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275A - 셀케이스 - Google Patents

셀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275A
KR20190007275A KR1020170088508A KR20170088508A KR20190007275A KR 20190007275 A KR20190007275 A KR 20190007275A KR 1020170088508 A KR1020170088508 A KR 1020170088508A KR 20170088508 A KR20170088508 A KR 20170088508A KR 20190007275 A KR20190007275 A KR 20190007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material
plating
base material
cell case
prot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412B1 (ko
Inventor
구성모
황보광수
정상석
김준탁
이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8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4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2/0292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2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silico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H01M2/028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H01M50/145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for protecting against corro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모양을 형성하는 모재; 및 상기 모재의 표면에 도금되는 도금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금재는 모재와 접하는 면의 반대측 표면에서 산화되어 보호층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도금재에 크랙이 발생하면 상기 크랙으로 침투하여 메워주는 자기치유(Self-healing) 성질을 갖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금재에 보호층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금재에 크랙이 발생했을 시라도 상기 크랙으로 보호층이 침투하여 메워주므로 모재의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케이스{Cell case}
본 발명은 전지셀이 탑재되는 셀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내부식성(corrosion resistance)이 향성된 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디지털 기기 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 등과 같은 운송수단용으로도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의 재질 및 외부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나, 이 중에서 리튬 화합물 재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는 용량이 크고 자가 방전율이 적어 종래의 니켈-카드뮴 이차전지 등을 대신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한데, 대표적으로 원통형(cylinder type), 각형(prismatic type), 파우치형(pouch type)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중 원통형의 경우는, 원통형 셀케이스 내에 전지셀이 탑재되도록 제작되며, 상기 원통형 셀케이스는 부식 방지를 위해 표면이 도금처리된 판 모양의 모재를 인발, 압출, 드로잉 등의 공정을 통해서 원통형 모양으로 가공하여 제조된다.
원통형 셀케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은 공개번호 10-2015-0113582 호(공개일 2015. 10. 08, 발명의 명칭: 압출 및 딥드로잉을 이용한 전지케이스 제조방법)에서 소개된 바 있다.
한편, 셀케이스 제작 시 종래에는 저탄소강(Fe)을 모재로 사용하고 니켈(Ni)을 도금재로 사용하여 니켈층이 저탄소강을 보호하는 보호층 역할을 하도록 제조되었다.
그러나,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켈을 도금재(2)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발, 압출, 드로잉 공정 중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니켈층에서 미세한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크랙은 모재(1)의 외부노출을 유발하여 부식(1a)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즉, 모재(1)인 저탄소강이 공기 중으로 노출되면 Fe 는 Ni 보다 산화전위가 낮기 때문에 Fe 의 산화가 발생하여 부식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크랙으로 인한 부식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아울러, 기계 가공에 따른 외력 발생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거나 도금층이 벗겨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셀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셀이 저장될 수 있는 원통형 및 각형의 셀케이스에 있어서, 모양을 형성하는 모재; 및 상기 모재의 표면에 도금되는 도금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금재는 모재와 접하는 면의 반대측 표면에서 산화되어 보호층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도금재에 크랙이 발생하면 상기 크랙으로 침투하여 메워주는 자기치유(Self-healing) 성질을 갖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재는 철(Fe)을 함유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금재는 알루미늄(Al)을 함유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Al2O3 성분을 함유하는 보호층이 형성된다.
상기 모재는 0.2mm 내지 0.4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도금재는 5㎛ 내지 9㎛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재와 도금재 사이에서 모재와 도금재 사이의 부착력을 감소시키는 알루미늄철합금(al-fe alloy)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도금재는 7wt% 이상의 실리콘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도금재는 실리콘이 7wt% 내지 15wt%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금재에 보호층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금재에 크랙이 발생했을 시라도 상기 크랙으로 보호층이 침투하여 메워주므로 모재의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모재는 철(Fe)을 함유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금재는 알루미늄(Al)을 함유하는 재질로 이뤄져서 모재와 도금재 사이에는 알루미늄철합금이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금재에 실리콘이 함유되어 모재와 도금재 사이의 접합력을 저하시키는 알루미늄철합금의 생성을 억제하여 도금재의 벗겨짐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방식으로 도금된 셀케이스의 사시도 및 상기 셀케이스 표면의 단면도가 도시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도금된 셀케이스의 사시도 및 상기 셀케이스 표면의 단면도가 도시된 도면.
도 3 은 도금재에 크랙이 발생했을 때 자기치유가 이뤄지는 모습들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단면도들.
도 4 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도금강판에서는 부식이 증가하는 모습이 나타나는 반면 알루미늄(Al)을 함유한 재질로 도금된 도금강판에서는 부식이 발생하지 않은 모습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도 5 는 실리콘(Si)의 함유량에 따라 도금재가 벗겨진 모습들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크랙으로 인한 부식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압출 및/또는 드로잉과 같은 기계 가공이 이뤄질 때 외력에 의해 도금층이 벗겨지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셀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발명된 것으로써,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 따른 셀케이스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도금된 셀케이스의 사시도 및 상기 셀케이스 표면의 단면도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 은 도금재에 크랙이 발생했을 때 자기치유가 이뤄지는 모습들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셀케이스는 내부에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셀(셀)이 저장될 수 있는 원통형 모양을 가지며(물론, 각형 모양 또한 가능하다), 모재(10)의 외부표면에 도금재(20)가 도금되어 구성된다.
상기 모재(10)는 철(Fe)을 함유하는 재질(바람직하게는 저탄소강)로 제조되며 셀케이스의 모양을 형성하도록 가공되고, 상기 도금재(20)는 모재의 일측 또는 양측 표면에 도금된다. 상기 도금재(20)는 모재(10)가 원통형(또는 각형)으로 가공된 후에 도금될 수 있고 또는 가공되기 전 판재 상태일 때 도금될 수 있다.
상기 도금재(20)는 모재(10)와 접하는 면의 반대측 표면에서 산화되어 보호층(2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금재(20)는 알루미늄(Al)을 함유하는 재질로 이뤄져서, 모재(10)의 철 성분 보다 빠르게 산화가 이뤄지므로 Al2O3 성분을 함유하는 보호층(21)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층(21)은 Al2O3 피막층 형태로 형성되어 산소나 수분이 도금재(20)에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뿐만아니라 도금재(20)에 크랙이 발생하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랙을 메워주므로써 모재(10)가 외부로 직접노출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상기 보호층(21)은 도금재(20)가 노출된 표면에 공기중의 산소가 반응하여 Al2O3 를 형성하여 생성되므로, 크랙이 모재(10)까지 침투되어 상기 모재(10)가 공기 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한 모재(10)가 산소와 반응하여 부식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즉, 크랙이 발생된 부위의 표면에서 Al3+ + OH- + O2 → Al2O3 + H2O 로 화학변화가 발생하며 상기 Al2O3 가 보호층(21)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재(10)까지 침투한 크랙이 발생하였을지라도 보호층(21)인 Al2O3 피막은 도금재(20)에서 확산되어(모재와 산소의 접촉을 차단하여) 추가적인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층(21)은 도금재(20)의 알루미늄 성분과 공기중의 산소가 반응하여 형성되므로 도금재(21)에 크랙이 발생하여도 상기 크랙의 표면에서 Al2O3 피막이 형성되어 메워줘서 자기치유(Self-healing)가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상기 모재(10)는 셀케이스의 통상적인 두께인 0.2mm 내지 0.4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도금재(20)는 5㎛ 내지 9㎛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셀케이스는 드로잉 가공 전에 도금이 이뤄질 수 있고 드로잉 가공 후에 도금이 이뤄질 수도 있으나, 통 모양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도금이 이뤄지기 어려운 관계로 모재(10)가 판재 모양일 때 도금이 이뤄진다.
이때, 도금이 이뤄진 모재(10)는 가공 중에 연신(drawing)이 이뤄지므로, 상기 도금재(20)가 모재(10)의 표면에서 박리(벗겨짐)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도금재(20)의 박리는 모재(10)의 표면을 공기중에 직접 노출시킴에 따라 상기 모재(10)의 부식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도금재의 박리에 원인이 되는 이유는 모재(10)와 도금재(20) 사이에서 알루미늄철합금(al-fe alloy)(3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철합금(30)이 모재(10)와 도금재(20) 사이의 부착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으로 파악되었다.
제2실시예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철합금(30)의 생성을 최소화 또는 억제하도록 상기 도금재(20)에 실리콘(si)이 7wt% 이상 함유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리콘이 7wt% 이상이 도금재(20)에 함유되는 경우 알루미늄철합금(30)의 생성이 억제되어 도금재(20)가 모재(10)에서 박리되는 문제는 해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함유량이 9wt% 이상일 경우는 도금재(20)와 모재(10)의 박리 문제를 완전하게 해소 가능하다
일례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이 5wt% 이하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모재(10)와 도금재(20) 사이에서 알루미늄철합금(30)의 형성을 제대로 억제하지 못해 도금재(20)의 박리가 부분적으로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5 에서 사각형 안쪽 참조).
반면에, 실리콘이 15wt% 이상이 함유되면 생산원가가 증대되며 드로잉 가공시 성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가령, 연신율이 감소되는 문제, 변색[變色]이 발생되는 문제, 도금재의 도금 이후 재열처리 과정에서 모재의 Fe 와 실리콘 Si 간에 생성된 새로운 상[phase, 相]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 등),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도금재(20)에는 실리콘이 7wt% 내지 15wt%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더 상세히는 실리콘이 9wt% 에 가까운 함량을 갖도록 첨가되는 것이 박리 문제나, 생산원가, 성형성 등의 다양한 측면의 요소를 고려할 때 가장 이상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금재(20)에 보호층(21)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금재(20)에 크랙이 발생했을 시라도 상기 크랙으로 보호층(21)이 침투하여 메워주므로 모재(10)의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4 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셀케이스에서는 부식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모재(10)는 철(Fe)을 함유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금재(20)는 알루미늄(Al)을 함유하는 재질로 이뤄져서 모재(10)와 도금재(20) 사이에는 알루미늄철합금(21)이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금재(20)에는 실리콘이 함유되어 모재(10)와 도금재(20) 사이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알루미늄철합금(21)의 생성을 억제하여 도금재(20)의 벗겨짐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도 5 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실리콘이 5wt% 이하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모재(10)와 도금재(20) 사이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아 도금재(20)가 벗겨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9wt% 이상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도금재(20)의 벗겨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 : 모재
20 : 도금재
21 : 보호층
30 : 알루미늄철합금

Claims (7)

  1. 모양을 형성하는 모재; 및 상기 모재의 표면에 도금되는 도금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금재는 모재와 접하는 면의 반대측 표면에서 산화되어 보호층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도금재에 크랙이 발생하면 상기 크랙으로 침투하여 메워주는 자기치유(Self-healing) 성질을 갖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철(Fe)을 함유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금재는 알루미늄(Al)을 함유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Al2O3 성분을 함유하는 보호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0.2mm 내지 0.4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도금재는 5㎛ 내지 9㎛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케이스.
  4.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와 도금재 사이에서 알루미늄철합금(al-fe alloy)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도금재는 7wt% 이상의 실리콘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재는 실리콘이 7wt% 내지 15wt% 범위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케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재는 실리콘이 9wt% 내지 15wt% 범위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케이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재는 실리콘이 9wt% 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케이스.
KR1020170088508A 2017-07-12 2017-07-12 셀케이스 KR102282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508A KR102282412B1 (ko) 2017-07-12 2017-07-12 셀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508A KR102282412B1 (ko) 2017-07-12 2017-07-12 셀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275A true KR20190007275A (ko) 2019-01-22
KR102282412B1 KR102282412B1 (ko) 2021-07-26

Family

ID=6528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508A KR102282412B1 (ko) 2017-07-12 2017-07-12 셀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4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3008A (ja) * 2000-04-28 2001-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缶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池
JP2009245719A (ja) * 2008-03-31 2009-10-22 Nisshin Steel Co Ltd 電池ケース用改質Al系めっき鋼材並びに電池ケース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10238462A (ja) * 2009-03-31 2010-10-21 Hitachi Vehicle Energy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3008A (ja) * 2000-04-28 2001-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缶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池
JP2009245719A (ja) * 2008-03-31 2009-10-22 Nisshin Steel Co Ltd 電池ケース用改質Al系めっき鋼材並びに電池ケース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10238462A (ja) * 2009-03-31 2010-10-21 Hitachi Vehicle Energy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412B1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582B1 (ko) 축전 디바이스 용기용 강박, 축전 디바이스용 용기 및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 용기용 강박의 제조 방법
US6841298B2 (en) Battery, tab of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4184927B2 (ja) 2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5250466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EP1950819A1 (en) Battery ca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attery using the same
KR20140041804A (ko) 전해 동박, 상기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전해 동박을 집전체로 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US9166210B2 (en)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se
EP3621133A1 (en) Anode for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using same
JP5437155B2 (ja) 2次電池用負極、電極用銅箔、2次電池および2次電池用負極の製造方法
KR102323071B1 (ko) 전지 용기용 금속판 및 이 전지 용기용 금속판의 제조방법
KR101394721B1 (ko) 플라즈마 처리된 셀 파우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0045627A1 (ja) 電池容器用金属板およびこの電池容器用金属板の製造方法
JP4133701B2 (ja) 非水電解液電池ケース用Niメッキ鋼板およびこの鋼板を用いた電池ケース
KR102643400B1 (ko) 리튬 이온 전지 집전체용 압연 구리박 및 리튬 이온 전지
KR20190007275A (ko) 셀케이스
JP7444357B2 (ja) 表面粗度が改善された円筒型電池ケースの製造方法
CA2489849A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negative-electrode component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11981108B2 (en) Ni-plat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518321B1 (en) Secondary battery
JP2012043747A (ja) 二次電池用電極とその製造方法
KR20170050376A (ko) 전해동박, 그 제조방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0528580B1 (ko) 대용량의 버튼형 공기아연전지
WO2007139133A1 (ja) 電池缶用メッキ鋼鈑、電池、アルカリ乾電池
KR20200045791A (ko) 납축전지 수명감소 방지를 위한 내산성 폴리우레탄 전조 패드
JP7354349B1 (ja) 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