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131A -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 Google Patents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131A
KR20190007131A KR1020170087805A KR20170087805A KR20190007131A KR 20190007131 A KR20190007131 A KR 20190007131A KR 1020170087805 A KR1020170087805 A KR 1020170087805A KR 20170087805 A KR20170087805 A KR 20170087805A KR 20190007131 A KR20190007131 A KR 20190007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work
frame
sensor
aesth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비스커뮤니케이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비스커뮤니케이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비스커뮤니케이션스
Priority to KR1020170087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7131A/ko
Publication of KR2019000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21V33/0032Paintings, pictures or photographs; Frames therefor
    • H05B37/0218
    • H05B37/0227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에 하나 이상의 센서부와 하나 이상의 조명부를 구성하여 하나 이상의 센서부에서 획득한 센싱값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조명부를 제어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가 작품의 측면을 조사함에 따라 심미성을 갖는 새로운 형태의 작품이 표현되도록 하는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하나의 작품으로 다양한 색상의 빛을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심미감으로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환경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빛을 작품에 조사하여 환경에 어울리면서 심미감을 갖는 새로운 형태의 작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PICTURE FRAME FOR GIVING VARIANT AESTHETICS TO WORK USING THE LIGHT}
본 발명은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자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실제 자연환경에서 일어나는 대상의 다양한 변화를 조명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나아가 액자에 센서를 부착하여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작품에 빛을 조사함에 따라 새로운 심미성을 갖는 새로운 형태의 작품이 표현되도록 하는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자는 단순히 작품 등의 전시물을 끼워 고정시키는 것에 불과하였다. 즉, 작가의 관점이나 해석에 따라 창작된 고정된 색감과 형태의 작품을 전시하기 위한 틀의 역할을 하고, 작품은 전시장의 조명 등에 따라 일부 다른 색감을 가질 수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전시장의 조명은 빛을 통하여 작품에 새로운 미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전시장에서 작품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보조적인 역할에 머물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액자의 역할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로서 LED를 액자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6757호인 엘이디 액자는 후면판의 전면에 고정되며 사진을 수납하는 투명판, 상기 투명판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후면판에 고정된 엘이디 프레임, 상기 엘이디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며 복수개의 엘이디들이 실장된 엘이디 회로 기판, 상기 엘이디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후면판을 관통하는 제 1 전선, 상기 후면판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전선을 덮는 전선 보호판 및 상기 후면판과 마주하게 결합된 전면판을 포함하는 엘이디 액자 유닛, 및 상기 엘이디 액자 유닛을 세워 고정하기 위한 받침대,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제 1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선을 포함하는 받침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복수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대는 상호 끼워 맞춤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는 수납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액자에 비해 액자에 끼워진 작품을 밝게 조명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액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품이 밝게 조명되어 작품과 액자가 조화롭지 못하고 오히려 작품이 주변 환경에 비해 너무 밝아서 작품의 심미감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정 대상을 표현한 작품은 작가가 창작한 대로 고정적이고, 정적인 형태의 감상 대상에 그치지만, 풍경화나 정물화 또는 인물화 등의 작품에서 구현된 대상이 존재하는 현실세계에서는 주변의 빛의 양이나 조사되는 빛의 색이나 색온도, 바람 등의 환경에 따라 동일한 대상이어도 다양하게 변화되는 형태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작품에 대하여 조명을 이용하여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액자의 개발이 요청된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6757호 '엘이디 액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조명부를 이용하여 전시된 작품에 다양한 색이나 색온도 또는 광량에 따른 밝기를 가지는 빛을 조사하여 다양한 심미성을 정적인 작품에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작품이 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센서부에서 획득한 센싱값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조명부를 제어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가 작품에 조사하여 따라 심미성을 갖는 새로운 형태의 작품이 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액자틀에 고정된 작품; 및 상기 액자틀에 형성되어, 빛의 색, 색온도 및 광량을 조절하여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부를 포함하는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작품이 끼워져 고정되는 액자틀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에서 생성된 센싱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값에 따라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가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이미지 센서, 동작감지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한 종류 이상의 센서에서 감지된 센싱값에 따른 제 1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분석하여 적절한 조명을 조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프로그램된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해서 제 2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2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부가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된 제 1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제 3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3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가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제 2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된 각각의 제 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각각의 제 4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 4 제어신호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조명부를 각각 제어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자틀은 나무, 합판, 종이 중 어느 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화 등의 작품에 빛을 조사하여 작품의 색과 조명의 빛이 조화된 미감을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예술작품을 창작물을 창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자에 전시된 작품에 다양한 색상이나 색온도, 또는 밝기를 가지는 빛을 조사하여 하나의 작품을 사용자 또는 감상자의 의도에 따라 복합적인 미감을 추가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조도, 온도, 습도, 물체의 등장이나 이동 등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조명을 변화시켜가며 부여함으로써, 작품의 대상이 존재하는 실제 자연환경에서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심미감을 감상자가 느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액자에 형성된 조명을 이용하여 액자의 작품에 조사하는 용도 뿐만 아니라, 생활에 필요한 조명 용도로 사용할 수 도 있다. 예를 들면, 실내의 간접 조명으로 사용하거나, 책상이나 서재에 조명액자를 설치하여 독서등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침실에 설치하여 아침에 서서히 조명의 광량을 증가시키고 색온도를 변화시켜 사용자가 자연스러운 기상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센서 구성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조명부 구성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경에 따라 색이 변하는 작품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구성도로서, 액자틀과 하나 이상의 조명부(200)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주변환경이나 사람의 등장이나 이동을 감지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100) 및 제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200)는 상기 액자틀에 구성되되, 빛의 조사 방향이 작품의 측면을 조사하면서 다양한 색이나 색온도 및 광량으로 조사한다.
여기서 빛의 색은 빛의 삼원색 빨강(R), 초록(G), 파랑(B)의 빛을 겹쳐 비출 때 나타낼 수 있는 빛의 색을 의미하고, 빛의 색온도는 흑체 복사 또는 이것에 가까운 분광 분포(分光分布)를 가진 광원의 색도(色度)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치로서, 색온도는 온도가 높아지면 푸른색, 낮아지면 붉은색을 띠게 된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대상이라고 하더라도 색온도를 변화시켜 조사하면 그 느낌이 다르게 된다. 예를 들어, 해지기 직전의 색온도는 2200K(촛불의 광색)이고, 해뜨고 2시간 후의 색온도는 약 4000K(백색 형광등, 온백색 형광등, 할로겐 램프)이며, 정오의 태양이 비추는 경우에는 약 5800K(냉백색 형광등)의 색온도를 가지게 된다.
예컨대,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200)는 도 3에 도시된 (a)와 같이, 작품을 기준으로 A방향, B방향, C방향 D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측면에서 빛을 조사하거나 A, B, C, D방향과 대각선 방향을 상호 조합하여 측면에서 빛을 조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200)는 평면 작품인 경우에 빛을 조합하여 조사함에 따라 새로운 느낌으로 감상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채색 계열의 작품에는 색온도를 조절하여 조사하여 작품의 분위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유채색 계열의 작품에는 빛의 색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조사함으로써, 물체의 삼원색인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노랑(Yellow)으로 표현되는 작품의 느낌과 빛의 3원색은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으로 결정되는 빛의 삼원색이 조화된 새로운 형태의 미감을 나타내는 작품을 창작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작품은 돌출되게 그려진 입체작품이면 더욱 특별한 작용을 한다.
즉,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200)는 작품을 기준으로 측면에서 빛을 조사하면 도 3에 도시된 (b)와 같이 A방향에서 빛을 조사하면 돌출된 입체작품에 의해서 B영역 음영이 발생하는 작용을 하고 이로 인하여 같은 작품이라도 다른 느낌으로 감상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a)는 빛이 조사되지 않은 작품이고 (b), (c), (d)는 빛이 조사된 작품으로서 각각 느낌이 다르게 표현된다.
더욱이,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200)는 돌출형태의 입체작품인 경우에 빛의 색을 조합하면 더욱 새로운 느낌으로 감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200)는 다양한 조명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LED가 바람직하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100)는 작품에 끼워져 고정되는 액자틀에 선택적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100)는 도 2에 도시된 와 같이, 액자틀 주변에 구성되어 액자 주변의 온도, 습도, 조도를 센싱하고 이를 통해서 센싱값을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100)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가 하나의 셋트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를 각각 독자적으로 다수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를 조합하여 다수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100)는 상기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를 다양하게 구현함으로써,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명부(200)를 제어함에 따라 다양한 색으로 작품이 표현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특히,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100)는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110)가 더 포함됨에 따라 상기 물체감지센서가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300)에서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200)가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물체감지센서(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틀에 구비됨에 따라 사람이 작품을 보려고 다가오면 이를 감지함과 동시에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1 제어신호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조명부(200)가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빛이 조사됨에 따라 사람이 원거리에서 감상한 작품과 다른 색상으로 작품을 감상하는 작용을 한다.
이상 설명한 센서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 구비된다 하더라도 외관상 식별하기 곤란할 정도로 설계하여 외관을 수려하게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100)에서 생성된 센싱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값에 따라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200)가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300)는 온도가 높고 습도가 높으며 조도가 낮은 경우라면 이에 대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100)에서 센싱값을 생성한다.
이때, 온도가 높고 습도가 높으면 조도가 낮은 경우는 관람객이 불쾌지수가 높은 상태가 됨으로 화사한 색상으로 빛을 작품에 조사하여 불쾌지수를 낮추도록 프로그램이 구동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200)는 화사한 색상이 표현되도록 빛이 작품에 조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프로그램된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해서 제 2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2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부(200)가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환경의 변화가 거의 없는 실내인 경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100)에서 수집되는 센싱값이 거의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구현되는 테마에 맞게 예를 들어 어린이들 대상으로 한 테마라면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핑크빛이 작품에 조사된 후 다시 노랑빛이 작품에 조사되는 등을 미리 프로그램으로 구축하면 미리 구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 2 제어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조명부(200)가 동작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300)는 제 1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된 제 1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제 3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3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200)가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제 1 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통신이 되도록 구성한 후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기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면 제 1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제 3 제어신호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조명부(200) 중에서 1번, 3번 조명부만 조사한다든가 파랑빛과 노랑빛을 조사하도록 하는 등 다양하게 작품에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제어부(300)는 하나 이상의 제 2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된 각각의 제 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각각의 제 4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 4 제어신호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조명부를 각각 제어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제 2 이동통신단말기가 3개인 경우라면 3개의 각 제 2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어부(300)와 데이터통신이 되도록 구성한 후 3개의 각 제 2 이동통신단말기에 제 2 어플리케이션(대표적으로 앱(app))을 탑재하면 임의의 한 제 2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서 1번, 2번 조명부만 조사하도록 하고 다른 임의의 한 제 2 이동통신단말기가 3번,4번 조명부만 조사하도록 하며 또 다른 임의의 한 제 2 이동통신단말기가 5번, 6번 조명부만 조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단말기 각각을 통해서 액자에 구성된 제어부(300)를 제어하여 작품이 다양한 색상으로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음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300)는 밝은 색으로 작품이 표현되면 명랑한 노래가 출력되도록 음원을 제공하고 어두운 색으로 작품이 표현되면 웅장한 노래나 슬픈 노래가 출력되도록 음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음원은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는 액자 주변에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상기 액자틀은 나무, 합판, 종이 중 어느 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종이는 포장 케이스와 같이 단단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종이로 구성하게 되면 가볍고 저렴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하나 이상의 센서부 110 : 물체감지센서
200 : 하나 이상의 조명부 300 : 제어부

Claims (11)

  1. 액자틀에 고정된 작품; 및
    상기 액자틀에 형성되어, 빛의 색, 색온도 및 광량을 조절하여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부를 포함하는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작품의 종류에 따라 조절된 색, 색온도 또는 광량을 가지는 빛을 상기 작품을 향하여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작품이 끼워져 고정되는 액자틀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에서 생성된 센싱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값에 따라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가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가 하나의 셋트로 다수개 구성,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가 각각 독립적으로 다수개 구성,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가 조합되어 다수개 구성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는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가 더 포함됨에 따라 상기 물체감지센서가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에서 제 1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가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프로그램된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해서 제 2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2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부가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된 제 1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제 3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3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부가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제 2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된 각각의 제 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각각의 제 4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 4 제어신호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조명부를 각각 제어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음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품은
    돌출되게 그려진 입체작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틀은
    나무, 합판, 종이 중 어느 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KR1020170087805A 2017-07-11 2017-07-11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KR20190007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05A KR20190007131A (ko) 2017-07-11 2017-07-11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05A KR20190007131A (ko) 2017-07-11 2017-07-11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131A true KR20190007131A (ko) 2019-01-22

Family

ID=6532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805A KR20190007131A (ko) 2017-07-11 2017-07-11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71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0796A (zh) * 2019-04-30 2019-07-30 佛山市锐诚云智能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智能展陈系统
WO2020167037A1 (ko) * 2019-02-15 2020-08-20 최대한 광학식 액자
KR102604780B1 (ko) * 2023-10-05 2023-11-21 주식회사 로스텍 가시성 향상을 위해 주변 환경 특성에 따라 전광판의 감마 보정을 수행하는 전광판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757B1 (ko) 2012-01-11 2012-09-27 진 태 임 엘이디 액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757B1 (ko) 2012-01-11 2012-09-27 진 태 임 엘이디 액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7037A1 (ko) * 2019-02-15 2020-08-20 최대한 광학식 액자
CN110070796A (zh) * 2019-04-30 2019-07-30 佛山市锐诚云智能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智能展陈系统
KR102604780B1 (ko) * 2023-10-05 2023-11-21 주식회사 로스텍 가시성 향상을 위해 주변 환경 특성에 따라 전광판의 감마 보정을 수행하는 전광판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7611B2 (en) Light source with light sensor
EP2430885B1 (en) Lighting arrangement
US8690362B2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lighting of a room in accordance with an image projected onto a projection surface
JP5567505B2 (ja) 可変色を有する光生成デバイス
US10222007B2 (en) Lighting apparatus with lower color temperature lighting to a peripheral region
JP2008264430A (ja) 対象色強調システム
CN102783156A (zh) 使用全局内容特性的氛围照明系统
CN107110453A (zh) 照明器和用于提供任务照明和装饰照明的方法
JP2010238407A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CN102300489A (zh) 包括镜表面和照明单元的镜单元
KR20190007131A (ko) 빛을 이용하여 작품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명액자
US20110304653A1 (en) Lamp
JP6628140B2 (ja) 照明装置
CN104770067B (zh) 校准光传感器
US8884528B2 (en) Vase-shaped device, light wall device, and system
CN108361606A (zh) 照明装置
JP2015039880A (ja) ライティング装置及び発光制御方法
US20070132748A1 (en) Screen display with sound lamps
KR20100132959A (ko) 전자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객체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장치
JP2016171040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システム
KR20110094679A (ko) 조명 제어 장치
KR20150031924A (ko) 조명이 구비된 교육용 태극기
TW200811392A (en) Decorative and indicative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868806B2 (ja) 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制御方法
KR20180080799A (ko) 학습능력 개선 개인 맞춤형 led 학습조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