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331U -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 - Google Patents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331U
KR20190002331U KR2020180001042U KR20180001042U KR20190002331U KR 20190002331 U KR20190002331 U KR 20190002331U KR 2020180001042 U KR2020180001042 U KR 2020180001042U KR 20180001042 U KR20180001042 U KR 20180001042U KR 20190002331 U KR20190002331 U KR 201900023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information
information
wearer
health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석
Original Assignee
이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석 filed Critical 이기석
Priority to KR2020180001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331U/ko
Publication of KR201900023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3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81Patients' garments with incorporated means for medical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착용자의 건강 정보가 그림이나 문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표기되어 마사지를 받을 때나, 혹은 진료를 받을 때 환자의 건강 정보를 간편하게 파악하여 빠른 응급 조치와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SMART CLOTHING WITH HEALTH INFORMATION}
본 고안은 의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착용자의 건강 정보가 그림이나 문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표기되어 마사지를 받을 때나, 혹은 진료를 받을 때 환자의 건강 정보를 간편하게 파악하여 빠른 응급 조치와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발전에 힘입어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평균 수명이 상승함에 따라 고령화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웰빙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기본적으로 개인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건강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사람이 매일 착용하는 의류에 건강 관련 서비스가 접목된 스마트 의류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 의류들은 대부분 인체에 유익한 물질들을 이용하여 의류를 제작하거나, 혹은 의류에 착용자의 건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생체 정보 감지센서들을 설치하여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기술로서 아직까지 생체 정보를 정확하게 감지하는데 한계가 있어 정확한 건강 정보를 획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KR 10-2005-0010885 A, 2005. 01. 28. KR 10-1418080 B, 2014. 06. 30. KR 10-2017-0007576 A, 2017. 01. 19.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인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착용자의 건강 정보가 그림이나 문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표기되어 마사지를 받을 때, 혹은 사고 등으로 인한 응급 상황이 발생할 때, 혹은 진료를 받을 때 환자의 건강 정보를 간편하게 파악하여 빠른 응급 조치와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체에 대한 기본정보, 운동방법, 그리고 착용자의 인적정보 및 의료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가 그림, 문자 또는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현되어 있는 건강 정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체에 대한 기본정보는 경혈도 또는 척추도이고 상기 경혈도와 상기 척추도에는 착용자의 환부를 표시하는 표식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운동방법은 연령대별, 계절별, 신체 부위별 또는 질병별 운동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자의 인적정보는 나이, 성별, 연락처,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자의 의료정보는 신장, 체중, 혈액형, 병력 또는 복용하고 있는 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건강 정보부는 착용자의 건강 정보가 저장된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 중 어느 하나이며, 스마트폰 또는 스캐너를 통해 상기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코드에 저장된 건강 정보를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를 통해 표시 및 저장하여 자가진단 및 건강정보를 관리하도록 제공하는 한편,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건강 정보부는 유연한 특성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강 정보를 표시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의류의 내피와 외피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스위치부의 동작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건강 정보를 표시하는 건강 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인체에 대한 기본정보(경혈점, 척추 등)를 포함하여 해당 의류를 착용하고 있는 착용자의 건강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부가 그림이나 문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표기되어 마사지를 받을 때, 혹은 사고 등으로 인한 응급 상황이 발생할 때, 혹은 진료를 받을 때 환자의 건강 정보를 간편하게 파악하여 빠른 응급 조치와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의류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례로 경혈도가 그려진 스마트 의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로 척추가 그려진 스마트 의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의류에 구비된 코드를 이용한 건강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건강 정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의류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으로서, 여기서는 상의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의류의 종류 및 구조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의류(10)는 인체에 대한 기본정보(경혈점, 척추 등)를 포함하여 해당 의류를 착용하고 있는 착용자의 건강 정보가 그림이나 문자, 숫자, 코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표기되어 마사지를 받을 때, 혹은 사고 등으로 인한 응급 상황이 발생할 때, 혹은 진료를 받을 때 환자의 건강 정보를 간편하게 파악하여 빠른 응급 조치와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례로 경혈도가 그려진 스마트 의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2는 스마트 의류의 전면부, 도 3은 후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의류(10)의 건강 정보부(20)는 인체의 경혈도(21, 22)를 포함한다. 그리고, 경혈도(21, 22)에는 현재 착용자가 아프거나 과거 병력이 있는 환부를 표시하는 표식(A)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표식(A)은 원, 점, 화살표 또는 'X'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의류(10)에 경혈도(21, 22)가 그려져 있고, 각 경혈도(21, 22)에는 현재 착용자(피시술자)가 아프거나 과거 병력이 있는 환부를 표시하는 표식(A)이 표시됨에 따라 마사지 시술자가 착용자의 환부를 정확하게 인지하면서 마사지를 진행할 수 있어 마사지 시술자와 착용자 간에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로 척추가 그려진 스마트 의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4는 스마트 의류의 전면부, 도 5은 후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다른 예로 건강 정보부(20)는 스마트 의류(10)의 전후면부에 그려진 인체의 척추도(23, 24)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척추도(23, 24)에는 현재 착용자가 아프거나 과거 병력이 있는 환부를 표시하는 표식(B)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표식(B)은 원, 점, 화살표 또는 'X'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의류(10)에 척추도(23, 24)가 그려져 있고, 각 척추(23, 24)에는 현재 착용자(피시술자)가 아프거나 과거 병력이 있는 환부를 표시하는 표식(B)이 표시됨에 따라 마사지 시술자는 착용자의 환부를 정확하게 인지하면서 마사지를 진행할 수 있어 시술자와 착용자, 즉 시술자가 간에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표식(A, B)은 LED 램프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즉, 경혈도(21, 22)와 척추도(23, 24)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LED 램프를 설치하고, 상기 LED 램프를 턴-온시키는 방식으로 착용자의 환부를 경혈도(21, 22)와 척추도(23, 24)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의류(10)에 마련된 건강 정보부(20)에는 건강 증진 또는 특정 부위의 근육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운동방법이 더 기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특정 부위의 근육을 신장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건강 정보부(20)에 기재된 운동방법을 토대로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의류(10)에 구비된 건강 정보부(20)에는 착용자가 자신의 운동종류, 운동시간, 운동횟수, 건강상태 및 만족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직접 기재하도록 운동량 및 건강상태 기재란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동량 및 건강상태 기재란에는 예를 들어, 운동종류, 운동시간, 운동횟수, 건강상태 및 만족상태 등이 제공되고, 그 주변에는 각각 체크 또는 표식할 수 있도록 공란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운동량 및 건강상태 기재란은 교체가 가능하도록 건강 정보부(2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량 건강상태 기재란은 수첩과 같이 제작되어 그 일단부가 벨트로, 똑딱이 또는 지퍼 등으로 스마트 의류(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펜을 사용하여 기재할 수 있도록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과 같이, 건강 정보부(20)는 착용자의 건강 정보가 포함된 코드(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드(25)는 예를 들면, QR 코드 또는 바코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의류에 구비된 코드를 이용한 건강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로서, 도 6과 같이, 스마트폰(1) 또는 스캐너(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스마트 의류(10)에 마련된 코드(25)를 인식하여 코드(25)에 저장된 건강 정보를 스마트폰(1) 또는 컴퓨터(2)를 통해 표시 및 저장한다.
스마트폰(1)에는 코드(25)를 인식하는 앱이 설치되어 있어 코드(25)를 인식한 후 인식된 건강 정보를 표시패널을 통해 표시하는 한편,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인식된 건강 정보를 통신망(3)(인터넷망)을 통해 건강 관리서버(4)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컴퓨터(2)는 상기 스캐너를 통해 인식된 건강 정보를 제공받아 모니터에 표시하는 한편, 저장 및 관리한다. 그리고, 인식된 정보는 스마트폰(1)과 마찬가지로 통신망(3)을 통해 건강 관리서버(4)로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갱신)된다.
착용자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1)을 통해 코드(25)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응하는 의료 정보를 인테넷을 통해 검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의료 정보를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가 진단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건강 정보는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인체에 대한 기본정보, 예를 들면, 경혈점, 척추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다양한 운동방법, 예를 들면, 연령대별, 계절별, 신체 부위별, 질병별 운동방법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착용자의 인적정보와 의료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인적정보는 나이, 성별, 연락처, 주소 등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정보는 신장, 체중, 혈액형, 병력, 복용하고 있는 약 등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의류(10)는 착용자의 주문 제작을 통해 착용자의 건강 정보가 반영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착용자의 의류 제작업체에게 사전에 인체에 대한 기본정보, 운동방법, 착용자의 인적정보 및 의료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스마트 의류를 제조하거나, 혹은 범용적으로 건강 정보부가 구비된 스마트 의류를 제작한 후 착용자의 인적정보 및 의료정보를 건강 정보부에 기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체에 대한 기본정보의 경혈도와 척추도에 현재 환부를 표시하거나, 혹은 건강 정보부의 공란에 착용자의 인적정보 및 의료정보를 기재할 수도 있다.
한편, 건강 정보부(20)의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하는 방법은 자석이나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미리 제작된 정보들을 건강 정보부(20)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건강 정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건강 정보부(30)는 전자 모듈 형태로 제조되어 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 의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건강 정보부(30)는 전원부(31), 스위치부(32) 및 건강 정보 표시부(33)를 포함한다.
건강 정보 표시부(33)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유연한 특성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건강 정보를 표시하고자 하는 스마트 의류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척추 부위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 의류의 등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건강 정보 표시부(33)는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스마트 의류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내장될 수 있고, 이때, 내피 또는 외피는 건강 정보 표시부(33)에서 표시되는 건강 정보가 외부로 표출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표시창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건강 정보 표시부(33)는 스위치부(32)를 통해 전원부(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건강 정보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인체에 대한 기본정보(경혈점, 척추 등)와, 다양한 운동방법(연령대별, 계절별, 신체 부위별, 질병별 운동방법 등)과, 그리고, 착용자의 인적정보와 의료정보, 예를 들면, 나이, 성별, 연락처, 주소 등과 신장, 체중, 혈액형, 병력, 복용하고 있는 약 등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건강 정보부(30)는 비동작시에는 건강 정보가 외부로 표시되지 않고, 건강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동작시켜 건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장소에서 건강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스마트폰
2 : 컴퓨터
3 : 통신망
4 : 건강 관리서버
10 : 스마트 의류
20, 30 : 건강 정보부
21, 22 : 경혈도
23, 24 : 척추도
25 : 코드
31 : 전원부
32 : 스위치부
33 : 건강 정보 표시부

Claims (4)

  1. 인체에 대한 기본정보, 운동방법, 그리고 착용자의 인적정보 및 의료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가 그림, 문자 또는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현되어 있는 건강 정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에 대한 기본정보는 경혈도 또는 척추도이고 상기 경혈도와 상기 척추도에는 착용자의 환부를 표시하는 표식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운동방법은 연령대별, 계절별, 신체 부위별 또는 질병별 운동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자의 인적정보는 나이, 성별, 연락처,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자의 의료정보는 신장, 체중, 혈액형, 병력 또는 복용하고 있는 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정보부는 착용자의 건강 정보가 저장된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 중 어느 하나이며, 스마트폰 또는 스캐너를 통해 상기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코드에 저장된 건강 정보를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를 통해 표시 및 저장하여 자가진단 및 건강정보를 관리하도록 제공하는 한편,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정보부는 유연한 특성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강 정보를 표시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의류의 내피와 외피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스위치부의 동작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건강 정보를 표시하는 건강 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
KR2020180001042U 2018-03-12 2018-03-12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 KR201900023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042U KR20190002331U (ko) 2018-03-12 2018-03-12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042U KR20190002331U (ko) 2018-03-12 2018-03-12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31U true KR20190002331U (ko) 2019-09-20

Family

ID=6806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042U KR20190002331U (ko) 2018-03-12 2018-03-12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33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6977A1 (en) * 2021-11-15 2023-05-19 Campbell Allison Comfort device with concealed symbolic i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885A (ko) 2002-06-17 2005-01-28 창밍 양 생리 기능 상태 모니터링 장치와 그 장치의 모니터링 및처리 방법
KR101418080B1 (ko) 2013-05-21 2014-07-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건강 관리용 디지털 의류
KR20170007576A (ko) 2015-07-08 2017-01-1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정보 측정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885A (ko) 2002-06-17 2005-01-28 창밍 양 생리 기능 상태 모니터링 장치와 그 장치의 모니터링 및처리 방법
KR101418080B1 (ko) 2013-05-21 2014-07-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건강 관리용 디지털 의류
KR20170007576A (ko) 2015-07-08 2017-01-1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정보 측정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6977A1 (en) * 2021-11-15 2023-05-19 Campbell Allison Comfort device with concealed symbolic i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44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user orientation information on a user-worn sensor device
CN108135772B (zh) 用于基于具有身体测量结果的在线存储资料的个性化治疗指导的便携式医疗设备和方法
US8647268B2 (en)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CN103366323B (zh) 执行用户定制的健康管理的用户终端装置和系统及其方法
US7502498B2 (en)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US110562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itions of care
CA2926709C (en) Pressure ulcer detection methods, devices and techniques
US20150242812A1 (en) De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dvance directives
KR20180044942A (ko) 무선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들 및 방법들
WO2014015378A1 (en) A mobile computing device, application server,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system for calculating a vitality indicia, detecting an environmental hazard, vision assistance and detecting disease
US20160103962A1 (en) Temporary cutaneous informa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and multi-patient treatment infrastructure
CN106133730A (zh) 用于增强的个人护理的方法和装置
CN103210391A (zh) Cpr表现的实时评估
JP2016509938A5 (ko)
KR20190002331U (ko)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
JPWO2009147837A1 (ja) 健康管理装置
WO20180058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s of care
JP2008279032A (ja) 情報入力端末装置及び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プログラム
JP2014038489A (ja) 処方情報管理装置、処方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処方情報管理装置の制御方法
Ramalingam et al. Self-monitoring framework for patients in IoT-based healthcare system
JP2010075606A (ja) 薬剤投与量確認システム及び薬剤投与量確認方法
US11508470B2 (en) Electronic medical data tracking system
US20190009049A1 (en) Digital command prompting device for dementia patients using augmented reality
KR100728605B1 (ko) 수술환자 자동식별장치
KR20130143521A (ko) 응급 정보가 내장된 카드 및 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5059;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50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214

Effective date: 2020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