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019A - 타이어 펑크 실제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 Google Patents

타이어 펑크 실제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019A
KR20190006019A KR1020187037411A KR20187037411A KR20190006019A KR 20190006019 A KR20190006019 A KR 20190006019A KR 1020187037411 A KR1020187037411 A KR 1020187037411A KR 20187037411 A KR20187037411 A KR 20187037411A KR 20190006019 A KR20190006019 A KR 20190006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actual
glycol
punk
rubber la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4245B1 (ko
Inventor
마사히로 나루세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6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3Sealing compositions or agents, e.g. combined with propellant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08L21/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08L7/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4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09K2200/0429Alcohols, phenols,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07Rubber or rubbe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17Polyalkenes
    • C09K2200/062Poly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22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Abstract

본 발명은, 실(seal) 성능 및 보관 성능을 뛰어난 레벨로 유지하면서 주입 성능에 뛰어난 타이어 펑크 실제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무 라텍스 및 동결 방지제를 함유하고, 동결 방지제가 글리콜류 및 글리콜 에테르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글리콜계 화합물과 글리세린을 포함하고, 글리세린의 함유량이 동결 방지제의 전량의 2 ~ 50질량%인, 타이어 펑크 실제, 이것을 이용하는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이다.

Description

타이어 펑크 실제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본 발명은 타이어 펑크 실(seal)제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표준 또는 옵션의 장비로서, 펑크 수리 키트가 도입되는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다. 펑크 수리 키트로서는, 타이어 펑크 실제와 컴프레서 등을 조합하여, 이것들을 콤팩트하게 패키징한 것이 알려져 있다.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에는, 타이어 펑크 실제를 컴프레서 등으로 타이어의 밸브로부터 타이어 내부로 주입하여, 타이어를 다시 주행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펑크 실제로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 라텍스, 합성 수지 에멀션 및 동결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에는, 천연 고무 라텍스와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에멀션과 폴리올레핀 에멀션과 동결 방지제를 함유하고, 천연 고무 라텍스와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에멀션과의 고형분의 질량비율(천연 고무/에틸렌-초산비닐 수지)이 15/85 ~ 80/20이고, 폴리올레핀 에멀션의 고형분의 양이 천연 고무 라텍스 및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5 ~ 10질량부인 타이어 펑크 실재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162681호
상기대로, 타이어 펑크 실제는 자동차에 표준 또는 옵션으로 장비되어 장기간 자동차 안에 보관되는 일이 있기 때문에, 보관 성능이 요구된다.
또한, 근년(近年), 타이어 펑크 실제를 소량화(예를 들어 종래의 양의 2/3 정도)하면서, 그 실 성능은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중, 본 발명자는, 특허 문헌 1을 참고로 하여, 고무 라텍스 및 동결 방지제를 함유하는 타이어 펑크 실제를 조제하여 이것을 평가하였는데, 타이어 펑크 실제의 실 성능 및 보관 성능을 뛰어난 레벨로 유지하면서, 타이어 펑크 실제의 주입 성능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이 분명해졌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실 성능 및 보관 성능을 뛰어난 레벨로 유지하면서 주입 성능에 뛰어난(예를 들어, 타이어의 밸브에 주입하기 쉬운, 주입 시간이 짧은) 타이어 펑크 실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예의(銳意) 연구한 결과, 고무 라텍스 및 소정의 동결 방지제를 함유하고, 상기 소정의 동결 방지제의 함유량이 특정의 범위인 것에 의하여 소망하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 등에 기초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1. 고무 라텍스, 및, 동결 방지제를 함유하고,
동결 방지제가, 글리콜류 및 글리콜 에테르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글리콜계 화합물과 글리세린을 포함하고,
글리세린의 함유량이, 동결 방지제의 전량의 2 ~ 50질량%인, 타이어 펑크 실제.
2. 상기 1에 있어서, 글리콜류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및 디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타이어 펑크 실제.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글리콜 에테르류가, 하기 식 (1)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인, 타이어 펑크 실제.
Figure pct00001
식 (1)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12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p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4.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무 라텍스가 천연 고무 라텍스인, 타이어 펑크 실제.
5.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합성 수지 에멀션을 더 함유하고, 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의 함유량 2에 대한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의 질량비가, 90/10 ~ 30/70인, 타이어 펑크 실제.
6. 상기 5에 있어서, 합성 수지 에멀션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 및 에틸렌-초산비닐-버사틱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타이어 펑크 실제.
7.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타이어 펑크 실제와 컴프레서를 가지는,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실 성능 및 보관 성능을 뛰어난 레벨로 유지하면서 주입 성능에 뛰어나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는 실 성능 및 보관 성능을 뛰어난 레벨로 유지하면서 타이어 펑크 실제의 주입 성능에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나타내지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예고가 없는 한, 각 성분은 그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성분이 2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성분의 함유량은, 2종 이상의 물질의 합계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실 성능, 보관 성능 및 주입 성능 중 적어도 1개가 보다 뛰어난 것을 「본 발명의 효과에 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무 라텍스는, 분산질로서의 고무와 분산매를 포함하고, 고무는 분산매 중에 분산되어 있다. 합성 수지 에멀션은, 분산질로서의 합성 수지와 분산매를 포함하고, 합성 수지는 분산매 중에 분산되어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에멀션은 서스펜션(액상(液相)인 분산매에 고상(固相)인 분산질이 분산된 계(系)) 및 액상인 분산매에 액상인 분산질이 분산된 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고무 라텍스 또는 합성 수지 에멀션에 함유되는 분산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물; 물과 물에 가용(可溶)인 유기 용매와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은 고무를 의미한다.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은 고무 라텍스에 함유되는 고무의 함유량, 또는, 고무 라텍스의 분산매 이외의 성분의 합계 함유량을 의미한다. 고무 라텍스에 있어서, 고무 라텍스에 함유되는 고무의 함유량과, 고무 라텍스의 분산매 이외의 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거의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은 합성 수지를 의미한다. 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의 함유량은 합성 수지 에멀션에 함유되는 합성 수지의 함유량, 또는, 합성 수지 에멀션의 분산매 이외의 성분의 합계 함유량을 의미한다. 합성 수지 에멀션에 있어서, 합성 수지 에멀션에 함유되는 합성 수지의 함유량과, 합성 수지 에멀션의 분산매 이외의 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거의 같다.
[타이어 펑크 실제]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고무 라텍스, 및, 동결 방지제를 함유하고,
동결 방지제가, 글리콜류 및 글리콜 에테르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글리콜계 화합물과 글리세린을 포함하고,
글리세린의 함유량이, 동결 방지제의 전량의 2 ~ 50질량%인, 타이어 펑크 실제이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기 때문에, 소망하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대략 이하대로라고 추측된다.
상술대로, 통상 타이어 펑크 실제는 컴프레서 등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밸브로부터 타이어 내부로 주입되지만, 주입 시, 타이어 펑크 실제에 있어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동결 방지제가 분산질로서의 고무(예를 들어 천연 고무)의 표면 부근에 가까워져, 고무의 분산을 불안정하게 하고, 고무를 응집시켜, 이것에 의하여 타이어 펑크 실제의 타이어에의 주입 성능이 나빠진다고 본 발명자는 추측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를 타이어의 밸브로부터 타이어 내부로 주입할 때, 타이어 펑크 실제에 있어서, 글리세린이,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계 화합물을, 분산질로서의 고무의 표면으로부터 떼어 놓아, 고무의 분산성을 안정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타이어에의 주입 성능이 뛰어나다고 본 발명자는 추측한다. 이것은, 글리세린이,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계 화합물보다도 물에 대한 친화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자는, 동결 방지제로서 소정의 글리콜계 화합물과 글리세린을 병용하고, 글리세린의 함유량이 특정의 범위인 것에 의하여, 주입 성능에 뛰어날 뿐만 아니라, 실 성능, 보관 성능 및 주입 성능을 높은 레벨로 밸런스시킬 수 있는 것을 찾아내었다.
이하,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에 함유되는 각 성분에 관하여 상술한다.
<<고무 라텍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에 함유되는 고무 라텍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고무 라텍스를 이용할 수 있다.
고무 라텍스의 구체예로서는, 천연 고무 라텍스, 클로로프렌 라텍스,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스티렌 부타디엔 아크릴 고무 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실 성능에 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천연 고무 라텍스가 바람직하다.
천연 고무 라텍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천연 고무 라텍스로서, 예를 들어, 단백질이 제거되어 있지 않는 천연 고무 라텍스, 탈단백된 천연 고무 라텍스를 들 수 있다.
고무 라텍스는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동결 방지제>>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에 함유되는 동결 방지제는, 글리콜류 및 글리콜 에테르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글리콜계 화합물과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글리콜계 화합물>
본 발명에 있어서, 글리콜계 화합물은, 글리콜류 및 글리콜 에테르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동결 방지제로서, 글리콜류와 글리세린을 조합하는 경우, 주입 성능에 보다 뛰어나다.
(글리콜류)
글리콜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와 2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고, 상기 하이드록시기가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에 결합하고,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의 일부가 산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무방한 화합물이다.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직쇄상(直鎖狀), 분지상(分岐狀), 환상(環狀)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어도 무방하다.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을 바람직한 태양(態樣)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
지방족 탄화수소기의 탄소 원자의 일부가 산소 원자로 치환되었을 경우, 상기 산소 원자는 에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바람직한 태양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
글리콜류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2)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HO-R21-OH   (2)
식 (2) 중, R21은,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의 일부가 산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무방하다.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의 일부가 산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무방한 것에 관해서는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R21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3)으로 나타내지는 기를 들 수 있다.
*-R31-(O-R32)m31-*   (3)
식 (3) 중, R31, R32는 각각 독립적으로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m31은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이고, *는 하이드록시기와의 결합 위치이다.
R31, R32로서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탄소 원자 및 수소 원자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31, R32로서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1 이상이 바람직하고, 2 ~ 3이 보다 바람직하다. R31, R32로서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트리메틸렌기를 들 수 있다. R31, R32는 같아도 달라도 무방하다.
m31은 0 또는 1이 바람직하다.
글리콜류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알킬렌글리콜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에 있어서의 알킬렌기는, 직쇄상, 분지상, 환상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어도 무방하고, 직쇄상 또는 분지상인 것을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들 수 있다.
글리콜류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과 같은 알킬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글리콜류는, 본 발명의 효과에 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및 디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콜류와 글리세린과의 조합은, 실 성능, 보관 성능에 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프로필렌글리콜과 글리세린과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류는 후술하는 글리콜 에테르류를 포함하지 않는다.
(글리콜 에테르류)
글리콜 에테르류는, 상기의 글리콜류가 가지는 2개의 하이드록시기 중 1개 또는 양방(兩方)이 -OR로 치환된 화합물이다.
상기 -OR 중의 R은, 탄화수소기이면 된다.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어, 지방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다.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직쇄상, 분지상, 환상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어도 무방하다.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을 바람직한 태양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
글리콜 에테르류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4)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X41O-R41-OX42   (4)
식 (2) 중, R41은,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의 일부가 산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무방하다.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의 일부가 산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무방한 것에 관해서는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X41, X4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상기 -OR 중의 R을 나타낸다. 단, X41 및 X42가 동시에 수소 원자인 경우를 제외한다. 상기 R은 상기와 같다. X41 및 X42 중 일방(一方)이 수소 원자이고, 나머지가 R인 것이 바람직하다. X41 및 X42가 R인 경우, 2개의 R은 같아도 달라도 무방하다.
상기 R41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5)로 나타내지는 기를 들 수 있다.
*-R51-(O-R52)m51-*   (5)
식 (5) 중, R51, R52는 각각 독립적으로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m51은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이고, *는 결합 위치이다.
R51, R52로서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탄소 원자 및 수소 원자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51, R52로서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1 ~ 5가 바람직하고, 2 ~ 3이 보다 바람직하다. R51, R52로서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트리메틸렌기를 들 수 있다. R51, R52는 같아도 달라도 무방하다.
m51은 0 또는 1 ~ 2가 바람직하고, 1 또는 2가 보다 바람직하다.
글리콜 에테르류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1)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2
식 (1)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12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p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R11, R12로서의 알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알킬기는 직쇄상, 분지쇄상, 환상 중 어느 하나여도 무방하지만, 직쇄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R11, R12로서의 알킬기의 탄소수는 1 이상 6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이상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R11, R12로서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를 들 수 있다.
R11 및 R12가 알킬기인 경우, R11, R12는 같아도 달라도 무방하다.
식 (1)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중, R12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알킬기는 상기와 같다.
식 (1) 중, p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2 이상이 바람직하고, 2 이상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글리콜 에테르류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렌글리콜 모노에테르, 알킬렌글리콜 디에테르, 폴리알킬렌글리콜 모노에테르, 폴리알킬렌글리콜 디에테르를 들 수 있다.
글리콜 에테르류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1,3-프로판디올 모노메틸에테르와 같은, 알킬렌글리콜의 모노알킬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1,3-프로판디올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알킬렌글리콜의 디알킬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와 같은,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모노알킬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디알킬에테르를 들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글리콜계 화합물은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바람직한 태양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
(글리콜계 화합물의 함유량)
글리콜계 화합물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특히 실 성능)에 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동결 방지제의 전량의 50 ~ 98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 9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글리세린>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동결 방지제로서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글리세린의 함유량은, 동결 방지제의 전량의 2 ~ 50질량%이다. 상기 함유량이 2질량% 이상인 경우, 실 성능, 보관 성능 및 주입 성능의 밸런스에 뛰어나다. 상기 함유량이 50질량% 이하인 경우, 주입 성능에 뛰어나다. 이것은,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점도를 적정한 범위로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상기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에 보다 뛰어나고, 실 성능, 보관 성능 및 주입 성능의 밸런스에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동결 방지제의 전량의 5 ~ 40질량%가 바람직하다.
(합성 수지 에멀션)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실 성능, 보관 성능에 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한층 더 합성 수지 에멀션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에 함유되는 합성 수지 에멀션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합성 수지 에멀션으로서는, 예를 들어, 초산비닐계 중합체 에멀션을 들 수 있다.
초산비닐계 중합체 에멀션은, 상기 에멀션에 함유되는 초산비닐계 중합체가 초산비닐에 의한 반복 단위를 가지는 폴리머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초산비닐계 중합체 에멀션)
초산비닐계 중합체 에멀션에 함유되는 초산비닐계 중합체는 초산비닐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여도 무방하다.
초산비닐계 중합체가 공중합체인 경우, 초산비닐 이외의 단량체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틸렌과 같은 올레핀; 베오바(버사틱산과 비닐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버사틱산비닐이라고도 칭한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과 같은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초산비닐계 중합체 에멀션으로서는, 예를 들어, 초산비닐 단독 중합체 에멀션, 초산비닐계 공중합체 에멀션을 들 수 있다.
초산비닐계 공중합체 에멀션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 에틸렌-초산비닐-버사틱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 에틸렌-초산비닐-버사틱산비닐-(메타)아크릴계 모노머 공중합체 에멀션과 같은 에틸렌-초산비닐계 공중합체 에멀션을 들 수 있다.
합성 수지 에멀션은, 본 발명의 효과(특히 보관 성능과 실 성능)에 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초산비닐계 중합체 에멀션이 바람직하고,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 및 에틸렌-초산비닐-버사틱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실 성능에 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에틸렌-초산비닐-버사틱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이 바람직하다.
합성 수지 에멀션은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합성 수지 에멀션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가 합성 수지 에멀션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가 합성 수지 에멀션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은, 본 발명의 효과(특히 실 성능)에 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타이어 펑크 실제 전량의 30 ~ 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 4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 및 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의 함유량 2의 합계량: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가 한층 더 합성 수지 에멀션을 함유하는 경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 및 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의 함유량 2의 합계량은, 본 발명의 효과에 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타이어 펑크 실제 전량의 30 ~ 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 4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가 한층 더 합성 수지 에멀션을 함유하는 경우의, 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의 함유량 2에 대한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의 질량비)
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의 함유량 2에 대한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의 질량비(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의 함유량 2)가, 본 발명의 효과에 보다 뛰어나고, 저온에 있어서 저점도이면서 뛰어난 실 성능과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90/10 ~ 30/70인 것이 바람직하고, 80/20 ~ 40/60이 보다 바람직하다.
(타이어 펑크 실제에 함유되는 물의 양)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량(물의 총량)은, 본 발명의 효과(특히 실 성능)에 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타이어 펑크 실제 전량의 20 ~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3 ~ 3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외의 성분)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상술한 각 성분 이외에, 소망에 따라, 상기 글리콜계 화합물 및 글리세린 이외의 동결 방지제(이하 이것을 「글리콜계 화합물 등 이외의 동결 방지제」라고도 칭한다.), 계면 활성제, 겔화제, 충전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안료, 가소제, 요변성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분산제, 탈수제, 대전 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가 더 함유할 수 있는 계면 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이온계, 음이온계, 양이온계, 양(兩) 이온계의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형,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미드형,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형,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디에스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 로진 에스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에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코올 에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형,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형, 지방산 알칸올 아마이드형 등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의 HLB는 12.0 ~ 19.0인 것이 바람직하다.
HLB는 유기 개념도에 기초하는 오다식(小田式)에 의한 계산값를 의미하고, 이 계산 방법은, 예를 들어 「유화·가용화의 기술」〔소화51년, 코가쿠 토쇼 가부시키가이샤(工學圖書(株))〕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HLB를 이끌어내기 위한 유기성값 및 무기성값에 관해서는 「유기 개념도 -기초와 응용-」〔소화59년 산쿄 슛판 가부시키가이샤(三共出版(株))〕 기재의 무기성기표(소화49년, 후지타 등의 보고값)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어 라우릴황산나트륨),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알킬벤젠 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 술폰산염, 고급 지방산염(비누), α-술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염, α-올레핀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모노)알킬인산 에스테르염, 폴리옥시모노 및 디스티릴페닐에테르술포호박산 모노에스테르염, 알킬페녹시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술폰산염을 들 수 있다.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 트리알킬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알킬아민, 모노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및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와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병용하는 경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와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의 질량비(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음이온계 계면 활성제)는, 본 발명의 효과(특히 보관 성능, 소위 고온에서의 밸브 주입성)에 보다 뛰어나고, 고무 라텍스의 안정화에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1.0/1.0 ~ 1.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의 양(계면 활성제를 병용하는 경우는 그 합계량)은, 본 발명의 효과(특히 보관 성능)에 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3 ~ 2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콜계 화합물 등 이외의 동결 방지제
글리콜계 화합물 등 이외의 동결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하이드록시기를 1개 가지는 알코올; 글리세린 이외의 3가 이상의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글리콜계 화합물 등 이외의 동결 방지제의 함유량은, 동결 방지제 전량 중의 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결 방지제는, 상기 글리콜계 화합물 및 글리세린만인 것을 바람직한 태양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그 제조 방법으로 관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무 라텍스와, 소정의 동결 방지제와, 필요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합성 수지 에멀션 또는 첨가제를, 혼합 믹서 등의 혼합기를 이용하여 충분히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계 내에 한층 더 물을 가하여도 무방하다.
(점도)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의 -30℃에 있어서의 점도는, 저온에서의 주입 성능에 뛰어나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1500mPa·s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를 사용할 때의 온도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45℃ ~ +70℃로 할 수 있다.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는,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와 컴프레서를 가지는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이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에 사용되는 타이어 펑크 실제는,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타이어 펑크 실제는 용기 안에 수납되어 있으면 된다. 용기는 내압성인 것을 바람직한 태양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에 사용되는 컴프레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어 컴프레서를 들 수 있다. 컴프레서는 압력 게이지(예를 들어 공기압계)를 가지는 것을 바람직한 태양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는 한층 더 2개의 호스를 가지는 것을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들 수 있다.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의 사용 방법)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의 사용 방법을 첨부의 도면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및 그 사용 방법은 첨부의 도면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20)는, 용기(4)와 컴프레서(1)를 가지고, 용기(4) 안에는 타이어 펑크 실제(6)가 들어가 있다.
용기(4)는 컴프레서(1)로부터 보내지는 공기가 용기(4)로 들어가기 위한 개구부(開口部)(5), 개구부(5)에 접속하는 노즐(3), 및, 토출부(7)를 가진다. 용기(4)는 내압성이다.
컴프레서(1)는 전기 케이블(13) 및 플러그(14)를 가진다. 플러그(14)는, 차내의 액세서리 소켓에 접속된다. 또한, 컴프레서(1)는 압력 게이지를 가진다.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20)는 호스(2, 8)를 가진다.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에는, 우선, 컴프레서(1)에 호스(2)의 일단(一端)을 잇고, 개구부(5)에 호스(2)의 타단(他端)을 이어, 용기(4)와 컴프레서(1)를 연결한다.
또한, 토출부(7)와 호스(8)의 일단을 잇고, 타이어(9)가 가지는 밸브(10)에 호스(8)의 타단을 이어, 용기(4)와 타이어(9)를 연결한다.
다음으로, 컴프레서(1)의 스위치를 ON으로 하여, 컴프레서(1)를 구동시키고, 컴프레서(1)로부터 공기를 보낸다. 컴프레서(1)로부터 보내지는 공기는, 호스(2), 개구부(5) 및 노즐(3)을 통과하여, 용기(4)의 내부로 보내진다. 보내진 공기에 의하여 용기(4)의 내압이 서서히 높아지고, 용기(4)의 내압이 어느 정도의 높이가 되면, 용기(4) 내로 도입된 공기가 타이어 펑크 실제(6)를 밀어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어 펑크 실제가 용기로부터 밀어내지기 시작하는 것을 「타이어 펑크 실제의 주입 개시」라고 칭한다.
밀어내진 타이어 펑크 실제는 토출부(7)를 거쳐 호스(8)를 통과하고, 밸브(10)를 거쳐 타이어(9)의 내부로 주입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어 펑크 실제가 모두 타이어의 내부로 주입된 것을 「타이어 펑크 실제의 주입 종료」라고 칭한다. 타이어 펑크 실제가 모두 타이어의 내부로 주입되면, 일단 압력 게이지가 나타내는 압력이 낮아진다.
이와 같이 하여, 용기의 내부의 모든 타이어 펑크 실제를 타이어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그 후도, 컴프레서(1)를 계속 구동시켜, 컴프레서(1)로부터 공기를 타이어(9)로 보내고, 타이어(9)를 팽창시킨다.
공기가 타이어(9)를 충분히 팽창시켜, 압력 게이지의 값(타이어의 내압)이 소정의 값(예를 들어 250kPa) 이상으로 된 후, 컴프레서(1)의 스위치를 OFF로 하여, 컴프레서(1)를 정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어 펑크 실제의 주입이 종료되고, 타이어의 내압이 소정의 값을 넘어, 컴프레서를 정지한 후, 압력 게이지가 나타내는 압력을 「컴프레서 정지 후 압력」이라고 칭한다.
컴프레서 정지 후, 호스(8)를 밸브(10)로부터 빼고(가능하면 밸브(10)에 캡을 하고), 즉시 차를 주행시킨다. 주행은 예를 들어 시속 80km 이하로 행하면 된다. 상기 주행에 의하여, 타이어(9)의 내부의 타이어 펑크 실제가 펑크 구멍을 실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후, 타이어의 내압이 불충분한 경우, 컴프레서를 재차 타이어에 접속하여 구동시켜 필요하게 되는 타이어 압력이 될 때까지 공기를 타이어에 충전시키면 된다.
덧붙여 도 1에 있어서 개구부(5) 및 토출부(7)는 용기(4)의 하측에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개구부 및 토출부가 용기의 상측이 되도록 용기를 두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용기의 내부에 있어서, 토출부에 노즐을 접속하면 된다. 토출부에 접속하는 노즐은, 타이어 펑크 실제를 타이어에 낭비 없이 주입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그 길이가 용기의 높이보다 약간 짧고, 노즐의 선단(先端)이 용기의 내부 저면(底面)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 또는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는, 여러 가지의 공기입 타이어의 펑크 수리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 타이어, 이륜차용 타이어, 일륜차용 타이어, 휠체어용 타이어, 농지 작업이나 정원 작업에 사용하는 차량용 타이어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제조>
하기 제1표의 각 성분을 동 표에 나타내는 조성(질량부)으로 이용하여, 이것들을 교반기로 혼합하여, 타이어 펑크 실제를 제조하였다.
덧붙여, 제1표에 있어서, NR 라텍스란의 상단의 숫자는 NR 라텍스의 양이며, NR 라텍스란의 하단의 괄호 내의 숫자는 NR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이다. 합성 수지 에멀션 1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평가>
상기대로 제조된 타이어 펑크 실제를 이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실 성능의 평가: 펑크 수리 거리)
·실 성능의 평가 방법
215/60 R16의 타이어의 트레드의 숄더 홈부에 펑크 구멍(직경 4mm)을 뚫었다.
그 다음으로, 펑크 구멍을 뚫은 타이어를 드럼 시험기에 장착하고, 상기대로 제조된 타이어 펑크 실제 350mL를 타이어의 밸브로부터 주입하여, 타이어 내압이 200kPa이 되도록 공기를 충전하였다.
그 후, 하중 350kg, 시속 30km의 조건 하에서 상기 타이어를 주행시켜 정지하는 간헐 운전을 반복하고, 펑크 구멍이 실되어 공기 누출이 없어질 때까지의 주행 거리(펑크 수리 거리)를 측정하였다. 공기 누출의 유무는, 상기 펑크 구멍의 부분에 비눗물을 분무하여, 비눗물이 거품이 되는지 여부로 확인하였다.
·실 성능의 평가 기준
상기 펑크 수리 거리가 5km 이내인 경우, 실 성능에 매우 뛰어나다고 평가하고, 이것을 「A」라고 표시하였다.
펑크 수리 거리가 5km를 넘고 10km 이내인 경우, 실 성능에 뛰어나다고 평가하고, 이것을 「B」라고 표시하였다.
펑크 수리 거리가 10km를 넘는 경우, 실 성능이 나쁘다고 평가하고, 이것을 「C」라고 표시하였다.
(보관 성능)
·보관 성능의 평가 방법
상기대로 제조된 타이어 펑크 실제 350mL를 용기에 넣었다.
상기의 용기에 대하여, 진폭 ±1.5mm의 진동 부하를, 80±2℃의 조건 하에서 168시간 부여하는 고온 진동 시험을 행하였다.
상기 시험의 전후로 용기 내의 타이어 펑크 실제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상기 시험 후의 타이어 펑크 실제에 육안으로 응집물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시험 후의 타이어 펑크 실제를 100메쉬의 필터(나일론)로 여과하고, 잔사의 무게를 측정하여, 타이어 펑크 실제 전량에 대한 잔사의 양(질량%)을 산출하였다.
·보관 성능의 평가 기준
고온 진동 시험 전후로 육안으로 타이어 펑크 실제에 응집물이 없고, 상기 잔사의 양이 타이어 펑크 실제 전량의 0.2질량% 이하였을 경우, 보관 성능에 매우 뛰어나다고 평가하고, 이것을 「A」라고 표시하였다.
고온 진동 시험 전후로 육안으로 타이어 펑크 실제에 응집물이 없고, 상기 잔사의 양이 타이어 펑크 실제 전량의 0.2질량%를 넘었을 경우, 보관 성능에 뛰어나다고 평가하고, 이것을 「B」라고 표시하였다.
고온 진동 시험 전에는 육안으로 타이어 펑크 실제에 응집물이 없고, 고온 진동 시험 후의 타이어 펑크 실제에 육안으로 응집물이 관찰되었을 경우, 보관 성능이 나쁘다고 평가하고, 이것을 「C」라고 표시하였다.
(주입 성능 1: 주입하기 쉬움)
·주입 성능 1의 평가 방법
상기대로 제조된 타이어 펑크 실제 350mL를 용기에 넣고, 상기 용기를 70℃로 가온하였다.
다음으로, 컴프레서로서 에어 컴프레서를 사용하고, 타이어로서 타이어(215/60 R16의 타이어의 숄더 홈부에 펑크 구멍(직경 4mm)을 뚫은 것)를 사용하여,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를 하향으로 하여, 호스를 통하여 상기 에어 컴프레서 및 상기 타이어에 이었다.
그 후, 에어 컴프레서의 스위치를 ON으로 하여, 에어 컴프레서로부터 상기 용기 내로 압축 공기를 보내고, 용기 내압을 올려 그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대로 가온한 타이어 펑크 실제를 용기 내로부터 밀어내어,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전량을 타이어의 밸브로부터 타이어 내로 주입하였다.
그 후도 컴프레서로부터 압축 공기를 보내어 타이어를 팽창시키고, 타이어의 내압이 250kPa에 달하였을 때에 에어 컴프레서의 스위치를 OFF로 하여, 에어 컴프레서를 정지하였다.
컴프레서를 정지한 후, 압력 게이지가 나타내는 압력(컴프레서 정지 후 압력)을 측정하였다.
·주입 성능 1의 평가 기준
상기 컴프레서 정지 후 압력이 230kPa 이상이었을 경우, 타이어 펑크 실제 및 공기를 매우 주입하기 쉽다고 평가하고, 이것을 「A」라고 표시하였다.
상기 컴프레서 정지 후 압력이 210kPa 이상 230kPa 미만이었을 경우, 타이어 펑크 실제 및 공기를 주입하기 쉽다고 평가하고, 이것을 「B」라고 표시하였다.
상기 컴프레서 정지 후 압력이 150kPa 이상 210kPa 미만이었을 경우, 타이어 펑크 실제를 주입할 수는 있지만, 주입 후 타이어 내에 공기를 약간 충전하기 어렵다고 평가하고, 이것을 「C」라고 표시하였다.
상기 컴프레서 정지 후 압력이 150kPa 미만이었을 경우, 타이어 펑크 실제를 주입할 수 있지만, 주입 후 타이어 내에 공기를 매우 충전하기 어렵다고 평가하고, 이것을 「D」라고 표시하였다.
(주입 성능 2: 주입 시간)
·주입 성능 2의 평가 방법
상기 주입 성능 1의 평가에 있어서, 타이어 펑크 실제의 주입 개시(타이어 펑크 실제가 용기로부터 밀어내지기 시작할 때)로부터 타이어 펑크 실제의 주입 종료(타이어 펑크 실제가 모두 타이어의 내부에 주입될 때)까지의 시간(주입 시간)을 측정하였다.
·주입 성능 2의 평가 기준
주입 시간이 짧을수록 주입 성능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입 시간이 40초 이내인 경우, 주입 성능에 뛰어난 것으로 한다.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점도 @-30℃)
·점도의 평가 방법
상기대로 제조된 타이어 펑크 실제의 -30℃의 조건 하에 있어서의 점도를, 브룩필드형 점도계(상품명 TV-25, 토키 산교샤(東機産業社)제, 로터 No.3)를 이용하여 회전수 60rpm으로 측정하였다.
·점도의 평가 기준
상기 점도가 짧을수록 저온에서의 주입 성능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30℃에 있어서의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점도가 1500mPa·s 이하인 경우, 저온에서의 주입 성능에 뛰어난 것으로 한다.
Figure pct00003
제1표에 나타낸 각 성분의 상세는 이하대로이다.
·NR 라텍스 1: 천연 고무 라텍스(Hytex HA, 고형분: 60질량%, 펠펙스사제(노무라 보에키샤(野村貿易社) 취급))
·합성 수지 에멀션 1: 에틸렌-초산비닐-버사틱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스미카 플렉스 950HQ, 고형분: 50질량%, 스미카 켐텍스샤(Sumika Chemtex Co., Ltd.)제)
·글리세린: 카오샤(花王社)제
·글리콜류 1(EG): 에틸렌글리콜(산쿄 카가쿠샤(三協化學社)제)
·글리콜류 2(PG): 프로필렌글리콜(아데카샤(ADEKA社)제 공업용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콜 에테르류 1(MTG):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닛폰 뉴카자이샤(日本乳化劑社)제)
·글리콜 에테르류 2(MDG):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닛폰 뉴카자이샤제)
제1표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글리콜계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은 실 성능이 나빴다. 또한 비교예 1은 주입 시간이 길어 주입 성능이 나빴다.
글리세린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2 ~ 7은, 보관 성능 또는 주입 성능이 나빴다.
글리세린의 함유량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8, 9는, 주입 성능이 나빴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실 성능 및 보관 성능을 뛰어난 레벨로 유지하면서 주입 성능에 뛰어났다.
실시예 1 ~ 8과 실시예 9를 비교하면, 고무 라텍스 및 합성 수지 에멀션을 함유하는 실시예 1 ~ 8은, 고무 라텍스를 함유하는 실시예 9보다도, 실 성능, 보관 성능 및 주입 성능 중 어느 한 쪽이 보다 뛰어났다.
실시예 1, 4와 실시예 7, 8을 비교하면, 글리콜계 화합물로서 글리콜류를 포함하는 경우(실시예 1, 4)는, 글리콜 에테르류를 포함하는 경우(실시예 7, 8)보다도 주입 시간이 짧아 주입 성능에 보다 뛰어났다.
실시예 3 ~ 5와 실시예 2, 6을 비교하면, 글리세린의 함유량이 동결 방지제 전량의 5 ~ 40질량%인 경우(실시예 3 ~ 5), 5질량% 미만(실시예 2) 및 40질량% 초과(실시예 6)보다도, 실 성능, 보관 성능 및 주입 성능을 높은 레벨로 밸런스시킬 수 있었다.
1: 컴프레서
2, 8: 호스
3: 노즐
4: 용기
5: 개구부
6: 타이어 펑크 실제
7: 토출부
9: 타이어
10: 밸브
13: 전기 케이블
14: 플러그
20: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Claims (7)

  1. 고무 라텍스, 및, 동결 방지제를 함유하고,
    상기 동결 방지제가, 글리콜류 및 글리콜 에테르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글리콜계 화합물과 글리세린을 포함하고,
    상기 글리세린의 함유량이, 상기 동결 방지제의 전량의 2 ~ 50질량%인, 타이어 펑크 실(seal)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류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및 디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타이어 펑크 실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 에테르류가, 하기 식 (1)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인, 타이어 펑크 실제.
    [화학식 1]
    Figure pct00004

    식 (1)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12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p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라텍스가 천연 고무 라텍스인, 타이어 펑크 실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합성 수지 에멀션을 더 함유하고, 상기 합성 수지 에멀션의 고형분의 함유량 2에 대한 상기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의 함유량 1의 질량비가, 90/10 ~ 30/70인, 타이어 펑크 실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 에멀션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 및 에틸렌-초산비닐-버사틱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타이어 펑크 실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타이어 펑크 실제와 컴프레서를 가지는,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KR1020187037411A 2016-06-29 2017-06-26 타이어 펑크 실제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KR102054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9059A JP6210135B1 (ja) 2016-06-29 2016-06-29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及びタイヤパンク修理キット
JPJP-P-2016-129059 2016-06-29
PCT/JP2017/023411 WO2018003745A1 (ja) 2016-06-29 2017-06-26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及びタイヤパンク修理キ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019A true KR20190006019A (ko) 2019-01-16
KR102054245B1 KR102054245B1 (ko) 2019-12-10

Family

ID=6004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411A KR102054245B1 (ko) 2016-06-29 2017-06-26 타이어 펑크 실제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80660B2 (ko)
JP (1) JP6210135B1 (ko)
KR (1) KR102054245B1 (ko)
CN (1) CN109312210B (ko)
DE (1) DE112017003281T5 (ko)
WO (1) WO20180037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7883B2 (en) * 2020-02-03 2022-08-09 Illinois Tool Works Inc. High performing low viscosity tire sealant
KR20220045325A (ko) 2020-10-05 2022-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음타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225A (ko) * 2006-03-24 2009-02-02 액세서리즈 마케팅 인코퍼레이티드 타이어용 펑크 밀봉제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1162681A (ja) 2010-02-10 2011-08-25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KR20150075658A (ko) * 2013-12-26 2015-07-06 탑 얼라이언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실란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123314A (ko) * 2013-03-13 2015-11-03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 펑크 실재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16453U1 (de) * 1997-09-12 1999-01-21 Alusuisse Bayrisches Druckgus Reparatursatz zum Reifenflicken
CN1737073A (zh) * 2005-07-12 2006-02-22 张桂和 汽车补胎胶水
CN100500789C (zh) * 2006-11-21 2009-06-17 崔集 一种车辆轮胎自补剂
DE102008007992A1 (de) * 2008-02-07 2009-08-20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Dichtmittel, insbesondere für Gummiartikel
JP4784694B1 (ja) * 2010-05-27 2011-10-05 横浜ゴム株式会社 液状凝固剤および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セット
US20130072594A1 (en) * 2010-05-27 2013-03-21 The Yokohama Rubber Co., Ltd. Liquid coagulant and tire puncture sealing material set
JP5472436B1 (ja) * 2012-12-14 2014-04-16 横浜ゴム株式会社 カチオン性天然ゴムラテックス及びこれを用いる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US8772370B1 (en) * 2013-03-14 2014-07-08 Illinois Tool Works Inc. Antifreeze agent for tire sealants
JP5874843B2 (ja) * 2013-03-27 2016-03-0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及びこれを用いるタイヤパンク修理キット
WO2015016348A1 (ja) * 2013-08-01 2015-02-05 横浜ゴム株式会社 凝固剤およびタイヤパンク修理キット
US9260642B2 (en) * 2013-12-04 2016-02-16 Top Alliance Technology Limited Seal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WO2015133519A1 (ja) * 2014-03-05 2015-09-11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US10208231B2 (en) * 2014-12-12 2019-02-19 Illinois Tool Works, Inc. High performance sealant composition for tire repair
US9963620B2 (en) * 2015-04-01 2018-05-08 Illinois Tool Works Inc. High performance environmentally friendly sealant composition for tire repair
US10414907B2 (en) * 2015-04-02 2019-09-17 The Yokohama Rubber Co., Ltd. Tire puncture sealant
US9862156B2 (en) * 2015-04-23 2018-01-09 Illinois Tool Works, Inc. Environmentally friendly aerosolized latex tire sealant
WO2017075673A1 (en) * 2015-11-06 2017-05-11 Trydel Research Pty Ltd Sealant composition
JP6658380B2 (ja) * 2016-07-25 2020-03-04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及びタイヤパンク修理キ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225A (ko) * 2006-03-24 2009-02-02 액세서리즈 마케팅 인코퍼레이티드 타이어용 펑크 밀봉제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1162681A (ja) 2010-02-10 2011-08-25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KR20150123314A (ko) * 2013-03-13 2015-11-03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 펑크 실재
KR20150075658A (ko) * 2013-12-26 2015-07-06 탑 얼라이언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실란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12210B (zh) 2021-07-09
JP6210135B1 (ja) 2017-10-11
US10780660B2 (en) 2020-09-22
US20190152174A1 (en) 2019-05-23
DE112017003281T5 (de) 2019-03-21
CN109312210A (zh) 2019-02-05
WO2018003745A1 (ja) 2018-01-04
KR102054245B1 (ko) 2019-12-10
JP2018002806A (ja)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4694B1 (ja) 液状凝固剤および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セット
KR101868362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KR101721930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JP2012057145A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KR20190006019A (ko) 타이어 펑크 실제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KR102219575B1 (ko) 타이어 펑크 실재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KR101688846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CN109790440B (zh) 轮胎补胎材料及轮胎刺孔修理套件
KR101967143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및,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
JP5773010B1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CN109790441B (zh) 轮胎补胎材料及轮胎刺孔修理套件
JP7293801B2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JP5812137B2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JP7077904B2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