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240A - 전계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계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240A
KR20190003240A KR1020170083858A KR20170083858A KR20190003240A KR 20190003240 A KR20190003240 A KR 20190003240A KR 1020170083858 A KR1020170083858 A KR 1020170083858A KR 20170083858 A KR20170083858 A KR 20170083858A KR 20190003240 A KR20190003240 A KR 20190003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ower electrode
electrode
subpixels
contac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875B1 (ko
Inventor
공혜진
허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3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875B1/ko
Priority to US16/019,339 priority patent/US10644075B2/en
Publication of KR2019000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01L27/3211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5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H01L27/3248
    • H01L27/3262
    • H01L51/501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8Reflective anodes, e.g. ITO combined with thick metallic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6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capaci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51Precharge or discharge of pixel before applying new pixel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기판, 서브 픽셀들, 콘택홀을 포함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서브 픽셀들은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빛을 발광하는 발광영역을 갖는다. 콘택홀은 발광영역 내에 위치하고 서브 픽셀의 트랜지스터와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고, 발광영역과 동일한 빛을 발광한다.

Description

전계발광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 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계발광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및 플라즈마표시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에 대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표시장치에는 복수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및 표시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등이 포함된다. 구동부에는 표시 패널에 스캔신호(또는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스캔구동부 및 표시 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등이 포함된다.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 중 전계발광표시장치는 서브 픽셀들에 스캔신호 및 데이터신호 등이 공급되면, 선택된 서브 픽셀의 발광다이오드가 발광을 하게 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발광다이오드는 유기물을 기반으로 구현되거나 무기물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종래 제안된 전계발광표시장치는 고해상도 구현을 위해 개구율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광영역 내에 콘택홀을 배치 및 콘택홀에서도 발광할 수 있게 하여 개구율 증가와 더불어 수명을 증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택홀을 발광영역 내에 자유롭게 구성 및 배치할 수 있게 하여 전극 간의 콘택 저항을 낮춤과 더불어 설계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제1기판, 서브 픽셀들, 콘택홀을 포함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서브 픽셀들은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빛을 발광하는 발광영역을 갖는다. 콘택홀은 발광영역 내에 위치하고 서브 픽셀의 트랜지스터와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고, 발광영역과 동일한 색의 빛을 발광한다.
콘택홀은 함몰된 내부를 채우는 충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콘택홀 상에 위치하는 하부전극과, 하부전극 상에 위치하는 발광층과,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상부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픽셀들은 제1기판 상의 트랜지스터와, 트랜지스터 상에 위치하는 보호막과, 보호막 상에 위치하고 트랜지스터의 전극을 노출하며 발광영역 내에 배치된 콘택홀을 갖는 평탄화막과, 평탄화막 및 콘택홀 상에 위치하고 트랜지스터의 전극에 연결된 제1차 하부전극과, 콘택홀의 내부를 채우는 충전층과, 제1차 하부전극 및 충전층 상에 위치하는 제2차 하부전극과, 제2차 하부전극 상에 위치하는 발광층과,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상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평탄화막은 발광영역을 둘러싸고 하부로 함몰된 분리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차 및 제2차 하부전극은 분리홀에 의해 서브 픽셀마다 분리될 수 있다.
발광층은 서브 픽셀들의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형성되지만 분리홀에서 분리될 수 있다.
발광층은 서브 픽셀들의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형성되지만 분리홀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과 분리된 부분이 함께 존재할 수 있다.
발광층은 서브 픽셀들의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형성되지만 분리홀의 내부에서만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충전층은 제1차 하부전극과 유사 또는 동일한 높이를 갖거나, 제1차 하부전극보다 하부로 더 함몰되거나, 제1차 하부전극보다 상부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광영역 내에 발광할 수 있는 콘택홀을 배치하므로 공간 손실분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발광영역과 콘택홀의 통합 배치로 개구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영역 내의 콘택홀에서도 발광이 가능하므로 개구율 증가와 더불어 수명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택홀을 발광영역 내에 자유롭게 구성 및 배치할 수 있어 전극 간의 콘택 저항을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서브 픽셀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
도 3은 서브 픽셀의 상세 회로 구성 예시도.
도 4는 표시 패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브 픽셀들의 단면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실험예에 따른 서브 픽셀들의 평면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실험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평면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서브 픽셀의 장축 방향의 단면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평면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서브 픽셀의 장축 방향의 단면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11은 평탄화막의 분리홀과 그 주변의 구조물에 대한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12는 콘택홀이 포함된 발광영역을 갖는 서브 픽셀들과 충전층에 대한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13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5 내지 도 2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29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충전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0은 제3실시예에 따른 분리홀과 하부전극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은 제4실시예에 따른 뱅크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계발광표시장치는 텔레비젼, 영상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시어터, 스마트폰, 가상현실기기(V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계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발광소자)를 기반으로 구현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일례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계발광표시장치는 무기발광다이오드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끝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계발광표시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전극을 제외하고 타입에 따라 소오스전극과 드레인전극 또는 드레인전극과 소오스전극으로 명명될 수 있는바, 이를 한정하지 않기 위해 제1전극과 제2전극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서브 픽셀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이며, 도 3은 서브 픽셀의 상세 회로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영상 처리부(110), 타이밍 제어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스캔 구동부(140), 표시 패널(150) 및 전원 공급부(160)가 포함된다.
영상 처리부(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와 더불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1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외에도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 신호들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 도시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영상 처리부(110)로부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또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등을 포함하는 구동신호와 더불어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받는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스캔 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데이터라인들(DL1 ~ DLn)을 통해 데이터신호(DATA)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캔 구동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스캔신호를 출력한다. 스캔 구동부(140)는 스캔라인들(GL1 ~ GLm)을 통해 스캔신호를 출력한다. 스캔 구동부(140)는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되거나 표시 패널(150)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된다.
전원 공급부(160)는 고전위전압과 저전위전압 등을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60)로부터 출력된 고전위전압과 저전위전압 등은 표시 패널(150)에 공급된다. 고전위전압은 제1전원라인(EVDD)을 통해 표시 패널(150)에 공급되고 저전위전압은 제2전원라인(EVSS)을 통해 표시 패널(150)에 공급된다.
표시 패널(150)은 데이터 구동부(130) 및 스캔 구동부(14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 및 스캔신호 그리고 전원 공급부(160)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15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서브 픽셀들(SP)을 포함한다.
서브 픽셀들(SP)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거나 백색 서브 픽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한다. 서브 픽셀들(SP)은 발광 특성에 따라 하나 이상 다른 발광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 픽셀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Cst), 보상회로(CC)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가 포함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스캔라인(GL1)을 통해 공급된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제1데이터라인(DL1)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신호가 커패시터(Cst)에 데이터전압으로 저장되도록 스위칭 동작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에 따라 제1전원라인(EVDD)(고전위전압)과 제2전원라인(EVSS)(저전위전압) 사이로 구동 전류가 흐르도록 동작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R)에 의해 형성된 구동 전류에 따라 빛을 발광하도록 동작한다.
보상회로(CC)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문턱전압 등을 보상하기 위해 서브 픽셀 내에 추가된 회로이다. 보상회로(CC)는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보상회로(CC)의 구성은 보상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보상회로(CC)의 예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회로(CC)에는 센싱 트랜지스터(ST)와 레퍼런스라인(VREF)(또는 센싱라인)이 포함된다. 센싱 트랜지스터(ST)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소오스전극과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 사이(이하 센싱노드)에 접속된다. 센싱 트랜지스터(ST)는 레퍼런스라인(VREF)을 통해 전달되는 초기화전압(또는 센싱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DR)의 센싱노드에 공급하거나 구동 트랜지스터(DR)의 센싱노드 또는 레퍼런스라인(VREF)의 전압 또는 전류를 센싱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데이터라인(DL1)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구동 트랜지스터(DR)의 게이트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제1전원라인(EVDD)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된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게이트전극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제2전극에 애노드전극이 연결되고 제2전원라인(EVSS)에 캐소드전극이 연결된다. 센싱 트랜지스터(ST)는 레퍼런스라인(VREF)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센싱노드인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 및 구동 트랜지스터(DR)의 제2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된다.
센싱 트랜지스터(ST)의 동작 시간은 외부 보상 알고리즘(또는 보상 회로의 구성)에 따라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유사 또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된 제1a스캔라인(GL1a)과 센싱 트랜지스터(ST)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된 제1b스캔라인(GL1b)은 공통으로 공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a스캔라인(GL1a)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되고, 센싱 트랜지스터(ST)는 제1b스캔라인(GL1b)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a스캔라인(GL1a)과 제1b스캔라인(GL1b)은 각기 다른 스캔신호를 전달하도록 분리된다.
레퍼런스라인(VREF)은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구동부는 실시간, 영상의 비표시기간 또는 N 프레임(N은 1 이상 정수) 기간 동안 서브 픽셀의 센싱노드를 센싱하고 센싱결과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센싱 트랜지스터(ST)는 동일한 시간에 턴온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구동부의 시분할 방식에 의거 레퍼런스라인(VREF)을 통한 센싱 동작과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동작은 상호 분리(구분) 된다.
이 밖에, 센싱결과에 따른 보상 대상은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 또는 감마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센싱결과를 기반으로 보상신호(또는 보상전압) 등을 생성하는 보상 회로는 데이터 구동부의 내부, 타이밍 제어부의 내부 또는 별도의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광차단층(LS)은 구동 트랜지스터(DR)의 채널영역 하부에만 배치되거나 구동 트랜지스터(DR)의 채널영역 하층뿐만 아니라 스위칭 트랜지스터(SW) 및 센싱 트랜지스터(ST)의 채널영역 하층에도 배치될 수 있다. 광차단층(LS)은 단순히 외광을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광차단층(LS)을 다른 전극이나 라인과의 연결을 도모하고, 커패시터 등을 구성하는 전극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차단층(LS)은 차광 특성을 갖도록 복층(이종 금속의 복층)의 금속층으로 선택된다.
기타, 도 3에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Cst),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센싱 트랜지스터(ST)를 포함하는 3T(Transistor)1C(Capacitor) 구조의 서브 픽셀을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보상회로(CC)가 추가된 경우 3T2C, 4T2C, 5T1C, 6T2C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표시 패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브 픽셀들의 단면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또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50a)의 표시영역(AA) 상에는 도 3에서 설명된 회로 등을 기반으로 서브 픽셀들이 형성된다. 제1기판(150a)의 서브 픽셀들은 제2기판(보호기판 또는 보호필름)(150b) 및 접착부재(ADH)에 의해 밀봉된다. 기타 미설명된 NA는 비표시영역을 의미한다. 제1기판(150a) 및 제2기판(150b)은 유리 또는 수지와 같이 연성을 갖는 재료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서브 픽셀들은 표시영역(AA) 상에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의 순으로 수평 또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서브 픽셀들의 배치 순서는 발광재료, 발광면적, 보상회로의 구성(또는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나의 픽셀(P)은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의 서브 픽셀들로 정의되거나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서브 픽셀들로 정의된다.
서브 픽셀들은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의 재료 또는 발광층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바꿔주는 컬러필터의 재료에 대응하여 출사광의 색이 결정된다. 즉, 발광층 자체적으로 색을 표현하거나 발광층과 컬러필터를 기반으로 색을 표현할 수 있다. 이하 컬러필터의 재료에 대응하여 색이 결정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의 서브 픽셀들은 백색 발광다이오드와 컬러필터(R,G,B,W)를 포함할 수 있다. 백색 발광다이오드는 제1기판(150a)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하부전극(E1), 백색의 발광층(WEML) 및 상부전극(E2)으로 구성된다. 컬러필터(R,G,B,W)는 백색 발광다이오드와 마주보는 제2기판(150a)의 타면 또는 백색 발광다이오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전극(E2)과 컬러필터(R,G,B,W) 사이에는 수지층(Res)이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지층(Res)은 밀봉구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하부전극(E1)은 제2기판(150a) 방향으로의 출광 특성을 향상하기 위해 제1하부전극(E1a), 제2하부전극(E1b) 및 제3하부전극(E1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하부전극(E1a)은 투명성을 갖는 금속재료(예: ITO), 제2하부전극(E1b)은 반사성을 갖는 금속재료(예: Ag), 제3하부전극(E1c)은 투명성을 갖는 금속재료(예: ITO)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하부전극(E1)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고해상도 구현을 위해 개구율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브 픽셀의 개구율을 향상하기 위해 실험예의 모델을 연구하고, 실험예 대비 개구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실시예들의 구조를 제안한다.
<실험예>
도 6은 실험예에 따른 서브 픽셀들의 평면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실험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평면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서브 픽셀의 장축 방향의 단면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예에 따른 제1서브 픽셀(SP1) 내지 제4서브 픽셀(SP4)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서브 픽셀들의 배치 및 형성은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서브 픽셀(SP1)과 제2서브 픽셀(SP2)은 좌우로 인접하는 서브 픽셀로 정의될 수 있고, 제2서브 픽셀(SP2)과 제4서브 픽셀(SP4)은 상하로 인접하는 서브 픽셀로 정의될 수 있고, 제3서브 픽셀(SP3)과 제2서브 픽셀(SP2)은 사선으로 인접하는 서브 픽셀로 정의될 수 있다.
텔레비젼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고해상도 제품군이 아닌 가상현실기기(VR)와 같은 초고해상도 제품군의 경우, 서브 픽셀들 간의 인접하는 간격이 더 좁다. 이때, 서브 픽셀들 간의 인접하는 간격은 상하, 좌우, 사선을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의 실험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픽셀(SPn)의 발광영역(EMA)은 뱅크층(BNK)에 의해 정의된다. 콘택홀(CNT)은 발광영역(EMA)과 인접한 곳에 형성된다. 콘택홀(CNT)의 내부와 표면은 뱅크층(BNK)에 의해 덮여있는 상태이다.
콘택홀(CNT)은 트랜지스터(TFT)의 전극(TE)과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하부전극(E1) 간에 콘택(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도시된 트랜지스터(TFT)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해당하고, 전극(TE)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전극 또는 드레인전극에 해당한다.
하부전극(E1)은 트랜지스터(TFT)의 보호막(PAS)을 덮고 있는 평탄화막(PAC) 상에 위치하며, 트랜지스터(TFT)의 전극(T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하부전극(E1)은 평탄화막(PAC)의 측벽에 위치하는 부분(또는 콘택부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부 표면에 위치하는 부분(또는 발광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구분된다.
뱅크층(BNK)은 하부전극(E1)을 노출하는 발광영역(EMA)과 더불어 하부로 함몰된 뱅크홀(HO)을 갖는다. 뱅크홀(HO)은 발광영역(EMA)을 둘러싸도록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또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뱅크홀(HO)은 하부전극(E1) 이후에 형성되는 발광층(예: 전하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과 같이 서브 픽셀들 간의 전류 누설을 야기하는 층)이 다른 서브 픽셀과 연결된 상태를 갖지 않고 분리되어 각 서브 픽셀 영역 내에만 존재하도록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뱅크층(BNK)은 발광영역(EMA)을 정의하면서 뱅크홀(HO)을 형성하기 위한 높이를 제공해야 하므로 일정 높이를 구성할 수 있는 유기 재료로 선택된다.
실험예는 초고해상도 제품군과 같이 서브 픽셀들 간의 간격이 좁은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도 7 및 도 8과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표시 패널을 형성한다. 그런데 실험예를 연구한 결과, 이는 콘택홀(CNT)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 마진(Margin)을 고려해야 하여 개구영역을 넓히는 등의 설계 변경에 어려움이 있어 초고해상도 구현 시 수명 이슈(Issue)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1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평면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서브 픽셀의 장축 방향의 단면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평탄화막의 분리홀과 그 주변의 구조물에 대한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12는 콘택홀이 포함된 발광영역을 갖는 서브 픽셀들과 충전층에 대한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 및 도 10의 제1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픽셀(SPn)의 발광영역(EMA)은 뱅크층(BNK)에 의해 정의된다. 콘택홀(CNT)은 발광영역(EMA)의 내부에 형성된다. 콘택홀(CNT)의 내부는 충전층(HFL)에 의해 채워져 있는 상태이다.
콘택홀(CNT)은 트랜지스터(TFT)의 전극(TE)과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하부전극(E1) 간에 콘택(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도시된 트랜지스터(TFT)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해당하고, 전극(TE)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전극 또는 드레인전극에 해당한다.
하부전극(E1)은 트랜지스터(TFT)의 보호막(PAS)을 덮고 있는 평탄화막(PAC) 상에 위치하며, 트랜지스터(TFT)의 전극(T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하부전극(E1)은 복층으로 이루어진다. 제1하부전극(E1a)은 평탄화막(PAC)의 측벽에 위치하는 부분(또는 콘택부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부 표면에 위치하는 부분(또는 발광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구분된다.
제2 및 제3하부전극(E1b, E1c)은 제1하부전극(E1a) 상에 위치하되, 제1하부전극(E1a) 상에 위치하는 부분과 충전층(HFL) 상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구분된다. 제1 내지 제3하부전극(E1a ~ E1c)의 재료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서는 제1하부전극(E1a) 상에 제2 및 제3하부전극(E1b, E1c) 이상 두 개의 층이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으나 하나의 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콘택홀(CNT)이 발광영역(EMA)의 내부에 형성됨에 따라 발광영역(EMA) 또한 제1발광영역(EMAa)과 제2발광영역(EMAb)으로 구분된다. 제1발광영역(EMAa)은 제2발광영역(EMAb)을 제외하고 뱅크층(BNK)을 통해 노출된 영역에 해당한다. 제2발광영역(EMAb)은 콘택홀(CNT) 또는 충전층(HFL)이 차지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이하의 공정을 통해 제1발광영역(EMAa)과 제2발광영역(EMAb)에는 발광층과 상부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영역은 모두 동일한 색의 빛을 발광하게 된다.
평탄화막(PAC)은 콘택홀(CNT)과 더불어 하부로 함몰된 분리홀(HO)을 갖는다. 분리홀(HO)은 발광영역(EMA)을 둘러싸도록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또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브 픽셀의 형상과 발광영역의 형상은 다양한바 분리홀(HO) 또한 이들 형상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직사각형(또는 사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리홀(HO)은 하부전극(E1) 이후에 형성되는 발광층(예: 전하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과 같이 서브 픽셀들 간의 전류 누설을 야기하는 층)이 다른 서브 픽셀과 연결된 상태를 갖지 않고 분리되어 각 서브 픽셀 영역 내에만 존재하도록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즉 분리홀(HO)은 실험예의 뱅크홀(HO)과 같은 역할을 한다.
분리홀(HO)의 주변에는 하부전극(E1)의 일부를 덮는 뱅크층(IBNK)이 위치한다. 뱅크층(IBNK)은 발광영역(EMA)을 정의하지만 실험예와 달리 홀을 형성하기 위한 높이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무기 재료로 선택된다.
제1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면 콘택홀(CNT)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 마진(Margin)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그 이유는 발광영역(EMA)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과 콘택홀(CNT)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을 하나의 공간 내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발광영역(EMA)과 콘택홀(CNT)의 분리 배치에 따른 공간 손실분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면 발광영역(EMA)과 콘택홀(CNT)이 하나로 통합되고 발광영역(EMA) 내의 콘택홀(CNT)에서도 발광이 가능하므로 개구율이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제1실시예는 초고해상도 구현 시 실험예에서 우려되는 문제(수명)를 해소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제조 공정 상에서의 이점 또한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면 크기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콘택홀(CNT)을 발광영역(EMA)의 내부에 자유롭게 구성 및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실시예는 트랜지스터(TFT)의 전극(TE)과 하부전극(E1) 간의 콘택 저항을 낮출 수도 있다.
제1실시예를 기반으로 제작한 서브 픽셀의 구조물에 대한 단면을 첨부하면 도 11 및 도 12와 같다. 도 11에서, PAC은 평탄화막, Anode는 하부전극, 무기 Bank는 뱅크층에 해당하고, 도 12에서 Contact Hole은 콘택홀, HFL은 충전층에 해당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제조방법에서는 트랜지스터 부분을 간략 도시하고 이후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 및 설명한다. 그 이유는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하부영역의 구조는 트랜지스터의 타입이나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3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150a) 상에 게이트전극, 소오스전극, 드레인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TFT)를 형성한다. 제1기판(150a) 상에 트랜지스(TFT)를 덮는 보호막(PAS)을 형성한다.
제1기판(150a) 상에는 보호막(PAS)을 덮는 평탄화막(PAC)이 형성된다. 평탄화막(PAC)은 유기 재료로 선택된다. 보호막(PAS) 및 평탄화막(PAC)은 트랜지스터(TFT)의 전극(TE)을 노출하도록 패턴된다. 평탄화막(PAC)에서 트랜지스터(TFT)의 전극(TE)을 노출하는 부분은 콘택홀(CNT)이 된다. 콘택홀(CNT)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차 전극 공정을 수행(제1차 하부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하여 평탄화막(PAC) 상에 제1하부전극(E1a)을 형성한다. 평탄화막(PAC) 상에 충전층(HFL)을 형성한다. 충전층(HFL)은 유기 재료로 선택되므로 콘택홀(CNT)을 채움과 동시에 평탄화막(PAC) 상에 일정 두께로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150a)의 상부 전면을 노광한 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150a)의 상부 전면을 현상(Develop) 및 큐링(Curing)한 후 평탄화막(PAC) 상에 잔존하는 충전층(HFL)을 제거한다. 이로 인하여, 콘택홀(CNT) 내부에만 충전층(HFL)이 남게 된다. 이때, 충전층(HFL)은 제1하부전극(E1a)과 유사 또는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차 전극 공정을 수행(제2차 하부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하여 제1하부전극(E1a) 상에 제2 및 제3하부전극(E1b, E1c)을 형성한다. 제1차 전극 공정에서는 단층으로 제1하부전극(E1a)을 형성하고, 제2차 전극 공정에서는 복층으로 제2 및 제3하부전극(E1b, E1c)을 형성하는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및 제2차 전극 공정 모두 단층으로 전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막(PAC)에 분리홀(HO)을 형성한다. 분리홀(HO)은 평탄화막(PAC)의 하부로 함몰된 공간을 제공한다. 평탄화막(PAC)에 형성된 분리홀(HO)에 의해 제1 내지 제3하부전극(E1a~Eac)은 서브 픽셀로 정의된 영역마다 구분되어 위치하도록 패턴된다. 즉, 분리홀(HO)에 의해 평탄화막(PAC)의 전면에 위치하던 하부전극은 서브 픽셀단위로 분리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하부전극(E1c)(또는 제2하부전극이 될 수도 있음) 상에 뱅크층(IBNK)을 형성한다. 뱅크층(IBNK)은 무기 재료로 선택된다. 뱅크층(IBNK)은 분리홀(HO)의 내부와 분리홀(HO)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3하부전극(E1c)의 일부만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하, 도 19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분리홀(HO) 및 뱅크층(IBNK)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보충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전극(E1) 상에 분리홀로 사용할 분리홀영역(HOA)을 정의한다. 하부전극(E1) 상에 포토레지스트(PR)를 형성하고, 앞서 정의된 분리홀영역(HOA)이 노출되도록 포토레지스트(PR)를 패턴한다. 그리고 하부전극(E1)을 제거하기 위해 습식식각(Wet Etch)을 진행한다. 습식식각을 진행하면 포토레지스트(PR)를 통해 노출된 하부전극(E1)은 제거된다. 그 결과 하부전극(E1)의 하부에 위치하는 평탄화막(PAC)이 노출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막(PAC)을 제거하기 위해 건식식각(Dry Etch)을 진행한다. 건식식각을 진행하면 포토레지스트(PR)를 통해 노출된 평탄화막(PAC)은 제거된다. 그 결과 평탄화막(PAC)에는 하부로 함몰된 분리홀(HO)이 형성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홀(HO)이 형성된 이후 포토레지스트(PR)를 제거한다. 그 결과 평탄화막(PAC)과 하부전극(E1)에는 평탄화막(PAC)의 내부로 함몰된 혈태의 분리홀(HO)이 형성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전극(E1) 상에 뱅크층(IBNK)을 형성한다. 뱅크층(IBNK)은 패턴 공정에 의해 분리홀(HO)에 대응되는 위치를 제외하고 다른 영역은 제거된다. 그 결과 뱅크층(IBNK)은 분리홀(HO)의 내부와 분리홀(HO)의 주변에 위치하는 하부전극(E1)의 일부만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전극(E1) 상에 발광층(EML)과 상부전극(E2)을 형성한다. 발광층(EML)과 상부전극(E2)은 표시영역을 노출하는 마스크(공통 마스크)를 기반으로 증착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공정에 의해, 하부전극(E1), 발광층(EML) 및 상부전극(E2)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가 형성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전극(E1) 상에 발광층(EML)과 상부전극(E2)을 형성한다. 상부전극(E2)은 표시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지만, 발광층(EML)은 분리홀(HO)에 의해 다음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1) 발광층(EML)은 서브 픽셀들의 모든 영역(발광영역 및 비발광영역 포함)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형성되지만 분리홀(HO)에서 분리된다. (2) 발광층(EML)은 서브 픽셀들의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형성되지만 분리홀(HO)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과 분리된 부분이 함께 존재한다. (3) 발광층(EML)은 서브 픽셀들의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형성되지만 분리홀(HO)의 내부에서만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특히 분리홀의 측벽에 존재하는 발광층의 두께가 가장 얇다)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발광층(EML)이 (1) 내지 (3)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이유는 분리홀(HO), 뱅크층(IBNK), 하부전극(E1)의 패턴 구조에 의한 것인데, 이는 이하의 설명을 참조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은 제1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므로 제1실시예 대비 특징이 되는 부분만 설명하고 나머지는 생략하되, 생략된 부분은 제1실시예를 참조한다.
<제2실시예>
도 25 내지 도 2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29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충전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8의 제2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층(HFL)은 노광, 현상 및 큐링 공정 조건을 가변하여 제1하부전극(E1a)과 유사 또는 동일한 높이를 갖지 않고 하부로 더 함몰된 형태(오목 렌즈형)를 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9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층(HFL)은 노광, 현상 및 큐링 공정 조건을 가변하여 제1하부전극(E1a)과 유사 또는 동일한 높이를 갖지 않고 상부로 더 돌출된 형태(볼록 렌즈형)를 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위의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충전층(HFL)은 공정의 조건을 가변함에 따라 위와 같은 형상을 취하게 된다. 한편, 충전층(HFL)의 가장 이상적인 형태는 제1하부전극(E1a)과 유사 또는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의 구조를 이용하면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출사광을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예들은 발광영역의 증가로 인한 수명향상은 물론 상하/좌우 시야각 또한 향상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30은 제3실시예에 따른 분리홀과 하부전극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의 제3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홀(HO)과 하부전극(E1)은 (1)분리홀(HO)의 경계면과 하부전극(E1)의 경계면이 대응하는 구조(도 30의 a) 또는 (2)분리홀(HO)의 경계면보다 하부전극(E1)의 경계면이 더 돌출된 구조(도 30의 b)를 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분리홀(HO)과 하부전극(E1)의 가장 이상적인 구조는 도 30의 (b)와 같이 평탄화막(PAC)이 하부전극(E1)의 경계면보다 더 내측으로 인입되어 함몰된 형태(머쉬룸 또는 언더컷 등으로 부를 수 있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실험 결과 위와 같은 구조가 발광층의 분단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제4실시예>
도 31은 제4실시예에 따른 뱅크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의 확대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뱅크층(IBNK)은 분리홀(HO)의 경계면에 인접하는 부분의 상측과 하측 모서리가 둥근 형태(도 31의 a), (2) 분리홀(HO)의 경계면에 인접하는 부분의 상측 또는 하측 모서리만 둥근 형태(도 31의 b, c), (3) 분리홀(HO)의 경계면에 인접하는 부분의 상측과 하측 모서리가 각진 형태(도 31의 d)를 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하부전극(E1)의 구조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뱅크층(IBNK)의 경계면은 분리홀(HO)의 경계면에 대응되거나, 분리홀(HO)의 경계면보다 더 돌출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뱅크층(IBNK)에서 분리홀(HO)의 경계면에 인접하는 부분은 도 31과 같은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도 31과 같은 구조로 뱅크층(IBNK)을 형성한 경우 발광층의 분단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은 발광영역 내에 발광할 수 있는 콘택홀을 배치하므로 공간 손실분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발광영역과 콘택홀의 통합 배치로 개구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영역 내의 콘택홀에서도 발광이 가능하므로 개구율 증가와 더불어 수명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택홀을 발광영역 내에 자유롭게 구성 및 배치할 수 있어 전극 간의 콘택 저항을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NK: 뱅크층 EMA: 발광영역
CNT: 콘택홀 HFL: 충전층
PAC: 평탄화막 HO: 분리홀
E1: 하부전극

Claims (10)

  1. 제1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빛을 발광하는 발광영역을 갖는 서브 픽셀들; 및
    상기 발광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서브 픽셀의 트랜지스터와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콘택홀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홀은 상기 발광영역과 동일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홀은
    함몰된 내부를 채우는 충전층을 포함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홀 상에 위치하는 하부전극과,
    상기 하부전극 상에 위치하는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상부전극을 더 포함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픽셀들은
    상기 제1기판 상의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 상에 위치하는 보호막과,
    상기 보호막 상에 위치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전극을 노출하며 상기 발광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콘택홀을 갖는 평탄화막과,
    상기 평탄화막 및 상기 콘택홀 상에 위치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전극에 연결된 제1차 하부전극과,
    상기 콘택홀의 내부를 채우는 충전층과,
    상기 제1차 하부전극 및 상기 충전층 상에 위치하는 제2차 하부전극과,
    상기 제2차 하부전극 상에 위치하는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상부전극을 포함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막은
    상기 발광영역을 둘러싸고 하부로 함몰된 분리홀을 포함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및 제2차 하부전극은
    상기 분리홀에 의해 서브 픽셀마다 분리된 전계발광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상기 서브 픽셀들의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형성되지만 상기 분리홀에서 분리된 전계발광표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상기 서브 픽셀들의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형성되지만 상기 분리홀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과 분리된 부분이 함께 존재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상기 서브 픽셀들의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형성되지만 상기 분리홀의 내부에서만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전계발광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층은
    상기 제1차 하부전극과 유사 또는 동일한 높이를 갖거나,
    상기 제1차 하부전극보다 하부로 더 함몰되거나,
    상기 제1차 하부전극보다 상부로 더 돌출된 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170083858A 2017-06-30 2017-06-30 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248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858A KR102248875B1 (ko) 2017-06-30 2017-06-30 전계발광표시장치
US16/019,339 US10644075B2 (en) 2017-06-30 2018-06-26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858A KR102248875B1 (ko) 2017-06-30 2017-06-30 전계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40A true KR20190003240A (ko) 2019-01-09
KR102248875B1 KR102248875B1 (ko) 2021-05-06

Family

ID=6473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858A KR102248875B1 (ko) 2017-06-30 2017-06-30 전계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44075B2 (ko)
KR (1) KR102248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15946A1 (en) * 2017-04-28 2018-11-01 Canon Kabushiki Kaisha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mage captur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658B1 (ko) * 2018-12-03 2024-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23531839A (ja) * 2020-04-29 2023-07-26 京東方科技集團股▲ふん▼有限公司 有機発光表示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有機発光表示装置
KR20220111814A (ko) * 2021-02-02 2022-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TWI757097B (zh) * 2021-02-17 2022-03-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7243A (ja) * 1998-11-12 1999-11-05 Tdk Corp 有機el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83213A (ko) * 2000-02-22 2001-08-31 야마자끼 순페이 자기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36627A (ko) * 2003-10-16 2005-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능동 매트릭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197027A (ja) * 2004-01-05 2005-07-21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有機el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60044256A (ko) * 2004-11-11 2006-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56566A (ko) * 2005-11-30 2007-06-04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면광원 장치
KR20120112067A (ko) * 2011-03-31 2012-10-11 소니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10766A (ko) * 2013-03-08 2014-09-1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KR20150021890A (ko) * 2013-08-21 2015-03-03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유기 el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890B1 (ko) * 2011-12-23 2018-0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EP2808916B1 (en) * 2013-05-30 2018-12-12 L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213702B1 (ko) * 2014-11-07 2021-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2584253B1 (ko) 2014-12-12 2023-10-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03000B1 (ko) * 2015-10-01 2022-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9033B1 (ko) * 2015-12-28 2022-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70263A (ko) * 2016-12-16 2018-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58680B1 (ko) * 2017-04-28 2022-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7689A (ko) * 2018-01-15 2019-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7243A (ja) * 1998-11-12 1999-11-05 Tdk Corp 有機el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83213A (ko) * 2000-02-22 2001-08-31 야마자끼 순페이 자기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36627A (ko) * 2003-10-16 2005-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능동 매트릭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197027A (ja) * 2004-01-05 2005-07-21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有機el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60044256A (ko) * 2004-11-11 2006-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56566A (ko) * 2005-11-30 2007-06-04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면광원 장치
KR20120112067A (ko) * 2011-03-31 2012-10-11 소니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10766A (ko) * 2013-03-08 2014-09-1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KR20150021890A (ko) * 2013-08-21 2015-03-03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유기 el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15946A1 (en) * 2017-04-28 2018-11-01 Canon Kabushiki Kaisha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mage captur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11004916B2 (en) * 2017-04-28 2021-05-11 Canon Kabushiki Kaisha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mage captur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06436A1 (en) 2019-01-03
KR102248875B1 (ko) 2021-05-06
US10644075B2 (en) 202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875B1 (ko) 전계발광표시장치
US11069756B2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CN110034156B (zh) 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8987437B (zh) 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0439006B2 (en) Controlling luminance of a display unit
US9219087B2 (en) Display, display drive metho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627343B1 (ko) 표시장치
CN109887953B (zh) 发光二极管显示器
TWI683166B (zh) 顯示面板及有機發光顯示裝置
TWI714166B (zh) 透光oled基板及oled基板
KR20190067410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079034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06047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EP3480851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KR102043846B1 (ko) 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90076500A (ko) 전계발광표시장치
US11183550B2 (en)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40132674A (ko) 표시 장치
JP6299845B1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19012620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220131104A1 (en)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0890061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593451B1 (ko)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US20200027937A1 (en)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W202009561A (zh) 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