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730U - 전기 구이기 - Google Patents

전기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730U
KR20190002730U KR2020180001807U KR20180001807U KR20190002730U KR 20190002730 U KR20190002730 U KR 20190002730U KR 2020180001807 U KR2020180001807 U KR 2020180001807U KR 20180001807 U KR20180001807 U KR 20180001807U KR 20190002730 U KR20190002730 U KR 201900027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oasting plate
discharge hole
oil discharge
hea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래
Original Assignee
김학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래 filed Critical 김학래
Priority to KR2020180001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730U/ko
Publication of KR201900027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7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장된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식재료를 조리할 수 있는 전기구이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기름을 구이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 및 수거할 수 있도록 된 전기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기 구이기는 한 쌍의 단변(111)과 한 쌍의 장변(112)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태의 구이판(110)과, 상기 구이판의 장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아래로 배출시키는 기름배출공(113)과, 전기히터가 내장되며 상기 구이판의 저부에 설치되는 히터커버(120)와, 상기 기름배출공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히터커버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기름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을 수용하는 기름받이(130)와, 상기 구이판의 장변에 대응되는 히터커버의 하부 양측에 설치된 높이조절용 다리(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구이기{Electricity roaster}
본 고안은 내장된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식재료를 조리할 수 있는 전기구이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기름을 구이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 및 수거할 수 있도록 된 전기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구이기는 식재료를 올려 놓고 조리할 수 있는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의 저부에 설치된 히터 커버와, 히터 커버의 내부에 설치된 발열 히터(미도시)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구이기는 구이판(10)과 상기 구이판(10)의 하부에 설치된 전기히터(미도시)와 상기 전기히터를 감싸는 히터커버(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구이기는 히터커버(20)에 내장된 전기히터를 통해 발열하는 구이판(10)에 식재료를 올려놓고 조리를 하게 되는데, 조리과정에서 식재료로부터 발생하는 기름을 구이판(10)로부터 배출시켜야 하므로 상기 구이판(10)의 가장자리가 상부로 돌출되게 성형되고 상기 구이판(10)의 단변(11)측에 형성된 가장자리 중앙에는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기름배출공(3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기름배출공(30)의 하부에 기름받이 용기(50)를 위치시키면 기름배출공(30)으로부터 낙하하는 기름을 매우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의 전기구이기는 히터커버(20)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용 다리(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높이조절용 다리(40)는 와이어를 디귿자로 절곡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의 절곡단(41)이 구이판(10)의 단변(11)에 대응되는 히터커버(20)의 하단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높이조절용 다리(40)를 회동시켜 수직으로 세울 경우 구이판(10)의 일측 단변(11)이 상승하면서 기름배출공(30)이 형성된 구이판(10)의 타측 단변(11)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므로 조리과정에서 식재료로부터 발생한 기름이 기름배출공(30)측으로 자연스럽게 모이면서 외부로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기구이기는 높이조절용 다리(40)가 구이판(10)의 단변(11)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름이 원활하게 기름배출공(30)으로 흘러 내릴 정도로 구이판(10)의 자세를 경사지게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높이조절용 다리(40)의 길게 형성시켜야 하며, 이로 인하여 전기 구이기의 자세가 불안정해지면서 사용중 전복될 위험이 크게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기름의 배출 및 수거가 용이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높이조절용 다리의 길게 형성시키지 않고도 기름이 원활하게 기름배출공으로 흘러 내릴 정도로 구이판의 자세를 경사지게 변경시킬 수 있는 전기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전기 구이기는 한 쌍의 단변과 한 쌍의 장변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태의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의 장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아래로 배출시키는 기름배출공과, 전기히터가 내장되며 상기 구이판의 저부에 설치되는 히터커버와, 상기 기름배출공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히터커버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기름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을 수용하는 기름받이와, 상기 구이판의 장변에 대응되는 히터커버의 하부 양측에 설치된 높이조절용 다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히터커버의 측부에는 구이판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거치대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름받이는 기름이 수용되는 수거통과 상기 수거통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거통 상부를 폐쇄시키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된 기름배출용 장공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름받이는 바닥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거통의 전방내측벽 상부에는 전방으로 기름 넘침 방지용 차단벽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벽은 수거통의 전방내측벽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돌출되게 연장형성된 차단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전기 구이기는 구이판의 장변측 가장자리에 기름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름배출공의 반대측 구이판의 장변에 대응되는 히터커버의 하부 양측에 높이조절용 다리가 구비되어 종래와 같이 높이조절용 다리를 길게 형성시키지 않아도 기름이 원활하게 기름배출공으로 흘러 내릴 정도로 구이판의 자세를 충분히 경사지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전기 구이기의 자세가 안정되면서 사용중 전복될 위험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히터커버의 측부에 수저나 음식재료 또는 반찬그릇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거치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성이 매우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 구이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로서 높이조절용 다리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이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로서 높이조절용 다리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기름받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기름받이가 적용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9는 도 7의 기름받이가 적용된 본 고안의 측면도로서 높이조절용 다리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기 구이기는 구이판(110)과, 구이판(110)에 형성된 기름배출공(113)과, 구이판(110) 저부에 설치된 히터커버(120)와, 상기 히터커버(120)에 끼워지는 기름받이(130)와, 상기 히터커버(120)의 하부에 설치된 높이조절용 다리(14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구이판(110)은 한 쌍의 단변(111)과 한 쌍의 장변(112)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지며, 조리물 및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도록 바닥의 가장자리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이판(110)의 바닥에는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아래로 배출시키는 기름배출공(1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기름배출공(113)은 구이판(110)의 바닥 중 장변(112)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름배출공(113)이 전방 장변(112) 측에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이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기름배출공(113)은 홈부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이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홈부가 형성되면,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나 수분이 기름배출공(113)으로 유도되면서 신속한 배출이 보장된다.
상기 히터커버(120)는 구이판(110)의 저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면서 구이판(110)을 가열시키는 전기히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좌우 양측에는 손잡이(114)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커버(120)의 전면에는 구이판(110)의 기름배출공(113)을 통해 아래로 배출되는 기름을 수용하는 기름받이(1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기름받이(130)는 기름받이(130)가 기울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에 유동되어도 내부에 수용된 기름이 쉽게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바닥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름받이(130)의 전면에는 인출용 손잡이(130b)가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히터커버(120)의 전면에는 기름받이(130)가 끼워지는 절개홈(121)이나 받침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커버(120)의 전면에 기름받이(130)가 끼워지는 절개홈(121)이 형성된 경우, 상기 기름받이(130)가 절개홈(121)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기름받이(130)의 양측에는 슬라이딩 돌기(130a)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121)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130a)에 대응되는 슬라이딩 홈부(1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용 다리(140)는 상기 기름배출공(113)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구이판(110)의 후방 장변(112)에 대응되는 히터커버(12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용 다리(140)는 독립적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용 다리(140)가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회동되면 구이판(110)의 후방 장변(112)이 들리면서 구이판(110)의 자세는 전방이 아래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변경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높이조절용 다리(140)는 구이판(110)의 후방 장변(112)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조절용 다리(140)의 길이가 짧아도 기름이 원활하게 기름배출공(113)으로 흘러 내릴 정도로 구이판(110)의 자세를 경사지게 변경시키게 되므로 조리시 전복될 위험 없이 안정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히터커버(120)의 측부에는 구이판(110)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거치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거치대(150)는 수저나 음식재료 또는 반찬그릇 등을 올려 놓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거치대(150)는 히터커버(120)의 측부로부터 인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면, 사용 후에 거치대(150)를 손으로 밀어 넣어 인입시킴으로써 정리감을 크게 향상시키고 보관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7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기름받이(13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름받이(130)는 기름이 수용되는 수거통(131)과 상기 수거통(131)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거통(131) 상부를 폐쇄시키는 커버(1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132)에는 기름배출용 장공(132a)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구이판(110)의 기름배출공(113)으로 배출된 기름은 커버(132)의 기름배출용 장공(132a)을 통과하여 수거통(131)으로 수용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수거통(131)이 유동되더라도 상기 커버(132)에 의하여 수거통(131)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름배출용 장공(132a)들은 구이판(110)의 단변(111) 방향을 따라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구이판(110)에 형성된 기름배출공(113)들이 구이판(110)의 장변(112)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기름배출용 장공(132a)들로 기름이 분산 배출되면서 수거통(131)으로의 기름 배출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수거통(131)과 커버(132)의 전면에는 각각 인출용 손잡이(130a,132c)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커버(132)가 중앙을 향해 오목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면 상기 구이판(110)에 형성된 기름배출공(113)들 통해 커버(132)의 상부로 낙하하는 기름이 커버(132)의 중앙으로 유도되면서 수거통(131)으로의 기름 배출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커버(132)의 가장자리로 흘러 넘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132)는 수거통(131)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용이한 슬라이딩 결합을 위하여, 상기 수거통(131)의 양측 상단에는 상기 커버(132)의 양측단을 가이드하도록 전후방이 개방된 가이드브라켓(131a)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거통(131)의 후방 상단에는 상기 커버(132)가 수거통(131)의 상부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132)의 후단과 간섭되어 상기 커버(132)가 더 이상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스토퍼(131b)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132)의 전단 저면에는 수거통(131)에 긴밀히 접촉하는 실링부재(132b)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재(132b)는 높이조절용 다리(140)를 수직으로 세워 구이판(110)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자세가 변경되는 경우에 수거통(131)의 전방 상단과 커버(132)와의 틈새를 통해 기름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해 줄 뿐만 아니라, 실링부재(132b)와 수거통(131)의 상단과의 접촉마찰력으로 인해 커버(132)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도와준다.
한편, 높이조절용 다리(140)를 수직으로 세워서 구이판(110)의 자세를 경사지게 변경하여 사용하는 경우, 기름받이(130)가 구이판(110)을 따라 경사지게 자세가 변경되면서 기름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감소하게 되므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거통(131)의 전방내측벽 상부에는 기름받이(130)가 조기에 만수위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지연시키는 차단벽(13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차단벽(133)은 수거통(131)의 전방내측벽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돌출되게 연장형성된 차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벽(133)이 구비되면, 차단벽(133)에 의하여 기름받이(130)의 자세가 경사지게 변경되더라도 기름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의 감소가 최대한 억제되므로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는 사고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110; 구이판 111; 단변
112; 장변 113; 기름배출공
120; 히터커버 130; 기름받이
140; 높이조절용 다리 150; 거치대

Claims (2)

  1. 한 쌍의 단변과 한 쌍의 장변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태의 구이판;
    상기 구이판의 장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아래로 배출시키는 기름배출공;
    전기히터가 내장되며 상기 구이판의 저부에 설치되는 히터커버;
    상기 기름배출공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히터커버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기름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을 수용하는 기름받이;
    상기 기름배출공의 반대측 구이판의 장변에 대응되는 히터커버의 하부 양측에 설치된 높이조절용 다리를 포함하는 전기 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커버의 측부에는 구이판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거치대가 구비된 전기 구이기.
KR2020180001807U 2018-04-24 2018-04-24 전기 구이기 KR201900027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807U KR20190002730U (ko) 2018-04-24 2018-04-24 전기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807U KR20190002730U (ko) 2018-04-24 2018-04-24 전기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30U true KR20190002730U (ko) 2019-11-01

Family

ID=6853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807U KR20190002730U (ko) 2018-04-24 2018-04-24 전기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73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3336A (zh) * 2019-11-20 2020-01-1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烤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3336A (zh) * 2019-11-20 2020-01-1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烤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8865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посуда
KR102306328B1 (ko) 외부 드립트레이 모듈이 구비된 수직형 그릴
EP1057437B1 (fr) Appareil culinaire électrique multi-fonctions
CA2791304C (en) Improved vertical grill
EP0696430A1 (en) Multi-function electric home appliance
FR2501031A1 (fr) Appareil de cuisson a la vapeur a micro-ondes
US20210022541A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Rim Cover
KR102263362B1 (ko) 전골 및 구이용 팬이 마련된 가정용 불판
KR20190002730U (ko) 전기 구이기
KR20200125101A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US10201246B2 (en) Multifunction cooking device
CN211582729U (zh) 一种烧烤电器的烤架组件及其烧烤电器
KR101768042B1 (ko) 멀티형 치킨 조리용 작업대
KR20110120546A (ko) 숯불 구이 장치
KR200409870Y1 (ko) 전기 양면 구이 그릴
KR200222161Y1 (ko) 오븐 겸용 구이기
KR20130080590A (ko) 구이기
CN210043748U (zh) 一种烹饪器具
CN217610502U (zh) 一种防冷凝水的多功能锅
US20240164577A1 (en)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Collection Device Configured To Collect Cooking Juices And Condensates
CN213248349U (zh) 烹饪器具
KR200475184Y1 (ko) 프라이팬
CN216876029U (zh) 烤盘组件及煎烤机
KR200466227Y1 (ko) 휴대용 불판 조립체
KR200155315Y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