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164A - A composition for skin smoothing comprising an extract of fermented ponciri fructus - Google Patents

A composition for skin smoothing comprising an extract of fermented ponciri fruc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164A
KR20190009164A KR1020170091053A KR20170091053A KR20190009164A KR 20190009164 A KR20190009164 A KR 20190009164A KR 1020170091053 A KR1020170091053 A KR 1020170091053A KR 20170091053 A KR20170091053 A KR 20170091053A KR 20190009164 A KR20190009164 A KR 20190009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ermentation
fermented
sk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4618B1 (en
Inventor
김하영
김민지
유정진
강승현
김기선
김연준
박서연
하서은
최재환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618B1/en
Publication of KR2019000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1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in sooth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fermented Ponciri Fructus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method to produce the extra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skin soothing composition, the extract of fermented Ponciri Fructus fermented by a strain in the genus Aspergillus is capable of soothing the skin as the extract shows anti-inflammatory functions and has effects of alleviating atopic dermatitis, moisturizing skin, or decreasing red spots. According to the other aspect of the method to produce the extract of fermented Ponciri Fructus, since the extract of fermented Ponciri Fructus having a skin soothing effect can be produced, the extract can be used in diverse fields such as cosmetics, foods or pharmacological compositions.

Description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skin smoothing comprising an extract of fermented ponciri fruc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in-soothing composition comprising a fermented persimmon extract,

피부 진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RTI >

중국 명나라 본초학자인 이시진이 엮은 약학서, 본초강목 (本草綱目)에는 “風邪(풍사)가 피부에 침범하여 콩알 같은 丘疹(구진)이 생기고 몹시 가려운 증상을 치료한다.”라고 지실의 효능을 기술하였다. 이때 지실(Ponciri Fructus)이란 낙엽관목인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의 익지 않은 어린 열매를 말린 것을 의미한다. In the pharmacology book, which is made by a Chinese Ming herbalist, Ishijin, describes the efficacy of Zisil in the herbaceous gangbok, "The cold affects the skin and causes papular papules (papules), which are very itchy." . At this time, Ponciri Fructus is a deciduous shrub ( Poncirus trifoliata ) of dried fruit.

지실의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어, 탱자 추출물(trifoliate orange extract)이 IL-1β, IL-6, 종양괴사인자(TNF-α)와 같은 전염증성 싸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을 억제 시킴으로써 항염 작용을 한다는 선행 연구가 있다(Eun Lee, Korean J. Plant Res. 29(3):305-312, 2016).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62719호는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그러나, 지실 발효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Studies on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Zypsil have been carried out. For example, there is a previous study in which trifoliate orange extract inhibits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1β, IL-6 and TNF-α, Lee, Korean J. Plant Res. 29 (3): 305-312, 2016). Als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662719 disclos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state-related diseases, which comprises a root extract. However, the research on fermentation of persimmon fermented products is insufficien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62719호.Korean Patent No. 1662719.

Eun Lee, Korean J. Plant Res. 29(3):305-312, 2016. Eun Lee, Korean J. Plant Res. 29 (3): 305-312, 2016.

일 양상은 지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dermatological soothing which comprises a zygos fermented product as an active ingredient.

다른 양상은 지실을 발효시켜 발효 지실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 지실을 C1-C6의 알콜,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is a 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soybean milk, And contacting the fermentation fiber compartment with a C1-C6 alcohol, water, or a mixture thereof.

일 양상은 지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dermatological soothing which comprises a zygos fermented product as an active ingredient.

다른 양상은 지실을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속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provides a composition for skin soothing which comprises an extract of a fermentation fiber obtained by fermenting a flaxseed with a strain of Aspergillus genus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피부 진정은 항염증, 아토피 피부염 개선, 피부 보습, 또는 홍반 감소일 수 있다. 발효 지실의 추출물은 발효시키지 않은 지실의 추출물에 비해 항염증 효과,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피부 보습 효과, 또는 홍반 감소 효과가 우수하므로, 상기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염증, 아토피 피부염 개선, 피부 보습, 또는 홍반 감소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The skin soothing may be anti-inflammatory, atopic dermatitis, skin moisturizing, or erythema reduction. Since the extract of the fermented persimmon extract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atopic dermatitis improvement effect, skin moisturizing effect, or erythema reduction effect compared with the extract of the non-fermented persimmon leaf,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rmented persimmon extract has anti-inflammation, atopic dermatitis improvement , Skin moisturizing, or erythema reduction.

용어, "항염증"이란 "염증 억제 또는 개선"과 혼용될 수 있으며, 면역 반응이 완화되어 NO 생성이 억제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 anti-inflammatory "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 inflammation inhibition or improvement ", and may mean all actions in which the immune response is alleviated and NO production is suppressed.

용어, "개선"이란 상태의 완화 또는 치료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 improvement " may mean any action that at least reduces the degree of symptomatology, such as a condition associated with relief or treatment of a condition.

용어, "피부 보습"이란 피부 수분을 유지하거나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 skin moisturizing " may mean any action that maintains skin moisture or prevents moisture loss.

용어, "홍반 감소"란 여러 가지 외적, 내적인 자극에 의해 피부가 붉게 변하거나 혈관의 확장으로 피가 고여 발생한 홍반에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붉은 색이 감소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 erythema reduction " may refer to any action in which the skin is reddosed by various extrinsic and / or intrinsic stimuli, or in which the redness is reduced in whole or in part by erythema caused by the expansion of blood vessels.

상기 "지실(枳實, Ponciri Fructus)"은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의 익지 않은 어린 열매를 말린 것을 의미한다. 상기 지실은 통상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해 얻은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시중에서 판매하는 것을 구입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실은 멸균된 지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멸균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above " Ponciri Fructus " refers to Poncirus < RTI ID = 0.0 > trifoliata ) of dried fruit. The fuselage may be one obtained by a commonly available method, for example, a commercially available one. The support may be a sterilized support, and the steriliz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in a manner customary in the art.

일 구체예에서, 상기 균주는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spergillus niger),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 아스페르길루스 플라부스(Aspergillus flavus), 아스페르길루스 테레우스(Aspergillus terreu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the strains are Aspergillus germanium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duck claim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fumigatus (Aspergillus fumigatus), Aspergillus Playa booth (Aspergillus flavus), Aspergillus Terre Uz (Aspergillus terreus ,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일 구체예에서, 상기 균주는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spergillus niger) 균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spergillus niger)"는 흑곰팡이의 일종으로서, 검은색 포자를 형성하여 흑국균이라고도 한다. 상기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는 식품, 토양, 바다 등에서 분리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rain may be an Aspergillus niger strain. The term " Aspergillus niger " is a type of black fungus, which forms black spores and is also called black germ. The Aspergillus niger can be separated from food, soil, sea and the like.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는 고체 발효일 수 있다. 용어, "고체 발효"란 수분이 적은 고체 상태의 원료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고체 발효는 하기와 같은 종래 액체 발효의 몇 가지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Silvia Martins et al., Biotechnology Advances, 29, 365-373, 2011). 첫째, 종래 액체 발효는 물 함량이 높은 발효 조건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대장균, 혐기성 세균 등에 의한 부패 및 오염에 대한 위험성이 있다. 둘째, 역시 물 함량이 높은 발효 조건으로 인하여 발효 과정 중 스터링(stirring)과 멸균(sterilization) 과정이 필요하여 공정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셋째, 침수 발효 과정을 위해서 환경에 유해한 화학 물질이 다량 필요하다. 이와 달리,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고체 발효법을 지실에 적용하여 상기 종래 발효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잡균의 오염을 받지 않고,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물의 회수가 쉽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실의 고체 발효 생성물에서 활성 성분인 폰시레틴(ponciretin)의 함량이 발효 전 대비 2배 이상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배당체인 폰시린(poncirin)을 무배당체인 폰시레틴으로 전환시키는 당 분해 효소의 발현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미생물들은 체외성 당 분해 효소를 발현하는데 있어 고체 배양 시 액상 배양 대비 높은 수준을 나타낸다(Subramaniyam, R. and Vimala, R., Society for Science and Nature, 3(3), 480-486, 2012). 한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등의 효모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등의 유산균은 다당류 분해 효소의 활성이 없어 고체 발효 시 약재의 세포벽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없기 때문에, 세포벽을 물리 화학적으로 분해한 약재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발효를 수행한다. 이와 달리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는 세포외 효소에 의해 지실의 세포벽을 효과적으로 분해함과 동시에 지실 내의 폰시린을 비배당체 폰시레틴 성분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지실의 추출물이 아닌 지실 자체를 고체 발효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ermentation may be a solid fermentation. The term " solid fermentation " may mean fermenting microorganisms in a solid state raw material having low water content. Solid fermentation can compensate for some of the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liquid fermentations such as (Silvia Martins et al., Biotechnology Advances, 29, 365-373, 2011). First, conventional liquid fermentation has a risk of corruption and contamination by E. coli and anaerobic bacteria harmful to the human body due to fermentation conditions of high water content. Secondly, due to the fermentation conditions having a high water content, stirring and sterilization are requir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which increases the process cost. Third, a large amount of chemicals harmful to the environment are required for the immersion fermentation process. In contrast,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olid fermenta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fuselag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fermentation technology, thereby avoiding contamination of germs, reducing the processing cost, and recovering the product easily Can be. In one embod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ponciretin, which i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solid fermentation product of the fingernail, increased more than twice as much as before fermentation. This is probably due to the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glucosease, which converts the glycoside poncirin into the non-parasitic poncho retin. Microorganisms exhibit a higher level of liquid culture relative to liquid culture when expressing the extracellular glucosease (Subramaniyam, R. and Vimala, R., Society for Science and Nature, 3 (3), 480-486, 2012). On the other hand,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Saccharomyces cerevisiae or lactobacilli such as Lactobacillus plantarum have no activity of the polysaccharide degrading enzyme and can not effectively decompose the cell walls of the medicinal material during solid fermentation. Therefore, The fermentation is carried out on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ast, Aspergillus niger can effectively decompose the cell wall of the zygosity by the extracellular enzyme and convert the pysyline in the zygosyl to the non-glycosylated vyschretin component. Therefore, the zygosity itself, which is not the zygomycin extract, Lt; / RTI >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 지실은 지실에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구체적으로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여 고체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ermentation chamber may be solid fermented by inoculating Aspergillus niger, in particular Aspergillus niger spore suspension, into the follicle.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를 통해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 niger)의 세포외 효소(extracellular enzyme)에 의해 폰시린을 폰시레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세포외 효소의 종류는 예를 들어, 베타-글루코시다제(beta-glucosidase), 알파-람노시다제(alpha-Rhamnosidas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 niger)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에서 효소의 생합성량이 가장 높은 시점인 균사에서 포자로 전환되는 단계(phase)를 오랫동안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 niger)의 세포외 효소의 발현이 많이 되는 단계(phase)를 최대한 유지하여 지실의 비배당체 성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발효 온도, 시간, 및 습도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용어, "비배당체"란 배당체가 발효 또는 가수분해 과정을 통해 당이 제거된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실의 비배당체 성분은 폰시레틴을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seudokinesin can be converted to ponceetin by the extracellular enzyme of Aspergillus niger through the fermentation. Examples of the extracellular enzym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beta-glucosidase, alpha-Rhamnosidase, and the lik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phase of conversion from mycelium to spore, which is the highest point of biosynthesis of the enzyme in the life cycle of Aspergillus niger ( A. niger ) for a long time.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expression phase of the extracellular enzyme of Aspergillus niger ( A. niger ) and to increase the non-glycosidic component of the fibril,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time, and humidity are appropriately selected . The term " non-glycosides " may refer to a substance in which glycosides are removed through fermentation or hydrolysis. Thus, the unglycosylated component of the fibril can be pornhistetin.

상기 발효 지실은 발효 초기 수분 함량을 40 내지 50%로 보정한 후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초기 수분 함량이 40% 미만일 경우 발효 시간이 48시간 미만에서 조기 종료되며, 50% 초과일 경우 수분 함량이 높아 지실 사이의 공극이 줄어 들어 절대 호기성 균주인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의 생장이 더뎌지고 오염 확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The fermentation fiber compartment may be fermented after calibrating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fermentation to 40 to 50%. If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is less than 40%, the fermentation time is terminated early in less than 48 hours. If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is above 50%, the moisture content is high and the pore between the fungi is decreased, and the growth of the absolute aerobic strain Aspergillus niger is slow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bability of contamination increases.

상기 발효 지실은 25 내지 35℃, 28 내지 35℃, 30 내지 35℃, 31 내지 34℃, 32 내지 34℃에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발효 온도가 35℃를 초과하는 경우 균주가 포자로 형성되는 시간이 빨라져 상대적으로 효소의 활성과 발현량이 낮아질 수 있고, 반대로 온도가 25℃ 미만인 경우 효소반응속도가 느려져 비배당체 기능성 성분의 전환 속도가 낮아질 수 있다.The fermentation fibrils may be fermented at 25 to 35 ° C, 28 to 35 ° C, 30 to 35 ° C, 31 to 34 ° C, and 32 to 34 ° C. When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is higher than 35 ° C, the time required for the strain to form spores is increased, so that the enzyme activity and expression level can be relatively lowered. On the contrary,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25 ° C, the enzyme reaction rate is lowered, Can be lowered.

상기 발효 지실은 60 내지 65시간 동안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발효 시간은 발효 온도에 따라 균사의 생장을 고려하여 포자가 형성되기 직전까지 종료하는 것으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The fermentation chamber may be fermented for 60 to 65 hours. The fermentation tim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so as to terminate until spores ar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growth of hyphae.

상기 발효 지실은 10 내지 99.9% 습도, 20 내지 99.9% 습도, 30 내지 99.9% 습도, 40 내지 99.9% 습도, 50 내지 99.9% 습도, 50 내지 90% 습도, 60 내지 90% 습도, 70 내지 90% 습도, 75 내지 85% 습도, 또는 80 내지 85% 습도 조건에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습도가 75% 미만인 경우 균주가 포자로 형성되는 시간이 빨라져 상대적으로 효소의 활성과 발현량이 낮아질 수 있고, 반대로 습도가 85% 초과인 경우 수분 함량이 높아 원물 사이의 공기 순환율이 좋지 않아 절대 호기성 균주인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 niger)의 생장이 느려지고 다른 미생물에 의한 오염 발생률이 높아질 수 있다.Wherein the fermentation chamber has a humidity of 10 to 99.9%, a humidity of 20 to 99.9%, a humidity of 30 to 99.9%, a humidity of 40 to 99.9%, a humidity of 50 to 99.9%, a humidity of 50 to 90%, a humidity of 60 to 90% Humidity, 75-85% humidity, or 80-85% humidity conditions. If the humidity is less than 75%, the time for spore formation of the strain becomes faster so that the enzyme activity and expression amount can be lowered. On the contrary, when the humidity is higher than 85%, the moisture content is high, The growth of Aspergillus niger ( A. niger ) may be slowed and the rate of contamination by other microorganisms may be increased.

예를 들어, 상기 발효 지실은 25 내지 35℃에서 60 내지 65 시간 동안 75 내지 85% 습도 조건에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ermentation broth may be fermented at 25-35 ° C for 60-65 hours at 75-85% humidity.

상기 발효 지실은 발효 지실의 전체,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일 수 있다. 추출에 사용된 상기 발효 지실은 전체,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분쇄 또는 세절하거나 적당하게 건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효 지실은 건조에 의해 수분함량이 20% 미만, 15% 미만, 예를 들어 12% 미만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fermentation fiber compartment may be the entire fermentation fiber compartment, a part thereof, or a material derived therefrom. The fermentation fiber used for the extraction may be a whole, a part thereof, or a material derived therefrom, which may be pulverized or chopped or suitably dried. The fermentation fiber compartment can be dried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less than 20%, less than 15%, for example less than 12%.

상기 추출물은 친수성 용매 (hydrophilic solvent), 예를 들면, 알콜, 물,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콜은 C1 내지 C10의 하나 이상의 -OH기를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콜은 C1 내지 C6의 알콜, C3 내지 C6의 다가 알콜일 수 있다. 상기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이소부탄올, tert-부탄올, n-펜탄올, n-헥산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예를 들면, 물과 알콜의 혼합물, 즉 알콜 수용액일 수 있다. 알콜 수용액의 알콜 농도는 1 내지 100%(w/w), 예를 들면, 1 내지 99.5%(w/w), 10 내지 100%(w/w), 20 내지 100%(w/w), 30 내지 100%(w/w), 40 내지 100%(w/w), 50 내지 100%(w/w), 60 내지 100%(w/w), 70 내지 100%(w/w), 75 내지 100%(w/w), 60 내지 90%(w/w), 60 내지 80%(w/w), 65 내지 75%(w/w), 또는 70%(w/w)일 수 있다. 상기 알콜 수용액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The extract may be extracted with a hydrophilic solvent, for example, alcohol, water,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alcohol may be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OH group of C1 to C10. The alcohol may be a C1 to C6 alcohol, C3 to C6 polyhydric alcohol. The alcohol may be methanol, ethanol, n-propanol, isopropanol, n-butanol, sec-butanol, isobutanol, tert-butanol, n-pentanol, n-hexanol or mixtures thereof. The solvent may be, for example, a mixture of water and an alcohol, that is, an aqueous solution of an alcohol. The alcohol concentration of the alcohol aqueous solution may be 1 to 100% (w / w), such as 1 to 99.5% (w / w), 10 to 100% (w / w), 20 to 100% (w / (W / w), 40 to 100% (w / w), 50 to 100% (w / w), 60 to 100% (W / w), 60 to 90% (w / w), 60 to 80% (w / w), 65 to 75% have. The aqueous alcohol solution may be methanol, ethanol, or an aqueous butanol solution. In one embodiment, the extract may be an ethanol extract.

상기 추출물은 가온 추출, 가압 추출, 초음파 추출, 열수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아임계 추출, 또는 초임계 추출 등 당업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by a conventional method in the art such as warm extraction, pressure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hot water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subcritical extraction, or supercritical extraction.

상기 추출 용매는 발효 지실의 5 내지 15 (부피/중량)배, 예를 들면, 5 내지 13 (부피/중량)배, 5 내지 11 (부피/중량)배, 8 내지 15 (부피/중량)배, 8 내지 13 (부피/중량)배, 8 내지 11 (부피/중량)배, 또는 9 내지 11 (부피/중량)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효 지실 전체,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 100g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0.5 내지 1.5L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used in an amount of 5 to 15 (vol / g) times, such as 5 to 13 (vol / g) times, 5 to 11 (vol / , 8 to 13 (volume / weight) times, 8 to 11 (volume / weight) times, or 9 to 11 (volume / weight) times. For example, 0.5 to 1.5 L of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added to 100 g of the whole fermented fescue, a part thereof, or a material derived therefrom.

상기 추출은 4℃ 내지 70℃, 예를 들면, 4℃ 내지 50℃, 4℃ 내지 40℃, 4℃ 내지 30℃, 10℃ 내지 70℃, 15℃ 내지 70℃, 20℃ 내지 70℃, 4℃ 내지 50℃, 10℃ 내지 50℃, 4℃ 내지 40℃, 4℃ 내지 30℃, 10℃ 내지 40℃, 10℃ 내지 35℃, 또는 10℃ 내지 30℃, 또는 실온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The extraction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4 ° C to 70 ° C, for example 4 ° C to 50 ° C, 4 ° C to 40 ° C, 4 ° C to 30 ° C, 10 ° C to 70 ° C, 15 ° C to 70 ° C, 10 C to 50 C, 10 C to 50 C, 4 to 40 C, 4 to 30 C, 10 to 40 C, 10 to 35 C, or 10 to 30 C or room temperature .

상기 추출 시간은 선택된 온도 및 추출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출 시간은 1시간 내지 3일, 1시간 내지 2일, 1시간 내지 1일, 5시간 내지 3일, 5시간 내지 2일, 5시간 내지 1일, 10시간 내지 3일, 15시간 내지 2일, 15시간 내지 36시간, 18시간 내지 30시간, 1일 내지 3일, 1일 내지 2일, 또는 24시간일 수 있다. The extraction tim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ed temperature and extraction method. For example, the extraction time may be from 1 hour to 3 days, from 1 hour to 2 days, from 1 hour to 1 day, from 5 hours to 3 days, from 5 hours to 2 days, from 5 hours to 1 day, from 10 hours to 3 days, from 15 Hour to 2 days, 15 hours to 36 hours, 18 hours to 30 hours, 1 day to 3 days, 1 day to 2 days, or 24 hours.

예를 들면, 발효 지실의 분말을 추출 용매에 2 내지 4시간 동안 침적하여 초음파 추출하거나, 용매를 가해 실온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침적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5회, 1 내지 4회, 1 내지 3회, 2 내지 5회, 또는 2 내지 4회 추출되는 것일 수 있고, 각 추출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ermented milk powder may be subjected to ultrasonic extraction by immersing in an extraction solvent for 2 to 4 hours, or may be extracted by immersing in a solvent for 24 to 72 hours at room temperature. The extraction may be one or more times, for example, one to five times, one to four times, one to three times, two to five times, or two to four times, each extraction being performed in the same way, It can be performed in other ways.

상기 추출은 식물체 잔사 및 추출액을 여과 등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와 같은 건조에 의하여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extraction can be performed by separating the plant residue and the extract by a known method such as filtration. The extraction can also include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resulting extract by known methods such as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The extraction may also comprise preparing the dried extract by drying, such as lyophilization, of the resulting extract.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The extract may contain from 0.001% to 80%, such as from 0.01% to 60%, from 0.01% to 40%, from 0.01% to 30%, from 0.01% to 20% %, 0.01% to 10%, 0.01% to 5%, 0.05% to 60%, 0.05% to 40%, 0.05% to 30%, 0.05% to 20% From 0.05% to 10%, from 0.05% to 5%, from 0.1% to 60%, from 0.1% to 40%, from 0.1% to 30%, from 0.1% to 20% % To 10 wt%, or 0.1 wt% to 5 wt%.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 지실의 추출물 대신 발효 지실의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 지실의 추출물의 분획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분획물(fraction)"은 상기 발효 지실의 추출물이 그 일부의 성분으로 나누어진 물질 즉, 분획되어진 물질을 나타낸다. 상기 분획물은 용매 분획화 (fractionation)에 의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 분획화는 발효 지실 추출물을 용매와 혼합하고 상기 용매에 존재하는 물질을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발효 지실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메틸렌클로리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화하여 얻어진 메틸렌클로리드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fraction of the extract of the fermentation pouch can be contained as an active ingredient instead of the fermentation pouch extract. In one embodiment, it may further comprise a fraction of the extract of the fermentation compartment. The term " fraction " refers to a substance in which the extract of the fermentation fiber compartment is divided into components of a part thereof, that is, a fractionated substance. The fraction may be obtained by solvent fractionation. The solvent fractionation may be a step of mixing the fermented yeast extract with a solvent and separating the substance present in the solvent. The fraction may be a methylene chloride fraction, an ethyl acetate fraction, a butanol fraction, or a water fraction obtained by successively fractionating the fermented persimmon extract in water and then fractionating it with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구체적으로, 상기 메틸렌클로리드 분획물은 상기 발효 지실 추출물을 물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다시 메틸렌클로리드와 혼합한 후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한 후 메틸렌클로리드 층을 분리하고, 분리된 메틸렌클로리드층으로부터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은 메틸렌클로리드층으로부터 메틸렌클로리드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상기 메틸렌클로리드 분획물 분리 후 남은 물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와 혼합한 후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고,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층으로부터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은 에틸아세테이트층으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탄올 분획물은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분리 후 남은 물을 다시 부탄올과 혼합한 후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한 후 부탄올층을 분리하고, 분리된 부탄올층으로부터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은 부탄올층으로부터 부탄올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건, 압력 조건, 시간, 사용된 용매의 양 또는 농도, 교반 등과 같은 상기 분획화의 조건은 상기한 발효 지실 추출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추출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분획화는 1회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ethylene chloride fraction is prepared by mixing the fermented yeast extract with water, mixing the mixture with methylene chloride, allowing the mixture to stand for a predetermined time, separating the methylene chloride layer, separating the methylene chloride layer , ≪ / RTI > Separation of the fractions may include removing methylene chloride from the methylene chloride layer. Further,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obtained by mixing the remaining water after the methylene chloride fraction was separated with ethyl acetate, leaving it for a predetermined time, separating the ethyl acetate layer, and separating the fraction from the separated ethyl acetate layer Lt; / RTI > Separation of the fractions can include removal of the ethyl acetate from the ethyl acetate layer. In addition, the butanol fraction may be obtained by mixing water remaining after the ethyl acetate fraction is separated again with butanol, leaving the butanol layer sepa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eparating the fraction from the separated butanol layer. Separation of the fractions may include removing butanol from the butanol layer. Conditions for such fractionation, such as temperature conditions, pressure conditions, time, amount or concentration of solvent used, agitation, etc., may be as described for the extracts used to prepare the fermented soybean extract described above. The fractionation may be repeated one or more times, for example, 1 to 5 times.

상기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은 여과 등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획화는 또한 얻어진 분획물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획화는 또한 얻어진 분획물을 농축 및/또는 건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일 수 있다. 상기 건조는 감압 건조, 비등 건조, 분무 건조, 상온 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포함할 수 있다.Separation of the fractions may be accomplished by known methods such as filtration. The fractionation may also include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fraction obtained by known methods such as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The fractionation may also include concentration and / or drying of the obtained fractions. The concentration may be reduced pressure concentrated. The drying may include vacuum drying, boiling drying, spray drying, room temperature drying or freeze drying.

상기 추출물은 폰시레틴(ponciretin)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 지실의 추출물은 지실 추출물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은 농도의 폰시레틴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tract may be one containing ponciretin. In one embodiment, the extract of the fermentation sponge may comprise about 2 times or more of the concentration of pon smear than the flax seed extract.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IL-8, IL-6, 또는 TNF-α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NO, IL-6, 또는 TNF-α의 발현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one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IL-8, IL-6, or TNF- ?, specifically inhibits the expression of NO, IL-6, or TNF-? Lt; / RTI >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TSLP(Thymic stromal lymphopoietin)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TSLP의 발현을 억제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one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TSLP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specifically, inhibits the expression of TSLP, thereby improving atopic dermatitis.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인체 피부 도포 실험에서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을 증진시켜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hibit a skin moisturizing effect by enhancing the recovery rate of percutaneous water loss in the human skin application experiment.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인체 피부 도포 실험에서 피부 홍반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exhibit an effect of suppressing skin erythema in a human skin application test.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유효한 양, 또는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양은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 내지 상태의 중증도,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개체의 추출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투여 기간, 상기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다른 조성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생리 내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mprise the extract as an effective amount or as an active ingredient. The effective amoun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 The severity of the disease or condition, the age, weight, health, sex, sensitivity of the individual to the extract,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and rate of excretion, duration of administration, factors including other compositions combined or co-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factors well known in the art, physiology or medical field.

일 구체예에 따른 피부 진전용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식품적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dermal rele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comprise cosmetically, pharmaceutically,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or carriers. The carrier may be an excipient, a disintegrant, a binder, a lubricant,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excipient may be microcrystalline cellulose, lactose, low substituted hydroxy cellulos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disintegrant may be sodium starch glycolate, calcium monohydrogen phosphate anhydrous,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binder may be polyvinylpyrrolidone, low-substituted hydroxyprop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or combinations thereof. The lubricant may be magnesium stearate, silicon dioxide, talc,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제형은 주사제, 또는 피부외용제일 수 있다.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The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into a parenteral dosage form. The parenteral dosage form may be an injection or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The external skin preparation may be a cream, a gel, an ointment, a skin emulsifier, a skin suspension, a transdermal patch, a drug-containing bandage, a lo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등을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The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is usually used as a component used in external skin preparations such as cosmetics or medicines such as an aqueous component, an oily component, a powder component, an alcohol, a moisturizer, a thickener, an ultraviolet absorber, a whitening agent, an antiseptic, , Coloring agents, various skin nutrients, and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blended as needed.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The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may be a metal blocker such as sodium edetate, sodium edetate, sodium citrate, sodium polyphosphate, sodium metaphosphate or gluconic acid, caffeine, tannin, bellapamil, licorice extract, glabridine, Vitamin C, ascorbic acid magnesium phosphate, ascorbic acid glucoside, arbutin, kojic acid, glucose, fructose, fructose, fructose and other herbal medicines, various herbal medicines, tocopherol acetate, glycyrrhizic acid, Sugars such as trehalose and the like can also be appropriately compounded.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 경우, 추출물은 화장수(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현탁액, 겔, 분말, 페이스트, 마스크팩 또는 시트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체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존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용해제,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 등의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In this case, the extract can be used as a skin lotion, a skin softener, a skin toner, an astringent, a lotion, a milk lotion, a moisturizing lotion, a nutrition lotion, a massage cream, a nutrition cream, a moisturizer cream, a hand cream, a foundation, , A soap, a cleansing foam, a cleansing lotion, a cleansing cream, a body lotion, a body cleanser, a suspension, a gel, a powder, a paste, a mask pack or a sheet or an aerosol composition. It can also be applied in various forms such as liquid, cream, paste, and solid phase. Compositions of such formulations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methods conventional in the art.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preservatives, stabilizers, surfactants, solubilizers, moisturizers, emollients, ultraviolet absorbers, preservatives, bactericides, antioxidants, pH regulators,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fragrances, have. The amount of the additional component such as the above-mentioned moisturizing agent can be easi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a range not to impair the object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mount thereof is 0.001 to 5% by weight, specifically 0.01 to 5% % ≪ / RTI >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캅셀제, 현탁액, 유제, 시럽제, 침제, 액제, 엑스제 등의 일반적인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젤리,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의 임의의 건강식품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제제화를 위해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제조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 각종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의 비율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a food composition. In this case, it can be formulated into a conventional health functional food formulation known in the art. The food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convention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pill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nd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y health food such a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jellie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drinks, tea,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or excipient may be used for the formulation of the health food, and any carrier or additive known to be usable in the art for the preparation of the formulation to be produced may be used. As the above-mentioned additives, there can be used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s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Carbonating agents, and the like. In addition, it may contain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 and flesh for the production of vegetable beverages. These additiv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and the proportion of the additive may be 0.001 to 5 wt%, specifically 0.01 to 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상기 식품 조성물 중의 상기 추출물의 함량은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음료로서 제조될 경우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구체적으로 0.3 내지 1 g의 비율로 함유할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extract in the food composition may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prevention or improvement). Generally, it may contain 0.01 to 15% by weight of the total food weight, and when it is prepared as a beverage, it may contain 0.02 to 10 g, specifically 0.3 to 1 g, based on 100 mL.

상기 음료는 상기 추출물 이외의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음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단당류(예: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예: 말토즈, 수크로즈 등), 다당류(예: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 사카린, 아스파탐 등)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음료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구체적으로 약 5 내지 12g으로 함유될 수 있다.The beverage may further contain ingredients other than the above extract, and may further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commonly used in beverages. Examples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nclude conventional sugars such as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s such as xylitol, sorbitol, erythritol, Of sugar alcohols may be contained. In addition, as a flavoring agent, a natural flavoring agent (e.g., tau Martin, stevia extract, etc.) and a synthetic flavoring agent (e.g., saccharin, aspartame, etc.) may be contained.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may be generally about 1 to 20 g, specifically about 5 to 12 g per 100 mL of beverage.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질환은 피부 염증 질환, 피부 장벽 기능 손상에 의한 질환, 아토피 피부염, 피부 노화, 또는 피부 홍반일 수 있다. 용어, “예방”은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치료”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경감, 또는 제거를 포함한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Specifically,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skin disease. The skin diseases may be skin inflammation diseases, diseases caused by skin barrier function damage, atopic dermatitis, skin aging, or skin eruption. The term " prevention " includes inhibiting the occurrence of a disease. The term " treatment " includes inhibiting, alleviating, or eliminating the development of the disease.

상기 피부 염증 질환은 면역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모든 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지루성 피부염, 건선, 여드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피부 수분 유지, 피부 수분 손실 방지, 피부 장벽 강화, 항염증 등의 효과에 의해 피부 염증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The skin inflammatory disease may mean all diseases caused by immune stimulation. But are not limited to, for example, atopic dermatitis, eczema, seborrheic dermatitis, psoriasis, acne, and the lik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or treat skin inflammatory diseases by the effects of skin moisture retention, skin moisture loss prevention, skin barrier enhanceme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상기 피부 장벽 기능 손상은 피부 장벽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손상되어 피부에 나타나는 모든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주름 증가, 건조,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여드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을 증가시켜 피부 장벽 기능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amage to the skin barrier function may mean all the changes that appear on the skin due to the degradation or damage of the skin barrier function. For example,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increased wrinkles, dryness, dermatitis, atopic dermatitis, allergic dermatitis, acne and the lik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event or treat damage to the skin barrier function by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of transdermal water loss.

상기 피부 노화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에 나타나게 되는 유형과 무형상의 모든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주름 증가, 건조, 상처 치유 능력의 저하, 피부 면역 기능의 저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수분 유지, 피부 수분 손실 방지 등의 효과에 의해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The aging of the skin can mean all types and intangible changes that appear on the skin as the age goes on. For example,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increased skin wrinkles, drying, decreased wound healing ability, decreased skin immune function, and the lik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or treat aging of the skin due to the effects of strengthening the skin barrier, maintaining skin moisture, preventing the loss of skin moisture, and the like.

다른 양상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를 진정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Another aspect provides a method of soothing the skin of an individual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to a subject. The composi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상기 방법은 구체적으로, 개체의 염증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 개체의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 개체의 피부 수분을 유지 또는 수분 손실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방법, 개체의 홍반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ethod is a method of improving or treating inflammation of an individual, a method of improv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of an individual, a method of effectively maintaining skin moisture or preventing moisture loss of an individual, .

용어, "투여하는", "도입하는" 및 "이식하는"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원하는 부위로의 적어도 부분적 국소화를 초래하는 방법 또는 경로에 의한 개체 내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배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 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생존하는 개체 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전달하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The terms " administering ", " introducing " and " transplanting " are used interchangeably and refer to a method of delivering a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 RTI > may refer to the arrangement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by any suitable route of delivery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ract or extract components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o the desired location in the living individual.

투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경구, 경피 (transdermal), 점막, 코안 (intranasal), 기관내 (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Administration can be by any method known in the art. Administration may be by any means directly administered to a subject, such as by intravenous, intramuscular, oral, transdermal, mucosal, intranasal, intratracheal or subcutaneous administration, . The administration can be systemically or locally administered.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피부 진정, 예를 들어 항염증, 아토피 피부염 치료, 피부 보습, 또는 홍반 감소 효과를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The subject may be a mammal, such as a person, a cow, a horse, a pig, a dog, a sheep, a goat, or a cat. The subject may be an individual requiring skin soothing, for example, anti-inflammatory, atopic dermatitis treatment, skin moisturizing, or erythema reduction effect.

상기 투여는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개체당 일당 0.1 mg 내지 1,000 mg, 예를 들면, 0.1 mg 내지 500 mg, 0.1 mg 내지 100 mg, 0.1 mg 내지 50 mg, 0.1 mg 내지 25 mg, 1 mg 내지 1,000 mg, 1 mg 내지 500 mg, 1 mg 내지 100 mg, 1 mg 내지 50 mg, 1 mg 내지 25 mg, 5mg 내지 1,000 mg, 5 mg 내지 500 mg, 5 mg 내지 100 mg, 5 mg 내지 50 mg, 5 mg 내지 25 mg, 10mg 내지 1,000 mg, 10 mg 내지 500 mg, 10 mg 내지 100 mg, 10 mg 내지 50 mg, 또는 10 mg 내지 25 mg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일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으며, 매일 또는 2 내지 5일 간격으로 총 투여 일수는 한번 치료 시 1일에서 30일까지 투여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정 시기 이후에 동일한 치료를 반복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kg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The administration can be carried out in an amount of 0.1 mg to 1,000 mg, such as 0.1 mg to 500 mg, 0.1 mg to 100 mg, 0.1 mg to 50 mg, 0.1 mg to 25 mg, 1 mg to 1,000 mg, , 1 mg to 500 mg, 1 mg to 100 mg, 1 mg to 50 mg, 1 mg to 25 mg, 5 mg to 1000 mg, 5 mg to 500 mg, 5 mg to 100 mg, 5 mg to 50 mg, 5 mg To 25 mg, 10 mg to 1,000 mg, 10 mg to 500 mg, 10 mg to 100 mg, 10 mg to 50 mg, or 10 mg to 25 mg. However, the dose may be variously prescribed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the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ethod, age, body weight, sex, pathological condition, food, administration time, route of administration, excretion rate and responsiveness of the patient, These factors can be taken into account to appropriately adjust the dosage. The number of doses may be at least once per day or within the range of clinically acceptable side effects and may be administered at one or two or more doses at the site of administration and may be administered daily or every two to five days The number of days of administration can be administered from one day to 30 days at one time of treatment. If necessary, the same treatment may be repeated after the appropriate time. For an animal other than a human, the dosage may be the same as that of a human per kg, or the dosage may be converted into a dose in terms of a volume ratio (for example, an average value) One dose may be administered.

다른 양상은 지실을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속 균주로 발효시켜 발효 지실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 지실을 C1-C6의 알콜,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soybeans, comprising fermenting a rice bran with a strain of Aspergillus sp. And contacting the fermentation fiber compartment with a C1-C6 alcohol, water, or a mixture thereof.

상기 지실, 발효, 발효 지실, 및 발효 지실의 추출물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The extracts of the above fuselage, fermentation, fermentation fungus, and fermentation fungu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일 구체예에서, 상기 균주는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 niger)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rain may be Aspergillus niger .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는 고체 발효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ermentation may be a solid fermentation.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는 25 내지 35℃에서 60 내지 65 시간 동안 75 내지 85% 습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ermentation can be performed at 25-35 ° C for 60-65 hours at 75-85% humidity conditions.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 지실의 추출물은 IL-8, IL-6, 또는 TNF-α의 발현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TSLP의 발현을 억제하여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을 증가시켜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피부 홍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효 지실의 추출물의 항염증, 아토피 피부염 개선, 피부 보습, 및 홍반 감소 효과는 발효시키지 않은 지실의 추출물에 비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 지실의 추출물은 화장품, 식품, 약학 조성물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The fermented zipper extract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can exhibit an anti-inflammatory effect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IL-8, IL-6, or TNF- ?,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TSLP, and exhibiting an effect of improving atopic dermatitis , The rate of recovery of transdermal water loss can be increased to show a skin moisturizing effect and skin erythema can be reduced. The antiinflammatory, atopic dermatitis, skin moisturizing, and erythema reduction effects of the extract of the fermentation fungus are superior to those of the unfermented fungus extract. Accordingly, the fermented zipper extract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osmetics, foo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 like.

일 양상에 따른 피부 진정용 조성물에 의하면, 아스페르길루스 속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항염증, 아토피 피부염 개선, 피부 보습, 또는 홍반 감소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composition for calming skin, the extract of the fermentation fungus fermented with Aspergillus sp. Can be used for anti-inflammation, atopic dermatitis, skin moisturization, or erythema reduction.

다른 양상에 따른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면,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된 추출물을 화장품, 식품, 약학 조성물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n extract of a fermented persimmon having a skin soothing effect, so that the extrac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cosmetics, fo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도 1은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균주를 사용하여 지실의 고체 발효 시, 지실의 주성분인 폰시린이 β-글루코시다제와 α-람노시다제 효소에 의하여 폰시레틴으로 전환되는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균주 종류에 따른 지실의 고체 발효 전과 후의 생성물에 함유된 폰시레틴 성분의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비교예 1, 지실의 추출물; 비교예 2,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로 발효시킨 발효 지실의 추출물; 비교예 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으로 발효시킨 발효 지실의 추출물; 및 실시예 1,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로 발효시킨 발효 지실의 추출물.
도 3은 발효 지실의 항염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각질형성세포에서 TNF-α의 mRNA 상대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음성대조군; (+): PolyI:C 및 IL-4 처리군; Dex: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처리군; 비교예 1: 지실 추출물 처리군; 및 실시예 1: 발효 지실의 추출물 처리군.
도 4는 발효 지실의 항염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각질형성세포에서 IL-6의 mRNA 상대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음성대조군; (+): PolyI:C 및 IL-4 처리군; Dex: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처리군; 비교예 1: 지실 추출물 처리군; 및 실시예 1: 발효 지실의 추출물 처리군.
도 5는 발효 지실의 항염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각질형성세포에서 IL-8의 mRNA 상대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음성대조군; (+): PolyI:C 및 IL-4 처리군; Dex: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처리군; 비교예 1: 지실 추출물 처리군; 및 실시예 1: 발효 지실의 추출물 처리군.
도 6은 발효 지실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각질형성세포에서 TSLP의 mRNA 상대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음성대조군; (+): PolyI:C 및 IL-4 처리군; Dex: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처리군; 비교예 1: 지실 추출물 처리군; 및 실시예 1: 발효 지실의 추출물 처리군.
도 7은 발효 지실을 포함하는 에센스의 보습 및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발효 지실을 포함하는 에센스의 홍반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피부 홍반도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발효 지실을 포함하는 에센스의 홍반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제품 적용 후의 임상 사진이다.
Fig. 1 shows the mechanism of the conversion of pseudo-lysine, which is a major component of the fibril, into β-glucosidase and α-lamb- nocodase enzymes by solid phase fermentation using Aspergillus niger strain.
FIG. 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content of the pon smectin component contained in the product before and after the solid fermentation of the pongee according to the strain type: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Extract of fermented zipper fermented with saccharomyces cerevise; Comparative Example 3, Extract of Fermented Fiber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And Example 1, an extract of a fermentation zipper fermented with Aspergillus niger.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level of mRNA of TNF-α in keratinocyte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fermentation fungus. (-): negative control; (+): PolyI: C and IL-4 treated group; Dex: a positive control group dexamethasone treated group; Comparative Example 1: Taxol extract treatment group; And Example 1: Extract-treated group of fermented zipper.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level of mRNA of IL-6 in keratinocyte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fermentation fungus. (-): negative control; (+): PolyI: C and IL-4 treated group; Dex: a positive control group dexamethasone treated group; Comparative Example 1: Taxol extract treatment group; And Example 1: Extract-treated group of fermented zipper.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level of mRNA of IL-8 in keratinocyte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fermentation fungus. (-): negative control; (+): PolyI: C and IL-4 treated group; Dex: a positive control group dexamethasone treated group; Comparative Example 1: Taxol extract treatment group; And Example 1: Extract-treated group of fermented zipper.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level of mRNA of TSLP in keratinocyte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topic dermatitis of the fermented wipe. (-): negative control; (+): PolyI: C and IL-4 treated group; Dex: a positive control group dexamethasone treated group; Comparative Example 1: Taxol extract treatment group; And Example 1: Extract-treated group of fermented zipper.
FIG. 7 is a graph showing recovery rate (%) of transdermal water los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isturizing effect and the skin barrier improvement effect of the essence including the fermentation fudge.
8 is a graph showing the improvement rate (%) of erythema of the ski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rythema-improving effect of the essence containing the fermentation fudge.
FIG. 9 is a clinical picture after application of the produc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rythema-improving effect of the essence including the fermentation wil.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발효 지실 및 이의 추출물의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Aspergillus niger Fermentation Fibrosis and Its Extracts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 niger)로 지실을 고체 발효하여 발효 지실을 제조하고,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Solid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with Aspergillus niger ( A. niger ) to produce a fermentation waste, and an extract of the fermentation waste was prepared.

먼저, 지실을 경동시장(서울, 한국)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수분함량이 11%인 지실 1kg에 물을 0.62kg 첨가하여 수분함량이 45%가 되게 하였다. 121℃에서 30분간 멸균한 후, 감자한천배지에서 키운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 niger)를 포자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멸균된 지실에 넣어 33℃, 60~65시간, 75~85%의 습도에서 고체 발효를 하였다. 고체 발효한 지실은 60℃에서 수분함량이 12% 미만이 될 때까지 건조한 후 분쇄하였다.First, we purchased and prepared Jisil from Kyungdong market (Seoul, Korea). Water (0.62 kg) was added to 1 kg of the wiping paper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11% to make the water content 45%. After sterilization at 121 ° C for 30 minutes, A. niger was prepared from spore suspension in a potato agar medium and incubated at 33 ° C for 60 to 65 hours at 75 ° C to 85% Lt; RTI ID = 0.0 >%< / RTI > The solid fermented fibrils were dried and pulverized at 60 캜 until the moisture content was less than 12%.

분말화된 발효 지실 100g을 추출용기에 넣고, 추출 용매로서 70중량% 에탄올 수용액 1L에 침적하여 24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3000rpm, 10분간 원심분리한 상등액을 0.45μm 막 여과를 하여 여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여액을 회전식 증발건조기로 감압 농축하여 5~7g의 농축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농축 추출물은 인 비트로(in vitro) 피부 효능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에센스 제형에 첨가하여 임상용으로 사용하였다. 100 g of the pulverized fermentation feces was placed in an extraction container and immersed in 1 L of a 70% by weight aqueous ethanol solution as an extraction solvent and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to obtain an extract. The supernatant, which was centrifuged at 3000 rpm for 10 minutes, was filtered through a 0.45 μm membrane to prepare a filtrate.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rotary evaporator to obtain 5 to 7 g of concentrated extract. The obtained concentrated extract was used for in vitro skin test, added to the essence formulation, and used for clinical use.

비교예 1: 지실 추출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1: Preparation of goat cheese extract

지실을 경동시장(서울, 한국)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수분함량이 11%인 지실 1kg에 물을 0.62kg 첨가하여 수분함량이 45%가 되게 하였다. 121℃에서 30분간 멸균한 후, 60℃에서 수분함량이 12% 미만이 될 때까지 건조한 후 분쇄하였다.We purchased and prepared Jisil from Kyungdong market (Seoul, Korea). Water (0.62 kg) was added to 1 kg of the wiping paper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11% to make the water content 45%. Sterilized at 121 占 폚 for 30 minutes, dried and pulverized at 60 占 폚 until the moisture content became less than 12%.

분말화된 지실 100g을 추출용기에 넣고, 추출 용매로서 70중량% 에탄올 수용액 1L에 침적하여 24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3000rpm, 10분간 원심분리한 상등액을 0.45μm 막 여과를 하여 여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여액을 회전식 증발건조기로 감압 농축하여 4~6g의 농축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농축 추출물은 인 비트로(in vitro) 피부 효능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에센스 제형에 첨가하여 임상용으로 사용하였다.100 g of powdered groundwater was placed in an extraction vessel, immersed in 1 L of 70 wt% ethanol aqueous solution as an extraction solvent,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to obtain an extract. The supernatant, which was centrifuged at 3000 rpm for 10 minutes, was filtered through a 0.45 μm membrane to prepare a filtrate.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rotary evaporator to obtain 4-6 g of concentrated extract. The obtained concentrated extract was used for in vitro skin test, added to the essence formulation, and used for clinical use.

비교예 2: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발효 지실 및 이의 추출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2: Prepar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ented zipper and its extract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ae)로 지실을 고체 발효하여 발효 지실을 제조하고,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Saka access to my serenity Wiese (Saccharomyces The fermented waste was prepared by solid fermentation of the fibrils with.

먼저, 지실을 경동시장(서울, 한국)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수분함량이 11%인 지실 1kg에 물을 0.62kg 첨가하여 수분함량이 45%가 되게 하였다. 121℃에서 30분간 멸균한 후, 감자한천브로스(Potato Dextrose Broth, BD Difco, USA)에서 키운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S. cerevisae)를 종균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멸균된 지실에 접종하여 33℃, 60~65시간, 75~85%의 습도에서 고체 발효를 하였다. 고체 발효한 지실은 60℃에서 수분함량이 12% 미만이 될 때까지 건조한 후 분쇄하였다.First, we purchased and prepared Jisil from Kyungdong market (Seoul, Korea). Water (0.62 kg) was added to 1 kg of the wiping paper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11% to make the water content 45%. After sterilization at 121 DEG C for 30 minutes, Saccharomyces cerevisae grown in Potato Dextrose Broth (BD Difco, USA) was prepared as a seed solution and inoculated into a sterilized zipper to obtain 33 Lt; 0 > C for 60 to 65 hours and 75 to 85% relative humidity. The solid fermented fibrils were dried and pulverized at 60 캜 until the moisture content was less than 12%.

분말화된 발효 지실 100g을 추출용기에 넣고, 추출 용매로서 70중량% 에탄올 수용액 1L에 침적하여 24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3000rpm, 10분간 원심분리한 상등액을 0.45μm 막 여과를 하여 여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여액을 회전식 증발건조기로 감압 농축하여 4~6g의 농축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농축 추출물은 유효성분 비교에 사용하였다100 g of the pulverized fermentation feces was placed in an extraction container and immersed in 1 L of a 70% by weight aqueous ethanol solution as an extraction solvent and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to obtain an extract. The supernatant, which was centrifuged at 3000 rpm for 10 minutes, was filtered through a 0.45 μm membrane to prepare a filtrate.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rotary evaporator to obtain 4-6 g of concentrated extract. The obtained concentrated extract was used for comparison of the active ingredients

비교예 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발효 지실 및 이의 추출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3: Prepar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fermented soybean and its extract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지실을 고체 발효하여 발효 지실을 제조하고,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 was used for solid fermentation to produce a fermentation chamber and an extract of fermentation chamber was prepared.

먼저, 지실을 경동시장(서울, 한국)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수분함량이 11%인 지실 1kg에 물을 0.62kg 첨가하여 수분함량이 45%가 되게 하였다. 121℃에서 30분간 멸균한 후, MRS 브로스(MRS Broth, BD Difco, USA)에서 키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을 종균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멸균된 지실에 접종하여 33℃, 60~65시간, 75~85%의 습도에서 고체 발효를 하였다. 고체 발효한 지실은 60℃에서 수분함량이 12% 미만이 될 때까지 건조한 후 분쇄하였다.First, we purchased and prepared Jisil from Kyungdong market (Seoul, Korea). Water (0.62 kg) was added to 1 kg of the wiping paper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11% to make the water content 45%. On the 121 ℃ sterilized 30 minutes, MRS broth to prepare a Lactobacillus Planta room (L. Plantarum) grown in (MRS Broth, BD Difco, USA) to the seed solution, and inoculated them in sterilized jisil 33 ℃, 60 To 65 hours, at a humidity of 75 to 85%. The solid fermented fibrils were dried and pulverized at 60 캜 until the moisture content was less than 12%.

분말화된 발효 지실 100g을 추출용기에 넣고, 추출 용매로서 70중량% 에탄올 수용액 1L에 침적하여 24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3000rpm, 10분간 원심분리한 상등액을 0.45μm 막 여과를 하여 여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여액을 회전식 증발건조기로 감압 농축하여 4~6g의 농축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농축 추출물은 유효성분 비교에 사용하였다100 g of the pulverized fermentation feces was placed in an extraction container and immersed in 1 L of a 70% by weight aqueous ethanol solution as an extraction solvent and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to obtain an extract. The supernatant, which was centrifuged at 3000 rpm for 10 minutes, was filtered through a 0.45 μm membrane to prepare a filtrate.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rotary evaporator to obtain 4-6 g of concentrated extract. The obtained concentrated extract was used for comparison of the active ingredients

실험예 1: 지실과 발효 지실의 유효성분 비교Experimental Example 1: Comparison of effective components of the feedstock and the fermented feedstock

상기 실시예 1의 발효 지실, 비교예 1의 지실 추출물, 비교예 2 및 3의 발효 지실에 대하여, 다음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조건에서 유효성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유효성분은 배당체인 폰시린(poncirin)과 비배당체인 폰시레틴(ponciretin)을 분석하였다. 표준시약 폰시레틴은 코아사이언스(http://www.coresciences.co.kr/, Korea)에서 구입하여 80% 메탄올에 녹인 후, 0.45μm 필터로 여과한 후, 표준액으로 사용하였다.The fermented zipper of Example 1, the zipper extract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fermentation zipper of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the change of active ingredient under the follow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onditions. The active ingredient was analyzed for glycosides poncirin and non-glycoside ponciretin. Standard reagent Voncietin was purchased from Core Science (http://www.coresciences.co.kr/), dissolved in 80% methanol, filtered through a 0.45 μm filter, and used as a standard solution.

<HPLC 분석 조건><HPLC analysis conditions>

- HPLC 모형: HPLC-UV-Vis detector(Walnut Creek, CA, USA)- HPLC model: HPLC-UV-Vis detector (Walnut Creek, CA, USA)

- 컬럼: Shiseido Capcell Pak C18 column(Chuoku, Japan)- Column: Shiseido Capcell Pak C18 column (Chuoku, Japan)

- 용매 구배 모드(Gradient mode): - Solvent Gradient mode:

시간 (min)Time (min) 용매 A (%)Solvent A (%) 용매 B (%)Solvent B (%) 00 6060 4040 1010 6060 4040 2020 5050 5050 3030 4040 6060 3535 6060 4040

- 용매 A; 0.05% 인산용액 B; MeOH- solvent A; 0.05% phosphoric acid solution B; MeOH

- 주입 용량(Injection volume): 10 ㎕- Injection volume: 10 μl

- 실행 시간(Run time): 35 min- Run time: 35 min

- 파장: 246 nm- Wavelength: 246 nm

- 유속: 1 ㎖/min- Flow rate: 1 ml / min

- 검량선을 위한 표준액 농도: 0, 1, 2, 4, 8 ppm- Standard concentration for calibration curve: 0, 1, 2, 4, 8 ppm

도 1은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균주를 사용하여 지실의 고체 발효 시, 지실의 주성분인 폰시린이 β-글루코시다제와 α-람노시다제 효소에 의하여 폰시레틴으로 전환되는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Fig. 1 shows the mechanism of the conversion of pseudo-lysine, which is a major component of the fibril, into β-glucosidase and α-lamb- nocodase enzymes by solid phase fermentation using Aspergillus niger strain.

도 2는 균주 종류에 따른 지실의 고체 발효 전과 후의 생성물에 함유된 폰시레틴 성분의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비교예 1, 지실의 추출물; 비교예 2,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로 발효시킨 발효 지실의 추출물; 비교예 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으로 발효시킨 발효 지실의 추출물; 및 실시예 1,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로 발효시킨 발효 지실의 추출물. FIG. 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content of the pon smectin component contained in the product before and after the solid fermentation of the pongee according to the strain type: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Extract of fermented zipper fermented with saccharomyces cerevise; Comparative Example 3, Extract of Fermented Fiber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And Example 1, an extract of a fermentation zipper fermented with Aspergillus niger.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효 전, 후인 비교예 1과 실시예 1은 폰시레틴 성분의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사용한 비교예 2 및 3의 발효 지실의 경우, 성분 변화가 거의 없었다. 곰팡이인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와 달리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은 체외성 다당류 분해 효소(Extracellular polysaccharide degradation enzyme)의 활성이 없어 고체 발효 시 지실의 세포벽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없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발효를 위해 효모 또는 유산균을 사용할 경우, 세포벽을 물리 화학적으로 분해한 약재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배양한다. 이와 달리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로 발효시킨 실시예 1의 발효 지실에서 비배당체 폰시레틴 성분이 추가로 생성되었다. 이는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 niger)의 세포외 효소에 의해 지실의 세포벽을 효과적으로 분해함과 동시에 지실 내의 폰시린으로부터 비배당체 폰시레틴 성분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는 지실의 추출물이 아닌 지실 자체를 고체 발효시키기에 적절한 균주로 확인되었다.As shown in Fig. 2, there was a change in the pornhistein component in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 1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fermentation fibrils of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or lactobacillus plantarum, there was almost no component change. Unlike the fungal Aspergillus niger, Saccharomyces cerevisiae or Lactobacillus plantarum lacks the activity of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degradation enzyme and can not effectively decompose the cell walls of the fibrillar during fermentation . For this reason, when yeast or lactic acid bacteria are used for fermentation, an extract of a pharmacologically degraded medicinal cell wall is cultured. In contrast, an additional non-glycosyl picricin component was produced in the fermentation chamber of Example 1 fermented with Aspergillus niger. It was judged that the extracellular enzyme of Aspergillus niger effectively decomposes the cell wall of the zygosity and at the same time produces the non-glycosylated picrystine component from the pysyline in the zygos. Thus, Aspergillus niger has been identified as a strain suitable for solid fermentation of the waste yarn itself, not the extract of zygosum.

실험예 2: 발효 지실의 염증 인자 개선 효과Experimental Example 2: Improvement of Inflammatory Factor of Fermentation Fibrosis

2-1. 인간 피부 각질형성세포주 HaCaT 세포 배양2-1. Human skin keratinocyte cell line HaCaT cell culture

인간 피부의 구성 세포주인 각질형성세포 HaCaT(Human keratinocytes)를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항생제가 들어있는 DMEM 배양액을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용기는 75T-플라스크와 6-웰 플레이트(6-well plate)를 사용하였으며 5% CO2가 공급되는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은 3~4일마다 교환해 주며 세포가 과다하게 증식되었을 때는 계대배양 하였다.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배양 24시간 후, 인산 완충 식염수 용액(PBS)로 세척하였다. FBS를 넣지 않은 DMEM 배지에 PolyI:C 및 IL-4와 함께 실시예 1의 발효 지실 추출물과 비교예 1의 지실 추출물을 최종 농도가 10 ppm이 되도록 각각 희석하여 각 웰에 첨가하였다. 양성대조군은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1μM을 처리하였다. 4시간 후 cDNA를 합성하고 PCR을 실시하여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Human keratinocytes were cultured in DME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and antibiotics. The culture was carried out in a 75T-flask and a 6-well plate, and cultured in a 37 ° C incubator with 5% CO 2 . The culture medium was changed every 3 to 4 days. When the cells were overproduced, they were subcultured. Cells were dispensed into 6-well plates and washed with phosphate-buffered saline solution (PBS) 24 hours after incubation. The fermented zygote extract of Example 1 and the zygomycetum extract of Comparative Example 1 were diluted to a final concentration of 10 ppm with PolyI: C and IL-4, respectively, in DMEM without FBS and added to each well. Positive controls were treated with 1 μM dexamethasone. After 4 hours, cDNA was synthesized and PCR was performed to evaluate gene expression level.

2-2. 실시간(Real-time) PCR을 이용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저감 효과 확인2-2. Identifica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abatement effect using real-time PCR

상기 실험예 2-1에서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하고, 시아닌 염료인 SYBR 그린(green) 마스터 혼합물(master mix)을 사용하여 실시간(real-time)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TNF-α, IL-6, IL-8의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유전자에 관한 발현은 Ct(threshold cycle) 방법에 의한 내부 대조 유전자 베타-액틴(beta-actin)의 보정 정량화를 통한 상대적인 값으로 비교되었다. 표 2에 실시간 PCR에 사용한 프라이머 정보를 나타내었다. The cDNA synthesized in Experimental Example 2-1 was used as a template and subjected to real-time PCR using a SYBR green master mix (cyanine dye) TNF-α, IL-6, and IL-8 gene expression levels were evaluated. Expression of the gene was compared with the relative value by calibrated quantification of the internal control gene beta-actin by the Ct (threshold cycle) method. Table 2 shows primer information used in real-time PCR.

유전자gene 서열번호SEQ ID NO: 프라이머 명칭Name of the primer 프라이머primer 방향 direction 프라이머 서열Primer sequence TNF-αTNF-a 1One TNF-alpha primer-FTNF-alpha primer-F 정방향Forward 5'-GCTATCTGGTGCCCAGGCTAT-3'5'-GCTATCTGGTGCCCAGGCTAT-3 ' 22 TNF-alpha primer-RTNF-alpha primer-R 역방향Reverse 5'-CGACGCCACAATCCTTGTAAT-3'5'-CGACGCCACAATCCTTGTAAT-3 ' IL-6IL-6 33 IL-6 primer-FIL-6 primer-F 정방향Forward 5'-TACCCCCAGGAGAAGATTCC-3'5'-TACCCCCAGGAGAAGATTCC-3 ' 44 IL-6 primer-RIL-6 primer-R 역방향Reverse 5'-TTTTCTGCCAGTGCCTCTTT-3'5'-TTTTCTGCCAGTGCCTCTTT-3 ' IL-8IL-8 55 IL-8 primer-FIL-8 primer-F 정방향Forward 5'-CCAACACAGAAATTATTGTAAAGC-3'5'-CCAACACAGAAATTATTGTAAAGC-3 ' 66 IL-8 primer-RIL-8 primer-R 역방향Reverse 5'-CGACGCCACAATCCTTGTAAT-3'5'-CGACGCCACAATCCTTGTAAT-3 '

도 3은 발효 지실의 항염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각질형성세포에서 TNF-α의 mRNA 상대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음성대조군; (+): PolyI:C 및 IL-4 처리군; Dex: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처리군; 비교예 1: 지실 추출물 처리군; 및 실시예 1: 발효 지실의 추출물 처리군.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level of mRNA of TNF-α in keratinocyte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fermentation fungus. (-): negative control; (+): PolyI: C and IL-4 treated group; Dex: a positive control group dexamethasone treated group; Comparative Example 1: Taxol extract treatment group; And Example 1: Extract-treated group of fermented zipper.

도 4는 발효 지실의 항염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각질형성세포에서 IL-6의 mRNA 상대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음성대조군; (+): PolyI:C 및 IL-4 처리군; Dex: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처리군; 비교예 1: 지실 추출물 처리군; 및 실시예 1: 발효 지실의 추출물 처리군.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level of mRNA of IL-6 in keratinocyte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fermentation fungus. (-): negative control; (+): PolyI: C and IL-4 treated group; Dex: a positive control group dexamethasone treated group; Comparative Example 1: Taxol extract treatment group; And Example 1: Extract-treated group of fermented zipper.

도 5는 발효 지실의 항염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각질형성세포에서 IL-8의 mRNA 상대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음성대조군; (+): PolyI:C 및 IL-4 처리군; Dex: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처리군; 비교예 1: 지실 추출물 처리군; 및 실시예 1: 발효 지실의 추출물 처리군.FIG. 5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level of mRNA of IL-8 in keratinocyte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fermentation fungus. (-): negative control; (+): PolyI: C and IL-4 treated group; Dex: a positive control group dexamethasone treated group; Comparative Example 1: Taxol extract treatment group; And Example 1: Extract-treated group of fermented zipper.

도 3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poly I:C 및 IL-4에 의해 과발현된 TNF-α, IL-6, IL-8가 발효 지실의 추출물 처리에 따라 유의적으로 억제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대조군에 비하여 ##: p<0.01; +대조군에 비하여 **: p<0.01). 따라서, 발효 지실의 추출물은 항염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FIGS. 3 to 5, it was confirmed that TNF-α, IL-6 and IL-8 overexpressed by poly I: C and IL-4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fermented zucchini extract treatment ( - p <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 p <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 of the fermentation fungus was excellent i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실험예 3: 발효 지실의 TSLP 저해능 시험Experimental Example 3: TSLP Inhibition Test of Fermentation Waste

3-1. 인간 피부 각질형성세포주 HaCaT 세포 배양3-1. Human skin keratinocyte cell line HaCaT cell culture

TSLP(thymic stromal lymphopoietin)은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으로 파악되는 타입 2 헬퍼 T세포 매개성 면역 편향을 개시하는 최상위 싸이토카인으로 분류된다. 상기 실시예 1인 발효 지실의 추출물이 인간 각질형성세포 HaCaT에서 발생하는 TSLP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TSLP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is classified as a top-level cytokine that initiates type 2 helper T-cell mediated immune deficits that are recognized as the cause of atopic dermatitis. The degree of gene expression was evaluat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extract of the fermentation fungus of Example 1 on the expression of TSLP produced in human keratinocyte HaCaT.

구체적으로, 인간 피부의 구성 세포주인 각질형성세포 HaCaT를 10% 소태아혈청(FBS)과 항생제가 들어있는 DMEM 배양액을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용기는 75T-플라스크와 6-웰 플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5% CO2가 공급되는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은 3~4일마다 교환해 주며 세포가 과다하게 증식되었을 때는 계대배양 하였다.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배양 24시간 후, 인산 완충 식염수 용액(PBS)로 세척하였다. FBS를 넣지 않은 DMEM 배지에 PolyI:C 및 IL-4와 함께 실시예 1의 발효 지실 추출물과 비교예 1의 지실 추출물을 최종 농도가 10 ppm이 되도록 각각 희석하여 각 웰에 첨가하였다. 양성대조군은 덱사메타손 1μM을 처리하였다. 4 시간 후 cDNA를 합성하고 PCR을 실시하여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Specifically, keratinocyte HaCaT, a constitutive cell line of human skin, was cultured in a DMEM culture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and an antibiotic. The culture was carried out in a 75T-flask and a 6-well plate, and cultured in a 37 ° C incubator supplied with 5% CO 2 . The culture medium was changed every 3 to 4 days. When the cells were overproduced, they were subcultured. Cells were dispensed into 6-well plates and washed with phosphate-buffered saline solution (PBS) 24 hours after incubation. The fermented zygote extract of Example 1 and the zygomycetum extract of Comparative Example 1 were diluted to a final concentration of 10 ppm with PolyI: C and IL-4, respectively, in DMEM without FBS and added to each well. The positiv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1 μM of dexamethasone. After 4 hours, cDNA was synthesized and PCR was performed to evaluate gene expression level.

3-2. 실시간 PCR을 이용한 TSLP 저감 효과 확인3-2. Identification of TSLP abatement effect using real-time PCR

상기 실험예 3-1에서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하고, 시아닌 염료인 SYBR 그린(green) 마스터 혼합물(master mix)을 사용하여 실시간(real-time)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TSLP의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유전자에 관한 발현은 Ct(threshold cycle) 방법에 의한 내부 대조 유전자 베타-액틴(beta-actin)의 보정 정량화를 통한 상대적인 값으로 비교되었다. 표 3에 실시간 PCR에 사용한 프라이머 정보를 나타내었다. The cDNA synthesized in Experimental Example 3-1 was used as a template and real-time PCR was performed using a SYBR green master mix (cyanine dye) The degree of gene expression of TSLP was evaluated. Expression of the gene was compared with the relative value by calibrated quantification of the internal control gene beta-actin by the Ct (threshold cycle) method. Table 3 shows the primer information used in the real-time PCR.

유전자gene 서열번호SEQ ID NO: 프라이머primer 명칭 designation 프라이머primer 방향 direction 프라이머 서열Primer sequence TSLPTSLP 77 TSLP primer-FTSLP primer-F 정방향Forward 5'-GCTATCTGGTGCCCAGGCTAT-3'5'-GCTATCTGGTGCCCAGGCTAT-3 ' 88 TSLP primer-RTSLP primer-R 역방향Reverse 5'-CGACGCCACAATCCTTGTAAT-3'5'-CGACGCCACAATCCTTGTAAT-3 '

도 6은 발효 지실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각질형성세포에서 TSLP의 mRNA 상대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음성대조군; (+): PolyI:C 및 IL-4 처리군; Dex: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처리군; 비교예 1: 지실 추출물 처리군; 및 실시예 1: 발효 지실의 추출물 처리군.FIG. 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level of mRNA of TSLP in keratinocyte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topic dermatitis of the fermented wipe. (-): negative control; (+): PolyI: C and IL-4 treated group; Dex: a positive control group dexamethasone treated group; Comparative Example 1: Taxol extract treatment group; And Example 1: Extract-treated group of fermented zipper.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poly I:C와 IL-4에 의해 과발현된 TSLP가 발효 지실의 추출물 처리에 따라 유의적으로 억제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대조군에 비하여 ##: p<0.01; +대조군에 비하여 **: p<0.01).As shown in FIG. 6, it was confirmed that the TSLP overexpressed by poly I: C and IL-4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fermented zucchini extract treatment (- **: p <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제형예 1 및 비교 제형예 1~3: 에센스의 제조Formul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s 1 to 3: Preparation of Essence

표 4와 같은 조성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으며, 각각 제형예 1 및 비교 제형예 1, 2, 3으로 하였다. Essences were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components and the composition ratios as shown in Table 4, and they were Formul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s 1, 2 and 3,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 따른 발효 지실의 추출물이 첨가된 제형은 제형예 1, 비교예 1에 따른 지실 추출물이 첨가된 제형은 비교 제형예 1, 기존의 피부진정효과로 알려져 있는 지실 추출물 화장품 원료가 첨가된 제형은 비교 제형예 2, 그리고 지실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음성대조군을 비교 제형예 3으로 하였다.Specifically, the formulation to which the extract of the fermentation fiber compartment according to Example 1 was added had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Formul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formulation with the extract of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Was added to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2, and the negative control to which the root extract was not added was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3.

전성분명(함량: 중량%)Clear (content:% by weight) 제형예 1Formulation Example 1 비교제형예 1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비교제형예 2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2 비교제형예 3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3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0.50.5 0.50.5 0.50.5 0.50.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 PEG-100 stearate 0.50.5 0.50.5 0.50.5 0.50.5 PEG-40 스테아레이트PEG-40 stearate 0.80.8 0.80.8 0.80.8 0.80.8 C14-22 알콜/C12-20 알킬 글루코시드C14-22 alcohol / C12-20 alkyl glucoside 0.20.2 0.20.2 0.20.2 0.20.2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33 33 33 33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1One 1One 1One 1O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33 33 33 33 정제수Purified water 53.153.1 50.150.1 50.150.1 50.150.1 글리세린glycerin 1One 1One 1One 1One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44 44 44 44 카보머Carbomer 8.58.5 8.58.5 8.58.5 8.58.5 잔탄검Xanthan gum 1010 1010 1010 1010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 / 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8.58.5 8.58.5 8.58.5 8.58.5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40.4 0.40.4 0.40.4 0.40.4 트로메타민Tromethamine 4.54.5 4.54.5 4.54.5 4.54.5 발효 지실 추출물Fermented persimmon extract 33 00 00 00 지실 추출물Ginseng extract 00 33 00 00 지실 추출물 화장품 원료Raw material extracts Cosmetic ingredients 00 00 33 00 1,2-헥산디올1,2-hexanediol 1One 1One 1One 1One 합계Sum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실험예 4: 발효 지실의 피부 진정 효과 확인Experimental Example 4: Confirmation of skin soothing effect of fermentation wipes

상기 제형예 1 및 비교 제형예 1~3에 대하여 인체 적용 효능을 평가하는 실험을 하였다.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human body to Formul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s 1 to 3.

구체적으로, 건강한 성인 5명(평균 연령 35.8세)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효능을 평가하였다. Specifically, five healthy adults (mean age 35.8 years) were evaluated for efficacy as follows.

① 시험부위(하박 내측)에 정상 피부의 손상 전 경피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였다.①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was measured before the damage of normal skin on the test site (inner part of hump).

② 1% SLS 수용액 30 μl을 각 IQ 챔버에 로딩한 후, 시험부위에 24시간 첩포하여 손상을 유도하였다.② After loading 30 μl of 1% SLS solution into each IQ chamber, damage was induced by applying the test site for 24 hours.

③ 첩포 제거 후, 시험부위를 흐르는 물로 씻은 뒤 10분간 항온항습실에서 대기하였다.③ After removing the patches, the test area was washed with running water and then allowed to stan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room for 10 minutes.

④ 첩포 제거 직후(=손상 후), 제품 사용 1일, 제품 사용 2일, 제품 사용 6일, 제품 사용 14일 차의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은 손상된 피부장벽 회복률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다.④ The transdermal water loss was measured immediately after removal of the patch (= after damage), 1 day of product use, 2 days of product use, 6 days of product use and 14 days of product use. The recovery rate of transdermal water loss was used in the same sense as the recovery rate of damaged skin barrier.

⑤ 첩포 제거 직후(=손상 후), 제품 사용 1일, 제품 사용 2일, 제품 사용 6일, 제품 사용 14일 차의 피부홍반도를 측정하였다.⑤ Skin erythema of 1 day, 2 days of product use, 6 days of product use and 14 days of product use were measured immediately after removal of the patch (= after damage).

측정기기는 테와미터(Tewameter; CK electronic, Germany) 및 멕사미터(Mexameter; CK electronic, Germany)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제품 사용 후, 각 측정 시험의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과 홍반 감소율(%)을 하기 계산식 1 또는 2에 따라 산출하여 효능여부를 판단하였다.The measuring instrument was a Tewameter (CK electronic, Germany) and a Mexameter (CK electronic, Germany).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recovery rate (%) and the reduction rate (%) of transdermal water loss in each measurement test after the use of the product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1 or 2, and the efficacy was evaluated.

[계산식 1][Equation 1]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손상 직후 TEWL-측정시점 TEWL)/(손상 직후 TEWL-손상 전 TEWL)*100Percutaneous water loss recovery rate (%) = (TEWL immediately after injury TEWL) / (TEWL immediately after injury-TEWL before injury) * 100

[계산식 2][Equation 2]

홍반 감소율(%)={(손상 후 홍반지수-측정시점 홍반지수)/손상 후 TEWL}*100Reduced rate of erythema (%) = {(erythema index after impairment - erythema index at measurement) / TEWL after damage} * 100

도 7은 발효 지실을 포함하는 에센스의 보습 및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7 is a graph showing recovery rate (%) of transdermal water los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isturizing effect and the skin barrier improvement effect of the essence including the fermentation fudge.

도 8은 발효 지실을 포함하는 에센스의 홍반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피부 홍반도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8 is a graph showing the improvement rate (%) of erythema of the ski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rythema-improving effect of the essence containing the fermentation fudge.

도 9는 발효 지실을 포함하는 에센스의 홍반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제품 적용 후의 임상 사진이다. FIG. 9 is a clinical picture after application of the produc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rythema-improving effect of the essence including the fermentation wil.

도 7 내지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효 지실을 포함하는 제형에서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홍반 감소율에서도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As shown in Figs. 7 to 9, the recovery rate of transdermal water loss was the highest in the formulation containing the fermentation fibrils, and the efficacy was also excellent in the erythema reduction rate.

<110> Cosmax Co., Ltd. <120> A composition for skin smoothing comprising an extract of fermented ponciri fructus <130> PN117388 <160> 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lpha primer-F <400> 1 gctatctggt gcccaggcta t 21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lpha primer-R <400> 2 cgacgccaca atccttgtaa t 21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 primer-F <400> 3 tacccccagg agaagattcc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 primer-R <400> 4 ttttctgcca gtgcctcttt 20 <210> 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8 primer-F <400> 5 ccaacacaga aattattgta aagc 24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8 primer-R <400> 6 cgacgccaca atccttgtaa t 21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SLP primer-F <400> 7 gctatctggt gcccaggcta t 21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SLP primer-R <400> 8 cgacgccaca atccttgtaa t 21 <110> Cosmax Co., Ltd. <120> A composition for skin smoothing an extract of          fermented beetle fructus <130> PN117388 <160> 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TNF-alpha primer-F <400> 1 gctatctggt gcccaggcta t 21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lpha primer-R <400> 2 cgacgccaca atccttgtaa t 21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IL-6 primer-F <400> 3 tacccccagg agaagattcc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IL-6 primer-R <400> 4 ttttctgcca gtgcctcttt 20 <210> 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IL-8 primer-F <400> 5 ccaacacaga aattattgta aagc 24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IL-8 primer-R <400> 6 cgacgccaca atccttgtaa t 21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SLP primer-F <400> 7 gctatctggt gcccaggcta t 21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SLP primer-R <400> 8 cgacgccaca atccttgtaa t 21

Claims (13)

지실을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속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soothing, comprising an extract of a fermented soybean polysaccharide fermented with a strain of Aspergillus as an active ingredi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진정은 항염증, 아토피 피부염 개선, 피부 보습, 또는 홍반 감소인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skin soothing is anti-inflammatory, atopic dermatitis improvement, skin moisturizing, or erythema redu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spergillus niger) 균주인 것인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ain is an Aspergillus niger stra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고체 발효인 것인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ermentation is a solid ferment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C1-C6의 알콜,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인 것인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 is an extract of C1-C6 alcohol, water, or a mixture there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인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ract is an ethanol extra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폰시레틴(ponciretin)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 comprises ponciretin. 지실을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속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식품 조성물.A composition for skin-soothing food comprising an extract of a fermented soybean flour fermented with a strain of Aspergillus genus as an active ingredient. 지실을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속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질환, 아토피 피부염, 또는 피부 홍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inflammation diseases, atopic dermatitis, or skin erythema comprising an extract of a fermentation fungus fermented with a strain of Aspergillus genus as an active ingredient. 지실을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속 균주로 발효시켜 발효 지실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 지실을 C1-C6의 알콜,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Fermenting the strain to a strain of the genus Aspergillus to produce a fermentation waste; And
And contacting said fermentation fiber compartment with a C1-C6 alcohol, water, or a mixture thereof.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spergillus niger) 균주인 것인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rain is an Aspergillus niger strai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고체 발효인 것인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ermentation is a solid fermenta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25 내지 35℃에서 60 내지 65 시간 동안 75 내지 85% 습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ermentation is performed at 25 to 35 DEG C for 60 to 65 hours at 75 to 85% humidity.
KR1020170091053A 2017-07-18 2017-07-18 A composition for skin smoothing comprising an extract of fermented ponciri fructus KR101994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053A KR101994618B1 (en) 2017-07-18 2017-07-18 A composition for skin smoothing comprising an extract of fermented ponciri fruc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053A KR101994618B1 (en) 2017-07-18 2017-07-18 A composition for skin smoothing comprising an extract of fermented ponciri fruc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164A true KR20190009164A (en) 2019-01-28
KR101994618B1 KR101994618B1 (en) 2019-07-02

Family

ID=6526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053A KR101994618B1 (en) 2017-07-18 2017-07-18 A composition for skin smoothing comprising an extract of fermented ponciri fruc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61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223B1 (en) 2019-12-13 2020-08-28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the fermented complex natural extrac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461A (en)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f kin trouble
KR101202367B1 (en) * 2010-03-19 2012-11-16 주식회사 콧데 Anti-acne composition containing a Nuruk ferment of Sophora flower extract
KR20140011746A (en) * 2012-07-19 2014-01-29 주식회사 해담 Composition for allevi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mineral including microorganism and natural enzyme
KR20160050406A (en) * 2014-10-29 2016-05-11 박지수 A method of produc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materials and cosmetic composition produced by the method
KR101662719B1 (en) 2014-01-21 2016-10-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rostate-related disease comprising Ponciri Fructus extrac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461A (en)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f kin trouble
KR101202367B1 (en) * 2010-03-19 2012-11-16 주식회사 콧데 Anti-acne composition containing a Nuruk ferment of Sophora flower extract
KR20140011746A (en) * 2012-07-19 2014-01-29 주식회사 해담 Composition for allevi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mineral including microorganism and natural enzyme
KR101662719B1 (en) 2014-01-21 2016-10-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rostate-related disease comprising Ponciri Fructus extract
KR20160050406A (en) * 2014-10-29 2016-05-11 박지수 A method of produc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materials and cosmetic composition produced by the metho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un Lee, Korean J. Plant Res. 29(3):305-312, 201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제24권,6호,729-730면(2008)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223B1 (en) 2019-12-13 2020-08-28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the fermented complex natural extr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618B1 (en)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639B1 (en) Novel strain of Fusidium coccineum spp., and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beauty comprising a culture solution of the strain
KR101693574B1 (en)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skin and anti-wrinkle comprising tyndalized lactic acid bacteria as effective component
KR102032033B1 (en) Fermentation method of lactic acid bacteria using citrus fruit and its use
CN111053716B (en) Application of Fuzhuan tea extract in preparation of skin conditioning product
KR102117218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beauty comprising extract of fermented soybean fermented with Aspergillus cristatus strain
KR20190079514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fermented aloe as effective component
KR102111752B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collagen synthesis
KR101419464B1 (en)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r fraction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for prevention of anti aging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236071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rouble Using an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or Paeonia lactiflora Cultured with Magma Seawater
KR102484422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Cactus and fermented product of Lactobacillus
KR101994618B1 (en) A composition for skin smoothing comprising an extract of fermented ponciri fructus
KR20140134572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and skin moisturing comprising Soybean fermented by Pichia jadinii and Aureobasidium pullulans bacteria
KR102019642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beauty comprising extract of fermented soybean fermented with Aspergillus cristatus strain
KR102004150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beauty comprising extract of fermented ginseng fermented with Aspergillus cristatus strain
KR102046298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beauty comprising extract of fermented Lentinula edodes fermented with Aspergillus cristatus strain
KR102239415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beauty comprising extract of fermented roots of Panax notoginseng by Aspergillus cristatus strain
KR102462347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barrier function and anti-wrinkle effects comprising fermented eggplan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176883B1 (en)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anti-wrinkle, or wound healing containing Prunus persica resin
KR102224313B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KR102012366B1 (en) Composition for whitening comprising Withania somnifera callus extract
KR20180053014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combination extract of Spiraea prunifolia, Pyrus pyrifolia and Geum japonicum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diease
KR20220096031A (en) Brevibacillus borstelensis strain and its use for improving hair or scalp condition
TW202102239A (en) Antiaging agent,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gent and whitening agent, and cosmetic
KR20160087507A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haseolus Radiatus Seed, Phaseolus Vulgaris (Kidney Bean) Seed and Black Soybean extracts by fermentation and enzyme treatment
KR102004149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beauty comprising extract of fermented rice fermented with Aspergillus cristatus st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