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234A -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 - Google Patents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234A
KR20190006234A KR1020170086946A KR20170086946A KR20190006234A KR 20190006234 A KR20190006234 A KR 20190006234A KR 1020170086946 A KR1020170086946 A KR 1020170086946A KR 20170086946 A KR20170086946 A KR 20170086946A KR 20190006234 A KR20190006234 A KR 20190006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nge
user
distance
dista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보영
Original Assignee
(주)개선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개선스포츠 filed Critical (주)개선스포츠
Priority to KR102017008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6234A/ko
Publication of KR20190006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63B22/024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모터를 수용하며 일단에 영상매체를 갖는 프레임이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선단 및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회전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풀리부와, 일측에서 돌출형성된 리브를 갖는 다수개의 슬랫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풀리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형태로 구동되는 단위 발판부와,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 발판부의 범위 내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 및 상기 감지센서부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영상매체의 전원이 실행되도록 처리하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상기 영상매체의 전원이 종료되도록 처리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단위 발판부가 시작속도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키되,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되기 시작한 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감지센서부로부터 사용자의 거리값을 전송받고, 사용자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 발판부 내에 제 1 범위, 제 2 범위, 제 3 범위를 지정하며,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1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2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유지시키며,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3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범위 중 사용자가 속해 있는 범위가 상기 영상매체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런닝머신의 프레임에 감지센서부가 구비됨으로써, 단위 발판부 상에서 걷기 또는 런닝 운동하는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속도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런닝머신의 속도 조절 시에 몸의 균형이 흐트러지거나 또는 정신 집중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되는 부주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발판부는 리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슬랫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단위 발판부 상에서 걷기 및 런닝 운동하는 사용자의 하중에 대해 내구성을 가진 채 무한궤도 형태로 구동되기 위한 강도 보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Running machine having an automatic spee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런닝머신 상에서 사용자의 걷기 또는 런닝 운동에 따라 속도의 변화를 주도록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런닝머신(Running machine)은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발판(또는 벨트)을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운동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서 가정 또는 스포츠센터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런닝머신은 겨울철에도 적당한 온도의 실내에서 걷기 또는 런닝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런닝 속도를 임의로 조절가능함에 따라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런닝머신의 사용자는 걷기 또는 런닝 운동을 하는 중에 운동의 지루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걷기 또는 런닝 속도를 취향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운동을 하게 된다.
종래의 런닝머신은, 사용자가 걷기 또는 뛰는 동안에 제어판의 발판 속도 조절을 일일히 조작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운동 중에 균형이 흐트러져 위험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임의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런닝머신의 발판 이동 속도가 조작되는 경우, 다양하게 프로그램된 속도에 따라 운동해야 하는 제약이 따르므로, 사용자의 신체 상태나 또는 컨디션에 맞는 운동 속도를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운동이 강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5136호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 특허의 런닝머신은, 런닝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런닝자력부양구에 의해 감소시켜 런닝머신 사용시의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지만, 사용자의 걷기 및 런닝 운동을 위한 속도가 임의의 조작을 통해서만 제어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른 적당한 속도의 자동 제어 구동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걷기 또는 런닝 운동 시의 반복 하중에 의해 런닝부 자체에 변형이 발생하여 런닝머신의 고장을 야기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런닝부의 관리비용이 부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런닝머신 상에서 사용자의 걷기 또는 런닝 운동에 따라 속도의 변화를 주도록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화면수단과 연결되는 런닝머신에 있어서, 구동모터를 수용하며 일단에 영상매체를 갖는 프레임이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선단 및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회전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풀리부와, 일측에서 돌출형성된 리브를 갖는 다수개의 슬랫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풀리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형태로 구동되는 단위 발판부와,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 발판부의 범위 내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 및 상기 감지센서부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영상매체의 전원이 실행되도록 처리하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상기 영상매체의 전원이 종료되도록 처리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단위 발판부가 시작속도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키되,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되기 시작한 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감지센서부로부터 사용자의 거리값을 전송받고, 사용자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 발판부 내에 제 1 범위, 제 2 범위, 제 3 범위를 지정하며,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1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2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유지시키며,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3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범위 중 사용자가 속해 있는 범위가 상기 영상매체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부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런닝머신의 전원을 종료하고, 상기 감지센서부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 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단위 발판부의 구동이 중지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범위는, 상기 단위 발판부의 길이 방향으로 3등분하여 상기 단위 발판부의 선단부터 제 1 범위, 제 2 범위 및 제 3 범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화면수단과 연결되는 런닝머신에 있어서, 구동모터를 수용하며 일단에 영상매체를 갖는 프레임이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선단 및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회전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풀리부와, 일측에서 돌출형성된 리브를 갖는 다수개의 슬랫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풀리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형태로 구동되는 단위 발판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 발판부의 범위를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제 1 영역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부와,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 발판부의 범위 내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 2 감지센서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 발판부의 범위를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제 2 영역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 3 감지센서부 및 상기 제 2 감지센서부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영상매체의 전원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상기 영상매체의 전원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면서 런닝머신의 전원을 종료하고, 상기 단위 발판부가 시작속도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키되,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 2 감지센서부로부터 사용자의 거리값을 전송받으며,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1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2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3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감소시키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범위 중 사용자가 속해 있는 범위가 상기 영상매체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제 1 감지센서부의 판단결과 상기 단위 발판부를 벗어나는 제 1 영역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영상매체의 채널을 올리고, 상기 제 3 감지센서부의 판단결과 상기 단위 발판부를 벗어나는 제 2 영역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영상매체의 채널을 내리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범위는, 상기 단위 발판부의 길이 방향으로 3등분하여 상기 단위 발판부의 선단부터 제 1 범위, 제 2 범위 및 제 3 범위일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런닝머신의 프레임에 감지센서부가 구비됨으로써, 단위 발판부 상에서 걷기 또는 런닝 운동하는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속도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런닝머신의 속도 조절 시에 몸의 균형이 흐트러지거나 또는 정신 집중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되는 부주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런닝머신의 프레임에 제 1 감지센서부 및 제 3 감지센서부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필요없이 영상매체의 채널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주의한 사고가 예방된 채 사용자에게 흥미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위 발판부는 리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슬랫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단위 발판부 상에서 걷기 및 런닝 운동하는 사용자의 하중에 대해 내구성을 가진 채 무한궤도 형태로 구동되기 위한 강도 보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에서 단위 발판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위 발판부 중 어느 하나의 슬랫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의 주요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주요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을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은 일반모드 및 자동 속도 조절모드의 두 가지로 동작될 수 있다.
일반모드는 사용자의 접촉 조작을 통해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조절하는 모드이고, 자동 속도 조절모드는 사용자의 걷기 또는 런닝 속도에 따라 단위 발판부의 속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모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제 1 실시예는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이 일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이고, 제 2 내지 제 4 실시예는 자동 속도 조절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에서 단위 발판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위 발판부 중 어느 하나의 슬랫을 나타내는 도면이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이하 런닝머신, 100)은 본체부(110), 풀리부(130), 단위 발판부(150), 감지센서부(170) 및 중앙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전체 구성요소의 주요 지지체로써, 회전력을 위한 구동모터(111)를 수용하며, 일단에 TV 등과 같은 영상매체(112)를 갖는 프레임(115)이 결합된다.
풀리부(130)는 본체부(110)의 선단 및 후단에 배치되며, 구동모터(111)와 회전수단(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회전수단은 체인식 또는 벨트식 등으로 구비되어 풀리부(1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을 진행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단위 발판부(150)는 다수개의 슬랫(151)이 본체부(110)의 중심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에 교차 결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슬랫(151)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외관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에서 돌출형성된 리브(151a)를 갖는 다수개로 구비되어 풀리부(130)의 회전력에 의해 무한궤도 형태로 구동된다.
슬랫(151)의 일측에 리브(151a)가 형성됨으로써, 단위 발판부(150) 상에서 걷기 또는 런닝 운동하는 사용자의 하중에 대한 자체 강도를 보강하기 때문에 단위 발판부(150)의 장시간 구동에도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슬랫(15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되되, 본체부(110)의 선단 및 후단 풀리부(130)를 상호 연결하여 무한궤도 형태로 구동되는 회전전달수단(미도시)에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단위 발판부(150)는 다수개의 슬랫(151)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슬랫(151)에 별도의 청소가 필요한 경우 해당 슬랫(151)만 본체부(110)에서 분리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슬랫(151)의 개별적인 취급이 용이하여 관리하기가 편리하다.
감지센서부(170)는 본체부(110)의 프레임(115)에 배치되어 단위 발판부(150)의 범위 내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며, 그 감지결과를 중앙제어부(190)에 전송한다.
이때, 감지센서부(170)는 단위 발판부(150)가 설치된 구역만을 감지하도록 제어된다.
중앙제어부(190)는 감지센서부(170)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영상매체(112)의 전원이 실행되도록 처리하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영상매체(112)의 전원이 종료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는 단위 발판부(150)가 배치된 범위로 지정될 수 있다.
중앙제어부(190)는 감지센서부(170)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는 경우에 런닝머신(100)의 전원이 종료되도록 제어한다.
중앙제어부(190)는 사용자가 단위 발판부(150)를 벗어나는 경우, 영상매체(112)를 비롯한 런닝머신(100)의 전원이 종료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90)는 감지센서부(170)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비상 상황 범위인 단위 발판부(150)의 후단에 도달하는 경우, 단위 발판부(15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구동모터(111)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한편, 런닝머신(100)에는 단위 발판부(150)의 시작속도 및 비상정지 등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키 조작수단(114)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런닝머신(100)은 감지센서부(170)를 통해 일정시간 비상 상황 범위에 사용자가 머무는 경우, 자동으로 비상 정지 기능을 구동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을 설명하되, 제 1 실시예와 공통된 구성요소인 본체부, 풀리부 및 단위 발판부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100)은 본체부(110), 풀리부(130), 단위 발판부(150), 감지센서부(170) 및 중앙제어부(190)를 포함한다.
감지센서부(170)는 본체부(110)의 프레임(115)에 배치되어 단위 발판부(150)의 범위 내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며, 그 감지결과를 중앙제어부(190)에 전송한다.
이때, 감지센서부(170)는 단위 발판부(150)가 배치된 범위만을 감지하도록 제어된다.
중앙제어부(190)는 감지센서부(170)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 예컨대, 단위 발판부(150) 내에 위치하면 영상매체(112)의 전원이 실행되도록 처리하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영상매체(112)의 전원이 종료되도록 처리한다.
중앙제어부(190)는 감지센서부(170)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는 경우에 런닝머신(100)의 전원이 종료되도록 제어한다.
중앙제어부(190)는 사용자가 단위 발판부(150)를 벗어나는 경우, 영상매체(112)와 런닝머신(100)의 전원이 종료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90)는 감지센서부(170)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비상 상황 범위인 단위 발판부(150)의 후단에 도달하는 경우, 단위 발판부(15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구동모터(111)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이때, 런닝머신(100)에는 단위 발판부(150)의 시작속도 및 비상정지 등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키 조작수단(114)이 구비될 수 있다.
중앙제어부(190)는 키 조작수단(114)을 통해 단위 발판부(150)의 시작속도가 입력되면 시작속도로 단위 발판부(150)가 구동되도록 구동모터(111)를 회전시키며, 구동모터(111)가 구동된 후 감지센서부(170)로부터 사용자의 거리값을 전송받는다.
중앙제어부(190)는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1 범위 내에 위치하면 단위 발판부(150)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2 범위 내에 위치하면 단위 발판부(150)의 속도를 유지시키며,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3 범위 내에 위치하면 단위 발판부(150)의 속도가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범위는, 단위 발판부(150)의 길이 방향으로 3등분하여 단위 발판부(150)의 선단부터 제 1 범위, 제 2 범위 및 제 3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단위 발판부(150)의 길이가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120cm인 경우, 제 1 범위는 0 내지 40cm, 제 2 범위는 41 내지 80cm, 제 3 범위는 81 내지 120cm로 마련될 수 있다.
범위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한 이유는, 런닝머신(100)의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런닝머신(100)의 중심부인 제 2 범위에서 걷고, 사용자가 빠르게 뛰는 경우에는 런닝머신(100)의 선단인 제 1 범위에 가까워지며, 사용자의 체력이 소모되면 런닝머신(100)의 후단인 제 3 범위로 밀려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단위 발판부(150) 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단위 발판부(150)의 속도가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부(190)는 제 1 내지 제 3 범위 중 사용자가 속해 있는 범위를 화면수단(113)에 의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감지센서부(170)로부터 사용자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속해 있는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수단(113)을 통해 사용자가 단위 발판부(150) 내 어느 위치에 있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런닝 속도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를 실시간으로 전달받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런닝머신(100)은 본체부(110), 풀리부(130), 단위 발판부(150), 감지센서부(170) 및 중앙제어부(190)를 포함한다.
감지센서부(170)는 본체부(110)의 프레임(115)에 배치되어 단위 발판부(150)의 범위 내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며, 그 감지결과를 중앙제어부(190)에 전송한다.
이때, 감지센서부(170)는 단위 발판부(150)가 설치된 구역만을 감지하도록 제어된다.
중앙제어부(190)는 감지센서부(170)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인 단위 발판부(150) 내에 위치하면 영상매체(112)의 전원이 실행되도록 처리하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영상매체(112)의 전원이 종료되도록 처리한다.
중앙제어부(190)는 감지센서부(170)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는 경우에 런닝머신(100)의 전체 전원이 종료되도록 제어한다.
중앙제어부(190)는 사용자가 단위 발판부(150)를 벗어나는 경우, 영상매체(112)와 런닝머신(100)의 전원이 종료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90)는 감지센서부(170)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비상 상황 범위인 단위 발판부(150)의 후단에 도달하는 경우, 단위 발판부(15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구동모터(111)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이때, 런닝머신(100)에는 단위 발판부(150)의 시작속도 및 비상정지 등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키 조작수단(114)이 구비될 수 있다.
중앙제어부(190)는 키 조작수단(114)을 통해 단위 발판부(150)의 시작속도가 입력되면 시작속도로 단위 발판부(150)가 구동되도록 구동모터(111)를 회전시키며, 구동모터(111)가 구동된 후 감지센서부(170)로부터 사용자의 거리값을 전송받는다.
이후, 중앙제어부(190)는 사용자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단위 발판부(150) 내 제 1 범위, 제 2 범위 및 제 3 범위를 지정한다.
제 1 내지 제 3 범위는, 단위 발판부(150)의 길이 방향으로 3등분하여 단위 발판부(150)의 선단부터 제 1 범위, 제 2 범위 및 제 3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제어부(19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감지센서부(17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거리값에 미리 설정된 값을 빼어 제 2 범위 상한 거리값을 산출하고, 사용자의 거리값에 미리 설정된 값을 더하여 제 2 범위 하한 거리값을 산출한다.
중앙제어부(190)는 제 2 범위의 상한 거리값부터 제 2 범위의 하한 거리값까지를 제 2 범위라고 지정하고, 제 2 범위 상한 거리값보다 작은 거리값을 제 1 범위라고 지정하며, 제 2 범위 하한 거리값보다 큰 거리값을 제 3 범위로 지정한다.
이하,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위 발판부(150)의 전체 길이가 120cm이고, 미리 설정된 값이 20cm이며, 사용자가 단위 발판부(150)의 선단에서 70cm 떨어져 운동하고 있는 경우를 일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단위 발판부(150)가 구동모터(111)에 의해 구동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감지센서부(170)가 사용자의 거리값(70cm)을 측정하고 중앙제어부(190)에 전송한다.
중앙제어부(190)는 사용자의 거리값(70cm)에 미리 설정된 값(20cm)을 빼어 제 2 범위의 상한 거리값(50cm)을 산출하고, 사용자의 거리값(70cm)에 미리 설정된 값(20cm)을 더하여 제 2 범위의 하한 거리값(90cm)을 산출하며, 제 2 범위의 상한 거리값부터 하한 거리값 까지를 제 2 범위(50cm 내지 90cm)라고 지정한다.
중앙제어부(190)는 제 2 범위의 상한 거리값(50cm)보다 작은 거리값을 제 1 범위(0 내지 49cm)라고 지정하며, 제 2 범위의 하한 거리값(90cm)보다 큰 거리값을 제 3 범위(91 내지 120cm)로 지정한다.
이때, 런닝머신(100)은 중앙제어부(190)를 통해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걷는 위치를 중심으로 제 1 범위, 제 2 범위, 제 3 범위를 설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운동력을 반영하여 단위 발판부(150)의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중앙제어부(190)는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1 범위 내에 위치하면 단위 발판부(150)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2 범위 내에 위치하면 단위 발판부(150)의 속도를 유지시키며,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3 범위 내에 위치하면 단위 발판부(150)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때, 중앙제어부(190)는 제 1 범위 내지 제 3 범위 중 사용자가 속해 있는 범위를 화면수단(113)에 의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감지센서부(170)로부터 사용자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속해 있는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주요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런닝머신(100)은 본체부(110), 풀리부(130), 단위 발판부(150), 제 1 감지센서부(181), 제 2 감지센서부(182), 제 3 감지센서부(183) 및 중앙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제 1 감지센서부(181)는 프레임(115)의 일단에 배치되어 단위 발판부(150)의 범위를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제 1 영역(운동하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우측 범위)의 사용자를 감지한다.
제 1 감지센서부(181)는 단위 발판부(150)가 배치된 범위를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제 1 영역 내의 사용자를 감지하며, 그 감지결과를 중앙제어부(190)에 전송한다.
제 2 감지센서부(182)는 프레임(115)의 중앙에 배치되어 단위 발판부(150)의 범위 내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한다.
제 2 감지센서부(182)는 단위 발판부(150)가 배치된 범위 내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중앙제어부(190)에 전송한다.
제 3 감지센서부(183)는 프레임(115)의 타단에 배치되어 단위 발판부(150)의 범위를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제 2 영역(운동하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측 범위)의 사용자를 감지한다.
제 3 감지센서부(183)는 단위 발판부(150)가 배치된 범위를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제 2 영역 내의 사용자를 감지하며, 그 감지결과를 중앙제어부(190)에 전송한다.
중앙제어부(190)는 제 2 감지센서부(182)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영상매체(112)의 전원이 실행되도록 처리한다.
반면에, 중앙제어부(190)는 제 2 감지센서부(182)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영상매체(112)의 전원이 종료되도록 처리하면서 런닝머신(100)의 전체 전원이 종료되도록 제어한다.
중앙제어부(190)는 키 조작수단(114)을 통해 단위 발판부(150)의 시작속도가 입력되면 시작속도로 단위 발판부(150)가 구동되도록 구동모터(111)를 회전시키며, 구동모터(111)가 구동된 후 제 2 감지센서부(182)로부터 사용자의 거리값을 전송받는다.
중앙제어부(190)는 사용자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단위 발판부(150) 내 제 1 범위, 제 2 범위 및 제 3 범위를 지정한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범위는,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단위 발판부(150)의 길이 방향으로 3등분하여 단위 발판부(150)의 선단부터 제 1 범위, 제 2 범위 및 제 3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제어부(19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제 2 감지센서부(182)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거리값에 미리 설정된 값을 더하여 제 2 범위의 하한 거리값을 산출하고, 사용자의 거리값에 미리 설정된 값을 빼어 제 2 범위의 상한 거리값을 산출한다.
중앙제어부(190)는 제 2 범위의 상한 거리값부터 제 2 범위의 하한 거리값까지를 제 2 범위라고 지정하고, 제 2 범위의 상한 거리값보다 작은 거리값을 제 1 범위라고 지정하며, 제 2 범위 하한 거리값보다 큰 거리값을 제 3 범위로 지정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90)는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1 범위 내에 위치하면 단위 발판부(150)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2 범위 내에 위치하면 단위 발판부(150)의 속도를 유지시키며,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3 범위 내에 위치하면 단위 발판부(150)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중앙제어부(190)는 단위 발판부(150)의 제 1 내지 제 3 범위 중 사용자가 속해 있는 범위가 화면수단(113)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제 2 감지센서부(182)로부터 사용자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속해 있는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중앙제어부(190)는 제 1 감지센서부(181)의 판단결과 단위 발판부(150)를 벗어나는 제 1 영역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영상매체(112)의 채널을 올리고, 제 3 감지센서부(183)의 판단결과 단위 발판부(150)를 벗어나는 제 2 영역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영상매체(112)의 채널을 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단위 발판부(150) 상의 사용자가 오른손을 제 1 영역으로 뻗은 경우, 제 1 감지센서부(181)는 사용자를 감지하게 되고 그 감지결과를 중앙제어부(190)에 전송하며, 중앙제어부(190)의 제어를 통해 영상매체(112)의 채널이 올려진다.
이때, 제 1 감지센서부(181)는 단위 발판부(150)가 배치된 범위를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제 1 영역만을 감지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뻗은 오른손을 감지하기 위함이며, 일정거리 이내는 사용자가 뻗은 팔을 감지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영상매체(112)의 채널 변경 시에 키 조작수단(114)의 조작을 위해 영상매체(112)로 접근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몸의 균형이 흐트러져 발생되는 부주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흥미와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런닝머신 110: 본체부
111: 구동모터 112: 영상매체
113: 화면수단 114: 키 조작수단
115: 프레임 130: 풀리부
150: 단위 발판부 151: 슬랫
151a: 리브 170: 감지센서부
181: 제 1 감지센서부 182: 제 2 감지센서부
183: 제 3 감지센서부 190: 중앙제어부

Claims (4)

  1. 화면수단과 연결되는 런닝머신에 있어서,
    구동모터를 수용하며 일단에 영상매체를 갖는 프레임이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선단 및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회전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풀리부;
    일측에서 돌출형성된 리브를 갖는 다수개의 슬랫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풀리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형태로 구동되는 단위 발판부;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 발판부의 범위 내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 및
    상기 감지센서부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영상매체의 전원이 실행되도록 처리하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상기 영상매체의 전원이 종료되도록 처리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단위 발판부가 시작속도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키되,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되기 시작한 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감지센서부로부터 사용자의 거리값을 전송받고, 사용자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 발판부 내에 제 1 범위, 제 2 범위, 제 3 범위를 지정하며,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1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2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유지시키며,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3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범위 중 사용자가 속해 있는 범위가 상기 영상매체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부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런닝머신의 전원을 종료하고,
    상기 감지센서부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 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단위 발판부의 구동이 중지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범위는, 상기 단위 발판부의 길이 방향으로 3등분하여 상기 단위 발판부의 선단부터 제 1 범위, 제 2 범위 및 제 3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
  4. 화면수단과 연결되는 런닝머신에 있어서,
    구동모터를 수용하며 일단에 영상매체를 갖는 프레임이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선단 및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회전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풀리부;
    일측에서 돌출형성된 리브를 갖는 다수개의 슬랫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풀리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형태로 구동되는 단위 발판부;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 발판부의 범위를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제 1 영역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부;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 발판부의 범위 내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 2 감지센서부;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 발판부의 범위를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제 2 영역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 3 감지센서부; 및
    상기 제 2 감지센서부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영상매체의 전원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상기 영상매체의 전원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면서 런닝머신의 전원을 종료하고,
    상기 단위 발판부가 시작속도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키되,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 2 감지센서부로부터 사용자의 거리값을 전송받으며,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1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2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 3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단위 발판부의 속도를 감소시키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범위 중 사용자가 속해 있는 범위가 상기 영상매체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제 1 감지센서부의 판단결과 상기 단위 발판부를 벗어나는 제 1 영역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영상매체의 채널을 올리고, 상기 제 3 감지센서부의 판단결과 상기 단위 발판부를 벗어나는 제 2 영역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영상매체의 채널을 내리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범위는, 상기 단위 발판부의 길이 방향으로 3등분하여 상기 단위 발판부의 선단부터 제 1 범위, 제 2 범위 및 제 3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
KR1020170086946A 2017-07-10 2017-07-10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 KR20190006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946A KR20190006234A (ko) 2017-07-10 2017-07-10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946A KR20190006234A (ko) 2017-07-10 2017-07-10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234A true KR20190006234A (ko) 2019-01-18

Family

ID=6532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946A KR20190006234A (ko) 2017-07-10 2017-07-10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623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492B1 (ko) 2019-06-15 2020-01-03 장보영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
KR102185087B1 (ko) 2019-06-15 2020-12-01 장보영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을 포함하는 트레드밀
KR20200143214A (ko) 2019-06-15 2020-12-23 장보영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KR20210050197A (ko) 2019-10-28 2021-05-07 (주)개선스포츠 사용자 경험 중심의 자동 속도 조절 트레드밀
KR20210050198A (ko) 2019-10-28 2021-05-07 (주)개선스포츠 사용자 경험 중심의 트레드밀 자동 속도 조절 방법
KR20220050684A (ko) * 2020-10-16 2022-04-25 주식회사 제일휘트니스 능동 안전 기능을 갖는 트레드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492B1 (ko) 2019-06-15 2020-01-03 장보영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
KR102185087B1 (ko) 2019-06-15 2020-12-01 장보영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을 포함하는 트레드밀
KR20200143214A (ko) 2019-06-15 2020-12-23 장보영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WO2020256321A1 (ko) * 2019-06-15 2020-12-24 장보영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
US11918848B2 (en) 2019-06-15 2024-03-05 Bo Young Chang Slat having truss structure
KR20210050197A (ko) 2019-10-28 2021-05-07 (주)개선스포츠 사용자 경험 중심의 자동 속도 조절 트레드밀
KR20210050198A (ko) 2019-10-28 2021-05-07 (주)개선스포츠 사용자 경험 중심의 트레드밀 자동 속도 조절 방법
KR20220050684A (ko) * 2020-10-16 2022-04-25 주식회사 제일휘트니스 능동 안전 기능을 갖는 트레드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6234A (ko)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
US10207146B2 (en) Treadmill which can be driven in both directions
US10905914B2 (en) Motorized treadmill with motor braking mechanism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20050009668A1 (en) Elliptical/treadmill exercise apparatus
US8956268B2 (en) Rehabilitation treadmill
US7141006B1 (en) Treadmill having adjustable speed
JP2001198234A (ja) ウォーキングベルトの駆動速度が自動に調整されるランニングマシン
WO2011105179A1 (ja) マッサージ機
KR101899020B1 (ko) 굴곡형상 검지가 가능한 3d평행이동 안마모듈
US11738250B2 (en) Electric treadmill with safety stop function
US20210275861A1 (en) Manual treadmill which can be set to an exercise speed
KR101191671B1 (ko) 런닝머신용 모니터의 리프트장치
KR101145384B1 (ko)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
KR100716714B1 (ko) 실버용 보행 보조차
CN205460669U (zh) 一种自动感应变速的跑步机
KR200358992Y1 (ko) 자동 멈춤 기능이 부가된 런닝머신
CN111840898A (zh) 可设定运动速度的人力式跑步机
JP2000140154A (ja) 運動装置
KR20190131165A (ko) 자동 속도 조절형 스마트 펫 트레드밀
KR20200008340A (ko) 거리센서가 포함된 런닝머신 및 이의 구동방법
US11395941B2 (en) Balance trai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balance training system
KR100397807B1 (ko) 이용자의 보폭을 이용하여 워킹밸트의 구동속도를조절하는 런닝머신 및 그 구동속도 조절방법
JP4793746B2 (ja) 歩行装置及び歩行装置制御方法
TWI689332B (zh) 可設定運動速度的人力式跑步機
JPH08103513A (ja) ブレーキ付き省エネ室内歩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