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424U -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2424U KR20190002424U KR2020190000050U KR20190000050U KR20190002424U KR 20190002424 U KR20190002424 U KR 20190002424U KR 2020190000050 U KR2020190000050 U KR 2020190000050U KR 20190000050 U KR20190000050 U KR 20190000050U KR 20190002424 U KR20190002424 U KR 2019000242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variable
- fixed
- support
- variable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05—Girders or columns that are rollable, collapsi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length or heigh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 Y02A40/2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는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파이프; 상기 고정파이프의 내부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며 관통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된 가변파이프; 상기 가변파이프의 상단에 배치되어 비닐하우스의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가변파이프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고정파이프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파이프의 둘레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사선형태로 대칭되게 배열하여 고정파이프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고정부재가 일치하는 가변파이프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반대편 체결공에 삽입되어 가변파이프가 고정파이프에 고정설치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가 낮은 계절에 농작물이나 과일을 재배하도록 시설된 비닐하우스를 지지하기 위한 하우스용 서포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는 농원이나 농지 등에서 시공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골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골조들과, 상기 골조들의 상면을 덮는 투명비닐로 이루어져 보온을 함으로써, 내부에서 농작물 또는 과일을 재배하게 된다. 이를 첨부된 도 4 내지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비닐하우스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 끝단이 지면에 매설되게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수직골조(13)들과, 상기 수직골조(13)들이 연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되어 상기 수직골조(13)들을 지지하는 수평골조(14)들과, 상기 수직골조(13)들과 상기 수평골조(14)들이 만나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이들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결속구(3) 등으로 구성되어 외부를 투명비닐(도시는 생략함)로 감싸고, 출입구에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함에 따라 비닐하우스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닐하우스는 소정의 간격으로 보강골조가 설치되는 시설하우스와는 달리 수직으로 가해지는 무게를 지탱하는데 한계가 있어 갑작스럽게 폭설이 내리거나, 강풍이 불면 수직골조(13) 또는 수평골조(14)가 이를 지탱하지 못하고 힘없이 구부러져 붕괴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강용 지지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8은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종래의 보강용 지지대(100)는 비닐하우스의 파이프(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10)와,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단과 체결되고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122)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가변파이프(120)와, 상기 가변파이프(120)의 단면과 대응하는 중공(134)이 형성되어 있어, 그 중공(134)에 상기 가변파이프(120)가 내삽 가능하고, 상측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132)이 형성된 고정파이프(130)와, 상기 고정파이프(130)의 하측 말단에 체결되고 바닥면과 접하여 상측으로부터의 하중을 지탱하는 베이스플레이트(1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측에는 만곡형 지지부(114)가 구비되어 있어, 보강용 지지대가 비닐하우스의 파이프(1)에 안정적으로 접속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만곡형 지지부(114)의 상측 개방구 너비는 파이프(1)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어 비닐하우스의 파이프에 설치 및 해체 가능하다.
상기 만곡형 지지부(114)는 폭설 또는 강풍으로 인해 비닐하우스의 붕괴 위험이 있을 경우,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지지하여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폭설 후 눈이 녹아 상측으로부터의 하중이 저하되어 비닐하우스 높이가 높아진 경우에는 만곡형 지지부(114) 내에 비닐하우스 파이프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함으로, 보강용 지지대 그 자체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져 농작물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가변파이프(120)는 체결부재(112)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단과 체결되어 있다. 예컨대, 가변파이프(120)를 지지부재(110)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한 후 볼트(112a)와 너트(112b)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에 따라 이들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0)의 상면에 체결홈(146)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파이프(130)의 하측 말단부가 체결홈(146)에 내삽되고, 그 다음, 볼트(142a) 및 너트(142b)와 같은 체결부재(142)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40)를 고정파이프(130)의 하단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강용 지지대(100)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1)를 지지부재(110)의 만곡형 지지부(114)에 끼움 결합하고, 가변파이프(120)를 고정파이프(130)의 중공에 내삽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150)를 이용하여 고정파이프(130)의 체결공(132)과 가변파이프(120)의 관통공(122) 중 어느 하나를 삽통시켜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예컨대 가변파이프(120)를 고정파이프(130)에 내삽시킨 상태에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를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는 보강용 지지대의 길이를 특정하고, 그 길이에서 고정핀 등과 같은 고정부재(150)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에 따라 비닐하우스를 지탱하는데, 상기 보강용 지지대는 도 5와 같이 비닐하우스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하게 된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보강용 지지대는 해체시 고정핀(150)을 제거한 후 상측의 가변파이프(120)를 파지한 후, 고정파이프(130)의 중공 내로 당기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이들의 해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보강용 파이프는 가변파이프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관통공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어 가변파이프가 압축하중에 약해져 갑자기 폭설이 내리거나, 강풍이 불 경우 이를 견디지 못하고 가변파이프가 구부러지게 되므로 비닐하우스가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변파이프의 상부에 지지부재를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어 가변파이프의 상부를 지지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홈에 끼울 수 있게 가공해야 함은 물론이고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해야 하므로 이들의 가공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 및 생산원가가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파이프로부터 가변파이프가 해체된 상태에서는 고정부재를 별도로 관리하여야 되지만, 고정부재가 고정파이프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이므로 분실의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변파이프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배열을 달리하여 가변파이프에 관통공을 형성함에 따른 압축하중이 약해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비닐하우스의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가변파이프의 구조를 달리하여 이들의 결합부위를 가공하지 않고도 가변파이프에서 지지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파이프에 고정부재를 별도의 연결 끈으로 매달아 고정파이프로부터 가변파이프를 해체하더라도 고정부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는 비닐하우스의 파이프를 수직 지지할 수 있도록 1.8M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부 둘레에만 2쌍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횡단면이 원형인 고정파이프;
상기 고정파이프의 내부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고, 2M의 길이로 형성되며, 관통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된 횡단면이 원형인 가변파이프;
상기 가변파이프의 상단에 얹혀져 비닐하우스의 파이프를 지지하게 되며, 가변파이프의 상면 중공부에 삽입되되, 내경이 상호 다른 가변파이프에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외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된 원뿔형의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가변파이프의 상면에 얹혀지는 걸림턱부 및 상기 걸림턱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비닐하우스의 파이프를 지지하는 안착부로 구성된 지지부재;
상기 가변파이프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고정파이프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파이프의 하부가 상부 내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며, 플랜지부를 갖는 베이스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파이프는 압축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둘레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사선형태로 대칭되게 배열하여 고정파이프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고정부재가 일치하는 가변파이프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반대편 체결공에 삽입되어 가변파이프가 고정파이프에 고정되고,
상기 2쌍의 체결공은 관통공을 통한 높낮이조절보다 상대적으로 세밀하게 가변파이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호 간격이 상기 관통공의 배열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고, 90° 위상 차를 갖도록 상호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 끈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연결 끈의 타단은 고정파이프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가변파이프의 둘레에 형성되는 관통공이 사선형태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어 가변파이프에 관통공을 배열 형성하더라도 관통공에 작용하는 압축하중을 가변파이프의 전체에 걸쳐 골고루 분산시키게 되므로 가변파이프의 구부러짐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붕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가변파이프의 중공부에 지지부재를 얹어놓기만 하면 지지부재의 삽입부가 끼워져 걸림턱부가 가변부재의 상면에 걸려 지지되므로 가변파이프 및 지지부재의 결합부위를 가공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보강용 지지대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므로 보강용 지지대를 농가에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재에 고정파이프와 고정된 연결 끈이 매달려 있어 고정파이프에서 가변파이프를 해체하더라도 고정부재를 분실할 염려가 없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2를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변파이프의 상부에 지지부재가 얹혀진 상태를 나타내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강용 지지대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을 조립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강용 지지대로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2를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변파이프의 상부에 지지부재가 얹혀진 상태를 나타내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강용 지지대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을 조립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강용 지지대로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는 고정파이프(50)의 내부에 삽입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는 가변파이프(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파이프(60)는 둘레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사선형태로 대칭되게 배열되도록 관통공(61)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파이프(50)의 체결공(51)에 삽입되는 고정부재(90)가 가변파이프(6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관통공(61)을 관통하여 고정파이프(5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체결공(51)으로 삽입되더라도 가변파이프(60)에 걸리는 압축하중이 골고루 분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변파이프(60)는 예컨대, 2M의 길이로 형성되며, 둘레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공(61)을 수직형태로 배열하지 않고 압축하중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사선형태로 배열되게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호 지그재그로 배열하거나 S자 형태로 대칭되게 배열하게 된다.
상기 가변파이프(60)의 상부에 설치되어 비닐하우스의 파이프(1)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70)는 가변파이프(60)의 상부에 삽입되는 외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된 원뿔형의 삽입부(71)와, 상기 삽입부(71)의 상부에 형성되어 가변파이프(60)의 상면에 걸쳐지는 걸림턱부(72)와, 상기 걸림턱부(72)의 상부에 형성되어 비닐하우스의 파이프(1)를 지지하는 안착부(7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파이프(60)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재(70)의 삽입부(71)를 원뿔형으로 형성하여 외면이 테이퍼지게 형성한 것은 가변파이프(60)의 내경이 상호 다르더라도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파이프(50)는 예컨대, 1.8M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부둘레에 체결공(51)을 배열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체결공(51)의 배열 간격을 가변파이프(60)에 형성되는 관통공(61)의 배열 간격보다 좁거나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파이프(50)로부터 가변파이프(60)를 인출하여 가변파이프(60)의 상단에 얹혀진 지지부재(70)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1)를 지지하는 과정에서 관통공(61)을 통해 조절되는 높낮이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체결공(51)으로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파이프(50)의 상부에 체결공(51)이 배열 형성되는 경우, 평면에서 볼 때 90° 위상 차를 갖도록 상호 어긋나게 형성하여 고정파이프(50)의 굽힘 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비닐하우스의 바닥이 딱딱할 경우, 고정파이프(50)를 바닥에 위치시켜도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를 설치 가능하지만, 바닥이 무르거나 평편하지 않을 경우 고정파이프(50)의 하부에 플랜지부(81)를 갖는 베이스플레이트(8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파이프(50)로부터 가변파이프(60)를 해체하더라도 고정부재(90)가 분실되지 않도록 고정부재(90)에 연결 끈(91)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 끈(91)의 타단은 고정파이프(50)에 매달려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정파이프(50) 및 가변파이프(60)는 예컨대, 횡단면이 원형인 파이프를 사용하거나,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의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파이프(50)에 가변파이프(60)를 조립함과 동시에 가변파이프(60)의 상면 중공부에 지지부재(70)를 얹어 놓으면 테이퍼진 삽입부(71)에 의해 지지부재(70)가 가변파이프(60)에 안정적으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70)가 얹혀진 가변파이프(60)를 고정파이프(50)에 조립한 다음 비닐하우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고자 하는 비닐하우스의 파이프(1)의 높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관통공(61)을 체결공(51)에 일치시키고 체결공(51)으로 고정부재(90)를 밀어넣어 고정부재(90)가 가변파이프(60)에 형성된 관통공(61)을 관통하여 고정파이프(5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체결공(51)에 끼워지면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여기서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의 높이는 비닐하우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고자 하는 비닐하우스의 파이프(1)의 높이보다 약간 길게 조립하게 된다.
또한, 조립된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의 높이가 비닐하우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고자 하는 비닐하우스의 파이프(1)의 높이보다 낮으면 지지부재(70)의 안착부(73)가 파이프(1)를 지지할 수 없게 되므로 고정파이프(50)로부터 가변파이프(60)를 분리하여 높이를 재조절하여야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의 조립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가변파이프(60)의 상부에 얹혀진 지지부재(70)의 안착부(73)를 비닐하우스의 파이프(1)에 접속시키고 나면 고정파이프(50) 및 가변파이프(60)가 조립된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는 수직상태가 아니고 수직상태에서 일 측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가 수직상태가 되게 고정파이프(50)의 하단을 밀어주면 지지부재(70)가 비닐하우스의 파이프(1)를 상측으로 밀어주면서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은 비닐하우스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실시함으로써,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가 비닐하우스를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므로 폭설이 내리거나, 강풍이 불더라도 비닐하우스가 붕괴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를 해체하더라도 고정부재(90)가 고정파이프(50)에 고정 끈(91)으로 매달려 있어 분실될 우려가 없으므로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를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 - 고정파이프
51 - 체결공
60 - 가변파이프 61 - 관통공
70 - 지지부재 71 - 삽입부
72 - 걸림턱부 73 - 안착부
80 - 베이스플레이트 90 - 고정부재
91 - 고정 끈
60 - 가변파이프 61 - 관통공
70 - 지지부재 71 - 삽입부
72 - 걸림턱부 73 - 안착부
80 - 베이스플레이트 90 - 고정부재
91 - 고정 끈
Claims (2)
- 비닐하우스의 파이프를 수직 지지할 수 있도록 1.8M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부 둘레에만 2쌍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횡단면이 원형인 고정파이프;
상기 고정파이프의 내부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고, 2M의 길이로 형성되며, 관통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된 횡단면이 원형인 가변파이프;
상기 가변파이프의 상단에 얹혀져 비닐하우스의 파이프를 지지하게 되며, 가변파이프의 상면 중공부에 삽입되되, 내경이 상호 다른 가변파이프에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외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된 원뿔형의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가변파이프의 상면에 얹혀지는 걸림턱부 및 상기 걸림턱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비닐하우스의 파이프를 지지하는 안착부로 구성된 지지부재;
상기 가변파이프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고정파이프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파이프의 하부가 상부 내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며, 플랜지부를 갖는 베이스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파이프는 압축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둘레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사선형태로 대칭되게 배열하여 고정파이프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고정부재가 일치하는 가변파이프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반대편 체결공에 삽입되어 가변파이프가 고정파이프에 고정되고,
상기 2쌍의 체결공은 관통공을 통한 높낮이조절보다 상대적으로 세밀하게 가변파이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호 간격이 상기 관통공의 배열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고, 90° 위상 차를 갖도록 상호 어긋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 끈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연결 끈의 타단은 고정파이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050U KR20190002424U (ko) | 2019-01-04 | 2019-01-04 |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050U KR20190002424U (ko) | 2019-01-04 | 2019-01-04 |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1207 Division | 2018-03-2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424U true KR20190002424U (ko) | 2019-09-30 |
Family
ID=6808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0050U KR20190002424U (ko) | 2019-01-04 | 2019-01-04 |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02424U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6638Y1 (ko) | 2006-02-27 | 2006-05-18 | 김용균 | 비닐하우스 보강용 지지대 |
-
2019
- 2019-01-04 KR KR2020190000050U patent/KR20190002424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6638Y1 (ko) | 2006-02-27 | 2006-05-18 | 김용균 | 비닐하우스 보강용 지지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20228442A1 (en) | Portable modular monopole tower foundation | |
US9376830B1 (en) | Tower reinforcement apparatus and methods | |
CN109235861B (zh) | 一种应用于小高层建筑的装配式脚手架 | |
GB2458312A (en) | Fence Panel Support Apparatus | |
KR100966624B1 (ko) | 울타리 연결장치 | |
CN205976416U (zh) | 一种钢梁吊篮装置 | |
US20180360225A1 (en) | Structure for connecting a stand pole and a beam of a bunk bed and a bunk bed using the structure | |
EP3775433A1 (de) | Einzelner gerüststiel | |
DE102014012064B4 (de) | Einrichtung zur winkelvariablen Aufstellung eines Mastes, insbesondere einer Fangstange für den äußeren Blitzschutz | |
AU2021105694A4 (en) | Frame and coupling arrangement | |
DE2350129C3 (de) | Vorrichtung zur Errichtung von umfangsgeschlossenen Betonbauten | |
AU598668B2 (en) | Framework forming support for a tent canvas of a light shelter | |
KR20190002424U (ko) | 비닐하우스용 서포트장치 | |
KR100818715B1 (ko) |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 |
DE69919987T2 (de) | Spannkabelzelt mit mehreren spitzen | |
KR20140119572A (ko) | 울타리 | |
KR200429769Y1 (ko) |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 |
CN206174614U (zh) | 用圆形部件进行锁装连接的球形帐篷支架 | |
KR102038009B1 (ko) |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지주와 프레임의 연결 구조 | |
DE102012106997B4 (de) |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Raumzelle in monolithischer Bauweise | |
EP3522314A1 (de) | Schutzgerüst, insbesondere freileitungsschutzgerüst sowie verfahren zum errichten eines schutzgerüstes | |
KR100586225B1 (ko) | 조립식 막 구조물 및 막 구조물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 |
DE2506361A1 (de) | Vorrichtung zur errichtung von vorzugsweise umfangsgeschlossenen bauten | |
DE102011000321B4 (de) | Ständer für Informationstafel | |
CN207022748U (zh) | 一种稳定性能高的支撑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106 |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