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859U -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 - Google Patents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859U
KR20190002859U KR2020180002012U KR20180002012U KR20190002859U KR 20190002859 U KR20190002859 U KR 20190002859U KR 2020180002012 U KR2020180002012 U KR 2020180002012U KR 20180002012 U KR20180002012 U KR 20180002012U KR 20190002859 U KR20190002859 U KR 201900028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uxiliary container
engine
pipe
engin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국
Original Assignee
김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국 filed Critical 김성국
Priority to KR2020180002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859U/ko
Publication of KR201900028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5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02Drain pans
    • F16N31/004Drain pans combined with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14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80/00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서 엔질오일을 교환하기 위해 엔진오일팬에 충진된 엔진오일을 배출하는 엔진오일의 오염도를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바퀴가 구비된 오일수용탱크과, 오일수용탱크의 상부에 위치하며 엔진오일팬에서 배출되는 엔진오일이 1차 수용되어 엔진오일을 유관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일보조수용함과, 오일보조수용함의 상부에 위치하여 엔진오일팬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외부 유출되지 않고 오일보조수용함으로 유입되게 하는 깔떼기 형상의 오일수용유도부로 구성되어 배출된 오일의 탁함과 이물질 유입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An oil drain for a car consolidation}
본 고안은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서 엔질오일을 교환하기 위해 엔진오일팬에 충진된 엔진오일을 배출하는 엔진오일의 오염도를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내연기관에서는 폭발에 의한 엔진의 손상 및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오일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엔진오일은 엔진에 투입되어 엔진의 윤활작용을 하여 엔진의 마모등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 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엔진오일은 일정 기간 사용하면 엔진오일이 오염되어 윤활성이 떨어지므로 일정 사용주기를 두고 교체하고 있다.
한편, 엔진오일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차체의 바닥이 노출되게 장비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후 엔진오일팬을 개방하여 사용연한이 다된 오일을 빼내고 새로운 오일로 교체하여 주고 있다.
그러나, 종래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은 엔진오일팬에서 제거하는 엔진오일의 오염정도와 배출된 엔진오일량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등록실용신안 20-0276392
본 고안은 종래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엔진오일팬에서 수거하는 엔진오일의 양과, 엔젠오일의 오염도를 유관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바퀴가 구비된 오일수용탱크과, 오일수용탱크의 상부에 위치하며 엔진오일팬에서 배출되는 엔진오일이 1차 수용되어 엔진오일을 유관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일보조수용함과, 오일보조수용함의 상부에 위치하여 엔진오일팬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외부 유출되지 않고 오일보조수용함으로 유입되게 하는 깔떼기 형상의 오일수용유도부로 구성되어 배출된 오일의 탁함과 이물질 유입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엔진오일팬에서 배출되는 엔진오일을 투명용기로 형성된 오일보조수용함을 통해 엔진오일의 오염도확인과 배출된 오일의 양을 측정할 수 있어 엔진을 분해하지 않고도 엔진의 이상을 체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오일보조수용함의 배출된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구 측에 구성된 방사판에 의해 사방으로 방사되며 흘러내기게 되어 배출되는 오일에 혼합된 불순물을 보다 쉽게 유관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오일보조수용함의 배출된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구 측에 이물질포집구를 구비하여 실시함으로써 배출된 오일과 이물질을 쉽게 분리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 본 고안은 엔진오일팬에서 배출된 엔진오일을 이물질과 분리 저장되게 하는 오일수용탱크(10)과, 오일수용탱크(10)의 상부에 구성되어 배출된 엔진오일이 유입될 때 엔진오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구성된 오일보조수용함(20)과, 오일보조수용함(20)에 엔진오일의 유입되도록 하는 오일수용유도부(3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수용탱크(10) 상부에 구성되는 오일보조수용함(20)과 오일수용유도부(30)는 수직하게 일렬 배열되어 오일의 유도유입이 쉽게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수용탱크(10)은 하부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구비되고 일측으로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수용탱크(10)의 상부 일측에는 수용된 오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오일배출부(1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배출부(12)는 공기유입관과 오일배출관으로 구성되고, 공기의 유입을 단속하는 밸브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공급관체(11)에는 밸브가 구성되어 오일보조수용함(20)에 유입된 오일을 유관확인한 후 오일수용탱크(10)에 유입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보조수용함(20)은 오일수용탱크(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유입되는 오일의 오염도를 관측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수용된 오일양을 체크하도록 눈금으로 된 측량부(20a)가 형성된다.
상기오일보조수용함(20)은 오일수용탱크(10)와 공급관체(11)로 연결되어 오일보조수용함(20)에 수용된 엔진오일을 오일수용탱크(10)으로 유입되게 구성되고, 오일보조수용함(20)의 상면 일측에는 내부 공압이 일정 기압이상으로 상승했을 때 내부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압배출밸브(20b)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수용유도부(30)는 오일보조수용함(20)의 상부에 구성되며, 오일수용유도부(30)와 오일보조수용함(20)은 오일유도관체(21)로 연결되고, 오일유도관체(21)는 오일수용유도부(30)에 유입되는 오일을 오일보조수용함(20)으로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유도관체(21)는 오일보조수용함(20)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유도관체(21)의 내부에는 크리닝관체(23)가 구성되고, 상기 크리닝관체(23)는 콤프레샤와 같은 압력장치와 연결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오일보조수용함(20)의 내부에 돌출된 오일유도관체(21)의 양측으로 편심돌출되는 노즐(23a)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오일보조수용함(20)의 벽체에서 일방향 회류유도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유도관체(21)는 일측에 오일흡입관부(22)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오일흡입관부(22)는 차체를 들어올리지 않고 엔진오일을 오일보조수용함(20)으로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흡입관부(22)는 공압을 이용하여 벤추리효과에 의해 엔진오일을 흡입하도록 일 측에는 공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공압연결부(22a), 타 측에는 엔진오일을 흡입하는 흡입관(22c)이 연결되는 흡입관연결부(22b)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도관체(21)의 하부 유입부측에 연결되며 오일보조수용함(20)에 위치하여 불순물을 거름 하는 망체로 형성된 이물질포집구(24)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물집포집구(24)는 오일보조수용함(20)의 내측 상면에 착탈결합할 수 있도록 오일유도관체(21)의 하부에 숫나사가 형성된 체결부(21a)를 형성하고, 이물집포집구(24) 상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착탈결합부(24a)가 형성되어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엔진오일팬에서 배출된 엔진오일을 이물질과 분리 저장되게 하는 오일수용탱크(10)과, 오일수용탱크(10)의 상부에 구성되어 배출된 엔진오일이 유입될 때 엔진오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구성된 오일보조수용함(20)과, 오일보조수용함(20)에 엔진오일의 유입되도록 하는 오일수용유도부(30)로 구성되어 차체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오일수용유도부(30)와 투명하게 형성된 오일보조수용함(20)을 통해 오일수용탱크(10)으로 모이게 되어 오일의 오염도와 불순물 함유정도를 유관으로 측정할 수 있어 엔진 상태를 관찰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오일수용탱크(10)과 오일보조수용함(20)은 밸브가 구비된 공급관체(11)로 연결되고, 오일보조수용함(20)과 오일수용유도부(30)는 밸브가 구비된 오일유도관체(21)로 연결되어 있어 오일의 오일수용유도부(30)로 부터 오일수용탱크(10)으로 유입되는 오일의 양을 각각 별도 조절할 수 있게되어 오일의 불순물 함유측정을 보다 정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일수용유도부(30)는 깔데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차체로 부터 흘러나오는 오일이 외부유출되지 않게 하며 오일보조수용부로 흘러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수용탱크(10)의 상부 일측에는 수용된 오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오일배출부(12)가 형성되어 있어 일정량 이상 오일이 수용되었을 때 오일배출부(12)를 통해 오일을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도관체(21)는 오일보조수용함(20)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오일유도관체(21)의 단부에서 유입되는 오일을 일정길이 내측 하부에서 분출됨으로써 오일보조수용함(20)의 상면과 외벽측으로 오일이 튀지 않아 벽체의 오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도관체(21)를 크리닝관체(23)가 구성되고, 상기 크리닝관체(23)는 콤프레샤와 같은 압력장치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보조수용함(20)의 내부에 돌출된 오일유도관체(21)의 양측으로 편심돌출되는 노즐(23a)이 구성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오일보조수용함(20)의 벽체에서 일방향으로 회류 하며 벽체에 묻은 오일을 하부로 쓸러 내리게 되어 오일보조수용함(20)에 수용된 오일량을 측량부(20a)를 통해 정확히 계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오일유도관체(21)는 일측에 오일흡입관부(22)가 연결구성되어 차체를 들어올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엔진오일팬에서 오일보조수용함(20)으로 직접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오일흡입관부(22)은 공압에 의해 엔진오일을 흡입하도록 일 측에는 공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공압연결부(22a), 타 측에는 엔진오일을 흡입하는 흡입관(22c)이 연결되는 흡입관연결부(22b)로 구성되어 있어서 벤추리효과에 의한 오일흡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도관체(21)의 하부 유입부측에 연결되며 오일보조수용함(20)에 위치하여 불순물을 거름 하는 망체로 형성된 이물질포집구(24)를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오일과 별도로 이물질이 이물질포집구(24)에서 걸러져 이물질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물질이 오일수용탱크(10)으로 유입을 방지하여 배수관의 막힘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10 : 오일수용탱크 11 : 공급관체
12 : 오일배출부 20 : 일보조수용함
20a : 측량부 20b : 공압배출밸브
21 : 오일유도관체 21a : 체결부
22 : 오일흡입관부 22a : 공압연결부
22b : 흡입관연결부 22c : 흡입관
23 : 크리닝관체 23a : 노즐
24 : 이물질포집구 24a : 착탈결합부
30 : 오일수용유도부

Claims (3)

  1. 엔진오일팬에서 배출된 엔진오일을 이물질과 분리 저장되게 하는 오일수용탱크(10)와, 오일수용탱크(10)의 상부에 구성되어 배출된 엔진오일이 유입될 때 엔진오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구성된 오일보조수용함(20)과, 오일보조수용함(20)에 엔진오일의 유입되도록 하는 오일수용유도부(30)가 일렬로 구성되되;
    상기 오일수용탱크(10)은 하부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구비되고, 측면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오일보조수용함(20)은 오일수용탱크(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오일수용탱크(10)와 밸브가 구비된 공급관체(11)로 연결되어 오일보조수용함(20)에 수용된 엔진오일을 오일수용탱크(10)로 유입되게 구성되며,
    상기 오일수용유도부(30)는 오일보조수용함(20)의 상부에 구성되며, 오일수용유도부(30)와 오일보조수용함(20)은 오일보조수용함(20)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며 밸브가 구비된 오일유도관체(21)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오일유도관체(21)는 일측에 차체를 들어올리지 않고 별도의 함체를 이용하여 받은 엔진오일을 오일보조수용함(20)로 흡입하도록 오일흡입관부(22)가 구성되며,
    상기 오일흡입관부(22)는 엔진오일을 벤츄리효과를 통해 흡입할 수 있도록 일 측에는 공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공압연결부(22a), 타 측에는 엔진오일을 흡입하는 흡입관(22c)이 연결되는 흡입관연결부(22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도관체(21)의 내부에는 크리닝관체(23)가 구성되고, 상기 크리닝관체(23)는 외부 공기공급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오일보조수용함(20)의 내부에 돌출된 오일유도관체(21)의 양측으로 편심돌출되는 노즐(23a)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오일보조수용함(20)의 벽체에서 일방향 회류유도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도관체(21)의 하부 유입부측에 연결되며 오일보조수용함(20)에 위치하여 불순물을 걸러내도록 오일보조수용함(20)의 내측 상면에 착탈결합할 수 있도록 오일유도관체(21)의 하부에 숫나사가 형성된 체결부(21a)를 형성하고, 이물집포집구(24) 상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착탈결합부(24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
KR2020180002012U 2018-05-09 2018-05-09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 KR201900028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12U KR20190002859U (ko) 2018-05-09 2018-05-09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12U KR20190002859U (ko) 2018-05-09 2018-05-09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59U true KR20190002859U (ko) 2019-11-19

Family

ID=6869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012U KR20190002859U (ko) 2018-05-09 2018-05-09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85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129B1 (ko) * 2021-04-13 2021-08-24 주식회사 나인서클코리아 엔진오일교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392Y1 (ko) 2002-01-14 2002-05-22 지영진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392Y1 (ko) 2002-01-14 2002-05-22 지영진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129B1 (ko) * 2021-04-13 2021-08-24 주식회사 나인서클코리아 엔진오일교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8152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draining crank case oil
CN204325990U (zh) 一种水浴吸尘车
KR20190002859U (ko) 자동차 정비용 오일드레인
CN201610878U (zh) 压缩空气精密过滤器
CN206956639U (zh) 一种清扫车的扬尘过滤系统
CN203035397U (zh) 一种新型汽柴油机用空气滤清器
CN205419966U (zh) 一种印染水液颗粒油液过滤装置
CN211839354U (zh) 一种染色称料废尘收集装置
CN205570919U (zh) 一种莠灭净粉料收集装置
CN204200303U (zh) 发动机废油排放阀
CN202578974U (zh) 矿用重型汽车空气滤清器除尘机除尘净化装置
CN204126991U (zh) 三轮摩托车液压油箱
CN105839744B (zh) 真空抽吸系统
CN203146164U (zh) 油浴式空滤器
US10806315B2 (en) Vacuum cleaner attachment device and system
CN211562346U (zh) 一种机车整备除尘装置
CN110614002A (zh) 湿法除尘设备
CN209079864U (zh) 一种接油机
CN204919444U (zh) 一种鼓风吸尘式清扫机用垃圾收集箱
CN220591068U (zh) 吸料天车粉尘收集装置
CN210021532U (zh) 一种用于废橡胶回收的除尘装置
CN204602748U (zh) 一种油箱清理器
CN213929430U (zh) 一种水封罐
CN204365657U (zh) 一种新型瓷砖表面除尘装置
CN216937515U (zh) 一种燃料储存容器的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