상기 인식 간격에 의한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반응 지연시간이 존재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일부 상황에서는 상기 AP가 상기 터치입력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동하기 시작하기까지 지연시간이 존재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터치입력 발생 시 이에 수반하여 출력되어야 하는 반응출력의 지연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진동모터(5)를 제어하는 진동모터 구동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 구동장치는, 터치패널(6)에 대한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감지부(2)로부터 제공되며 상기 진동모터(5)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선택부(11); 및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를 출력하는 구동전류 출력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 선택부(11)는, 상기 터치감지부(2)로부터 제공되는 터치입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AP(3)로부터, 상기 진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1제어신호를 더 수신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 선택부(11)는,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이전에 가장 마지막으로 수신한 상기 제2제어신호와 상기 제1제어신호 간의 딜레이가 미리 결정된 소정의 값 이하인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1제어신호와 상기 제2제어신호가 모두 터치입력에 대한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경우에, 상기 제1제어신호를 버리도록(discard)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터치감지부(2), 및 진동모터 구동부(1)을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감지부(2)는, 상기 터치감지부(2)에 연결된 터치패널(6)에 대한 터치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는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진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 제공부(4)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감지부(2)는,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 제공부(4)에게 제2웨이크업 신호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제공부(4)는, 상기 전원 제공부(4)가 아이들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제2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전력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감지부(2)로부터 제공되는 터치입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AP(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는, 상기 AP(3)로부터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1제어신호를 더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이전에 가장 마지막으로 수신한 상기 제2제어신호와 상기 제1제어신호 간의 딜레이가 미리 결정된 소정의 값 이하인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1제어신호와 상기 제2제어신호가 모두 터치입력에 대한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경우에, 상기 제1제어신호를 버리도록(discard)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터치감지모듈(102),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감지모듈(102)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에 연결된 터치패널(6)에 대한 터치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은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진동모터(5)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의 출력단자(156, OUTP, OUTN)를 통해 출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을 구성하는 소자들 중 적어도 일부의 소자에 제공되는 전원은, 상기 터치감지모듈에 제공되는 전원과 분리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의 외부에 제공된 전원 제공부(4)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터치감지모듈(102)은,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 제공부(4)에게 제2웨이크업 신호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웨이크업 신호는, 상기 전원 제공부(4)가 아이들 모드에 있을 때에 상기 전원 제공부(4)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전원 제공부(4)가 상기 적어도 일부의 소자에게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사람의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어느 하나를 자극하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005)를 제어하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1)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은, 터치패널(6)에 대한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감지부(2)로부터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005)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선택부(11)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005)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터치감지부(2), 및 사람의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어느 하나를 자극하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005)를 제어하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1)을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감지부(2)는, 상기 터치감지부(2)에 연결된 터치패널(6)에 대한 터치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1)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1)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005)는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1)에 의해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터치감지모듈(102), 및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모듈(1101)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감지모듈(102)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에 연결된 터치패널(6)에 대한 터치입력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한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모듈(1101)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모듈(1101)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모듈(1101)은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입력 발생 시 이에 수반하여 출력되어야 하는 반응출력의 지연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발생 시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출력에 필요한 기능부들을 선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발생 시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출력에 필요한 기능부들을 선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P와 터치감지모듈에서 제공하는 진동모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들의 타이밍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로부터 변형된 진동모터 구동부의 구성 중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동모터 구동모듈에서 사용하는 상술한 펄스 트레인을 생성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진동모터 구동모듈에서 사용하는 상술한 펄스 트레인을 생성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진동모터 구동모듈에서 사용하는 상술한 펄스 트레인을 생성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펄스 트레인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a)는 도 10에 나타낸 상기 제1 타입의 부분 펄스 트레인을 따로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11의 (b)는 도 10에 나타낸 상기 제2 타입의 부분 펄스 트레인을 따로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11의 (c)는 도 10에 나타낸 상기 제3 타입의 부분 펄스 트레인을 따로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2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6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비교 실시예>
도 1은 비교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발생 시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출력에 필요한 기능부들을 선택하여 나타낸 것이다.
전자장치(10')는, 진동모터 구동부(1), 터치감지부(2), AP(3), 전원 제공부(4), 진동모터(5), 및 터치패널(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가 칩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는 지동모터 구동장치로 지칭될 수도 있다.
터치감지부(2)는 터치패널(6)에 대한 사용자입력의 존재 여부 및 그 발생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AP(3)가 인액티브(inactive) 모드인 아이들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터치감지부(2)는 상기 터치입력의 발생이 확인되면 AP(3)에게 인터럽트 채널(21)을 통해 인터럽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AP(3)가 상기 아이들 모드에 있는 경우 터치감지부(2)는 AP(3)가 아이들 모드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터치감지부(2)는 AP(3)가 아이들 모드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AP(3)가 상기 아이들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제공받으면 AP(3)는 액티브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이 발생한 제1시각에서부터 상기 AP(3)가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기 시작한 제2시각까지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본 문서에서 제1딜레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액티브 모드 상태에 있는 AP(3)는 터치감지부(2)로부터 터치입력의 존재여부 및 터치위치를 제공받을 수 있다. AP(3)는 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진동모터(5)를 구동하도록 하는 제1제어신호를 상기 AP(3)와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 간에 형성된 제1통신채널(32)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5)는 터치입력이 발생하였을 때에, 상기 전자장치(10')가 상기 터치입력을 성공적으로 감지하였다는 사실을 상기 터치입력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진동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AP(3)가 액티브 모드에 있는 경우에도, 터치감지부(2)가 터치입력이 발생하였음을 AP(3)에게 보고하도록 준비가 완료된 제3시각으로부터, AP(3)가 상기 터치입력의 발생 및 발생위치를 확인하여 진동모터(5)를 구동하도록 하는 상기 제1제어신호를 상기 제1통신채널(32)을 통해 제공하기 시작하는 제4시각까지 딜레이기 발생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이를 제2딜레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채널(32)은 예컨대 I2C 통신규약을 이용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때 I2C 통신규약을 통해 AP(3)는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진동모터의 진동세기 및 진동 주기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통신채널(32)은 예컨대 진동모터 구동부(1)에서 사용되는 PWM 신호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진동모터 구동부(1)는 진동모터(5)에게 구동전류(Icoil)를 제공하기 위한 회로로서 풀브릿지(full bridge) 회로 또는 해프브릿지(half bridge)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모터(5)에는 코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코일의 양 단자는 상기 브릿지 회로가 제공하는 두 개의 출력단자(OUTP, OUTN)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브릿지 회로에 포함된 FET의 게이트의 온-오프 제어를 PWM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상기 구동전류(Icoil)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WM 신호의 펄스 간 간격 및 듀티비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Icoil)의 제공량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두 개의 출력단자(OUTP, OUTN)의 각 전압은 상기 브릿지 회로에 제공되는 입력전압(VDD)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FET의 게이트에 제공되는 전압인 턴-온 전압의 구체적인 값에 의해 상기 FET의 소스와 드레인 간의 저항(RFET,ON)이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두 개의 출력단자(OUTP, OUTN)의 각 전압은 상기 턴-온 전압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전압(VDD)에 제공되는 전압을 DC-DC컨버터를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턴-온 전압을 DAC를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출력단자(OUTP, OUTN)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DAC를 이용하는 경우 DAC의 출력은 상기 FET의 게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FET를 턴온하는 최소 전압을 Vftom이라고 할 때에, 상기 FET의 게이트에 입력되어야 하는 PWM 신호의 로직값이 '0'인 시구간에서는 상기 DAC에, 상기 DAC가 Vftom보다 작은 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1 디지털 입력값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WM 신호의 로직값이 '1'인 시구간에서는 상기 DAC에, 상기 DAC가 Vftom 이상인 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2 디지털 입력값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지털 입력값을 제어함으로써 저항(RFET,ON)의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DAC의 출력은 증폭기를 통해 상기 FET의 게이트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장치(10')가 휴대형으로서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 진동모터 구동부(1)에 의한 구동이 필요 없을 때에는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그 후 진동모터 구동부(1)에 의한 구동이 재개되어야 하면 상기 전력을 다시 공급해야 한다. 이러한 전력의 차단 및 공급은 전원 제공부(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공부(4)는 부스트 IC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제공부(4)는 전원선(41)을 통해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제공부(4)가 전원선(41)을 통한 전력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AP(3)가 제1웨이크업 채널(33)을 통해 제1웨이크업 신호를 전원 제공부(4)에게 제공하면, 전원 제공부(4)는 전원선(41)을 통한 전력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이 과정에는 소정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예컨대, 아이들 모드에 있던 AP(3)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터치감지부(2)로부터 수신하면, AP(3) 스스로 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뿐만 아니라, 전원 제공부(4)에게 상기 제1웨이크업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전원 제공부(4)는 AP(3)가 아이들 모드에 있는 경우, 그 사실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AP(3)가 아이들 모드에 있는 경우 전원선(41)을 통한 전력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10')는 상기 터치입력을 검출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피드백 해주기 위해 특정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제1딜레이 및/또는 제2딜레이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터치입력이 제공되더라도 상기 피드백을 위한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의 구동이 지연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의 예로서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진동자를 들었지만, 상기 진동자를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로 대체하더라도 마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을 통해 설명한 모든 내용이 종래기술로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발생 시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출력에 필요한 기능부들을 선택하여 나타낸 것이다. 전자장치(10)는 예컨대 태블릿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에는 배터리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구성요소들은 도 2에 나타낸 구성요소들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지만, 편의상 다른 구성요소들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위배되지 않는 한 도 1에 나타낸 전자장치(10')의 작동원리는 도 2에 나타낸 전자장치(1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에 나타낸 전자장치(10)와 도 1에 나타낸 전자장치(10') 중 동일한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진동모터 구동부(1), 터치감지부(2), AP(3), 전원 제공부(4), 진동모터(5), 터치패널(6), 및 OR로직(7)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감지부(2)는 터치패널(6)에 대한 사용자입력의 존재 여부 및 그 발생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AP(3)가 상기 아이들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터치감지부(2)는 상기 터치입력의 발생이 확인되면 AP(3)에게 인터럽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AP(3)가 상기 아이들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제공받으면 AP(3)는 액티브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입력이 발생한 제1시각에서부터 상기 AP(3)가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기 시작한 제2시각까지 상기 제1딜레이가 존재할 수 있다.
액티브 모드 상태에 있는 AP(3)는 터치감지부(2)로부터 터치입력의 존재여부 및 터치위치를 제공받을 수 있다. AP(3)는 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진동모터(5)를 구동하도록 하는 제1제어신호를 상기 AP(3)와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 간에 제공된 제1통신채널(32)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5)는 터치입력이 발생하였을 때에, 상기 전자장치(10)가 상기 터치입력을 성공적으로 감지하였다는 사실을 상기 터치입력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진동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AP(3)가 액티브 모드에 있는 경우에도, 터치감지부(2)가 터치입력이 발생 이벤트를 AP(3)에게 보고하도록 준비가 완료된 제3시각으로부터, AP(3)가 상기 터치입력의 발생을 확인하여 진동모터(5)를 구동하도록 하는 상기 제1제어신호를 상기 제1통신채널(32)을 통해 제공하기 시작하는 제4시각 간에는 상기 제2딜레이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채널(32)은 예컨대 I2C 통신규약을 이용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때 I2C 통신규약을 통해 AP(3)는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진동모터의 진동세기 및 진동 주기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통신채널(32)은 예컨대 진동모터 구동부(1)에서 사용되는 PWM 신호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통신채널이 따르는 구체적인 통신규약에는 제약이 없다.
진동모터 구동부(1)는 진동모터(5)에게 구동전류(Icoil)를 제공하기 위한 회로로서 풀브릿지 회로 또는 해프브릿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모터(5)에는 코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코일의 양 단자는 상기 브릿지 회로가 제공하는 두 개의 출력단자(OUTP, OUTN)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브릿지 회로에 포함된 FET의 게이트의 온-오프 제어를 PWM 신호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구동전류(Icoil)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WM 신호의 펄스 간 폭 및 듀티비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Icoil)의 제공량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두 개의 출력단자(OUTP, OUTN)의 전압은 상기 브릿지 회로에 제공되는 입력전압(VDD)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FET의 게이트에 제공되는 턴-온 전압의 구체적인 값에 의해 상기 FET의 소스와 드레인 간의 저항(RFET,ON)이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두 개의 출력단자(OUTP, OUTN)의 전압은 상기 턴-온 전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전압(VDD)에 제공되는 전압을 DC-DC컨버터를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턴-온 전압을 DAC(125)를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출력단자(OUTP, OUTN)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DAC(125)를 이용하는 경우 DAC(125)의 출력은 상기 FET의 게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FET를 턴온하는 최소 전압을 Vftom이라고 할 때에, PWM 신호의 값이 '0'인 시구간에서는 상기 DAC(125)에, 상기 DAC(125)가 Vftom보다 작은 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1 디지털 입력값을 제공하고, PWM 신호의 값이 '1'인 시구간에서는 상기 DAC(125)에, 상기 DAC(125)가 Vftom 이상인 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2 디지털 입력값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지털 입력값을 제어함으로써 저항(RFET,ON)의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10)가 휴대형으로서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 진동모터 구동부(1)에 의한 구동이 필요 없을 때에는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그 후 진동모터 구동부(1)에 의한 구동이 재개되어야 하면 상기 전력을 다시 공급해야 한다. 이러한 전력의 차단 및 공급은 전원 제공부(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원 제공부(4)가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선(41)으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AP(3)가 제1웨이크업 채널(33)을 통해 상기 제1웨이크업 신호를 제공하면, 전원 제공부(4)는 전원선(41)으로의 전력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이 과정에는 소정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전원 제공부(4)는 AP(3)가 아이들 모드에 있는 경우, 그 사실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AP(3)가 아이들 모드에 있는 경우 전원선(41)을 통한 전력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10)는 상기 터치입력을 검출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피드백 해주기 위해 특정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제1딜레이 및/또는 제2딜레이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터치입력이 제공되더라도 상기 피드백을 위한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의 구동이 지연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는, 터치감지부(2)와 진동모터 구동부(1) 간을 연결하는 제2통신채널(22), 터치감지부(2)와 상기 전원 제공부(4)를 연결하는 제2웨이크업 채널(23), 상기 제1웨이크업 채널(33)을 통해 제공되는 제1웨이크업 신호와 상기 제2웨이크업 채널(23)을 통해 제공되는 제2웨이크업 신호를 로지컬 OR 연산을 통해 연산된 결과를 전원 제공부(4)에게 제공하는 OR로직(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AP(3)가 아이들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터치감지부(2)는 상기 터치입력의 발생이 확인되면 진동모터(5)를 구동하도록 하는 제2제어신호를 상기 제2통신채널(22)을 통해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채널(22)는 예컨대 I2C 통신규약을 이용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때 I2C 통신규약을 통해 터치감지부(2)는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진동모터의 진동세기 및/또는 진동 주기를 포함하는 진동패턴에 관한 정보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통신채널(22)는 예컨대 진동모터 구동부(1)에서 사용되는 PWM 신호 또는 펄스 트레인 형태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펄스 트레인의 모양 및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술한 예시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통신채널(22)이 따르는 구체적인 통신규약에는 제약이 없다.
상기 제2통신채널(22) 및 상기 제2웨이크업 채널(23)의 제어를 위하여 터치감지부(2)는 진동모터 제어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통신채널(22) 및 상기 제2웨이크업 채널(23)을 통해 제공되는 제2웨이크업 신호는 터치감지부(2)로부터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통신채널(22) 및 상기 제2웨이크업 채널(23)은 단방향 통신 채널일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 제어부(25)는 상기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2가지의 제어모드인 제1제어모드와 제2제어모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 진동모터 제어부(25)는 AP(3)가 아이들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모터 제어부(25)는 AP(3)가 아이들 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제2통신채널(22)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AP(3)가 아이들 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제2제어신호가 터치감지부(2)로부터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P(3)가 아이들 상태에 있는 동안 최초로 발생된 터치입력에 대해서만, 터치감지부(2)가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진동제어를 위한 상기 제2제어신호를 직접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진동모터 제어부(25)는 AP(3)가 아이들 상태에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터치입력이 발생할 때마다 터치감지부(2)가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진동제어를 위한 상기 제2제어신호를 직접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모드 및 상기 제2제어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은 상기 전자장치(10)의 설계 시에 제조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전자장치(10)는 상기 제1제어모드 및 상기 제2제어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터치감지부(2)에 포함된 레지스터들 중 모드선택을 위한 레지스터의 설정이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진동모터 제어부(25)는 AP(3)가 아이들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2웨이크업 채널(23)을 통해 상기 제2웨이크업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웨이크업 신호는 상기 OR로직(7)을 통해 전원 제공부(4)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전원 제공부(4)는 상기 제2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하여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전원선(41)을 통한 동작전원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이로써, AP(3)가 아이들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의 완전히 전환되어 AP(3)가 상기 제1웨이크업 신호를 전원 제공부(4)에게 전달하기 이전에도 상기 제2웨이크업 신호에 의하여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모터 제어부(25)는 전원 제공부(4)가 전원선(41)을 통해 전력공급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웨이크업 신호는 상기 전력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만 생성되어 전달될 수도 있다.
<중복된 진동모터 구동부 제어신호들의 처리>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터치감지부(2)가 제2통신채널(22)을 통해 전달하는 상기 제2제어신호에 의해 진동모터 구동부(1)를 직접 제어하는 경우에, AP(3)는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진동모터 구동부(1)를 구동하기 위한 상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AP(3)는 상기 터치입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것을 요구하는 정보를 터치감지부(2)로부터 수신할 필요가 있다.
이와 달리,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터치감지부(2)가 제2통신채널(22)을 통해 전달하는 상기 제2제어신호에 의해 진동모터 구동부(1)를 직접 제어하는 경우에도, AP(3)는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진동모터 구동부(1)를 구동하기 위한 상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일한 터치입력 이벤트에 대하여 진동모터 구동부(1)는 AP(3)로부터의 제1제어신호와 터치감지부(2)로부터의 제2제어신호를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제어신호와 상기 제2제어신호는 동일한 목적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1제어신호에 따른 제1명령과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른 제2명령을 그대로 이행하면 한 번의 터치입력에 대하여 2번의 진동출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것은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가능성도 있다.
상기 중복된 진동출력을 단일의 진동출력으로 제한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AP(3)와 터치감지부(2) 간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둘 중 어느 하나만 진동모터 구동부(1)를 제어하도록 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둘째, AP(3)와 터치감지부(2)는 각각 진동모터 구동부(1)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제어신호 및 상기 제2제어신호를 제공하도록 허용하는 대신, 진동모터 구동부(1)가 늦게 수신한 상기 제1제어신호를 무효화하여 처리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두 번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두 번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동모터 구동부(1)를 제어하기 위해 AP(3)에서 제공하는 제1제어신호와 터치감지부(2)에서 제공하는 제2제어신호들의 타이밍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의 t1, t4, t6, t8은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터치감지부(2)에서 상기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점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의 t3, t5, t7, t9는 상기 동일한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AP(3)에서 상기 제1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점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x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 3의 (a)에서 TC-Ex (x=1, 2, 3, 4)는 x번째 터치입력에 대하여 발생된 상기 제2제어신호들을 서로 구분하는 기호이며, 도 3의 (b)에서 AC-Ex (x=1, 2, 3, 4)는 상기 x번째 터치입력에 대하여 발생된 상기 제1제어신호들을 서로 구분하는 기호이다.
제2제어신호 TC-E1, TC-E2, TC-E3, 및 TC-E4는 각각 제1제어신호 AC-E1, AC-E2, AC-E3, 및 AC-E4에 대응한다.
시점 t2은, 아이들 모드에 있던 AP(3)가 터치감지부(2)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후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기 시작한 시점을 나타낸다.
상기 제2제어신호들이 발생된 t1, t4, t6, t8 시점은, 터치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실제 터치입력이 이루어진 시점보다 약간 뒤의 시점이다.
상기 제1제어신호들이 발생된 t3, t5, t7, t9 시점은, 대응하는 상기 제2제어신호들이 발생된 시점들보다 소정의 딜레이(D1, D2, D3, D4)가 더해진 시점이다.
터치감지부(2)가 터치입력들을 검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2제어신호들(TC-E1, TC-E2, TC-E3, TC-E4)를 출력한 시간부터, AP(3)가 터치감지부(2)로부터 상기 각각의 터치입력을 확인하여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1제어신호들(AC-E1, AC-E2, AC-E3, AC-E4)를 출력하는 시간 사이에는 소정의 딜레이(D1, D2, D3, D4)가 존재한다. 이러한 딜레이는 AP(3)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것일 수 있다.
특히, 터치감지부(2)가 제2제어신호(TC-E1)를 야기한 제1터치입력을 검출한 시간부터, 아이들 모드에 있던 AP(3)가 터치감지부(2)로부터 상기 제1터치입력을 확인하여 상기 제1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2제어신호(TC-E1)를 출력하는 시간까지, AP(3)가 아이들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지연시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딜레이(D1)는 딜레이(D2, D3, D3)들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예컨대 사용자의 제1터치입력에 대하여 진동모터 구동부(1)는 시각(t1)에 제2제어신호(TC-E1)을 수신하여 진동모터를 구동하고 및 시각(t2)에 제1제어신호(AC-E1)을 수신하여 진동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제2제어신호(TC-E1) 및 제1제어신호(AC-E1)는 한 개의 상기 제1터치입력에 대한 것이므로, 진동모터는 한 번의 터치입력에 대하여 두 번 반응하게 될 수 있으며, 이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진동모터 구동부(1)는 제어신호 선택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 선택부(11)는 제2통신채널(22)을 통해 상기 제2제어신호를 수신한 이후, 제1통신채널(32)를 통해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신호 선택부(11)는 상기 제1제어신호와 상기 제2제어신호 간의 딜레이가 미리 결정된 소정의 제1딜레이 이하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제어신호와 상기 제2제어신호가 동일한 터치입력 이벤트에 대하여 중복으로 발생한 것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신호와 상기 제2제어신호가 중복으로 발생한 것이라고 결정되면, 제어신호 선택부(11)는 나중에 도달한 상기 제1제어신호를 무효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신호 선택부(11)는 상기 진동모터가 상기 제1제어신호에 의해 진동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신호 선택부(11)는 상기 제2제어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2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1제어신호가 상기 제1딜레이 이내에 AP(3)로부터 제공되지 않으면, 미리 결정된 제2패턴의 진동을 진동모터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예컨대 화면 또는 소리)를 통해 미리 결정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입력은 잘 감지되었지만, 그에 따른 AP(3)의 반응이 신속하게 수행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신호 선택부(11)는 AP(3)로부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터치감지부(2)로부터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1제어신호가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제공된 것이 아니라 다른 이유에 의해 제공된 것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AP(3)는 터치입력과 관계없이 특정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독자적으로 상기 제1제어신호를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신호 선택부(11)는 상기 AP(3)로부터 제1제어신호를 유효하게 처리하여, 상기 제1제어신호에 의해 진동모터가 진동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진동패턴의 생성>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입력에 따른 진동피드백 딜레이를 최소화함으로써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사용자 경험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사용자 경험품질의 향상을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널에 대한 터치입력의 위치, 입력의 세기, 입력방향, 및 입력을 위한 터치접촉 지속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진동패턴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패턴은 진동모터의 진동 주기 및 진동 강도를 시간에 따라 정의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패널의 제1지점에 터치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생성되는 제1진동패턴은 터치패널의 제2지점에 터치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생성되는 제2진동패턴과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도 2에 나타낸 터치감지부(2)는 터치입력의 위치, 입력의 세기, 입력방향, 및 입력을 위한 터치접촉 지속시간 중 하나 이상을 파라미터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2통신채널(22)을 통해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제공될 수 있다. 진동모터 구동부(1)는 상기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상기 진동패턴을 생성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진동모터 제어부(25)는 상기 한 개 이상의 파라미터를 미리 제공된 식 또는 테이블에 대입함으로써, 진동모터의 진동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패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2통신채널(22)을 통해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제공될 수 있다. 진동모터 구동부(1)는 상기 진동패턴에 따라 진동모터(5)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채널(22)은 I2C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PWM 신호 또는 펄스 트레인을 통과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통신채널(22)을 통해 PWM 신호 또는 펄스 트레인을 전송하는 실시예에서는, 진동모터 제어부(25)가 상기 생성된 진동패턴에 대응하는 PWM 신호 또는 상기 펄스 트레인을 생성하여 상기 제2통신채널(22)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모터 구동부(1)는 상기 PWM 신호 또는 상기 펄스 트레인에 따라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통신채널(22)이 I2C 규약을 따르는 경우에는, 진동모터 제어부(25)가 상기 생성된 진동패턴에 대응하는 진동 주기 및 진동 강도에 관한 설정값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상기 제2통신채널(22)을 통해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모터 구동부(1)는 상기 제2통신채널(22)을 통해 제공받은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PWM 신호 또는 펄스 트레인을 생성하고, 상기 PWM 신호 또는 상기 펄스 트레인을 이용하여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가 입출력되는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1)의 한 쌍의 출력단자(OUTP, OUTN) 사이의 전위차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제어값이 상기 파라미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에 상기 전압제어값이 포함된 경우, 진동모터 구동부(1)는 상기 전압제어값을 반영하여 상기 한 쌍의 출력단자(OUTP, OUTN) 사이의 전위차를 제어할 수 있다.
진동모터 구동부(1)에서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를 제어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의 제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동모터 구동부(1)는 도 4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진동모터 구동부(1)는 진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를 출력하는 구동전류 출력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전류 출력부(15)는 예컨대 4개의 FET (M1, M2, M3, M4)를 포함하는 브릿지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회로는 각 FET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하는 브릿지회로 제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동모터 구동부(1)는 상술한 제어신호 선택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 선택부(11)는 상술한 제1통신채널(32)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제어신호와 제2통신채널(22)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2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브릿지회로 제어부(12)에 제공되어야 하는 PWM 신호 또는 펄스 트레인을 단자(AIN, BIN)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FET 의 게이트에는 각각 상기 PWM 신호 또는 상기 펄스 트레인을 기초로 한 아날로그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진동모터 구동부(1)에 제공된 한 쌍의 출력단자(OUTP, OUTN)을 통해 흐르는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는 상기 브릿지회로의 동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공된 PWM 신호 또는 펄스 트레인에 따라 상기 브릿지회로에 포함된 FET들의 게이트의 온/오프가 제어됨으로써 상기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의 방향, 크기, 및 지속시간이 제어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모터(5)는 코일(L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는 상기 코일(L1)을 통해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전원선(41)을 통해 진동모터 구동부(1)에게 제공된 제1전원은 브릿지회로의 구동전압(VM)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구동전압(VM)은 상기 제1전원 그 자체이거나 또는 상기 제1전원을 DC-DC 컨버터(13)를 통해 승압 또는 감압시켜 얻은 전원일 수 있다. 상기 DC-DC 컨버터(13)는 진동모터 구동부(1)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진동모터 구동부(1)의 외부에 제공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통신채널(22)을 통해 상기 생성된 진동패턴에 대응하는 진동 주기, 진동 강도, 및 상기 전압제어값에 관한 파라미터들이 제공되는 경우, 제어신호 선택부(11)는 상기 전압제어값을 기초로 DC-DC 컨버터(13)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구동전압(VM)의 값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4로부터 변형된 진동모터 구동부(1)의 구성 중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의 방향 및 지속시간은 상기 PWM 신호의 듀티 및 주기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펄스 트레인의 모양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데,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의 크기는 아래와 같이 제어될 수도 있다.
즉,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가 흐르는 경로에 배치된 감지저항(REXT) 양단의 전압을 기준전위(VREF)와 비교기(410)을 이용하여 비교함으로써,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C1)을 생성할 수 있다.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PWM 신호 또는 펄스 트레인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수행 중인 FET(M1, M2, M3, M4)을 잠시 오프 상태로 두어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의 자연감쇠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FET(M1, M2, M3, M4)의 온/오프 상태를 상기 PWM 신호 또는 상기 펄스 트레인의 제어를 따르도록 다시 회복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출력단자(OUTP, OUTN) 간의 전압은 상기 구동전압(VM)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지만, 도 5에 나타낸 DAC(125)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제어될 수도 있다.
즉, 도 4에서 브릿지회로 제어부(12)가 FET(M1, M2, M3, M4)의 게이트 전압을 PWM 신호 또는 상기 펄스 트레인에 의해 제어할 때에, FET를 온 상태로 두기 위한 상기 게이트 전압은 미리 결정된 값으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FET를 온 상태로 두기 위한 상기 게이트 전압을 특정 값으로 고정하지 않고, 상기 한 쌍의 출력단자(OUTP, OUTN) 사이의 전위차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 상기 전압제어값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상기 가변은 도 5에 제시한 DAC(125)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FET가 온 상태일 때에 상기 FET의 드레인과 소스 간의 저항인 RFET,ON은 게이트 전압에 의해 달라진다.
도 5에서는 모든 FET들의 게이트전압을 DAC가 출력하는 예를 들었으나, 모든 FET들 중 일부의 FET의 게이트전압만을 DAC를 거쳐 출력하더라도 상기 한 쌍의 출력단자(OUTP, OUTN) 사이의 전위차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출력단자(OUTP, OUTN) 사이의 전위차를 제어하고, 상기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의 크기를 제어하고, 상기 PWM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의 지속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코일(Icoil)에 제공되는 전력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WM 신호 또는 상기 펄스 트레인은 상기 터치감지부(2)가 생성한 상기 파라미터들 또는 진동패턴을 따르기 때문에, 상술한 모든 과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제공하는 경우 최적의 진동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진동피드백은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한 기술을 이용하여 즉각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터치감지부와 진동모터 구동부를 통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에는 상술한 터치감지부(2)와 진동모터 구동부(1)의 기능이 통합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은, 터치감지모듈(102), 진동모터 구동모듈(101), 터치패널 인터페이스 단자(151), 인터럽트 신호 출력단자(152), 제2웨이크업 신호 출력단자(153), 제1제어신호 입력단자(154), 전원 제공부 전원 입력단자(155), 진동모터 구동전류 출력단자(156)(OUTP, OUTN)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입출력단자들이 있을 수 있다.
터치감지모듈(102)은 상술한 터치감지부(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은 상술한 진동모터 구동부(1)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터치패널 인터페이스 단자(151)는, 터치감지모듈(102)과 신호를 주고받는 터치패널(6)과의 연결을 위한 단자이다.
인터럽트 단자(15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과 AP(3)간의 인터럽트신호 전달채널(121)을 형성하기 위한 단자이다.
제2웨이크업 신호 출력단자(15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의 일부 소자들, 예컨대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에게 전원을 제공하는 외부의 전원 제공부(4)를 아이들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2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2웨이크업 채널(123)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이다.
제1제어신호 입력단자(154)는, AP(3)가 제공하는 제1제어신호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이 구동하는 진동모터(5)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1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단자이다.
전원 제공부 전원 입력단자(155)는, 상기 전원 제공부(4)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입력받는 단자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은 상기 전원 제공부(4)로부터 제공된 전원 외에 다른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진동모터 구동전류 출력단자(156)는,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에서 생성한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가 입출력되는 한 쌍의 단자(OUTP, OUTN)일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모듈(102)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에 연결된 터치패널(6)에 대한 터치입력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한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2제어신호를 상기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터치감지모듈(102)와 진동모터 구동모듈(101) 사이에는 상기 제2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2통신채널(122)가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은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진동모터(5)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모터 구동전류(Icoil)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의 출력단자(156)를 통해 출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모터 구동모듈(101)를 구성하는 소자들 중 적어도 일부의 소자에 제공되는 제1전원은, 상기 터치감지모듈(102)에 제공되는 전원과 분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1전원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의 외부에 제공된 전원 제공부(4)로부터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부의 소자는 예컨대 상술한 브릿지회로에 포함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모듈(102)은,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웨이크업 신호를 제2웨이크업 채널(123)을 통해 상기 전원 제공부(4)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웨이크업 신호는, 상기 전원 제공부(4)가 아이들 모드에 있을 때에 상기 전원 제공부(4)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전원 제공부(4)가 상기 진동모터 구동모듈(101) 내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소자에게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하 상술한 펄스 트레인을 생성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상기 펄스 트레인은 도 2에 나타낸 진동모터 구동부(1) 또는 도 6에 나타낸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와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펄스 트레인을 생성하는 원리를 동일하므로 이하 도 6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 내용은 도 2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동모터 구동모듈에서 사용하는 상술한 펄스 트레인을 생성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6에 나타낸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에 포함된 FET(M1~M4)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펄스 트레인(510)은, 도 6에 나타낸 진동모터 제어부(25)가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상기 펄스 트레인은 제2통신채널(122)을 통해서 상기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에게 전달될 수 있다. 각각의 FET(M1~M4)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펄스 트레인(510)의 모양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진동모터 제어부(25)는 진동패턴 제어부(226) 및 스테이트 머신(225)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패턴 제어부(226)은 상기 펄스 트레인(510)을 만들기 위한 진동패턴 파라미터(PSTATE, PDUTY, PINT, PPULSE_HEIGHT, PVM)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진동패턴 파라미터들은 터치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진동패턴 파라미터(PVM)는 DC-DC 컨버터(13)의 제어신호로서 제공되며, DC-DC 컨버터(13)가 출력하는 브릿지 회로 구동전압(VM)의 값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진동패턴 파라미터(PSTATE, PDUTY, PINT, PPULSE_HEIGHT)들은 스테이트 머신(225)에게 제공될 수 있다.
스테이트 머신(225)은 진동패턴 파라미터(PSTATE, PDUTY, PINT, PPULSE_HEIGHT)에 따라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에게 제공되는 펄스 트레인(510)의 형태를 만들 수 있다. 스테이트 머신(225)의 동작 방식 및 상기 펄스 트레인(510)의 형태는 후술한다.
상기 펄스 트레인(510)은 디지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DAC(225)에 의해 아날로그 형태로 변경되어 FET의 게이트에 제공될 수 있다. DAC(225)의 출력신호는 FET의 게이트에 인가되기 이전에 도시되지 않은 증폭기를 거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진동모터 구동모듈에서 사용하는 상술한 펄스 트레인을 생성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6에 나타낸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에 포함된 FET(M1~M4)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펄스 트레인(510)은,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이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치감지모듈(102)는 펄스 트레인(510)을 생성하라는 명령 및 이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제2통신채널(122)을 통해서 전달할 수 있다.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은 도 7에 설명한 것과 동일한 진동패턴 제어부(226) 및 스테이트 머신(2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진동모터 구동모듈에서 사용하는 상술한 펄스 트레인을 생성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은 도 7에 설명한 것과 동일한 스테이트 머신(22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진동모터 제어부(25)는 진동패턴 제어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패턴 제어부(226)는 진동패턴 파라미터(PSTATE, PDUTY, PINT, PPULSE_HEIGHT)들을 생성하여 제2통신채널(122)을 통해 스테이트 머신(225)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DC-DC 컨버터(13)는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의 내부에 있을 수도 있고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또는,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DC-DC 컨버터(13)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브릿지 회로에 제공되는 구동전압(VM)은 일정한 값으로 고정되어 있거나, 배터리의 출력전압에 의해 가변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는 도 6에 설명한 AP(3), OR로직(7), 전원 제공부(4), 및 진동모터(5)를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도시를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였다.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펄스 트레인(510)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서 가로축은 시간축이며, 세로축은 펄스 트레인(510)의 크기를 나타낸다.
펄스 트레인(510)을 연속된 펄스들의 부분 펄스 트레인으로 나눌 때에, 상기 각 부분 펄스 트레인이 아래의 3가지 타입 중 하나에 해당하도록 나눌 수 있다. 즉 제1 타입의 부분 펄스 트레인(511)은, 상기 부분 펄스 트레인(511)에 포함된 펄스들(P11~P15) 간의 간격이 시간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타입의 부분 펄스 트레인(512)은, 상기 부분 펄스 트레인(512)에 포함된 펄스들(P21~P25) 간의 간격이 시간에 따라 일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타입의 부분 펄스 트레인(513)은, 상기 부분 펄스 트레인(513)에 포함된 펄스들(P31~P35) 간의 간격이 시간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각각의 펄스 트레인(510)에는 제1 타입의 부분 펄스 트레인(511), 제2 타입의 부분 펄스 트레인(512), 및 제3 타입의 부분 펄스 트레인(513) 중 어느 하나가 1회 이상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펄스 트레인(510) 내에서의 상기 부분 펄스 트레인(511, 512, 513) 간의 선후 관계는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도 11의 (a)는 도 10에 나타낸 상기 제1 타입의 부분 펄스 트레인(511)을 따로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11의 (b)는 도 10에 나타낸 상기 제2 타입의 부분 펄스 트레인(512)을 따로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11의 (c)는 도 10에 나타낸 상기 제3 타입의 부분 펄스 트레인(513)을 따로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펄스(P11~P15, P21~P25, P31~P35)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는 진동패턴 제어부(226)으로부터 수신하는 일련의 인터럽트 신호(PINT)의 동기화 될 수 있다. 상기 일련의 인터럽트 신호(PINT)의 인접한 인터럽트 간의 시간 간격은 시간이 흐를수록 증가하거나 감소할 뿐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상기 일련의 인터럽트 신호(PINT)를 INT11~INT15, INT2, INT31~INT35로 나타냈다.
제1 타입의 부분 펄스 트레인(511)과 제3 타입의 부분 펄스 트레인(513)에 포함된 각 펄스는 상기 각각의 인터럽트 신호(PINT)에 대응하여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타입의 부분 펄스 트레인(512)에 포함된 각 펄스는, 수신된 단 한 개의 인터럽트 신호(PINT)에 대응하여 발생될 수 있다.
각 펄스(P11~P15, P21~P25, P31~P35)의 하이레벨 유지시간과 로우레벨 유지시간 간의 비율인 듀티는 각 펄스 별로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각 펄스의 듀티는 듀티 파라미터(PDUTY)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듀티 파라미터(PDUTY)는 인터럽트 신호(PINT)가 생성될 때마다 갱신되거나, 또는 드문드문 갱신될 수 있다.
각 펄스(P11~P15, P21~P25, P31~P35)의 하이레벨의 구체적인 값은 펄스 별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각 펄스는 '0'과 '1'의 이산값만을 갖도록 되어 있지 않고, 각 펄스의 하이레벨의 값이 다양한 디지털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각 펄스의 하이레벨의 값은 펄스높이 파라미터(PPULSE_HEIGHT)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펄스높이 파라미터(PPULSE_HEIGHT)는 인터럽트 신호(PINT)가 생성될 때마다 갱신되거나, 또는 드문드문 갱신될 수 있다.
스테이트 머신(225)은 적어도 3개의 스테이트를 가질 수 있다. 스테이트 간의 상태전환은 스테이트 머신(225)이 수신한 스테이트 파라미터(PSTATE)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예컨대, 스테이트 파라미터(PSTATE)가 제1스테이트(S1)의 값으로 갱신되면 상기 스테이트 머신(225)은 상기 적어도 3개의 스테이트 중 상기 제1스테이트(S1)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스테이트 중 제1스테이트(S1)는 인접한 출력 펄스들(P11~P15) 간의 폭이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스테이트이며, 이때 제1스테이트(S1)를 위하여 인터럽트 신호(PINT)(INT11~INT15)의 발생 간격은 시간에 따라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 출력 펄스(P11~P15)의 듀티와 하이레벨의 값은 각각 상기 각 인터럽트 신호(PINT)(INT11~INT15)가 발생할 때에 주어지는 듀티 파라미터(PDUTY)와 펄스높이 파라미터(PPULSE_HEIGHT)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스테이트 중 제2스테이트(S2)는 인접한 출력 펄스들(P21~P25) 간의 폭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는 스테이트이며, 이때 제2스테이트(S2)를 위하여 인터럽트 신호(PINT)(INT2)는 최초에 한 번만 발생하거나 아예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출력 펄스(P21~P25)의 듀티와 하이레벨의 값은 상기 인터럽트 신호(PINT)(INT2)가 발생할 때에 주어지는 듀티 파라미터(PDUTY)와 펄스높이 파라미터(PPULSE_HEIGHT)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는 각 출력 펄스(P21~P25)의 듀티와 하이레벨의 값은 상기 스테이트 파라미터(PSTATE)가 제2스테이트(S2)의 값으로 전환될 때에 주어지는 듀티 파라미터(PDUTY)와 펄스높이 파라미터(PPULSE_HEIGHT)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스테이트 중 제3스테이트(S3)는 인접한 출력 펄스들(P31~P35) 간의 폭이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스테이트이며, 이때 제3스테이트(S3)를 위하여 인터럽트 신호(PINT)(INT31~INT35)의 발생 간격은 시간에 따라 감소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 출력 펄스(P31~P35)의 듀티와 하이레벨의 값은 각각 상기 각 인터럽트 신호(PINT)(INT31~INT35)가 발생할 때에 주어지는 듀티 파라미터(PDUTY)와 펄스높이 파라미터(PPULSE_HEIGHT)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종래에는 진동모터 구동모듈(101)에 포함된 브릿지 회로의 게이트에 PWM 신호를 제공하여 구동하였지만, 도 7 내지 도 11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트레인은 종래의 PWM 신호를 대신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트레인의 각 펄스는 인터럽트 신호(PINT)가 발생할 때마다 생성되는데, 서로 인접한 상기 인터럽트 신호(PINT) 간의 간격은 시간에 따라 가변하며, 일정하게 유지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펄스 트레인 내에서 서로 인접한 펄스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제2스테이트(S2)의 동작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인터럽트 신호(PINT)가 1회 또는 0회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터럽트 신호(PINT)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도 2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진동모터(5)를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005)(ex: 진동모터, 스피커, 화면)로 일반화하였고, 진동모터 구동부(1)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1001)로 일반화하였다. 상기 일반화에 모순이 없다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3은 도 6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진동모터(5)를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005)(ex: 진동모터, 스피커, 화면)로 일반화하였고, 진동모터 구동모듈(101)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모듈(1101)로 일반화하였다. 상기 일반화에 모순이 없다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1: 진동모터 구동부
2: 터치감지부
3: AP
4: 전원 제공부
6: 터치패널
11: 제어신호 선택부
13: DC-DC 컨버터
15: 구동전류 출력부
25: 진동모터 제어부
1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
101: 진동모터 구동모듈
102: 터치감지모듈

Claims (11)

  1. 진동모터를 제어하는 진동모터 구동장치로서,
    터치패널에 대한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감지부로부터 제공되며 상기 진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선택부; 및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모터 구동전류를 출력하는 구동전류 출력부;
    를 포함하는,
    진동모터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선택부는, 상기 터치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터치입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AP로부터, 상기 진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1제어신호를 더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진동모터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선택부는,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이전에 가장 마지막으로 수신한 상기 제2제어신호와 상기 제1제어신호 간의 딜레이가 미리 결정된 소정의 값 이하인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1제어신호와 상기 제2제어신호가 모두 터치입력에 대한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경우에, 상기 제1제어신호를 버리도록 되어 있는,
    진동모터 구동장치.
  4. 터치감지부, 및 진동모터 구동부을 포함하는 전자장치로서,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터치감지부에 연결된 터치패널에 대한 터치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는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진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모터 구동전류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전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 제공부에게 제2웨이크업 신호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제공부는, 상기 전원 제공부가 아이들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제2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에게 전력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전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터치입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AP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는,
    상기 AP로부터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1제어신호를 더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이전에 가장 마지막으로 수신한 상기 제2제어신호와 상기 제1제어신호 간의 딜레이가 미리 결정된 소정의 값 이하인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1제어신호와 상기 제2제어신호가 모두 터치입력에 대한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경우에, 상기 제1제어신호를 버리도록 되어 있는,
    전자장치.
  7. 터치감지모듈, 진동모터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으로서,
    상기 터치감지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에 연결된 터치패널에 대한 터치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모터 구동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진동모터 구동모듈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모터 구동모듈은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진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모터 구동전류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 구동모듈을 구성하는 소자들 중 적어도 일부의 소자에 제공되는 전원은, 상기 터치감지모듈에 제공되는 전원과 분리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의 외부에 제공된 전원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터치감지모듈은,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 제공부에게 제2웨이크업 신호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웨이크업 신호는, 상기 전원 제공부가 아이들 모드에 있을 때에 상기 전원 제공부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전원 제공부가 상기 적어도 일부의 소자에게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신호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
  9. 사람의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어느 하나를 자극하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으로서,
    터치패널에 대한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감지부로부터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동하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
  10. 터치감지부, 및 사람의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어느 하나를 자극하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을 포함하는 전자장치로서,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터치감지부에 연결된 터치패널에 대한 터치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에 의해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전자장치.
  11. 터치감지모듈, 및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으로서,
    상기 터치감지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에 연결된 터치패널에 대한 터치입력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한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모듈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모듈은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
KR1020170094415A 2017-07-25 2017-07-25 향상된 입력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장치 KR101961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415A KR101961917B1 (ko) 2017-07-25 2017-07-25 향상된 입력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415A KR101961917B1 (ko) 2017-07-25 2017-07-25 향상된 입력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636A true KR20190011636A (ko) 2019-02-07
KR101961917B1 KR101961917B1 (ko) 2019-03-26

Family

ID=6536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415A KR101961917B1 (ko) 2017-07-25 2017-07-25 향상된 입력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9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860A (ko) * 2013-01-29 201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70001186A (ko) * 2015-06-26 201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860A (ko) * 2013-01-29 201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70001186A (ko) * 2015-06-26 201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917B1 (ko)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1857B1 (ko) 전원 공급 제어 회로 및 방법
US9075613B2 (en) Low power consumption circuit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US20140164806A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integrated circuits and its application to panel display device
KR101961917B1 (ko) 향상된 입력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구동칩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장치
WO2008069230A1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10852831B2 (en) User interface device driving chip for providing improved input feedback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3528525A5 (ko)
EP26675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linear and rotary vibrators in an electronic device
CN111240463A (zh) 提供提高了的输入反馈的用户界面装置驱动芯片及利用其的电子装置
WO2017156838A1 (zh) 液晶面板驱动系统中的切角电路
JP5287088B2 (ja) 電源制御回路
JP2008153733A (ja) 半導体装置
CN111552208B (zh) 一种状态控制电路、方法和装置
JP2000075964A (ja) 省電力制御装置
JP3817536B2 (ja) スケーラブル・プリドライバ−ドライバ・インターフェース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0311026A (ja) 情報処理装置
KR20070016024A (ko) 바이브레이터 구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609319B2 (ja) 超音波診断装置の送信回路
JP4953161B2 (ja) 電子装置
KR20060100787A (ko) Usb 장치에서의 vbus 전력 제어 장치
KR100577776B1 (ko) 액정 표시 소자
JPWO2016157487A1 (ja) ブザー鳴動装置
TW202232870A (zh) 低功率狀態期間之啟動電容器充電
JP2001161060A (ja) 電源回路
JP2001042977A (ja) コンピュータの電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