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468U -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468U
KR20190002468U KR2020180001287U KR20180001287U KR20190002468U KR 20190002468 U KR20190002468 U KR 20190002468U KR 2020180001287 U KR2020180001287 U KR 2020180001287U KR 20180001287 U KR20180001287 U KR 20180001287U KR 20190002468 U KR20190002468 U KR 201900024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elastic band
pipe body
drain pi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442Y1 (ko
Inventor
정호수
Original Assignee
정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수 filed Critical 정호수
Priority to KR2020180001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4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의 배출과 악취유입 및 역류를 차단하는 회동커버의 자동개폐구조를 개선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유입구와 배출구로 이루어진 배수관몸체의 배출구에 회동커버가 힌지요소에 의하여 힌지결합되어 개폐되고, 상기 힌지요소를 중심으로 배수관몸체의 좌,우 양측면에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돌기에 일정길이로 이루어져 좌우 양측단에 고정홀이 형성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탄성띠를 반원형상으로 감싸 회동커버를 가압하여 간단하게 제작하면서 원활하게 개폐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Drain trap to block malodor inflow and sewer backflow by minimizing foreign matter trapping}
본 고안은 싱크대 또는 욕실의 하수구에 설치되어 하수를 배수토록 하면서 악취 및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의 배출과 악취유입 및 역류를 차단하는 회동커버의 자동개폐구조를 개선하여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현재 싱크대의 배수구나 욕실의 바닥에는 사용된 생활하수를 배출하는 배수구 또는 하수구에는 사용된 생활하수를 배출하는 배수트랩이 설치되어 있는데, 생활하수는 대부분이 부패되면 악취를 발생하게 되면서 배수구 또는 하수구를 통해 실내로 악취가 유입되어 오염시키게 되고, 이러한 악취에 의하여 바퀴벌레와 같은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고, 장마철에는 집중호우로 인하여 하수가 역류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배수구나 하수구에 악취와 해충의 유입은 물론 하수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의 배수트랩이 개시되고 있는 것이다.
먼저, 본원 고안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배수트랩은 입구와 출구로 형성된 몸체에 회동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고정부에 의하여 몸체의 출구에서 개폐되는 회동커버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동커버는 타원형 와이어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배수트랩은 회동커버의 개폐작동을 위하여 사용되는 타원형의 와이어를 제작하기 위하여 두 개의 와이어를 연결한 상태에서 몸체와 회동커버에 연동하게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번거롭고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또 다른 종래의 배수트랩에서는 유입구와 배출구로 형성된 배수유도관에 일부 잔존하는 오수 찌꺼기를 배출하도록 배수홀이 형성된 힌지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슬롯에 역류차단캡이 힌지결합한 상태에서 역류차단캡의 자동개폐를 위하여 배수유도관과 역류차단캡을 띠형상으로 탄지시키는 하나의 링스프링을 사용토록 하여 개폐토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배수트랩의 문제가 링스프링이 배수유도관과 역류차단캡에 띠형태로 걸쳐진 상태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역류차단캡이 개폐되는 작동중에 임의적으로 이탈이 되어 역류차단캡의 오작동을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배수트랩에 형성된 배수홀을 통해 오수 찌꺼기가 배출될 때 역류차단캡을 탄성으로 개폐토록 하는 링스프링에 오수 찌꺼기가 끼이게 되면서 이러한 오수 찌꺼기에 의해 링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면서 역류차단캡의 개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링스프링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이 묻을 경우에 녹이 발생되면서 녹에 의한 오염은 물론 탄성력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었다.
등록특허 제10-1609201 (2016.03.30) 등록실용신안 제20-0481804 (2016.11.07)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탄성수단에 의하여 개폐되는 회동커버를 제작이 간단하면서 물기가 묻어도 부패가 발생되지 않도록 개폐구조를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면서도 하수의 배출과 악취 및 하수의 역류 차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고장이 발생 될 경우에는 누구나 쉽게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유입구와 배출구로 이루어진 배수관몸체의 배출구에 탄성수단에 의해 하수의 배출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회동커버가 힌지요소에 의하여 힌지결합된 배수트랩에 있어서, 힌지요소를 중심으로 배수관몸체의 좌,우 양측면에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돌기에 일정길이로 이루어져 좌우 양측단에 고정홀이 형성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탄성띠를 반원형상으로 감싸 힌지요소를 가압하도록 고정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띠가 고정돌기에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돌기에는 걸림테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관몸체의 고정돌기를 두 개의 돌기로 형성하고 탄성띠의 좌우 양측단에 형성된 고정홀을 대응하게 형성하여 탄성띠의 탄성력을 보강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배수트랩에 의하면, 회동커버가 탄성띠에 의하여 용이하게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면서도 간단하게 제작이 되어 대량생산은 물론 누구나 쉽게 유지보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하수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녹이나 이물질의 끼임이 전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여도 하수의 배출과 악취 및 역류차단을 위한 회동커버의 개폐기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소비자에게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배수트랩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도2는 본 고안의 배수트랩의 결합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탄성띠에 의해 회동커버가 개방되는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의 탄성띠에 의해 회동커버가 닫혀지는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탄성띠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탄성띠의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탄성띠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띠의 탄성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9는 본 고안의 회동커버의 회동구조를 단속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수트랩의 구성은, 싱크대의 배수구 또는 욕실의 하수구에 설치되어 생활하수를 배출하고 악취 및 역류하는 하수를 차단하는 것으로, 배수관몸체(10)와 회동커버(20)와 탄성띠(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배수관몸체(10)는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유입된 하수를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배출구(12)로 형성된 원통형의 관체로 이루어지면서 유입구(11)의 테두리에 배수구나 하수구에 안착을 위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후렌지가 형성되고, 배출구(12)가 형성된 일측에는 힌지장착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장착부(13)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면으로 고정돌기(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커버(20)는 테두리에 돌출면이 형성된 평평한 면의 판상으로 일측에 힌지부(21)가 형성되어 배수관몸체(10)의 배출구(12)에 위치된 상태에서 힌지장착부(13)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1)에는 탄성띠(30)가 안착되어 가압되는 안착홈(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띠(30)는 탄성이 있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써 일정길이의 띠로 이루어져 좌우 양측 선단에 배수관몸체(10)의 고정돌기(14)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고정홀(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탄성띠(30)의 길이는 배수관몸체(1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4)에 좌우 양측단이 고정되어 반원으로 감싸지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배수트랩의 조립은 배수관몸체(10)의 배출구(12)에 회동커버(20)를 위치시켜 힌지장착부(13)에 힌지부(21)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한 상태에서 탄성띠(30)의 일측 선단에 형성된 고정홀(31) 하나를 먼저 배수관몸체(10)의 일측 고정돌기(14)에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탄성띠(30)를 힌지결합된 회동커버(20)의 힌지부(21)에 형성된 안착홈(22)에 안착되도록 배수관몸체(10)의 둘레를 따라 감싸지도록 한 상태에서 타측의 고정홀(31)을 배수관몸체(10)의 타측 고정돌기(14)에 고정함으로써 간단하게 조립이 되고, 상기 탄성띠(30)가 회동커버(20)의 힌지부(21)를 가압하게 고정되면서 배출되는 하수에 의하여 회동커버(20)의 개방되면서 탄성띠(30)가 팽창되어 하수 배출이 이루어지고, 하수 배출이 완료되면 탄성띠(30)가 수축되면서 회동커버(20)가 자동으로 닫혀지게 되면서 배출구(12)를 차단시켜 악취 및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관몸체(10)의 좌우 양 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4)에 탄성띠(30)의 고정홀(31)이 끼임결합된 상태에서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돌기(14)의 선단에 걸림단(15)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14)의 걸림단(15)은 탄성띠(30)의 고정홀(31)을 끼임결합할 때 결합이 용이하면서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걸림단(15)은 상측으로 경사진 상협하광의 경사면(15a)으로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탄성띠(30)가 고정돌기(14)에 결합될 때 탄성에 의해 벌어지게 되면서 고정돌기(14)에 용이하게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는 원상태로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임의로 분리가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띠(30)는 회동커버(20)의 개폐작동으로 인한 탄성이 발생될 때 배수관몸체(10)의 고정돌기(14)에 끼임 결합된 탄성띠(30)의 고정홀(31)에 탄성이 가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배수관몸체(1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4)를 좌우로 이격된 두 개의 돌기로 형성하고, 탄성띠(3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고정홀(31)은 일정길이로 된 하나의 띠 양 선단으로 두 개의 분할된 줄기(32)를 형성하고 상기 줄기(32)의 선단에 고정홀(31)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탄성띠(30)의 양 선단에 두 개로 분할 형성된 고정홀(31)에 의하여 회동커버(20)가 개폐작동될 때 배수관몸체(10)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력이 유지되어 보강이 되면서 양측의 줄기(32) 사이의 띠에만 탄성이 발생되어 증진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어 회동커버(20)의 개폐작동이 더욱 원활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관몸체(10)의 힌지장착부(13)와 고정돌기(14) 사이에 회동커버(20)의 개폐작동에 의하여 탄성으로 팽창과 수축되는 탄성띠(30)가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입홈테(16)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탄성띠(30)가 좌우 양측의 고정홀(31)과 중간 부분이 회동커버(20)의 힌지부(21)에 형성된 안착홈(22)에 안착되어 고정되면서도 배수관몸체(10)의 표면에 형성된 내입홈테(16)에 의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유동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하여 탄성띠(30)의 원활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커버(20)의 힌지부(21) 좌우 양측에는 회동각도를 단속하는 단속돌기(23)를 형성하여 회동커버(20)의 개방각도를 단속함으로써 탄성으로 늘어날 때 탄성띠(30)가 끊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10: 배수관몸체 11: 유입구
12: 배출구 13: 힌지장착부
14: 고정돌기 15: 걸림단
16: 내입홈테
20: 회동커버 21: 힌지부
22: 안착홈
30: 탄성띠 31: 고정홀
32: 줄기

Claims (5)

  1. 배수구 또는 하수구에 설치되어 생활하수의 배출과 악취유입 및 하수의 역류차단을 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하수의 유입되는 유입구(11)와 배출되는 배출구(12)로 형성된 원통형의 관체로 이루어져 배출구(12)가 형성된 일측에 힌지장착부(13)가 형성된 배수관몸체(10)와,
    상기 배수관몸체(10)의 힌지장착부(13)에 힌지결합되어 하수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되어 배출구(12)를 차단하는 힌지부(21)가 형성된 회동커버(20)와,
    상기 배수관몸체(10)에 힌지결합된 회동커버(20)의 자동개폐를 위하여 일정길이로 이루어져 배구관몸체(10)에 고정되면서 회동커버(20)를 가압하는 탄성띠(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수관몸체(10)에는 힌지장착부(13)를 중심으로 좌우 양 측면에는 탄성띠(30)를 고정하는 고정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커버(20)의 힌지부(21)에는 탄성띠(20)가 안착되는 안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띠(30)의 좌우 양 측단에는 고정홀(3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31)이 배수관몸체(10)의 고정돌기(14)에 끼워져 반원형태로 감싸지게 고정되면서 탄성띠(30)가 힌지결합된 회동커버(20)의 힌지부(21)에 형성된 안착홈(22)에 안착되어 가압되어져 하수가 배출될 때 양 측단이 고정된 탄성띠(30)가 늘어나면서 회동커버(20)가 개방되고 하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늘어난 탄성띠(30)가 원상태로 수축되면서 회동커버(20)가 자동으로 닫혀져 배수관몸체(10)의 배출구(12)를 차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몸체(10)의 좌우 양 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4)의 선단에는 고정된 탄성띠(30)가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단(1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14)은 탄성띠(30)의 고정홀(31)의 끼임결합이 용이하고 끼임된 상태에서는 분리되지 않도록 상협하광의 경사면(15a)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몸체(10)의 고정돌기(14)는 좌우로 이격된 두 개의 돌기로 형성되고, 탄성띠(30)은 양 선단에 두 개의 분할된 줄기(32)에 의하여 고정홀(31)이 상기 고정돌기(14)와 대응하게 두 개로 형성되어 탄성띠(30)의 지지력과 보강하여 증진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몸체(10)의 힌지장착부(13)와 고정돌기(14) 사이에는 회동커버(20)의 개폐작동에 의하여 탄성으로 팽창과 수축되는 탄성띠(30)가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내입홈테(1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KR2020180001287U 2018-03-23 2018-03-23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KR200491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87U KR200491442Y1 (ko) 2018-03-23 2018-03-23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87U KR200491442Y1 (ko) 2018-03-23 2018-03-23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68U true KR20190002468U (ko) 2019-10-02
KR200491442Y1 KR200491442Y1 (ko) 2020-04-08

Family

ID=6816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287U KR200491442Y1 (ko) 2018-03-23 2018-03-23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307B1 (ko) * 2021-07-06 2022-08-01 김재옥 조립성이 개선된 하수구 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092A (ko) 2022-04-24 2023-10-31 박무정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297Y1 (ko) * 2004-12-29 2005-03-18 윤승열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637608B1 (ko) * 2006-07-14 2006-10-27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신도시 하수관의 역류방지장치
KR20080086334A (ko) * 2007-03-21 2008-09-25 유정수 하수구 악취 방지장치
KR20090100548A (ko) * 2008-03-20 2009-09-24 우경식 Pnf 워킹밴드
WO2011091183A2 (en) * 2010-01-20 2011-07-28 Falcon Waterfree Technologies Dry trap valve for use in a non-flushing urinal and others drains
KR20120015994A (ko) * 2010-08-13 2012-02-22 이유수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JP2012036605A (ja) * 2010-08-05 2012-02-23 Tokyo Energy & Systems Inc 床ドレンファンネル用汚染防止装置
KR20120132024A (ko) * 2011-05-27 2012-12-05 김기성 배수 트랩
KR20160020902A (ko) * 2014-08-14 2016-02-24 정호수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KR200481804Y1 (ko) 2015-11-19 2016-11-11 지도현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
KR20180000380U (ko) * 2016-07-28 2018-02-07 정호수 회동커버의 작동을 위한 탄성수단의 고장을 방지한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297Y1 (ko) * 2004-12-29 2005-03-18 윤승열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637608B1 (ko) * 2006-07-14 2006-10-27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신도시 하수관의 역류방지장치
KR20080086334A (ko) * 2007-03-21 2008-09-25 유정수 하수구 악취 방지장치
KR20090100548A (ko) * 2008-03-20 2009-09-24 우경식 Pnf 워킹밴드
WO2011091183A2 (en) * 2010-01-20 2011-07-28 Falcon Waterfree Technologies Dry trap valve for use in a non-flushing urinal and others drains
JP2012036605A (ja) * 2010-08-05 2012-02-23 Tokyo Energy & Systems Inc 床ドレンファンネル用汚染防止装置
KR20120015994A (ko) * 2010-08-13 2012-02-22 이유수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KR20120132024A (ko) * 2011-05-27 2012-12-05 김기성 배수 트랩
KR20160020902A (ko) * 2014-08-14 2016-02-24 정호수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KR101609201B1 (ko) 2014-08-14 2016-04-08 정호수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KR200481804Y1 (ko) 2015-11-19 2016-11-11 지도현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
KR20180000380U (ko) * 2016-07-28 2018-02-07 정호수 회동커버의 작동을 위한 탄성수단의 고장을 방지한 배수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307B1 (ko) * 2021-07-06 2022-08-01 김재옥 조립성이 개선된 하수구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442Y1 (ko)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339B1 (ko) 하수구 악취 방지장치
KR20190002468U (ko)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KR20090013258U (ko) 배수구의 악취차단구
KR100674890B1 (ko) 배수구
KR100454465B1 (ko) 배수트랩
KR20180000380U (ko) 회동커버의 작동을 위한 탄성수단의 고장을 방지한 배수트랩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KR101609201B1 (ko)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200409407Y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US20230148123A1 (en) Pop-up drain stopper and actuator assembly
KR200487178Y1 (ko) 하수구 악취차단기구
KR101242221B1 (ko) 엘보 배수트랩
KR200351993Y1 (ko)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449920Y1 (ko) 하수구 방취·방충용 고무 개폐구
KR102190516B1 (ko)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KR102037640B1 (ko) 양변기용 배수 플랜지
KR20080037918A (ko) 배수구용 악취방지구
KR101006352B1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KR101705484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100715122B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KR200405376Y1 (ko)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
KR100597660B1 (ko) 악취의 누출방지를 위한 하수파이프의 연결구조
KR100807073B1 (ko) 하수구용 맨홀의 악취 차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