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401A - 피부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피부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401A
KR20190011401A KR1020170093885A KR20170093885A KR20190011401A KR 20190011401 A KR20190011401 A KR 20190011401A KR 1020170093885 A KR1020170093885 A KR 1020170093885A KR 20170093885 A KR20170093885 A KR 20170093885A KR 20190011401 A KR20190011401 A KR 20190011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unit
light
dispos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0487B1 (ko
Inventor
권준열
성경식
Original Assignee
피에스아이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스아이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에스아이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48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피부 진단 장치는, 피검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 주위에 상하좌우로 배치된 제 1 광원부; 및 상기 제 1 광원부의 외부에 배치된 제 2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원부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피검자의 얼굴 방향인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측면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 진단 장치{SKIN DIAGNOSIS APPARATUS}
본 발명은 피부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포화되는 부분을 억제할 수 있는 피부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0760709호(다중 광원을 이용하는 피부 관찰 장치, 이하 '종래 기술')에는, 광원별로 장치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광원에 따른 변화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필터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센서에 도달하는 빛의 감소율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자외선에 의해 발광하는 포피린이나 멜라닌이 짙어진 정도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피부 관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경우 제 1 광원부(100)에 의한 피부의 관찰 시에,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포화되는 부분이 다수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기술의 경우 검출부의 전단에 항상 자외선 차단 편광 필터(141)가 위치하여 제 1 광원부(100)에 의한 피부의 관찰 시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백색광 환경에서의 피부의 관찰 시 촬영된 영상의 포화되는 부분을 억제할 수 있고,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피부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평행 편광을 이용하여 주름 등의 현상을 더욱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피부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진단 장치는, 피검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 주위에 상하좌우로 배치된 제 1 광원부; 및 상기 제 1 광원부의 외부에 배치된 제 2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광원부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피검자의 얼굴 방향인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측면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탑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광원부의 다수의 발광 소자는, 피검자의 얼굴 방향인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측면 방향으로 발광된 후, 상기 피부 진단 장치의 내부에 형성된 내벽에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광원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좌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의 개수와 상기 카메라부의 우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의 개수는 동일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상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의 개수는 상기 카메라부의 좌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의 개수 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광원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상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의 개수는 상기 카메라부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의 개수 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광원부는, 상기 카메라부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광원부의 상측에 배치된 제 2-1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하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광원부의 하측에 배치된 제 2-2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좌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광원부의 좌측에 배치된 제 2-3 광원부; 및 상기 카메라부 우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광원부의 우측에 배치된 제 2-4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1 광원부, 제 2-2 광원부, 제 2-3 광원부 및 제 2-4 광원부는 각각, 백색의 발광소자 및 백색의 발광소자의 전단에 배치된 편광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1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과 상기 제 2-2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은 서로 평행을 이루고, 상기 제 2-3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과 상기 제 2-4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은 서로 평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피부 진단 장치는, 상기 제 2-1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후단에 배치된 발광소자 및 상기 제 2-2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후단에 배치된 발광소자가 발광하는 제 1 필터 모드; 및 상기 제 2-3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후단에 배치된 발광소자 및 상기 제 2-4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후단에 배치된 발광소자가 발광하는 제 2 필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1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과 상기 제 2-3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은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필터 모드 또는 상기 제 2 필터 모드에서, 상기 카메라부의 전단에는 편광 필터가 배치되되, 상기 카메라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편광 필터는, 상기 제 2-1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과 평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광원부 사이의 거리인 제 1 거리는, 상기 제 1 광원부로부터 상기 피부 진단 장치 케이스의 내부 측벽까지의 거리인 제 2 거리의 ½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진단 장치에 따르면, 백색광 환경에서의 피부의 관찰 시 촬영된 영상의 포화되는 부분을 억제할 수 있고, 평행 편광을 이용하여 주름 등의 현상을 더욱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대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의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의 전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피부 진단 장치의 전면 설명도
도 5는 제 1 광원부의 동작 설명도.
도 6은 제 2 광원부의 구성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각각 평행 편광 및 교차 편광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카메라 필터부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2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아울러,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200)의 전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도 3a 및 도 3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장치(200)는, 카메라부(210), 제 1 광원부(220), 제 1 광원부 탑재부(230), 제 2 광원부(240), 제 2 광원부 탑재부(250), 카메라 필터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210)는, 피부 진단 장치(200)의 중앙에 배치되어, 피검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 1 광원부(220)는 제 1-1 광원부(221), 제 1-2 광원부(222), 제 1-3 광원부(223) 및 제 1-4 광원부(224)를 포함한다. 아울러 카메라부(210)의 주위의 상하좌우로 제 1-1 광원부(221), 제 1-2 광원부(222), 제 1-3 광원부(223) 및 제 1-4 광원부(224)가 각각 배치된다.
도 4는 피부 진단 장치(200)의 전면 설명도이다. 아울러, 도 5는 제 1 광원부(220)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4 및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광원부(220)는 카메라부(210) 외부를 둘러싼 하우징인 제 1 광원부 탑재부(230)의 측면에 탑재되어, 외부로 그 탑재 양상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제 1 광원부(220)는 다수의 발광소자(L)를 포함하되, 다수의 발광소자(L)는, 피검자의 얼굴 방향인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측면 방향으로 하우징 내부에서 발광하도록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제 1 광원부(220)의 다수의 발광소자(L)는, 피검자의 얼굴을 향해 전면으로 발광하는 것이 아니라, 제 2 광원부(240)를 위한 하우징인 제 2 광원부 탑재부(250)의 내부 빈 공간을 통해 측면으로 발광된 후, 제 2 광원부 탑재부(250)에 형성된 내벽(W)에서 반사되어, 피검자의 얼굴에 조사되게 된다. 즉, 제 1 광원부(220)의 주변에는 제 2 광원부 탑재부(250)에 의해 내벽(W)이 구비되어, 발광 소자(L)로부터의 빛이 측면 방향의 내벽(W)까지의 빈 공간으로 발광된 후, 이 내벽(W)에 의해 반사되어 외부로 빛이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광원부(220)는 직접적인 피검자에의 광 조사가 아닌, 간접 조사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제 1 광원부(220)의 발광소자(L)가 전면으로 발광하게 되면, 피검자의 얼굴 중 볼록한 코 등의 부위에는 반사광이 다른 부위에 비해 많이 도달하게 되어, 카메라부(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포화 영역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 1 광원부(220)의 발광소자(L)가 전면으로 발광하게 되면, 피부 진단 장치(200)의 케이스(C)의 내측의 모서리 부분에서 많은 광이 많이 반사되게 되어, 카메라부(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포화 영역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면 발광이 아닌, 측면 발광 및 개방되지 않은 하우징 내부에서의 발광에 의해 간접적인 광 조사를 실현하였다.
아울러, 제 1 광원부(220)의 발광에 의한 촬영 시, 카메라 필터부(260)는 어떤 필터도 탑재되지 않은 제 1 카메라 필터 부분(261)이 카메라부(210)의 전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광원부(220)의 발광소자(L)로는, 색온도가 6000K 내지 10000K의 백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광원부(220)에 의해, 일반광 모드에서 촬영이 가능하다.
제 1 광원부(220)는, 카메라부(210)의 좌측의 제 1-3 광원부(223)에 배치된 발광소자(L)의 개수와 카메라부(210)의 우측의 제 1-4 광원부(224)에 배치된 발광소자(L)의 개수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 광원부(220)는, 카메라부(210)의 상측의 제 1-1 광원부(221)에 배치된 발광소자(L)의 개수는 카메라부(210)의 좌측의 제 1-3 광원부(223)에 배치된 발광소자(L)의 개수 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광원부(220)는, 카메라부(210)의 상측의 제 1-1 광원부(221)에 배치된 발광소자(L)의 개수는 카메라부(210)의 하측의 제 1-2 광원부(222)에 배치된 발광소자(L)의 개수 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광원부(220)의 위치에 따라 배치되는 발광소자(L)의 개수가 다른 것은, 이마 받침대(S1)와 턱 받침대(S2)의 영향에 의해, 동일한 개수의 발광소자(L)를 사용할 경우 얼굴의 좌우보다 상하에 도달하는 반사광량이 적어 균일한 반사광량에 의한 촬영이 힘들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턱 받침대(S2)의 영향이 이마 받침대(S1) 보다 커서, 카메라부(210)의 상측에 배치된 발광소자(L)의 개수는 카메라부(210)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소자(L)의 개수 보다 적게 하여 균일한 반사광량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 1 광원부(220)의 카메라부(21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발광소자(L), 카메라부(210)의 상측에 배치된 발광소자(L) 및 카메라부(210)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소자(L)의 비율은 3:4:6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부(210)의 중심으로부터 제 1 광원부(220) 사이의 거리인 제 1 거리(x1)는, 제 1 광원부(220)로부터 피부 진단 장치(200) 케이스(C)의 내부 측벽까지의 거리인 제 2 거리(x2)의 ½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1 광원부(220)는 카메라부(210)의 중심 근처에 위치하여, 피부 진단 장치(200)의 케이스(C)의 내부 측벽의 모서리에 도달하여 반사하는 빛을 최대한 억제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피부 진단 장치(200) 케이스(C)의 내부 측벽의 모서리에 도달하여 반사하는 빛에 의해 카메라부(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포화 영역이 많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제 2 광원부(240)는, 제 1-1 광원부(221)의 상측에 배치된 제 2-1 광원부(241), 제 1-2 광원부(222)의 하측에 배치된 제 2-2 광원부(242), 제 1-3 광원부(223)의 좌측에 배치된 제 2-3 광원부(243) 및 제 1-4 광원부(224)의 우측에 배치된 제 2-4 광원부(2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광원부(240)는, 제 1 광원부(220)와는 달리 피부 진단 장치(200)의 전면으로 발광되게 된다. 아울러, 제 2 광원부(240)는, 제 2 광원부 탑재부(250)에 탑재된다.
도 6은 제 2 광원부(240)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1 광원부(241), 제 2-2 광원부(242), 제 2-3 광원부(243) 및 제 2-4 광원부(244)는 각각, 다수의 발광소자(L)를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광원부(240)의 발광소자(L)로는 색온도가 6000K 내지 10000K의 백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2-1 광원부(241), 제 2-2 광원부(242), 제 2-3 광원부(243) 및 제 2-4 광원부(244)는 각각, 중앙에는 발광소자(L)의 전면에 가시광선 차단 필터(f1)가 탑재되어 자외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 2-1 광원부(241), 제 2-2 광원부(242), 제 2-3 광원부(243) 및 제 2-4 광원부(244)는 각각, 좌우에 발광소자(L)의 전면에 편광 필터가 탑재되어 편광 모드에 의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제 2-1 광원부(241)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과 제 2-2 광원부(242)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은 서로 평행을 이루고, 제 2-3 광원부(243)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과 제 2-4 광원부(244)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은 서로 평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진단 장치(200)는, 제 2-1 광원부(241)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후단에 배치된 발광소자(L) 및 제 2-2 광원부(242)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후단에 배치된 발광소자(L)가 발광하는 제 1 필터 모드 및 제 2-3 광원부(243)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후단에 배치된 발광소자(L) 및 제 2-4 광원부(244)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후단에 배치된 발광소자(L)가 발광하는 제 2 필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 2-1 광원부(241)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과 제 2-3 광원부(243)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은 서로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필터 모드 또는 제 2 필터 모드에서 카메라부(210)의 전단에는 편광 필터가 배치되되, 카메라부(210)의 전단에 배치되는 편광 필터는 제 2-1 광원부(241)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과 평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평행 편광 및 교차 편광의 설명도이다.
도 7a와 같이 두 편광 필터의 축이 나란하면 평행(Parallel) 편광이라고 하고, 도 7b와 같이 두 편광 필터의 축이 서로 수직이면 교차(Cross) 편광이라고 부른다.
본 발명의 제 1 필터 모드는 평행 편광 모드이다. 예를 들면, 제 1 필터 모드에서 카메라부(210) 전단에 위치할 카메라 필터부(260)의 편광 필터, 제 2-1 광원부(241)에 포함된 편광 필터, 제 2-2 광원부(242)에 포함된 편광 필터는 모두 수평 편광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일반적으로 얼굴의 주름은 수평으로 많이 지는 경향이 있어, 수평의 얼굴의 주름의 관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평 편광 필터를 사용하는 제 1 필터 모드는 카메라부(210) 주위의 상하의 편광 필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2 필터 모드는 교차 편광 모드이다. 예를 들면, 제 1 필터 모드에서 카메라부(210) 전단에 위치할 카메라 필터부(260)의 편광 필터는 수평 편광 필터를 이용하고, 제 2-3 광원부(243)에 포함된 편광 필터 및 제 2-4 광원부(244)에 포함된 편광 필터는 모두 수직 편광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평행 편광과 교차 편광을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면서도, 평행 편광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보다 선명하게 획득될 수 있도록 카메라부(210) 주위의 상하의 편광 필터로 수평 편광 필터를 채택하고, 카메라부(210) 전단에 위치할 카메라 필터부(260)의 편광 필터로 수평 편광 필터를 사용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카메라 필터부(260)의 예시도이다.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필터부(260)는, 필터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제 1 카메라 필터 부분(261)과 편광 필터가 탑재된 제 2 카메라 필터 부분(262)으로 구성된다. 모터의 회전에 의해 제 1 카메라 필터 부분(261)과 제 2 카메라 필터 부분(262) 중 하나가, 카메라부(210)의 전단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 1 광원부(220)의 의한 촬영시에는 제 1 카메라 필터 부분(261)이 카메라부(210)의 전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2 광원부(240)의 제 1 필터 모드 및 제 2 필터 모드의 촬영 시에는, 제 2 카메라 필터 부분(262)이 카메라부(210)의 전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70)는, 다양한 광원 모드에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 1 광원부(220), 제 2 광원부(240), 카메라부(210) 및 카메라 필터부(2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제어부(270)는, 피부 진단 장치(200)의 본체에 내장되지 않고,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외부 단말기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진단 장치(200)에 따르면, 백색광 환경에서의 피부의 관찰 시 촬영된 영상의 포화되는 부분을 억제할 수 있고, 평행 편광을 이용하여 주름 등의 현상을 더욱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00 : 피부 진단 장치
210 : 카메라부 220 : 제 1 광원부
230 : 제 1 광원부 탑재부 240 : 제 2 광원부
250 : 제 2 광원부 탑재부 260 : 카메라 필터부
270 : 제어부
221 : 제 1-1 광원부 222 : 제 1-2 광원부
223 : 제 1-3 광원부 224 : 제 1-4 광원부
241 : 제 2-1 광원부 242 : 제 2-2 광원부
243 : 제 2-3 광원부 244 : 제 2-4 광원부
261 : 제 1 카메라 필터 부분 262 : 제 2 카메라 필터 부분
S1 : 이마 받침대 S2 : 턱 받침대
C : 피부 진단 장치의 케이스 L : 발광소자

Claims (12)

  1. 피부 진단 장치에 있어서,
    피검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 주위에 상하좌우로 배치된 제 1 광원부; 및
    상기 제 1 광원부의 외부에 배치된 제 2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부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피검자의 얼굴 방향인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측면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부의 다수의 발광 소자는,
    피검자의 얼굴 방향인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측면 방향의 빈 공간으로 발광된 후, 상기 피부 진단 장치의 내부에 형성된 내벽에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좌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의 개수와 상기 카메라부의 우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의 개수는 동일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상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의 개수는 상기 카메라부의 좌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의 개수 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상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의 개수는 상기 카메라부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의 개수 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원부는,
    상기 카메라부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광원부의 상측에 배치된 제 2-1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하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광원부의 하측에 배치된 제 2-2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좌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광원부의 좌측에 배치된 제 2-3 광원부; 및
    상기 카메라부 우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광원부의 우측에 배치된 제 2-4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광원부, 제 2-2 광원부, 제 2-3 광원부 및 제 2-4 광원부는 각각,
    백색의 발광소자 및 백색의 발광소자의 전단에 배치된 편광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과 상기 제 2-2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은 서로 평행을 이루고,
    상기 제 2-3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과 상기 제 2-4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은 서로 평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진단 장치는,
    상기 제 2-1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후단에 배치된 발광소자 및 상기 제 2-2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후단에 배치된 발광소자가 발광하는 제 1 필터 모드; 및
    상기 제 2-3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후단에 배치된 발광소자 및 상기 제 2-4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후단에 배치된 발광소자가 발광하는 제 2 필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과 상기 제 2-3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은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피부 진단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모드 또는 상기 제 2 필터 모드에서,
    상기 카메라부의 전단에는 편광 필터가 배치되되, 상기 카메라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편광 필터는, 상기 제 2-1 광원부에 포함된 편광 필터의 축과 평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광원부 사이의 거리인 제 1 거리는,
    상기 제 1 광원부로부터 상기 피부 진단 장치 케이스의 내부 측벽까지의 거리인 제 2 거리의 ½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장치.
KR1020170093885A 2017-07-25 2017-07-25 피부 진단 장치 KR102010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85A KR102010487B1 (ko) 2017-07-25 2017-07-25 피부 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85A KR102010487B1 (ko) 2017-07-25 2017-07-25 피부 진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401A true KR20190011401A (ko) 2019-02-07
KR102010487B1 KR102010487B1 (ko) 2019-08-13

Family

ID=65366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885A KR102010487B1 (ko) 2017-07-25 2017-07-25 피부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48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830A (ko) * 2019-11-29 2021-06-08 문명일 얼굴 피부 진단기기 및 이를 이용하는 얼굴 피부 진단 방법
WO2021112329A1 (ko) * 2019-12-06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진단 기기
KR20220054144A (ko) * 2020-10-23 2022-05-02 파이 주식회사 백색광 균일도가 향상된 안면 피부 진단 장치
KR20220054145A (ko) * 2020-10-23 2022-05-02 파이 주식회사 다방향 광 조사 구조를 갖는 안면 피부 진단 장치
KR102413404B1 (ko) * 2021-01-12 2022-06-27 주식회사 룰루랩 피부 상태 분석 및 피부 질환 진단 디바이스
KR20220155077A (ko) * 2021-05-14 2022-11-22 피에스아이플러스 주식회사 피부 진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948A (ko) 2019-11-08 2021-05-18 주식회사 엠마헬스케어 접촉과 비접촉 방식으로 피부 상태를 진단하는 피부 진단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9706A (ja) * 2007-05-25 2008-12-04 Noritsu Koki Co Ltd 顔撮影装置
KR20090008893A (ko) * 2007-07-19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9706A (ja) * 2007-05-25 2008-12-04 Noritsu Koki Co Ltd 顔撮影装置
KR20090008893A (ko) * 2007-07-19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측정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830A (ko) * 2019-11-29 2021-06-08 문명일 얼굴 피부 진단기기 및 이를 이용하는 얼굴 피부 진단 방법
WO2021112329A1 (ko) * 2019-12-06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진단 기기
KR20220054144A (ko) * 2020-10-23 2022-05-02 파이 주식회사 백색광 균일도가 향상된 안면 피부 진단 장치
KR20220054145A (ko) * 2020-10-23 2022-05-02 파이 주식회사 다방향 광 조사 구조를 갖는 안면 피부 진단 장치
KR102413404B1 (ko) * 2021-01-12 2022-06-27 주식회사 룰루랩 피부 상태 분석 및 피부 질환 진단 디바이스
KR20220155077A (ko) * 2021-05-14 2022-11-22 피에스아이플러스 주식회사 피부 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487B1 (ko)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1401A (ko) 피부 진단 장치
WO2017185841A1 (zh) 显示装置和显示方法
CN111970953A (zh) 用于同时近红外光和可见光成像的系统和方法
CN108696695B (zh) 医疗用摄像装置
EA032105B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трехмерных объектов
ES2881340T3 (es) Dispositivo, método y sistema oftálmico
JP6888565B2 (ja) ダーモスコピー用撮像装置
JP6700703B2 (ja) 静脈可視化装置
KR101680252B1 (ko) 촬영이 가능한 3d 디스플레이 장치
WO2012105157A1 (ja) 立体画像撮影装置および内視鏡
US10511790B2 (en) Image capture device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WO2020144901A1 (ja) 内視鏡
CN110708445B (zh) 用于减少内部反射的摄像机外壳
JP2015515350A (ja) 3dカメラシステム
ES2965228T3 (es) Dispositivo para uso en el diagnóstico de la piel y del cuero cabelludo, y método para usar dicho dispositivo
JP2013252185A (ja) 内視鏡及び内視鏡装置
KR20220070563A (ko) 정반사 검출 및 저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S2660309T3 (es) Sistema de reproducción estereoscópica por transparencia
JP2017105431A (ja) 車両用撮影装置、及び、車両用撮影システム
US9714865B2 (en) Light condensing unit, light condensing method, and optical detection system
JPWO2019049193A1 (ja) 指紋認証用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指紋認証装置
JP2015029168A (ja) 電子ミラー装置
KR102550529B1 (ko) 피부 진단 장치
US20220313074A1 (en) Multipurpose ophthalmological measuring device
CN110383803A (zh) 补偿渐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