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157A - 모발 연화체크기 - Google Patents

모발 연화체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157A
KR20190006157A KR1020170086880A KR20170086880A KR20190006157A KR 20190006157 A KR20190006157 A KR 20190006157A KR 1020170086880 A KR1020170086880 A KR 1020170086880A KR 20170086880 A KR20170086880 A KR 20170086880A KR 20190006157 A KR20190006157 A KR 20190006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ollow
softening
body port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770B1 (ko
Inventor
이규섭
Original Assignee
이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섭 filed Critical 이규섭
Priority to KR1020170086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7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8Investigating ductility, e.g. suitability of sheet metal for deep-drawing or spi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3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solid biological material, e.g. tissue samples, cell cul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연화체크기에 관한 것으로, 개방된 상부면의 일부와 연통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를 갖는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1 몸체부의 상부면 일단에 제공된 제 1 밀착부재를 갖는 제 1 부재와; 상부면에 형성된 제 1 치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중공부에 제공된 인출기 본체와, 상기 인출기 본체의 일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밀착부재의 상부면에 이격되도록 제공된 후크부를 갖는 모발 인출기와; 상기 중공부의 내부일측 벽면과 상기 인출기 본체의 타단부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 부재와; 제 2 몸체부와, 상기 제 1 치차부와 치합된 제 2 치차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몸체부의 중심부분이 상기 제 1 몸체부의 상부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공된 회동부재와, 상기 제 2 몸체부의 일단 하부면에 제공된 제 2 밀착부재를 갖는 제 2 부재로 구성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선택된 몇가닥의 머리카락을 접어 머리카락의 복원력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연화 정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발 연화체크기 {Instruments for measuring hair softening}
본 발명은 모발 연화체크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42547호(공개일자: 2015.12.22, 발명의 명칭: 모발 연화도 시험장치)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발(1)의 케어 전이나 후에 연화도를 측정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모발 연화도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발(1)의 인장을 제어하는 시작/스톱 버튼(11)과, 상기 모발(1)의 인장수치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12)를 전방의 일측에 구비하고, 전방의 타측 및 후방이 개방된 케이스(10); 상기 모발(1)의 일단부를 홀딩하는 제1 홀딩부(21)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10)의 전방 개방부에 설치된 지지대(20); 상기 모발(1)의 타단부를 홀딩하는 제2 홀딩부(31)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대(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양방향 구동모터(32)에 의한 회동축(33)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하는 이동기어(34)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바(30);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되어서 상기 시작/스톱 버튼(11)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슬라이드바(30)의 이동을 제어하고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모발(1)의 인장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나타나게 하는 회로기판(40);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된 배터리케이스(51)에 설치되어서, 상기 시작/스톱 버튼(11)을 작동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2), 상기 구동모터(32) 및 상기 회로기판(4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0); 및 상기 케이스(10)의 후방을 덮는 케이스덮개(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연화도 시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시술자는 소비자 모발의 대한 연화도를 정확하게 수치를 통해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원하는 형태의 웨이브나 컬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모발의 연화도에 대한 아무런 자료나 근거가 없어 당업자 수준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기재되어 있지 않음은 물론 구성이 복잡하여 사용이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55522호(등록일자: 2011.9.2, 고안의 명칭: 손잡이; 상기 손잡이 일단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대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고, 가압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반으로 접히는 접힘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힘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모발이 삽입 배치되는 한 쌍의 테스트바;를 포함하는 모발 연화 테스트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모발의 연화 테스트 시 테스트를 하는 자가 누구이건 항상 모발에 일정한 힘을 주어 연화 정도를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정형화되고, 정확한 모발 연화 테스트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모발 연화체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방된 상부면의 일부와 연통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를 갖는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1 몸체부의 상부면 일단에 제공된 제 1 밀착부재를 갖는 제 1 부재와; 상부면에 형성된 제 1 치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중공부에 제공된 인출기 본체와, 상기 인출기 본체의 일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밀착부재의 상부면에 이격되도록 제공된 후크부를 갖는 모발 인출기와; 상기 중공부의 내부일측 벽면과 상기 인출기 본체의 타단부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 부재와; 제 2 몸체부와, 상기 제 1 치차부와 치합된 제 2 치차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몸체부의 중심부분이 상기 제 1 몸체부의 상부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공된 회동부재와, 상기 제 2 몸체부의 일단 하부면에 제공된 제 2 밀착부재를 갖는 제 2 부재로 이루어진 모발 연화체크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제 1 몸체부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 나사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관통 나사홈에 체결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 부재의 일단부와 밀착된 푸쉬부로 이루어진 스프링 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제 1 및 제 2 밀착부재는 판재 형상으로 우레탄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스프링 부재는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선택된 몇가닥의 머리카락을 접어 머리카락의 복원력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연화 정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발 연화체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모발 인출기의 후크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모발 연화도 시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모발 연화체크기(100)는 제 1 부재(10), 제 2 부재(20), 모발 인출기(30), 스프링 부재(40) 및 스프링 장력조절수단(6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부재(10)는 개방된 상부면의 일부와 연통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1a)를 갖는 제 1 몸체부(11)와, 제 1 몸체부(11)의 상부면 일단에 제공된 제 1 밀착부재(1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 1 부재(10)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어 있다.
또한, 제 1 밀착부재(13)는 판재 형상으로 우레탄이나 실리콘으로 제작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몸체부(11)는 중공부(11a)와 연통되도록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 나사홈(11b)을 더 포함한다.
모발 인출기(30)는 상부면에 형성된 제 1 치차부(21a)가 노출되도록 중공부(11a)에 제공된 인출기 본체(31)와, 인출기 본체(31)의 일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밀착부재(13)의 상부면에 이격되도록 제공된 후크부(23)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의 후크부(23)는 단부에 5 ~ 20가닥의 머리카락(200)을 감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40)는 중공부(11a)의 내부일측 벽면과 인출기 본체(31)의 타단부 사이에 개재된 인장 스프링이다.
스프링 장력조절수단(60)은 관통 나사홈(11b)에 체결된 나사부(61)와, 나사부(6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부(11a)에 위치되어 스프링 부재(40)의 일단부와 밀착된 푸쉬부(6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스프링 장력조절수단(60)은 스프링 부재(4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부(61)를 회전시켜 전후퇴시킴으로써 이와 연동되게 전후퇴되는 푸쉬부(63)가 스프링 부재(40)를 압축하거나 압축해제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제 2 부재(20)는 제 2 몸체부(33)와, 제 1 치차부(21a)와 치합된 제 2 치차부(31a)가 제공되어 있으며 제 2 몸체부(33)의 중심부분이 제 1 몸체부(11)의 상부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공된 회동부재(31)와, 제 2 몸체부(33)의 일단 하부면에 제공된 제 2 밀착부재(35)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 2 부재(20)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어 있다.
또한, 제 2 밀착부재(25)는 판재 형상으로 우레탄이나 실리콘으로 제작되어 있다.
제 2 몸체부(33)는 일단부가 제 1 밀착부재(23)와 이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제 1 몸체부(11)의 상부면과 인접되어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모발 연화체크기(100)는 머리카락(200)을 후크부(23)의 단부에 감은 후, 제 2 부재(30)의 일단 상부면을 누르면 치합된 제 1 및 제 2 치차부(21a)(31a)에 의해 모발 인출기(40)는 후퇴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1 및 제 2 밀착부재(13)(35)가 밀착되면서 후크부(23)에 감겨진 머리카락(200)을 압착한다.
이후, 외력을 제거하면 스프링 부재(40)에 의해 모발 인출기(40)를 밀게되고 동시에 치합된 제 1 및 제 2 치차부(21a)(31a)에 의해 모발 인출기(40)와 제 2 부재(30)의 일단부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마지막으로, 후크부(23)에 접혀진 머리카락(200)의 탄성 복원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모발의 연화정도를 확인한 후 머리카락(200)을 후크부(23)로부터 제거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10 : 제 1 부재 20 : 제 2 부재
30 : 모발 인출부 40 : 스프링 부재
60 : 스프링 장력조절수단
100 : 모발 연화체크기
200 : 모발

Claims (5)

  1. 개방된 상부면의 일부와 연통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를 갖는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1 몸체부의 상부면 일단에 제공된 제 1 밀착부재를 갖는 제 1 부재와;
    상부면에 형성된 제 1 치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중공부에 제공된 인출기 본체와, 상기 인출기 본체의 일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밀착부재의 상부면에 이격되도록 제공된 후크부를 갖는 모발 인출기와;
    상기 중공부의 내부일측 벽면과 상기 인출기 본체의 타단부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 부재와;
    제 2 몸체부와, 상기 제 1 치차부와 치합된 제 2 치차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몸체부의 중심부분이 상기 제 1 몸체부의 상부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공된 회동부재와, 상기 제 2 몸체부의 일단 하부면에 제공된 제 2 밀착부재를 갖는 제 2 부재로 이루어진 모발 연화체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 나사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연화체크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나사홈에 체결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 부재의 일단부와 밀착된 푸쉬부로 이루어진 스프링 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연화체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밀착부재는 판재 형상으로 우레탄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연화체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연화체크기.
KR1020170086880A 2017-07-09 2017-07-09 모발 연화체크기 KR101972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880A KR101972770B1 (ko) 2017-07-09 2017-07-09 모발 연화체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880A KR101972770B1 (ko) 2017-07-09 2017-07-09 모발 연화체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157A true KR20190006157A (ko) 2019-01-17
KR101972770B1 KR101972770B1 (ko) 2019-04-26

Family

ID=6527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880A KR101972770B1 (ko) 2017-07-09 2017-07-09 모발 연화체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7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0765A (zh) * 2020-05-22 2020-08-21 杭州径霖家纺有限公司 一种自动改变施压强度的纺织品用布料检测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0669A (en) * 1990-04-11 1992-12-15 Kao Corporation Hair nature measuring instrument
JP2007252657A (ja) * 2006-03-23 2007-10-04 Shiseido Co Ltd 毛髪性状計測装置
KR200455522Y1 (ko) * 2011-05-24 2011-09-08 송경석 모발 연화 테스트기
KR20110139741A (ko) * 2009-03-23 2011-12-29 이베리우스, 엘엘씨 개선된 모발 측정 조립체 및 일회용 카트리지
KR20150142547A (ko) * 2014-06-11 2015-12-22 방서진 모발 연화도 시험장치
KR20170002129U (ko) * 2015-12-08 2017-06-16 송경석 모발 테스트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0669A (en) * 1990-04-11 1992-12-15 Kao Corporation Hair nature measuring instrument
JP2007252657A (ja) * 2006-03-23 2007-10-04 Shiseido Co Ltd 毛髪性状計測装置
KR20110139741A (ko) * 2009-03-23 2011-12-29 이베리우스, 엘엘씨 개선된 모발 측정 조립체 및 일회용 카트리지
KR200455522Y1 (ko) * 2011-05-24 2011-09-08 송경석 모발 연화 테스트기
KR20150142547A (ko) * 2014-06-11 2015-12-22 방서진 모발 연화도 시험장치
KR20170002129U (ko) * 2015-12-08 2017-06-16 송경석 모발 테스트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유향 외, 모발의 연화 시간에 따른 컬 형성 및 모발손상,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학술발표논문집, 2009.pp85-86 *
심상희 외, 염색 시술시 모발 보호제 처리에 따른 모표피의 구조 및 인장강도와 신장도의 변화,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제19권제4호, 2013.pp707-71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0765A (zh) * 2020-05-22 2020-08-21 杭州径霖家纺有限公司 一种自动改变施压强度的纺织品用布料检测装置
CN111560765B (zh) * 2020-05-22 2021-08-27 浙江奇卓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改变施压强度的纺织品用布料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770B1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0500B2 (en) Imaging device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a hair or a scalp
KR101972770B1 (ko) 모발 연화체크기
DK202000015Y3 (da) Strækkeapparatur til strækning af et skind på en tane
KR20150142547A (ko) 모발 연화도 시험장치
CN203801925U (zh) 一种直发卷发两用发型器
KR200455522Y1 (ko) 모발 연화 테스트기
KR20140145354A (ko) 압력 감지 기능을 갖는 헤어아이론
CN106994491A (zh) 冠脉导丝尖端精确定型装置
CN203970406U (zh) 一种皮肤弹性指数测量装置
KR101779812B1 (ko) 모발 테스트기
KR20170002129U (ko) 모발 테스트기
CN209911110U (zh) 新型头发软化检测仪
JPH04252936A (ja) 圧縮成形材料部材の強度測定装置
KR20040088087A (ko) 성형수술용 안면 측정기구
JP2012520162A (ja) 脱毛装置
CN220257808U (zh) 一种透皮扩散仪用样品旋转结构
US20190125265A1 (en) Blood pressure testing device
JP2019131896A (ja) 繊維の摩擦特性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JP2014136856A (ja) 増毛シートの貼付補助具
WO2023238853A1 (ja) 肌性状測定装置
JP4147287B2 (ja) 粘着力測定装置
CN212234413U (zh) 一种便于移动的皮肤检测仪
US2248683A (en) Hair stretching indicator
CN212872615U (zh) 一种继电器测量吸合电流的电流表
CN202680953U (zh) 多功能电动粉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