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804Y1 -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804Y1
KR200481804Y1 KR2020150007527U KR20150007527U KR200481804Y1 KR 200481804 Y1 KR200481804 Y1 KR 200481804Y1 KR 2020150007527 U KR2020150007527 U KR 2020150007527U KR 20150007527 U KR20150007527 U KR 20150007527U KR 200481804 Y1 KR200481804 Y1 KR 200481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ipe
drainage
drain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735U (ko
Inventor
지도현
이기중
오도현
Original Assignee
지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도현 filed Critical 지도현
Priority to KR2020150007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80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7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7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8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으로 오수를 배수하고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하수구캡에 있어서,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갖는 관체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유입구의 외측둘레를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에 삽입되면서 상기 플랜지를 통해 상기 배수관의 단부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오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배수유도관; 상기 배수유도관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턱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의 단부에 안착되는 플랜지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배수유도관의 둘레에 추가되면서 상기 배수유도관의 관경을 상기 배수관에 부합되는 관경으로 확장시키는 어댑터링; 상기 배수유도관에 힌지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배수유도관의 배출구를 개폐하면서 오수의 배수와 함께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차단캡; 및 상기 역류차단캡을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역류차단캡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오수의 배출압력에 의해 이완되면서 상기 역류차단캡의 개방을 허용하는 캡프레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MULTI SEWER DRAIN CAP FOR DRAINAGE PIPE}
본 고안은 배수관용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효과적으로 악취의 역류를 차단시키며 다양한 사이즈의 배수관에 적용이 가능한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 싱크대와 욕실을 비롯하여 물을 사용하는 곳은 하수구를 형성하여 생활하수를 흘려보내게 되고 하수구에 버려지는 생활하수는 대부분이 오물이 섞어 있거나 물건의 세척을 하거나 세탁을 하고 버려지는 물로서 많은 무기물과 유기물이 포함되어 오염된 것으로 이는 부패되면서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하수구의 악취는 하수구와 연결되는 배수관을 따라 실내로 유입되게 됨으로 실내가 악취로 오염되게 된다.
더욱이, 양변기가 가정에서는 욕실 내부에 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변기의 실링부분을 통해 새어 나오는 악취가 그대로 가정의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실내를 오염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수구 악취차단장치들이 설치되고 있는 바, 종래 하수구 악취차단장치들은, 하수구의 입구에 요입홈을 형성하여 요입홈에 캡이 씌워지고 요입홈에 소량의 물이 고이게 하여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한 것과, 또는 하수구의 하수관 일부분을 U 형으로 굴곡지게 형성하고 굴곡진 하수관의 하단에 일정량의 물이 고이게 하여 악취가 하수구의 하수관을 따라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 것이 있다.
그러나, 전자인 요입홈에 캡을 씌우는 구조의 하수구 악취 차단장치는 캡이 배수되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하수관측으로 하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하수의 배수시간이 오래 걸리는 결점이 있고, 후자인 하수관을 U 형으로 절곡 형성한 것은 하수관의 굴곡부에 찌꺼기가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어 하수관이 막히게 됨으로 수시로 분해하여 청소를 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씽크대 및 세면기와 같이 하수관이 노출된 곳에는 사용이 가능하나 욕실과 같이 하수구가 바닥에 설치되는 곳에는 사용조차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 하수구 악취 차단장치는 하수관의 시작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하수관의 시작부분이 아닌 하수관의 중간부분이나 하수관의 끝부분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어댑터를 추가로 연결하여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설치공간에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하수구 악취 차단장치는, 구성요소들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하수구 악취 차단장치를 조립하기가 쉽지 않아 작업성 및 설치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예컨대 하수구 악취 차단장치가 하수구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하수구의 악취 차단효과가 심하게 저하되어 하수구의 악취가 그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싱크대의 배수관과 하수구를 연결하여 하수구로부터의 악취배출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오고 설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배수관의 외경 크기가 다를 경우에는 배수관의 외경 크기에 맞는 악취차단장치를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사용성 및 실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하수구 또는 배수관의 내부에 인입되는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배수관과 하수구와의 기밀성 및 밀폐성이 저하됨으로써 악취의 배출을 완전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예가 선행기술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10-0003513호 `배수관용 악취차단 캡` 에서 개시 되었다.
종래기술은 배수관용 악취차단 캡에 관한 것으로, 몸체의 재질이 연성을 갖는 연질의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몸체 상단에 끼움구멍만이 통공되어 있음에 따라, 제조가 쉬워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하여 설치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몸체가 연성을 갖는 연질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통공된 끼움구멍이 늘어나는 성질에 의해 배수관의 외경 크기에 관계없이 배수관과 하수구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어 설치성 및 사용성이 크게 증대되며, 배수관의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배수관이 끼워질 때 배수관의 외면을 따라 절곡되어 강하게 배수관의 외면과 밀착되고, 하수구에 끼워지는 몸체의 내면 역시 하수구의 외면으로부터 강하게 밀착되어 밀폐성 및 기밀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악취의 배출 및 새어나옴이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다.
배수관과 하수구를 연결하는 별도의 어댑터와 같은 연결수단이 필요치 않음에 따라 설치할 때 발생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간단한 설치작업에 의해 설치성 향상과 함께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배수관의 악취차단용 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종래기술은 연질의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하수구의 외면에 내면이 끼워져 밀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 중앙에 통공되고 배수관의 외면이 끼워지되, 끼워지는 배수관의 외면을 따라 절곡되어 배수관의 외면에 밀착되는 끼움구멍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배수관에서 역류하는 악취의 완전한 차단이 쉽지않은 대서 오는 실내 오염에 따른 위생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다양한 배수관 사이즈에 맞는 하수구캡을 매번 새로 마련하거나 일일히 다 구비하는 일은 번거러울 뿐만아니라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불리하며, 또한, 맞는 사이즈의 하수구캡을 구비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이격은 발생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11-0009646호(고안의 명칭: 배수관용 악취차단 캡)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개폐가 조절되면서 배수관에서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는 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여러 사이즈의 연결관로 다양한 사이즈의 배수관에 적용하여 채용이 가능한 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일반적인 호수의 연결을 위한 기능을 구비하여 외부의 배수장치 등과 호수를 이용한 직접적인 연결이 가능한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으로 오수를 배수하고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하수구캡은,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갖는 관체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유입구의 외측둘레를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에 삽입되면서 상기 플랜지를 통해 상기 배수관의 단부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오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배수유도관, 상기 배수유도관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턱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의 단부에 안착되는 플랜지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배수유도관의 둘레에 추가되면서 상기 배수유도관의 관경을 상기 배수관에 부합되는 관경으로 확장시키는 어댑터링, 상기 배수유도관에 힌지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배수유도관의 배출구를 개폐하면서 오수의 배수와 함께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차단캡 및 상기 배수유도관 및 역류차단캡을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역류차단캡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오수의 배출압력에 의해 이완되면서 상기 역류차단캡의 개방을 허용하는 캡프레셔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유도관은, 상기 역류차단캡과 이격된 부분에 설정된 크기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홀을 통해 배수유도관에 남아 있는 오수 찌꺼기의 배수를 유도시키며, 상기 캡프레셔는, 상기 배수유도관의 둘레를 따라 홈형태로 형성되는 유도관수용홈, 상기 역류차단캡의 힌지축과 인접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역류차단캡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역류차단캡의 개방에 의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역류차단캡의 폐쇄시에는 상기 유도관수용홈과 연결되는 형태의 홈을 이루면서 상기 유도관수용홈과 함께 원형의 띠를 이루는 캡홈 및 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유도관수용홈 및 상기 캡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유도관수용홈 및 상기 캡홈을 조이는 형태로 가압하면서 상기 역류차단캡을 폐쇄시키며, 상기 역류차단캡의 개방시 상기 캡홈의 회전에 의해 이완되는 링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링은, 크기가 다르게 복수개로 제작되어 상기 어댑터링의 추가와 생략을 통해 상기 배수유도관을 크기가 다른 타배수관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유도관은, 상기 배출구가 상기 유입구에 대하여 경사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역류차단캡이 경사상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유도관 유입구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부위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며, 메쉬망이 형성되어 있어 배수시에 오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구캡은, 외측의 일부분에 형성된 플랜지가 상기 배수유도관 유입구 내부에 형성된 안착부위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서 호수를 상기 배수유도관과 직결시키는 관체형의 호수용 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은, 역류차단캡이 링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면서 배수관에서 역류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사이즈의 어댑터링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배수관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하수구캡을 호수용 조인트를 이용하여 외부 배수장치들과도 일반적인 호수로 연결하여 효과적인 배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하수구캡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하수구캡의 역류차단캡이 닫혀진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상기 하수구캡의 역류차단캡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배수유도관과 여과캡을 나타낸 도면.
도 6는 상기 배수유도관에 링스프링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 캡프레셔의 상세도.
도 8은 상기 하수구캡에 호수용 조인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하수구캡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하수구캡의 역류차단캡이 닫혀진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하수구캡의 역류차단캡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배수유도관과 여과캡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상기 배수유도관에 링스프링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 캡프레셔의 상세도이고, 도 8은 상기 하수구캡에 호수용 조인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하수구캡(10)은 배수유도관(100), 역류차단캡(150), 어댑터링(200) 및 캡프레셔(50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배수유도관(100)은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갖는 관체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유입구의 외측둘레를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고, 배수관에 삽입되면서 플랜지를 통해 배수관의 단부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오수를 배수관으로 유도할 수 있다.
플랜지 구조는 배수유도관(100)이 이후에 배수관 등과 연결될 경우에 안정적으로 걸리면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플랜지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부위를 배수유도관(100)에 각종의 장치들을 설치하거나 호수 등을 연결하는 경우에 걸리거나 결합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배수유도관(100)의 플렌지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힌지슬롯(115)이 형성될 수 있는데, 힌지슬롯(115)을 통해서 역류차단캡(150)의 일부분에 형성된 힌지축(160)과 회전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어댑터링(200)는 배수유도관(100)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턱(110)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배수관의 단부에 안착되는 플랜지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배수유도관(100)의 둘레에 추가되면서 배수유도관(100)의 관경을 배수관에 부합되는 관경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어댑터링(200)를 이용하여 배수관과 배수유도관(100)의 이격을 최소로 줄이면서 배수관에 연결이 가능하여 오수의 누수를 방지하며, 역류하는 악취의 거의 완벽에 가까운 차단이 가능하다.
어댑터링(200)은 크기가 다르게 복수개로 제작되어 어댑터링(200)의 추가와 생략을 통해 배수유도관(100)을 크기가 다른 타배수관에 연결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배수유도관(100)과 배수관의 사이즈에 서로 차이가 생기는 경우 별도의 장치를 구비할 필요없이 다양한 사이즈의 복수개의 어댑터링(200)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배수관에 적용이 가능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 등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역류차단캡(150)은 배수유도관(100)에 힌지축(16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축(16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배수유도관(100)의 배출구를 개폐하면서 오수의 배수와 함께 악취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캡프레셔(500)는 역류차단캡(150)을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역류차단캡(150)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오수의 배출압력에 의해 이완되면서 역류차단캡(150)의 개방을 허용할 수 있다.
캡프레셔(500)는 유도관수용홈(105), 캡홈(165) 및 링스프링(170)의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유도관수용홈(105)은 배수유도관(100)의 둘레를 따라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홈(165)은 역류차단캡(150)의 힌지축(160)과 인접된 상태를 이루면서 역류차단캡(150)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역류차단캡(150)의 개방에 의해 힌지축(16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역류차단캡(150)의 폐쇄시에는 유도관수용홈(105)과 연결되는 형태의 홈을 이루면서 유도관수용홈(105)과 함께 원형의 띠를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링스프링(170)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유도관수용홈(105) 및 캡홈(165)에 끼워져 결합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져 유도관수용홈(105) 및 캡홈(165)을 조이는 형태로 가압하면서 역류차단캡(150)을 폐쇄시키며, 역류차단캡(150)의 개방시 캡홈(165)의 회전에 의해 이완될 수 있다.
링스프링(170)은 탄성력이 뛰어나 금속 소재의 스프링으로 제작되어 역류차단캡(150)의 개폐를 제어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유도관수용홈(105)과 캡홈(165)의 홈을 동일 직선상으로 이어지도록 형성하고, 각각의 홈으로 링스프링(170)을 삽입하여 결합되어 있는 배수유도관(100)과 역류차단캡(15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오수의 중량에 따라 가압이 가능하여, 링스프링(170)을 통한 역류차단캡(150)의 차폐를 제어하면서 역류하는 악취의 차단과 오물이나 오수의 배수가 가능하다.
작업자는 링스프링(170)을 유도관수용홈(105)과 캡홈(165)에 끼우고, 링스프링(17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역류차단캡(150)을 배수유도관(100)에 가압에 의해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오수나 오물이 배수될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역류차단캡(150)을 개구시키고 배수가 끝난 경우에는 다시 링스프링(170)의 탄성력이 복원되면서 역류차단캡(150)을 배수유도관(100)에 가압에 의해 조이면서 밀착시켜 차폐가 가능하다.
또한, 배수유도관(100)은 배출구가 유입구에 대하여 경사상태로 형성되어 역류차단캡(150)이 경사상태로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배수시에 단면적을 크게하여 원활한 배수를 유도하며, 90도 이하의 각도로 역류차단캡의 차폐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링스프링(170)으로 역류차단캡(150)의 차폐를 제어하는 것이 훨씬 수월해진다.
또한, 배수유도관(100)은 역류차단캡(150)과 이격된 부분에 설정된 크기로 배수홀(180)을 형성하여 배수를 유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수유도관(100)의 하부에 별도의 배수홀(18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혹시 남아 있을지도 모르는 배수유도관(100) 내의 찌꺼기의 거의 완벽한 제거가 가능하여 악취 차단에 효과를 향상시켜줄 수 있다.
하수구캡(10)은, 배수유도관(100) 유입구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부위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며 메쉬망이 형성되어 있어 배수시에 오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캡(12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여과캡(120)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 이상 크기의 음식물 쓰레기나 덩어리 오물의 일차적인 여과가 가능하여 배수유도관(100)이 막히거나, 덩어리 진 오물 등에 의해 역류차단캡(150)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사전에 방지해 줄 수 있다.
하수구캡(10)은, 외측의 일부분에 형성된 플랜지가 배수유도관(100) 유입구 내부에 형성된 안착부위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서 호수를 배수유도관(100)과 직결시키는 관체형의 호수용 조인트(4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호수용 조인트(400)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등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오수나 오물을 호수로 직접연결하여 효과적인 배수가 가능하다.
본 고안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의 사용방법은, 작업자가 배수유도관(100)의 힌지슬롯(115)에 역류차단캡(150)의 힌지축(160)을 결합시키고, 캡프레셔(500)를 이용하여 즉, 역류차단캡(150)의 캡홈(165)과 유도관수용홈(105)을 링스프링(170)으로 연결하고, 링스프링(170)이 탄성력을 이용한 가압으로 역류차단캡(150)의 힌지축(160)을 조절해가면서 오수 등의 양에 따라 역류차단캡(150)의 차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사이즈의 배수관 단면에 대응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복수개의 어댑터링(200)으로 배수유도관(100)의 연결이 가능하며, 외부 장치 등에서 발생한 오수의 직접적인 배수가 가능하도록 배수유도관(100)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부위에 호수용 조인트(400)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하수구캡 100 : 배수유도관
105 : 유도관수용홈 110 : 안착턱
115 : 힌지슬롯 120 : 여과캡
150 : 역류차단캡 160 : 힌지축
165 : 캡홈 170 : 링스프링
180 : 배수홀 200 : 어댑터링
400 : 호수용 조인트 500 : 캡프레셔

Claims (5)

  1. 배수관으로 오수를 배수하고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하수구캡에 있어서,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갖는 관체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유입구의 외측둘레를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에 삽입되면서 상기 플랜지를 통해 상기 배수관의 단부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오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배수유도관;
    상기 배수유도관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턱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의 단부에 안착되는 플랜지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배수유도관의 둘레에 추가되면서 상기 배수유도관의 관경을 상기 배수관에 부합되는 관경으로 확장시키는 어댑터링;
    상기 배수유도관에 힌지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배수유도관의 배출구를 개폐하면서 오수의 배수와 함께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차단캡; 및
    상기 배수유도관 및 역류차단캡을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역류차단캡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오수의 배출압력에 의해 이완되면서 상기 역류차단캡의 개방을 허용하는 캡프레셔;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유도관은,
    상기 역류차단캡 상측으로 이격된 부분에 설정된 크기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홀을 통해 배수유도관에 남아 있는 오수 찌꺼기의 배수를 유도시키며,
    상기 캡프레셔는,
    상기 배수유도관의 둘레를 따라 홈형태로 형성되는 유도관수용홈;
    상기 역류차단캡의 힌지축과 인접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역류차단캡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역류차단캡의 개방에 의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역류차단캡의 폐쇄시에는 상기 유도관수용홈과 연결되는 형태의 홈을 이루면서 상기 유도관수용홈과 함께 원형의 띠를 이루는 캡홈; 및
    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유도관수용홈 및 상기 캡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유도관수용홈 및 상기 캡홈을 조이는 형태로 가압하면서 상기 역류차단캡을 폐쇄시키며, 상기 역류차단캡의 개방시 상기 캡홈의 회전에 의해 이완되는 링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링은,
    크기가 다르게 복수개로 제작되어 상기 어댑터링의 추가와 생략을 통해 상기 배수유도관을 크기가 다른 타배수관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관은,
    상기 배출구가 상기 유입구에 대하여 경사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역류차단캡이 경사상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수구캡은,
    상기 배수유도관 유입구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부위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며, 메쉬망이 형성되어 있어 배수시에 오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수구캡은,
    외측의 일부분에 형성된 플랜지가 상기 배수유도관 유입구 내부에 형성된 안착부위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서 호수를 상기 배수유도관과 직결시키는 관체형의 호수용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
KR2020150007527U 2015-11-19 2015-11-19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 KR200481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27U KR200481804Y1 (ko) 2015-11-19 2015-11-19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27U KR200481804Y1 (ko) 2015-11-19 2015-11-19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181 Division 2015-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735U KR20160003735U (ko) 2016-10-28
KR200481804Y1 true KR200481804Y1 (ko) 2016-11-11

Family

ID=57234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527U KR200481804Y1 (ko) 2015-11-19 2015-11-19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8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468U (ko) 2018-03-23 2019-10-02 정호수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198B1 (ko) * 2020-11-30 2022-10-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미생물 액상발효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115854452A (zh) * 2022-12-23 2023-03-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湿帘组件及加湿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707B1 (ko) * 2010-03-29 2011-04-29 최문환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223A (ko) * 2007-03-15 2008-09-19 전경희 하수용 배수트랩
KR20110009646U (ko) 2010-04-05 2011-10-12 조명호 배수관용 악취차단 캡
KR20120097922A (ko) * 2011-02-28 2012-09-05 정호수 하수구냄새트랩
KR20120132024A (ko) * 2011-05-27 2012-12-05 김기성 배수 트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707B1 (ko) * 2010-03-29 2011-04-29 최문환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468U (ko) 2018-03-23 2019-10-02 정호수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735U (ko)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804Y1 (ko) 배수관용 멀티 하수구캡
TW200902805A (en) Floor drain
US20080193308A1 (en) Water Pressurized Manual Lavatory De-Blocking Manual Pump
CA2932410C (en) Air-gap faucet
KR20160081728A (ko) 배수트랩
KR101384662B1 (ko) 조립식 오수받이
KR20030012778A (ko) 배수트랩
KR20090129283A (ko) 이음관
US20220120075A1 (en) Siphon device with a bypass
KR100658160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배수구조
US4141090A (en) Trap and drain flush out kit
JP2004360263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KR100834736B1 (ko) 배수관용 악취차단 캡
DE102005058674B4 (de) Zusatzvorrichtung für ein Arbeitsmittel, insbesondere eine Spirale, zur Beseitigung einer Verstopfung in einer Abflussleitung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101705484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CN218894158U (zh) 一种防臭下水器
CN217480324U (zh) 一种塑料按压弹跳式下水器
KR102074503B1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CZ201723A3 (cs) Dešťová vpusť
CN219638083U (zh) 一种下水管道防臭芯
RU218019U1 (ru) Манжета канализационная для дренажных трубок
JP2005163540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JP7337346B2 (ja) 継手部材
CN114440038B (zh) 管道接口密封组件及同层排水旋流器组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