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828A - 백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설비 - Google Patents

백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828A
KR20190007828A KR1020170089352A KR20170089352A KR20190007828A KR 20190007828 A KR20190007828 A KR 20190007828A KR 1020170089352 A KR1020170089352 A KR 1020170089352A KR 20170089352 A KR20170089352 A KR 20170089352A KR 20190007828 A KR20190007828 A KR 20190007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ilter
support
space
dust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656B1 (ko
Inventor
진선구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89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6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백필터장치는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공간이 형성된 백필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을 통한 공기의 이동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백필터유닛; 및 상기 백필터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백필터유닛의 상단부측 외주면을 지지가능한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백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설비{Apparatus for bag filter and dust collecting device f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설비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백필터유닛을 회전시켜 효과적으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백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집진설비는 챔버 내부에 백필터가 설치되고, 챔버의 하측에는 분진을 포함한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챔버의 상측에 분진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즉, 유입구를 통해 챔버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백필터를 거쳐 상향이동 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장시간 집진처리시 백필터 외부에 포집되는 분진층이 두꺼워지며 압력 손실이 증가하므로 필터의 외부에 탈진처리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백필터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0021호(2017.07.0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을 백필터유닛을 회전시켜 백필터부재에 효과적으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백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백필터장치는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공간이 형성된 백필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을 통한 공기의 이동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백필터유닛; 및 상기 백필터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백필터유닛의 상단부측 외주면을 지지가능한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백필터유닛은,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백필터부재를 지지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단부가 상기 백필터부재의 상단부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케이지부재; 및 상하방향을 따라 내부중공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공간과 연통가능하도록 상부 케이지부재의 상부측에 고정되는 벤츄리배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벤츄리배관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벤츄리배관부재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일방향을 따라 경사배치되는 날개부재들이 구비되며, 상기 날개부재들에 의해 상기 벤츄리배관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이 회전류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지부재는, 상기 백필터부재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백필터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어 상기 백필터부재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들; 및 링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부들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들에 연결되며,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백필터부재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배치되는 제2 지지부들; 및 링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들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면이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들은 상기 백필터부재의 일측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백필터부재의 중심부측을 향해 연장되는 지지플레이트들로 제공되되, 상기 지지플레이트들은 상기 날개부재들의 경사배치 방향과 대응하도록 경사배치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들에 의해 상기 공간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이 회전류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일단이 상기 지지면과 밀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볼베어링부재; 및 상기 볼베어링부재를 일부 수용하여 상기 백필터부재의 일측에 고정배치되는 베어링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블럭은 상기 제3 지지부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도록 링형으로 제공되며, 상기 볼베어링은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부가 상기 베어링블럭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백필터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설비는, 내부에 집진공간을 구비하는 챔버;상기 집진공간을 상부측의 상부집진공간 및 하부측의 하부집진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집진공간 내에 배치되는 분할플레이트;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분할플레이트에 고정배치되되, 상기 상부집진공간 및 상기 하부집진공간을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분진을 집진가능한 백필터장치; 상기 챔버의 하부 측에 배치되어, 분진을 포함한 공기를 상기 하부집진공간으로 공급가능한 제1 공급장치; 상기 챔버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집진공간으로부터 집진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가능한 배출장치; 상기 상부집진공간 내에 배치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백필터장치로 공급가능한 제2 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백필터장치는,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공간이 형성된 백필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을 통한 공기의 이동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백필터유닛; 및 상기 백필터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백필터유닛의 상단부측 외주면을 지지가능한 지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백필터유닛은, 상기 제1 공급장치가 상기 하부집진공간에 상기 분진을 포함하는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공급장치가 상기 백필터장치에 상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백필터장치는, 백필터부재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백필터부재의 외부에 부착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백필터부재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설비는, 회전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백필터부재를 구비하는 백필터장치를 포함하는바, 백필터부재에 누적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백필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백필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백필터유닛의 결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결합도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백필터유닛과 지지유닛의 결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결합도이다.
도 4의 (a)는 날개부재들을 포함한 벤츄리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의 (b)는 날개부재들을 포함한 벤츄리관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의 (a)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한 케이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b)은 도 5의 (a)의 케이지부재를 X-X'축으로 자른 부분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베어링과 케이지부재의 회전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백필터장치를 포함하는 집진설비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백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설비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언급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백필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백필터(Bag filter)는 산업공정상 발생되는 각종 분진을 집진처리하는 필터로 집진설비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제철소의 제선, 화성, 제강공정 등의 생산라인에서 다양한 크기의 분진이 발생하는 바, 원하는 효율을 얻기 위해 많은 수의 백필터를 집진설비 내에 장착하여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백필터에 여과하여 집진처리를 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필터(50)는 일반적으로 분진을 걸러주는 백필터부재(500)와 백필터부재(500)가 집진처리 시 원통형의 모양이 틀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케이지부재(510)로 구성될 수 있다. 백필터부재(500)는 중공형의 원통형 구조로써, 공기가 통과하면서 백필터부재(500)의 외부에 분진이 걸러질 수 있고, 백필터부재(500)의 내부에는 분진이 걸러진 깨끗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시간 집진작업 시 백필터부재(500) 외부에 분진이 흡착하게 되며, 흡착된 분진층은 백필터부재(500)의 통기공(도시안함)등을 막아 백필터부재(500)의 집진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지부재(110) 및 백필터부재(100)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백필터부재(100)의 외부에 부착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그에 따라 백필터부재(100)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백필터장치(1)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백필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백필터유닛의 결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결합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필터장치(1)는 공기의 이동 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백필터유닛(10)과 백필터유닛(10)이 회전가능하도록 백필터유닛(10)의 상단부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유닛(20)을 포함한다. 백필터유닛은(10)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공간(30)이 형성된 백필터부재(100)를 포함하며, 백필터부재(100)는 백필터부재(100)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로부터 분진을 집진할 수 있다. 케이지부재(110)는 백필터부재(100)를 지지하도록 공간(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백필터유닛(10)은 분진을 거를 수 있는 백필터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백필터부재(10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케이지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부재(110)는 제1 지지부들(112), 제2 지지부들(114), 제3 지지부(116)를 구비하여 백필터부재(1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부들(112)은 백필터부재(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백필터부재(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백필터부재(100)의 내주면을 지지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들(114)은 링형으로 구비되어 제1 지지부들(11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들(112)에 의해 제2 지지부들(114)이 지지될 수 있다. 제3 지지부(116) 역시 링형으로 제공되어 제1 지지부들(112)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지지면(116')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유닛(20)이 지지면(116')을 지지하는바, 케이지부재(110)는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백필터유닛(10)은 케이지부재(110)의 상부측에 고정되는 벤츄리배관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벤츄리배관부재(120)는 내부중공형으로 제공되어 케이지부재(110)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백필터부재(100)의 공간(30)과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벤츄리관부재(120)는 상부에서부터 중심부까지 내경이 감소하다가 중심부에서부터 하부까지의 내경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백필터유닛(10)으로 공급된 공기는 벤츄리관부재(120)를 중심부측의 내경이 감소하는 공간(30)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벤츄리관부재(120)를 구비함으로써, 백필터장치(1)의 공기 흡입력이 커지게 되며 백필터장치(1)의 집진 효율이 효과적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벤츄리배관부재(120)가 반드시 케이지부재(110)와 함께 회전하도록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즉, 벤츄리배관부재(120)는 케이지부재(110)의 회전과 무관하게 고정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벤츄리배관부재(12)는 후설할 집진설비(2)에서의 분할플레이트(6)에 고정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된 벤츄리배관부재(120)는 케이지부재(110)의 회전시에도 분할플레이트(6)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의 (a)는 날개부재들을 포함한 벤츄리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날개부재들을 포함한 벤츄리관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벤츄리배관부재(120)의 내주면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날개부재들(122a ~ d)이 구비될 수 있다. 날개부재들(122a ~ d)은 공기가 유입될 때 날개부재들(122a ~ d)에 의해 벤츄리배관부재(120)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회전류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날개부재들(122a ~ d)는 벤츄리배관부재(120)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회전류로 전환시키는바, 그에 따라 케이지부재(110)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백필터유닛(10)을 통해 유체가 이동하는 경우 벤츄리배관부재(120)에 의해 형성된 회전류에 의해 백필터유닛(10)은 회전할 수 있다.
도 5의 (a)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한 케이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의 (b)은 도 5의 (a)의 케이지부재를 X-X'축으로 자른 부분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지부재(110)의 제1 지지부들(112)은 백필터부재(100)의 내주면으로부터 백필터부재(100)의 중심부측을 향해 연장되는 지지플레이트들(118a ~ d)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들(118a ~ d)은 백필터부재(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나선형으로 구비되거나 경사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들(112)은 날개부재들(122)의 경사방향과 대응하도록 경사배치되거나 나선형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들(118a ~ d)은 일방향을 향해 만곡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플레이트들(118a ~ d)은 만곡형성됨으로써,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때 케이지부재(110)의 회전이 가속화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베어링과 케이지부재의 회전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블럭(220)은 제3 지지부(116)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을 가지도록 링형으로 구비되며, 복수로 구비되는 볼베어링(210a ~ h)은 각각 베어링블럭(220)의 내주면으로부터 선단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볼베어링(210a ~ h)은 제3 지지부(116)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면(116')에 선단이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볼베어링(210 ~ h)에 의해 제3 지지부(116)가 지지될 수 있다. 지지면(116')을 구비함으로써 볼베어링(210a ~ h)과 지지면(116')이 밀착되어 회전되므로 공간(30)에 유체가 이동시 효과적으로 케이지부재(110)가 회전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볼베어링(210a ~ h)의 개수를 8개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속하는 것은 아니며, 볼 베어링의 크기 및 개수는 설비환경에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백필터장치를 포함하는 집진설비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설비(2)는 내부에 집진공간(9)을 구비하는 챔버(3)를 포함하며, 챔버(3) 내부에는 집진공간(9)을 분할하는 분할플레이트(6)가 배치될 수 있다. 분할플레이트(6)는 집진공간(9)을 상부측의 상부집진공간(9a)과 하부측의 하부집진공간(9b)으로 분할할 수 있다. 백필터장치들(1a ~ e)는 복수 개로 구비하여 분할플레이트(6)에 고정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집진공간(9a) 및 하부집진공간(9b)을 연통하여 배치되어 집진공간(9) 내부로 유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분진을 집진할 수 있다. 챔버(3)의 하부측에는 제1 공급장치(4)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공급장치(4)는 분진을 포함한 공기를 하부집진공간(9b)으로 공급할 수 있다. 챔버(3)의 상부측에는 배출장치(5)가 배치될 수 있으며, 배출장치(5)는 백필터장치들(1a ~ e)에 의해 집진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부집진공간(9a) 내에는 제2 공급장치(7)를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공급장치(7)는 압축공기를 백필터장치들(1a ~ e)로 공급할 수 있다. 백필터장치들(1a ~ e)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백필터장치(1)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설명을 대체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공급장치(4)는 하우징공간(9b)으로 분진을 포함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백필터장치들(1a ~ e)에서 분진을 포함한 공기가 집진처리될 수 있다. 집진처리 시 백필터부재(100)의 외부에 분진이 포집되어 흡착될 수 있다. 백필터부재(1) 내부의 집진처리된 공기는 챔버(3)의 상부집진공간(9a)으로 이동되고, 상부집진공간(9a)으로부터 집진처리된 공기는 배출장치(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백필터장치들(1a ~ e)을 통해 상부집진공간(9a)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경우, 백필터장치들(1a ~ e)은 제1 방향(A)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백필터장치들(1a ~ e)의 외측에 분진이 누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필터부재(100)의 외면에 분진이 과도하게 포집되고 흡착되어 백필터장치(1)의 효율이 낮아질 경우, 제1 공급장치(4)의 가동은 중단되며, 제2 공급장치(7)는 백필터장치들(1a ~ e)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 경우 백필터장치들(1a ~ e)은 제1 방향(A)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B)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백필터장치들(1a ~ e)의 외측에 흡착되었던 분진들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백필터장치 2: 백필터설비 3: 챔버
4: 제1 공급장치 5: 배출장치 6: 분할플레이트
7: 제2 공급장치 8: 집진부재 9: 집진공간
10: 백필터유닛 20: 지지유닛 30: 공간
100: 백필터부재 110: 케이지부재 112: 제1 지지부들
114: 제2 지지부들 116: 제3 지지부들 118: 지지플레이트들
120: 벤츄리배관부재 122; 날개부재들 210: 볼베어링부재
220: 베어링블럭부재

Claims (7)

  1.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공간이 형성된 백필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을 통한 공기의 이동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백필터유닛; 및
    상기 백필터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백필터유닛의 상단부측 외주면을 지지가능한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백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필터유닛은,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백필터부재를 지지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단부가 상기 백필터부재의 상단부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케이지부재; 및
    상하방향을 따라 내부중공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공간과 연통가능하도록 상부 케이지부재의 상부측에 고정되는 벤츄리배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벤츄리배관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벤츄리배관부재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일방향을 따라 경사배치되는 날개부재들이 구비되며,
    상기 날개부재들에 의해 상기 벤츄리배관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이 회전류로 변환되는, 백필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부재는,
    상기 백필터부재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백필터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어 상기 백필터부재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들; 및
    링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부들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들에 연결되며,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백필터부재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배치되는 제2 지지부들; 및
    링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들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면이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하는, 백필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들은 상기 백필터부재의 일측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백필터부재의 중심부측을 향해 연장되는 지지플레이트들로 제공되되,
    상기 지지플레이트들은 상기 날개부재들의 경사배치 방향과 대응하도록 경사배치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들에 의해 상기 공간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이 회전류로 변환되는, 백필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일단이 상기 지지면과 밀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볼베어링부재; 및
    상기 볼베어링부재를 일부 수용하여 상기 백필터부재의 일측에 고정배치되는 베어링블럭을 포함하는, 백필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블럭은 상기 제3 지지부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도록 링형으로 제공되며,
    상기 볼베어링은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부가 상기 베어링블럭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백필터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백필터장치.
  7. 내부에 집진공간을 구비하는 챔버;
    상기 집진공간을 상부측의 상부집진공간 및 하부측의 하부집진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집진공간 내에 배치되는 분할플레이트;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분할플레이트에 고정배치되되, 상기 상부집진공간 및 상기 하부집진공간을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분진을 집진가능한 백필터장치;
    상기 챔버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분진을 포함한 공기를 상기 하부집진공간으로 공급가능한 제1 공급장치;
    상기 챔버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집진공간으로부터 집진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가능한 배출장치;
    상기 상부집진공간 내에 배치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백필터장치로 공급가능한 제2 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백필터장치는,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공간이 형성된 백필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을 통한 공기의 이동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백필터유닛; 및
    상기 백필터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백필터유닛의 상단부측 외주면을 지지가능한 지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백필터유닛은,
    상기 제1 공급장치가 상기 하부집진공간에 상기 분진을 포함하는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공급장치가 상기 백필터장치에 상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집진설비.


KR1020170089352A 2017-07-14 2017-07-14 백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설비 KR101984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352A KR101984656B1 (ko) 2017-07-14 2017-07-14 백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352A KR101984656B1 (ko) 2017-07-14 2017-07-14 백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828A true KR20190007828A (ko) 2019-01-23
KR101984656B1 KR101984656B1 (ko) 2019-05-31

Family

ID=6532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352A KR101984656B1 (ko) 2017-07-14 2017-07-14 백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954A (ko)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엠에코 다중 복합식 집진설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1390B2 (ja) * 1991-12-31 1998-08-27 收 浅井 セルフクリーニング型のバッグフィルタ集塵機
JP2586194Y2 (ja) * 1992-05-28 1998-12-02 株式会社トーキン 集塵機用バグフィルタのダスト除去装置
KR101750021B1 (ko) 2016-05-09 2017-07-03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백필터 탈진용 분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여과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1390B2 (ja) * 1991-12-31 1998-08-27 收 浅井 セルフクリーニング型のバッグフィルタ集塵機
JP2586194Y2 (ja) * 1992-05-28 1998-12-02 株式会社トーキン 集塵機用バグフィルタのダスト除去装置
KR101750021B1 (ko) 2016-05-09 2017-07-03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백필터 탈진용 분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여과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656B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79439B (zh) 用于真空吸尘器的过滤装置
EP0026087B1 (en) Bag-type filter apparatus
US9770684B1 (en) Drum filter media cleaning apparatus
CN108296866B (zh) 一种铣床结构
KR101984656B1 (ko) 백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설비
KR101958308B1 (ko) 수막형 공기청정기
JP2008104921A (ja) 集塵装置
KR101602917B1 (ko) 집진장치 및 그 방법
KR100845958B1 (ko) 집진기의 필터고정구조
KR20010026104A (ko) 가스 세정 장치
KR100645845B1 (ko) 서랍형 백 필터 집진장치
JP6894996B2 (ja) 集塵装置用部材
CN212790238U (zh) 细灰库顶除尘器
CN212262760U (zh) 一种数控机床加工用废气回收装置
CN220728432U (zh) 一种车间用环保型通风设备
CN219663324U (zh) 一种压缩空气净化干燥装置
CN213431998U (zh) 一种紫外灭菌消毒装置
CN220309835U (zh) 一种切削液循环处理装置
CN212818527U (zh) 一种多圆盘浓缩机正多边形中心轴
CN217511428U (zh) 一种干泵进气口用过滤器
CN215027007U (zh) 一种石料破碎机的除尘设备
CN214019914U (zh) 一种汽车空调生产车间真空降尘机
CN217613524U (zh) 一种布袋除尘器
KR20230145763A (ko) 자동 청소형 연속 필터링 장치
CN210547003U (zh) 一种轧钢机用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