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035A -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 잠금 해제 장치 및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 잠금 해제 장치 및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035A
KR20190007035A KR1020187036125A KR20187036125A KR20190007035A KR 20190007035 A KR20190007035 A KR 20190007035A KR 1020187036125 A KR1020187036125 A KR 1020187036125A KR 20187036125 A KR20187036125 A KR 20187036125A KR 20190007035 A KR20190007035 A KR 20190007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idate information
password
information
sets
information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908B1 (ko
Inventor
리 정
Original Assignee
스마트 일렉트로닉 인더스트리얼(동관)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리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 일렉트로닉 인더스트리얼(동관)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리 정 filed Critical 스마트 일렉트로닉 인더스트리얼(동관)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7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 장치 및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법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 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를 획득하고, 상기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는 단계S101; 상기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고,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는 단계S102; 및 상기 패스워드 검증을 성공하였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S10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시의 오퍼레이션을 간소화하였고, 편리성을 제고하였다.

Description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 잠금 해제 장치 및 단말 장치
본 발명은 패스워드 안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 장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 잠금 해제 장치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 장치가 보편화되고 발전됨에 따라, 단말 장치는 이미 사용자의 업무, 생활 등 여러 분야에서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단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의존도가 점차 높아지면서, 대량의 사용자 정보를 보유한 단말 장치의 안전 문제 역시 점차 중시되고 있다.
기존 기술에서는, 슬라이드를 통한 잠금 해제, 패스워드 입력을 통한 잠금 해제, 3*3 숫자 패드 스크래치를 통한 잠금 해제 등 많은 종류의 단말 장치의 안전 보장을 위한 잠금 해제 방식들이 있다. 이러한 잠금 해제 방식의 이용 방식 역시, 슬라이드 잠금 해제를 통한 휴대폰 잠금 스크린을 해제, 패스워드 입력을 통한 어떠한 응용 소프트웨어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을 통한 전자 도어룩 해제 등으로 다양하다.
위의 잠금 해제 방식은 단말 장치의 안전성을 제고하였다. 그러나, 사용자는 연속적으로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하므로, 오퍼레이션이(operation) 번거롭다. 예를 들어, 휴대폰의 3*3 숫자 패드 스크래치를 통한 잠금 해제 방식은, 한 개의 칸에 한 개의 숫자 밖에 없으므로, 사용자는 패스워드에 맞게 순서에 따라 각 칸을 선택해야만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만약 패스워드가 복수 개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사용자는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칸을 선택해야 하므로, 입력 과정이 번거로워진다. 이에, 기존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은 사용자가 실행하는데 번거로우므로, 편리성이 제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 잠금 해제 장치 및 단말 장치를 제공하고, 기존의 편리성이 낮은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이 가진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말 장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를 집중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고,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스워드 검증을 성공하였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 중에서,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 중의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를 집중적으로 획득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 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 및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된 순서를 획득하고; 상기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다는 점과, 상기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된 순서에 따라 상기 포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배열해 얻은 결과와 상기 패스워드가 같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상기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은 스크린 내에 위치가 고정되는 정적모드로 디스플레이 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적어도 일부 정보 유닛은 스크린 내에서 위치가 변화하는 동적 모드로 디스플레이 된다.
바람직하게,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상기 후보 정보 세트의 일부 정보 유닛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정보 세트 내의 모든 정보 유닛은 점차적으로 순환(loop) 디스플레이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유닛은 스크린 내의 미리 결정된 위치 포인트를 기하학적 중심으로 하여 회전(rotational) 디스플레이 된다.
바람직하게, 모든 정보 유닛은 랜덤으로 유동하는 동영상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바람직하게,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되었을 때, 정보 유닛은 위치가 고정되는 정적모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전환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은 상기 스크린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의 형상은 원형, 다변형 또는 원호형이다.
바람직하게, 복수 개 후보 정보 세트들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은 동심원, 원형, 격자 또는 병렬된 기하학적 관계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 후보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을 기초로 선택된다. 상기 선택된 명령의 입력 소스는 마이크, 자이로스코프, 물리적 버튼, 터치 스크린, 웹캠, 적외선 센서, 진동 센서 중 어느 한 종류 또는 복수 개 종류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된 명령은 터치 스크린에서의 사용자의 후보 정보 세트의 터치를 기초로 촉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는 슬라이드, 클릭 또는 누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된 명령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의 키워드를 기초로 하여 상응되는 후보 정보 세트에 맵핑되어 촉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유닛은 문자부호, 색채, 글자체, 폰트 크기, 패턴 및 이미지의 어느 한 종류 또는 어느 복수 종류의 정보 요소의 결합이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상기 정보 유닛은 두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상기 정보 요소를 결합하였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상기 정보 유닛은 구체적으로 색체의 문자 부호를 결합한 것이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후보 정보 세트가 디스플레이 될 때, 해당 색채로 해당 문자 부호를 디스플레이한다.
바람직하게, 일부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개수와 기타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개수는 다르거나, 또는 전체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개수는 모두 다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을 랜덤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을 랜덤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개수를 랜덤으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스크린에 복수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을 디스플레이하고,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는 단계;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터치해 누른 명령을 획득하여, 해당 연속적으로 터치해 누른 명령이 선택한 후보 정보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선택된 모든 상기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는 점과, 각각의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만을 포함한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는 단계; 패스워드 검증을 성공하였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는 검증 모듈; 패스워드 검증을 성공하였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잠금 해제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획득 모듈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후보 정보세트들 중에서,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 및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된 순서를 집중적으로 획득하는 단계이고,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다는 점과,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된 순서에 따라 상기 포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배열해 얻은 결과와 상기 패스워드가 같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은 스크린 내에 위치가 고정되는 정적모드로 디스플레이 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적어도 일부 정보 유닛은 스크린 내에서 위치가 변화하는 동적 모드로 디스플레이 된다.
바람직하게,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상기 후보 정보 세트의 일부 정보 유닛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정보 세트 내의 모든 정보 유닛이 점차적으로 순환(loop) 디스플레이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유닛은 상기 스크린 내의 미리 결정된 위치 포인트를 기하학적 중심으로 하여 회전(rotational) 디스플레이 된다.
바람직하게, 모든 정보 유닛은 랜덤으로 유동하는 동영상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바람직하게,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되었을 때, 정보 유닛은 위치가 고정되는 정적모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전환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은 상기 스크린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의 형상은 원형, 다변형 또는 원호형이다.
바람직하게, 복수 개 후보 정보 세트들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은 동심원, 원형, 격자 또는 병렬된 기하학적 관계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 후보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을 기초로 하여 선택된다. 상기 선택된 명령의 입력 소스는 마이크, 자이로스코프, 물리적 버튼, 터치 스크린, 웹캠, 적외선 센서, 진동 센서 중 어느 한 종류 또는 복수 개 종류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된 명령은 터치 스크린에서의 사용자의 후보 정보 세트의 터치를 기초로 촉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는 슬라이드, 클릭 또는 누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된 명령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의 키워드를 기초로 하여 상응되는 후보 정보 세트에 맵핑되어 촉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유닛은 문자부호, 색채, 글자체, 폰트 크기, 패턴 및 이미지의 어느 한 종류 또는 어느 복수 종류의 정보의 결합이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상기 정보 유닛은 두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상기 정보를 결합하였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상기 정보 유닛은 구체적으로 색체의 문자 부호를 결합한 것이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후보 정보 세트가 디스플레이 될 때, 해당 색채로 해당 문자 부호를 디스플레이 한다.
바람직하게, 일부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개수와 기타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개수는 다르거나, 또는 모든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개수는 다르다.
바람직하게,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을 랜덤으로 세팅하기 위한 설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 모듈은 후보 정보 세트 내 정보 유닛의 개수를 랜덤으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스크린에 복수 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 개의 정보 유닛들을 포함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터치해 누른 명령을 획득하여 해당 연속적으로 터치해 누른 명령이 선택한 후보 정보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 획득 모듈;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상기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만을 포함한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기 위한 패스워드 검증 모듈 패스워드 검증을 성공하였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단말 잠금 해제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말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는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는 저장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기존 기술에 상대적으로, 본 발명의 단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장치 또는 단말 장치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 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를 획득하고, 상기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고,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고; 및 상기 패스워드 검증을 성공하였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한다.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기 때문에, 동일한 후보 정보 세트는 패스워드의 복수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는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기 때문에, 사용자는 패스워드 정보 유닛의 수보다 적은 수량의 후보 정보 세트를 선택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패스워드 정보 유닛의 배열 순서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사용자의 오퍼레이션(operation)이 간소화되므로, 편리성이 제고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측면과 우수성은 아래에 일부 기술할 예정이다. 이는 아래에서 더 명확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이해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위에서 기술한 및/또는 부가적 측면과 우수성은 아래의 첨부도면과 결합하여 설명한다. 이로써, 실시예가 더 명확해지고 더 잘 이해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A-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동적 디스플레이 정보 유닛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A-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동적 디스플레이 정보 유닛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A-4B는 각각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 패스워드 잠금 해제 장치를 나타낸 구조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 패스워드 잠금 해제 장치를 나타낸 구조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를 나타낸 구조 설명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정보 유닛'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정보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는 한 개의 부이고, 정보는 문자부호, 색채, 글자체, 폰트 크기, 패턴 및 이미지의 어느 한 종류 또는 어느 복수 종류의 정보 요소의 결합이다. 예를 들어, 한 개의 정보 유닛은 한 개의 문자부호로 구성되어 시각적으로(visual) 표현되거나, 또는 한 종류의 패턴과 한 종류의 색채를 결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정보 유닛은 본 분야의 기술 요원이 이해하는 정보의 기본 조직부로, 문자부호, 색체, 글자체, 폰트 크기, 이미지 중 어느 한가지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르는 "패스워드"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슬로건으로, 일반적으로 복수 개 정보 유닛에서 일정한 순서 구성을 통해 생긴다. 예를 들어, 일련의 문자 부호에 의해 구성되거나, 일련의 색채가 표기된 문자 부호에 의해 구성되고, 통상적으로, 평문(plaintext)으로 저장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수요에 따라 패스워드를 수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일컫는"검증"은 결코 패스워드를 특정 형식을 이용해 표현하고 저장한 것에 대한 내용과 사용자가 선택한 내용을 직접 비교하는 것 만을 일컫는 것이 아니라, 해당 특정하게 형성된 패스워드에 대해 표현 전환을 진행한 후 다시 사용자가 선택한 내용과 비교하는 것도 포함한다. 즉, 비록 본 발명은 간편하고 직접적으로 패스워드의"올바른 정보 유닛"을 가리키지만, 해당 올바른 정보 유닛은 많은 종류의 형식으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문 형식, 암호문 형식 및 다른 중간의 형식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요원은 본 발명중의 상기 관련 개념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은 단말 장치에 응용된다. 해당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지니고, 해당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간 교류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집행하여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한다.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101: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후보 정보 세트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를 획득하고,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는 단계
 단말 장치의 스크린 상에 선택될 복수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을 미리 디스플레이하고,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개의 정보 유닛으로 구성된 정보 세트이고, 후보 정보 세트의 정보 유닛 역시 스크린 내에 디스플레이 된다. 후보 정보 세트는 미리 결정된 디스플레이 구역을 가져 사용자의 해당 미리 결정된 디스플레이 구역에서의 오퍼레이션을 통해 해당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선택이 촉발될 수 있게 한다.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되는 것은, 해당 후보 정보 세트 내의 모든 정보 유닛이 선택되는 것을 의미한다.
 단일의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되는 정보 유닛은 해당 패스워드의 정보 유닛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이에, 해당 패스워드의 정보 유닛을 완전히 포함하거나 해당 패스워드의 어느 한 정보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해당 패스워드의 모든 정보 유닛은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되어서, 올바른 후보 정보가 선택되었을 때, 단말 장치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어야 마땅하다. 만약 패스워드의 모든 정보 유닛이 모든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어떤 후보 정보가 선택되는지에 상관없이, 단말 장치의 잠금은 해제될 수 없다.
 사용자가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후보 정보 세트를 선택하면, 단말 장치는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를 바로 획득하게 된다. 사용자가 선택한 후보 정보 세트는 한 개 또는 복수 개 일 수 있다. 이에,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는 스크린 상 복수 개의 후보 정보 세트의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
S102: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고,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는 단계.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를 획득한 후,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대해 검증을 진행하여,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는 점,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 각각의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다는 점을 동시에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세가지 조건을 각각 제1 조건, 제2 조건 및 제3 조건이라 칭한다. 만약 상기 세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의 검증 성공을 결정한다. 만족하지 못하였을 경우, 패스워드의 검증 실패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패스워드와 후보 정보 세트는 모두 정보 유닛으로 구성된 정보 세트이기 때문에, 각각의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는 해당 패스워드와 교집합을 이루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각각의 선택된 후보 정보세트가 상기 패스워드와 교집합을 이룰 때, 각각의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는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정보 유닛을 결정한다. 동시에, 모든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를 새로운 집합으로 조합하는 것은, 새로운 집합과 해당 패스워드를 교집합 연산하는 것으로, 교집합 이후에 획득된 결과가 해당 패스워드인지 아닌지 판단한다. 만약 교집합 결과가 해당 패스워드 일 때,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모든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 만약 상기 두 조건이 만족되고,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다는 점이 만족되었을 경우,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린에 6개의 후보 정보 세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해당 6개의 후보 정보 세트는 각각 후보 정보 세트A(1, 3, 6), 후보 정보 세트B(2, 6, 7), 후보 정보 세트C(8, 6, 0), 후보 정보 세트D(9, 3, 2), 후보 정보 세트E(5, 8, 0), 후보 정보 세트F(4, 3, 9)이고, 패스워드는 1578로, 네 개의 정보 유닛을 가진다.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것이 후보 정보세트 A, B, C와 D일 경우, 후보 정보 세트D는 패스워드가 가진 어느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해당 차례의 패스워드 검증은 실패로 결정된다.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것이 후보 정보 세트 A, B와 C일 경우, 비록 후보 정보 세트 A, B와 C 모두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더라도, 상기 패스워드의 정보 유닛(5)가 후보 정보 세트 A, B 및 C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해당 차 패스워드 검증은 실패로 결정된다. 그러나 후보 정보 세트 A, B와 E를 선택하면, 상기 제1 조건, 제2 조건 및 제3 조건을 만족하므로, 패스워드 검증이 성공으로 결정된다.
일 예시에서, 스크린에 4개의 후보 정보 세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해당 네 개의 후보 정보 세트는 각각 후보 정보 세트 A(1,3,4), 후보 정보 세트B(2, 6, 7), 후보 정보 세트C(8, 6, 0)와 후보 정보 세트D(9, 3, 2)이고, 패스워드는 2667이다. 이에, 사용자는 후보 정보 세트 B만을 선택할 수 있고, 이는 위의 제1 조건, 제2 조건, 제3 조건을 만족하여 패스워드 검증이 성공으로 결정된다. 사용자는 후보 정보 세트 B, D 또는 후보 정보 세트 B, C를 선택할 수도 있고, 이 역시 상기 제1 조건, 제2 조건 및 제3 조건을 만족한다.
이에,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기 때문에, 단일의 후보 정보 세트는 두 개 이상의 패스워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패스워드 정보 유닛의 수보다 적은 후보 정보 세트를 선택할 수 있고, 패스워드 정보 유닛의 배열 순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오퍼레이션을 간소화하였고, 편리성을 제고하였다. 동시에, 패스워드 검증이 성공되게 한 후보 정보 세트의 조합 역시 많은 종류로 이루어 질 수 있어, 타인이 패스워드를 간파하는데 어려움을 줄 수 있고, 패스워드 잠금 해제에 대한 은밀성을 제고할 수 있다.
S103: 패스워드 검증을 성공하였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패스워드 검증 성공 시, 단말 장치의 기존의 잠금 생태가 해제된다. 패스워드 검증 실패 시, 단말 장치는 기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S101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 및 이가 선택된 순서를 획득하는 단계;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는 단계는, 각각의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다는 점과,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된 순서에 따라 상기 포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배열해 얻은 결과와 상기 패스워드가 같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한다.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를 획득할 때,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된 시간에 따라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를 배열할 때, 먼저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를 앞에 배열하고, 나중에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를 뒤에 배열한다.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할 때,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와 상기 패스워드가 교집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은지 판단한다. 만약 모두 교집합이 존재하고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 보다 적을 때,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와 패스워드의 교집합에서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선택하고,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된 순서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정보 유닛을 배열하여, 배열 결과와 패스워드가 같은 지 판단한다. 만약 같을 경우,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패스워드의 정보 유닛의 배열 순서와 사용자가 후보 정보 세트를 선택한 순서에 따라, 패스워드의 기존 정보 유닛과 첫번째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부터 시작하여, 패스워드의 기존 정보 유닛이 기존에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포함되지 않을 경우, 판단을 중단하고, 포함될 경우, 패스워드의 다음의 정보 유닛이 기존에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포함되지 않을 경우, 해당하는 다음의 정보 유닛이 다음의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포함되지 않을 경우, 판단을 중단하고, 포함될 경우, 패스워드의 가장 마지막 정보 유닛과 가장 마지막의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를 판단할 때 까지, 위의 판단을 계속 진행한다.
중단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만약 존재할 경우, 패스워드 검증 실패를 결정한다. 중단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린에 6개의 후보 정보 세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해당 6개의 후보 정보 세트는 각각 후보 정보 세트 A(1,3,6), 후보 정보 세트B(2,5,7), 후보 정보 세트C(4,6,0), 후보 정보 세트D(9,3,2), 후보 정보 세트E(5,8,0), 후보 정보 세트F(4,3,9)이고, 패스워드는 1578이다.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후보 정보 세트가 차례로 AEB일 경우, 비록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와 상기 패스워드에 교집합이 존재하더라도, 또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더라도, 후보 정보 세트가 선정된 순서에 기초하여 포함된 정보 유닛을 배열할 때, 후보 정보 세트A에서 1을 선택하고, 후보 정보 세트 E에서 5를 선택하고, 후보 정보 세트 B에서 7을 선택하여 157로 배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패스워드 1578과 다르기 때문에, 패스워드 검증은 실패이다.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후보 정보 세트가 차례로 ABE이고, 후보 정보 세트A에서 1을 선택하고, 후보 정보 세트B에서 5와 7을 선택하고, 후보 정보 세트E에서 8을 선택하여, 1578로 배열할 수 있고, 이는 패스워드 1578과 같기 때문에, 패스워드 검증은 성공이다.
이에, 본 실시예는 패스워드 정보 유닛의 배열 순서와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된 순서의 대응 관계를 고려하였다. 각각의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는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정보 유닛이 가진 전체 개수보다 적을 때,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된 순서에 따라 포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이 획득한 결과와 상기 패스워드가 같아지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오퍼레이션을 간소화한 후, 추가적으로 안전성을 제고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은 스크린 내 위치가 고정되는 정적 모드로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위치가 고정되는 정적모드로 디스플레이 된다는 것은 정보 유닛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포함된 후보 정보 세트에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변하지 않는 것을 뜻하거나,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상대적으로 형성되는 전체가 고정되어 변하지 않는 것 뜻하는 것으로, 스크린의 미리 결정된 위치가 변하지 않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모든 후보 정보 세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할 때, 정보 유닛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스크린에 상대적으로 변화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이가 포함된 후보 정보 세트는 고정되어 변하지 않는다.
정보 유닛의 형상, 크기 및 색채가 고정되어 변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적어도 일부 정보 유닛은 스크린 내에서 위치가 변화하는 동적 모드로 디스플레이 되거나, 모든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일부 또는 전부의 정보 유닛은 스크린 내에서 위치가 변화하는 동적 모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는 일부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일부 또는 전부 정보 유닛이 스크린 내에서 위치가 변화하는 동적 모드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거나, 모든 후보 정보 세트 내의 부분 또는 전체 정보 유닛이 스크린 내에서 위치가 변화하는 동적 모드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위치가 변화하는 동적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은, 정보 유닛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실시간 또는 정해진 시간에 스크린 내에서 변화하는 것이다. 이로써, 동적 방식으로 가시화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스크린 내에서 스크롤 되는 방식, 회전하는 방식, 튀어나오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에, 정보 유닛은 위치가 변화하는 동적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패스워드의 은밀성과 혼동성을 더 제고한다.
아래에서는, 위치가 변화하는 동적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몇 가지 실시예들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2A 와 도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린에 네 개의 후보 정보 세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해당하는 네 개의 후보 정보 세트는 모두 두 개의 정보 유닛을 가진다. 여기서, 제1 후보 정보 세트(101)의 정보 유닛은 1과 3이고, 제2 후보 정보세트(102)의 정보 유닛은 2와7이고, 제3 후보 정보 세트(103)의 정보 유닛은 8과 6이고, 제4 후보 정보 세트(104)의 정보 유닛은 9와 3이다.
도 2A에서, 어느 한 시각, 제1 후보 정보 세트(101)의 정보 유닛(1), 제2 후보 정보 세트(102)의 정보 유닛(2), 제3 후보 정보 세트(103)의 정보 유닛(8)과 제4 후보 정보 세트(104)의 정보 유닛(9)만을 디스플레이 하였다.
미리 결정된 시간이 지난 후,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린 내에 제1 후보 정보 세트(101)의 정보 유닛(3), 제2 후보 정보 유닛(102)의 정보 유닛(7), 제3 후보 정보 세트(103)의 정보 유닛(6)과 제4 후보 정보 세트(104)의 정보 유닛(3)을 디스플레이하였다. 이 때의 정보 유닛은 이미 변경된 것으로, 다음의 미리 결정된 시간이 지난 후, 각 후보 정보 세트는 도 2A의 정보 유닛을 디스플레이하여, 점차적인 순환 디스플레이 효과에 도달한다.
만약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수가 3개 이상일 경우,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두 개 이상의 정보 유닛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미리 예정된 시간의 길이는 실제 응용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자신의 수요에 따라 해당하는 미리 결정된 시간을 설정하도록 허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3A와 도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보 유닛(20)은 스크린 내의 미리 예정된 위치 포인트를 기하학적 중심으로하여 회전(rotational) 디스플레이하고, 구체적으로, 후보 정보 세트(10)는 해당하는 미리 결정된 위치 포인트는 기하학적 중심으로 하여 회전 디스플레이한다.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린 내에 총 6개의 후보 정보 세트(10)가 있고, 해당하는 6개의 후보 정보 세트(10)는 스크린 내 미리 결정된 위치 포인트를 원심으로 하여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고, 해당하는 미리 결정된 위치 포인트를 둘러싼 채 회전할 수 있다.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린에 총 5개의 후보 정보 세트(10)가 있고, 미리 결정된 위치 포인트는 이중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이고, 해당하는 후보 정보 세트의 위치는 고정 위치이고, 다른 네 개의 후보 정보 세트는 해당하는 위치가 고정된 후보 정보 세트의 주변을 둘러싼 채 회전하고, 위치가 고정된 후보 정보 세트를 둘러싼 채 회전한다.
당연히, 복수 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른 후보 정보 세트는 이러한 위치가 고정된 후보 정보 세트를 둘러싼 채 회전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게 하기 위해, 회전 속도를 비교적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단말 장치 내에 상응하는 설정 항목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응하는 회전 속도와 회전 방향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든 정보 유닛은 후보 정보 세트 내에서 랜덤으로 유동하는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동시에, 정보 유닛의 색채, 크기 모두 역시 랜덤으로 변할 수 있다. 만약 정보 유닛이 숫자, 알파벳 또는 문자일 경우, 숫자, 또는 문자의 글씨체 역시 랜덤으로 변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서, 정보 유닛의 동적 디스플레이는 패스워드의 은밀성과 혼동성을 제고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사용자가 식별하고 후보 정보 세트를 선택하는데 어느정도 불편함을 준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될 때, 정보 유닛은 위치가 고정되는 정적 모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후보 정보 세트에 대한 선택이 있었는지 실시간 검측하여, 만약 있었을 경우, 정보 유닛을 위치가 고정되는 정적 모드로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의 스크린이 잠겼을 때, 단말 장치는 실시간으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누름이 있었는지 실시간으로 검측한다. 터치 누름이 있었을 경우, 정보 유닛은 위치가 고정되는 정적 모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전환된다. 만약 이러한 터치 누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중단될 경우, 정보 유닛은 정적 모드에서 동적 모드로 디스플레이 방식을 전환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패스워드의 은밀성과 혼동성을 제고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후보 정보 세트를 식별하고 선택하는 데 있어 편리성을 제고하여, 사용감을 증대시킨다.
위의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이 디스플레이 되는 범위가 스크린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에 제한되도록 하고, 해당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 내의 오퍼레이션에 대한 선택은 해당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에 대한 대응되는 후보 정보 세트의 선택을 촉발한다.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은 대응되는 특정한 디스플레이 경계를 지니고, 해당 특정 디스플레이 경계는 스크린 내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해당 특정 디스플레이 경계는 명시적으로(overt) 가시화(visual) 디스플레이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경계선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의 형상은 원형, 다변형 및 원호형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정보 유닛은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 내에서 직선, 병렬, 삼각형 또는 다른 형상으로 배열 디스플레이 된다. 복수 개의 후보 정보 세트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은 동심원, 원형, 격자, 병렬 또는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설정될 수 있다.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의 형상, 복수 개 정보 유닛은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 내의 배열과 후보 정보 세트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에서 나타나는 디스플레이 형상으로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당연히, 사용자에게 비교적 우수한 시각적 체험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후보 정보 세트를 식별하고 선택하는 데 있어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해, 특정한 디스플레이 구역 내의 형상, 복수 개 정보 유닛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 내에서의 배열 및 후보 정보 세트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 내에서 나타나는 디스플레이 형상에 따라 합리적인 배치를 진행하여야 마땅하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에서 격자 모형으로 나타나는 기하학적 관계에 대해 설정을 진행할 때,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의 형상이 원형을 포함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의 형상이 직사각형 일 때, 상기 특정한 디스플레이 구역 내에서의 정보 유닛이 직선으로 배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고, 복수 개의 후보 정보 세트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이 병렬의 기하학적 관계로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4A-4C는 몇 가지 관련 실시예들을 나타내었다.
도 4A에서는, 특정한 디스플레이 경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복수 개의 정보 유닛(20)은 치밀하게 배열되어 있고, 치밀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정보 유닛(20)는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식별하는 데 편리하다.
도 4B에서, 특정 디스플레이 경계(11)은 경계선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되었다. 특정 디스플레이 경계(11)는 원형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12)을 형성하였고, 복수 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12)은 격자로 나타나는 기하학적 관계에 설정을 진행하였다.
도 4C에서,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12)은 스틱형 직사각형 형태로 나타나고,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12)의 복수 개의 정보 유닛(20)은 직선 배열 형태로 나타난다. 복수 개 후보 정보 세트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12)은 병렬된 기하학적 관계로 나타난다.
일 실시예에서, 후보 정보 세트는 사용자의 선택된 명령을 기초로 하여 선택된다. 선택된 명령의 입력원은 마이크, 자이로스코프, 물리적 버튼, 터치 스크린, 웹캠, 적외선 센서, 진동 센서 중 어느 한 종류 또는 복수 개 종류로 제공된다.
일 구현 방식에서,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사용자의 후보 정보 세트에 대한 터치는 명령 선택을 촉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 후보 정보 세트를 클릭, 슬라이드 또는 누르는 방식으로 터치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실시간으로 표면에 터치가 가해졌는지의 여부를 검측하고, 터치가 가해졌고, 상기 터치 위치가 후보 정보 세트의 디스플레이 범위 내에 있을 경우, 해당되는 후보 정보가 선택된다.
일 구현 방식에서, 단말 장치에 마이크가 설치되고, 단말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을 획득하고, 입력된 음성에서 키워드를 식별한다. 만약 해당 키워드와 어떠한 후보 정보 세트의 미리 설정된 관련 글자가 대응될 경우, 해당 후보 정보 세트는 선택된다. 사용자의 사용에 편리함을 가져다 주기 위해, 관련 글자는 유일성과 일정한 순서 관계가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후보 정보 세트가 스크린 내에서 직선으로 순서에 따라 배열될 경우, 후보 정보 세트의 관련 글자를 배열 번호에 따라 설정하고, 만약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에 번호가 포함될 경우, 해당 번호에 대응하는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된다. 단말 장치는 상응하는 선택 사항을 제공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후보 정보 세트의 관련 글자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당연히, 다른 기타의 방식으로 선택된 명령을 촉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CTV를 통해 사용자의 어떠한 특정 손짓 또는 어떠한 미리 결정된 시각적 동작(Visual Motion)을 포착하거나, 자이로스코프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대한 수평 상태의 어떠한 특정한 조종하거나, 진동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 장치의 흔들림을 식별하거나, 적외선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특정한 손짓 하나를 검측하거나,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물리적 버튼이 턴온(turn-on) 상태 등인지 식별하여, 선택된 명령을 촉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유닛은 문자부호, 색채, 글자체, 폰트 크기, 패턴 및 이미지의 어느 한 종류 또는 어느 복수 종류의 정보 요소의 결합이다. 패스워드의 정보 유닛 역시 문자부호, 색채, 글자체, 폰트 크기, 패턴 및 이미지의 어느 한 종류 또는 어느 복수 종류의 정보 요소의 결합이다. 여기서, 문자 부호는 문자, 숫자, 알파벳 또는 부호 등일 수 있고, 컬러는 붉은색, 흑색 등 흔히 볼 수 있는 12가지 색상일 수 있다. 글씨체는 흔히 사용하는 해서체, 송체 또는 고딕체 등 일 수 있고, 패턴은 삼각형, 원형, 매화형 등이 특정 형상의 패턴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식별하게 하기 위해, 서로 다른 정보 유닛의 정보는 비교적 좋은 식별성을 지닐 수 있고, 비교적 유사한 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정보가 색채일 때, 만약 어떠한 한 정보 유닛이 분홍색 일 경우, 다른 정보를 옅은 붉은색, 진한 붉은 색 등 비교적 유사한 컬러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녹색 또는 검정색 등 차이가 비교적 큰 색으로 설정해야 마땅하다.
한 종류의 정보로 구성된 정보 유닛만을 사용할 때, 정보 유닛의 정보는 상기 정보 유닛의 전부이다.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이 포함되는지 판단할 때, 패스워드의 각각의 정보 유닛의 정보와 후보 정보 세트 내의 각각의 정보 유닛의 정보를 비교하여, 만약 동일한 정보가 존재할 경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부가 포함되는지 결정한다. 같은 이치로,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모든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때, 패스워드의 각각의 정보 유닛의 정보를 차례로 후보 정보 세트 내 각각의 정보부의 정보와 비교한다. 만약 같을 경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모든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되는지 결정한다.
안정성과 은밀성을 추가적으로 제고하기 위해, 각각의 정보 유닛은 두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정보를 결합할 수 있다. 후보 정보 세트의 정보 유닛이 패스워드 정보 유닛과 같은지 검증할 때, 점차적으로 정보가 같은지 검증한다. 만약 후보 정보 세트의 정보 유닛의 모든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 유닛의 모든 정보가 같을 때, 양자가 동일하다는 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색채와 글자 부호의 식별도가 비교적 높다는 점을 참고로 하여, 정보 유닛이 색채를 띈 글자 부호일 경우를 예로 든다. 예로, 패스워드의 한 개의 정보 유닛은 붉은 색의 “1”이고, 후보 정보 세트 내에 붉은 색의 “2”, 검정색의 “1”과 붉은색 “1”을 포함한다. 붉은색의 “2”와 검정색 “1”은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였기 때문에, 해당 패스워드의 정보 유닛과 다르고, 후보 정보 세트 내 정보 유닛의 색채는 붉은 색이고 숫자 “1”일 경우, 양자가 같다고 결정한다. 해당 후보 정보 세트는 패스워드의 정보 유닛이 포함된다. 당연히, 정보 유닛 역시 색채와 패턴, 글자 부호와 글씨체 등 정보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유닛은 검정색 알파벳 “C”, 파란색의 정해서체 한자“왕”이다.
일 실시예에서, 일부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개수와 다른 후보 정보 세트 내 정보 유닛의 개수는 다르거나, 전체 후보 정보 세트 내 정보 유닛의 개수는 같지 않다. 예를 들어, 스크린 내 네 개의 후보 정보 세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여기서 두 개의 후보 정보 세트 내에 세 개의 정보 유닛이 포함되고, 나머지 두 개의 후보 정보 세트는 각각 한 개와 두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 사람 입장에서, 정보 유닛의 수의 다름은 사람들이 오해할 수 있게 하여, 혼동성과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 후보 정보 유닛의 수는 일정한 규율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내 네 개의 후보 정보 세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네 개의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수는 각각 한 개, 두 개, 세 개 및 네 개이다. 사람 입장에서, 정보 유닛의 규율성 있는 배열은 사람들이 패스워드와 관련 있다고 이해할 수 있으므로 잘못된 판단을 내리게 하여, 혼동성과 안전성을 추가적으로 제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S101은 선택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된 적어도 한 가의 후보 정보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을 랜덤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을 랜덤으로 설정한 후, 매 차례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 된 정보 유닛은 모두 랜덤이다. 이에, 이전 차례 잠금 스크린 인터페이스 내 정보 유닛과 다음 차례 스크린 인터페이스 내 정보 유닛은 다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타인이 변화한 정보 유닛에서 패스워드를 해독하기 더 어려워진다. 이에, 은밀성과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이러한 랜덤 설정은 결코 임의의 설정이 아니고, 랜덤 설정 후의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은 패스워드의 정보 유닛을 여전히 포함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후보 정보 세트를 선택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통과할 수 있다. 만약 이 랜덤 설정이 임의적일 경우, 단말 장치의 잠금 해제가 불가능해진다. 이와 동시에, 이러한 랜덤 설정은 일차적인 패스워드 검증을 마친 후, 단말 장치 잠금 해제 후, 다음 잠금 인터페이스가 나타나기 전에 실행되는 것이다. 한 차례의 잠금 해제에 있어,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후보 정보 세트가 올바르지 않아 패스워드 검증을 실패할 경우, 후보 정보 세트의 정보 유닛을 결코 랜덤으로 설정하지 않고, 잠금 해제 성공 후, 정보 유닛에 대해 랜덤 설정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유닛을 랜덤으로 설정하는 것은 정보 유닛의 정보를 랜덤으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를 개선할 수 있고, 정보의 종류 수 증가시키거나 및/또는 정보의 종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구현방식에서, 정보 유닛의 정보를 랜덤으로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정보의 유형은 바꾸지 않는다. 일 예시에서, 정보 유닛은 색채를 가진 글자 부호이다. 예로, 스크린에 세 개의 후보 정보 세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첫 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검정색의 “1”과 붉은색의 “2”를 포함하고, 두 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파란색의 “5”와 녹색의 “3”을 포함하고, 세 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검정색“7”과 보라색 “4”를 포함한다. 본 차례의 패스워드 검증 성공 후, 다음 차례에는 첫 번째 후보 정보 세트가 검정색의 "8"과 붉은색의 "2"를 포함하도록 세팅할 수 있고, 두 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붉은 색의 "5"와 녹색의 "3"을 포함하고, 세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검정색 "7"과 보라색 "4"를 포함한다. 이로써, 첫 번째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글자 부호가 변하였고, 두 번째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색채에 변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정보 유닛을 구성하는 정보는 색채와 문자 부호일 수 있고, 이의 종류는 결코 변하지 않는다.
일 구현 방식에서, 정보의 종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정보 유형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유닛은 색채를 가진 글자 부호이다. 예로, 스크린 상 세개의 후보 정보 세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첫 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검정색의“A”와 붉은색“B”를 포함하고, 두 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파란색“C”와 녹색의“F”를 포함하고, 세 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검정색“E”와 보라색“K”를 포함한다. 해당 차의 패스워드 검증 성공 후, 다음 차에는 첫번째 후보 정보 세트가 검정색“삼각형”과 붉은색“B”를 설정할 수 있고, 두 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파란색“C”와 녹색의“F”를 포함하고, 세 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검정색 “E”와 보라색 “오각별”을 포함한다. 이로써, 색채와 글자 부호 두 종류의 정보를 가진다는 기초 하에, 첫 번째 후보 정보 세트와 세 번째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은 패턴이라는 새로운 정보를 추가하였다.
일 구현 방식에서, 정보의 종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정보의 유형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일의 후보 정보 세트 내 정보의 유형의 수를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유닛은 색채를 가진 글자 부호이다. 예를 들어, 스크린에 세 개의 후보 정보 세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첫 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삼각형” 및 붉은색의 “B”를 포함하고, 두 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파란색 “C”와 녹색의 “F”를 포함하고, 세 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검정색 “E”와 보라색의 “오각별”을 포함한다. 해당 차 패스워드 검증 성공 후, 다음 차에서 첫번째 후보 정보 세트가 검정색 “A”와 붉은색 “B”를 포함하고, 두 번째 후보 정보 세트가 파란색 “C”와 녹색의 “F”를 포함하고, 세 번째 후보 정보 세트가 검정색 “E”와 보라색 “K”를 포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정보 유닛의 기존 정보를 감소시킨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을 랜덤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후보 정보 세트 정보 유닛의 개수를 랜덤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간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에 세 개의 후보 정보 세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첫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세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두 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두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세 번째 후보 정보 세트는 네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 해당 차의 패스워드 검증 성공 후, 다음 차에 첫번째 후보 정보 세트가 다섯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두번째 후보 정보 세트가 세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세 번째 후보 정보 세트가 두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된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S101 이전에, 다음과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한다.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를 랜덤으로 설정한다.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를 랜덤으로 설정한 후, 매 차례의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 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는 모두 랜덤의 개수이다. 이에, 전 차례의 잠금 스크린 인터페이스 내의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와 다음 차례의 스크린 인터페이스 내의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는 다를 가능성이 커져 은밀성과 안전성이 제고될 수 있다. 당연히, 이러한 랜덤 설정은 결코 임의의 설정이 아니다. 랜덤으로 설정된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은 패스워드의 정보 유닛을 여전히 포함하여서, 사용자가 올바른 후보 정보 세트를 선택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통과하도록 해야 마땅하다.
위의 몇 가지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몇 종류의 예시일 뿐, 잠금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기 전, 정보 유닛의 개수, 정보 유닛의 정보와 후보 정보 유닛의 개수 중 임의의 한 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조합에 대해 랜덤으로 설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말 장치 내에 상응 항목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수요에 따라 정보 유닛의 개수, 정보 유닛의 정보와 후보 정보 유닛의 개수 중 임의의 한 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조합에 대해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 응용 및 단말 장치는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201: 스크린에 복수개의 후보 정보 세트를 디스플레이하고,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는 단계;
단말 장치의 스크린 상에 선택될 복수 개의 정보 세트를 미리 디스플레이하고,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 개의 정보 유닛으로 구성된 정보 세트이고, 후보 정보 세트의 정보 유닛 역시 스크린 내에 디스플레이 된다. 단일의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 정보 유닛은 상기 패스워드의 정보 유닛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이에, 해당 패스워드의 정보 유닛을 안전하게 포함하거나 해당 패스워드의 어느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해당 패스워드의 모든 정보 유닛은 상기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되어서, 올바른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될 때, 단말 장치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만약 패스워드의 모든 정보 유닛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어떤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되는지에 상관없이, 단말 장치는 잠금이 해제될 수 없다.
S202: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터치해 누른 명령을 획득하여, 해당하는 연속적으로 누른 명령이 선택한 후보 정보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검증 사용자는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연속적인 슬라이딩 오퍼레이션을 통해, 연속적인 터치 누름에 대한 명령을 발생시킨다. 후보 정보 세트는 미리 결정된 디스플레이 구역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하는 미리 결정된 구역에서 슬라이딩 오퍼레이션을 통해 상기 후보 정보 세트에 대한 선택을 촉발할 수 있다. 이에, 연속적인 슬라이딩 오퍼레이션 시 거친 미리 결정된 디스플레이 구역에 상응하는 후보 정보 세트 역시 선택된다. 사용자가 선택한 후보 정보 세트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이에,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는 스크린 상의 복수개 후보 정보 세트들의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
S203: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할 때,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은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는 점과, 각각의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한 개의 정보 유닛만이 포함될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는 단계;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를 결정한 후,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대해 검증을 진행하고,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모든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되는지, 각각의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한 정보 유닛만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한다. 위 조건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 중에서, 스크린에는 네 개의 후보 정보 세트가 디스플레이 되고, 해당하는 네 개의 후보 정보 세트는 각각 후보 정보 세트A(1, 3, 6), 후보 정보 세트B(2, 6, 7), 후보 정보 세트C(8, 6, 0) 및 후보 정보 세트D(9, 3, 2)이고, 패스워드는 1789이다. 만약 사용자가 후보 정보 세트A, B, C 및 D를 선택하였을 경우 패스워드의 정보 유닛 1789는 후보 정보 세트 A, B, C, D에 포함된다. 동시에, 후보 정보 세트A, B, C 및 D는 모두 패스워드의 한 개의 정보 유닛만을 포함하였다. 이에, 해당 차례의 패스워드 검증은 성공이다.
S204: 상기 패스워드 검증을 성공하였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패스워드 검증을 성공하였을 때, 단말 장치는 기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패스워드 검증에 실패하였을 때, 단말 장치는 기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 패스워드 잠금 해제 장치를 나타낸 구조 설명도이다.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장치는 획득 모듈(401), 검증 모듈(402)과 잠금 해제 모듈(403)을 포함한다. 획득 모듈(401)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개의 후보 정보 세트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를 집중적으로 획득하고,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 검증 모듈(402)은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고,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는 점과, 각각의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한다. 잠금 해제 모듈(403)은 패스워드 검증을 성공하였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획득 모듈(401)은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후보 정보세트에서,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 및 이가 선택된 순서를 집중적으로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와 대응되게, 검증 모듈(402)은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할 ?, 각각의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다는 점과,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된 순서에 따라 상기 포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배열해 얻은 결과와 상기 패스워드가 같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은 스크린 내에 위치가 고정되는 정적모드로 디스플레이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적어도 일부 정보 유닛은 스크린 내에서 위치가 변화하는 동적 모드로 디스플레이 된다.
추가적으로,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상기 후보 정보 세트의 일부 정보 유닛만을 디스플레이하는 일부 정보 유닛은, 상기 후보 정보 세트 내의 모든 정보 유닛이 점차적으로 순환(loop) 디스플레이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정보 유닛은 스크린 내의 미리 결정된 위치 포인트를 기하학적 중심으로하여 회전(rotational) 디스플레이 된다.
추가적으로, 모든 정보 유닛은 랜덤으로 유동하는 동영상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추가적으로,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되었을 때, 정보 유닛은 위치가 고정되는 정적모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전환된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은 상기 스크린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한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의 형상은 원형, 다변형 또는 원호형이다.
추가적으로, 복수개 후보 정보 세트의 특정 디스플레이 구역은 동심원, 원형, 격자 또는 병렬된 기하학적 관계로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후보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을 기초로 선택된다. 상기 선택된 명령의 입력 소스는 마이크, 자이로스코프, 물리적 버튼, 터치 스크린, 웹캠, 적외선 센서, 진동 센서 중 어느 한 종류 또는 복수 개 종류로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선택된 명령은 터치 스크린에서의 사용자의 후보 정보 세트의 터치를 기초로 촉발된다. 더 추가적으로, 상기 터치는 슬라이드, 클릭 또는 누름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선택된 명령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의 키워드를 기초로 하여 상응되는 후보 정보 세트에 맵핑되어 촉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유닛은 문자부호, 색채, 글자체, 폰트 크기, 패턴 및 이미지의 어느 한 종류 또는 어느 복수 종류의 정보 요소의 결합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정보 유닛은 두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상기 정보 요소를 결합하였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상기 정보 유닛은 구체적으로 색체의 문자 부호를 결합한 것이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후보 정보 세트가 디스플레이될 때, 해당 색채로 해당 문자 부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일 실시예에서, 일부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개수와 기타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개수는 같거나, 또는 전체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개수는 모두 다르다.
일 실시예에서, 설정 모듈은 후보 정보 세트의 정보 유닛을 랜덤으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설정 모듈은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의 개수를 랜덤으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 패스워드 잠금 해제 장치를 나타낸 구조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장치를 제공한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는 스크린에 복수 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 개의 정보 유닛들을 포함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모듈(411);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터치해 누른 명령을 획득하여 해당하는 연속적으로 터치해 누른 명령이 선택한 후보 정보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 획득 모듈(412);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상기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만을 포함한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기 위한 패스워드 검증 모듈(413)패스워드 검증을 성공하였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단말 잠금 해제 모듈(414)를 포함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를 나타낸 구조 설명도이다.
도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말 장치는 저장 모듈(501), 디스플레이 스크린(502)와 제어 모듈(50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 모듈(501)은 상기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보 정보 세트가 저장된 배열 방식,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 정보 유닛의 정보 등이 저장된다. 처리 모듈(503)은 상기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모듈(502)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후보 정보 세트와 정보 유닛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단말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또는 전자 도어록 등 일 수 있다. 단말 장치가 상기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때, 도어록, 신분 인증, 응용 소프트웨어 로그인 시 패스워드 검증 및 잠금화면 상태의 잠금 해제 등에 사용된다.
사용자의 후보 정보 세트에 대한 선택으로 인한 오퍼레이션을 획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502)는 터치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고, 단말 장치는 마이크, 자이로스코프, 물리적 버튼, 터치 스크린, 웹캠, 적외선 센서, 진동 센서 중 어느 한 종류 또는 복수 개 종류로 제공된다. 당연히, 단말 장치는 블루투스, 동영상 등 다른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본 신청 중 상기 오퍼레이션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수요에 따른 목적을 위해 전문적으로 설계 또는 제작된 것이 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컴퓨터 중 이미 알려진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는 장치 내부에 저장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선택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재구성될 수 있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장치(예,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자 명령 저장에 적합하고 버스(broadcast and unknown server)에 각각 연결되는 모든 유형의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는 모든 유형의 디스크(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시디(CD), CD-ROM, 광자기 디스크 포함), ROM(Read-Only Memory, 읽기 전용 기억 장치), RAM(Random Access Memory, 램,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기억 장치 (flash memory), 자기 카드(magnetic card) 또는 광 기록 카드가 포함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판독 가능한 매체에는 장치(예,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모든 매체가 포함된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사용해 이러한 구성도 조합/또는 블록도 조합/또는 플로우 차트(flow chart) 중의 각각의 프레임 및 구성도의 조합/또는 블록도의 조합/또는 설명도 중 프레임의 조합을 진행할 수 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통상적인 컴퓨터, 전문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데이터 처리 방법의 처리 장치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이로써,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처리 방법의 처리 장치를 통해 본 발명에서 공개된 구성도 조합/또는 블록도 조합/또는 설명도 중 프레임 또는 복수의 프레임 중 지정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통해 이미 기술된 각종 오퍼레이션, 방법, 과정 중의 기타 단계, 조치, 방안이 치환, 변경, 조합 또는 삭제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더 상세히, 본 발명에서 이미 기술된 각종 오퍼레이션, 방법, 과정 중의 기타 단계, 조치, 방안 역시 치환, 변경, 재배치, 조합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더 상세히, 기존 기술이 구비하였고, 본 발명에서 공개한 각종 오퍼레이션, 방법, 과정 중의 단계, 조치, 방안 역시 치환, 변경, 재배치, 조합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방식 중 일부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몇 가지 수정을 진행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고 간주하여야 마땅하다.

Claims (10)

  1.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 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를 획득하고, 상기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고,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스워드 검증을 성공하였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 개의 후보 정보세트들 중에서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 중의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 개의 후보 정보세트들 중에서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 및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된 순서를 획득하고,
    상기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다는 점과, 상기 후보 정보 세트가 선택된 순서에 따라 상기 포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배열해 얻은 결과와 상기 패스워드가 같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상기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는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정보 유닛이 상기 스크린 내에 위치가 고정되는 정적 모드로 디스플레이되는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 내의 적어도 일부 정보 유닛이 상기 스크린 내에서 위치가 변화하는 동적 모드로 디스플레이되는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후보 정보 세트의 일부 정보 유닛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정보 세트 내의 모든 정보 유닛이 점차적으로 순환(loop) 디스플레이되는,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유닛이 상기 스크린 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 포인트를 기하학적 중심으로 하여 회전(rotational) 디스플레이되는,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
  7.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에 복수 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하는 단계;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터치해 누른 명령을 획득하여, 상기 연속적으로 터치해 누른 명령이 선택한 후보 정보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모든 상기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만을 포함한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상기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패스워드 검증을 성공하였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
  8.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장치에 있어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 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후보 정보 세트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를 기초로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후보 정보 세트의 개수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정보 유닛의 전체 개수보다 적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는 검증 모듈;
    상기 패스워드 검증을 성공하였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잠금 해제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장치.
  9.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장치에 있어서,
    스크린에 복수 개의 후보 정보 세트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는 복수 개의 정보 유닛들을 포함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터치해 누른 명령을 획득하여 해당하는 연속적으로 터치해 누른 명령이 선택한 후보 정보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 획득 모듈;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을 진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모든 정보 유닛이 상기 선택된 모든 후보 정보 세트에 포함된다는 점과, 상기 선택된 각각의 후보 정보 세트가 상기 패스워드가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정보 유닛만을 포함한다는 점을 만족하였을 때,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결정하기 위한 패스워드 검증 모듈;
    패스워드 검증을 성공하였을 때,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단말 잠금 해제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 해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패스워드 잠금 해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저장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KR1020187036125A 2016-06-14 2016-12-20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 잠금 해제 장치 및 단말 장치 KR102170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423589.5 2016-06-14
CN201610423589.5A CN106096350B (zh) 2016-06-14 2016-06-14 终端设备密码解锁方法、装置和终端设备
PCT/CN2016/111017 WO2017215225A1 (zh) 2016-06-14 2016-12-20 终端设备密码解锁方法、装置和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035A true KR20190007035A (ko) 2019-01-21
KR102170908B1 KR102170908B1 (ko) 2020-10-29

Family

ID=5784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125A KR102170908B1 (ko) 2016-06-14 2016-12-20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 잠금 해제 장치 및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10463B2 (ko)
EP (1) EP3471000B1 (ko)
JP (1) JP6687222B2 (ko)
KR (1) KR102170908B1 (ko)
CN (1) CN106096350B (ko)
AU (1) AU2016412123B2 (ko)
PT (1) PT3471000T (ko)
TW (1) TWI621028B (ko)
WO (1) WO20172152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171A (ko) * 2019-02-12 2020-08-2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노출방지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 암호의 해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6350B (zh) * 2016-06-14 2019-02-05 东莞盛世科技电子实业有限公司 终端设备密码解锁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8427869A (zh) * 2018-02-06 2018-08-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解锁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CN109032675A (zh) * 2018-06-25 2018-12-18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终端设备的屏幕解锁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11639617B1 (en) 2019-04-03 2023-05-02 The Chamberlain Group Llc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EP4258142A1 (en) * 2022-04-07 2023-10-11 Neuprotel S.L. Method for validating user authentication in information syste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6520A1 (en) * 2009-07-15 2011-01-20 Ira Cohe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s
KR20120047075A (ko) * 2010-11-03 2012-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40101744A1 (en) * 2011-05-26 2014-04-10 Yingjie Liu Dynamic interactive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0795A (ja) * 2002-03-20 2003-10-02 Sanwa Newtec Co Ltd 暗証番号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JP4758175B2 (ja) * 2005-08-15 2011-08-24 株式会社みずほ銀行 利用者認証方法及び利用者認証プログラム
CN101183941B (zh) * 2007-08-03 2011-03-09 廖睿 随机隐询式密码认证技术
US8904479B1 (en) * 2008-03-28 2014-12-02 Google Inc. Pattern-based mobile device unlocking
CN102567680B (zh) * 2011-12-31 2015-01-2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解锁方法及装置
CN103257803A (zh) * 2012-02-15 2013-08-2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解锁方法和装置以及密码设置方法和装置
US8756677B2 (en) * 2012-05-30 2014-06-17 Google Inc. Variable-strength security based on time and/or number of partial password unlocks
CN103810439B (zh) 2012-11-14 2016-06-08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密码输入系统与密码输入方法
CN104021323A (zh) * 2013-02-28 2014-09-03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口令验证的方法和装置
CN103632075B (zh) 2013-10-17 2016-03-30 东莞盛世科技电子实业有限公司 鉴权装置及鉴权方法
TWI525467B (zh) * 2013-10-31 2016-03-11 萬國商業機器公司 動態提供多因次式密碼/盤問鑑定的方法與電腦系統
TWI499933B (zh) * 2013-11-21 2015-09-11 Qnap Systems Inc 電子裝置及其登入方法
US9178873B2 (en) * 2013-12-18 2015-11-03 Payp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password entry
US9171143B2 (en) * 2013-12-19 2015-10-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generating visual passwords
JP2015179358A (ja) * 2014-03-19 2015-10-08 国立大学法人電気通信大学 入力支援プログラム、入力支援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WO2015145786A1 (ja) * 2014-03-28 2015-10-01 正昭 宮田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4182678A (zh) * 2014-04-24 2014-12-03 东莞盛世科技电子实业有限公司 密码验证装置及密码验证方法
CN104156655B (zh) * 2014-05-28 2017-03-08 东莞盛世科技电子实业有限公司 多义化密码校验方法及密码校验设备
JP6050792B2 (ja) * 2014-08-08 2016-12-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操作装置及び操作方法
US9613203B2 (en) * 2015-03-02 2017-04-0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ecurity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6096350B (zh) 2016-06-14 2019-02-05 东莞盛世科技电子实业有限公司 终端设备密码解锁方法、装置和终端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6520A1 (en) * 2009-07-15 2011-01-20 Ira Cohe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s
KR20120047075A (ko) * 2010-11-03 2012-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40101744A1 (en) * 2011-05-26 2014-04-10 Yingjie Liu Dynamic interactive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171A (ko) * 2019-02-12 2020-08-2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노출방지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 암호의 해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412123B2 (en) 2020-02-27
TWI621028B (zh) 2018-04-11
AU2016412123A1 (en) 2019-01-03
TW201743233A (zh) 2017-12-16
CN106096350A (zh) 2016-11-09
EP3471000A1 (en) 2019-04-17
EP3471000A4 (en) 2019-07-31
WO2017215225A1 (zh) 2017-12-21
US11010463B2 (en) 2021-05-18
EP3471000B1 (en) 2021-01-27
JP6687222B2 (ja) 2020-04-22
KR102170908B1 (ko) 2020-10-29
CN106096350B (zh) 2019-02-05
PT3471000T (pt) 2021-05-19
JP2019522277A (ja) 2019-08-08
US20190156012A1 (en)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7035A (ko) 단말 장치의 패스워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 잠금 해제 장치 및 단말 장치
US10963555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176315B2 (en) Graphical authentication
EP2941732B1 (en) Authentication using a subset of a user-known code sequence
US20070198846A1 (en) Password input device, password input method, recording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60026784A1 (en) Multi-vocal password verifying method and device
KR102000279B1 (ko) 순환식 보안 키패드 및 중첩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2014408B1 (ko)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4271B1 (ko) 이미지 스와이핑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5317210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00000774A (ko) 슬라이딩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132530A (ko) 픽처 슬라이딩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65956A (ko)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5078251A (ja) 文字入力方法
KR101885835B1 (ko) 이미지 슬라이딩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92485B1 (ko) 순환식 보안 키패드 및 그리드 패턴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200000776A (ko) 터치 및 슬라이딩을 이용한 제스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133818A (ko) 픽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03339A (ko) 포토 스와이핑 사용자 인증
KR20190142163A (ko) 제스처를 이용한 터치 패스워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22412B1 (ko) 이동 단말에서의 문자와 패턴을 조합한 잠금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CA3236094A1 (en) Mutual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190007385A (ko) 픽처 스와이핑 사용자 인증
KR20190141813A (ko) 터치 및 슬라이딩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50049843A (ko) 인증 패턴 생성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