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151A -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151A
KR20190009151A KR1020170091022A KR20170091022A KR20190009151A KR 20190009151 A KR20190009151 A KR 20190009151A KR 1020170091022 A KR1020170091022 A KR 1020170091022A KR 20170091022 A KR20170091022 A KR 20170091022A KR 20190009151 A KR20190009151 A KR 20190009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wave
base member
wave shielding
portable termina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호
Original Assignee
양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호 filed Critical 양경호
Priority to KR102017009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9151A/ko
Publication of KR2019000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를 차폐 또는 흡수할 수 있는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가 고리부재에 손가락을 끼워서 휴대단말기를 사용하거나 휴대단말기를 바닥면에 비스듬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과 함께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기능을 겸비한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며, 전자파를 차폐 또는 흡수하는 전자파 차단부재와;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 형태로 된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Cradle for Mobile Electric Applian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서 휴대단말기를 사용하거나 휴대단말기를 바닥면에 비스듬하게 거치하는 기능과 함께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겸비한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전자북이나 문서편집 등을 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 되어 가고 있다. 특히,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어서 휴대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TV 시청, 영화감상, 사진기, 이메일 송수신, 문서편집 등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통해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의 전면부에 구비된 영상출력장치의 화면을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로 유지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벽과 같은 곳에 기대어 세워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있으면 어깨와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장시간 그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며, 벽에 기대어 세우는 것은 장소에 제한을 받으므로 매우 불편하다.
이에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한 거치장치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파지될 수 있고, 고리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키거나 고리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바닥면에 비스듬하게 세워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한 다양한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들은 단순히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하거나 바닥면에 비스듬하게 거치할 수 있는 기능만 제공하며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자파 차폐 부재를 휴대단말기의 외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481256호(2015.01.05. 등록) 등록특허 제10-1280783호(2013.06.25. 등록) 등록특허 제10-1316363호(2013.10.01.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파를 차폐 또는 흡수할 수 있는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가지며, 링 형태의 고리부재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서 휴대단말기를 사용하거나 휴대단말기를 바닥면에 비스듬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휴대단말기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대 회전이 발생할 때 회전 작동부에서 마찰력에 의한 마모 현상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며, 전자파를 차폐 또는 흡수하는 전자파 차단부재와;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 형태로 된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재는 전자파 차단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며 전자파를 차폐 또는 흡수하는 소재로 된 전자파 차단체와, 상기 전자파 차단체보다 작은 경도를 갖도록 되어 상기 전자파 차단체의 배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파를 차폐 또는 흡수하는 전자파 차단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휴대단말기의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하여 전자파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경도가 큰 전자파 차폐체와 상대적으로 경도가 작은 베이스부재 사이에 경도가 베이스부재와 동일 또는 유사한 회동플레이트가 개재되므로 베이스부재를 전자파 차폐부재에 대해 회전하여 휴대단말기의 각도를 조정할 때 베이스부재와 전자파 차폐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돌기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고리부재가 완전히 닫혀진 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일측이 개방된 개방형 링으로 이루어질 경우, 고리부재를 통해 원활하게 방전이 이루어져 정전기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의 작동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는, 휴대단말기(M)의 배면에 부착되는 전자파 차단부재(20)와,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20)의 배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힌지축(3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의 링 형태로 된 고리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20)는 휴대단말기(M)의 배면에 부착되어 휴대단말기(M)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 또는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20)는 휴대단말기(M)의 배면에 부착되며 전자파를 차폐 또는 흡수하는 소재로 된 전자파 차단체(21)와, 상기 전자파 차단체(21)보다 작은 경도를 갖도록 되어 상기 전자파 차단체(21)의 배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회동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파 차단체(21)는 전자파를 차폐 또는 흡수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진 페라이트, 테라헤르츠파를 주사한 스테인레스스틸, 샌더스트, 니켈합금, 아몰퍼스, 코발트 등의 소재로 만들어진다. 상기 전자파 차단체(21)는 중심부에 관통공(21a)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원반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공(21a)은 사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타원형, 트랙형 등 원형이 아닌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전자파 차단체(21)의 표면적을 넓혀 전자파 차폐 또는 흡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자파 차단체(21)의 전단부에 플랜지(21b)를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파 차단체(21)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된 베이스부재(10)보다 경도가 큰 소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파 차단체(21)와 베이스부재(10)가 직접 맞닿게 되면 베이스부재(10)가 전자파 차단체(21)에 대해 회전 운동할 때 베이스부재(10)와 전자파 차단체(21)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 제한을 위한 구성부, 예를 들어 돌기 등이 마모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파 차단체(21)와 베이스부재(10) 사이에 베이스부재(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경도를 갖는 소재로 된 회동플레이트(22)를 개재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파 차단체(21)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휴대단말기(M)의 배면 또는 휴대단말기(M)에 장착된 케이스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동플레이트(22)는 상기 전자파 차단체(21)의 직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반형으로 이루어져 전자파 차단체(21)의 배면에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으로 부착된다. 상기 회동플레이트(22)의 중앙에는 상기 전자파 차단체(21)의 관통공(21a)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회동플레이트(22)와 전자파 차단체(21) 간의 슬립(slip) 현상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보스(24)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립방지보스(24)는 상기 관통공(21a)과 대응하는 형태(이 실시예에서 사각형)로 되어 베이스부재(10)와 회동플레이트(22) 간에 상대 회전력이 발생했을 때 회동플레이트(22)가 전자파 차단체(21)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슬립방지보스(24)의 중앙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중앙에 형성된 회전축(13)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형의 축삽입공(22a)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2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자파 차단부재(20)에 대해 회전하면서 휴대단말기(M)의 자세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20)가 수용되는 수납홈(11a)이 형성되어 있는 원반형의 마운트부(11)와, 상기 마운트부(11)의 테두리 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재(30)에 형성된 힌지축(31)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홈(12a)을 구비한 2개의 힌지결합부(12)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트부(11)의 중앙에는 상기 회동플레이트(22)의 축삽입공(22a)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13)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3)은 상기 회동플레이트(22)의 축삽입공(22a)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3)의 전단부에는 회동플레이트(22)의 축삽입공(22a) 내측으로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13a)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2개로 분할된 회전축(13) 부분들이 오므려지지 않도록 수축방지핀(25)이 중앙에 삽입된다.
상기 고리부재(30)가 힌지축(31)을 중심으로 베이스부재(10)에 대해 회전하여 베이스부재(10)에 대해 직립한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마운트부(11)의 테두리 중 힌지결합부(12) 사이에 고리부재(30)에 걸리는 회전제한부(14)가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재(3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링으로 형성되고, 일측부에 2개의 힌지축(3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힌지축(31)이 상기 힌지결합부(12)의 힌지홈(12a)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재(30)의 힌지축(31) 사이에는 원호 형태로 된 걸림부(34)가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재(30)가 힌지축(31)을 중심으로 베이스부재(10)에 대해 일정 각도로, 예컨대 대략 90°로 회전했을 때 상기 걸림부(34)가 회전제한부(14)에 접촉하여 걸려지면서 고리부재(3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고, 고리부재(30)가 베이스부재(10)에 대해 대체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리부재(30)는 전체가 닫혀진 원형의 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리부재(30)가 일측이 개방된 링 형태를 가지면 정전기 방지 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고리부재(3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방전이 일어나 정전기 방지 효과가 향상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전에 의한 정전기 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킴과 더불어 고리부재(10)가 마운트부(11)의 테두리 부분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리부재(30)의 개방된 부분의 양 끝단에는 구 형태의 방전부(3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재(30)의 개방된 부분은 이 실시예와 같이 힌지축(31)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지만,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힌지축(31)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10)가 회동플레이트(22)에 대해 회전하게 될 때 베이스부재(10)가 회동플레이트(22)에 대해 회전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마운트부(11)의 전면(前面)과 회동플레이트(22)의 배면 사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결정홈(23)과 상기 위치결정홈(23)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복수의 위치결정돌기(15)가 배열되어 상기 회동플레이트(22)가 베이스부재(10)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위치결정돌기(15)가 위치결정홈(23)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결정홈(23)은 상기 회동플레이트(22)의 배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15)는 마운트부(11)의 전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지만, 그 반대로 위치결정홈(23)이 마운트부(11)에 형성되고, 위치결정돌기(15)가 회동플레이트(22)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위치결정돌기(15)는 위치결정홈(23)과 동일한 갯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위치결정돌기(15)가 단 2개로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20)의 전자파 차단체(21)를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M)의 배면에 부착한다. 사용자가 고리부재(30)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단말기(M)를 휴대할 때에는 고리부재(30)가 접혀져서 베이스부재(10)의 마운트부(11)의 테두리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고리부재(30)를 손가락에 끼우거나 바닥면 등에 세워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손가락으로 고리부재(30)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고리부재(30)가 힌지축(31)을 중심으로 베이스부재(1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고리부재(30)에 베이스부재(10)에 대해 대략 90°로 회전하여 직립하게 되면 상기 고리부재(30)의 힌지축(31)과 인접한 일단부가 마운트부(11)의 회전제한부(14)에 맞닿으면서 걸려져 고리부재(30)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고리부재(30)에 손가락을 끼우거나 고리부재(30)를 바닥면 등에 세워서 휴대단말기(M)를 사용하기 편리한 자세로 사용하면 된다. 이 때 휴대단말기(M)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전환하거나 휴대단말기(M)의 방향을 시청에 편리한 자세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고리부재(30)를 잡고서 좌우로 회전시키면 베이스부재(10)가 회전축(13)을 중심으로 전자파 차단부재(20)의 회동플레이트(22)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마운트부(11)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위치결정돌기(15)들이 회동플레이트(22)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홈(23)에서 연속적으로 빠져나왔다 삽입되고, 더 이상 마운트부(11)에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위치결정돌기(15)와 위치결정홈(23) 간의 결합에 의해 마운트부(11)가 회동플레이트(22)에 대해 움직이지 않고 회전된 각도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는 전자파를 차폐 또는 흡수하는 전자파 차단부재(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휴대단말기(M)의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하여 전자파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경도가 큰 전자파 차단체(21)와 상대적으로 경도가 작은 베이스부재(10) 사이에 경도가 베이스부재(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회동플레이트(22)가 개재되므로 베이스부재(10)를 전자파 차단부재(20)에 대해 회전할 때 베이스부재(10)와 전자파 차단부재(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돌기(15)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고리부재(30)가 완전히 닫혀진 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일측이 개방된 개방형 링으로 이루어지므로, 고리부재(30)를 통해 방전이 이루어져 정전기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M : 휴대단말기 10 : 베이스부재
11 : 마운트부 12 : 힌지결합부
12a : 힌지홈 13 : 회전축
14 : 회전제한부 15 : 위치결정돌기
20 : 전자파 차단부재 21 : 전자파 차단체
22 : 회동플레이트 23 : 위치결정홈
30 : 고리부재 31 : 힌지축
32 : 방전부

Claims (10)

  1. 휴대단말기(M)의 배면에 부착되며, 전자파를 차폐 또는 흡수하는 전자파 차단부재(20)와;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20)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힌지축(3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 형태로 된 고리부재(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전자파 차단부재(2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20)는, 휴대단말기(M)의 배면에 부착되며 전자파를 차폐 또는 흡수하는 소재로 된 전자파 차단체(21)와, 상기 전자파 차단체(21)보다 작은 경도를 갖도록 되어 상기 전자파 차단체(21)의 배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재(10)와 접촉하면서 베이스부재(1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플레이트(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플레이트(22)의 배면과 베이스부재(10)의 전면(前面) 사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결정홈(23)과 상기 위치결정홈(23)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복수의 위치결정돌기(15)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플레이트(22)가 베이스부재(10)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위치결정돌기(15)가 위치결정홈(23)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중앙에 전방으로 회전축(13)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전자파 차단체(21)의 중앙에 다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된 관통공(21a)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플레이트(22)의 중앙에 상기 전자파 차단체(21)의 관통공(21a)과 대응하는 형태로 되어 관통공(21a)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회동플레이트(22)와 전자파 차단체(21) 간의 슬립(slip) 현상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보스(24)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슬립방지보스(24)의 중앙에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회전축(13)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형의 축삽입공(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3)의 전단부에 상기 축삽입공(22a) 내측으로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13a)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13)의 내측에는 회전축(13)이 오므려지지 않도록 수축방지핀(25)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재(30)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형 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재(30)의 개방된 부분의 양 끝단에는 구 형태의 방전부(32)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재(30)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재(30)의 힌지축(31)이 연결되는 베이스부재(10)의 일측부에 상기 고리부재(30)가 베이스부재(10)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했을 때 고리부재(30)의 일측단부가 걸려지도록 회전제한부(14)가 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20)가 수용되는 수납홈(11a)이 형성되어 있는 원반형의 마운트부(11)와, 상기 마운트부(11)의 테두리 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재(30)에 형성된 힌지축(31)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홈(12a)을 구비한 2개의 힌지결합부(12)와, 상기 마운트부(11)의 테두리 중 힌지결합부(12) 사이에 직선형으로 형성된 회전제한부(14)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재(30)의 힌지축(31) 사이에는 원호 형태로 된 걸림부(34)가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재(30)가 베이스부재(10)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했을 때 상기 걸림부(34)가 회전제한부(14)에 접촉하여 걸려지면서 고리부재(3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KR1020170091022A 2017-07-18 2017-07-18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KR20190009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022A KR20190009151A (ko) 2017-07-18 2017-07-18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022A KR20190009151A (ko) 2017-07-18 2017-07-18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151A true KR20190009151A (ko) 2019-01-28

Family

ID=6526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022A KR20190009151A (ko) 2017-07-18 2017-07-18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91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6228B2 (en) Suppor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CN107165927B (zh) 铰接元件
KR100909011B1 (ko)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와 이를 장착한 전자기기
US8248791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djustable leg
US20200089279A1 (en) Reel assembly,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7324152B2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US9900695B2 (en)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KR101777505B1 (ko)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CN109561178B (zh) 一种铰接件、终端设备的折叠机构及终端设备
KR200475504Y1 (ko) 이동통신기기의 거치장치
JP4767727B2 (ja) 回転構造を具えるモバイルタイプの入力装置
US8422213B2 (en) Slider electronic device
KR101960354B1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JP4625424B2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CN215499131U (zh) 电子设备保护壳
KR20190009151A (ko) 휴대단말기용 거치장치
US20230223976A1 (en) Mobile phone protective housing
WO2020000509A1 (zh) 一种具有可脱卸外置摄像头的拍摄设备保护壳
EP1848183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0702709B1 (ko)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180032805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지지장치
WO2019233080A1 (zh) 充电支架
CN112416056B (zh) 具有旋转摄像结构的显示器
CN112579493A (zh) 扩展坞
CN220570569U (zh) 一种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