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758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758A
KR20190010758A KR1020170091899A KR20170091899A KR20190010758A KR 20190010758 A KR20190010758 A KR 20190010758A KR 1020170091899 A KR1020170091899 A KR 1020170091899A KR 20170091899 A KR20170091899 A KR 20170091899A KR 20190010758 A KR20190010758 A KR 20190010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pensation
image data
prescaling
correct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513B1 (ko
Inventor
김재신
박승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1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513B1/ko
Priority to US15/917,475 priority patent/US10733702B2/en
Publication of KR2019001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07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interpolation, e.g. bilinear interpo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프리스케일링(pre-scaling) 데이터 및 보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프리스케일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보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2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 또는 제2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화소들에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프리스케일링 동작은 보상 동작이 수행되기 전에 수행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양극으로부터 제공되는 정공들과 음극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자들이 양극 및 음극 사이의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발광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면, 시야각이 넓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두께가 얇고, 전력소모가 낮은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구동 시간 및 구동 전류량에 상응하여 화소들이 열화될 수 있다. 화소들이 열화되는 경우, 화소들의 휘도가 저하되어 표시 품질이 낮아지거나 화면 잔상이 발생할 수 있다.
화소들의 열화를 보상함으로써 표시 품질을 높이기 위해 화소들의 구동량 또는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열화 보상량을 결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열화 보상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열화 보상을 위한 보상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비교적 큰 메모리가 필요하며, 표시 장치 구동 초기화 시, 보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보상 데이터를 로딩(loading)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프리스케일링(pre-scaling) 데이터 및 보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보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2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상기 화소들에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스케일링 동작은 상기 보상 동작이 수행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상 데이터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누적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상기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상기 보상 데이터의 평균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상기 보상 데이터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리스케일링 동작은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로서 프리스케일링 계수를 로딩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프리스케일링 계수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상 동작은 상기 보상 데이터로서 상기 화소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보상 계수들을 로딩하고, 상기 화소들의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보상 계수들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보상 계수들이 로딩되기 전까지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고, 상기 보상 계수들이 로딩된 후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 사이의 값으로 제3 보정 영상 데이터를 결정하는 천이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천이 영상은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프리스케일링 영상 및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보정 영상 사이에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3 보정 영상 데이터는 상기 천이 동작이 수행되는 천이 기간 동안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까지 점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보정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의 차이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천이 동작이 수행되는 천이 기간의 시간 길이는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리스케일링 동작은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로서 상기 화소들의 프리스케일링 화소군에 대한 복수의 프리스케일링 계수들을 로딩하고, 상기 프리스케일링 화소군의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프리스케일링 계수들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상 동작은 상기 보상 데이터로서 상기 화소들의 보상 화소군에 대한 복수의 보상 계수들을 로딩하고, 상기 보상 화소군의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보상 계수들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리스케일링 화소군에 포함된 상기 화소들의 제1 개수는 상기 보상 화소군에 포함된 상기 화소들의 제2 개수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는 상기 프리스케일링 화소군의 경계에서 상기 프리스케일링 계수들에 대한 보간(interpolation)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상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상기 갱신된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스케일링(pre-scaling) 데이터 및 보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프리스케일링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보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2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보상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상 데이터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누적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상기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상기 보상 데이터의 평균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 사이의 값으로 제3 보정 영상 데이터를 결정하는 천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천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이 영상은 상기 프리스케일링 영상 및 상기 보상 영상 사이에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3 보정 영상 데이터는 상기 천이 동작이 수행되는 천이 기간 동안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까지 점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보상 동작 수행하기 전에 표시 패널 전체에 대해 하나의 프리스케일링 계수를 이용하여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보상 데이터의 로딩(loading) 지연 또는 로딩 에러에 따른 플리커(flicker)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표시 장치의 초기화 시 부하를 감소시키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보상부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3b, 및 4는 도 2의 보상부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보상부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보상부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보상부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 패널 구동부, 및 비휘발성 메모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널 구동부는 스캔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제어부(400), 및 보상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1에서는 제어부(400) 내에 보상부(500)가 포함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상부(500)는 제어부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화소(PX)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을 통해 스캔 구동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n)을 통해 데이터 구동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 및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n)의 교차부마다 위치되는 n*m 개의 화소(PX)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200)는 제1 제어 신호(CTL1)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을 통해 복수의 화소(PX)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2 제어 신호(CTL2)에 기초하여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n)을 통해 복수의 화소(PX)들 각각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게이트 구동부(200) 및 데이터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외부(예를 들어, 시스템 보드)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IDATA) 및 제어 신호(CNT)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게이트 구동부(200) 및 데이터 구동부(300)를 각각 제어하기 위해 제1 및 제2 제어 신호들(CTL1 및 CTL2)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CTL1)는 수직 개시 신호, 게이트 클럭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CTL2)는 수평 개시 신호, 로드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보상부(500)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IDATA)로부터 변환된 출력 영상 데이터(ODATA)를 데이터 구동부(3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상부(500)는 출력 영상 데이터(ODATA)를 생성하기 위해 프리스케일링(pre-scaling)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대한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하거나,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대한 보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보상부(500)는 보상 동작 수행하기 전에 표시 패널 전체(또는 프리스케일링 화소군)에 대해 단일 프리스케일링 데이터(예를 들어, 프리스케일링 계수)를 이용하여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상 동작은 공정 편차에 의한 화소들 사이의 편차 보상, 화소들의 열화에 의한 열화 보상, 등과 같이 영상의 얼룩 또는 잔상을 개선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다. (이하, 보상 동작은 화소들의 열화 보상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프리스케일링 동작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를 로딩하여 화소들 전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조정하는 임시 보상 동작을 나타낸다. 따라서, 보상 데이터 로딩 시간으로 인해 보상 동작이 지연되더라도,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통해 패널 전체의 휘도를 조정함으로써 보상 데이터의 로딩(loading) 지연 또는 로딩 에러에 따른 플리커(flicker)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상부(5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 5,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비휘발성 메모리(600)에는 프리스케일링 데이터 및 보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표시 패널 전체(또는 프리스케일링 화소군)에 적용되는 프리스케일링 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 데이터는 공정 편차에 의한 화소들의 편차 및/또는 화소들의 열화에 의한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화소들 각각(또는 보상 화소군들 각각)에 적용되는 복수의 보상 계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스케일링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은 매우 작은 크기(예를 들어, 수 내지 수십 바이트)가 할당되며, 보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예를 들어, 수십 메가 바이트)가 할당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60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으며,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대용량을 저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60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AM(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RRAM(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0)는 보상 동작 수행하기 전에 표시 패널 전체에 대해 하나의 프리스케일링 계수를 이용하여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는 화소들 각각에 대한 세부 보상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표시 패널의 전체적인 휘도와 색좌표를 미리 조정함으로써 보상 데이터의 로딩 지연 또는 로딩 에러에 따른 플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보상부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휘발성 메모리(600A)는 프리스케일링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프리스케일링 계수 저장부(610), 보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보상 계수 저장부(620) 및 누적 데이터 저장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600A)는 휘발성 메모리(510)에 비해 속도가 느리므로, 표시 패널의 구동 시 보상 동작을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600A)에 직접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비휘발성 메모리(600A)로부터 보상 계수들(CF) 및 누적 데이터(AD)는 휘발성 메모리(510)에 로드되고, 휘발성 메모리(510)에 저장된 보상 계수들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IDATA)를 보상하거나, 누적 데이터 및 보상 계수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스케일링 계수 저장부(610)에는 프리스케일링 계수(PF)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스케일링 계수(PF)는 화소들의 보상 동작을 수행하기 전 전체 화소들에 대해 (또는 프리스케일링 화소군들 각각에 대해) 프리스케일링 동작(즉, 임시 보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프리스케일링 계수(PF)는 보상 계수(CF)들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리스케일링 계수(PF)는 보상 계수(CF)들의 평균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리스케일링 동작에 의한 프리스케일링 영상의 휘도는 보상 동작에 의한 보상 영상의 휘도와 유사하게 설정되므로, 플리커 현상이 효율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리스케일링 계수(PF)는 보상 계수(CF)들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프리스케일링 계수(PF)는 보상 계수(CF)들의 최대값을 갖는 경우, 프리스케일링 동작에 의한 프리스케일링 영상의 휘도는 상대적으로 작은 범위에서 조정되므로, 휘도 저하가 낮을 수 있다. 반면에, 프리스케일링 계수(PF)는 보상 계수(CF)들의 최소값을 갖는 경우, 프리스케일링 동작에 의한 프리스케일링 영상의 휘도는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되고, 보정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보상 계수 저장부(620)에는 보상 계수들(CF)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 계수들(CF)은 화소들 각각에 대해 (또는 보상 화소군들 각각에 대해) 화소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보상 계수들(CF)은 누적 데이터(AD)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누적 데이터(AD)와 보상 계수(CF)와의 관계를 저장하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누적 데이터(AD)에 대응하는 보상 계수(CF)가 도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누적 데이터(AD)와 보상 계수(CF)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 또는 수학식에 의해 누적 데이터(AD)로부터 보상 계수(CF)가 도출될 수 있다.
누적 데이터 저장부(630)에는 누적 데이터(AD)가 저장될 수 있다. 누적 데이터(AD)는 화소들 각각에 대한 (또는 보상 화소군들 각각에 대한) 입력 영상 데이터(IDATA)를 누적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누적 데이터 저장부(630)에 저장된 보상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 프리스케일링 계수 저장부(610)에 저장된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갱신된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갱신될 수 있다.
보상부(500A)는 휘발성 메모리(510),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A), 및 영상 데이터 출력부(530A)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510)에는 표시 장치의 초기화 동작 시 비휘발성 메모리(600A)로부터 보상 계수들(CF) 및 누적 데이터(AD)가 로딩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51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데이터를 보존할 수 없지만, 데이터를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51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모바일 D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이 구동되는 동안 휘발성 메모리(510)에 영상 데이터가 누적하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기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예를 들어, 1시간마다 주기적으로, 구동 종료 시, 등)에 휘발성 메모리(510)에 저장된 누적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상 계수 저장부(630) 및 누적 데이터 저장부(630)의 데이터가 갱신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A)는 보상 계수들(CF)이 로딩되기 전 프리스케일링 계수(PF)를 로딩함으로써 프리스케일링 계수(PF)에 기초하여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A)는 비휘발성 메모리(600A)로부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로서 프리스케일링 계수(PF)를 로딩하고, 모든 화소들에 대한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대해 프리스케일링 계수(PF)를 곱함으로써 제1 보정 영상 데이터(PDATA)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A)는 비휘발성 메모리(600A)로부터 프리스케일링 화소군들 각각에 대한 프리스케일링 계수(PF)들을 로딩하고, 프리스케일링 화소군들 각각에 대한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상응하는 프리스케일링 계수(PF)를 곱함으로써 제1 보정 영상 데이터(P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의 위치에 따라 보상 데이터의 차이가 큰 경우, 표시 패널에 포함된 화소들을 위치에 따라 복수의 프리스케일링 화소군들(예를 들어, 전체 화소들을 16개의 프리스케일링 화소군들)로 나누고, 각각에 대해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리스케일링 화소군의 경계에서 제1 보정 영상 데이터(PDATA)는 프리스케일링 계수들에 대한 보간(interpolation)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A)는 보상 계수들(CF)이 로딩된 후 보상 계수들(CF)에 기초하여 보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A)는 비휘발성 메모리(600A)로부터 보상 데이터로서 화소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보상 계수들(CF)을 로딩하고, 화소들의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각각에 대응하는 보상 계수들(CF)을 곱함으로써 제2 보정 영상 데이터(CDATA)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A)는 비휘발성 메모리(600A)로부터 보상 데이터로서 보상 화소군에 대한 복수의 보상 계수들(CF)을 로딩하고, 보상 화소군의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상응하는 보상 계수들(CF)을 곱함으로써 제2 보정 영상 데이터(C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개별 화소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는 경우, 보상 데이터의 크기가 매우 클 수 있으며, 이는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부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화소에 대한 보상 동작을 수행하는 대신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보상 화소군(예를 들어, 각 보상 화소군은 2*2 매트릭스의 총 4개 화소들을 포함)에 대한 보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크기 및 표시 장치의 로드를 줄일 수 있다. 각 프리스케일링 화소군에 포함된 화소들의 제1 개수(예를 들어, 1920*1080/16 = 129600개)는 각 보상 화소군에 포함된 화소들의 제2 개수(예를 들어, 2*2=4개)보다 클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출력부(530A)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 제1 보정 영상 데이터(PDATA), 및 제2 보정 영상 데이터(CDATA)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데이터(ODAT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스케일링 계수(PF)이 로딩된 후 보상 계수들(CF)이 로딩되기 전까지 제1 보정 영상 데이터(PDATA)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데이터(ODATA)가 출력될 수 있다. 보상 계수들(CF)이 로딩된 후 제2 보정 영상 데이터(CDATA)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데이터(ODATA)가 출력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600A)의 오류가 발생하는 등, 프리스케일링 계수(PF) 및 보상 계수들(CF)가 로딩되지 않는 경우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데이터(ODATA)가 출력될 수 있다.
도 3a, 3b, 및 4는 도 2의 보상부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 3b,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보상 동작 전에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보상 데이터의 로딩 지연으로 인해 발생하는 플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 실시예에서, 비교 표시 장치는 보상 데이터의 로딩이 지연됨에 따라 플리커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시점(TA1)에서 구동 타이밍(DT) 상 표시 장치에 전원 공급이 시작되고,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초기화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전원 공급부으로부터 전원을 수신하고, 초기 데이터를 로딩하는 동작과 같은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시점(TA2)에서 메모리 타이밍(MT) 상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보상 데이터의 로딩이 시작될 수 있다. 보상 데이터는 비교적 큰 크기(예를 들어, 약 24 mega byte)일 수 있으므로, 로딩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제3 시점(TA3)에서 초기화 동작들이 완료되고, 영상이 표시되기 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제3 시점(TA3)에서 보상 데이터의 로딩이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보상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제4 시점(TA4)에서 보상 타이밍(CT) 상 보상 데이터의 로딩이 완료되어 보상 동작을 수행하기 시작할 수 있다. 제4 시점(TA4)에서 갑작스럽게 보상 동작이 적용되면서 플리커가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만일, 플리커가 시인되지 않도록 데이터 로딩이 완료하기 전까지 영상 표시를 하지 않는 경우, 표시 장치의 전체 부팅 시간 또는 초기화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상 동작 전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시점(TB1)에서 구동 타이밍(DT) 상 표시 장치에 전원 공급이 시작되고,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초기화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시점(TB2)에서 메모리 타이밍(MT) 상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의 로딩이 시작될 수 있다.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작은 크기(예를 들어, 8 byte)일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에 로딩될 수 있다. 제3 시점(TB3)에서 프리스케일링 데이터의 로딩이 완료되고, 보상 타이밍(CT) 상 프리스케일링 동작이 시작할 수 있다. 제4 시점(TB4)에서 초기화 동작들이 완료되고, 영상이 표시되기 시작할 수 있다. 제4 시점(TB4)에서 보상 데이터의 로딩이 완료되지 않고 프리스케일링 동작이 지속적으로 수행되므로, 프리스케일링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5 시점(TB5)에서 보상 데이터의 로딩이 완료되어 보상 동작이 시작할 수 있다. 제5 시점(TB5)에서 프리스케일링 영상에서 보상 영상으로 변경되지만, 프리스케일링 동작은 임시 보상 동작으로써 보상 동작을 개략적으로 적용한 것이므로, 플리커가 사용자의 눈에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열화를 측정하기 위한 샘플 이미지 40장에 대해 3000시간 구동한 후, 백색 영상(full white image)를 표시하였다. 프리스케일링 동작 및 보상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표시 장치(LA)의 평균 휘도는 약 400nit가 측정되었다. 프리스케일링 동작이 수행된 표시 장치(LB)의 평균 휘도는 약 370.4nit가 측정되었다. 또한. 보상 동작이 수행된 표시 장치(LC)의 평균 휘도는 약 370.1nit가 측정되었다. 즉, 프리스케일링 동작이 수행된 표시 장치(LB)의 휘도와 보상 동작이 수행된 표시 장치(LC)의 휘도의 차이(즉, 370.4nit - 370.1nit = 0.3nit)는 프리스케일링 동작 및 보상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표시 장치(LA)의 휘도와 보상 동작이 수행된 표시 장치(LC)의 휘도의 차이(400nit - 370.1nit = 29.9nit)보다 월등히 작다. 플리커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FMA(Flicker Modulation Amplitude) 값은 비교 표시 장치에서 0.075%임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0.001%로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여기서, FMA은 [수학식 1]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FMA = (MAX_LUM - MIN_LUM) / MAX_LUM
여기서, MAX_LUM은 휘도의 최대값, MIN_LUM은 휘도의 최소값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보상부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휘발성 메모리(600B)는 프리스케일링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프리스케일링 계수 저장부(610), 보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보상 계수 저장부(620) 및 누적 데이터 저장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부(500B)는 휘발성 메모리(510),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B), 및 영상 데이터 출력부(53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보상부(500B) 및 비휘발성 메모리(600B)는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B)가 천이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2의 보상부(500A) 및 비휘발성 메모리(6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B)는 보상 계수들(CF)이 로딩되기 전 프리스케일링 계수(PF)를 로딩함으로써 프리스케일링 계수(PF)에 기초하여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B)는 보상 계수들(CF)이 로딩된 이후 천이 기간 동안 천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천이 동작은 프리스케일링 동작에 의한 프리스케일링 영상과 보상 동작에 의한 보상 영상의 중간 단계의 천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다. 즉, 프리스케일링 영상과 보상 영상의 차이가 비교적 큰 경우, 프리스케일링 동작에도 불구하고, 플리커가 사용자에게 인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천이 동작에 의해 프리스케일링 영상으로부터 보상 영상까지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천이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플리커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B)는 천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1 보정 영상 데이터(PDATA) 및 제2 보정 영상 데이터(CDATA) 사이의 값으로 제3 보정 영상 데이터(TDATA)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보정 영상 데이터(TDATA)는 천이 동작이 수행되는 천이 기간 동안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로(PDATA)부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CDATA)까지 점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보정 영상 데이터(TDATA)는 [수학식 2]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TDATA = PDATA + K(CDATA - PDATA)
여기서, TDATA는 제3 보정 영상 데이터, PDATA는 제1 보정 영상 데이터, CDATA는 제2 보정 영상 데이터, K는 0부터 1까지 변화되는 변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K는 제1 시간 간격으로 0부터 1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시간 간격은 고정된 간격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시간 간격은 제2 보정 영상 데이터와 제1 보정 영상 데이터의 차이(즉, CDATA - PDATA)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정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의 차이가 증가함에 따라 천이 동작이 수행되는 천이 기간의 시간 길이는 증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B)는 천이 기간이 종료된 후 보상 계수들(CF)에 기초하여 보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출력부(530B)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 제1 보정 영상 데이터(PDATA), 제2 보정 영상 데이터(CDATA), 및 제3 보정 영상 데이터(TDATA)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데이터(ODAT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스케일링 계수(PF)이 로딩된 후 보상 계수들(CF)이 로딩되기 전까지 제1 보정 영상 데이터(PDATA)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데이터(ODATA)가 출력될 수 있다. 보상 계수들(CF)이 로딩된 후 천이 기간 동안 제3 보정 영상 데이터(TDATA)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데이터(ODATA)가 출력될 수 있다. 천이 기간이 종료된 후 제2 보정 영상 데이터(CDATA)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데이터(ODATA)가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보상부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프리스케일링 동작에 따른 프리스케일링 영상을 표시하고, 프리스케일링 영상과 보상 영상 사이에 천이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보상 데이터의 로딩 지연으로 인해 발생하는 플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시점(TC)에서 구동 타이밍(DT) 상 표시 장치에 전원 공급이 시작되고,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초기화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시점(TC2)에서 메모리 타이밍(MT) 상 프리스케일링 데이터의 로딩이 시작될 수 있다.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비교적 작은 크기(예를 들어, 8 byte)일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에 로딩될 수 있다. 제3 시점(TC3)에서 프리스케일링 데이터의 로딩이 완료되고, 프리스케일링 동작이 시작할 수 있다. 제4 시점(TC4)에서 초기화 동작들이 완료되고, 영상이 표시되기 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제4 시점(TC4)에서 보상 데이터의 로딩이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프리스케일링 동작이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프리스케일링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5 시점(TC5)에서 보상 데이터의 로딩이 완료되고, 천이 기간 동안 천이 동작이 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이 기간 동안 프리스케일링 영상으로부터 보상 영상으로 점진적으로 변하는 천이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프리스케일링 영상과 보상 영상의 차이에 따라 천이 영상의 변화 속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플리커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제6 시점(TC6)에서 천이 구간이 종료되고 천이 영상에서 보상 영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보상부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비휘발성 메모리(600C)는 프리스케일링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프리스케일링 데이터 저장부(640) 및 보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보상 데이터 저장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부(500C)는 휘발성 메모리(510),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C), 영상 데이터 출력부(530C), 및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LUT) (5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보상부(500C) 및 비휘발성 메모리(600C)는 비휘발성 메모리(600C)가 프리스케일링 데이터 및 보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상부(500C)에 LUT(540)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면, 도 2의 보상부(500A) 및 비휘발성 메모리(6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리스케일링 데이터 저장부(640)에는 프리스케일링 데이터(PD)가 저장될 수 있다.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프리스케일링 계수 및 프리스케일링 누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스케일링 누적 데이터는 누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리스케일링 누적 데이터는 누적 데이터의 평균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리스케일링 누적 데이터는 누적 데이터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상 데이터 저장부(650)에는 보상 데이터(CD)가 저장될 수 있다. 보상 데이터는 편차 보정 파라메터, 보상 계수, 및 누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C)는 보상 데이터(CD)가 로딩되기 전 프리스케일링 데이터(PD)를 로딩함으로써 프리스케일링 데이터(PD)에 기초하여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C)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대해 비휘발성 메모리(600C)로부터 로드된 프리스케일링 계수를 곱함으로써 제1 보정 영상 데이터(PDATA)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C)는 LUT를 이용하여 비휘발성 메모리(600C)로부터 로드된 프리스케일링 누적 데이터를 프리스케일링 계수로 변환하고,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대해 프리스케일링 계수를 곱함으로써 제1 보정 영상 데이터(PDATA)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C)는 보상 데이터(CD)가 로딩된 후 보상 데이터(CD)에 기초하여 보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C)는 비휘발성 메모리(600C)로부터 보상 데이터로서 화소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보상 계수들을 로딩하고, 화소들의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각각에 대응하는 보상 계수들을 곱함으로써 제2 보정 영상 데이터(CDATA)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보상부(520C)는 LUT를 이용하여 비휘발성 메모리(600C)로부터 로딩된 누적 데이터를 보상 계수들로 변환하고, 화소들의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각각에 대응하는 보상 계수를 곱함으로써 제2 보정 영상 데이터(CDATA)를 생성할 수 있다.
LUT(540)에는 누적 데이터와 계수(즉, 프리스케일링 계수 또는 보상 계수)와의 관계가 저장될 수 있다. 즉,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위해 LUT를 이용하여 프리스케일링 누적 데이터가 프리스케일링 계수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보상 동작을 위해 LUT를 이용하여 누적 데이터가 보상 계수로 변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표시 장치의 초기화 동작이 수행(S100)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전원 공급부으로부터 전원을 수신하고, 초기 데이터를 로딩하는 동작과 같은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프리스케일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보정 영상 데이터가 생성(S200)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리스케일링 동작은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로서 프리스케일링 계수를 로딩하고, 모든 화소들의 입력 영상 데이터에 단일 프리스케일링 계수를 적용함으로써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리스케일링 동작은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로서 화소들의 프리스케일링 화소군에 대한 복수의 프리스케일링 계수들을 로딩하고, 프리스케일링 화소군의 입력 영상 데이터에 프리스케일링 계수들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 데이터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누적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보상 데이터의 평균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상 계수들이 로딩되기 전까지 제1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프리스케일링 영상이 표시(S300)될 수 있다.
보상 데이터의 로딩이 완료된 경우,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보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2 보정 영상 데이터가 생성(S600)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 동작은 보상 데이터로서 화소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보상 계수들을 로딩하고, 화소들의 입력 영상 데이터에 보상 계수들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제2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상 동작은 보상 데이터로서 화소들의 보상 화소군에 대한 복수의 보상 계수들을 로딩하고, 보상 화소군의 입력 영상 데이터에 보상 계수들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제2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보상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보상 영상이 표시(S700)될 수 있다. 따라서, 보상 데이터의 로딩이 지연에도 불구하고, 프리스케일링 영상으로부터 보상 영상으로 변경되므로, 플리커 현상을 줄이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리스케일링 동작 및 보상 동작 사이에 천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플리커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천이 영상을 표시(S500, S600)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8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표시 장치의 초기화 동작이 수행(S100)될 수 있다.
프리스케일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보정 영상 데이터가 생성(S200)될 수 있다.
보상 계수들이 로딩되기 전까지 제1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프리스케일링 영상이 표시(S300)될 수 있다.
천이 기간 동안 프리스케일링 영상으로부터 보상 영상으로 점진적으로 변하도록 천이 동작이 수행(S400)될 수 있다. 천이 영상에 상응하는 제3 보정 영상 데이터는 제1 보정 영상 데이터 및 제2 보정 영상 데이터 사이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보정 영상 데이터는 천이 동작이 수행되는 천이 기간 동안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까지 점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천이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상 계수들이 로딩된 후 천이 기간 동안 제3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천이 영상이 표시(S500)될 수 있다.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보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2 보정 영상 데이터가 생성(S600)될 수 있다.
천이 기간이 종료된 후, 제2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보상 영상이 표시(S700)될 수 있다.
비록,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보상부가 누적 데이터를 이용한 열화 보상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화소들 간의 광학 센서로부터 도출된 편차 보정 파라메터들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고, 보상부는 편차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편차 보정 파라메터들을 로딩하기 전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표시 장치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캠코더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스캔 구동부
300: 데이터 구동부 400: 제어부
500, 500A, 500B, 500C: 보상부 510: 휘발성 메모리
520A, 520B, 520C: 영상 데이터 보상부
530A, 530B, 530C: 영상 데이터 출력부
600: 비휘발성 메모리 610: 프리스케일링 계수 저장부
620: 보상 계수 저장부 630: 누적 데이터 저장부
640: 프리스케일링 데이터 저장부 650: 보상 데이터 저장부
1000: 표시 장치

Claims (20)

  1.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프리스케일링(pre-scaling) 데이터 및 보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보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2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상기 화소들에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스케일링 동작은 상기 보상 동작이 수행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데이터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누적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상기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상기 보상 데이터의 평균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상기 보상 데이터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케일링 동작은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로서 프리스케일링 계수를 로딩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프리스케일링 계수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동작은 상기 보상 데이터로서 상기 화소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보상 계수들을 로딩하고, 상기 화소들의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보상 계수들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보상 계수들이 로딩되기 전까지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고, 상기 보상 계수들이 로딩된 후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 사이의 값으로 제3 보정 영상 데이터를 결정하는 천이 동작을 더 수행하고,
    상기 제3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천이 영상은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프리스케일링 영상 및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보정 영상 사이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정 영상 데이터는 상기 천이 동작이 수행되는 천이 기간 동안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까지 점진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제1 보정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의 차이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천이 동작이 수행되는 천이 기간의 시간 길이는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케일링 동작은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로서 상기 화소들의 프리스케일링 화소군에 대한 복수의 프리스케일링 계수들을 로딩하고, 상기 프리스케일링 화소군의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프리스케일링 계수들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동작은 상기 보상 데이터로서 상기 화소들의 보상 화소군에 대한 복수의 보상 계수들을 로딩하고, 상기 보상 화소군의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보상 계수들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케일링 화소군에 포함된 상기 화소들의 제1 개수는 상기 보상 화소군에 포함된 상기 화소들의 제2 개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는 상기 프리스케일링 화소군의 경계에서 상기 프리스케일링 계수들에 대한 보간(interpolation)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상기 갱신된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프리스케일링(pre-scaling) 데이터 및 보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프리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프리스케일링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보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2 보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보상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데이터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누적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상기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케일링 데이터는 상기 보상 데이터의 평균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 사이의 값으로 제3 보정 영상 데이터를 결정하는 천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보정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천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이 영상은 상기 프리스케일링 영상 및 상기 보상 영상 사이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정 영상 데이터는 상기 천이 동작이 수행되는 천이 기간 동안 상기 제1 보정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보정 영상 데이터까지 점진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70091899A 2017-07-20 2017-07-20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323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899A KR102323513B1 (ko) 2017-07-20 2017-07-20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5/917,475 US10733702B2 (en) 2017-07-20 2018-03-09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899A KR102323513B1 (ko) 2017-07-20 2017-07-20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758A true KR20190010758A (ko) 2019-01-31
KR102323513B1 KR102323513B1 (ko) 2021-11-08

Family

ID=6502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899A KR102323513B1 (ko) 2017-07-20 2017-07-20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33702B2 (ko)
KR (1) KR1023235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9329A (ja) * 2005-08-09 2007-02-22 Seiko Epson Corp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40028860A (ko) * 2012-08-31 2014-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마 보정 커브 생성 방법, 감마 보정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80214A (ko) * 2013-12-31 2015-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0627B2 (ja) * 2004-10-04 2009-07-0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素子駆動装置及びその表示素子駆動装置を備えた表示装置並びに表示素子駆動方法
KR20060055940A (ko) * 2004-11-19 2006-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를 포함하는 ccd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입력장치 및 화상입력방법
KR100839504B1 (ko) * 2007-02-23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디코딩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디코더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KR101328787B1 (ko) * 2010-05-07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871195B1 (ko) 2011-02-17 2018-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화 보상부, 이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
KR101544069B1 (ko) * 2012-08-07 2015-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JP6186184B2 (ja) * 2013-06-21 2017-08-23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2112325B1 (ko) 2014-01-08 2020-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228556B1 (ko) 2014-12-30 2021-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180295375A1 (en) * 2017-04-05 2018-10-11 Lyrical Labs Video Compression Technology, LLC Video processing and encod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9329A (ja) * 2005-08-09 2007-02-22 Seiko Epson Corp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40028860A (ko) * 2012-08-31 2014-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마 보정 커브 생성 방법, 감마 보정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80214A (ko) * 2013-12-31 2015-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33702B2 (en) 2020-08-04
US20190026861A1 (en) 2019-01-24
KR102323513B1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0323B (zh) 一種顯示裝置以及用於顯示裝置之畫素補償模組及畫素補償方法
JP6735564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JP6657164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200134584A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360828B2 (en) Application proces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47670B1 (ko) 열화 보상 장치,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110301000B (zh) 用于显示装置的亮度不均补偿的方法及相应的显示装置
US11087687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KR102119775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10243593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60059021A (ko)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9949750B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20190156737A1 (en) Display Degradation Compensation
WO20150926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on of non-uniformities in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s
CN114694584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10078716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210022824A (ko) 데이터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078839A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JP200729333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チャネル干渉補償方法及びデータ信号駆動制御装置
KR102323513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4872213B2 (ja) 焼き付き情報の保存方法、焼き付き情報の復元方法、焼き付き情報保存装置、焼き付き情報復元装置、自発光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79308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102666134B1 (ko) 표시 장치
JP2006201629A (ja) 焼き付き現象補正方法、自発光装置、焼き付き現象補正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922869B2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