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598B1 -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598B1
KR101825598B1 KR1020160014886A KR20160014886A KR101825598B1 KR 101825598 B1 KR101825598 B1 KR 101825598B1 KR 1020160014886 A KR1020160014886 A KR 1020160014886A KR 20160014886 A KR20160014886 A KR 20160014886A KR 101825598 B1 KR101825598 B1 KR 101825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humbnail image
image
display area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466A (ko
Inventor
김진홍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6001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598B1/ko
Priority to US15/405,633 priority patent/US20170228136A1/en
Priority to JP2017016729A priority patent/JP6917149B2/ja
Publication of KR2017009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1 섬네일(thumbnail)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따라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확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입력에 연속하는,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확대 이미지를 상기 제2 섬네일 이미지와 대응되는 제2 확대 이미지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은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에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시청 등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의 증대를 위한 기술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하드웨어 개량기술은 물론 소프트웨어 개량 기술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이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upter, PC)를 능가하는 성능을 갖게 되었고, 이에 따라 사진과 동영상뿐만 아니라 문서, 텍스트 등의 퍼스널 컴퓨터에서 인식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개체들이 단말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단말 내에 저장되는 컨텐츠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컨텐츠의 관리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세히, 사용자가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섬네일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의 입력을 가하면 해당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확대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컨텐츠의 개별적인 확인 없이 빠르게 원하는 컨텐츠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섬네일 이미지에 대하여 해당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선택을 위한 입력과 구별되는 입력 예컨대 복수의 서로다른 터치 압력을 포함하는 입력 등을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연속하는 입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빠른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복잡한 조작 없이도 간편하게 찾고자 하는 컨텐츠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1 섬네일(thumbnail)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따라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확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입력에 연속하는,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확대 이미지를 상기 제2 섬네일 이미지와 대응되는 제2 확대 이미지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1 섬네일(thumbnail)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따라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확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입력에 연속하는,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확대 이미지를 상기 제2 섬네일 이미지와 대응되는 제2 확대 이미지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인 제1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입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확대 이미지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연속하고,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입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2 확대 이미지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섬네일 이미지에 대하여 일정한 입력을 가하면 해당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확대 이미지가 섬네일 이미지들 위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컨텐츠의 개별적인 확인 없이 빠르게 원하는 컨텐츠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섬네일 이미지에 대하여 해당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선택을 위한 입력과 구별되는 입력 예컨대 복수의 서로다른 터치 압력을 포함하는 입력 등을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연속하는 입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빠른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복잡한 조작 없이도 간편하게 찾고자 하는 컨텐츠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서버에 구비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서버 및 사용자 단말간의 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사용자의 제1 입력에 따라 제1 확대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제1 입력과 연속하는 제2 입력을 획득하는 과정 및 화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제3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내지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제공 방법이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를 설명한다.
< 제1 실시예 >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upter, PC)일 수도 있고 휴대용 단말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휴대용 단말로써,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부(110), 제1 제어부(120) 및 제1 데이터 저장소(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제어부(120)가 생성한 전기 신호에 따라 도형,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10)는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의 터치(Touch) 좌표를 판독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타이저(Digitizer)를 더 구비하여,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패널(Touch Pannel)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일 수 있다. 이 때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 좌표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을 더 판독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물론 입력 수단은 디스플레이부(11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수단은 디스플레이부(110)와 별도로 구비되는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및 버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사용자의 터치 유뮤 및 터치 압력을 판독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임을 전제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110)가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표시된 제1 섬네일(thumbnail)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획득한 경우, 제1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획득한 제1 입력에 따라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확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10)상에 표시되도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스크린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제1 입력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입력 내지 제3 입력 및 추가 입력 등은 터치 스크린 상에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 내지 제3 입력 및 추가 입력은 단순한 터치 입력, 복수의 서로 다른 터치압력을 포함하는 입력, 일 방향으로 기 설정된 소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입력,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복수의 입력이 반복되는 입력 및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의 지속되는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섬네일 이미지, 제2 섬네일 이미지와 같은 섬네일 이미지는 사진, 동영상, 텍스트 및 문서 중 어느 하나의 일 부분에 대한 이미지 일 수 있다. 예컨대, 사진과 같은 컨텐츠의 섬네일 이미지는 원래 사진보다 작은 사이즈 또는 작은 해상도로 다운샘플링(Down Sampling)된 이미지 일 수 있다. 또한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섬네일 이미지는 동영상의 어느 한 장면에 대한 이미지 일 수 있다. 텍스트나 문서와 같이 글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섬네일 이미지는 텍스트 또는 문서를 구성하는 문자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이 때, 컨텐츠가 문서인 경우, 해당 문서의 확장자 등이 섬네일 이미지에 더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섬네일 이미지'는 제1 섬네일 이미지 및 제2 섬네일 이미지 등의 모든 섬네일 이미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이미지'의 정의는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단순히 그림 파일의 의미뿐만 아니라 텍스트와 같은 형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텍스트 또는 문서를 구성하는 문자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문자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되어 표시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확대 이미지, 제2 확대 이미지와 같은 확대 이미지는 각각의 확대 이미지와 대응되는 섬네일 이미지를 확대한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확대 이미지는, 해당 컨텐츠의 섬네일 이미지를 확대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텍스트 또는 문서와 같은 컨텐츠의 확대 이미지는 문서 또는 텍스트를 구성하는 문자의 일부로서, 섬네일 이미지에 표시된 문자만이 표시된 이미지 일 수도 있고, 섬네일 이미지에 표시된 문자와 그 외의 추가적인 문자가 더 표시된 이미지 일 수도 있다.
물론, 확대 이미지는 컨텐츠 그 자체의 이미지 일 수 있다. 예컨대, 사진과 같은 컨텐츠의 확대 이미지는 섬네일 이미지의 확대 이미지가 아니라, 컨텐츠 그 자체 즉 원본 사진 그 자체일 수 있다. 또한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확대 이미지는 동영상의 어느 한 장면에 대한 이미지가 아니라, 컨텐츠 그 자체 즉 동영상이 재생됨에 따라 변화하는 이미지 일 수 있다.
이하에서 '확대 이미지'는 제1 확대 이미지 및 제2 확대 이미지 등의 모든 확대 이미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는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및 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한 무형의 개체일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는 제1 데이터 저장소(130)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파일 형태로 저장된 개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의 예시로 사진, 동영상, 텍스트 및 문서 등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제1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획득한 제1 입력이 소정의 입력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확대 이미지가 아닌,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110)상에 바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소정의 입력은 예컨대 단순한 터치와 같이 제1 섬네일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바로 확인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가 전술한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제1 입력과 연속하는 입력으로서,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획득한 경우, 제1 제어부(120)는 제2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상에 표시되는 제1 확대 이미지가 제2 확대 이미지로 갱신되도록할 수 있다. 이 때 제2 확대 이미지는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속하는 입력'은 하나 이상의 입력들이 드래그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드래그(Drag)는 최초 입력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입력의 해제 없이 다른 지점으로 입력을 이동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입력과 연속하는 제2 입력'은 제1 입력인 '복수의 서로 다른 터치압력을 포함하는 입력'과 드래그로 연결되는 제2 입력인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10)에 해당 섬네일 이미지가 표시된 위치 또는 표시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에 해당 섬네일 이미지가 표시된 경우는 물론, 후술하는 제2 표시 영역에 의하여 해당 섬네일 이미지가 가려진 경우에도 해당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제어부(120)는 제1 섬네일 이미지 및 제2 섬네일 이미지는 제1 표시 영역에, 제1 확대 이미지 및 제2 확대 이미지는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은 하나의 디스플레이부(110) 상에서 이미지 또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구분된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 각각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10)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제어부(120)는 제1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의 표시 영역 즉 제1 표시 영역에 섬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의 표시 영역 즉 제2 표시 영역에 확대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한 개의 디스플레이부(110) 존재하는 경우, 제1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내의 제1 표시 영역에 섬네일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10) 내의 제2 표시 영역에 확대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제어부(120)는 제2 표시 영역의 표시 내용이 제1 표시 영역의 표시 내용 위에 오버랩(Overlap)되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오버랩은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이 중첩되는 범위 내에서는 제2 표시 영역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부(120)는 제1 표시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는 제1 레이어(layer)와 제2 표시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는 제2 레이어(layer)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때 제1 제어부(120)는 제2 레이어가 더 위에 있는 것으로 상정하여, 즉 제2 레이어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이 중첩되는 범위 내에서는 제2 표시 영역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표시 영역이 제1 표시 영역 위에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고, 제2 표시 영역은 제1 표시 영역보다 크기가 작고, 제1 표시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10)의 표시 영역 전체인 것을 전제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부(110)가 전술한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제2 입력과 연속하는 입력으로서, 제2 섬네일 이미지와 다른 임의의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획득한 경우, 제1 제어부(120)는 상기 추가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상에 표시되는 제2 확대 이미지가 상기 임의의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확대 이미지로 갱신되도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연속하는(즉 드래그로 연결된) 수 개의 입력이 입력되는 한, 디스플레이부(110)상에 표시되는 확대 이미지를 변경된 입력에 따라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연속하는 입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입력들이 드래그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입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표시 영역에 중첩된 제2 표시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 해당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섬네일 이미지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표시 영역에 중첩된 상기 제2 표시 영역에서 사용자의 연속하는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입력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섬네일 이미지를 기준으로 판단하여 확대 이미지를 갱신할 수 있다. ..
디스플레이부(110)가 전술한 제2 입력 또는 추가 입력과 연속하는 입력으로서, 제2 섬네일 이미지 또는 임의의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획득한 경우, 제1 제어부(120)는 제3 입력에 따라 제2 섬네일 이미지와 대응되는 제2 컨텐츠 또는 임의의 섬네일 이미지와 대응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부(120)는 제2 표시 영역이 공백이 되도록, 즉 제2 표시 영역에 의하여 가려지는 제1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에 의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를 미리보기 함으로써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입력 및 제3 입력이 복수의 서로 다른 터치압력을 포함하는 입력이고, 제2 입력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는 입력이라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최초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된 섬네일 이미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확대 이미지를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복수의 서로 다른 터치압력을 포함하는 입력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드래그 입력을 통하여 다른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입력이 이루어 지도록 함으로써 확대이미지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러한 드래그 과정 중 선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섬네일 이미지에 대해 복수의 서로 다른 터치압력을 포함하는 입력으로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제1 표시 영역에 제1 섬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30) 즉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1 섬네일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가 디스플레이부(110) 상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획득한 경우(S31), 제1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획득한 제1 입력에 따라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확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할 수 있다.(S32)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스크린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제1 입력은 터치 스크린 상에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 내지 제3 입력 및 추가 입력은 단순한 터치 입력, 복수의 서로 다른 터치압력을 포함하는 입력, 일 방향으로 기 설정된 소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입력,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복수의 입력이 반복되는 입력 및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의 지속되는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가 전술한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제1 입력과 연속하는 입력으로서,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획득한 경우(S33), 제1 제어부(120)는 제2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상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확대 이미지가 제2 확대 이미지로 갱신되도록할 수 있다.(S34) 이 때 제2 확대 이미지는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속하는 입력'은 하나 이상의 입력들이 드래그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드래그(Drag)는 최초 입력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입력의 해제 없이 다른 지점으로 입력을 움직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입력과 연속하는 제2 입력'은 제1 입력인 '복수의 서로 다른 터치압력을 포함하는 입력'과 드래그로 연결되는 제2 입력인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10)에 해당 섬네일 이미지가 표시된 위치 또는 표시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에 해당 섬네일 이미지가 표시된 경우는 물론, 후술하는 제2 표시 영역에 의하여 해당 섬네일 이미지가 가려진 경우에도 해당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가 전술한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제2 입력과 연속하는 입력으로서, 임의의 섬네일(thumbnail)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획득한 경우(S35), 제1 제어부(120)는 추가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상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2 확대 이미지가 임의의 확대 이미지로 갱신되도록할 수 있다.(S36) 이 때 임의의 확대 이미지는 임의의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 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가 전술한 바와 같은 추가 입력을 반복하여 획득하는 경우, 제1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상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확대 이미지를 갱신된 추가 입력에 따라 갱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연속하는(즉 드래그로 연결된) 수 개의 입력이 입력되는 한, 디스플레이부(110)상에 표시되는 확대 이미지를 변경된 입력에 따라 갱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가 전술한 제2 입력 또는 추가 입력과 연속하는 입력으로서, 제2 섬네일 이미지 또는 임의의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획득한 경우(S37), 제1 제어부(120)는 제3 입력에 따라 제2 컨텐츠 또는 임의의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38) 이 때 제1 제어부(120)는 제2 표시 영역이 공백이 되도록, 즉 제2 표시 영역에 의하여 가려지는 제1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컨텐츠는 제2 섬네일 이미지 및 제2 확대 이미지와 대응되는 컨텐츠에 해당하고, 임의의 컨텐츠는 임의의 섬네일 이미지 및 임의의 확대 이미지와 대응되는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섬네일 이미지, 확대 이미지 및 컨텐츠는 제1 데이터 저장소(130)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각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훑어봄으로써 찾고자 하는 컨텐츠를 보다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즉 종래기술의 경우, 섬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하고, 이로 인하여 해당 섬네일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었을 때, 표시된 컨텐츠가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컨텐츠가 맞는지 확인하고, 표시된 컨텐츠가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컨텐츠가 아닌 경우 재차 섬네일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으로 되돌아가서 찾고자 하는 컨텐츠를 찾을 때 까지 전술한 과정들을 무수히 반복해야 했다.
본 발명은 연속하는 일련의 입력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의 전환 없이 섬네일 이미지 보다 상세한 정보를 빠르게 미리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섬네일 이미지에 대하여 해당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선택을 위한 입력과 구별되는 입력 예컨대 복수의 서로다른 터치 압력을 포함하는 입력 등을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연속하는 입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빠른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복잡한 조작 없이도 간편하게 찾고자 하는 컨텐츠를 찾을 수 있다.
< 제2 실시예 >
이하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를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연결하는 통신망(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300)에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제공 웹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퍼스널 컴퓨터(301)일 수도 있고, 또는 휴대용 단말(302)일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휴대용 단말(302)이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제1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100)과 같이 표시 수단과 입력 수단을 겸하는 디스플레이부,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망(400)은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에 컨텐츠를 제공 프로그램 및/또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정보에 따라 이미지 및/또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메모리, 입/출력부,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서버(200)가 처리하는 데이터, 명령어(instructions), 프로그램, 프로그램 코드, 또는 이들의 결합 등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도 4의 서버(200)에 구비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2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10)는 바람직하게는 서버(200)에 구비되지만, 반드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설계 변경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10)는 제2 제어부(211) 및 제2 데이터 저장소(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11)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인 제1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입력을 제1 입력으로서 제2 제어부(211)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섬네일 이미지, 제2 섬네일 이미지와 같은 섬네일 이미지는 사진, 동영상, 텍스트 및 문서 중 어느 하나의 일 부분에 대한 이미지로, 해당 컨텐츠를 표한하기 위한 최소한의 정보를 포함한 이미지 일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는 제공 가능한 컨텐츠의 보기로써, 컨텐츠들의 섬네일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 부에 표시된 섬네일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섬네일 이미지와 대응되는 확대 이미지 및/또는 해당 컨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컨텐츠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를 포함하는 섬네일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모든 컨텐츠의 완전한 전송 없이 어떠한 컨텐츠가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지 간략하게 알릴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섬네일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섬네일 이미지와 대응되는 확대 이미지 및/또는 해당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확대 이미지, 제2 확대 이미지와 같은 확대 이미지는 각각의 확대 이미지와 대응되는 섬네일 이미지보다 컨텐츠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사진과 같은 컨텐츠의 확대 이미지는, 섬네일 이미지 보다 높은 해상도로 다운샘플링 된 이미지 일 수 있고,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확대 이미지는 보다 높은 해상도로 캡쳐 된 동영상의 일부 장면이거나, 동영상의 일부 영상이 재상됨에 따라 변화하는 이미지 일 수 있다.
물론, 확대 이미지는 컨텐츠 그 자체 의 이미지 일 수 있다. 예컨대, 사진과 같은 컨텐츠의 확대 이미지는 섬네일 이미지의 확대 이미지가 아니라, 컨텐츠 그 자체 즉 사진 그 자체일 수 있다. 또한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확대 이미지는 동영상의 어느 한 장면에 대한 이미지가 아니라, 컨텐츠 그 자체 즉 동영상이 재생됨에 따라 변화하는 이미지 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으므로, 제1 입력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입력 내지 제3 입력 및 추가 입력 등은 터치 스크린 상에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 내지 제3 입력 및 추가 입력은 단순한 터치 입력, 복수의 서로 다른 터치압력을 포함하는 입력, 일 방향으로 기 설정된 소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입력,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복수의 입력이 반복되는 입력 및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의 지속되는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입력'은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섬네일 이미지가 표시된 위치 또는 표시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섬네일 이미지가 표시된 경우는 물론,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에 의해 가려진 경우에도 해당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제어부(211)는 수신된 제1 입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확대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확대 이미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섬네일 이미지 보다 컨텐츠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 확대 이미지가 컨텐츠에 대해 많은 정보를 포함할수록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300)로 확대 이미지를 제공하는데 소요되는 패킷과 패킷의 전송시간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확대 이미지가 포함하는 정보의 양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동작 환경 및 사용자의 목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빠른 동작이 필요한 경우 확대 이미지는 섬네일 이미지에 가까운 정보의 양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빠른 동작 보다는 높은 품질의 이미지 제공이 필요한 경우, 확대 이미지는 원본 컨텐츠에 가까운 정보의 양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제어부(211)는 수신된 제1 입력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제1 입력이 소정의 입력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확대 이미지가 아닌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곧바로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소정의 입력은 예컨대 단순한 터치와 같이 제1 섬네일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바로 확인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
제2 제어부(211)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전술한 제1 입력에 연속하고,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속하는 입력'은 제1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입력들이 드래그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드래그(Drag)는 최초 입력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입력의 해제 없이 다른 지점으로 입력을 움직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입력과 연속하는 제2 입력'은 제1 입력인 '복수의 서로 다른 터치압력을 포함하는 입력'과 드래그로 연결되는 제2 입력인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11)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제2 입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2 확대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11)는 전술한 제2 입력에 연속하고,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임의의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11)는 추가 입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임의의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임의의 확대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추가 입력에 관한 정보의 수신과 임의의 확대 이미지의 제공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제어부(211)가 연속하는(즉 드래그로 연결된) 수 개의 입력을 수신하는 한, 사용자 단말(300)로 수 개의 입력에 따른 임의의 확대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11)는 전술한 제2 입력 또는 추가 입력과 연속하고,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2 섬네일 이미지 또는 임의의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3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제3 입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컨텐츠 또는 임의의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2 컨텐츠는 제2 섬네일 이미지 및 제2 확대 이미지와 대응되는 컨텐츠에 해당하고, 임의의 컨텐츠는 임의의 섬네일 이미지 및 임의의 확대 이미지와 대응되는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제어부(211)에 의한 컨텐츠 제공에 의해, 사용자 단말(300)에서 해당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확대 이미지 및 컨텐츠는 제2 데이터 저장소(213)에 기 저장될 수 있다. 물론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300)이 최초로 연결되는 때에 제공되는 섬네일 이미지도 제2 데이터 저장소(213)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간의 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한편 도 6의 서버(200)에는 도 5의 컨텐츠 제공 장치(210)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5를 참조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10)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이 도 6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인 제1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1)
제2 제어부(211)는 수신된 제1 입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확대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S62)
제2 제어부(211)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전술한 제1 입력에 연속하고,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3)
제2 제어부(211)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제2 입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2 확대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S64)
제2 제어부(211)는 전술한 제2 입력에 연속하고,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추가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5)
제2 제어부(211)는 추가 입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임의의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임의의 확대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S66)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추가 입력에 관한 정보의 수신과 임의의 확대 이미지의 제공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단계 S65 및 단계 S66을 사용자의 입력이 연속하는 동안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11)는 전술한 제2 입력 또는 추가 입력과 연속하고,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2 섬네일 이미지 또는 임의의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3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S67), 이러한 제3 입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컨텐츠 또는 임의의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S68) 이 때 제2 컨텐츠는 제2 섬네일 이미지 및 제2 확대 이미지와 대응되는 컨텐츠에 해당하고, 임의의 컨텐츠는 임의의 섬네일 이미지 및 임의의 확대 이미지와 대응되는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 30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 300)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화면(701)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면(701)은 하나 이상의 섬네일 이미지들(711 내지 716)이 표시되는 제1 표시 영역(7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가 제1 섬네일 이미지(712)에 대해 제1 입력(901)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 때 제1 입력(901)은 예컨대 복수의 서로 다른 터치압력을 포함하는 입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1 섬네일 이미지(712)에 대하여 복수의 서로 다른 터치압력을 포함하는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제1 확대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입력(901)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의 지속되는 입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1 섬네일 이미지(712)에 대하여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의 지속되는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제1 확대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 상세한 내용은 도 8에서 후술한다.
도 8은 사용자의 제1 입력(901)에 따라 제1 확대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100, 300)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화면(702)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화면(702)은 하나 이상의 섬네일 이미지들(711 내지 715)이 표시되는 제1 표시 영역(710)과 제1 확대 이미지(811)가 표시되는 제2 표시 영역(8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표시 영역(710)과 제2 표시 영역(810)이 중첩되는 범위 내에서는 제2 표시 영역(810)에 표시되는 제1 확대 이미지(811)가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후술하는 제2 입력 및 제3 입력을 수행하면서 제2 표시 영역(810)에 갱신되는 확대 이미지를 확인함으로써,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제1 입력(901)과 연속하는 제2 입력(903)을 획득하는 과정 및 화면(703)을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입력(901)의 해제 없이 드래그입력(902)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 300)이 제1 입력(901)과 연속하는 제2 입력(903)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의 경우, 제1 섬네일 이미지(712)에 대한 제1 입력(901)과 연속하는 제2 섬네일 이미지(713)에 대한 제2 입력(903)을 획득한 경우로써, 제2 섬네일 이미지(713)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텍스트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2 표시 영역(810)에 표시되는 확대 이미지가 제2 입력에 따라 제1 확대 이미지(811)에서 제2 확대 이미지(812)로 갱신된다.
도 9c는 제1 섬네일 이미지(712)에 대한 제1 입력(901)과 연속하는 제3 섬네일 이미지(716)에 대한 제2 입력(904)을 획득한 경우로써, 제3 섬네일 이미지(716)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이미지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9c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제2 입력(904)은 제1 표시 영역(710)에 중첩된 제2 표시 영역(81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입력(904)은 제1 표시 영역(710)에서 해당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3 섬네일 이미지(716)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표시 영역(810)에 표시되는 확대 이미지가 제2 입력(904)에 따라 제3 확대 이미지(813)로 갱신된다.
도 10은 제3 섬네일 이미지(714)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면(704)을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면(704)은 컨텐츠가 표시되는 제1 표시 영역(7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대 제1 표시 영역(710)은 해당 컨텐츠의 정보가 표시되는 정보 표시창(7041) 및 해당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창(7042)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1 표시 영역(710)은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714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경우, 제3 섬네일 이미지(714)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동영상으로서, 컨텐츠의 정보가 표시되는 정보 표시창(7041)에 동영상 파일명이, 제어창(7042)에 동영상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이 표시되고, 컨텐츠가 표시된 경우를 도시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110: 디스플레이부
120: 제1 제어부
130: 제1 데이터 저장소
200: 서버
210: 컨텐츠 제공 장치
211: 제2 제어부
212: 제2 데이터 저장소
300: 사용자 단말
301, 302: 사용자 단말
400: 통신망

Claims (21)

  1. 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1 섬네일(thumbnail)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따라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확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입력에 연속하는,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확대 이미지를 상기 제2 섬네일 이미지와 대응되는 제2 확대 이미지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섬네일 이미지 및 상기 제2 섬네일 이미지는 제1 표시 영역 내에 표시되고, 상기 제1 확대 이미지 및 상기 제2 확대 이미지는 제2 표시 영역 내에 표시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 위에 오버랩(Overlap)되도록 표시되고,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이 중첩 되는 영역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제1 확대 이미지 또는 상기 제2 확대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제2 입력과 연속하는, 상기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3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입력에 따라 제2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는 제2 섬네일 이미지 또는 제2 확대 이미지와 대응되는 컨텐츠에 해당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내에 표시된 제3 섬네일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획득된 제2 입력에 연속하는, 제3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4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표시 영역 내에 표시되는 상기 제2 확대 이미지를 상기 제3 섬네일 이미지와 대응되는 제3 확대 이미지로 갱신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4 입력과 연속하는, 상기 제3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3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입력에 따라 제3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컨텐츠는 제3 섬네일 이미지 또는 제3 확대 이미지와 대응되는 컨텐츠에 해당하고,
    상기 제4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확대 이미지로 갱신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이 공백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사진, 동영상, 텍스트 및 문서 중 어느 하나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네일 이미지 및 상기 제2 섬네일 이미지는
    상기 사진의 섬네일 이미지, 상기 동영상의 어느 한 장면, 상기 텍스트의 일부 텍스트를 포함하는 이미지 및 상기 문서의 일 부분에 대한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제4항 또는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입력은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이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으로, 복수의 서로 다른 터치압력을 포함하는 입력, 일 방향으로 기 설정된 소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입력,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복수의 입력이 반복되는 입력 및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의 지속되는 입력 중 어느 하나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이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으로, 복수의 서로 다른 터치압력을 포함하는 입력 및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의 지속되는 입력 중 어느 하나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1 섬네일(thumbnail)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따라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확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입력에 연속하는,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확대 이미지를 상기 제2 섬네일 이미지와 대응되는 제2 확대 이미지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섬네일 이미지 및 상기 제2 섬네일 이미지는 제1 표시 영역 내에 표시되고, 상기 제1 확대 이미지 및 상기 제2 확대 이미지는 제2 표시 영역 내에 표시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 위에 오버랩(Overlap)되도록 표시되고,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2. 삭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제2 입력과 연속하는, 상기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3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입력에 따라 제2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는 제2 섬네일 이미지 또는 제2 확대 이미지와 대응되는 컨텐츠에 해당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내에 표시된 제3 섬네일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획득된 제2 입력에 연속하는, 제3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4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표시 영역 내에 표시되는 상기 제2 확대 이미지를 상기 제3 섬네일 이미지와 대응되는 제3 확대 이미지로 갱신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4 입력과 연속하는, 상기 제3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3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입력에 따라 제3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컨텐츠는 제3 섬네일 이미지 또는 제3 확대 이미지와 대응되는 컨텐츠에 해당하고,
    상기 제4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확대 이미지로 갱신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제2 표시 영역이 공백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6.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인 제1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입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확대 이미지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연속하고,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입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2 확대 이미지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섬네일 이미지 및 상기 제2 섬네일 이미지를 제1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고, 상기 제1 확대 이미지 및 상기 제2 확대 이미지를 제2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상기 제1 표시 영역 위에 오버랩(Overlap)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판단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과 연속하고,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2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3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입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제2 컨텐츠는 제2 섬네일 이미지 및 제2 확대 이미지와 대응되는 컨텐츠에 해당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에 연속하고,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3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4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입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3 섬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3 확대 이미지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4 입력과 연속하고,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제3 섬네일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3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입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제3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제3 컨텐츠는 제3 섬네일 이미지 및 제3 확대 이미지와 대응되고,
    상기 제4 입력에 관한 정보의 수신과 상기 제3 확대 이미지를 제공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사진, 동영상, 텍스트 및 문서 중 어느 하나인, 컨텐츠 제공 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입력은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으로, 복수의 서로 다른 터치압력을 포함하는 입력, 일 방향으로 기 설정된 소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입력,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복수의 입력이 반복되는 입력 및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의 지속되는 입력 중 어느 하나인, 컨텐츠 제공 장치.
  21.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으로, 복수의 서로 다른 터치압력을 포함하는 입력 및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의 지속되는 입력 중 어느 하나인, 컨텐츠 제공 장치.
KR1020160014886A 2016-02-05 2016-02-05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KR101825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886A KR101825598B1 (ko) 2016-02-05 2016-02-05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US15/405,633 US20170228136A1 (en) 2016-02-05 2017-01-13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JP2017016729A JP6917149B2 (ja) 2016-02-05 2017-02-01 コンテンツ提供方法を実行するために記憶媒体に記憶さ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その方法及びそ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886A KR101825598B1 (ko) 2016-02-05 2016-02-05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466A KR20170093466A (ko) 2017-08-16
KR101825598B1 true KR101825598B1 (ko) 2018-02-05

Family

ID=5949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886A KR101825598B1 (ko) 2016-02-05 2016-02-05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228136A1 (ko)
JP (1) JP6917149B2 (ko)
KR (1) KR101825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30787B2 (ja) * 2017-10-12 2021-09-01 Fcnt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7120364B1 (ja) * 2021-03-15 2022-08-17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6318A (ja) * 2002-08-05 2003-07-11 Hitachi Ltd 画表示方法および装置
KR101058025B1 (ko) * 2004-11-18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썸네일 모드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20081493A (ko) * 2011-01-11 2012-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콘텐츠 탐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17149B2 (ja) 2021-08-11
JP2017138983A (ja) 2017-08-10
US20170228136A1 (en) 2017-08-10
KR20170093466A (ko)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5734B2 (en) Voice input apparatus
US9478006B2 (en) Content aware cropping
US10241660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100614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d editing object-inserted images
WO2006123513A1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2022520263A (ja) ミニプログラムのデータバインディング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230914B (zh) 小程序的制作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90347317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reating an electronic signature
WO2018071562A1 (en) Virtual/augmented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US2016035993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825598B1 (ko)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KR101776674B1 (ko) 휴대용 영상 편집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14808A (ko) 동영상 제작 장치 및 방법
JP6010303B2 (ja) 画像再生装置
CN110262723B (zh) 一种办公辅助方法及辅助系统
US10915778B2 (en) User interface framework for multi-selection and operation of non-consecutive segmented information
CN112740161A (zh) 终端、用于控制终端的方法以及其中记录有用于实现该方法的程序的记录介质
KR20140127131A (ko) 영상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CN114302009A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102092156B1 (ko) 표시 장치의 영상 인코딩 방법
CN113168286A (zh) 终端、用于该终端的控制方法以及记录用于实现该方法的程序的记录介质
KR101811344B1 (ko)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JP4736081B2 (ja) コンテンツ閲覧システム、コンテンツサーバ、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830127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94738B2 (en) Displaying changes related to pages located before and after a currently displayed p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