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779A -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779A
KR20190003779A KR1020187036152A KR20187036152A KR20190003779A KR 20190003779 A KR20190003779 A KR 20190003779A KR 1020187036152 A KR1020187036152 A KR 1020187036152A KR 20187036152 A KR20187036152 A KR 20187036152A KR 20190003779 A KR20190003779 A KR 20190003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ategory
ranking
index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철
신형배
Original Assignee
스노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노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노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7024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7830A/ko
Publication of KR20190003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8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e.g. browsing and visualisation, 2d or 3d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79Updates performed during online database operations; commit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G06F17/30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조작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조작 시간 및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 횟수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조작 시간 및 상기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 기초하여, 상기 조작에 상응하는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조작 컨텐츠의 조작 지수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 지수를 기초로 상기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은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에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시청 등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의 증대를 위한 기술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하드웨어 개량기술은 물론 소프트웨어 개량 기술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이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upter, PC)를 능가하는 성능을 갖게 되었고, 이에 따라 사진과 동영상뿐만 아니라 문서, 텍스트 등의 퍼스널 컴퓨터에서 인식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개체들이 단말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단말 내에 저장되는 컨텐츠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컨텐츠의 관리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를 조작한 시간 및 조작한 횟수를 고려하여 컨텐츠의 제공 순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순서에 따라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를 각 조작 카테고리에 따라 정렬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현재 조작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파악하고, 현재 조작의 카테고리에 따라 컨텐츠의 제공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되도록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조작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조작 시간 및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 횟수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조작 시간 및 상기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 기초하여, 상기 조작에 상응하는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조작 컨텐츠의 조작 지수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 지수를 기초로 상기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조작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조작 시간 및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 횟수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조작 시간 및 상기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 기초하여 상기 조작 컨텐츠의 상기 조작에 상응하는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 지수를 기초로 상기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조작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조작 시간 및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 횟수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조작 시간 및 상기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 기초하여 상기 조작 컨텐츠의 상기 조작에 상응하는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를 갱신하고, 상기 조작 지수를 기초로 상기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조작한 시간 및 조작한 횟수를 고려하여 컨텐츠의 제공 순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순서에 따라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부수적인 조작 없이 빠르게 원하는 컨텐츠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를 각 조작 카테고리에 따라 정렬하여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에 보다 부합되도록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현재 조작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파악하고, 현재 조작의 카테고리에 따라 컨텐츠의 제공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되도록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서버에 구비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서버 및 사용자 단말간의 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컨텐츠가 제공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적용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컨텐츠가 조작 카테고리 별로 제공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적용된 화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내지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제공 방법이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구비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를 설명한다.
< 제1 실시예 >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upter, PC)일 수도 있고 휴대용 단말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휴대용 단말로써, 디스플레이부(110)를 구비한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부(110), 제1 제어부(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제어부(120)가 생성한 전기 신호에 따라 도형,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10)는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의 터치(Touch) 좌표를 판독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타이저(Digitizer)를 더 구비하여,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패널(Touch Pannel)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일 수 있다. 이 때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 좌표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을 더 판독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물론 입력 수단은 디스플레이부(11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수단은 디스플레이부(110)와 별도로 구비되는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및 버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사용자의 터치 유뮤 및 터치 압력을 판독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임을 전제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컨텐츠는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및 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한 무형의 개체일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는 메모리(130)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파일 형태로 저장된 개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의 예시로 사진 등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30)는 사용자 단말(100)이 처리하는 데이터, 명령어(instructions), 프로그램, 프로그램 코드, 또는 이들의 결합 등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130)는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 및/또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는 조작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조작'은 사용자가 특정 목적의 작업을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10)상에 입력하는 입력의 집합 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감상'하는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조작은, 컨텐츠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감상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찾아서 해당 컨턴츠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10)에 상에 행해지는 터치, 멀티터치, 드레그(Drag)등의 입력의 집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상에 행해지는 사용자의 입력행위가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해 전기적으로 변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확대하여 보기 위해 해당 컨텐츠를 터치한 경우, 조작신호는 사용자의 조작인 '터치'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작 컨텐츠는, 사용자의 조작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B 사진을 공유하기 위해, 터치, 드래그 및 공유대상의 입력 등의 조작을 수행한 경우, 이러한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컨텐츠는 B 사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조작 컨텐츠는 작업의 종류를 불문하고, 사용자의 작업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는 조작 신호에 따라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조작 시간과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 횟수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즉 조작 시간은 제1 제어부(120)가 조작에 따른 연산을 시작하여 끝낼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B 사진을 공유하기 위해 터치, 드래그 및 공유대상의 입력 등의 조작을 수행한 경우, 소요 시간은 이에 따른 '연산'인 B 사진을 메모리(130)로부터 로드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고, 입력 받은 공유대상과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식별 정보로 B 사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련의 작업을 제1 제어부(120)가 시작하여 끝낼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조작 시간은 다른 기준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 횟수'는 해당 조작신호에 의해 수행된 작업의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은 사용자가 특정 목적의 작업을 하기 위해 입력하는 입력의 집합일 수 있으므로, 작업 횟수는 그러한 입력의 집합을 몇 회의 작업으로 볼 수 있는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B 사진을 공유하기 위해 터치, 드래그 및 공유대상의 입력 등의 조작을 수행한 경우, 이는 결국 사진 공유를 위한 한 개의 작업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제1 제어부(120)는 이에 대한 작업 횟수를 '1'로 산출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20)는 조작 시간 및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 기초하여, 조작에 상응하는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컨텐츠의 조작 지수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어떤 컨텐츠의 '조작 지수'는 해당 컨텐츠 조작 시간 및 조작 횟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사용 빈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세히, 본 발명에서 조작 지수는 해당 컨텐츠의 조작 시간이나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작업 횟수에 기초하여 생성 및/또는 갱신될 수 있으므로, 조작 지수가 높다는 것은 결국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의 조작에 사용한 시간이 많거나, 해당 컨텐츠에 대해 수행한 작업이 많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조작 지수는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순위 결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에서 '조작 카테고리는' 사용자의 조작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몇 개의 분류로 구분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의 조작 카테고리를 해당 조작의 목적이 되는 '작업'을 기준으로 분류 할 경우, '편집 카테고리', '감상 카테고리' 및 '공유 카테고리'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조작 카테고리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시간이나, 사용자의 조작의 목적이 되는 작업의 횟수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의 특정 조작 카테고리에 관한 관련도를 갱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B 사진을 공유하기 위해 터치, 드래그 및 공유대상의 입력 등의 조작을 수 차례 수행한 경우, '공유 카테고리'에 대한 B 사진의 조작 지수가 증가할 수 있고, 이는 B 사진과 공유 작업의 관련도가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조작 카테고리는 복수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조작 지수는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사진 B에 대하여 '편집 카테고리', '감상 카테고리' 및 '공유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되는 조작 지수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는 전술한 조작 시간 및 작업 횟수 외에, 조작 컨텐츠의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연관성을 더 고려하여 조작 지수를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연관성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제어부(120)는 상기 조작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Meta data)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값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로 연관성을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제1 제어부(120)는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사진의 촬영 감광도(ISO)가 1600 이상인 경우, 해당 사진은 '편집 카테고리'에 대한 연관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20)는 조작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조작 컨텐츠의 생성 장소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 장소가 특정 장소 가령 공원인 경우, '공유 카테고리'에 대한 연관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컨텐츠의 개별적인 특징까지 고려하여 조작 지수를 갱신할 수 있고, 이로써 각 컨텐츠의 개별적인 특징까지 고려한 순위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는 전술한 조작 지수를 기초로,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순위는, 해당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했을 때 컨텐츠들의 제공 우선순위로써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컨텐츠들이 해당 카테고리의 연관도에 따라 표시 및/또는 제공 되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순위가 높을수록 보다 높은 우선순위로 표시 및/또는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는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카테고리로 설정하고, 기준 카테고리에 대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의 순위를 참조하여, 순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의 표시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카테고리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앨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항목에서 '감상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정렬하는 것과 대응되는 정렬 기준을 선택한 경우, 제1 제어부(120)는 감상 카테고리를 기준 카테고리로 설정하고, 감상 카테고리에 따른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의 순위를 참조하여 표시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기준 카테고리는 사용자의 현재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메신저(Messenger)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다른 사용자와 사진을 공유하기 위해 '사진 추가하기'버튼을 누른 경우, 제1 제어부(120)는 '공유 카테고리'의 조작 지수가 높은 사진이 가장 첫 페이지 또는 가장 상단에 표시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앨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사진을 감상하기 위해 앨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경우, 제1 제어부(120)는 '감상 카테고리'의 조작 지수가 높은 사진이 가장 첫 페이지 또는 가장 상단에 표시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현재 조작의 카테고리를 파악하고,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카테고리와 가장 연관도가 높은 컨텐츠부터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제어부(120)는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조작의 카테고리를 파악하여 해당 카테고리와 가장 연관도가 높은 컨텐츠 뿐만 아니라, 현재 조작의 카테고리와 가장 연관도가 높은 컨텐츠와 유사도가 높은 컨텐츠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A 컨텐츠와 B 컨텐츠의 유사도가 높다는것은, A 컨텐츠와 B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 이내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제어부(120)는 메타 데이터의 지오태그 항목을 참조하여, 현재 조작의 카테고리와 연관도가 높은 컨텐츠와 촬영 지점의 거리가 50미터 이내인 컨텐츠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제어부(120)는 현재 조작의 카테고리와 연관도가 높은 컨텐츠와 촬영 시점의 간격이 10분 이내인 컨텐츠, 혹은 1년 전의 날에 촬영한 컨텐츠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항목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는 결정된 표시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는 조작 컨텐츠의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에 기초하여, 조작 컨텐츠의 전체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전체순위'는 전술한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순위'와 구분되는 개념으로, 어떤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 지수에 기초한 우선순위로써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컨텐츠에 대한 '편집 카테고리', '감상 카테고리' 및 '공유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제어부(120)는 각각의 조작 지수의 합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의 전체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전체순위의 결정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현재 조작의 카테고리가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사진을 감상하기 위해 앨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경우, 제1 제어부(120)는 '편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에 0.6, '감상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에 상대적으로 큰 0.8 그리고 '공유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에 상대적으로 작은 0.3을 각각 곱하고, 이를 합산한 값에 따라 컨텐츠들의 전체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제1 제어부(120)는 합산 값이 높은 컨텐츠의 우선순위를 높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합산의 값이 높다는 것의 의미는, 결국 사용자가 조작 컨텐츠에 대해 조작을 수행한 시간이 길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나아가 이는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또 다른 조작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복수의 컨텐츠를 단순히 컨텐츠의 생성 시간에 따라 표시 및/또는 제공 하거나, 컨텐츠의 파일명에 따라 표시 및/또는 제공하여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컨텐츠가 컨텐츠 목록의 중간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의 조작을 위해서 목록의 중간 까지 이동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개별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시간 및/또는 작업 횟수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및/또는 제공 우선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관심 컨텐츠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현재 조작의 조작 카테고리까지 고려하여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보다 부합하도록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어부(120)는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가중치 및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에 기초하여 조작 컨텐츠의 전체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는 전술한 전체순위가 기 설정된 삭제 순위보다 낮은 경우 삭제에 관한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전체순위가 기 설정된 보관 순위보다 높은 경우 보관에 관한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 동작은, 조작 컨텐츠의 삭제 권장 메시지의 표시 및 조작 컨텐츠의 삭제 수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일 수 있고, 제2 동작은, 조작 컨텐츠의 보관 권장 메시지의 표시 및 조작 컨텐츠의 전송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제어부(120)는 순위가 높은 컨텐츠에 다른 저장장치로의 전송의 필요성을 알리고, 실제로 컨텐츠의 전송을 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순위가 낮은 컨텐츠에 대한 삭제의 필요성을 알리고, 실제로 컨텐츠의 삭제를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컨텐츠 보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d는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는 조작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31)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조작'은 사용자가 특정 목적의 작업을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10)상에 입력하는 입력의 집합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신호'는 디스플레이부(110)상에 행해지는 사용자의 입력행위가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해 전기적으로 변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작 컨텐츠는, 사용자의 조작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는 조작 신호에 따라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조작 시간과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 횟수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S32)
본 발명에서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즉 조작 시간은 조작에 따른 연산을 시작하여 끝낼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조작 시간은 다른 기준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 횟수'는 해당 조작신호에 의해 수행된 작업의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은 사용자가 특정 목적의 작업을 하기 위해 입력하는 입력의 집합일 수 있으므로, 작업 횟수는 그러한 입력의 집합을 몇 회의 작업으로 볼 수 있는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20)는 조작 시간 및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 기초하여, 조작에 상응하는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컨텐츠의 조작 지수를 갱신할 수 있다.(S33)
본 발명에서 어떤 컨텐츠의 '조작 지수'는 해당 컨텐츠의 사용 빈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세히, 본 발명에서 조작 빈도는 해당 컨텐츠의 조작 시간이나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작업 횟수에 기초하여 생성 및/또는 갱신될 수 있으므로, 조작 지수가 높다는 것은 결국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의 조작에 사용한 시간이 많거나, 해당 컨텐츠에 대해 수행한 작업이 많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작 카테고리는' 사용자의 조작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몇 개의 분류로 구분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의 조작 카테고리를 해당 조작의 목적이 되는 '작업'을 기준으로 분류 할 경우, '편집 카테고리', '감상 카테고리' 및 '공유 카테고리'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조작 카테고리는 복수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조작 지수는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는 전술한 조작 시간 및 작업 횟수 외에, 조작 컨텐츠의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연관성을 더 고려하여 조작 지수를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연관성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컨텐츠의 개별적인 특징까지 고려하여 조작 지수를 갱신할 수 있고, 이로써 각 컨텐츠의 개별적인 특징까지 고려한 순위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는 전술한 조작 지수를 기초로,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S34)
보다 상세히,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는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카테고리로 설정하고, 기준 카테고리에 대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의 순위를 참조하여, 순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의 표시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카테고리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기준 카테고리는 사용자의 현재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는 조작 컨텐츠의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에 기초하여, 조작 컨텐츠의 전체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S35) 본 발명에서 '전체순위'는 전술한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순위'와 구분되는 개념으로, 어떤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수에 기초한 우선순위로써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가 조작 신호에 따라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조작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제어부(120)는 조작 신호의 조작 카테고리를 확인할 수 있다.(S321) 예컨대, 제1 제어부(120)는 조작 신호의 조작 카테고리를 '편집 카테고리'로 확인할 수도 있고, '감상 카테고리'로 확인할 수도 있다.
이후 제1 제어부(120)는 이전 조작 신호의 조작 카테고리와 현재 조작 신호의 조작 카테고리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2) 이 때 이전 조작 신호는 현재 조작 신호의 획득시 보다 이전에 획득된 조작 신호일 수 있다.
제1 제어부(120)는 현재 조작 신호의 조작 카테고리와 이전 조작 신호의 조작 카테고리가 동일한 경우, 조작 시간을 누적(S323)하고, 현재 조작 신호의 조작 카테고리와 이전 조작 신호의 조작 카테고리가 상이한 경우 조작 시간을 산출(S324)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부(120)는 이전 조작 신호와 연속되는 조작 신호로, 이전 조작 신호와 동일한 조작 카테고리에 속하는 조작 신호에 따라 누적된 조작 시간을 '조작 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조작 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20)가 조작 지수를 갱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가 조작 시간 및 작업 횟수 외에, 조작 컨텐츠의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연관성을 더 고려하여 조작 지수를 갱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 제어부(120)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S331). 이 때 항목은 각 속성값의 필드명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제1 제어부(120)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항목에 따른 속성값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값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32) 이 때 기 설정된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가령 기 설정된 조건은 각 컨텐츠의 생성 시간, 생성 위치, 사진의 경우 셔터 속도, 사진의 경우 감광도 등에 대한 조건일 수 있다.
제1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항목에 따른 속성값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값이 있는 경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조작 카테고리를 검출할 수 있다.(S333) 바꾸어 말하면 제1 제어부(120)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조건에 대응되는 조작 카테고리를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제1 제어부(120)는 검출된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컨텐츠의 조작 지수를 갱신할 수 있다.(S334) 이로써 제1 제어부(120)는 조작 컨텐츠의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연관성을 고려하여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20)가 조작 지수를 기초로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1 제어부(120)는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복수의 컨텐츠의 조작 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S341). 가령 제1 제어부(120)는 100개의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100개의 컨텐츠의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1 제어부(120)는 복수의 컨텐츠의 조작 지수와 조작 컨텐츠의 조작 지수 비교를 통해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S342) 이에 짜라 제1 제어부(120)는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 제2 실시예 >
이하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를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의 순위를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연결하는 통신망(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300)에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제공 웹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서버(200)가 수신된 조작 신호에 따라 컨텐츠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서버(200)는 결정된 순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퍼스널 컴퓨터(301)일 수도 있고, 또는 휴대용 단말(302)일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휴대용 단말(302)이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제1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100)과 같이 표시 수단과 입력 수단을 겸하는 디스플레이부,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망(400)은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에 컨텐츠를 제공 프로그램 및/또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조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에 관한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메모리, 입/출력부,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서버(200)가 처리하는 데이터, 명령어(instructions), 프로그램, 프로그램 코드, 또는 이들의 결합 등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도 4의 서버(200)에 구비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2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10)는 바람직하게는 서버(200)에 구비되지만, 반드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설계 변경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10)는 통신부(211), 제2 제어부(212) 및 데이터베이스(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1)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조작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일련의 조작 신호를 '획득'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 통신부(211)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획득하여 전송한 조작 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조작', '조작 신호' 및 '조작 컨텐츠'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12)는 통신부(211)가 수신한 조작 신호에 따라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조작 시간 및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 횟수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 횟수'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12)는 조작 시간 및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 기초하여 조작 컨텐츠의 조작에 상응하는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를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조작 지수' 및 '조작 카테고리'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어부(21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시간이나, 사용자의 조작의 목적이 되는 작업의 횟수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의 특정 조작 카테고리에 관한 관련도를 갱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B 사진을 공유하기 위해 터치, 드래그 및 공유대상의 입력 등의 조작을 수 차례 수행한 경우, '공유 카테고리'에 대한 B 사진의 조작 지수가 증가할 수 있고, 이는 B 사진과 공유 작업의 관련도가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조작 카테고리는 복수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조작 지수는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사진 B에 대하여 '편집 카테고리', '감상 카테고리' 및 '공유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되는 조작 지수가 설정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12) 또한 전술한 조작 시간 및 작업 횟수 외에, 조작 컨텐츠의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연관성을 더 고려하여 조작 지수를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연관성을 판단의 근거가 되는 컨텐츠 및/또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는 통신부(211)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부(212)가 연관성을 판단하는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컨텐츠의 개별적인 특징까지 고려하여 조작 지수를 갱신할 수 있고, 이로써 각 컨텐츠의 개별적인 특징까지 고려한 순위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12)는 전술한 조작 지수를 기초로,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순위는, 해당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했을 때 컨텐츠들의 제공 우선순위로써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컨텐츠들이 해당 카테고리의 연관도에 따라 표시 및/또는 제공 되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순위가 높을수록 보다 높은 우선순위로 표시 및/또는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12)는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카테고리로 설정하고, 기준 카테고리에 대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의 순위를 참조하여, 순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의 표시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카테고리는 통신부(211)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카테고리는 사용자의 현재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2)는 조작 컨텐츠의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에 기초하여, 조작 컨텐츠의 전체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전체순위'는 전술한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순위'와 구분되는 개념으로, 어떤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수에 기초한 우선순위로써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컨텐츠에 대한 '편집 카테고리', '감상 카테고리' 및 '공유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제어부(120)는 각각의 조작 지수의 합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의 전체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부(212)는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가중치 및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에 기초하여 조작 컨텐츠의 전체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사진을 감상하기 위해 앨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경우, 제2 제어부(212)는 '편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에 0.6, '감상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에 상대적으로 큰 0.8 그리고 '공유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에 상대적으로 작은 0.3을 각각 곱하고, 이를 합산한 값에 따라 컨텐츠들의 전체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제2 제어부(212)는 합산 값이 높은 컨텐츠의 우선순위를 높게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12)는 전술한 전체순위가 기 설정된 삭제 순위보다 낮은 경우 삭제에 관한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전체순위가 기 설정된 보관 순위보다 높은 경우 보관에 관한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 동작은, 조작 컨텐츠의 삭제 권장 메시지의 전송 및 조작 컨텐츠의 삭제 수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일 수 있고, 제2 동작은 조작 컨텐츠의 보관 권장 메시지의 전송 및 조작 컨텐츠의 수신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제어부(212)는 순위가 높은 컨텐츠에 다른 저장장치로의 전송의 필요성을 알리고, 실제로 컨텐츠의 전송을 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순위가 낮은 컨텐츠에 대한 삭제의 필요성을 알리고, 실제로 컨텐츠의 삭제를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컨텐츠 보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1)는 결정된 순위 및 전체순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순위 및 전체순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순위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 및/또는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간의 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한편 도 6의 서버(200)에는 도 5의 컨텐츠 제공 장치(210)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5를 참조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10)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이 도 6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조작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61)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일련의 조작 신호를 '획득'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획득하여 전송한 조작 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조작', '조작 신호' 및 '조작 컨텐츠'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통신부(211)가 수신한 조작 신호에 따라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조작 시간 및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 횟수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S62) 이 때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 횟수'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조작 시간 및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 기초하여 조작 컨텐츠의 조작에 상응하는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를 갱신할 수 있다.(S63) 이 때 '조작 지수' 및 '조작 카테고리'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서버(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시간이나, 사용자의 조작의 목적이 되는 작업의 횟수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의 특정 조작 카테고리에 관한 관련도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전술한 조작 지수를 기초로,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S64) 본 발명에서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순위는, 해당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했을 때 컨텐츠들의 제공 우선순위로써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컨텐츠들이 해당 카테고리의 연관도에 따라 표시 및/또는 제공 되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순위가 높을수록 보다 높은 우선순위로 표시 및/또는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카테고리로 설정하고, 기준 카테고리에 대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의 순위를 참조하여, 순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의 표시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카테고리는 통신부(211)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카테고리는 사용자의 현재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2)는 조작 컨텐츠의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에 기초하여, 조작 컨텐츠의 전체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S65) 본 발명에서 '전체순위'는 전술한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순위'와 구분되는 개념으로, 어떤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수에 기초한 우선순위로써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컨텐츠에 대한 '편집 카테고리', '감상 카테고리' 및 '공유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제어부(120)는 각각의 조작 지수의 합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의 전체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가중치 및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에 기초하여 조작 컨텐츠의 전체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사진을 감상하기 위해 앨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경우, 서버(200)는 '편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에 0.6, '감상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에 0.8 그리고 '공유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에 0.3을 각각 곱하고, 이를 합산한 값에 따라 컨텐츠들의 전체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서버(200)는 합산 값이 높은 컨텐츠의 우선순위를 높게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전술한 전체순위가 기 설정된 삭제 순위보다 낮은 경우 삭제에 관한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전체순위가 기 설정된 보관 순위보다 높은 경우 보관에 관한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 동작은, 조작 컨텐츠의 삭제 권장 메시지의 전송 및 조작 컨텐츠의 삭제 수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일 수 있고, 제2 동작은 조작 컨텐츠의 보관 권장 메시지의 전송 및 조작 컨텐츠의 수신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서버(200)는 순위가 높은 컨텐츠에 다른 저장장치로의 전송의 필요성을 알리고, 실제로 컨텐츠의 전송을 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순위가 낮은 컨텐츠에 대한 삭제의 필요성을 알리고, 실제로 컨텐츠의 삭제를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컨텐츠 보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1)는 결정된 순위 및 전체순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S66)
사용자 단말(300)은 순위 및 전체순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순위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 및/또는 제공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 30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 300)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컨텐츠가 제공된 화면(701)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면(701)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711 내지 716)이 표시되는 컨텐츠 표시 영역(710)과 제목이 표시되는 제목 표시 영역(7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컨텐츠의 생성 시간이 가장 늦을수록 앞에 위치하는 정렬기준에 따르면, 컨텐츠의 순서가 715 - 713 - 712 - 716 - 711 - 714와 같고, 감상 카테고리에 따른 순위가 높을수록 앞에 위치하는 정렬 기준에 따르면, 컨텐츠의 순서가 711 - 712 - 713 - 714 - 715 - 716과 같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도 7에 711의 표시 위치에 715가, 712의 표시 위치에 713이, 713의 표시 위치에 712가, 714의 표시 위치에 716이, 715의 표시 위치에 711이 마지막으로 716의 표시 위치에 714가 표시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과 같이 순위가 높은 컨텐츠 일수록 컨텐츠가 표시 영역(710)의 앞쪽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보다 빠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은 사용자가 사진을 감상하기 위해 앨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경우에 대한 일 예로, 감상 카테고리에 따른 순위에 따라 정렬된 예시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가 제공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적용된 화면(801)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화면(801)은 대화방의 제목이 표시되는 영역(810), 대화 내용이 표시되는 영역(820), 사용자의 컨텐츠 전송 버튼(840)에 대한 입력에 대응하여 전송할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831 내지 833)이 표시되는 영역(830), 스크롤바(834), 메시지 입력 창(850) 및 메시지 전송 버튼(8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를 관리하거나 감상하기 위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경우, 사용자가 복수의 컨텐츠를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는 영역(830)의 크기는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이 때 만약 컨텐츠들이 단순히 생성 시간 및/또는 식별번호 순으로 나열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면, 사용자는 스크롤바(834)등을 통해 선택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있는 부분까지 이동하는 등의 부수적인 조작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들이 표시되는 영역(830)의 가장 최초에 노출되는 페이지 및/또는 영역에 카테고리별 순위 및/또는 전체순위가 높은 컨텐츠(예컨대 831 내지 833)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원하는 컨텐츠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 300)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컨텐츠가 조작 카테고리 별로 제공된 화면(901) 을 도시한다.
도 9의 화면(901)은 각 카테고리별 컨텐츠들(911, 912)이 표시되는 컨텐츠 표시 영역(910)과 제목이 표시되는 제목 표시 영역(9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카테고리별 컨텐츠(911, 921)를 순위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각 카테고리별로 어떤 컨텐츠의 순위가 높은지 손쉽게 파악알 수 있다.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은 순위가 높은 컨텐츠를 빠르게 선택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의 파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적용된 화면(1001)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화면(1001)은 대화방의 제목이 표시되는 영역(1010), 대화 내용이 표시되는 영역(1020), 사용자의 컨텐츠 전송 버튼(1040)에 대한 입력에 대응하여 전송할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1031 내지 1033)이 표시되는 영역(1030), 스크롤바(1034), 메시지 입력 창(1050) 및 메시지 전송 버튼(10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면(1001)은 컨텐츠들이 표시되는 영역(1030)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의 정렬 기준을 선택하는 정렬기준 선택 버튼(10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들이 표시되는 영역(1030)에는 선택된 정렬 기준에 따라 순위가 높은 컨텐츠 순으로 복수의 컨텐츠들(1031 내지 1033)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정렬기준 선택 버튼(1070)을 통한 정렬 기준의 전환에 따라 또 다른 복수의 컨텐츠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4)

  1. 컴퓨터를 이용하여
    조작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조작 시간 및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조작 시간 및 상기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 기초하여, 상기 조작에 상응하는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조작 컨텐츠의 조작 지수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 지수를 기초로 상기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카테고리는 복수이고,
    상기 조작 지수는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카테고리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카테고리에 대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의 순위를 참조하여, 상기 순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의 표시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순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카테고리는
    상기 조작 컨텐츠에 대한 감상을 위한 조작, 편집을 위한 조작, 공유를 위한 조작, 즐겨찾기로 설정하기 위한 조작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조작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컨텐츠의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컨텐츠의 전체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가중치 및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순위를 결정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순위가 기 설정된 삭제 순위보다 낮은 경우, 삭제에 관한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전체순위가 기 설정된 보관 순위보다 높은 경우, 보관에 관한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조작 컨텐츠의 삭제 권장 메시지의 표시 및 상기 조작 컨텐츠의 삭제 수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조작 컨텐츠의 보관 권장 메시지의 표시 및 상기 조작 컨텐츠의 전송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지수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 시간 및 상기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외에
    상기 조작 컨텐츠의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연관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조작 지수를 갱신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성은 상기 조작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Meta data)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값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로 판단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조작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조작 시간 및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조작 시간 및 상기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 기초하여 상기 조작 컨텐츠의 상기 조작에 상응하는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 지수를 기초로 상기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카테고리는 복수이고,
    상기 조작 지수는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카테고리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카테고리에 대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의 순위를 참조하여, 상기 순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의 표시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순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컨텐츠의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컨텐츠의 전체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가중치 및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순위를 결정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지수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 시간 및 상기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외에
    상기 조작 컨텐츠의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연관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조작 지수를 갱신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성은 상기 조작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Meta data)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값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로 판단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7. 사용자 단말로부터 조작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조작 시간 및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 횟수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조작 시간 및 상기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 기초하여 상기 조작 컨텐츠의 상기 조작에 상응하는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조작 지수를 갱신하고,
    상기 조작 지수를 기초로 상기 조작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조작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카테고리는 복수이고,
    상기 조작 지수는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카테고리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 카테고리에 대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의 순위를 참조하여, 상기 순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의 표시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표시순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을 표시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컨텐츠의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컨텐츠의 전체순위를 결정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가중치 및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조작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순위를 결정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순위가 기 설정된 삭제 순위보다 낮은 경우, 삭제에 관한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전체순위가 기 설정된 보관 순위보다 높은 경우, 보관에 관한 제2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조작 컨텐츠의 삭제 권장 메시지의 전송 및 상기 조작 컨텐츠의 삭제 수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조작 컨텐츠의 보관 권장 메시지의 전송 및 상기 조작 컨텐츠의 수신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23.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시간 및 상기 작업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외에
    상기 조작 컨텐츠의 상기 복수의 조작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연관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조작 지수를 갱신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24.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결정된 순위 및 전체순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KR1020187036152A 2016-06-20 2016-06-20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KR20190003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24098A KR20210097830A (ko) 2016-06-20 2016-06-20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6507 WO2017222085A1 (ko) 2016-06-20 2016-06-20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098A Division KR20210097830A (ko) 2016-06-20 2016-06-20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779A true KR20190003779A (ko) 2019-01-09

Family

ID=607842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098A KR20210097830A (ko) 2016-06-20 2016-06-20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KR1020187036152A KR20190003779A (ko) 2016-06-20 2016-06-20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098A KR20210097830A (ko) 2016-06-20 2016-06-20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155812A1 (ko)
JP (1) JP6745404B2 (ko)
KR (2) KR20210097830A (ko)
CN (1) CN109691121B (ko)
WO (1) WO201722208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6975B1 (en) * 1997-07-25 2002-07-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medium
EP1236354A4 (en) * 1999-11-10 2009-04-22 Yahoo Inc INTERNET RADIO AND BROADCASTING METHOD
US6526411B1 (en) * 1999-11-15 2003-02-25 Sean Ward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dynamic playlists
JP2003143435A (ja) * 2001-11-07 2003-05-16 Canon Inc 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5167712A (ja) * 2003-12-03 2005-06-23 Canon Inc 番組表示方法、番組表示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698281B2 (ja) * 2005-05-09 2011-06-08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情報推奨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43486A (ja) * 2005-06-08 2006-12-21 Canon Inc 電子写真装置
JP4835118B2 (ja) * 2005-11-16 2011-12-1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操作情報記録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88598A (ja) * 2006-01-13 2007-07-26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092373A (ja) * 2006-10-03 2008-04-17 Toshiba Corp プログラムリモコン
JP4988461B2 (ja) * 2007-07-10 2012-08-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5482284B2 (ja) * 2010-02-23 2014-05-07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用ユーザ情報管理装置,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57856B2 (ja) * 2011-05-26 2012-06-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制御方法
KR20130008787A (ko) * 2011-07-13 2013-01-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방송컨텐츠의 전자프로그램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단말기 및 그의 서비스장치
US20130041781A1 (en) * 2011-08-08 2013-02-14 Mary-Stuart G. FREYDBERG Digital personal market and shopping network
WO2014192214A1 (ja) * 2013-05-30 2014-12-0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端末の画面を見ながら家電機器を使うユーザのためのアドバイス提供方法
CN105095231A (zh) * 2014-04-29 2015-11-2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呈现搜索结果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830A (ko) 2021-08-09
CN109691121B (zh) 2021-07-20
CN109691121A (zh) 2019-04-26
WO2017222085A1 (ko) 2017-12-28
US20190155812A1 (en) 2019-05-23
JP6745404B2 (ja) 2020-08-26
JP2019526136A (ja)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7006B2 (en) Content-aware filter options for media object collections
US81087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er interface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2010016932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content items association
US20120124517A1 (en) Image display device providing improved media selection
KR20170091142A (ko) 웹 콘텐츠 태깅 및 필터링
JP2017511925A (ja) 複数の解像度を有するコンテンツアイテム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TW201426608A (zh) 可攜式電子裝置、內容推薦方法及電腦可讀媒體
WO2018171047A1 (zh) 一种拍摄引导方法、设备及系统
US201702425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mmary information of a video
KR20160023412A (ko)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939171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utomatic grouping and management of content in real-time
JP6351219B2 (ja) 画像検索装置、画像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16810A (ko) 전자 콘텐츠 저장소로부터 스크린샷을 자동으로 분리 및 선택하기 위한 기법
KR20130054334A (ko) 디지털 화상, 영상 조작 및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I798912B (zh) 搜索方法、電子裝置及非暫時性電腦可讀記錄媒體
US201101670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providing media objects in a navigable environment
CN102375873A (zh) 数据搜索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747299B1 (ko)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KR101601280B1 (ko) 일반 물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방법
KR102523006B1 (ko)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0738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1310086A (zh) 一种页面跳转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825598B1 (ko)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KR20190003779A (ko)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KR102126514B1 (ko) 컨텐츠 관리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19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728

Effective date: 2022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