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783A - 멤브레인 밀봉부를 가지는 가압-연결 피팅 - Google Patents

멤브레인 밀봉부를 가지는 가압-연결 피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783A
KR20190005783A KR1020180078559A KR20180078559A KR20190005783A KR 20190005783 A KR20190005783 A KR 20190005783A KR 1020180078559 A KR1020180078559 A KR 1020180078559A KR 20180078559 A KR20180078559 A KR 20180078559A KR 20190005783 A KR20190005783 A KR 20190005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conduit
conduits
membrane
membran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500B1 (ko
Inventor
에이. 아킨슨 존
에스. 코헨 제스튼
에이. 뮬러 크리스토퍼
Original Assignee
뮐러 인더스트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뮐러 인더스트리즈 인크 filed Critical 뮐러 인더스트리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005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positio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3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placed in the socket befor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 F16L13/142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with a sealing element inserted into the female part before crimping or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도관들의 쌍을 커플링시키기 위한 연결 접합부(connection joint)가 제시된다. 연결 접합부는, 각각의 도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 유입구 단부 및 배출구 단부를 가지는 관형 본체를 포함한다. 제1 멤브레인 밀봉부는 관형 본체 내에 위치되고 유입구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제2 멤브레인 밀봉부는 관형 본체 내에 위치되고 배출구 단부로부터 이격된다.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은 유입구 단부 및 배출구 단부 각각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벌버스 부분, 유입구 단부 및 배출구 단부 각각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벌버스 부분과 일체인 관형 슬리브, 및 복수의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을 갖는다.

Description

멤브레인 밀봉부를 가지는 가압-연결 피팅{PRESS-CONNECT FITTING WITH MEMBRANE SEAL}
본 개시 내용은 가압-연결 피팅에 관한 것이다.
본 항목은 반드시 종래 기술이지는 않은 본 개시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한다.
가압 구리 피팅은, 액체 및/또는 기체를 운송하기 위한 다양한 여러 적용례에서 이용될 수 있는 도관 시스템을 위한 확실하고 신뢰 가능한 접합부를 제공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적용례는 가열, 환기, 공조, 및 냉각(HVAC/R)의 분야이다. HVAC/R 적용례의 도관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주거용 또는 상업용 건물 내에 설치되고, 통상적으로 냉각제를 운반하는 다수의 도관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HVAC/R 도관 시스템의 다수의 도관은 브레이징된(brazed) 연결부에 의해서 접합되었다. 적절하게 이루어 졌을 때, 브레이징된 연결부는 양호한 내구성 및 내누출성을 갖는다. 그러나, 브레이징은, 특별한 장비 및 숙련도를 필요로 하는 시간-소모적 작업이다. 이와 관련하여, 납땜에 비해서, 브레이징은 더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하는 더 느린 작업이다. 브레이징과 연관된 높은 온도는 또한 좁은 공간 내에서 그리고 점유된 건물 내에서 안전 예방을 필요로 한다.
보다 최근에, 크림프 연결부(crimp connection)가 HVAC/R 적용례에 도입되었다. 그러한 크림프 연결부는 시장에서 수용되고 있는데, 이는, 크림프 연결부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비해서, 브레이징이 비교적 시간 소모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간 절감으로 인해서, HVAC/R 설치 계약자는, 크림프 연결부의 이용에 의해서 인건비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는 능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기존 크림프 연결부는, 특히 높은 작업 압력(예를 들어, 700 psi보다 높은 압력)에서 그리고 기체의 분자가 매우 작은 냉각제 기체를 이용하는 적용례에서, 누출 및 분리되기 쉽다. 기존 크림프 연결부는, 전형적으로, 피팅 본체의 내경에서 지지되는 내부 O-링 밀봉부를 포함하고, O-링 밀봉부는 도관을 피팅 본체 내로 삽입할 때 도관과 결합된다. 피팅 본체를 크림프하기 위해서 그에 의해서 피팅 본체와 도관을 서로 고정하기 위해서, 크림프 도구가 후속하여 이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크림프 연결부는 누출되기 쉬운데, 이는 구리 도관의 외측 표면이 압출을 통한 그 형성 중에 결함(예를 들어, 홈(gouge), 긁힘, 및 오목 마크)을 가지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구리 도관의 외측 표면은, 특히 그 자유 단부에서, 선적, 보관, 및 취급 중에 손상되기 쉽다. 그러한 결함 및 손상은, 도관의 외부 표면에 대해서 밀봉하기 위한 피팅 본체 및 O-링 밀봉부의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항목은 개시 내용의 전반적인 요지를 제공하고, 그 전체 범위 또는 그 특징 전부의 포괄적인 개시는 아니다.
본 개시 내용은, 도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방 단부를 가지는 관형 본체를 포함하는, 도관용 연결 접합부(connection joint)를 제공한다. 멤브레인 밀봉부(membrane seal)가 관형 본체 내에 위치되고 개방 단부로부터 이격된다. 멤브레인 밀봉부는 개방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된 일차적인 밀봉 특징부, 및 개방 단부로부터 멀리 위치된 일차적인 밀봉 특징부와 일체인 이차적인 밀봉 특징부를 갖는다. 멤브레인 밀봉부는 또한 복수의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rib)들을 포함하고, 멤브레인 밀봉부는 도관의 외부 표면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engage)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 내용은 또한 도관들의 쌍을 커플링시키기 위한 연결 접합부에 관한 것이다. 연결 접합부는, 각각의 도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 유입구 단부(inlet end) 및 배출구 단부(outlet end)를 가지는 관형 본체를 포함한다. 제1 멤브레인 밀봉부는 관형 본체 내에 위치되고 유입구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제2 멤브레인 밀봉부는 관형 본체 내에 위치되고 배출구 단부로부터 이격된다.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은 유입구 단부 및 배출구 단부 각각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벌버스(bulbous) 부분, 유입구 단부 및 배출구 단부 각각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상기 벌버스 부분과 일체인 관형 슬리브(sleeve), 및 복수의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을 갖는다.
본 개시 내용은 또한 도관들의 쌍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유입구 단부 및 배출구 단부를 가지는 관형 본체를 포함하는 연결 피팅(connection fitting)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멤브레인 밀봉부는 관형 본체 내에 위치되고 유입구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제2 멤브레인 밀봉부는 관형 본체 내에 위치되고 배출구 단부로부터 이격된다. 도관들의 외부 표면들이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그리고 이어서 관형 본체가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 도관들에 크림핑(crimping)되도록, 도관들은 연결 피팅의 유입구 단부 및 배출구 단부 각각으로 삽입된다.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은 유입구 단부 및 배출구 단부 각각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벌버스 부분을 가지며,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은 유입구 단부 및 배출구 단부 각각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상기 벌버스 부분과 일체인 관형 슬리브를 가지며,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은 복수의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을 갖는다.
본 개시 내용은 또한, 도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방 단부를 가지는 관형 본체를 포함하는, 도관용 연결 접합부에 관한 것이다. 멤브레인 밀봉부가 관형 본체 내에 위치되고 개방 단부로부터 이격된다. 멤브레인 밀봉부는 개방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된 일차적인 밀봉 특징부 및 개방 단부로부터 멀리 위치된 이차적인 밀봉 특징부, 그리고 이차적인 밀봉 특징부의 말단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립(annular lip)을 가지며, 멤브레인 밀봉부는 도관의 외부 표면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환형 립은 도관의 단부와 접경(abut)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 내용은 또한, 도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방 단부를 가지는 관형 본체를 포함하는, 도관용 연결 접합부를 제공한다. 멤브레인 밀봉부가 관형 본체 내에 위치되고 개방 단부로부터 이격된다. 멤브레인 밀봉부는 개방 단부에 근접 위치된 일차적인 밀봉 특징부 및 개방 단부로부터 멀리 위치된 이차적인 밀봉 특징부, 그리고 복수의 반경방향 외향 연장 레일(rail)들을 가지며, 멤브레인 밀봉부는 도관의 외부 표면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적용 가능 분야가 본원에서 제공되는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요지에서의 설명 및 구체적인 예는 단지 설명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단지 선택된 실시예에 대한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모든 가능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도관의 쌍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피팅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멤브레인 밀봉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멤브레인 밀봉부의 유입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멤브레인 밀봉부의 안내 리브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다른 멤브레인 밀봉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멤브레인 밀봉부의 유입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멤브레인 밀봉부의 안내 리브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크림핑 도구에 의해서 크림핑된 본 개시 내용에 따른 피팅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도관의 쌍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다른 피팅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다른 멤브레인 밀봉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멤브레인 밀봉부의 유입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멤브레인 밀봉부의 레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 중 몇몇 도면 전반에 걸쳐, 상응하는 참조 번호가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도관(12 및 14)의 쌍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접합부 또는 피팅(10)을 도시한다. 도 1에서, 도관(12 및 14)이 크림핑되지 않은 상태에서 피팅(10) 내로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피팅(10)과 도관(12 및 14) 사이의 누출-방지 밀봉을 보장하기 위한 피팅(10)의 크림핑(crimping)을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피팅(10) 및 도관(12 및 14)은 바람직하게 구리와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알루미늄 및 기타와 같은 다른 금속 재료가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피팅(10)은 관형 본체(16)를 포함하고, 관형 본체는 유입구(20)를 형성하는 제1 단부(18), 배출구(24)를 형성하는 대향되는 제2 단부(22), 외부 표면(26), 내부 표면(28), 및 유입구(20)와 배출구(24) 사이의 중공형 내부(30)를 갖는다. 도시된 구성에서, 유입구(20) 및 배출구(24) 각각은 제1 직경(D1)을 갖는다. 그러나, 유입구(20) 및 배출구(24)가 동일한 직경을 가질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유입구(20)는 배출구(24)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고, 그 반대일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피팅(10)이 유입구(20), 및 배출구(24)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서, 3개의 도관이 하나의 피팅(10)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도록, 피팅(10)이 T-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피팅(10)은 제1 또는 유입구측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제2 또는 배출구측 멤브레인 밀봉부(34)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 각각은 벌버스 부분(36) 및 관형 슬리브 부분(38)을 포함한다. 도시된 구성에서, 벌버스 또는 O-링 부분(36) 및 관형 슬리브 부분(38)이 일체형(unitary)이다. 멤브레인 밀봉부들(32 및 34)은, 유입구(20) 및 배출구(24)와 각각 교합되는 도관(12 및 14)의 외부 표면(40 및 42)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벌버스 부분들(36)은, 관형 슬리브 부분(38)에 비해서, 유입구(20) 및 배출구(24) 각각에 더 근접하여 위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벌버스 부분들(36)은 제1 또는 일차적인 밀봉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관형 슬리브 부분(38)은 이차적인 밀봉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관형 슬리브 부분(38)의 길이가 가변적이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러한 길이는 바람직하게, 피팅(10) 및 도관(12 및 14)이 함께 크림핑될 때,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 도관-대-피팅 접촉이 존재하도록, 선택된다.
관형 본체(16)는, 벌버스 부분들(36)을 수용하기 위한 안착 표면(seating surface)(46)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반경방향 외향 연장 융기부(ridge)(44)의 쌍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연장 융기부는, 유입구(20) 및 배출구(24)의 직경(D1)보다 큰 제2 직경(D2)을 가지는 관형 본체(16)를 제공한다. 관형 본체(16)는 또한, 유입구(20) 및 배출구(24)의 직경(D1)보다 크지만, 융기부(44)의 제2 직경(D2)보다 작은, 제3 직경(D3)을 가지는 관형 본체를 제공하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섹션(48)의 쌍을 포함한다.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섹션(48)은 유입구(20) 또는 배출구(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적어도 관형 본체(16)의 일부를 따라 융기부(44)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유입구측 멤브레인 밀봉부(32)의 슬리브 부분(3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섹션(48)은 배출구(24)를 향하는 방향으로 융기부(44)로부터 연장되고, 배출구측 멤브레인 밀봉부(34)의 슬리브 부분(3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섹션(48)은 유입구(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융기부(44)로부터 연장된다. 멤브레인 밀봉부들(32 및 34) 사이에 위치된 관형 본체(16)의 중앙 섹션(50)은, 유입구(20) 및 배출구(24)의 직경(D1)과 동일한 직경(D4)을 갖는다. 직경(D1 내지 D4), 피팅(10)의 길이, 및 다른 치수가 가변적이고, 피팅(10)을 위한 희망 적용례를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중앙 섹션(50)은, 피팅(10) 내로 각각 삽입될 때 도관(12 및 14)을 위한 정지부 또는 접경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반경방향 내향 연장 혹부(nub)(51)(예를 들어, 도 8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특징부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는 복수의 반경방향 내향 연장 안내 리브(52)를 포함한다. 안내 리브는, 도관(12 및 14)을 피팅(10) 내로 삽입하는 동안, 도관(12 및 14)과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4 및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리브(52)는, 도관(12 및 14)의 외부 표면(40, 42)과 결합되는 접촉 표면(54)을 포함한다. 도시된 구성에서, 접촉 표면(54)은 편평하고, 이는 도관(12 및 14)을 피팅(10) 내로 삽입하는 동안 안내 리브(42)가 레일로서 작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접촉 표면이 곡선화되거나(예를 들어, 원형-형상 또는 타원형-형상) 뾰족해질(예를 들어, 삼각형-형상)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리브(52)는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L)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도 5 내지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의 전체 길이보다 짧은 거리 만큼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단지 3개의 안내 리브(52)가 도 3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지만, 도관(12 및 14)을 피팅(10) 내로 삽입할 때 마찰이 감소되기만 한다면, 그리고 도관(12 및 14)의 피팅(10) 내로의 삽입 중에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의 손상 방지를 돕기 위해서 도관(12 및 14)을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에 대해서 센터링시키기 위해서 안내 리브(52)가 이용될 수 있기만 한다면, 임의 수의 안내 리브(52)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안내 리브(52)의 수는 피팅(10)의 구체적인 적용례를 기초로 선택될 수 있거나,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의 크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5 인치 직경의 멤브레인 밀봉부가 3개의 안내 리브(52)를 이용할 수 있는 한편, 더 큰 직경의 멤브레인 밀봉부(예를 들어, 0.75 인치 또는 1 인치)는 4개, 5개, 6개, 또는 그 초과의 안내 리브(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관(12 및 14)의 피팅(10) 내로의 삽입 중에 도관(12 및 14)과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것에 더하여, 안내 리브(52)는 도관(12 및 14)과 피팅(10) 사이의 누출을 검출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즉, 도관(12 및 14)과 피팅(10) 사이의 적절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서, 도관(12 및 14)을 피팅(10) 내로 삽입한 후에 피팅(10) 및 도관(12 및 14)이 크림핑된다. 이러한 단계가 의도하지 않게 생략된 경우에, 그러한 생략은, 압축 공기 또는 일부 다른 유형의 유체가 도관(12 및 14) 및 피팅(10)을 통과할 수 있는 누출 검출 테스트를 실시할 때 발견될 수 있는데, 이는, 리브(52)가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와 도관(12 및 14) 사이를 압축 공기 또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며, 이는 압력 강하를 나타내고, 그러한 압력 강하는 도관(12 및 14)과 피팅(10) 사이의 만족스럽지 못한 밀봉을 나타낸다. 만약 압력 강하가 발생된다면, 작업자는 적절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서 피팅(10) 및 도관(12 및 14)을 크림핑하거나 재-크림핑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도관(12 및 14)을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 내로 각각 삽입하는 동안, 밀봉부가 벌버스 부분들(36), 슬리브 부분들(38), 및 도관들(12 및 14)의 외부 표면들(40 및 42) 사이에서 형성되는 정도까지 압축하도록 안내 리브들(52)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를 예비적으로 테스트하기 위해서, 압축 공기 또는 일부 다른 유형의 유체가 도관(12 및 14) 및 피팅(10)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만약 충분한 압력 강하가 발생된다면, 이는, 피팅(10)이 크림핑된 후에도 피팅(10)과 도관(12 및 14) 사이에서 만족스러운 밀봉이 얻어질 수 없는 정도까지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 또는 도관(12 및 14)이 손상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피팅(10)과 도관(12 및 14) 사이의 만족스러운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서 피팅(10)을 크림핑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14)은, 반경방향 내향 연장 혹부(51)에 접경될 때까지, 피팅(10) 내로 삽입되었고, 크림핑 다이(58)를 포함하는 크림핑 도구(56)가 피팅(10) 주위에 배치되었다. 다이(58)는, 피팅(10)의 관형 본체(16)와 접촉되도록 그리고 피팅(10)을 도관(14)에 대해서 크림핑하도록 구성된 받침부(foot)(59)를 갖는다. 받침부(59)는 융기부(44)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60)을 그 사이에 형성한다. 즉, 융기부(44) 및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섹션(48)이 받침부들(58) 사이에 피팅되게 하는 정도까지, 받침부들(59)이 이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피팅(10) 및 도관(14)의 크림핑은 멤브레인 밀봉부(34)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의 금속-대-금속 접촉을 보장하고, 그에 따라 멤브레인 밀봉부(34)는 피팅(10)과 도관(14) 사이의 크림프들(62) 사이에 개재되고, 이는 피팅(10)과 도관(14) 사이의 밀봉부의 강건성을 높인다. 이와 관련하여, 피팅(10)은, 이전에 크림프 피팅에 바람직하지 않았던 고압(예를 들어, 700 psi 초과) 적용례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구(56)가 피팅(10) 주위에 적절히 배치되면, 작업자는 도구(56)를 작동시켜 크림프(62)를 형성하고 도관(14)을 피팅(10)에 고정한다. 이어서, 도구(56)가 피팅(10)으로부터 제거되고, 도관(12)이 피팅(10)의 대향 단부 내로 삽입될 수 있고, 프로세스가 반복될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저압 적용례를 위해서 구성된 피팅(10)이 도시되어 있다. 피팅(1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9의 피팅(10)은 관형 본체(16)를 가지고, 관형 본체는 유입구(20)를 형성하는 제1 단부(18), 배출구(24)를 형성하는 대향되는 제2 단부(22), 외부 표면(26), 내부 표면(28), 및 유입구(20)와 배출구(24) 사이의 중공형 내부(30)를 갖는다. 피팅(10)은 또한, 일체형인 벌버스 부분(36') 및 관형 슬리브 부분(38')을 각각 포함하는, 제1 또는 유입구측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제2 또는 배출구측 멤브레인 밀봉부(34')를 포함한다.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는, 유입구(20) 및 배출구(24)와 각각 교합되는 도관(12 및 14)의 외부 표면(40 및 42)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비록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가, 도관(12 및 14)의 피팅(10) 내로의 삽입 중에 도관(12 및 14)과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반경방향 내향 연장 안내 리브(52)(도 9에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가, 관형 슬리브 부분(38')의 말단 단부(66)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립(64)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가 환형 립(64)을 포함할 때,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는, 횡단면에서, 악보의 형상(♪)을 갖는다. 도관(12 및 14)이 피팅(10) 내로 삽입될 때, 환형 립(64)은 도관(12 및 14)을 위한 접경 표면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환형 립(64)이 슬리브 부분(38')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거리는 도관(12 및 14)의 두께와 대략적으로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더 멀다. 그러나, 도관(12 및 14)이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를 지나서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피팅(10)을 도관(12 및 14)에 크림핑한 후에,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 도관(12 및 14)과 피팅(10) 사이의 금속-대-금속 접촉이 존재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와 도관(12 및 14) 사이의 밀봉 결합은 저압 적용례(예를 들어, 700 psi 미만)에서 만족스러운 밀봉을 제공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이제 참조하면, 본 개시 내용에 따른 다른 멤브레인 밀봉부(32", 34")이 도시되어 있다.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는, 일체형이고, 도관들(12 및 14)이 피팅(10)의 유입구(20) 및 배출구(24)와 각각 교합될 때, 도관들(12 및 14)의 외부 표면들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는 벌버스 부분(36") 및 관형 슬리브 부분(38")를 포함한다.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멤브레인 밀봉부(32, 34, 32' 및 34')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가,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의 외부(70) 상에 형성된 복수의 반경방향 외향 연장 레일(68)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레일(68)은 피팅(10)의 내부 표면(28)(도 1)과 결합되도록 설계된다. 비록 3개의 레일(68)이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 수의 레일(68)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레일(68)은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L)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도 1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의 전체 길이(L)보다 짧은 거리로 축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의 피팅(10) 내로의 삽입 중에 유입구(20) 및 배출구(24)와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것에 더하여, 레일(68)은, 도관(12 및 14)이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를 포함하는 피팅(10) 내로 삽입될 때, 누출을 검출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관(12 및 14)과 피팅(10) 사이의 적절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서, 피팅(10) 및 도관(12 및 14)은 도관(12 및 14)을 피팅(10) 내로 삽입한 후에 크림핑된다. 이러한 단계가 의도하지 않게 생략된 경우에, 그러한 생략은, 압축 공기 또는 일부 다른 유형의 유체가 도관(12 및 14) 및 피팅(10)을 통과할 수 있는 누출 검출 테스트를 실시할 때 발견될 수 있는데, 이는, 레일(68)이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와 피팅(10) 사이를 압축 공기 또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며, 이는 압력 강하를 나타내고, 그러한 압력 강하는 도관(12 및 14)과 피팅(10) 사이의 만족스럽지 못한 밀봉을 나타낸다. 만약 압력 강하가 발생된다면, 작업자는 적절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서 피팅(10) 및 도관(12 및 14)을 크림핑하거나 재-크림핑할 수 있다.
도관(12 및 14)을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 내로 각각 삽입하는 동안, 밀봉부가 벌버스 부분들(36"), 슬리브 부분들(38"), 및 피팅(10)의 내부 표면(28) 사이에서 형성되는 정도까지 압축하도록 레일들(68)이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를 예비적으로 테스트하기 위해서, 압축 공기 또는 일부 다른 유형의 유체가 도관(12 및 14) 및 피팅(10)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만약 충분한 압력 강하가 발생된다면, 이는, 피팅(10)이 크림핑된 후에도 피팅(10)과 도관(12 및 14) 사이에서 만족스러운 밀봉이 얻어질 수 없는 정도까지 멤브레인 밀봉부(32" 및 34") 또는 도관(12 및 14)이 손상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68)은, 피팅(10)의 내부 표면(28)과 결합되는 접촉 표면(72)을 포함한다. 도시된 구성에서, 접촉 표면(72)은 편평하다. 그러나,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접촉 표면(72)이 곡선화되거나(예를 들어, 원형-형상 또는 타원형-형상) 뾰족해질(예를 들어, 삼각형-형상)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피팅(10)의 크림핑 중에, 멤브레인 밀봉부(32, 32', 32", 34, 34', 및 34")가 압축된다. 멤브레인 밀봉부(32, 32', 32", 34, 34', 및 34")의 적절한 압축을 보장하기 위해서, 멤브레인 밀봉부(32, 32', 32", 34, 34', 및 34")가, 55 내지 65 범위의 Shore A 경도를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도를 갖는 예시적인 재료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PDM) 및 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를 포함한다. 멤브레인 밀봉부(32, 32', 32", 34, 34', 및 34")가 전술한 범위의 Shore A 경도를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때, 그러한 재료는, 압출을 통한 도관의 형성 중에 또는 피팅(10)과의 교합 이전에 도관(12 및 14) 상에 형성된 결함(예를 들어, 홈, 긁힘, 및 오목 마크)이 멤브레인 밀봉부(32, 32', 32", 34, 34', 및 34")에 의해서 만족스럽게 밀봉될 수 있는 정도까지 압축될 수 있다. 그러나, 멤브레인 밀봉부(32, 32', 32", 34, 34', 및 34")를 위해서 선택된 재료의 유형이 피팅(10)을 위한 희망 적용례를 기초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에 관한 전술한 설명이 묘사 및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제공되었다. 이는 배타적인 것 또는 개시 내용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특별한 실시예의 개별적인 요소 또는 특징이 일반적으로 그러한 특별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나, 적용 가능한 경우에, 비록 구체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았지만, 선택된 실시예에서 이용될 수 있고 상호 교환될 수 있다. 동일한 것이 또한 많은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변경은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고, 모든 그러한 수정이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37)

  1. 도관용 연결 접합부(connection joint)로서,
    도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방 단부를 가지는 관형 본체; 및
    상기 관형 본체 내에 위치되고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멤브레인 밀봉부(membrane seal)를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 밀봉부는 상기 개방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된 일차적인 밀봉 특징부, 및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멀리 위치된 이차적인 밀봉 특징부, 및 복수의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rib)들을 가지며,
    상기 멤브레인 밀봉부는 상기 도관의 외부 표면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engage)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접합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적인 밀봉 특징부는 벌버스(bulbous) 부분이고, 상기 이차적인 밀봉 특징부는 관형 슬리브(sleeve)인, 연결 접합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는 상기 벌버스 부분의 수용을 위해서 구성된 반경방향 외향 연장 융기부(ridge)를 포함하는, 연결 접합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는, 상기 관형 슬리브의 수용을 위해서 구성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섹션을 포함하는, 연결 접합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은 상기 멤브레인 밀봉부의 길이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접합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은 상기 도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편평한 표면을 포함하는, 연결 접합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은, 상기 도관을 상기 관형 본체 내로 삽입하는 동안, 상기 도관과 상기 멤브레인 밀봉부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도관을 상기 관형 본체 내로 삽입하는 동안, 상기 도관을 상기 관형 본체에 대해서 센터링(centering)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 접합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는, 상기 관형 본체를 상기 도관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멤브레인 밀봉부의 대향 측면들 상에 크림핑(crimping)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접합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적인 밀봉 특징부 및 상기 이차적인 밀봉 특징부가 일체형(unitary)인, 연결 접합부.
  10. 도관들의 쌍을 커플링시키기 위한 연결 접합부로서,
    각각의 도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 유입구 단부(inlet end) 및 배출구 단부(outlet end)를 가지는 관형 본체를 포함하는 피팅(fitting); 및
    상기 관형 본체 내에 위치되고 상기 유입구 단부로부터 이격된 제1 멤브레인 밀봉부 및 상기 관형 본체 내에 위치되고 상기 배출구 단부로부터 이격된 제2 멤브레인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은 상기 유입구 단부 및 배출구 단부 각각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벌버스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은 상기 유입구 단부 및 배출구 단부 각각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상기 벌버스 부분과 일체인 관형 슬리브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은 복수의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을 가지며,
    상기 멤브레인 밀봉부들은 상기 도관들의 외부 표면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각각 구성되는, 연결 접합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는 각각의 벌버스 부분의 수용을 위해서 각각 구성된 반경방향 외향 연장 융기부들의 쌍을 포함하는, 연결 접합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는 각각의 관형 슬리브의 수용을 위해서 각각 구성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섹션들의 쌍을 포함하는, 연결 접합부.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의 길이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접합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은 상기 도관들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편평한 표면을 포함하는, 연결 접합부.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은, 상기 도관들을 상기 관형 본체 내로 삽입하는 동안, 상기 도관들과 상기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각각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도관들을 상기 관형 본체 내로 삽입하는 동안, 상기 도관들을 상기 관형 본체에 대해서 센터링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 접합부.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는, 상기 관형 본체를 상기 도관들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의 대향 측면들 상에 크림핑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접합부.
  17. 도관들의 쌍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유입구 단부 및 배출구 단부를 가지는 관형 본체를 포함하는 연결 피팅을 제공하는 단계;
    제1 멤브레인 밀봉부를 상기 관형 본체 내에 그리고 상기 유입구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위치시키고, 제2 멤브레인 밀봉부를 상기 관형 본체 내에 그리고 상기 배출구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도관들의 외부 표면들이 상기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 피팅의 유입구 단부 및 배출구 단부로 상기 도관들을 각각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관형 본체를 상기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 상기 도관들에 크림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은 상기 유입구 단부 및 상기 배출구 단부 각각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벌버스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은 상기 유입구 단부 및 상기 배출구 단부 각각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상기 벌버스 부분과 일체인 관형 슬리브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각각은 복수의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을 가지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는, 각각의 벌버스 부분의 수용을 위해서 각각 구성된 반경방향 외향 연장 융기부들의 쌍을 포함하고, 상기 관형 본체는, 각각의 관형 슬리브의 수용을 위해서 각각 구성된 반경방향 확장 섹션들의 쌍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은 상기 도관들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편평한 표면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은, 상기 도관들을 상기 연결 피팅 내로 삽입하는 동안, 상기 도관들과 상기 제1 및 제2 멤브레인 밀봉부들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각각 구성되고, 상기 도관들을 상기 연결 피팅 내로 삽입하는 동안, 상기 도관들을 상기 연결 피팅에 대해서 센터링시키도록 구성되는, 방법.
  21. 도관용 연결 접합부로서,
    도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방 단부를 가지는 관형 본체; 및
    상기 관형 본체 내에 위치되고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멤브레인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 밀봉부는 상기 개방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된 일차적인 밀봉 특징부, 및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멀리 위치된 이차적인 밀봉 특징부, 및 상기 이차적인 밀봉 특징부의 말단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립(annular lip)을 가지며,
    상기 멤브레인 밀봉부는 상기 도관의 외부 표면에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립은 상기 도관의 단부에 접경(abut)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접합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적인 밀봉 특징부는 벌버스 부분이고, 상기 이차적인 밀봉 특징부는 관형 슬리브인, 연결 접합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는 상기 벌버스 부분의 수용을 위해서 구성된 반경방향 외향 연장 융기부를 포함하는, 연결 접합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는, 상기 관형 슬리브의 수용을 위해서 구성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섹션을 포함하는, 연결 접합부.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밀봉부의 길이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을 더 포함하는, 연결 접합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은 상기 도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편평한 표면을 포함하는, 연결 접합부.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내향 연장 리브들은, 상기 도관을 상기 관형 본체 내로 삽입하는 동안, 상기 도관과 상기 멤브레인 밀봉부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도관을 상기 관형 본체 내로 삽입하는 동안, 상기 도관을 상기 관형 본체에 대해서 센터링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 접합부.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는, 상기 관형 본체를 상기 도관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개방 단부에 근접하여 크림핑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접합부.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적인 밀봉 특징부 및 상기 이차적인 밀봉 특징부가 일체형인, 연결 접합부.
  30. 도관용 연결 접합부로서,
    도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방 단부를 가지는 관형 본체; 및
    상기 관형 본체 내에 위치되고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멤브레인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 밀봉부는 상기 개방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된 일차적인 밀봉 특징부, 및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멀리 위치된 이차적인 밀봉 특징부, 및 복수의 반경방향 외향 연장 레일(rail)들을 가지며,
    상기 멤브레인 밀봉부는 상기 도관의 외부 표면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접합부.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적인 밀봉 특징부는 벌버스 부분이고, 상기 이차적인 밀봉 특징부는 관형 슬리브인, 연결 접합부.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는 상기 벌버스 부분의 수용을 위해서 구성된 반경방향 외향 연장 융기부를 포함하는, 연결 접합부.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는, 상기 관형 슬리브의 수용을 위해서 구성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섹션을 포함하는, 연결 접합부.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외향 연장 레일들은 상기 멤브레인 밀봉부의 길이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접합부.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외향 연장 레일들은 상기 피팅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편평한 표면을 포함하는, 연결 접합부.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본체는, 상기 관형 본체를 상기 도관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멤브레인 밀봉부의 대향 측면들 상에 크림핑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접합부.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적인 밀봉 특징부 및 상기 이차적인 밀봉 특징부가 일체형인, 연결 접합부.
KR1020180078559A 2017-07-07 2018-07-06 멤브레인 밀봉부를 가지는 가압-연결 피팅 KR102357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43,844 2017-07-07
US15/643,844 US10982798B2 (en) 2017-07-07 2017-07-07 Press-connect fitting with membrane se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783A true KR20190005783A (ko) 2019-01-16
KR102357500B1 KR102357500B1 (ko) 2022-02-04

Family

ID=6298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559A KR102357500B1 (ko) 2017-07-07 2018-07-06 멤브레인 밀봉부를 가지는 가압-연결 피팅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82798B2 (ko)
EP (1) EP3425249B1 (ko)
KR (1) KR102357500B1 (ko)
CN (1) CN20859532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44786B1 (pl) * 2019-03-14 2024-03-04 Hyper Poland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posób przekształcenia torowiska kolei konwencjonalnej typu koło-szyna lub magnetycznej kolei zintegrowanej na system próżniowy kolei magnetycznej
EP4083486B1 (de) 2021-04-29 2023-02-08 AVS, Ingenieur J.C. Römer GmbH Leitungskupplung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38006A1 (de) * 1979-09-20 1981-03-26 Karl Heinz 37581 Bad Gandersheim Vahlbrauk Vorrichtung zum verbinden zweier glatter rohrenden
EP0503258A2 (de) * 1991-03-14 1992-09-16 Friatec Aktiengesellschaft Keramik- und Kunststoffwerke Verbindungsanordnung einer Rohrleitung
DE19813805C1 (de) * 1998-03-24 1999-07-08 Mannesmann Ag Rohrverbindung
US20020158466A1 (en) * 2001-04-26 2002-10-31 Jim Jones Self restrained pressure gasket
KR20100011308A (ko) * 2008-07-24 2010-02-03 이수홍 배관연결용 탄성링
EP2357389A1 (en) * 2010-02-01 2011-08-17 Fra.Bo S.P.A. Press fitting apparatus having a sealing ring
CN104390079A (zh) * 2014-08-29 2015-03-04 陈征 一种唇密封焊接式管件接口及其安装工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9861A (en) * 1958-10-01 1964-09-22 Larsson Gunnar Tube coupling
DE1182481B (de) * 1960-05-18 1964-11-26 Torfit Werke G A Haseke & Co Muffenverbindung fuer Rohre aus sproedem Werkstoff
DE2233102C3 (de) * 1972-07-06 1981-11-19 Benteler-Werke Ag Werk Neuhaus, 4790 Paderborn Rohrverbindung sowie Verfahren und Verbindungshülse zur Herstellung der Rohrverbindung
DE102005062738B4 (de) * 2005-12-22 2009-02-26 Geberit Technik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Rohrpressverbindung und Rohrpressverbindung
US9188260B2 (en) * 2008-08-01 2015-11-17 Nibco Inc. Crimp evident seal
US9638360B2 (en) * 2012-02-14 2017-05-02 Mueller Industries, Inc. Leak detection O-ring
CN104197126A (zh) * 2014-08-29 2014-12-10 陈征 一种唇密封卡压式管件接头及其安装工艺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38006A1 (de) * 1979-09-20 1981-03-26 Karl Heinz 37581 Bad Gandersheim Vahlbrauk Vorrichtung zum verbinden zweier glatter rohrenden
EP0503258A2 (de) * 1991-03-14 1992-09-16 Friatec Aktiengesellschaft Keramik- und Kunststoffwerke Verbindungsanordnung einer Rohrleitung
DE19813805C1 (de) * 1998-03-24 1999-07-08 Mannesmann Ag Rohrverbindung
US20020158466A1 (en) * 2001-04-26 2002-10-31 Jim Jones Self restrained pressure gasket
KR20100011308A (ko) * 2008-07-24 2010-02-03 이수홍 배관연결용 탄성링
EP2357389A1 (en) * 2010-02-01 2011-08-17 Fra.Bo S.P.A. Press fitting apparatus having a sealing ring
CN104390079A (zh) * 2014-08-29 2015-03-04 陈征 一种唇密封焊接式管件接口及其安装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500B1 (ko) 2022-02-04
US10982798B2 (en) 2021-04-20
EP3425249B1 (en) 2021-09-01
EP3425249A3 (en) 2019-04-10
US20190011065A1 (en) 2019-01-10
CN208595323U (zh) 2019-03-12
EP3425249A2 (en)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4893B2 (en) Peanut fittings for CO2 air conditioning systems
JP3235129U (ja) ブロック継手
CA2674166C (en) Crimp evident seal
US8789852B2 (en) Hose repair clamp
US9416897B2 (en) Press fitting device, components and method
US5553902A (en) Leak-proof coupling
BR112014016012B1 (pt) Encaixe que compreende uma parede de tubo de metal que forma uma parte cilíndrica do tubo e uma parte de canal de anel-o anular adjacente, método de formação de um encaixe, e método de formação de uma conexão de tubo
US20050023827A1 (en) Conduit coupling assembly
WO2010144500A1 (en) Self-aligning sanitary pipe joints and related systems
CN111350891A (zh) 利用紧弯技术的金属密封配装件
KR20190005783A (ko) 멤브레인 밀봉부를 가지는 가압-연결 피팅
EP3055599B1 (en) Press fitting device and method
US20220364665A1 (en) Swage Connector Device, Assembly and Method
US46292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ick-coupling connecting nipple for plastic pipe
US5341567A (en) Method of making clean socket fit connection
EP3677825B1 (en) Pipeline adapter
JP6824414B2 (ja) 管継手及び管継手構造
KR20110001999A (ko) 에어컨 호스의 결합구조
CN210770781U (zh) 一种密封管接头
CN116635168A (zh) 压接管件装置
GB2382391A (en) Peanut fitting for CO2 Air Conditioning Systems
KR20100033561A (ko) 에어컨 호스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JPH03113190A (ja) 差込式管継手
JPH03113191A (ja) 差込式管継手付コ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