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384B1 -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 - Google Patents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384B1
KR101145384B1 KR1020100019512A KR20100019512A KR101145384B1 KR 101145384 B1 KR101145384 B1 KR 101145384B1 KR 1020100019512 A KR1020100019512 A KR 1020100019512A KR 20100019512 A KR20100019512 A KR 20100019512A KR 101145384 B1 KR101145384 B1 KR 101145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ge
subject
distance
running belt
tread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487A (ko
Inventor
장보영
Original Assignee
(주)개선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개선스포츠 filed Critical (주)개선스포츠
Priority to KR1020100019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384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63B22/024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 A63B22/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electrically, e.g. D.C. motors with variable speed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텔레비젼과 연결되는 런닝머신에 있어서, 전면 상단의 지지부 중앙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된 구역 내에 피사체가 감지되면, 그 피사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 및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텔레비젼의 전원이 온 되도록 처리하고,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상기 텔레비젼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처리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런닝머신 사용자가 런닝머신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런닝머신과 연결된 텔레비젼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
본 발명은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런닝 머신의 런닝벨트 위를 달리는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여 구간별로 자동으로 그 런닝벨트의 속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키패드 조작이나 별도의 조절 동작 없이 사용자의 런닝 스피드에 따라 런닝벨트의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런닝머신은 제한된 실내 공간에서 거리를 달리는 것과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제작된 장치로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런닝 벨트 위를 사용자가 달리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런닝머신은 사용자의 기본 신체 조건 및 운동량에 따라 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제어패널 상의 키패드 조작을 통해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여 달리는 스피드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종래의 런닝머신은 사용자가 런닝벨트 위에서 걷거나 달리고 있는 도중에 조금 더 빠르게, 혹은 조금 더 느리게 걷거나 뛰려고 할 때에는, 사용자가 속도 조정을 제어패널 상의 키패드에 위치한 속도 조절버튼을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어패널 상의 키패드의 속도버튼을 조정하지 않는 상태에서 빠르게 뛰거나 빠르게 걷게 되면 사용자는 제어패널 상에 점점 가까워져서 운동을 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사용자가 운동력의 저하로 느리게 뛰거나 걷게 되면 사용자는 점점 후방으로 밀려가게 되어, 결국은 런닝벨트를 벗어나게 되어 운동의 불가능 하게 되며 또는 런닝벨트 최후방에 이르면 넘어질 수밖에 없어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런닝 머신의 런닝벨트 위를 달리는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여 구간별로 자동으로 그 런닝벨트의 속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키패드 조작이나 별도의 조절 동작 없이 사용자의 런닝 스피드에 따라 자동으로 런닝벨트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런닝머신의 속도 조절 시에 몸의 균형이 흐트러지거나 정신 집중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되는 부주의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런닝 머신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예컨대, 런닝벨트 내) 사용자가 진입을 하면 런닝 머신에 구비되는 텔레비젼이 자동으로 켜지게 하고, 사용자가 그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나면 런닝 머신에 구비되는 텔레비젼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지 않게 하고 헬스장 트레이너들이 리모콘을 가지고 일일이 텔레비전을 끄게하는 불편성도 해소하게하는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런닝 머신의 런닝벨트 위를 달리는 사용자의 손동작에 따라 런닝 머신에 구비되는 텔레비젼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속도 조절 부주의에 의해 위험한 상황이 처했을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는 런닝벨트 후반부에 위치하게 되어 비상정지버튼을 누르기에는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될 수 있는바, 거리감지센서를 통하여 일정시간 비상상황 범위(런닝벨트 후반부)에 사용자가 머무는 경우 자동으로 비상정지기능을 구동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텔레비젼과 연결되는 런닝머신에 있어서, 전면 상단의 지지부 중앙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된 구역 내에 피사체가 감지되면, 그 피사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텔레비젼의 전원이 온 되도록 처리하고,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상기 텔레비젼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처리하는 중앙제어부; 디스플레이부; 및 런닝벨트 시작 속도를 입력받는 키 조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키 조작부를 통해 런닝벨트 시작속도가 입력되면, 그 런닝벨트 시작속도로 런닝벨트가 구동되도록 모터를 회전시키며, 모터가 회전되기 시작한 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거리감지센서로부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을 전송받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런닝벨트 내 제1범위, 제2범위, 제3범위를 지정하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1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2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유지시키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3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1범위 내지 제3범위 중 그 피사체가 속해 있는 범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는 경우, 런닝머신의 전원을 오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 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런닝벨트가 구동되지 않도록 모터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이때, 상기 제1범위, 제2범위 및 제3범위는, 런닝벨트를 세로방향으로 3등분하여 런닝벨트의 전면부터 제1범위, 제2범위, 제3범위로 지정되어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텔레비젼과 연결되는 런닝머신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런닝벨트 시작 속도를 입력받는 키 조작부; 전면 상단의 우측 끝단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되는 구역을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우측 구역의 피사체를 감지하는 제1거리감지센서; 전면 상단의 지지부 중앙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된 구역 내에 피사체가 감지되면, 그 피사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2거리감지센서; 전면 상단의 좌측 끝단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되는 구역을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좌측 구역의 피사체를 감지하는 제3거리감지센서; 및 상기 제2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텔레비젼의 전원이 온 되도록 처리하고,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상기 텔레비젼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처리하면서 런닝머신의 전원을 오프하고, 상기 키 조작부를 통해 런닝벨트 시작속도가 입력되면, 그 런닝벨트 시작속도로 런닝벨트가 구동되도록 모터를 회전시키며, 모터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제2거리감지센서로부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을 전송받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1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2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유지시키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3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1범위 내지 제3범위 중 그 피사체가 속해 있는 범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제1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런닝벨트를 벗어나는 우측 구역에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텔레비젼의 채널을 올리고, 상기 제3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런닝벨트를 벗어나는 좌측 구역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텔레비젼의 채널을 내리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텔레비젼과 연결되는 런닝머신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런닝벨트 시작 속도를 입력받는 키 조작부; 전면 상단의 우측 끝단에 구비되어 런닝벨트를 벗어나되,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우측 구역의 피사체를 감지하는 제1거리감지센서; 전면 상단의 지지부 중앙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된 구역 내에 피사체가 감지되면, 그 피사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2거리감지센서; 전면 상단의 좌측 끝단에 구비되어 런닝벨트를 벗어나되,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좌측 구역의 피사체를 감지하는 제3거리감지센서; 및 상기 제2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텔레비젼의 전원이 온 되도록 처리하고,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상기 텔레비젼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처리하면서 런닝머신의 전원을 오프하고, 상기 키 조작부를 통해 런닝벨트 시작속도가 입력되면, 그 런닝벨트 시작속도로 런닝벨트가 구동되도록 모터를 회전시키며, 모터가 회전되기 시작한 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제2거리감지센서부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을 전송받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런닝벨트 내 제1범위, 제2범위, 제3범위를 지정하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1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2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유지시키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3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1범위 내지 제3범위 중 그 피사체가 속해 있는 범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제1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런닝벨트를 벗어나는 우측 구역에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텔레비젼의 채널을 올리고, 상기 제3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런닝벨트를 벗어나는 좌측 구역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텔레비젼의 채널을 내리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런닝 머신의 런닝벨트 위를 달리는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여 구간별로 자동으로 그 런닝벨트의 속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키패드 조작이나 별도의 조절 동작 없이 사용자의 런닝 스피드에 따라 자동으로 런닝벨트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런닝머신의 속도 조절 시에 몸의 균형이 흐트러지거나 정신 집중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되는 부주의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런닝 머신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예컨대, 런닝벨트 내) 사용자가 진입을 하면 런닝 머신에 구비되는 텔레비젼이 자동으로 켜지게 하고, 사용자가 그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나면 런닝 머신에 구비되는 텔레비젼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지 않게 하고 헬스장 트레이너들이 리모콘을 가지고 일일이 텔레비전을 끄게하는 불편성도 해소하게하는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런닝 머신의 런닝벨트 위를 달리는 사용자의 손동작에 따라 런닝 머신에 구비되는 텔레비젼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속도 조절 부주의에 의해 위험한 상황이 처했을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는 런닝벨트 후반부에 위치하게 되어 비상정지버튼을 누르기에는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될 수 있는바, 거리감지센서를 통하여 일정시간 비상상황 범위(런닝벨트 후반부)에 사용자가 머무는 경우 자동으로 비상정지기능을 구동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원발명에 의한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은 두가지 모드(일반모드, 자동속도 조절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일반모드는 사용자가 직접 키 조작부를 조작하여 런닝벨트의 속도를 조절하는 모드이고, 자동속도 조절모드는 사용자의 런닝속도에 따라 런닝벨트의 속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모드인 것이다. 제1실시예는 본원발명에 따른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이 일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이고,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는 자동속도 조절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런닝머신(100)은 거리감지센서(110), 텔레비젼(120), 중앙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텔레비젼(120)은 런닝머신(100)과 연결되고, 런닝머신(100)의 전면 상단의 지지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거리감지센서(110)는 런닝머신(100)의 전면 상단의 지지부 중앙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된 구역 내에 피사체가 감지되면, 그 피사체의 거리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중앙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한다. 이때, 거리감지센서(110)는 런닝벨트가 설치된 구역만을 감지한다.
중앙제어부(미도시)는 거리감지센서(110)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예컨대, 런닝벨트 내)에 위치하면 텔레비젼(120)의 전원이 온 되도록 처리하고,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텔레비젼(12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제어부(미도시)는 거리감지센서(110)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는 경우, 런닝머신(100)의 전원을 오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런닝머신(100)을 사용하던 사용자가 런닝벨트(140)를 벗어나는 경우, 텔레비젼과 런닝머신(10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처리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부(미도시)는 거리감지센서(110)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 범위(예컨대, 런닝벨트 후반부)에 도달하는 경우, 런닝벨트가 구동되지 않도록 모터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원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속도 조절 부주의를 통하여 위험한 상황이 처했을 경우 비상정지버튼을 누르기에는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될 수 있는데, 거리감지센서를 통하여 일정시간 비상상황 범위에 사용자가 머무는 경우 자동으로 비상정지기능을 구동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런닝머신(100)은 거리감지센서(110), 텔레비젼(120), 키 조작부(130), 런닝벨트(140), 디스플레이부(150), 중앙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거리감지센서(110)는 런닝머신(100)의 전면 상단의 지지부 중앙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된 구역 내에 피사체가 감지되면, 그 피사체의 거리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중앙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한다.
한편, 텔레비젼(120)은 런닝머신(100)과 연결되고, 런닝머신(100)의 전면 상단의 지지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 조작부(130)는 런닝머신(100)의 런닝벨트 시작 속도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중앙제어부(미도시)는 거리감지센서(110)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텔레비젼(120)의 전원이 온 되도록 처리하고,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텔레비젼(12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처리하면서 런닝머신(100)의 전원을 오프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기준거리 범위는 런닝벨트가 설치된 구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제어부(미도시)는 키 조작부(130)를 통해 런닝벨트 시작속도가 입력되면, 그 런닝벨트 시작속도로 런닝벨트(140)가 구동되도록 모터를 회전시키며, 모터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거리감지센서(110)로부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을 전송받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1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2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유지시키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3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때, 런닝벨트의 제1범위, 제2범위, 제3범위는 런닝벨트를 세로방향으로 3으로 나누어 전면부터 제1범위, 제2범위, 제3범위로 지정되어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런닝벨트의 길이가 120cm인 경우, 제1범위는 0 내지 40cm, 제2범위는 41 내지 80cm, 제3범위는 81 내지 120cm인 것이다.
범위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하는 것은 런닝머신(100)의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런닝머신(100)의 중앙부(제2범위)에서 걷고, 사용자가 빠르게 뛰는 경우에는 런닝머신(100)의 전면(제1범위)에 점점 가까워지며, 사용자가 지치게 되면 점점 런닝머신(100)의 후방(제3범위)으로 밀려가게 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않아도 사용자의 상태(런닝벨트 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런닝벨트의 속도가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앙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범위 내지 제3범위 중 그 피사체가 속해 있는 범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중앙제어부(미도시)는 거리감지센서(110)로부터 그 피사체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그 피사체가 속해 있는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사용자가 런닝벨트 내 어느 위치에 있는지 용이하게 알 수 있고, 또 자신의 런닝속도가 증가하는지 또는 감소하는지를 쉽게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런닝머신(100)은 거리감지센서(110), 텔레비젼(120), 키 조작부(130), 런닝벨트(140), 디스플레이부(150), 중앙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거리감지센서(110)는 런닝머신(100)의 전면 상단의 지지부 중앙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된 구역 내에 피사체가 감지되면, 그 피사체의 거리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중앙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한다.
한편, 텔레비젼(120)은 런닝머신(100)과 연결되고, 런닝머신(100)의 전면 상단의 지지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 조작부(130)는 런닝머신(100)의 런닝벨트 시작 속도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중앙제어부(미도시)는 거리감지센서(110)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텔레비젼(120)의 전원이 온 되도록 처리하고,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텔레비젼(12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처리하면서 런닝머신(100)의 전원을 오프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기준거리 범위는 런닝벨트가 설치된 구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제어부(미도시)는 키 조작부(130)를 통해 런닝벨트 시작속도가 입력되면, 그 런닝벨트 시작속도로 런닝벨트(140)가 구동되도록 모터를 회전시키며, 모터가 회전되기 시작한 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거리감지센서(110)로부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을 전송받는다.
이후, 중앙제어부(미도시)는 그 피사체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런닝벨트(140) 내 제1범위, 제2범위, 제3범위를 지정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중앙제어부(미도시)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거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그 피사체의 거리값에 미리 설정된 값을 빼어 제2범위 상한 거리값을 산출하며, 그 피사체의 거리값에 미리 설정된 값을 더하여 제2범위 하한 거리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범위의 상한 거리값부터 제2범위의 하한 거리값 까지를 제2범위라고 지정하고, 상기 제2범위 상한 거리값보다 작은 거리값을 제1범위라고 지정하며, 상기 제2범위 하한 거리값보다 큰 거리값을 제3범위로 지정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고자, 런닝벨트의 세로방향 길이가 120cm이고, 미리 설정된 값이 20cm이며, 사용자가 런닝벨트 전면에서 70cm정도 떨어져 런닝하고 있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런닝벨트(140)가 구동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거리감지센서(100)는 그 사용자의 거리값(70cm)을 측정하고 중앙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다.
그러면 중앙제어부(미도시)는 그 사용자의 거리값(70cm)에 미리 설정된 값(20cm)을 빼어 제2범위 상한 거리값(50cm)을 산출하며, 그 사용자의 거리값(70cm)에 미리 설정된 값(20cm)을 더하여 제2범위 하한 거리값(90cm)을 산출하고, 그 제2범위의 상한 거리값부터 제2범위의 하한 거리값 까지를 제2범위(50cm 내지 90cm)라고 지정한다.
그리고 나서 중앙제어부(미도시)는 제2범위 상한 거리값(50cm)보다 작은 거리값을 제1범위(0 내지 49cm)라고 지정하며, 상기 제2범위 하한 거리값(90cm)보다 큰 거리값을 제3범위(91 내지 120cm)로 지정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걷는 위치를 중심으로 제1범위, 제2범위, 제3범위를 설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런닝벨트의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후, 중앙제어부(미도시)는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1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140)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2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140)의 속도를 유지시키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3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140)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중앙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범위 내지 제3범위 중 그 피사체가 속해 있는 범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중앙제어부(미도시)는 거리감지센서(110)로부터 그 피사체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그 피사체가 속해 있는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런닝머신(100)은 제1거리감지센서(115), 제2거리감지센서(111), 제3거리감지센서(113), 텔레비젼(120), 키 조작부(130), 런닝벨트(140), 디스플레이부(150), 중앙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거리감지센서(115)는 런닝머신(100)의 전면 상단의 우측 끝단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되는 구역을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우측 구역의 피사체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중앙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한다.
제2거리감지센서(111)는 런닝머신(100)의 전면 상단의 지지부 중앙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된 구역 내에 피사체가 감지되면, 그 피사체의 거리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중앙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한다.
제3거리감지센서(113)는 런닝머신(100)의 전면 상단의 좌측 끝단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되는 구역을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좌측 구역의 피사체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중앙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한다.
한편, 텔레비젼(120)은 런닝머신(100)과 연결되고, 런닝머신(100)의 전면 상단의 지지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 조작부(130)는 런닝머신(100)의 런닝벨트 시작 속도를 입력받는다.
중앙제어부(미도시)는 제2거리감지센서(111)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텔레비젼(120)의 전원이 온 되도록 처리하고,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텔레비젼(12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처리하면서 런닝머신의 전원을 오프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중앙제어부(미도시)는 키 조작부(130)를 통해 런닝벨트 시작속도가 입력되면, 그 런닝벨트 시작속도로 런닝벨트(140)가 구동되도록 모터를 회전시키며, 모터가 회전되기 시작한 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제2거리감지센서(111)부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을 전송받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런닝벨트 내 제1범위, 제2범위, 제3범위를 지정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중앙제어부(미도시)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제2거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그 피사체의 거리값에 미리 설정된 값을 더하여 제2범위 하한 거리값을 산출하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에 미리 설정된 값을 빼어 제2범위 상한 거리값을 산출하며, 상기 제2범위의 상한 거리값부터 제2범위의 하한 거리값 까지를 제2범위라고 지정하고, 상기 제2범위 상한 거리값보다 작은 거리값을 제1범위라고 지정하며, 상기 제2범위 하한 거리값보다 큰 거리값을 제3범위로 지정하는 것이다.
한편, 제1범위, 제2범위, 제3범위는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런닝벨트의 제1범위, 제2범위 및 제3범위는, 런닝벨트를 세로방향으로 3등분하여 런닝벨트의 전면부터 제1범위, 제2범위, 제3범위로 지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후, 중앙제어부(미도시)는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1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2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유지시키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3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중앙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범위 내지 제3범위 중 그 피사체가 속해 있는 범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중앙제어부(미도시)는 거리감지센서(110)로부터 그 피사체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그 피사체가 속해 있는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부(미도시)는 제1거리감지센서(115)의 판단결과 런닝벨트를 벗어나는 우측 구역에 피사체가 감지되면 텔레비젼(120)의 채널을 올리고, 제3거리감지센서(113)의 판단결과 런닝벨트를 벗어나는 좌측 구역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텔레비젼(120)의 채널을 내린다.
예컨대, 런닝머신(10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오른손을 우측으로 뻗으면 제1거리감지센서(115)는 그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고 그 감지결과를 중앙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중앙제어부(미도시)는 텔레비젼(120)의 채널을 올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거리감지센서(115)는 런닝벨트(140)가 설치되는 구역을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우측 구역만을 감지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뻗은 오른손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 일정거리 이내라는 것은 사용자가 뻗은 팔을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텔레비젼(120)의 채널 변경 시에 텔레비젼 조작버튼을 누르기 위해 런닝머신(100)의 전면에 설치된 텔레비젼(230)으로 달려가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몸의 균형이 흐트러져 발생되는 부주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흥미와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런닝머신 110 : 거리감지센서
111 : 제2거리감지센서 113 : 제1거리감지센서
115 : 제3거리감지센서 120 : 텔레비젼
130 : 키입력부 140 : 런닝벨트
150 :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텔레비젼과 연결되는 런닝머신에 있어서,
    전면 상단의 지지부 중앙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된 구역 내에 피사체가 감지되면, 그 피사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텔레비젼의 전원이 온 되도록 처리하고,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상기 텔레비젼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처리하는 중앙제어부;
    디스플레이부; 및
    런닝벨트 시작 속도를 입력받는 키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키 조작부를 통해 런닝벨트 시작속도가 입력되면, 그 런닝벨트 시작속도로 런닝벨트가 구동되도록 모터를 회전시키며, 모터가 회전되기 시작한 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거리감지센서로부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을 전송받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런닝벨트 내 제1범위, 제2범위, 제3범위를 지정하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1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2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유지시키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3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1범위 내지 제3범위 중 그 피사체가 속해 있는 범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는 경우 런닝머신의 전원을 오프하고,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 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런닝벨트가 구동되지 않도록 모터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범위, 제2범위 및 제3범위는,
    런닝벨트를 세로방향으로 3등분하여 런닝벨트의 전면부터 제1범위, 제2범위, 제3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
  5. 삭제
  6. 삭제
  7. 텔레비젼과 연결되는 런닝머신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런닝벨트 시작 속도를 입력받는 키 조작부;
    전면 상단의 우측 끝단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되는 구역을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우측 구역의 피사체를 감지하는 제1거리감지센서;
    전면 상단의 지지부 중앙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된 구역 내에 피사체가 감지되면, 그 피사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2거리감지센서;
    전면 상단의 좌측 끝단에 구비되어 런닝벨트가 설치되는 구역을 일정거리 이내로 벗어나는 좌측 구역의 피사체를 감지하는 제3거리감지센서; 및
    상기 제2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텔레비젼의 전원이 온 되도록 처리하고, 그 피사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범위 내를 벗어나면 상기 텔레비젼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처리하면서 런닝머신의 전원을 오프하고,
    상기 키 조작부를 통해 런닝벨트 시작속도가 입력되면, 그 런닝벨트 시작속도로 런닝벨트가 구동되도록 모터를 회전시키며, 모터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제2거리감지센서로부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을 전송받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1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2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유지시키며, 그 피사체의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제3범위 내에 위치하면 런닝벨트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1범위 내지 제3범위 중 그 피사체가 속해 있는 범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제1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런닝벨트를 벗어나는 우측 구역에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텔레비젼의 채널을 올리고, 상기 제3거리감지센서의 판단결과 런닝벨트를 벗어나는 좌측 구역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텔레비젼의 채널을 내리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범위, 제2범위 및 제3범위는, 런닝벨트를 세로방향으로 3등분하여 런닝벨트의 전면부터 제1범위, 제2범위, 제3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
  8. 삭제
KR1020100019512A 2010-03-04 2010-03-04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 KR101145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512A KR101145384B1 (ko) 2010-03-04 2010-03-04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512A KR101145384B1 (ko) 2010-03-04 2010-03-04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487A KR20110100487A (ko) 2011-09-14
KR101145384B1 true KR101145384B1 (ko) 2012-05-15

Family

ID=4495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512A KR101145384B1 (ko) 2010-03-04 2010-03-04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9823A (zh) * 2016-09-05 2018-03-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运动过程中的提示方法及装置
KR101887427B1 (ko) * 2016-12-14 2018-08-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트레드밀 기반의 낙상위험판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01A (ko) * 2001-09-21 2001-12-07 박웅규 런닝벨트의 속도가 자동으로 조정되는 런닝머신
KR20040063261A (ko) * 2003-01-06 2004-07-14 박종은 운동 감시 제어 시스템
KR20090038792A (ko) * 2007-10-16 2009-04-21 (주)다산알앤디 러닝머신, 그 제어모듈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01A (ko) * 2001-09-21 2001-12-07 박웅규 런닝벨트의 속도가 자동으로 조정되는 런닝머신
KR20040063261A (ko) * 2003-01-06 2004-07-14 박종은 운동 감시 제어 시스템
KR20090038792A (ko) * 2007-10-16 2009-04-21 (주)다산알앤디 러닝머신, 그 제어모듈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487A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8375B2 (en) Motorized treadmill with motor braking mechanism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668246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treadmill
JP5721244B2 (ja) 自動高さ調節機能付きキオスク
US10207146B2 (en) Treadmill which can be driven in both directions
US8956268B2 (en) Rehabilitation treadmill
US11547898B2 (en) Seated treadmill and method of use
KR20190006234A (ko) 자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
US20230356024A1 (en) Seated treadmill and method of use
KR101145384B1 (ko)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
JP3133398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2010104444A (ja) マッサージ機
CN107930017A (zh) 一种自适应跑步机或走步机及其控制方法
KR100733455B1 (ko) 런닝머신 속도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291332B2 (ja) マッサージ機
CN205460669U (zh) 一种自动感应变速的跑步机
KR200358992Y1 (ko) 자동 멈춤 기능이 부가된 런닝머신
US11395941B2 (en) Balance trai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balance training system
KR101290813B1 (ko) 토크와 시작 속도의 제어가 가능한 트레이드밀
JP2005192836A (ja) 階段昇降補助装置
KR100397807B1 (ko) 이용자의 보폭을 이용하여 워킹밸트의 구동속도를조절하는 런닝머신 및 그 구동속도 조절방법
JP5144199B2 (ja) マッサージ機
KR200396244Y1 (ko) 러닝머신 제어기
US11324996B2 (en) Balance train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balance training system
CA2429540C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treadmill
KR20200079824A (ko) 열화상 체온 측정을 이용한 트레드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