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638A - 보행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보행 보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9638A KR20190009638A KR1020170091678A KR20170091678A KR20190009638A KR 20190009638 A KR20190009638 A KR 20190009638A KR 1020170091678 A KR1020170091678 A KR 1020170091678A KR 20170091678 A KR20170091678 A KR 20170091678A KR 20190009638 A KR20190009638 A KR 201900096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rnal object
- output
- vibration
- radar
- sen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41001166076 Diapheromera femora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4 visual acu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32 reaction spe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257 vis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3 visual impair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61H2003/063—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가 지팡이에 장착된 경우, 이와 관련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보행 보조 장치에서 진동이 다른 세기로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레이더를 포함하는 외부 물체 감지 장치와 관련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레이더를 포함하는 외부 물체 감지 장치의 구현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평지를 걸어가며 기준 값을 설정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사용자가 계단을 내려가는 경우, 레이더의 감지각도를 설정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사용자가 계단을 올라가는 경우, 레이더의 감지각도를 설정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초음파, 카메라, 레이더 센서를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11은 초음파와 레이더 센서를 좀 더 구체적으로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Claims (10)
-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외부 물체 감지 장치로부터 외부 물체의 감지 여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외부 물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진동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물체 감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물체가 감지되었음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부에서 진동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물체 감지 장치는, 상기 외부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레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물체 감지 장치는,
상기 레이더의 감지범위, 상기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감지각도, 감지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는,
상기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감지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물체와의 거리, 상기 외부 물체가 접근해오는 속도, 상기 외부 물체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와 기 설정된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부에서의 진동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물체와의 거리, 상기 외부 물체가 접근해오는 속도, 상기 외부 물체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진동의 세기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물체와의 거리, 상기 외부 물체가 접근해오는 속도, 상기 외부 물체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진동의 패턴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물체가 접근해오는 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부에서 진동이 출력되는 위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물체 감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물체가 감지되었음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부에서 음성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물체가 접근해오는 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부에서 회피 방향이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외부 물체 감지 시 출력되는 진동의 세기를 기 설정된 임계 값 이하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1678A KR20190009638A (ko) | 2017-07-19 | 2017-07-19 | 보행 보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1678A KR20190009638A (ko) | 2017-07-19 | 2017-07-19 | 보행 보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9638A true KR20190009638A (ko) | 2019-01-29 |
Family
ID=6532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1678A Ceased KR20190009638A (ko) | 2017-07-19 | 2017-07-19 | 보행 보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09638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2585B1 (ko) * | 2019-06-20 | 2020-05-19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장애물 감지를 통해 충돌 방지가 가능한 스마트 유모차 및 그 동작 방법 |
KR20210009081A (ko) * | 2019-07-16 | 2021-01-2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행 시 주변 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
KR20210043847A (ko) * | 2019-10-14 | 2021-04-22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각장애인용 보행 보조 장치 |
KR20240040160A (ko) * | 2022-09-20 | 2024-03-28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네비게이션 음성 안내 보완형 스마트 지팡이 |
-
2017
- 2017-07-19 KR KR1020170091678A patent/KR20190009638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2585B1 (ko) * | 2019-06-20 | 2020-05-19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장애물 감지를 통해 충돌 방지가 가능한 스마트 유모차 및 그 동작 방법 |
KR20210009081A (ko) * | 2019-07-16 | 2021-01-2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행 시 주변 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
KR20210043847A (ko) * | 2019-10-14 | 2021-04-22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각장애인용 보행 보조 장치 |
KR20240040160A (ko) * | 2022-09-20 | 2024-03-28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네비게이션 음성 안내 보완형 스마트 지팡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093872B2 (ja) | 適応レーダを備えるナビゲーションエイド | |
KR20190009638A (ko) | 보행 보조 장치 | |
US9618611B2 (en) | Personal radar assistance | |
KR101898582B1 (ko) |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 |
KR100786965B1 (ko) | 밀리미터파 수동 영상 시스템과 위성항법장치를 통합한시각 장애인용 물체 인식 장치 | |
KR101648374B1 (ko) |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Sharma et al. | Multiple distance sensors based smart stick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 |
KR100782502B1 (ko) | 개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분실 방지 방법 및 그 장치와분실방지 기능을 갖춘 신발 | |
KR102363632B1 (ko) | 구조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 |
KR101893374B1 (ko) |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 |
CN105362048A (zh) | 基于移动设备的障碍物信息提示方法、装置及移动设备 | |
ATE482444T1 (de) | Elektronisches standortüberwachungssystem | |
CN111201497A (zh) | 自主机器人系统 | |
KR101611237B1 (ko) |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 |
CN107049718B (zh) | 避障装置 | |
US20200366372A1 (en) |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KR200426384Y1 (ko) | 시각장애인용 물체탐지장치 | |
CN109156921A (zh) | 盲人安全帽 | |
JP2008099720A (ja) | 盲人用警告装置 | |
KR20200093255A (ko) | 초음파 센서 기반 스마트 지팡이 | |
KR101558782B1 (ko) | 차량 내 무선 충전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 |
KR20200078786A (ko) | 스마트 지팡이 시스템 | |
Akram et al. |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a novel wearable assistive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 |
KR101662914B1 (ko) | 안경형 전방탐지장치 | |
KR102171863B1 (ko) | 기상 알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상 알람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1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7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