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403A -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403A
KR20190005403A KR1020170085993A KR20170085993A KR20190005403A KR 20190005403 A KR20190005403 A KR 20190005403A KR 1020170085993 A KR1020170085993 A KR 1020170085993A KR 20170085993 A KR20170085993 A KR 20170085993A KR 20190005403 A KR20190005403 A KR 20190005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ttery
battery module
b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342B1 (ko
Inventor
홍순창
김효찬
유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85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342B1/ko
Priority to PCT/KR2018/007594 priority patent/WO2019009625A1/ko
Priority to CN201880004012.8A priority patent/CN109844996B/zh
Priority to US16/332,836 priority patent/US11046206B2/en
Priority to EP18828081.2A priority patent/EP3512008B1/en
Priority to JP2019517888A priority patent/JP6780100B2/ja
Publication of KR20190005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3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5Preventing over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60L11/187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H01M2/1077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92Battery protection from overload or over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제1 배터리 셀 및 제2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셀 적층체; 상기 셀 적층체와 연결되어 제1 극성을 갖는 제1 버스바; 상기 셀 적층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을 갖는 제2 버스바; 상기 제1 배터리 셀 및 제2 배터리 셀의 체적 증가로 인한 팽창력을 인가 받아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단락을 발생시키는 단락부; 및 상기 제1 버스바, 제2 버스바 및 단락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또는 지지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모듈의 과충전을 방지하여 안정도가 향상된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 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탄소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 부품은 차량 모터로 구동력을 부여하는 배터리 팩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을 통해 차량의 구동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엔진만을 이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연비가 뛰어나고 공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들이 점차 크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팩에는 다수의 이차 전지가 포함되며, 이러한 다수의 이차 전지들은 서로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됨으로써 용량 및 출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과충전, 과방전, 고온 노출, 전기적 단락 등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전지의 구성요소들인 활물질, 전해질 등의 분해반응이 유발되어 열과 가스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이차 전지가 팽창하는, 이른바 스웰링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스웰링 현상은 이러한 분해반응을 가속화시켜 열폭주 현상에 의한 이차 전지의 폭발 및 발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차 전지에는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시 전류를 차단하는 보호회로, 온도 상승 시 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PTC 소자(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Element), 가스 발생에 따른 압력 상승 시 전류를 차단하거나 가스를 배기하는 안전벤트 등의 안전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종래에는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전지팩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차 전지들의 부피가 팽창하면 물리적 변화에 의해 단전되는 전기적 연결부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다.
다만, 이러한 전기적 연결부재를 사용하더라도 이차 전지들이 일정 부피 이상으로 팽창 시 단전을 확실하게 담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 있다.
또한, 이차 전지는 비정상적인 작동상태가 아닌 정상적인 작동 상태일 때에도 일정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바, 정상적인 범위 내에서 팽창 시에도 단전될 수 있어 작동 신뢰성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과충전 상황 발생 시에 배터리 셀들의 체적 증가로 인한 팽창력을 인가받아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락(Short)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버스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파단부가 파단되어 충전을 중단시키는 방식으로 배터리 모듈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제1 배터리 셀 및 제2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셀 적층체; 상기 셀 적층체와 연결되어 제1 극성을 갖는 제1 버스바; 상기 셀 적층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을 갖는 제2 버스바; 상기 제1 배터리 셀 및 제2 배터리 셀의 체적 증가로 인한 팽창력을 인가 받아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단락을 발생시키는 단락부; 및 상기 제1 버스바, 제2 버스바 및 단락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또는 지지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상기 단락부는,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내측에 지지되며 상기 버스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축되어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에 따라 상기 버스바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락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락 단자는,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일 측 단부에 구비되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의 타 측 단부에는 상기 카트리지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로써 상기 슬라이드 바가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스웰링에 따른 팽창력을 인가 받아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이로써 상기 슬라이드 바가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내측에 상기 단락부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단락부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 상태에 따른 상기 단락부의 사이즈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단락이 발생되는 경우 파단되어 단락 전류를 차단하는 파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이러한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충전 상황 발생 시에 배터리 셀들의 체적 증가로 인한 팽창력을 인가받아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락(Short)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버스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파단부가 파단되어 충전을 중단시키는 방식으로 배터리 모듈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배터리 모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셀 적층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트리지 및 단락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로서, 스웰링 발생 이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로서, 스웰링 발생 이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적용되는 버스바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단락이 발생되기 이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단락이 발생된 이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발생된 단락으로 인해 버스바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셀 적층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트리지 및 단락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셀 적층체(100),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200), 카트리지(300), 단락부(400) 및 버스바(50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셀 적층체(100)는 적어도 2 이상의 배터리 셀(11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배터리 셀(110)들이 넓은 면끼리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배터리 셀(110)은 파우치 타입 셀로서, 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이 적어도 1회 이상 적층되어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파우치 필름으로 이루어진 파우치 케이스 내에 수용시키고 상/하 파우치 케이스의 맞닿는 테두리 영역을 열 융착 하여 밀봉시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는 양극판과 음극판 각각의 끝단 무지부에는 한 쌍의 전극 리드(111,112)가 연결되어 파우치 케이스의 실링 영역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111,112)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게 되며, 이러한 한 쌍의 전극 리드(111,11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셀 적층체(100)를 구성하는 배터리 셀(110)들은 서로 이웃하는 전극 리드가 상호 반대되는 극성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배터리 셀(110)들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셀 적층체(100)를 구성하는 배터리 셀(110)들이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 셀 적층체(100)의 최 외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배터리 셀(110) 각각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 리드(111,112)를 구비한다.
즉, 상기 셀 적층체(100)의 일 측 최외각에 배치된 배터리 셀(110)에 구비되어 카트리지(300)를 향해 연장된 전극 리드(111)와 타 측 최 외각에 배치된 배터리 셀(110)에 구비되어 카트리지(300)를 향해 연장된 전극 리드(112)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최 외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배터리 셀(110)의 사이에 배치되는 배터리 셀(110)들이 더 존재하는 경우, 배터리 셀(110)들의 연결 관계가 직렬이 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이웃하는 배터리 셀(110) 각각에 구비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 리드(111,112)끼리 접촉되어 하나의 리드 집합체(113)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전극 리드(111,112)와 리드 집합체(1113)는 수술할 카트리지(300)에 형성된 수용 홈들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 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200)는 셀 적층체(100)의 양 측에 배치되어 최 외각에 배치된 배터리 셀(110)의 넓은 면을 커버한다. 이러한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200) 각각은 둘레 영역에 복수개 형성된 체결 홀(H)을 통해 상호간에 체결되어 셀 적층체(100)를 고정 및 압박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체겨 홀(H)을 통한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200)의 체결은 볼트 조립구조나 볼트/너트 조립구조 등 공지의 체결 구조들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200)의 적용에 의해 셀 적층체(100)는 배터리 셀(110)들의 스웰링이 발생하더라도 적층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는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배터리 셀(110)에 대한 스웰링이 발생하더라도 배터리 셀(110)의 적층 방향을 따라서는 배터리 셀(110)의 부피 팽창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주로 상기 적층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배터리 셀(110)이 팽창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300)는 셀 적층체(100)의 일 측에 위치하되, 셀 적층체(100)에 구비된 전극 리드(111,112) 및 리드 집합체(113)가 연장된 방향에 위치하며, 그 일 측이 하나의 엔드 플레이트(200)에 고정되고 또한 그 타 측은 또 다른 엔드 플레이트(2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300)와 엔드 플레이트(200) 간의 고정은 볼트(B)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300)는 후술할 단락부(400)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수용 공간(310)을 구비하고, 단락부(400)의 걸림부(440)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3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300)는 버스바(510,520), 리드 집합체(113) 및 전극 리드(111,112)가 각각 삽입/고정되는 제1 수용 홈(330), 제2 수용 홈(340) 및 제3 수용 홈(350)을 구비한다.
다음은, 도 3과 함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락부(4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로서, 스웰링 발생 이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단락부(400)는 스웰링의 발생에 따른 배터리 셀(110)들의 팽창력을 이용하여 제1 버스바(510)와 제2 버스바(520)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단락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이러한 단락부(400)는 슬라이드 바(410), 탄성 부재(420), 단락 단자(430) 및 한 쌍이 걸림부(44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410)는, 카트리지(300)의 수용 공간(310) 내에 배치되어 스웰링에 따른 팽창력이 단락부(400)에 인가되었을 때 배터리 셀(110)로부터 버스바(510,520)를 향하여 이동한다.
상기 슬라이드 바(410)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420)가 압축되었다가 복원될 때의 힘에 의해 버스바(510,52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410)가 이동 되었을 때 한 쌍의 버스바(510,520)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드 단락부(400)는 슬라이드 바(410)의 일 측 단부에 형성되는 전도성 재질의 단락 단자(4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단락부(400)는, 탄성 부재(420)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드 바(410)의 일 측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440)를 구비하며, 이러한 고정부(440)는 예를 들어 갈고리 형상을 가지며 카트리지(300)의 지지부(320)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단락부(400)는, 스웰링이 발생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걸림부(440)가 지지부(320)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로써 탄성 부재(420)는 압축된 상태로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락부(400)는, 배터리 셀(110)들에 스웰링이 발생하여 배터리 셀(110)의 팽창력이 걸림부(440)에 인가되면, 걸림부(440)와 지지부(320) 간의 걸림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 부재(42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바(410)가 버스바(510,520)를 향해 이동되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버스바(510,5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키켜 단락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5와 함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버스바(500)의 구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적용되는 버스바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버스바(510,520)는 카트리지(300)에 형성된 제1 수용 홈(330) 내에 수용/고정되며 그 일측 단부는 카트리지(300)의 제3 수용 홈(350) 내에서 셀 적층체(100)의 최 외측에 배치된 배터리 셀(110)의 전극 리드(111,112)와 접촉하게 된다.
즉, 한 쌍의 버스바(510,520)는 셀 적층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각각 제1 극성 및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을 갖게 되며, 배터리 모듈의 외부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버스바(510,520)는 각각 충전 장치나 전기 에너지로 구동되는 전자기기와 같은 외부 기기의 양극 및 음극과 각각 연결되어 충전 전류를 공급 받거나 충전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원발명의 한 쌍의 버스바(510,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단락에 의한 과전류 발생 시에 신속히 파단되어 전류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파단부(511,5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단부(511,5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의 형성에 의해 주변 영역과 비교하여 단면적이 더 작아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파단부(511,512)로는 이러한 노치 형태 이 외에도, 주변 영역과 비교하여 융점이 더 낮은 금속이 적용된 형태 등 퓨즈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다음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과충전 등에 의한 스웰링 현상이 발생되기 이 전과 이 후의 회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단락이 발생되기 이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단락이 발생된 이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발생된 단락으로 인해 버스바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과충전 등에 의한 스웰링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배터리 셀(110)의 체적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회로 상에 단락이 발생되지 않는다.
하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과충전 등에 의한 스웰링이 발생되는 경우, 단락부(400)는 배터리 셀(110)의 팽창력을 인가받아 제1 버스바(510)와 제2 버스바(520)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회로 상에 단락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회로 상에는 비정상적인 고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 후, 고전류에 따른 열 발생으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에 형성된 파단부(511, 521)가 파단됨으로써 외부 전압원에서 배터리 모듈로 공급되는 전류 또는 배터리 모듈로부터 외부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어 배터리 모듈의 발화/폭발 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술한 배터리 모듈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 배터리 모듈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배터리 모듈 마다 제1 버스바, 제2 버스바, 단락부 및 카트리지를 구비하여 배터리 셀의 비정상적인 팽창 시 제1 버스바를 파단시켜 외부 전압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과충전 방지를 배터리 모듈마다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셀 적층체
110: 배터리 셀
111, 112: 전극 리드
113: 리드 집합체
200: 엔드 플레이트
H: 체결 홀
300: 카트리지
310: 수용 공간
320: 지지부
330: 제1 수용 홈
340: 제2 수용 홈
350: 제3 수용 홈
400: 단락부
410: 슬라이드 바
420: 탄성 부재
430: 단락 단자
440: 걸림부
500: 버스바
510: 제1 버스바
520: 제2 버스바
511, 521: 파단부

Claims (10)

  1. 제1 배터리 셀 및 제2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셀 적층체;
    상기 셀 적층체와 연결되어 제1 극성을 갖는 제1 버스바;
    상기 셀 적층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을 갖는 제2 버스바;
    상기 제1 배터리 셀 및 제2 배터리 셀의 체적 증가로 인한 팽창력을 인가 받아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단락을 발생시키는 단락부; 및
    상기 제1 버스바, 제2 버스바 및 단락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또는 지지하는 카트리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부는,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내측에 지지되며 상기 버스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축되어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에 따라 상기 버스바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락 단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단자는,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일 측 단부에 구비되며, 도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의 타 측 단부에는 상기 카트리지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로써 상기 슬라이드 바가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스웰링에 따른 팽창력을 인가 받아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이로써 상기 슬라이드 바가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를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내측에 상기 단락부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단락부를 내측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 상태에 따른 상기 단락부의 사이즈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단락이 발생되는 경우 파단되어 단락 전류를 차단하는 파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70085993A 2017-07-06 2017-07-06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201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993A KR102201342B1 (ko) 2017-07-06 2017-07-06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PCT/KR2018/007594 WO2019009625A1 (ko) 2017-07-06 2018-07-04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201880004012.8A CN109844996B (zh) 2017-07-06 2018-07-04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US16/332,836 US11046206B2 (en) 2017-07-06 2018-07-04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unit,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EP18828081.2A EP3512008B1 (en) 2017-07-06 2018-07-04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2019517888A JP6780100B2 (ja) 2017-07-06 2018-07-04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993A KR102201342B1 (ko) 2017-07-06 2017-07-06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403A true KR20190005403A (ko) 2019-01-16
KR102201342B1 KR102201342B1 (ko) 2021-01-08

Family

ID=6495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993A KR102201342B1 (ko) 2017-07-06 2017-07-06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46206B2 (ko)
EP (1) EP3512008B1 (ko)
JP (1) JP6780100B2 (ko)
KR (1) KR102201342B1 (ko)
CN (1) CN109844996B (ko)
WO (1) WO201900962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9574A (zh) * 2019-05-21 2019-10-01 重庆交通大学 电池过充保护装置
KR20200091690A (ko) * 2019-01-23 2020-07-31 주식회사 와이제이테크놀로지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열폭주 방지장치
WO2021002619A3 (ko) * 2019-07-01 2021-04-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14374060A (zh) * 2022-03-22 2022-04-19 深圳市青之鸟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植保无人机的电池组
WO2024085611A1 (ko) * 2022-10-18 2024-04-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통전 차단부를 구비한 배터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656B1 (ko) * 2017-06-27 2020-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464824B1 (ko) * 2019-06-25 2022-11-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10064844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10103297A (ko) * 2020-02-13 2021-08-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111477828A (zh) * 2020-04-30 2020-07-31 昆山宝创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模块及具有其的电池模组和汽车
CN111477800A (zh) * 2020-04-30 2020-07-31 昆山宝创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模块、电池包和车辆
PL4044353T3 (pl) * 2021-02-11 2023-10-02 Samsung Sdi Co., Ltd. Zestaw montażowy do montażu ramy nośnej stosu bloków ogniw baterii
CN113097665A (zh) * 2021-03-30 2021-07-09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及用电装置
CN114614202A (zh) * 2022-03-29 2022-06-10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电池包及用电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728A (ko) * 2012-01-26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20140053656A (ko) * 2012-10-26 2014-05-0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이차전지의 셀 탭 커팅장치 및 이를 갖는 전지팩
KR20150053597A (ko) * 2013-11-08 2015-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70052989A (ko) * 2015-11-05 2017-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4097A (ja) 1997-02-24 1998-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薄型電池
US5800937A (en) * 1997-05-02 1998-09-01 Motorola, Inc. Current interrupt device for secondary batteries
WO2005114811A2 (en) * 2004-05-17 2005-12-01 Railpower Technologies Corp. Design of a large battery pack for a hybrid locomotive
KR100579377B1 (ko) * 2004-10-28 2006-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06069970A1 (de) * 2004-12-23 2006-07-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icheren betrieb eines schaltgerätes
KR101046192B1 (ko) 2007-10-30 2011-07-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2차 전지용 과충전 안전장치
US7943252B2 (en) * 2007-11-21 2011-05-17 Lg Chem, Ltd. Battery module of improved safety an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CN101874318B (zh) * 2007-11-23 2012-12-26 株式会社Lg化学 具有优异生产率和结构稳定性的二次电池组
KR101128423B1 (ko) * 2008-04-28 2012-03-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충방전 시스템
KR101041153B1 (ko) * 2009-03-04 2011-06-1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모듈
US8323813B2 (en) * 2009-05-14 2012-12-04 Sb Limotive Co., Lt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an extensible member
JP5355281B2 (ja) 2009-07-30 2013-11-27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KR101072955B1 (ko) * 2009-08-14 2011-10-1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US8877361B2 (en) * 2009-09-01 2014-11-0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281744B1 (ko) 2010-11-18 2013-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의 향상을 위한 부재를 전지셀들 사이에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KR101546545B1 (ko) 2010-12-09 2015-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CN102738434B (zh) * 2011-03-31 2014-03-05 松下蓄电池(沈阳)有限公司 铅蓄电池
KR101359310B1 (ko) 2011-07-25 2014-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1294168B1 (ko) 2011-09-26 2013-08-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KR101433199B1 (ko) 2011-11-28 2014-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에 적용되는 버스 바
EP2827407B1 (en) * 2012-03-15 2017-06-07 Kabushiki Kaisha Toshiba Lithium-ion rechargeable battery
WO2013137451A1 (ja) 2012-03-15 2013-09-19 株式会社 東芝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1389227B1 (ko) 2012-12-27 2014-04-29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과충전 방지 수단을 가지는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
KR102018693B1 (ko) * 2013-02-06 2019-09-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KR101449306B1 (ko) * 2013-06-28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보호장치
KR101500101B1 (ko) 2013-07-10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US9831482B2 (en) 2013-09-06 2017-11-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lid system and method
KR102046125B1 (ko) * 2013-11-13 2019-11-1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
EP3061130B1 (en) * 2013-12-17 2020-11-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protective electronic module for an hvdc convertor
KR20160026469A (ko) 2014-09-01 2016-03-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저전압 센싱모듈 일체형 버스바를 구비한 배터리모듈
KR20160030688A (ko) 2014-09-11 2016-03-21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CN205790140U (zh) * 2016-07-11 2016-12-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模组的侧板及动力电池模组
KR102201344B1 (ko) * 2017-05-26 2021-0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163656B1 (ko) * 2017-06-27 2020-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728A (ko) * 2012-01-26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20140053656A (ko) * 2012-10-26 2014-05-0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이차전지의 셀 탭 커팅장치 및 이를 갖는 전지팩
KR20150053597A (ko) * 2013-11-08 2015-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70052989A (ko) * 2015-11-05 2017-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690A (ko) * 2019-01-23 2020-07-31 주식회사 와이제이테크놀로지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열폭주 방지장치
CN110299574A (zh) * 2019-05-21 2019-10-01 重庆交通大学 电池过充保护装置
WO2021002619A3 (ko) * 2019-07-01 2021-04-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14374060A (zh) * 2022-03-22 2022-04-19 深圳市青之鸟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植保无人机的电池组
CN114374060B (zh) * 2022-03-22 2022-06-14 深圳市青之鸟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植保无人机的电池组
WO2024085611A1 (ko) * 2022-10-18 2024-04-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통전 차단부를 구비한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342B1 (ko) 2021-01-08
JP6780100B2 (ja) 2020-11-04
CN109844996A (zh) 2019-06-04
WO2019009625A1 (ko) 2019-01-10
US20190366875A1 (en) 2019-12-05
EP3512008B1 (en) 2023-01-11
EP3512008A1 (en) 2019-07-17
JP2019530186A (ja) 2019-10-17
US11046206B2 (en) 2021-06-29
EP3512008A4 (en) 2019-10-02
CN109844996B (zh)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2008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2163656B1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JP5192049B2 (ja) 安全性を改良し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中また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
JP5575761B2 (ja) 安全性を改良した中型又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
KR100881641B1 (ko)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중대형 전지팩
JP7034405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EP3540823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KR102249457B1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250180B1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267056B1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308168B1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