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428A -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428A
KR20190006428A KR1020180035455A KR20180035455A KR20190006428A KR 20190006428 A KR20190006428 A KR 20190006428A KR 1020180035455 A KR1020180035455 A KR 1020180035455A KR 20180035455 A KR20180035455 A KR 20180035455A KR 20190006428 A KR20190006428 A KR 20190006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model
digital
tooth model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5925B1 (ko
Inventor
이우형
Original Assignee
이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형 filed Critical 이우형
Publication of KR2019000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직과 수평의 분석이 가능한 형태의 선으로 이루어진 기준부; 디지털 치아 디자인 프로그램에서 디자인한 상악 치아모형과 하악 치아모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악 치아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모형이 상기 기준부와 각각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되는 치아모형부; 및 상기 상악 치아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모형의 사이에 개재되는 치아분석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디지털 치과보철의 디자인 시 필요한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이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기준선과 모듈화되므로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이 맞물리도록 형성하여 저작 및 발음을 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 분석판이 구비되어 치아의 크기 및 위치 분석이 가능하여 구강 내에 세팅된 치과보철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DENTAL SYSTEM WITH BASELINE TO ALLOW POSITIONAL MERGING OD DIGIT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본 발명은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치과보철의 디자인 시 필요한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이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기준선과 모듈화되므로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이 맞물리도록 형성하여 저작 및 발음을 잘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에게 있어 치아는 구강 내에서 섭식, 발성.표정 발현 등 지극히 중요한 기능에 깊게 관계되는 것이고, 따라서 치아의 상실은 이것들을 해치는 치명적인 문제가 된다.
이와 같이 치아를 상실한 구강 내 구조를 재건해주는 것을 치과 보철이라고 한다.
이때, 인공치아를 제작하는 방법은 3D 스캐너의 일종인 구강 스캐너를 사용하는 방법이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삼차원 치아모형은 3D 스캐너의 일종인 구강 스캐너로 치아 및 잇몸을 스캔하는 과정을 거쳐 삼차원 프린터 및 삼차원 가공기를 통해 제작하게 된다.
즉, 환자의 치아 및 잇몸을 구강 스캐너 또는 치아모형 스캐너로 가상의 3D 치아모형 테이터를 만들고, 삼차원 데이터는 인공치아 디자인 프로그램에 출력되고 이를 기반으로 인공치아를 디자인한다. 인공 치아 디자인 프로그램에서 디자인한 인공치아는 삼차원 가공기로 가공해 인공치아의 형태를 재현한다. 이렇게 제작되어진 인공치아는 치아모형에 잘 맞도록 조정을 하여야 하고 대합되는 치아와 서로 잘 맞아 구강내에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는 삼차원 인공치아 디자인 캐드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이러한 과정을 디지털 보철 디자인 이라고 한다.
이렇게 디자인된 삼차원 치과 보철물은 인체 고유의 해부학적 위치에 놓이도록 디자인하는데 이때 위턱과 아래턱의 개개의 치아는 이상적인 맞물림을 형성하여 저작 및 발음을 잘 할 수 있도록 재현하는게 필수적이다.
따라서, 디지털 치아 디자인 캐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치아 및 잇몸을 디지털화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서 인공치아 제작 시 필요한 구강 내 조직과 치아의 위치 및 형태를 정확히 재현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치아 디자인 캐드 프로그램은 상하악 28개 개개의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놓이지 않고 각기 하나씩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28개 치아를 하나씩 움직이는 과정에서 윗니와 아랫니를 잘못 물리게 하면 이상적인 교합을 구성할 수 없어 심미적인 문제점과 함께 악관절에 무리를 주어 하악 과두 주변을 지나고 있는 혈관 및 신경을 자극하여 전신적인 질병을 유발할 수도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인공치아를 캐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치아를 위치시킬 수 있는 기준점이 없어 정확한 위치로 정렬이 어렵고, 치아를 하나씩 배열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805003호(발명의 명칭: 덴탈 캐드 시스템과 이의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 등록일자: 2017년 11월 29일) 및 등록특허공보 제10-0583183호(발명의 명칭: 치열 교정 데이터 제공방법, 등록일자: 2006년 05월 18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디지털 치과보철의 디자인 시 필요한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이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기준선과 모듈화되므로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이 맞물리도록 형성하여 저작 및 발음을 잘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은, 수직과 수평의 분석이 가능한 형태의 선으로 이루어진 기준부; 디지털 치아 디자인 프로그램에서 디자인한 상악 치아모형과 하악 치아모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악 치아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모형이 상기 기준부와 각각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되는 치아모형부; 및 상기 상악 치아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모형의 사이에 개재되는 치아분석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 상기 치아모형부, 상기 치아분석부와 각각 연계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부, 상기 치아모형부, 상기 치아분석부를 동시에 모듈화하거나 선택적으로 모듈화하여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악 치아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모형은 이동시 상기 상악 치아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모형에 각각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된 상기 기준부로 인해 이동시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병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치아분석부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며, 다른 일면은 만곡하게 형성되고, 상기 일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치아분석부는 상기 상악 치아모형부에 닿으며, 만곡하게 형성된 상기 다른 일면은 상기 하악 치아모형부에 닿는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치아분석부는 상기 상악 치아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모형의 크기와 위치 분석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치아분석부는 복수개의 수직과 수평의 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악 치아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모형의 크기와 위치 분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디지털 치과보철의 디자인 시 필요한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이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기준선과 모듈화되므로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이 맞물리도록 형성하여 저작 및 발음을 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 분석판이 구비되어 치아의 크기 및 위치 분석이 가능하여 구강 내에 세팅된 치과보철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이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상악 치아모형이 치아 분석판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상악과 하악 치아모형이 정상적으로 잇몸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이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상악 치아모형이 치아 분석판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상악과 하악 치아모형이 정상적으로 잇몸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부(110), 치아모형부(120), 치아분석부(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준부(110)는 수직과 수평의 분석이 가능한 형태의 선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준부(110)는 수직과 수평 즉,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묶음형 상악 치아모형(121) 및 하악 치아모형(122)과 일정한 간격을 각각 유지한 채 구비된다.
기준부(110)는 해부학적인 이상적인 위치에서 맞물림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을 하더라도 묶음형 상악 치아모형(121) 및 하악 치아모형(122)과는 신속하면서 정확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항상 기준이 된다.
기준부(110)는 도면을 기준으로 3개로 나뉘는데, 한개(110a)는 상악 치아모형(121)과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되고, 다른 한개(110b)는 하악 치아모형(122)과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되며, 그리고 나머지 한개(110c)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치아분석부(130)와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된다.
기준부(110) 각각은 상악 치아모형(121), 하악 치아모형(122) 및 치아분석부(130)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악 치아모형의 기준부(110), 하악 치아모형의 기준부(110) 및 치아분석부의 기준부(110)는 해부학적인 이상적인 위치에 병합시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병합된다.
본 발명에서 기준부(110)는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악 치아모형(121), 하악 치아모형(122) 및 치아분석부(130)가 정확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상악 치아모형(121), 하악 치아모형(122) 및 치아분석부(130)가 정확한 위치에 놓일 수 있는 기준이 된다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치아모형부(120)는 디지털 치아 디자인 프로그램에서 디자인한 상악 치아모형(121)과 하악 치아모형(122)으로 이루어지고, 상악 치아모형(121)과 하악 치아모형(122)이 기준부(110)와 각각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된다.
종래의 디지털 상악 치아모형은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개별적으로 하나씩 하나씩 위치하므로,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위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상악 치아모형(121) 및 하악 치아모형(122)은 묶음으로 구성되어 한번의 움직임으로 소요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정확한 위치에 정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악 치아모형(121)과 하악 치아모형(122)은 이동시 상악 치아모형(121)과 하악 치아모형(122)에 각각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된 기준부(110)로 인해 이동시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병합된다.
상악 치아모형(121)은 하악 치아모형(122)보다 먼저 해부학적인 이상적인 위치에 놓일 경우 하악 치아모형(122)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기준부(110)로 인해 상악 치아모형의 기준부(110)에 일체형으로 병합된다.
치아분석부(130) 상악 치아모형(121)과 하악 치아모형(122)의 사이에 개재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치아분석부(130)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며, 다른 일면은 만곡하게 형성되고, 일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치아분석부(130)는 상악 치아모형부(120)에 닿으며, 만곡하게 형성된 다른 일면은 하악 치아모형부(120)에 닿는다.
치아분석부(130)는 상악 치아모형(121)과 하악 치아모형(122)과 같이 기준부(11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된다.
기준부(110)와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된 치아분석부(130)는 이동시 상악 치아모형(121)과 하악 치아모형(122)과 함께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병합된다.
치아분석부(130)는 상악 치아모형(121)과 하악 치아모형(122)의 크기와 위치 분석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치아분석부(130)는 복수개의 수직홈(131)과 수평홈(132)이 각각 형성되어 상악 치아모형(121)과 하악 치아모형(122)의 크기와 위치 분석이 가능하다.
치아분석부(130)는 상악 치아모형(121)과 하악 치아모형(122)보다 크게 형성되어 해당 치아모형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기준부(110), 치아모형부(120), 치아분석부(130)와 각각 연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40)는 기준부(110), 치아모형부(120), 치아분석부(130)를 동시에 모듈화하거나 선택적으로 모듈화하여 제어한다.
이는 기준부(110), 치아모형부(120), 치아분석부(130)를 해부학적인 이상적인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일로 인해 이동을 조절을 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모듈화를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해부학적인 이상적인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일을 해결하면 다시 기준부(110), 치아모형부(120), 치아분석부(130)를 동시에 모듈화하거나 선택적으로 모듈화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기준부(110) 중 치아분석부(130)와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된 기준부(110c)를 제외하고, 나머지 두개의 기준부(110a, 110b)와 치아모형부(120)와 선택적으로 모듈화하거나 기준부(110) 중 하악 치아모형(122)과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된 기준부(110b)를 제외한 나머지 두개의 기준부(110a, 110c)와 상악 치아모형(121)과 치아분석부(130)가 모듈화하거나 반대로, 기준부(110) 중 상악 치아모형(121)과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된 기준부(110a)를 제외한 나머지 두개의 기준부(110b, 110c)와 하악 치아모형(122)과 치아분석부(130)가 각각 모듈화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110 : 기준부
120 : 치아모형부
121 : 상악 치아모형
122 : 하악 치아모형
130 : 치아분석부
131 : 수직홈
132 : 수평홈
140 : 제어부

Claims (6)

  1. 수직과 수평의 분석이 가능한 형태의 선으로 이루어진 기준부;
    디지털 치아 디자인 프로그램에서 디자인한 상악 치아모형과 하악 치아모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악 치아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모형이 상기 기준부와 각각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되는 치아모형부; 및
    상기 상악 치아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모형의 사이에 개재되는 치아분석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 상기 치아모형부, 상기 치아분석부와 각각 연계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부, 상기 치아모형부, 상기 치아분석부를 동시에 모듈화하거나 선택적으로 모듈화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치아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모형은 이동시 상기 상악 치아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모형에 각각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된 상기 기준부로 인해 이동시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분석부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며, 다른 일면은 만곡하게 형성되고, 상기 일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치아분석부는 상기 상악 치아모형부에 닿으며, 만곡하게 형성된 상기 다른 일면은 상기 하악 치아모형부에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분석부는 상기 상악 치아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모형의 크기와 위치 분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분석부는 복수개의 수직과 수평의 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악 치아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모형의 크기와 위치 분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KR1020180035455A 2017-07-10 2018-03-27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KR102005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86888 2017-07-10
KR1020170086888 2017-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428A true KR20190006428A (ko) 2019-01-18
KR102005925B1 KR102005925B1 (ko) 2019-07-31

Family

ID=6532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455A KR102005925B1 (ko) 2017-07-10 2018-03-27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2730A1 (ko) * 2019-02-09 2020-08-13 이우형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인체의 해부학적 위치 및 평면 분석과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90B1 (ko) * 2011-11-29 2013-01-03 김태원 투명 교정기 제조용 교정 치아 데이터 생성 장치
KR20130048202A (ko) * 2010-02-25 2013-05-09 쓰리세이프 에이/에스 동적 가상 교합기
JP2013537076A (ja) * 2010-09-17 2013-09-30 バイオキャド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歯科補綴物設計での咬合評価
JP2015150258A (ja) * 2014-02-14 2015-08-24 高橋 淳 コンピュータ、コンピュータで実行され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フェイスボ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8202A (ko) * 2010-02-25 2013-05-09 쓰리세이프 에이/에스 동적 가상 교합기
JP2013537076A (ja) * 2010-09-17 2013-09-30 バイオキャド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歯科補綴物設計での咬合評価
KR101218390B1 (ko) * 2011-11-29 2013-01-03 김태원 투명 교정기 제조용 교정 치아 데이터 생성 장치
JP2015150258A (ja) * 2014-02-14 2015-08-24 高橋 淳 コンピュータ、コンピュータで実行され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フェイスボウ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2730A1 (ko) * 2019-02-09 2020-08-13 이우형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인체의 해부학적 위치 및 평면 분석과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CN113412098A (zh) * 2019-02-09 2021-09-17 李宇炯 一种具有可合并数字三维牙齿模型的人体解剖学位置以及平面分析的参考线的牙科系统
EP3922210A4 (en) * 2019-02-09 2022-10-26 Woo Hyoung Lee DENTAL SYSTEM WITH BASELINE TO ENABLE MERGE OF A DIGITAL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WITH ANATOMICAL LOCATION AND PLANE ANALYSIS OF THE HUMAN BODY
CN113412098B (zh) * 2019-02-09 2023-03-28 李宇炯 数字三维牙齿模型牙科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925B1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2919B2 (en) Physical and virtual systems for recording and simulating dental motion having 3D curvilinear guided pathways and timing controls
US201903620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Articulation
US10213277B2 (en) Dental appliance binding structure
EP2908767B1 (en) System and method of designing a dental component
CN113056241B (zh) 数字化三维牙齿模型系统
WO2012140021A2 (en) Modeling and manufacturing orthodontic appliances
JP7387750B2 (ja) デジタル三次元歯牙模型の人体の解剖学的位置及び平面分析と併合が可能であるように基準線がある歯科用システム
KR101413222B1 (ko) 디지털 치아교정을 위한 영상 매칭정보 생성방법과 이를 이용한 원격 모의치료 방법 및 치아교정장치의 제작정보 제공방법
US20150118640A1 (en) Intra Oral Dental Mo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Digital Diagnosis, Computer Design and Manufacture of Dental Devices
US11583375B2 (en) Partial connection full arch artificial tooth having adjustability of dental arch and occlusion curvature
US20170165042A1 (en) Determining jaw and facial movement
US106104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anterior guidance package (AGP) equipped splint
KR102575832B1 (ko) 상하악 치열의 악궁 형태 및 교합 양상을 분류한 빅데이터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악궁 형태, 교합양상을 분석할 수 있고,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상하악 치열이 병합될 수 있는 시스템
KR102005925B1 (ko)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위치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JPH09545A (ja) 歯科用咬合器
RU269299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кклюзионной шины
CN114271981A (zh) 一种口腔修复体咬合精度的检测方法及其咬合助力器
Gracis Clinical Considerations and Rationale for the Use of Simplified Instrumentation in Occlusal Rehabilitation. Part 2: Setting of the Articulator and Occlusal Optimization.
Joy et al. Virtual articulators
방정환 Three-dimensional accuracy of edentulous jaw scan
Lahori et al. VIRTUAL ARTICULATORS: CHANGING TRENDS IN PROSTHODONTICS.
Keeling Determination of the Transverse Horizontal Axis and Interocclusal Registration Using a Novel Optical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