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973A - 패류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패류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973A
KR20190010973A KR1020170093297A KR20170093297A KR20190010973A KR 20190010973 A KR20190010973 A KR 20190010973A KR 1020170093297 A KR1020170093297 A KR 1020170093297A KR 20170093297 A KR20170093297 A KR 20170093297A KR 20190010973 A KR20190010973 A KR 20190010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rame
tidal
shellfish
tidal flat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090B1 (ko
Inventor
최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특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특장
Priority to KR102017009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0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02P60/6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류(貝類)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사방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고정틀(10); 상기 고정틀(10)의 전방에 구비되어 고정틀(10)을 갯벌용 차량에 연결할 때 갯벌용 차량으로부터 고정틀을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유지시키는 전방 연결대(60); 전방 선단부가 고정틀(10)의 하방으로 노출되게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상기 고정틀(10)의 내측 전방에 설치되는 갯벌 굴착부(20); 상기 갯벌 굴착부(20)의 후방에서 고정틀(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갯벌 굴착부(20)에서 굴착되어 이동된 갯벌에서 토양은 하부로 배출시키고 갯벌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패류(貝類)만 걸러내도록 거름망 구조로 이루어진 패류 선별부(30); 상기 고정틀(10)의 후방으로 일정 거리 돌출 설치된 후방 연결대(70)의 말단에서 좌우측으로 수평 설치된 바퀴축(55)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틀(10)을 지상에서 일정 높이 유지시키면서 갯벌용 차량에 연결된 고정틀(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패류 채취장치{An apparatus for collecting sellfish}
본 발명은 패류(貝類)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갯벌용 차량에 연결 설치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전방부분이 갯벌로 일정 깊이 박히면서 갯벌을 굴착하여 굴착된 토양을 장치 상부로 이동시켜 진동기에 의한 진동을 통해 갯벌은 하부로 배출하고 갯벌에서 분리된 패류만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패류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가 등의 갯벌에 서식하는 다양한 개체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직접 작업자가 갯벌에 들어가서 상체를 숙인 상태에서 갯벌 속에 서식하고 있는 각종 개체를 채취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작업자가 갯벌에 들어갈 경우 갯벌의 점착력과 갯벌의 깊이에 따라 그 움직임이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어 숙련자라 하더라도 갯벌에서의 작업은 매우 힘들고 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낮을 수 밖에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갯벌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다양한 수산물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갯벌속을 헤집으면서 필요한 개체를 채취할 수 밖에 없어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어 갯벌에서 생산되는 각종 수산물은 그 양이 적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쌀수 밖에 없어 소비자들이 갯벌에서 서식하는 각종 어패류의 구입에 많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갯벌에서 서식하는 다양한 수산물의 채취시 발생하는 작업환경의 어려움과 작업자의 노동력 증대 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밀판을 이용하여 밀판 위에 몸을 엎드린 상태로 올라타서 한 발로 갯벌을 밀치면서 밀판의 넓은 접지력을 이용하여 갯벌 위에서 밀판을 이동시키면서 좀 더 수월하게 갯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으나, 이 또한 작업자의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의 능률과 생산성이 떨어지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10-764893호(등록일:2007.10.01)의 ‘패류채취기’가 안출된 바 있다.
상기 ‘패류채취기’는 갈고리릍 통해 패류만을 수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분사노즐을 통해 고압수를 분사하여 갯벌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갯벌 속에 파묻힌 패류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패류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패류 채취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고압수를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고압수를 분사하기 위해 물을 획득하고, 압축하여 공급해야 하는 급수설비 및 장치가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실질적으로 드넓은 바닷가에서 실질적인 이용을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었다.
또 다른 종래의 실시예로, 특허등록 제10-932044호(등록일: 2009.12.07)의 ‘갯벌 썰매에 의한 패류 채취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상기 ‘갯벌 썰매에 의한 패류 채취장치’는 본체와, 채취핀이 갯벌 아래로 파고 들어가 패류를 채취하는 채취부와, 상기 채취부에서 채취된 패류를 이송수단에 의해 본체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무한궤도를 설치하고, 상기 무한궤도의 외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노를 장착하여 상기 노에 의하여 갯벌을 밀고 나아가는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
특히, 상기 이송부는 본체의 전면 상부로부터 갯벌바닥을 향해 아래로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본체와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채취부의 상단에 설치되고 채취부에서 채취한 패류를 모아주는 스크류 컨베이어와, 스크류 컨베이어 축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이송핀을 포함하는 제1이송부; 및 상기 제1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1이송부의 이송핀에 의하여 이송된 패류를 컨베이어 벨트로 본체로 이동시키는 제2이송부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패류 채취장치는 전체적으로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여러가지 운행과 관리의 문제점이 많이 발생될 수 있고, 본체 전방에 채취부가 위치하고 있어서 갯벌에서의 운행시 많은 저항력이 발생되어 그 이동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밖에 없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 특허등록 제10-764893호(등록일:2007.10.01, 발명의 명칭: 패류채취기) - 특허등록 제10-932044호(등록일: 2009.12.07, 발명의 명칭: 갯벌 썰매에 의한 패류 채취장치) - 실용신안등록 제20-309605호(등록일: 2003.03.24, 고안의 명칭: 무한궤도를 이용한 농산물과 어패류 수확장치) - 특허등록 제10-1359876호(등록일:2014.01.29, 발명의 명칭: 조개류 채취장비)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패류 채취장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치의 구성과 구조를 간략히 하여 장치의 사용 편리성 향상과 사후 유지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갯벌에서 서식하는 개체의 용이한 채취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작업자의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패류 채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기는 사방이 개방된 형태로 일정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틀; 상기 고정틀의 전방에 연결되어 고정틀을 차량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연결시키는 전방 연결대; 상기 고정틀의 내측 전방에서 전방 선단부가 고정틀의 하방으로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갯벌 굴착부; 상기 고정틀의 내측에서 갯벌 굴착부의 후방측 고정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갯벌 굴착부에서 굴착되어 이동된 굴착물을 고르게 펼쳐지도록 하면서 갯벌과 패류를 분리시키는 거름망 구조로 이루어진 패류 선별부; 상기 고정틀의 후방으로 일정 거리 돌출되도록 구비된 후방 연결대; 상기 고정틀의 후방으로 일정 거리 돌출 설치된 후방 연결대의 말단에서 좌우측으로 수평 설치된 바퀴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틀을 지상에서 일정 높이 유지시키면서 갯벌용 차량에 연결된 고정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고정틀의 좌우 양측면에는 고정틀 내부로 진입된 갯벌이 고정틀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측면가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틀의 후면에는 거름망 구조를 갖는 이탈방지막이 수직으로 더 구비되며, 상기 패류선별부 상면에는 공급된 전원에 의해 일정한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패류 선별부를 상하 및 전후좌우로 제한된 범위 이내에서 유동시키는 진동기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방 연결대 및 후방 연결대에는 고정틀의 높낮이 및 전후방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조절부재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갯벌 굴착부는 좌우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가로대와, 상기 복수개의 가로대에 일정 간격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얇은 판재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굴착판과, 상기 굴착판의 변형 및 훼손 방지를 위해 굴착판의 상단 모서리부에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는 막대형상의 보강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패류 선별부는, 상기 고정틀의 내측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직사각형 구조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갯벌 굴착부에 의해 굴착되어 이동된 갯벌 중 토양은 고정틀의 하부로 배출시키고 일정 크기 이상의 패류만 걸러지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일정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된 거름망과, 상기 고정프레임이 고정틀의 전후방향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는 경사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각 내측단에 경사받침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틀의 내측 저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거름망에 낙하된 갯벌의 신속한 분리를 위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일정 주기로 진동을 일으켜 상기 고정프레임에 유동을 가하도록 고정프레임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진동기와, 상기 진동기에 의해 고정프레임에 일정 주기의 진동이 발생될 경우 그 진동이 고정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완충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의 외측단 저부에 구비되는 한 개 이상의 완충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는 갯벌이나 지형이 무른 지역에서 차량에 연결 설치되어 갯벌을 일정 깊이 퍼 올려 거름망 구조의 패류 선별망을 통해 진흙이나 갯벌, 모래 등 토양을 털어낸 후에 필요한 개체만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하여 갯벌 등에서 수산물의 수확이 더욱 용이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갯벌 굴착부에서 퍼올려진 토사 등이 평판형 거름망 구조의 패류 선별부에 구비된 진동기의 동작에 따라 신속하게 갯벌과 패류가 분리되어 토양은 지상으로 낙하 배출되고 일정 크기 이상의 패류만 패류 선별부에 남아있게 되어 진흙이나 겟벌, 모래, 자갈과 같은 토양속에서 패류의 수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자의 노동력을 크게 절감하고, 수산물 채취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된 신축조절부재의 동작을 통해 고정틀의 높이 및 갯벌 굴착부의 기울기 등을 간편하게 조절 가능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는 갯벌의 환경조건에 따라 채취장치의 운행조건을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의 전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에서 갯벌 굴착부의 발췌도 및 일부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에서 패류 선별부의 발췌도,
도 7은 패류 선별부의 측면도,
도 8은 패류 선별부의 일부 분리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가 갯벌용 차량에 연결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는 갯벌에서 운행 가능한 차량(이하, ‘갯벌용 차량’이라 통칭함)에 연결되어 무동력방식으로 갯벌을 퍼올려 퍼 올린 갯벌을 진동에 의해 털어내면서 패류만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패류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갯벌’은 간척지나 해안가, 습지, 백사장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거나 점토보다 모래를 더 많이 함유하고 있어 지형이 무른 상태를 의미하는 총괄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패류(貝類)는 수중이나 물가, 갯벌, 습지 등에서 서식하고 있는 패각류(shelㅣfish) 동물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패류 채취장치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 중 ‘전방’은 갯벌용 차량에 연결되는 일측을 의미하고, ‘후방’은 바퀴가 설치되는 그 반대측을 의미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후방 사시도와 일 측면도 및 평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100)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사방이 개방된 형태로 일정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갯벌을 퍼올리고, 퍼 올려진 갯벌을 거름망을 통해 패류(貝類)와 분리시킬 수 있도록 망체구조로 이루어지는 고정틀(10)과, 상기 고정틀(10)의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틀(10)을 갯벌용 차량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방 연결대(60)와, 상기 고정틀(10)의 후방으로 일정 거리 돌출되도록 고정틀(10)의 후방에 구비되며 그 후단부에 좌우 수평하게 바퀴축(55)이 구비되어 양단에 바퀴(5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후방 연결대(7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좀 더 상술하면, 상기 고정틀(10)은 상하좌우가 모두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중량을 줄이고 구성을 단순화하기 위해 일정한 직경 또는 폭을 갖는 파이프를 상호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틀(10)의 내측 저부 전방에 복수개의 갯벌 굴착날(22)이 좌우 일정 간격 유지되게 고정 설치되는 갯벌굴착부(20)가 구성되고, 상기 개벌굴착부(20)의 후방으로 거름망 구조의 패류선별부(30)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갯벌굴착부(20)는 그 전방측이 고정틀(10)의 하단으로 노출되게 일정 기울기로 하향 경사진 구조로 설치되어 갯벌을 굴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갯벌의 굴착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갯벌 굴착날(22)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계속 이동하면서 굴착된 갯벌이 복수개의 갯벌 굴착날(22) 사이 및 상부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갯벌 굴착날(22)은 일정 기울기로 하향 경사진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갯벌 굴착부(20)의 후단측에는 패류 선별부(30)가 설치되는데, 상기 갯벌 굴착부(20)의 후단측은 패류선별부(30)의 전방 선단부보다 다소 높게 위치되어 갯벌 굴착부(20)에서 굴착된 갯벌이 갯벌 굴착날(22)의 후단에서 패류 선별부 (30)의 상면으로 낙하되면서 일정한 충격에 의해 점착성이 높은 갯벌이 퍼지거나 분산되도록 하여 갯벌과 함께 채취된 패류의 선별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갯벌 굴착부(20)는 복수개의 갯벌 굴착날(22)이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갯벌 굴착날(22)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면서 별도로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갯벌 굴착부(20)의 후방에 위치하는 패류 선별부(30)는 고정틀(10)의 내측 후단 저부에 거의 수평하게 설치되거나 전후방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패류 선별부(30)는 전체적으로 일정 크기의 관통공이 타공된 거름망 구조로 이루어져 굴착된 갯벌이 패류 선별부(30)의 상면 중심부에 구비된 진동기(35)의 진동에 의해 패류와 분리된 후에 고정틀 하부로 자연 낙하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류 선별부(30)의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별도로 후술한다.
한편, 상기 고정틀(10)의 전방 중심부에 설치되는 전방 연결대(60)는 패류 채취장치(100)를 갯벌용 차량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고정틀(10)의 전방측 높낮이를 조절하여 갯벌 굴착부(20)에 의한 갯벌의 굴착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전방 연결대(60)는 갯벌용 차량과 패류 채취장치(100) 간에 일정거리 이격시키면서 갯벌용 차량에 패류 채취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틀(10)의 전방에 일정 길이로 구성되는 차량 연결부재(62)와, 고정틀(10)의 전방 상부측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그 상단부가 차량 연결부재(62)가 구비된 전방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일정 높이 구성되는 기울기 조절부재(64)와, 상기 기울기 조절부재(64)의 상단부와 상기 차량 연결부재(62)의 전방측 상면 사이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고정부(66a,66b)로 결합되는 신축조절부재(65)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방 연결대(60)는 신축조절부재(65)의 신장시 신축조절부재의 하단부가 차량 연결부재(62)에 고정되어 있어서 차량과 연결된 차량 연결부재(62)는 그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그 상단부가 연결된 기울기 조절부재(64)쪽으로 추력이 작용하게 되고, 기울기 조절부재(64)에 작용된 추력은 기울기 조절부재(64)를 아래방향으로 내려 누르는 힘으로 작용하면서 고정틀(10)의 전방을 하향 이동시키게 되며, 고정틀(10)의 전방측이 하향 이동되면서 고정틀(10)의 내측 전방에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갯벌굴착부(20)가 지면을 향해 더 큰 기울기로 경사지게 위치되면서 갯벌 깊숙히 굴착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신축조절부재(65)가 수축하게 되면, 신축조절부재(65)의 상단(후단)에 연결된 기울기 조절부재(64)의 상단부가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고정틀(10)의 전방을 들어올리게 되고, 이로 인해 고정틀(10)의 내측 전방에 위치한 갯벌 굴착부(20) 역시 상향 이동되면서 지면에 대한 갯벌 굴착날(22)의 기울기가 완만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갯벌 굴착날(22)의 굴착깊이를 낮게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틀(10)의 후단에 설치된 후방 연결대(70)는 상기 전방 연결대(60)와 반대의 동작을 통해 고정틀(10)을 승강시키게 된다.
즉, 상기 후방 연결대(70)는 전방측 선단부가 고정틀(1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후단부에 바퀴축(55)이 좌우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바퀴축 연결부재(72)와, 상기 고정틀(10)의 후단 상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되 그 상단부가 고정틀(10)의 후방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설치되는 승강조절부재(74)와, 상기 승강조절부재(74)의 상단부와 상기 바퀴축 연결부재(72)의 후방 상면에 각각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일정 기울기로 설치되는 신축조절부재(75)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신축조절부재(75)의 신장시 바퀴(50)가 설치되는 바퀴축(55)과 연결된 바퀴축 연결부재(72)를 기준으로 고정틀(10)의 후방 상면에 구비된 승강조절부재(74)에 신축조절부재(75)의 추력이 작용하면서 고정틀(10)의 후방을 내려 누르는 가압력을 발생시켜 고정틀(10)의 높이를 하강시키게 되고, 반대로 상기 신축조절부재(75)의 수축시에는 승강조절부재(74)가 상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에 의해 고정틀(10)의 후방이 들려져 지면으로부터 고정틀(10)의 높이가 상승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물론, 상술한 전방 연결대(60)와 동시에 후방 연결대(70)를 작업자가 동시에 동작시켜 갯벌 굴착부(20)의 기울기 각도나 고정틀(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패류 채취 및 수확작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연결대(60) 및 후방 연결대(70)의 조작수단은 갯벌용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틀의 후면에는 다수개의 관통공(42)이 형성된 이탈방지막(40)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그 전방 패류 선별부(30)에 잔류하는 갯벌이 이동중에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관통공(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패류 선별부(30)에는 갯벌과 분리된 패류만 잔류하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방 연결대(60) 및 후방 연결대(70)의 신축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이나 동력발생수단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러한 신축조절부재의 동력전달수단이나 동력발생수단은 통상의 공지된 기술인 공기식 또는 유압식 장치를 이용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신축조절부재를 공기식 또는 유압식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관련 장치 및 시스템은 갯벌용 차량에 구비된 장치를 이용하여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갯벌용 차량에 별도로 동력발생장치를 설치하거나 또는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 구성 역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적용가능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한편, 도 5에는 상술한 갯벌 굴착부(20)의 구성을 발췌 도시하고 있으며, 복수개로 구성된 갯벌 굴착날(22)의 일부 분리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된 갯벌 굴착부(20)는 가로로 복수개의 가로대(21)가 일정 간격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각각의 가로대(21) 외측으로 복수개의 갯벌 굴착날(22)이 상호간에 일정간격 유지하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끼워져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가로대(21)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대(21)에 고정되는 갯벌 굴착날(22)은 두께가 비교적 얇은 판재형의 굴착판(22b)과, 상기 가로대(21)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굴착판(22b)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2c)과, 상기 가로대(21)에 관통공(22c)을 이용하여 끼움 결합된 판재형의 굴착판(22b)이 갯벌의 굴착시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굴착판(22b)의 상단모서리에서 굴착판(22b)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파이프형 보강대(22a)가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대(21)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판재형의 굴착판(22b)은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가로대(21)에 결합되며, 갯벌의 굴착시 갯벌 내부로 큰 저항 없이 진입 가능하도록 그 일측 선단부가 뽀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저면 테두리부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갯벌 내부로의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굴착판(22b)의 상단에 결합되는 파이프형 보강대(22a)는 굴착판(22b)의 두께보다 더 두껍거나 더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굴착판(22b)의 변형이나 훼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에는 상술한 갯벌 굴착부(20)의 후방에서 고정틀(10)의 내측 저부로 수평상태 또는 후방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그물망 구조의 패류 선별부(3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패류 선별부(30)는 그 전방에 위치한 갯벌 굴착부(20)에 의해 굴착되어 퍼 올려진 갯벌을 수용한 상태에서 진동에 의해 갯벌을 패류와 분리시킨 후에 분리된 갯벌은 그 하부로 낙하되도록 일정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된 거름망(34a)이 직사각형 구조의 고정프레임(34)에 의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4)의 중앙부에는 공급된 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35)가 설치되어 진동기(35)의 동작에 의해 고정프레임(34)이 유동되면서 거름망(34a) 위에 적재된 갯벌이 분산되면서 갯벌 속에 포함된 패류도 갯벌에서 분리되고, 패류에서 분리된 갯벌은 거름망(34a)의 관통공을 통해 지면으로 낙하되면서 패류만 거름망(34a) 상부에 잔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직사각형 구조의 고정프레임(34)을 고정틀(10)의 내측 저부에 안착되도록 고정프레임(34)의 좌우 양단 하부에 완충부재(32)가 구비된 지지대(31)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31)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외측단 저부에 완충부재(32)가 구비되고, 내측단에는 상기 고정프레임(34)이 후방으로 일정 기울기로 경사진 상태로 안착되도록 경사받침부(31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받침부(31a)는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더 높게 위치되어 고정프레임(34)의 후단이 하향 경사지게 안착되어 거름망에서 갯벌과 분리된 패류가 고정프레임(34)의 후방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1)의 외측단 저부에 구비되는 완충부재(32)는 고정틀(10)의 하부측 프레임에 안착되어 진동기(35)에 의해 고정프레임(34)에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고정프레임(34)의 진동이 고정틀(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진동기(35)에 발생되는 진동은 상기 고정프레임(34)을 상하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되어 거름망(34a) 위에 퍼 올려진 갯벌의 분리와 분산을 통해 갯벌 속에 포함된 패류가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100)가 갯벌용 차량(20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상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갯벌용 차량(200)에 연결되기 위해서, 패류 채취장치(100)의 전방에 구비된 전방 연결대(60)의 선단부를 갯벌용 차량에 구비된 연결구에 연결하고, 도면에는 생략되었지만 전방 연결대와 후방 연결대 측에 구비된 신축조절부재(65,75)에 동력을 공급하는 호스를 갯벌용 차량측에 구비된 동력발생장치에 연결하여 갯벌용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갯벌용 차량을 운행하면서 패류 채취장치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패류를 채취하는 지역의 지형적 특성에 따라 갯벌 굴착부(2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개설 굴착날이 갯벌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후방측 신출조절부재(75)의 조절을 통해 고정틀(10)의 높낮이도 함께 조절하면서 패류 채취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갯벌굴착부를 통해 패류 채취장치 내측으로 퍼 올려진 갯벌은 경사진 갯벌 굴착날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 후에 패류 선별부로 낙하된 후, 패류 선별부의 자체 진동에 의해 점성이 있는 상태로 뭉쳐 있는 갯벌이 분리되면서 토양은 거름망의 관통공을 통해 고정틀 하부로 배출되고 관통공보다 크기가 큰 패류만 패류선별부의 거름망에 남겨지게 되어 패류채취 및 수확인 이루어지도록 한다.
10 : 고정틀 12 : 측면가드
20 : 갯벌 굴착부 21 : 가로대
22 : 갯벌 굴착날 22a : 보강대
22b : 굴착판 22c : 관통공
30 : 패류 선별부 31 : 지지대
31a : 경사받침부 32 : 완충부재
32a : 고정볼트 34 : 고정프레임
34a : 거름망 35 : 진동기
40 : 이탈방지막 42 : 관통공
50 : 바퀴 55 : 바퀴축
60 : 전방 연결대 62 : 차량 연결부재
63 : 상하 회동부 64 : 기울기 조절부재
65 : 신축조절부재 66a,66b : 힌지고정부
70 : 후방 연결대 72 : 바퀴축 연결부재
74 : 승강조절부재 75 : 신축조절부재
100 : 패류 채취장치 200 : 갯벌용 차량

Claims (4)

  1. 일정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사방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고정틀(10);
    상기 고정틀(10)의 전방에 구비되어 고정틀(10)을 갯벌용 차량에 연결할 때 갯벌용 차량으로부터 고정틀을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유지시키는 전방 연결대(60);
    전방 선단부가 고정틀(10)의 하방으로 노출되게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상기 고정틀(10)의 내측 전방에 설치되는 갯벌 굴착부(20);
    상기 갯벌 굴착부(20)의 후방에서 고정틀(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갯벌 굴착부(20)에서 굴착되어 이동된 갯벌에서 토양은 하부로 배출시키고 갯벌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패류(貝類)만 걸러내도록 거름망 구조로 이루어진 패류 선별부(30);
    상기 고정틀(10)의 후방으로 일정 거리 돌출 설치된 후방 연결대(70)의 말단에서 좌우측으로 수평 설치된 바퀴축(55)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틀(10)을 지상에서 일정 높이 유지시키면서 갯벌용 차량에 연결된 고정틀(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채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10)의 좌우 양 측면에는 고정틀(10)의 내부로 진입된 갯벌이 고정틀(10)의 측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측면가드(12)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틀(10)의 후면에는 패류선별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지 않은 토양이 주행 중 배출되도록 거름망 구조를 갖는 이탈방지막(40)이 수직으로 더 구비되며,
    상기 전방 연결대(60) 및 후방 연결대(70)에는 고정틀(10)의 높낮이 조절과 갯벌 굴착부(20)의 굴착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신축조절부재(65,75)가 각각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채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갯벌 굴착부(20)는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좌우로 수평 설치된 복수개의 가로대(21)와,
    상기 복수개의 가로대(21) 외측으로 동시에 끼움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관통공(22c)이 형성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얇은 판재형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굴착판(22b)과,
    상기 굴착판(22b)의 변형 및 훼손 방지를 위해 굴착판의 상단 모서리부에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는 막대형상의 보강대(22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채취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류선별부(30)는,
    상기 고정틀(10)의 내측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일정 크기의 직사각형 구조의 고정프레임(34)과,
    상기 갯벌 굴착부(20)에 의해 굴착되어 이동된 갯벌 중 토양은 고정틀(10)의 하부로 배출시키고 일정 크기 이상의 패류만 걸러지도록 상기 고정프레임(34)의 내측에 구비되는 일정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된 거름망(34a)과,
    상기 고정프레임(34)이 고정틀(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는 경사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각 내측단에 경사받침부(31a)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틀의 내측 저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31)와,
    상기 거름망(34a)에 낙하된 갯벌의 신속한 분리를 위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일정 주기로 진동을 일으켜 상기 고정프레임(34)에 유동을 가하도록 고정프레임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진동기(35)와,
    상기 진동기에 의해 고정프레임에 일정 주기의 진동이 발생될 경우 그 진동이 고정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완충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의 외측단 저부에 구비되는 한 개 이상의 완충부재(32);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채취장치.
KR1020170093297A 2017-07-24 2017-07-24 패류 채취장치 KR10207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297A KR102077090B1 (ko) 2017-07-24 2017-07-24 패류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297A KR102077090B1 (ko) 2017-07-24 2017-07-24 패류 채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973A true KR20190010973A (ko) 2019-02-01
KR102077090B1 KR102077090B1 (ko) 2020-02-13

Family

ID=6536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297A KR102077090B1 (ko) 2017-07-24 2017-07-24 패류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0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225A (ko) 2019-10-28 2021-05-07 주식회사 인 회전 원통형 어패류 선별장치를 포함하는 어패류 채취장치
KR20210106636A (ko) 2020-02-21 2021-08-31 주식회사 인 이물질 분리가 용이한 연속형 조개류 채취장치
KR20230017627A (ko) 2021-07-28 2023-02-06 유한회사 거성 회전식 채취 블레이드를 활용한 어패류 채취장치
KR102568033B1 (ko) 2023-02-22 2023-08-18 설재규 갯벌 생물 채취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787Y1 (ko) * 2020-10-12 2023-04-25 장빈 패류 채취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034A (ja) * 1981-06-29 1983-01-11 Kawabe Nouken Sangyo Kk ストンピツカ−
KR200309605Y1 (ko) 2003-01-16 2003-04-08 이강진 무한궤도를 이용한 농산물과 어패류 수확장치
KR100764893B1 (ko) 2005-04-26 2007-10-09 김재호 패류채취기
KR100932044B1 (ko) 2008-03-28 2009-12-15 김동헌 갯벌 썰매에 의한 패류 채취장치
KR20120025665A (ko) * 2010-09-07 2012-03-16 강중환 형망어구
KR101359876B1 (ko) 2013-06-26 2014-02-13 황원하 조개류 채취장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034A (ja) * 1981-06-29 1983-01-11 Kawabe Nouken Sangyo Kk ストンピツカ−
KR200309605Y1 (ko) 2003-01-16 2003-04-08 이강진 무한궤도를 이용한 농산물과 어패류 수확장치
KR100764893B1 (ko) 2005-04-26 2007-10-09 김재호 패류채취기
KR100932044B1 (ko) 2008-03-28 2009-12-15 김동헌 갯벌 썰매에 의한 패류 채취장치
KR20120025665A (ko) * 2010-09-07 2012-03-16 강중환 형망어구
KR101359876B1 (ko) 2013-06-26 2014-02-13 황원하 조개류 채취장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225A (ko) 2019-10-28 2021-05-07 주식회사 인 회전 원통형 어패류 선별장치를 포함하는 어패류 채취장치
KR20210106636A (ko) 2020-02-21 2021-08-31 주식회사 인 이물질 분리가 용이한 연속형 조개류 채취장치
KR20230017627A (ko) 2021-07-28 2023-02-06 유한회사 거성 회전식 채취 블레이드를 활용한 어패류 채취장치
KR102568033B1 (ko) 2023-02-22 2023-08-18 설재규 갯벌 생물 채취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090B1 (ko)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0973A (ko) 패류 채취장치
CA1262639A (en) Padding machines
KR101359876B1 (ko) 조개류 채취장비
CN201629961U (zh) 残膜回收机
KR101771239B1 (ko) 비닐 회수 및 구근작물 수확기
CN104137670A (zh) 田间残膜回收机
JP2955706B1 (ja) 乗用型の貝類の採取機
JPH01190807A (ja) 砂浜清掃装置
CN109168367A (zh) 一种可分筛石块的新型深耕机及其使用方法
USRE34289E (en) Padding machines
CN210782341U (zh) 一种表土与草皮块收集设备
US10470353B2 (en) Rock collection and rock rowing device
CN210298553U (zh) 一种自走式川穹收获机
KR102279439B1 (ko) 경작지의 골 형성장치
KR102336088B1 (ko) 트랙터 장착용 구근 작물 수확 장치
KR20160035844A (ko) 선별 작업자 탑승형 땅속작물 수확기
CA2926833C (en) Rock collection and rock rowing device
CN114521382A (zh) 中药材联合收获机
CN102232330A (zh) 大蒜收获机
KR101421968B1 (ko) 굴취작물의 공급과 수집 중 후퇴를 방지하는 땅속작물의 수집장치
US1819092A (en) Soil treating mechanism
JPS5936978Y2 (ja) 掘取装置
KR102503121B1 (ko) 구근류 수확장치
CN216626654U (zh) 自行走一体化联合土豆收获机
CN218977755U (zh) 一种适用于多种蛤类的原位采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