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499A -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499A
KR20190005499A KR1020170086239A KR20170086239A KR20190005499A KR 20190005499 A KR20190005499 A KR 20190005499A KR 1020170086239 A KR1020170086239 A KR 1020170086239A KR 20170086239 A KR20170086239 A KR 20170086239A KR 20190005499 A KR20190005499 A KR 20190005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nonwoven fabric
polyester
melting point
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8540B1 (ko
Inventor
조희정
이민호
박영신
정규인
최우석
장정순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6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540B1/ko
Priority to EP18827523.4A priority patent/EP3611296B1/en
Priority to PCT/KR2018/007014 priority patent/WO2019009539A2/ko
Publication of KR20190005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5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of hollow pieces, e.g. tubes; of pieces with channels or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reinforced with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1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 D04H3/10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by needl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2Conjugate fibres, e.g. core/sheath o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61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covering undersurfaces of vehicles, e.g. wheel ho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융점이 서로 다른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중공사 및 일반사로 이루어진 부직포 양면에, 융점이 서로 다른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일반사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적층하여 열접착함으로써 경량화하면서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중공사로 이루어진 필라멘트로 웹을 형성하므로 적은 중량에도 높은 흡음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물리적 및 열적 외력에 의해 부직포의 형태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어서 필라멘트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지 않으며, 또한 부직포의 레이어 구성과 제조방법을 단순화하여 작업성 및 가격경쟁력이 우수하고 저융점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용융시켜 고융점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접착시키므로 접착제와 같은 화학물질이 필요치 않아서 유해물질이 낮은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Non-woven Fabric with Improved Weight Lightening and Sound Absorbenc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융점이 서로 다른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중공사 및 일반사로 이루어진 부직포 양면에, 융점이 서로 다른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일반사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적층하여 열접착함으로써 경량화하면서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제조분야는 경량화, 유해물질 감소, 생산비 절감, 승차감 향상 등의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최근에는 유해물질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높아져서 이에 대한 규제 또한 강화되고 있다.
자동차 부품 중 언더커버(under cover) 제품은 자동차 바닥의 최외곽층에 부착되는 얇은 판 형태의 부품으로서 차종에 따라 엔진부 또는 바닥 전면에 걸쳐 부착되며, 도로 노면에서 발생하는 이물에 대하여 차량 바닥 장비들을 보호하고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며 주행 소음의 흡음(sound absorption) 또는 차음(sound insulation)을 위하여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언더커버는 다양한 소재의 레이어(layer)로 구성되고 통상 부직포(외부 마감)/폴리프로필렌 필름(PP film)/코어(언더커버의 형태 유지와 흡차음 기능 수행)/부직포(내부 마감)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을 이루는 소재들을 적층하고 고온·고압에서 합지하여 플레이트(plate) 형태로 만들며, 차종별 금형 형태 및 제품의 레이어 구성에 따라 기타 소재들과 합지 및 성형하여 최종제품을 제조한다.
코어를 위한 소재 개발은, 열가소성 소재에 의한 제1세대, 유리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의한 제2세대, 폴리에스테르 복합소재에 의한 제3세대까지 개발이 진행되어 왔으며, 제3세대 개발품인 폴리에스테르 복합소재는 2종의 단섬유(PET 및 접착제 역할의 PET)로 구성된 부직포를 압착 성형하여 코어에 적용한 제품으로서, 경량화, 원가 절감, 인체 무해성,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로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단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는 무기물 소재인 유리섬유 대비 강성이 낮아서 형태를 유지하는 특성이 부족하고, 외부 이물에 의한 훼손 및 변형을 막기 위해 다량의 바인더를 부가하거나 표면 가공을 하여야 하는데 바인더 및 표면 가공에 사용되는 소재들이 화재시 유독가스를 내뿜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자동차 소재로서 특히 엔진 아랫부분에 부착되는 소재로서 가져야 할 난연성능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또한, 장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언더커버용 폴리에스테르 복합체는 경량화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강성, 흡음성, 외력에 의한 훼손을 막는 특성이 부족하여 개선해야할 여지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2725호
본 발명은 자동차 언더커버에서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 경량화 및 흡음성능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융점이 255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중공사 제1필라멘트 50~90 wt%에 융점이 160 ℃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일반사 제2필라멘트 10~50 wt%가 용융 혼합된 중심부 부직포;의 양면에, 융점이 255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일반사 제1'필라멘트 50~80 wt%에 융점이 160 ℃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일반사 제2'필라멘트 20~50 wt%가 용융 혼합된 외곽부 부직포;가 접착되어 있는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융점이 255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여 중공사 제1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 융점이 160 ℃ 이하인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여 일반사 제2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필라멘트와 제2필라멘트를 웹 적층하고 가열하여 제1필라멘트:제2필라멘트=50~90:10~50 wt%인 중심부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 융점이 255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여 일반사 제1'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 융점이 160 ℃ 이하인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여 일반사 제2'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필라멘트와 제2'필라멘트를 웹 적층하고 가열하여 제1'필라멘트:제2'필라멘트=50~80:20~50 wt%인 외곽부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부 부직포 양면에 외곽부 부직포를 적층하고 가열하여 열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중공사로 이루어진 필라멘트로 웹을 형성하므로 적은 중량에도 높은 흡음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물리적 및 열적 외력에 의해 부직포의 형태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어서 필라멘트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부직포의 레이어 구성과 제조방법을 단순화하여 작업성 및 가격경쟁력이 우수하고 저융점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용융시켜 고융점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접착시키므로 접착제와 같은 화학물질이 필요치 않아서 유해물질이 낮은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융점이 255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여 중공사(hollow fiber) 제1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융점이 160 ℃ 이하인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여 일반사(섬유단면 가운데에 공동 없이 완전히 채워진 섬유, 이하 같다) 제2필라멘트를 제조한 후 이들을 웹(web) 적층하고 가열하여 중심부(core) 부직포를 제조하고, 또한 융점이 255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여 일반사 제1'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융점이 160 ℃ 이하인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여 일반사 제2'필라멘트를 제조한 후 이들을 웹 적층하고 가열하여 외곽부(sheath) 부직포를 제조한 후, 상기 중심부 부직포 양면에 외곽부 부직포를 적층하고 가열하여 열접착시키는 과정으로 제조된다.
상기 중공사 제1필라멘트는 융점이 255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를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시킨 후 방사구금의 토출공을 통해 토출시키고 냉각풍으로 고화시키며, 고압의 공기 연신장치를 이용하여 방사속도 4500~5000 m/min이 되도록 연신하여 3~9 데니어(denier)의 섬도를 가지도록 제조된다.
상기 토출공을 특수 설계하여 제1필라멘트 내부에 공동이 형성된 중공사로 제조할 수 있고 제1필라멘트가 중공 단면을 가짐으로써 부직포의 흡음성과 경량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중공사의 제조방법은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에서는 중공사 제조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융점이 255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제1'필라멘트, 융점이 16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제2필라멘트 및 제2'필라멘트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제1 및 제1'필라멘트와 제2 및 제2'필라멘트가 3 데니어 미만일 경우 필라멘트가 가늘고 강도가 약하며 단위 면적당 필라멘트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흡음성이 나빠지고, 9 데니어를 초과할 경우 필라멘트의 결정화를 위한 냉각 길이가 길어져 부직포를 상업적으로 균일하게 제조하기 어렵다.
중심부로 사용될 부직포는 중공사의 제1필라멘트와 일반사의 제2필라멘트 비율이 50~90:10~50 wt%(제1필라멘트:제2필라멘트)로 구성되고, 외곽부로 사용될 부직포는 일반사의 제1'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와 일반사의 제2'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의 비율이 50~80:20~50 wt%(제1'필라멘트:제2'필라멘트)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부 부직포의 제2필라멘트의 구성비율이 10 wt% 미만일 경우 필라멘트 간 접착점(binding point)의 수가 부족하여 자동차 언더커버 제품이 요구하는 강성이 부족하고, 50 wt%를 초과할 경우 형태를 유지하는 뼈대 역할의 제1필라멘트의 비율이 감소하여 이 또한 강성이 감소한다.
또한, 외곽부 부직포의 제2'필라멘트의 구성비율이 20 wt% 미만일 경우 접착제 역할을 하는 성분이 적어 중심부 부직포와의 접착이 잘 안되므로 완제품 형태로 제조하기 어렵고 50 wt%를 초과할 경우 부직포 강도가 낮아 외력에 의해 훼손되기 쉬운 문제가 발생한다.
제2 및 제2'필라멘트는 후술하는 가열 공정에서 용융되어 제1 및 제1'필라멘트를 결속시키며, 외곽부 부직포의 제2'필라멘트 최소량이 중심부 부직포의 제2필라멘트 최소량보다 조금 더 많은 것은 중심부 부직포를 양면에서 지지하는 외곽부 부직포가 외력에 의해 충격을 받아도 제1'필라멘트가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접착력을 좀 더 보강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1필라멘트의 중공비(중공 면적을 포함하는 단면 전체 면적 대비 중공 면적 비율)는 30~7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공비가 클수록 흡음 기능이 향상되나 70 %를 초과할 경우 방사시 중공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필라멘트 단면 형상이 바뀌면서 절사가 발생하기 쉬워서 필라멘트 제조가 어려우며, 30 % 미만일 경우 방사시 중공형태가 아닌 일반적인 원형 필라멘트 형태로 제조되거나 중공형 필라멘트의 최외곽과 내부의 냉각속도 차이로 인해 필라멘트의 위치별로 중공 형태가 변형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이들 제1 및 제2필라멘트(제1' 및 제2'필라멘트)를 혼섬방사(matrix & binder) 형태로 컨베이어 위에 웹 형태로 적층하고 가열된 캘린더 롤(calender roll) 장치를 통과시켜 두께를 조정하며, 부직포의 평량은 적용되는 차종 규격에 따라 달라지나 중심부 부직포는 평량 1000~1500 g/㎡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곽부 부직포는 평량 10~50 g/㎡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방사된 제1필라멘트와 제2필라멘트(제1' 및 제2'필라멘트)를 혼합하여 컨베이어 네트(net) 위에 웹 형태로 적층하고 상기 웹을 140~160 ℃로 가열된 캘린더 롤을 통과시켜 웹에 평활성을 부여하면서 필라멘트 사이의 열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캘린더 롤에 의한 필라멘트의 열접착 온도는 후술하는 부직포의 열접착 온도보다 20 ℃ 이상 낮게 설정되며, 필라멘트의 열접착 온도와 부직포의 열접착 온도 차이가 20 ℃ 미만일 경우 캘린더 롤의 가열에 의해 제2 및 제2'필라멘트가 열고착(heat setting) 되므로, 이후 공정인 부직포의 열접착 공정에서 열접착 온도로 승온하여도 제2 및 제2'필라멘트가 용융되지 않아서 부직포 간의 접착과 성형 성능을 위한 신율이 발현되지 못하여 강성과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외곽부 부직포의 제조시에는 상기 캘린더 롤의 일측 롤에는 엠보싱(embossing)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롤은 평면(flat)으로 형성되어 외곽부 부직포의 양면이 각각 엠보싱 형상과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한 후 평면 쪽을 중심부 부직포와 접하도록 적층하여 열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부직포는 중심부 부직포와 외곽부 부직포의 평면이 서로 접하여 잘 결착되며, 전체 부직포의 외부면은 엠보싱 무늬가 형성되어 도로 노면에서 발생하는 이물에 의한 충격을 분산시켜 내구성이 증가하고, 또한 엠보싱 형성에 의해 표면적이 증가하므로 흡음성과 차음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조된 중심부 부직포의 양면에 외곽부 부직포를 적층하여 레이어를 구성한 후 제1(제1') 필라멘트 용융온도보다 낮고 제2(제2') 필라멘트 용융온도보다 높은 180~220 ℃의 챔버(chamber)에서 1~3 분간 가열하며, 상기 가열에 의해 제2(제2') 필라멘트가 용융되면서 제1, 제1' 필라멘트 및 중심부 부직포와 외곽부 부직포가 서로 열접착되어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가 제조되며, 이와 같이 제조된 부직포를 예열 후 성형금형에 투입하여 원하는 형태의 자동차 언더커버 성형물을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6>
먼저, 중심부 부직포를 제조하는데, 융점이 255 ℃와 160 ℃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각각을 연속압출기를 이용하여 280 ℃에서 용융시킨 다음 각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중공형태(중공비 30 %)의 제1필라멘트(융점 255 ℃)와 일반 원형 단면 형태의 제2필라멘트(융점 160 ℃)로 방사하였으며, 모세공에서 방출된 연속 필라멘트를 냉각풍으로 고화시킨 후 고압의 공기 연신장치를 이용하여 방사속도 5000 m/min이 되도록 연신시켜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하였고 최종 필라멘트의 섬도가 8 데니어가 되도록 토출량과 방사구금의 모세공 크기를 조절하였다.
다음은 상기 제조된 제1필라멘트와 제2필라멘트의 혼합비가 70:30(wt%)이 되도록 혼합하고 통상의 개섬법으로 단위면적당 1300 g/㎡ 중량으로 컨베이어 네트 상에 웹 형태로 적층한 후 150 ℃로 가열된 캘린더 롤에 통과시켜 평활성과 적정한 두께를 부여하였다.
다음은 외곽부 부직포를 제조하며, 상기 중심부 부직포와 같은 방식으로 일반 원형 단면 형태의 제1'필라멘트(융점 255 ℃)와 제2'필라멘트(융점 160 ℃)로 방사하고 제1'필라멘트와 제2'필라멘트의 혼합비가 70:30(wt%)이 되도록 혼합하고 단위면적당 20 g/㎡ 중량으로 컨베이어 네트 상에 웹의 형태로 적층한 후, 이를 엠보싱(embossing)이 형성된 상단 롤과 평면으로 형성된 하단 롤로 구성되고 150 ℃로 가열된 캘린더 롤에 통과시켰다.
상기 제조된 중심부 부직포 양면에 외곽부 부직포의 평면(하단 롤과 접촉한 면)이 접하도록 적층한 후, 200 ℃로 예열된 챔버에서 2 분간 가열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자동차의 언더커버 형태로 성형하였다(실시예 1).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표 1과 같이 중공비와 각 필라멘트의 혼합비를 조정하여 실시예 2~6 및 비교예 1~6의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부직포의 제조조건
구분 중심부 부직포
제1필라멘트
중공 비율(%)
중심부 부직포
제2필라멘트
함량(wt%)
외곽부 부직포
제2필라멘트
함량(wt%)
실시예 1 30 30 30
실시예 2 50 30 30
실시예 3 70 30 30
실시예 4 50 15 30
실시예 5 50 45 30
실시예 6 50 30 45
비교예 1 20 30 30
비교예 2 80 30 30
비교예 3 50 5 30
비교예 4 50 60 30
비교예 5 50 30 55
비교예 6 50 30 10
<시험예> 물성 측정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부직포 물성을 하기의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특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방법)
* 중심부 부직포 제1필라멘트 중공 형성
- 연신된 필라멘트의 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하여 중공 여부를 확인
- 평가기준 : ○(중공 형성 양호), ×(중공 형성 불량)
* 굴곡강도
- MS341-23 : ISO178(Plastics - Determination of Flexural Properties) A법(시험편 크기 50×150 ㎜, 시험속도 5 ㎜/min, SPAN 길이 100 ㎜)
* 흡음율
- MS341-23 : ISO354(Acoustics - Measurement of sound absorption in a reverberation room)에 따라 ALPHA CABIN 장비를 이용하여 평가. 시험은 테두리 프레임 없이 840×840 ㎜ 평판 시험편으로 실시
* 박리강도
- 언더커버 성형품을 내열 사이클(cycle)(140±2 ℃×3 시간 → 상온×1 시간 → -40±2 ℃×3 시간 → 상온×1 시간 → 40±2 ℃, 95 % RH×15 시간 → 상온×1 시간) 처리 후 ASTM D 1876(신장속도 254 ㎜/min)으로 측정
부직포의 물성 평가결과
구분 중심부 부직포
제1필라멘트
중공 형성
굴곡강도
MD/CD
(N)
흡음율
(at 5000 ㎐)
박리강도
(kgf/25 ㎜)
MS341-23 Spec. - 17 / 19 이상 0.48 이하 -
실시예 1 25 / 27 0.36 2.8
실시예 2 22 / 23 0.30 2.7
실시예 3 23 / 22 0.28 2.7
실시예 4 18 / 20 0.37 2.2
실시예 5 26 / 28 0.35 2.4
실시예 6 21 / 22 0.34 3.1
비교예 1 × 중심부 부직포 제조 불가
비교예 2 × 중심부 부직포 제조 불가
비교예 3 12 / 11 0.36 1.8
비교예 4 11 / 10 0.34 2.4
비교예 5 외곽부 부직포 제조 불가
비교예 6 중심부 부직포와 외곽부 부직포 접착 불가
상기 표 2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부직포는 비교예에 비하여 자동차 언더커버용 플레이트에서 요구하는 기계적 특성과 흡음 특성이 모두 충족됨을 알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부직포를 구성하는 제1필라멘트의 중공 비율이 30 % 미만이면(비교예 1) 필라멘트 내 중공이 형성이 잘 되지 않고 형성된 중공이 변형되며, 70 %를 초과하면(비교예 2) 중공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절사가 발생하여 중심부 부직포의 웹 형성이 불가하였다.
또한, 중심부 부직포에서 제2필라멘트 함량이 10 wt% 미만이면(비교예 3) 제1필라멘트들을 결속하는 결착력이 약하여 기계적 강도(굴곡강도, 박리강도)가 부족하고, 50 wt%를 초과하면(비교예 4) 부직포의 형태를 유지하는 제1필라멘트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굴곡강도가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외곽부 부직포에서 제2'필라멘트 함량이 50 wt%를 초과하면(비교예 5) 상대적으로 제1'필라멘트의 비율이 감소하여 부직포가 제대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였고, 20 wt% 미만이면(비교예 6) 외곽부 부직포가 중심부 부직포와 잘 접착되지 않아서 자동차의 언더커버용 완제품 형태로 제조되지 않았다.

Claims (9)

  1. 융점이 255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중공사 제1필라멘트 50~90 wt%에 융점이 160 ℃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일반사 제2필라멘트 10~50 wt%가 용융 혼합된 중심부 부직포;의 양면에, 융점이 255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일반사 제1'필라멘트 50~80 wt%에 융점이 160 ℃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일반사 제2'필라멘트 20~50 wt%가 용융 혼합된 외곽부 부직포;가 접착되어 있는,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필라멘트의 중공비는 30~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필라멘트, 제2필라멘트, 제1'필라멘트 및 제2'필라멘트는 3~9 데니어의 섬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 부직포와 외곽부 부직포가 접착되는 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외곽부 부직포에서 중심부 부직포와 접착되지 않는 면은 엠보싱 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 부직포의 평량은 1000~1500 g/㎡이고 외곽부 부직포의 평량은 10~5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6. 융점이 255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여 중공사 제1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
    융점이 160 ℃ 이하인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여 일반사 제2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필라멘트와 제2필라멘트를 웹 적층하고 가열하여 제1필라멘트:제2필라멘트=50~90:10~50 wt%인 중심부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
    융점이 255 ℃ 이상인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여 일반사 제1'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
    융점이 160 ℃ 이하인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여 일반사 제2'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필라멘트와 제2'필라멘트를 웹 적층하고 가열하여 제1'필라멘트:제2'필라멘트=50~80:20~50 wt%인 외곽부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부 부직포 양면에 외곽부 부직포를 적층하고 가열하여 열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필라멘트, 제2필라멘트, 제1'필라멘트 및 제2'필라멘트는 방사속도 4500~5000 m/min이 되도록 연신되어 3~9 데니어의 섬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접착은 엠보싱이 형성된 일측 롤과 평면으로 형성된 타측 롤로 구성되고 140~160 ℃로 가열된 캘린더 롤에 제1'필라멘트와 제2'필라멘트가 적층된 웹을 통과시켜 외곽부 부직포의 양면에 각각 엠보싱 형상과 평면 형상을 형성한 후 중심부 부직포 양면에 상기 외곽부 부직포의 평면이 접하도록 적층하고 180~220 ℃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의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 부직포의 평량은 1000~1500 g/㎡이고 외곽부 부직포의 평량은 10~5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0170086239A 2017-07-07 2017-07-07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8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239A KR102228540B1 (ko) 2017-07-07 2017-07-07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EP18827523.4A EP3611296B1 (en) 2017-07-07 2018-06-21 Non-woven fabric improved in weight reduction and sound absorp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18/007014 WO2019009539A2 (ko) 2017-07-07 2018-06-21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239A KR102228540B1 (ko) 2017-07-07 2017-07-07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499A true KR20190005499A (ko) 2019-01-16
KR102228540B1 KR102228540B1 (ko) 2021-03-15

Family

ID=6495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239A KR102228540B1 (ko) 2017-07-07 2017-07-07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611296B1 (ko)
KR (1) KR102228540B1 (ko)
WO (1) WO201900953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854B1 (ko) * 2019-11-08 2022-08-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타일카페트
KR102306736B1 (ko) * 2020-03-31 2021-09-2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타일카페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155A (ja) * 2002-05-20 2003-11-28 Kuraray Co Ltd 防護衣料用複合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24703B1 (ko) * 2006-11-29 2008-04-24 (주)에이피엠티 난연성 경량의 적층흡음시트
KR20170002725A (ko) 2015-06-29 2017-01-09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언더바디 커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100B1 (ko) * 2001-06-27 2004-01-2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흡차음재
KR100902180B1 (ko) * 2008-03-11 2009-06-10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및 제조방법
KR101127229B1 (ko) * 2008-03-27 2012-03-29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흡음성능이 향상된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KR20110056183A (ko) 2009-11-20 2011-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강재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036670B1 (ko) * 2013-05-21 2019-10-2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1533293B1 (ko) * 2014-06-16 2015-07-02 주식회사 금호 엔.티 Multi-function을 가지는 흡음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한 부직포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155A (ja) * 2002-05-20 2003-11-28 Kuraray Co Ltd 防護衣料用複合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24703B1 (ko) * 2006-11-29 2008-04-24 (주)에이피엠티 난연성 경량의 적층흡음시트
KR20170002725A (ko) 2015-06-29 2017-01-09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언더바디 커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9539A2 (ko) 2019-01-10
KR102228540B1 (ko) 2021-03-15
EP3611296B1 (en) 2021-11-10
EP3611296A4 (en) 2020-09-23
WO2019009539A3 (ko) 2019-04-18
EP3611296A2 (en)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7743A (zh) 外部装饰部件
US20210362461A1 (en) Three-dimensional thermoplastic sandwich panel composite
KR20210011339A (ko) 부직포 라미네이트
US20070160799A1 (en) Moldable composite article
EP3730285A1 (en) Multilayer sound absorbing material
JP5886063B2 (ja) 吸音材の製造方法
KR20190005499A (ko)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71351A (ko) 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기재
EP3604653B1 (en) Non-woven fabric with enhanced hardness and sound absorpt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automotive undercover comprising non-woven fabric with enhanced hardness and sound absorption
JP6646267B1 (ja) 積層吸音材
KR102415147B1 (ko) 압축성형체용 숏컷 섬유, 이를 이용한 압축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3663083A1 (en) Laminated acoustic absorption member
KR101009750B1 (ko)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6121B1 (ko) 차량 내장용 탄성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3827B1 (ko) 이형단면 중공섬유층 및 수지 발포층을 포함하는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흡차음재
KR102431854B1 (ko)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타일카페트
KR102617463B1 (ko) 심초형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JP5726703B2 (ja) 天井材
JP2017100422A (ja) 曲げ剛性および吸音性に優れた積層成型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68221A (ko)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09399A (ko) 내장제용 부직포
WO2020026923A1 (ja) 積層吸音材
EP4155071A1 (en) Composite sound-absorbing material
KR20200036229A (ko) 상온 신율이 향상된 부직포
ITMI950586A1 (it) Pannello interno per autoveicoli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