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900A -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 - Google Patents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900A
KR20190007900A KR1020170089540A KR20170089540A KR20190007900A KR 20190007900 A KR20190007900 A KR 20190007900A KR 1020170089540 A KR1020170089540 A KR 1020170089540A KR 20170089540 A KR20170089540 A KR 20170089540A KR 20190007900 A KR20190007900 A KR 20190007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handle
fitting
handle lock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625B1 (ko
Inventor
권현수
Original Assignee
권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현수 filed Critical 권현수
Priority to KR102017008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6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8Flexible barrier members, e.g. cords; Means for rendering same conspicuous; Adapted supports, e.g. with storage r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는 끼움턱에서 손잡이가 이탈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잠기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에 관한 것으로, 본 차단봉은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장착되고, 외측 둘레에 수직으로 다수의 끼움턱이 장착되며, 차단벨트가 내부에 탄성 복원 가능하게 감겨 있고, 상기 차단벨트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단봉헤드와; 상기 차단벨트의 단부가 연결되는 상하로 긴 사각입방체 형태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외측홈과, 상기 외측홈의 상부로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과 하단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공과,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에 밀착되게 구비되고 상하로 긴 사각입방체 형태의 결합부재와, 상기 끼움턱에 상하로 끼워져 걸리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외면 하단에서 상부로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외측홈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측홈과, 상기 조립공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상단과 하단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조립돌기를 포함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고, 상기 끼움홈에 상기 끼움턱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끼움턱에 상기 손잡이를 잠그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잠금이 해제되는 손잡이 잠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BLOCKING POST HAVING HANDLE LOCKING PART}
본 발명은 지주의 위에 장착되는 차단봉헤드를 차단벨트로 서로 연결하여 사람의 통행의 차단이나 유도에 사용되는 차단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는 끼움턱에서 손잡이가 이탈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잠기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봉은 각종 연회장이나 행사장 또는 출입구 등에 사람이 한꺼번에 몰릴 경우 사고의 위험과 질서유지가 용이하지 않는 것을 감안하여 일정지역으로 사람이 통행하지 못하도록 통행을 차단하며 정해진 통로로만 사람이 통행하도록 통행을 안내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공사장이나 작업현장 등에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는 경계선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차단봉의 일예를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차단봉의 구조는 하단에 받침판을 가지며, 받침판 위에 지주(42)를 가지며, 상기 지주(42) 상단부에 임의로 길이가 신장되는 차단벨트(22)를 내장하는 벨트 하우징(25)을 갖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단봉은 상기 벨트 하우징(25)의 내측에 상기 차단벨트(22)가 두루마리식으로 감겨지며, 상기 벨트(22)가 풀린 후에 자동으로 감기도록 상기 벨트 하우징(25)의 내측에 태엽 스프링(29)이 구비되며, 상기 차단벨트(22)의 단부에는 손잡이(24)가 부착되며, 상기 손잡이(24)에는 요홈부(36)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24)의 요홈부(36)가 상기 벨트 하우징(25)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끼움턱(37)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24)가 상기 벨트 하우징(25)에 고정된다. 상기 벨트 하우징(25)의 상단에는 상부 뚜껑(27)이 끼워진 후에 상방 체결볼트(26)에 의해 상기 벨트 하우징(25)에 고정되며, 상기 벨트 하우징(25)의 하단에는 지주 체결구(32)가 하방 체결볼트(34)에 의해 상기 벨트 하우징(25)에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차단봉은 손잡이를 상부로 올리면 손잡이가 끼움턱에 쉽게 이탈되어 차단벨트에 의한 차단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0428829호 "다목적 차단봉"(2006.10.0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는 끼움턱에서 손잡이가 이탈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잠기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은,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장착되고, 외측 둘레에 수직으로 다수의 끼움턱이 장착되며, 차단벨트가 내부에 탄성 복원 가능하게 감겨 있고, 상기 차단벨트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단봉헤드와; 상기 차단벨트의 단부가 연결되는 상하로 긴 사각입방체 형태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외측홈과, 상기 외측홈의 상부로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과 하단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공과,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에 밀착되게 구비되고 상하로 긴 사각입방체 형태의 결합부재와, 상기 끼움턱에 상하로 끼워져 걸리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외면 하단에서 상부로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외측홈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측홈과, 상기 조립공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상단과 하단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조립돌기를 포함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고, 상기 끼움홈에 상기 끼움턱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끼움턱에 상기 손잡이를 잠그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잠금이 해제되는 손잡이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의 상기 손잡이 잠금부는, 상기 외측홈의 하단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 반원홈과, 상기 제1 반원홈에 대응하여 상기 내측홈의 하단으로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 반원홈과, 상기 내측홈의 하단에서 상부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중앙장공과, 상기 제1 반원홈과 제2 반원홈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으로 끼워지는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의 중앙 부위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장공에 끼워지며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턱이 걸리어 잠기거나 그 잠김을 해제할 수 있는 걸림돌기와, 상기 회전로드의 일단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상기 회전로드를 회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돌기와, 상기 회전로드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비틀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의 상기 손잡이 잠금부는, 상기 회전로드의 외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턱과, 상기 돌턱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회전로드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결합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의 상기 손잡이 잠금부는, 상기 중앙장공의 양측으로 상기 내측홈에 돌출되면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로드의 외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는 끼움턱에서 손잡이가 이탈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잠기어 사용상의 편의성과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봉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봉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봉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봉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차단봉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종래의 차단봉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따른 종래의 차단봉의 요부 확대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봉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단봉은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 장착되는 차단봉헤드(200)와, 상기 차단봉헤드(200)에 설치되는 손잡이(300)와, 상기 손잡이(300)에 설치되는 손잡이 잠금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100)는 상하로 긴 봉 형태로 구비되고 하단에 받침판(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차단봉헤드(200)를 지면에서 상부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차단봉헤드(20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단봉헤드(200)는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 장착되고 외측 둘레에 수직으로 다수의 끼움턱(201)이 장착되며 차단벨트(202)가 내부에 탄성 복원 가능하게 감겨 있고 상기 차단벨트(202)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차단벨트(202)가 내부에 수용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끼움턱(201)이 장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끼움턱(20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차단봉헤드(200)에 있는 손잡이(300)가 끼워져 걸리면서 상기 차단봉헤드(200)와 차단봉헤드(200) 사이에 차단벨트(202)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차단벨트(202)는 상기 차단봉헤드(200)와 차단봉헤드(200) 사이를 연결하는 띠로써, 사람의 출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300)는 하나의 차단봉헤드(200)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서 당겨서 상기 차단벨트(202)를 인출하는 역할을 하면서 다른 하나의 차단봉헤드(200)에 있는 끼움턱(201)에 끼워 상기 차단벨트(202)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차단벨트(202)의 단부가 연결되는 상하로 긴 사각입방체 형태의 연결부재(301)와, 상기 연결부재(301)의 외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외측홈(302)과, 상기 외측홈(302)의 상부로 상기 연결부재(301)의 상단과 하단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공(303)과, 상기 연결부재(301)의 외면에 밀착되게 구비되고 상하로 긴 사각입방체 형태의 결합부재(304)와, 상기 끼움턱(201)에 상하로 끼워져 걸리도록 상기 결합부재(304)의 외면 하단에서 상부로 형성되는 끼움홈(305)과, 상기 외측홈(302)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부재(304)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측홈(306)과, 상기 조립공(303)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재(304)의 상단과 하단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조립돌기(30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연결부재(301)와 결합부재(304)가 상기 조립공(303)과 조립돌기(307)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이를 통해 나사가 체결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외측홈(302)과 내측홈(306)에 의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빈 공간은 상기 손잡이 잠금부(40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끼움홈(305)은 하단이 개방되고 상부로 길게 형성되는 홈으로 상기 손잡이(300)를 상하로 움직여 다른 하나의 상기 차단봉헤드(200)에 있는 끼움턱(201)에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끼움홈(305)은 상기 끼움턱(201)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300)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끼움턱(201)에서 이탈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손잡이 잠금부(400)는 상기 손잡이(3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끼움홈(305)에 상기 끼움턱(201)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끼움턱(201)에 상기 손잡이(300)를 잠그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손잡이 잠금부(400)는 상기 외측홈(302)의 하단으로 상기 연결부재(301)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 반원홈(401)과, 상기 제1 반원홈(401)에 대응하여 상기 내측홈(306)의 하단으로 상기 결합부재(304)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 반원홈(402)과, 상기 내측홈(306)의 하단에서 상부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305)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중앙장공(403)과, 상기 제1 반원홈(401)과 제2 반원홈(402)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으로 끼워지는 회전로드(404)와, 상기 회전로드(404)의 중앙 부위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장공(403)에 끼워지며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턱(201)이 걸리어 잠기거나 그 잠김을 해제할 수 있는 걸림돌기(405)와, 상기 회전로드(404)의 일단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상기 회전로드(404)를 회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돌기(406)와, 상기 회전로드(404)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부재(301)의 외측면과 상기 결합부재(304)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걸림돌기(405)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비틀림스프링(407)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반원홈(401)과 제2 반원홈(402)은 상기 연결부재(301)와 결합부재(304)가 조립되면 원형의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로드(40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앙장공(403)은 상기 걸림돌기(405)가 삽입되어 상기 끼움홈(305)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걸림돌기(405)가 상부측으로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걸리지 않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405)가 수평 상태에서 하부측으로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로드(404)는 상기 걸림돌기(405)를 포함하는 부품들이 형성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걸림돌기(405)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회전로드(404)는 상기 비틀림스프링(407)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되는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405)는 도 3을 참조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로드(404)의 중앙 부위에서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측홈(306)에서 상기 중앙장공(403)을 관통하여 상기 끼움홈(305)을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305)에 끼워진 상기 차단봉헤드(200)의 끼움턱(201)이 하부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돌기(405)는 도 3을 참조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로드(404)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끼움턱(201)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조작돌기(406)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고서 상기 회전로드(40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비틀림스프링(407)은 도 3을 참조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로드(40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하여 상기 걸림돌기(405)가 상기 중앙장공(403)의 하단에 걸린 상태로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비틀림스프링(407)은 도 3을 참조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조작돌기(406)를 잡고서 상기 회전로드(404)를 반시계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시키면 압축된 상태가 되다가 사용자가 상기 조작돌기(406)를 놓으면 압축이 풀리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 상기 걸림돌기(405)가 수평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손잡이(300)를 상부에서 하부로 움직여 상기 끼움홈(305)에 상기 끼움턱(201)을 걸 때는 상기 끼움턱(201)의 상단이 상기 걸림돌기(405)의 하부에 걸리면서 상기 걸림돌기(405)를 밀어서 상기 걸림돌기(40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끼움턱(201)에 상기 끼움홈(305)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끼움턱(201)이 상기 끼움홈(305)에 완전히 끼워지면 도 3을 참조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405)가 수평 상태가 되고 상기 손잡이(300)를 상부측으로 들어 올려서 상기 끼움턱(201)에서 빼낼 때 상기 걸림돌기(405)가 상기 끼움턱(201)의 하단에 걸려 상기 손잡이(300)가 빠지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300)를 빼기 위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회전로드(40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405)를 상부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끼움턱(201)이 상기 걸림돌기(405)에 걸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상기 손잡이 잠금부(400)는 상기 회전로드(404)의 외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턱(408)과, 상기 돌턱(408)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회전로드(404)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상기 연결부재(301)의 외측면과 상기 결합부재(304)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409)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돌턱(408)은 상기 가이드홈(409)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회전로드(404)의 수평 이탈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비틀림스프링(407)의 단부가 걸리어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 잠금부(400)는 상기 중앙장공(403)의 양측으로 상기 내측홈(306)에 돌출되면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로드(404)의 외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턱(4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턱(410)은 상기 내측홈(306)에서 상기 회전로드(404)의 외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회전로드(404)의 회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턱(201)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으로 턱이 형성되는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상기 끼움턱(201)에도 상기 걸림돌기(405)가 걸리어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0 : 지주
200 : 차단봉헤드
201 : 끼움턱 202 : 차단벨트
300 : 손잡이
301 : 연결부재 302 : 외측홈
303 : 조립공 304 : 결합부재
305 : 끼움홈 306 : 내측홈
307 : 조립돌기
400 : 손잡이 잠금부
401 : 제1 반원홈 402 : 제2 반원홈
403 : 중앙장공 404 : 회전로드
405 : 걸림돌기 406 : 조작돌기
407 : 비틀림스프링 408 : 돌턱
409 : 가이드홈 410 : 지지턱

Claims (4)

  1.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 장착되고, 외측 둘레에 수직으로 다수의 끼움턱(201)이 장착되며, 차단벨트(202)가 내부에 탄성 복원 가능하게 감겨 있고, 상기 차단벨트(202)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단봉헤드(200)와;
    상기 차단벨트(202)의 단부가 연결되는 상하로 긴 사각입방체 형태의 연결부재(301)와, 상기 연결부재(301)의 외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외측홈(302)과, 상기 외측홈(302)의 상부로 상기 연결부재(301)의 상단과 하단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공(303)과, 상기 연결부재(301)의 외면에 밀착되게 구비되고 상하로 긴 사각입방체 형태의 결합부재(304)와, 상기 끼움턱(201)에 상하로 끼워져 걸리도록 상기 결합부재(304)의 외면 하단에서 상부로 형성되는 끼움홈(305)과, 상기 외측홈(302)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부재(304)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측홈(306)과, 상기 조립공(303)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재(304)의 상단과 하단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조립돌기(307)를 포함하는 손잡이(300)와;
    상기 손잡이(300)에 설치되고, 상기 끼움홈(305)에 상기 끼움턱(201)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끼움턱(201)에 상기 손잡이(300)를 잠그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잠금이 해제되는 손잡이 잠금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잠금부(400)는,
    상기 외측홈(302)의 하단으로 상기 연결부재(301)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 반원홈(401)과,
    상기 제1 반원홈(401)에 대응하여 상기 내측홈(306)의 하단으로 상기 결합부재(304)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 반원홈(402)과,
    상기 내측홈(306)의 하단에서 상부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305)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중앙장공(403)과,
    상기 제1 반원홈(401)과 제2 반원홈(402)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으로 끼워지는 회전로드(404)와,
    상기 회전로드(404)의 중앙 부위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장공(403)에 끼워지며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턱(201)이 걸리어 잠기거나 그 잠김을 해제할 수 있는 걸림돌기(405)와,
    상기 회전로드(404)의 일단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상기 회전로드(404)를 회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돌기(406)와,
    상기 회전로드(404)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부재(301)의 외측면과 상기 결합부재(304)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걸림돌기(405)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비틀림스프링(4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잠금부(400)는,
    상기 회전로드(404)의 외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턱(408)과,
    상기 돌턱(408)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회전로드(404)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상기 연결부재(301)의 외측면과 상기 결합부재(304)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40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잠금부(400)는,
    상기 중앙장공(403)의 양측으로 상기 내측홈(306)에 돌출되면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로드(404)의 외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턱(4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
KR1020170089540A 2017-07-14 2017-07-14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 KR101945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540A KR101945625B1 (ko) 2017-07-14 2017-07-14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540A KR101945625B1 (ko) 2017-07-14 2017-07-14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900A true KR20190007900A (ko) 2019-01-23
KR101945625B1 KR101945625B1 (ko) 2019-02-07

Family

ID=6532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540A KR101945625B1 (ko) 2017-07-14 2017-07-14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413A (ko) 2019-05-30 2020-12-09 신동오 벽 걸이형 안전 차단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829B1 (ko) 1997-05-14 2004-04-29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광학유닛, 도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275Y1 (ko) * 2005-07-18 2005-10-12 이길선 연결손잡이의 이탈방지 구조를 가진 차단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829B1 (ko) 1997-05-14 2004-04-29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광학유닛, 도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413A (ko) 2019-05-30 2020-12-09 신동오 벽 걸이형 안전 차단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625B1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9934U (ja) アルミ製窓枠用隠し取っ手
US6929292B1 (en) Lever lock system
US5186030A (en) Locking device for an auxiliary lock
KR101945625B1 (ko)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
KR101257796B1 (ko) 모빌랙
US6026663A (en) Long shackle padlock
KR100976367B1 (ko) 사물함용 삼방향 도어록킹장치
TWI672238B (zh) 鏈條鎖
WO2000008714A2 (en) Safety plug socket
JP5659194B2 (ja) 引戸錠
KR200461180Y1 (ko) 회전 잠금 타입 창문용 잠금장치
JPH0138681B2 (ko)
JP3072276B2 (ja) 錠の保護具
KR200465482Y1 (ko) 사물함 잠금 장치
KR101460957B1 (ko) 교실용 도어록
CN213710688U (zh) 防止误反锁锁具
TWM555879U (zh) 旋扣式門擋鎖
KR20120011545A (ko) 손잡이에 가압식 버튼 록킹 장치를 구비한 튜블러 록
JP3063055B2 (ja) 錠装置のハンドル構造
JPS642048Y2 (ko)
JP2004068518A (ja) プシュプル錠
JP3048355U (ja) 引出し用ロック装置
KR200460009Y1 (ko) 잠금장치를 갖는 도어핸들
JPH0640810Y2 (ja) 用心鎖錠
JPS585004Y2 (ja) プツシユ式ドアロツクのプツシユ停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