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479A - 글로브 박스 - Google Patents

글로브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479A
KR20190010479A KR1020180084440A KR20180084440A KR20190010479A KR 20190010479 A KR20190010479 A KR 20190010479A KR 1020180084440 A KR1020180084440 A KR 1020180084440A KR 20180084440 A KR20180084440 A KR 20180084440A KR 20190010479 A KR20190010479 A KR 20190010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ousing
locking clip
cover
actu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4588B1 (ko
Inventor
크리스티앙 베르타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01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글로브 박스(10)는 하우징(11)을 포함하고, 하우징(11)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고, 하우징(11)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저장 트레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12)를 포함하며, 그리고 커버(12)와 하우징(11)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하거나 커버(12)와 하우징(11)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는 록킹 유닛(13)을 포함한다. 록킹 유닛(13)은, 하우징(11) 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 록킹 클립(14)을 포함하고, 록킹 클립(14)의 자유 단부(18)는 커버(12)의 록킹 요소(19)와 상호작용한다. 록킹 유닛(13)은, 록킹 클립(14)을 위한, 하우징(11)에 장착된, 작동 요소(20)를 포함하고, 작동 요소(20)는 제1 상태에서 록킹 클립(14)을 언록킹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리고, 작동 요소(20)의 제2 상태에서, 록킹 클립(14)은 록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록킹 유닛(13)은, 작동 요소(20)를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요소(20)용 활성화 요소(2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글로브 박스{GLOVE COMPARTMENT}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DE 20 2015 100 607 U1은 모터 차량의 글로브 박스를 개시한다. 글로브 박스는 저장 트레이 및 커버를 갖는다. 커버가 개방될 때, 저장 트레이에 접근할 수 있다. 커버가 폐쇄될 때, 저장 트레이에 접근할 수 없다. 커버를 위한 록킹 유닛이 저장 트레이 상에 제공된다. 록킹 유닛은 커버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그 이동을 방지한다. 전기 구동 연결부가 연결 요소를 통해서 록킹 유닛과 상호 작용하고, 록킹 유닛은 구동 장치의 작동에 의해서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커버의, 소형 설계와 함께, 신뢰 가능하게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제1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글로브 박스에 의해서 달성된다. 록킹 유닛은, 하우징 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 록킹 클립을 포함하고, 그 자유 단부는 커버의 록킹 요소와 상호작용한다. 또한, 록킹 유닛은, 록킹 클립을 위한, 하우징에 장착된, 작동 요소를 포함하고, 작동 요소는 제1 상태에서 록킹 클립을 언록킹 위치(unlocking position)로 이동시키고, 그리고, 작동 요소의 제2 상태에서, 록킹 클립은 록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록킹 유닛은, 작동 요소를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요소용 활성화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경우에, 록킹 클립 및 록킹 클립용 작동 요소 모두가 하우징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작동 요소는 활성화 요소를 통해서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작동 요소의 제1 상태에서, 작동 요소는 록킹 클립을 자신의 언록킹 위치로 이동시킨다. 작동 요소의 제2 상태에서, 록킹 클립은 자신의 록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록킹 클립의 자유 단부는 커버의 록킹 요소와 상호작용하고, 록킹 클립이 록킹 위치로 이동된 때, 커버가 폐쇄되는 경우에, 록킹 클립의 자유 단부는, 커버가 하우징에 대해서 변위(shift)될 수 없는 방식으로, 커버의 록킹 요소를 록킹한다. 대조적으로, 록킹 클립이 언록킹 위치를 취하는 때, 록킹 클립의 자유 단부가 커버의 록킹 요소를 해제하고, 그에 따라 이어서 커버가 하우징에 대해서 변위될 수 있다.
록킹 유닛의 모든 조립체가 하우징에 장착되거나 그에 체결된다. 그에 의해서, 커버가 특히 단순하게 실현될 수 있고; 특히 커버는 소형 설계로 실현될 수 있으며, 글로브 박스는 더 신뢰 가능하게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록킹 클립은 바람직하게, 평행하게 연장되고 자유 단부를 형성하는 2개의 가지부를 가지고 연결 가지부를 가지는 U-형상의 설계이고, 록킹 클립은 하우징 상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자신의 가지부를 통해서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글로브 박스의 하우징 상에 관절형 방식으로 결합되는 그러한 클립에서, 글로브 박스가 커버의 소형 설계로 신뢰 가능하게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에 따라, 작동 요소는 하우징의 후방측에 결합되고 록킹 클립의 연결 가지부에 작용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개발은 또한 커버의 소형 설계로 글로브 박스를 신뢰 가능하게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작동 요소는 바람직하게 작동 부분을 가지고, 작동 요소의 제1 상태에서, 그 작동 부분은,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반대되는 제1 방향으로 록킹 클립의 연결 가지부를 가압하는 작동 부분에 의해서, 록킹 클립을 언록킹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에 의해서 제1 방향으로 록킹 클립을 피봇시키며, 작동 요소의 제2 상태에서, 록킹 클립은, 록킹 클립의 연결 가지부를 해제하는 작동 부분 및 연결 가지부를 제2 방향으로 가압하고 그에 의해서 록킹 클립을 제2 방향으로 피봇시키는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록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세 부분은 또한, 특히 글로브 박스의 커버의 소형 설계로, 글로브 박스를 신뢰 가능하게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라, 록킹 클립의 자유 단부는 구체적으로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커버의 록킹 요소의 방향으로 하우징 내의 개구부에 침투한다. 본 발명의 제2의 대안적인 변형예에 따라, 록킹 클립의 자유 단부는 하우징에 의해서 은폐되고,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커버의 록킹 요소는 록킹 클립의 자유 단부의 방향으로 하우징 내의 개구부에 침투한다.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서, 록킹 클립의 자유 단부는, 커버가 개방될 때, 하우징에 의해서 은폐되고, 그에 따라 보이지 않는다.
활성화 요소가 전기 모터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발이 종속항 및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도면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폐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글로브 박스의 후방부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후방부로부터 도 1의 글로브 박스의 상세 부분을 도시한다.
도 3은 글로브 박스의 개방 상태에서 도 2의 상세 부분을 도시한다.
도 4는 아래로부터 비스듬하게 도 3의 상세 부분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글로브 박스의 추가적인 상세 부분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글로브 박스의 추가적인 상세 부분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글로브 박스의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글로브 박스의 커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글로브 박스의 록킹 클립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글로브 박스의 작동 요소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글로브 박스의 스프링 요소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8의 커버의 상세 부분을 도시한다.
도 13은 클립과 함께 도 7의 하우징의 상세 부분을 도시한다.
도 14는 폐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글로브 박스의 상세 부분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모터 차량의 전방 승객 측의 모터 차량의 대시보드 내에 전형적으로 설치되는 바와 같은, 모터 차량용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상세 부분을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상세 부분을 도시한다.
도 1은 폐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10)를 도시하고, 글로브 박스(10)는 하우징(11) 및 그러한 하우징(11)에 대해서 변위될 수 있는 커버(12)를 갖는다. 글로브 박스(10)는 전형적으로 모터 차량의 대시보드 내에서, 특히 대시보드의 전방 승객 측에서 하우징(11)을 통해서 정착되고, 커버(12)는 하우징(11)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고, 커버(12)는, 하우징(11)에 대한 자신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글로브 박스(10)의 저장 트레이(도 1 내지 도 6에 미도시)를 개방하거나 저장 트레이를 폐쇄한다.
글로브 박스(10)는, 하우징(11)에 대한 커버(12)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하거나 하우징(11)에 대한 커버(12)의 그러한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는 록킹 유닛(13)을 더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10)의 록킹 유닛(13)은, 하우징(11) 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록킹 클립(14)을 포함한다.
록킹 클립(14)은 실질적으로 U-형상 설계이고, 록킹 클립(1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연결 가지부(16)를 통해서 일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2개의 가지부(15)를 갖는다.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가지부(15)를 통해서, 록킹 클립(14)은, 구체적으로 가지부(15)에 수직으로 그리고 연결 가지부(16)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피봇 축(17)을 중심으로, 하우징(11) 상에서 피봇 가능하게 또는 틸팅 가능하게 장착된다.
록킹 클립(14)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지부(15)의 자유 단부(18)에서, 자유 단부(18)는, 커버(12)의 록킹 요소(19)와 상호작용하는 후크-유사 요소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클립(14)의 자유 단부(18)가 커버(12)의 록킹 요소(19) 주위에 결합되는 때, 록킹 클립(14)은 커버(12)를 하우징(11)에 록킹하고 커버(12)와 하우징(11)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한다. 대조적으로, 록킹 클립(14)의 가지부(15)의 자유 단부(18)가 커버(12)의 록킹 요소(19)를 둘러싸지 않을 때, 그러한 자유 단부는 하우징(11)에 대한 커버(12)의 상대적인 이동을 해제한다.
하우징(11) 상에 관절화된 방식으로 장착되는 록킹 클립(14)에 더하여, 록킹 유닛(13)은, 마찬가지로 하우징(11)에 장착되는 작동 요소(20)를 포함한다. 또한, 활성화 요소(22), 작동 부분(24) 및 스프링 요소(21)가 록킹 유닛에 포함된다.
작동 요소(20)는 2개의 상태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작동 요소(20)는, 스프링 요소(21)와 협력하여, 록킹 클립(14)을 록킹 위치로 또는 언록킹 위치로 이동시킨다.
작동 요소(20)가 제1 상태(도 3 참조)를 취할 때, 록킹 클립(14)은 언록킹 위치로 이동된다. 대조적으로, 작동 요소(20)가 제2 상태(도 1, 도 2 및 도4 참조)를 취할 때, 록킹 클립(14)은 록킹 위치로 이동된다.
록킹 클립(14) 및 작동 요소(20)에 더하여, 록킹 유닛(13)은, 작동 요소(20)를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그에 따라 록킹 클립(14)을 언록킹 위치와 록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활성화 요소(22)를 갖는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활성화 요소(22)는 전기 모터로서 설계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록킹 유닛(13)의 작동 요소(20)가 하우징(11) 상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작동 요소(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11)의 후방 측 상에 장착된다. 작동 요소(20)는 여기에서 활성화 요소(22)를 통해서 록킹 클립(14)의 연결 가지부(16)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2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작동 요소(20)가 활성화 요소(22)에 의해서 제1 상태(도 3 참조)로 이동되었을 때, 작동 요소(20)의 작동 부분(24)은 록킹 클립(14)의 연결 가지부(16)에 대해서 놓이고 록킹 클립(14)의 연결 가지부(16)를 피봇 축(17)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하향 가압하며, 그에 따라 록킹 클립(14)의 가지부(15)의 자유 단부(18)가 상향 이동되고 커버(12)의 록킹 요소(19)와 결합되지 않고, 그에 따라 자유 단부는 하우징(11)에 대한 커버(12)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한다. 작동 요소(20)의 작동 부분(14)은 스프링 요소(21)의 스프링력에 반대로 록킹 클립(14)의 연결 가지부(16)를 언록킹 위치로 하향 가압한다.
작동 요소(20)가 활성화 요소(22)를 통해서 도 3의 제1 상태와 관련하여 180°만큼 도 1, 도 2 및 도 4의 제2 상태로 회전될 때, 작동 요소(20)의 작동 부분(24)은 록킹 클립(14)의 연결 가지부(16)와 결합되지 않고, 그 대신에 작동 요소(20)는 록킹 클립(14)을 해제하고, 그에 따라 스프링 요소(21)의 스프링력은 록킹 클립(14)을 피봇 축(17)을 중심으로 피봇시키고, 다시 말해서 연결 가지부(16)를 상향으로 그리고 록킹 클립(14)의 가지부(15)의 대향 자유 단부들(18)을 하향 피봇시키며, 그에 따라 록킹 클립(14)은 자신의 록킹 위치를 취하고, 커버(12)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이동될 때, 록킹 클립(14)의 가지부(15)의 자유 단부(18)는 커버(12)의 록킹 요소(19) 주위에 결합된다.
도 4에서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요소(21)가 마찬가지로 하우징(11) 상에 즉 하우징(11)의 후방 측에 결합되고, 스프링 요소(21)는 하우징(11)의 후방 측 상의 돌출부(25) 주위에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스프링 요소(21)는 여기에서 일 단부에서 록킹 클립(14)의 연결 가지부(16) 상에서 그리고 타 단부에서 하우징(11) 상에서, 구체적으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요소(21)의 스프링력이 록킹 클립(14)의 연결 가지부(16)를 상향 가압하는 그리고 그에 따라 록킹 클립(14)의 가지부(15)의 자유 단부(18)를 하향 가압하는 그에 따라 결국 록킹 클립(14)을 록킹 위치로 가압하는 경향을 가지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도 1 내지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버(12)가 개방될 때(도 5 참조)에도 자유 단부(18)가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록킹 클립(14)의 자유 단부(18), 즉 록킹 클립(14)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지부(15)의 자유 단부(18)가 하우징(11)에 의해서 은폐된다. 커버(12)가 폐쇄될 때, 록킹 클립(14)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지부(15)의 자유 단부(18)가 커버(12)의 록킹 요소(19)와 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구부(26)가 록킹 클립(14)의 자유 단부(18)에 인접하여 하우징(11) 내로 도입되고, 커버(12)의 폐쇄 중에 그러한 개구부 내로 커버(12)의 록킹 요소(19)가 삽입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커버(12)의 록킹 요소(19)가 록킹 클립(14)의 자유 단부(18)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도 1 내지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버(12)의 록킹 요소(19)가 여기에서 핀-유사 돌출부로서 설계되고, 그러한 각각의 돌출부는 자유 단부를 가지며, 그러한 자유 단부를 통해서 돌출부가 결국 하우징(11) 내의 개구부(26) 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글로브 박스(10)는 하우징(11) 및 하우징(11)에 대해서 변위될 수 있는 커버(12)를 갖는다. 록킹 유닛(13)은 하우징(11) 상에 결합되고, 그러한 록킹 유닛은, 하우징(11) 상에서 피봇 가능하게 관절화되는 록킹 클립(14)을 갖는다. 록킹 클립(14)은, 차량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또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 축(17)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록킹 클립(14)에 더하여, 록킹 유닛(13)은 작동 요소(20) 및 활성화 요소(22)를 포함한다. 활성화 요소(22)가 작동 요소(20)를 제1 상태(도 3 참조)로 이동시킬 때, 록킹 클립(14)은 언록킹 위치를 취한다. 대조적으로, 활성화 요소(22)가 작동 요소(20)를 제2 상태(도 1, 도 2 및 도 4 참조)로 이동시킬 때, 록킹 클립(14)은 자신의 록킹 위치를 취하고, 그러한 록킹 위치에서, 커버(12)가 폐쇄될 때, 록킹 클립(14)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지부(15)의 자유 단부(18)가 커버(12)의 록킹 요소(19)를 둘러싸고 그에 따라 커버(12)를 폐쇄 위치에서 록킹한다.
작동 요소(20)는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편심 요소로서 실현되고 그에 따라 회전 축(23)에 대해서 비대칭적인 설계가 되고, 제1 상태(도 3 참조)에서, 록킹 클립(14)의 연결 가지부(16)를 하향 가압하고, 제2 상태(도 1, 도 2 및 도 4 참조)에서, 록킹 클립(14)의 연결 가지부(16)를 해제하는 작동 부분(24)을 갖는다.
작동 요소(20)의 제1 상태에서, 작동 부분(24)은 록킹 클립(14)의 연결 가지부(16)에 대해서 놓이고 그러한 연결 가지부를 하향 가압한다.
작동 요소(20)의 제2 상태에서, 작동 요소(20)의 작동 부분(24)은 록킹 클립(14)의 연결 가지부(16)에 대해서 놓이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작동 요소(20)의 제2 상태에서, 작동 요소(20)의 작동 부분(24)에 대향하여 놓이는 작동 요소(20)의 부분(29)은 록킹 클립(14)의 연결 가지부(16) 내의 원형 단편 형상의 홈(30)에 진입한다.
편심부로서 설계된, 작동 요소(20)의 작동 부분(24)에 대향하여 놓이는, 작동 요소(20)의 부분(29)이 작동 요소(20)의 제2 상태에서 연결 가지부(16) 내의 원형 단편 형상의 홈(30)에 진입하고 그에 따라 록킹 클립(14)의 연결 가지부(16)를 해제할 때, 스프링 요소(21)는 연결 가지부(16)를 상향 가압하고, 록킹 클립(14)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지부(15)의 자유 단부(18)를 록킹 위치로 하향 가압한다.
작동 요소(20)의, 작동 부분(24)에 대향하여 놓이는, 부분(29)의 윤곽은, 작동 요소(20)의 부분(29)이 원형 단편 형상의 홈(30)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원형 단편 형상의 홈(30)의 윤곽에 맞춰 구성된다. 대조적으로, 작동 요소(20)의 작동 부분(24)이 연결 가지부(16)의 원형 단편 형태의 홈(30) 내로 삽입될 수 없는 방식으로, 작동 요소(20)의 작동 부분(24)은 더 큰 크기이고 배가된다(doubled).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10)의 상세 부분을 도시하고, 도 7 내지 도 14의 글로브 박스(10)의 기본적인 설계는 도 1 내지 도 6의 글로브 박스(10)의 기본적인 설계에 상응하고, 그에 따라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동일한 조립체에 대해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이용하였다. 도 7 내지 도 14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상이한 상세 부분만을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고, 2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나머지 상세 부분과 관련하여 상응하고, 그에 따라 도 1 내지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한 진술을 참조한다.
도 1과 대조적으로, 도 7,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은 그 자체의 글로브 박스(10)의 본질적인 조립체를 도시한다. 특히, 도 8은 커버(12)에 의해서 제공된 저장 트레이(27)를 도시한다.
록킹 클립(14)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지부(15)의 자유 단부(18)가 하우징(11) 내의 개구부(28)에 침투하고, 그에 따라, 커버(12)가 개방될 때, 록킹 클립(14)의 자유 단부(18)가 보일 수 있다는 점에서, 도 7 내지 도 14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상이하다.
커버(12)의 폐쇄 중에, 그에 따라, 록킹 요소(19)는 록킹 클립(14)의 자유 단부(18)의 방향으로 하우징(11) 내의 개구부를 통해서 이동되지 않고; 대조적으로, 하우징(11) 내의 개구부(28)를 통해서 연장되는 록킹 클립(14)의 자유 단부(18)가 커버(12)의 록킹 요소(19)를 직접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그에 따라, 도 7 내지 도 14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록킹 요소(19)가 핀-유사 돌출부로서 설계될 필요가 없고; 대조적으로, 도 7 내지 도 14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버(12)의 록킹 요소(19)가 커버(12)에 의해서 양 단부에서 경계 지어질 수 있다.
모든 다른 상세 부분과 관련하여, 도 7 내지 도 14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상응하고, 그에 따라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Claims (10)

  1. 하우징(11)을 포함하고,
    하우징(11)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고, 하우징(11)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저장 트레이(27)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12)를 포함하며,
    커버(12)와 하우징(11)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하거나 커버(12)와 하우징(11)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는 록킹 유닛(13)을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10)로서,
    록킹 유닛(13)은, 하우징(11) 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 록킹 클립(14)을 포함하고, 록킹 클립(14)의 자유 단부(18)는 커버(12)의 록킹 요소(19)와 상호작용하며,
    록킹 유닛(13)은, 록킹 클립(14)을 위한, 하우징(11)에 장착된, 작동 요소(20)를 포함하고, 작동 요소(20)는 제1 상태에서 록킹 클립(14)을 언록킹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리고, 작동 요소(20)의 제2 상태에서, 록킹 클립(14)은 록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록킹 유닛(13)은, 작동 요소(20)를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요소(20)용 활성화 요소(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10).
  2. 제1항에 있어서,
    록킹 클립(14)은, 평행하게 연장되고 자유 단부(18)를 형성하는 2개의 가지부(15)를 가지고 연결 가지부(16)를 가지는 U-형상의 설계이고, 록킹 클립(14)은 하우징(11) 상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자신의 가지부(15)를 통해서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록킹 클립(14)의 피봇 축(17)이, 자유 단부(18)를 형성하는 가지부(15)에 수직으로, 그리고 연결 가지부(16)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20)는 하우징(11)의 후방 측에 결합되고, 자신의 제1 상태에서, 록킹 클립(14)의 연결 가지부(16) 상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20)는 하우징(11)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 요소(20)의 회전 축(23)은 록킹 클립(14)의 연결 가지부(16)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20)는 작동 부분(24)을 가지고,
    작동 요소(20)의 제1 상태에서, 작동 요소(20)의 작동 부분(24)은, 상기 록킹 클립의 연결 가지부(26)를 스프링 요소(21)의 스프링력에 반대되는 제1 방향으로 가압하고 그에 의해서 록킹 클립(14)을 제1 방향으로 피봇시키는 작동 부분(24)에 의해서, 록킹 클립(14)을 상기 언록킹 위치로 이동시키며, 그리고
    작동 요소(20)의 제2 상태에서, 록킹 클립(14)은, 상기 록킹 클립의 연결 가지부(16)를 해제하는 작동 부분(24) 및 연결 가지부(16)를 제2 방향으로 가압하고 그에 의해서 록킹 클립(14)을 제2 방향으로 피봇시키는 스프링 요소(21)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상기 록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20)는 편심 요소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록킹 클립(14)의 자유 단부(18)는 커버(12)의 록킹 요소(19)의 방향으로 하우징(11) 내의 개구부(28)에 침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록킹 클립(14)의 자유 단부(18)는 하우징(11)에 의해서 은폐되고, 커버(12)의 폐쇄 상태에서, 커버(12)의 록킹 요소(19)는 록킹 클립(14)의 자유 단부(18)의 방향으로 하우징(11) 내의 개구부(26)에 침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화 요소(22)는 전기 모터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KR1020180084440A 2017-07-21 2018-07-20 글로브 박스 KR102054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6544.4 2017-07-21
DE102017116544.4A DE102017116544B3 (de) 2017-07-21 2017-07-21 Handschuhkas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479A true KR20190010479A (ko) 2019-01-30
KR102054588B1 KR102054588B1 (ko) 2019-12-10

Family

ID=6474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440A KR102054588B1 (ko) 2017-07-21 2018-07-20 글로브 박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76035B2 (ko)
KR (1) KR102054588B1 (ko)
DE (1) DE102017116544B3 (ko)
FR (1) FR30692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6544B3 (de) * 2017-07-21 2019-01-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Handschuhkast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71529B1 (de) * 1994-03-07 1997-09-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atentabteilung AJ-3 Verriegelungsvorrichtung an einem schwenkbar gelagerten Aufbewahrungsbehälter für ein Fahrzeug
KR101164664B1 (ko) * 2010-07-23 2012-07-12 덕양산업 주식회사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5236A (ja) * 2005-11-29 2007-06-14 Toyoda Gosei Co Ltd 収納体
WO2013129100A1 (ja) 2012-03-02 2013-09-0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ロック装置
DE102013212772A1 (de) * 2013-06-28 2014-12-3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ließvorrichtung für Handschuhkasten
US9828828B2 (en) 2014-10-03 2017-11-28 Baker Hughes, A Ge Company, Llc Seat arrangement, method for creating a seat and method for fracturing a borehole
DE202015100607U1 (de) 2015-02-09 2015-03-03 Lisa Dräxlmaier GmbH Handschuhkasten für Fahrzeuge
US10544608B2 (en) * 2017-06-30 2020-01-28 Tesla, Inc. Glovebox controller systems and methods
DE102017116544B3 (de) * 2017-07-21 2019-01-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Handschuhkasten
FR3073801B3 (fr) * 2017-11-20 2019-11-29 Inteva Products, Llc Actionneur de boite a gants pour verrouillage electrique et deverrouillage electriqu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71529B1 (de) * 1994-03-07 1997-09-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atentabteilung AJ-3 Verriegelungsvorrichtung an einem schwenkbar gelagerten Aufbewahrungsbehälter für ein Fahrzeug
KR101164664B1 (ko) * 2010-07-23 2012-07-12 덕양산업 주식회사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16544B3 (de) 2019-01-17
FR3069217A1 (fr) 2019-01-25
US10676035B2 (en) 2020-06-09
US20190023187A1 (en) 2019-01-24
KR102054588B1 (ko) 2019-12-10
FR3069217B1 (fr)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95494B (zh) 用于机动车门的把手装置
US8480138B2 (en)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US8757679B2 (en) Closing device comprising two pawls and a motor-driven actuating mechanism
US8826708B2 (en) Locking mechanism
JP4754927B2 (ja) プッシュラッチ
KR100805476B1 (ko) 자동차의 리어암레스트용 스위치커버 개폐구조
JPH06200669A (ja) 発条緊張し得る開放レバーを備えた自動車扉閉鎖装置
JP5676819B2 (ja) ロック装置
JP2017166265A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JP3627040B2 (ja) 車両用の燃料フィラドアキャッチ
JP4662818B2 (ja) スライドドアおよびフューエルリッドの開閉制御機構
KR20190010479A (ko) 글로브 박스
KR20050094147A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의 래치 구조
WO2016143903A1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US11162286B2 (en) Closing device for a storage compartment, storage compartment for a motor vehicle
JP2005188242A (ja) ロック装置
KR102319117B1 (ko) 3웨이 오픈구조 자동차용 암레스트
JP3363035B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US7870984B2 (en) Housing with lid and kinematic frame
JPS6138310B2 (ko)
JP4546146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のロック装置
JP2008155681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アームレスト装置
KR100716315B1 (ko) 슬라이딩 도어 핸들구조
KR100558875B1 (ko) 차량용 시거잭 케이스
KR100398428B1 (ko) 차량의 슬라이드식 회전글래스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