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293A -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293A
KR20190002293A KR1020180052882A KR20180052882A KR20190002293A KR 20190002293 A KR20190002293 A KR 20190002293A KR 1020180052882 A KR1020180052882 A KR 1020180052882A KR 20180052882 A KR20180052882 A KR 20180052882A KR 20190002293 A KR20190002293 A KR 20190002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course
subjects
subject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219B1 (ko
Inventor
오창규
이홍걸
김성후
박종필
Original Assignee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002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무를 기반으로 한 교과목의 중요도에 따라 그 우선순위를 결정함과 더불어 이렇게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교육하고자 하는 각 교과목들이 확정되도록 이루어진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며, 이로써 직무를 기반으로 한 교과목 수강지도와 특정 교과목에 대한 직무 및 직능과의 관련성 지도가 가능함과 더불어 각 수강생에게 맞춤형 교육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과정 구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설계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service method for customized curriculum design process based on competency-based education}
본 발명은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직무를 기반으로 한 교과목 수강지도와 특정 교과목에 대한 직무 및 직능과의 관련성 지도를 함으로써 대학의 학과에는 학과 특성에 맞춘 직무기반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 수요자(수강생)에게는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과정이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학에서는 제공되는 교육과정의 설계는 해당 대학의 교육 목적 및 목표에 기반하여 전공필수와 전공선택 과목으로 각각 달리 분류되어 매년마다 새로이 결정되며, 이때 상기한 전공 과목은 학과 구성원(교수)이 보유한 연구 및 교육 역량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학문적 측면에 기초하여 그의 교육과정이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일반적인 대학의 교육과정의 경우 학과 구성원이 보유한 연구 역량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학문적 측면에 기초하여 교육과정이 설계되어 운영되었으나, 최근 많은 대학들이 직무에 기반한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교육과정의 운영으로 인해 직무에 상관없이 각 학년별 교과목이 설정되고, 해당 학생은 원하는 직무에 상관없이 상기 설정된 교과목을 선택하여 수강하였기 때문에 학생이 원하는 직무와는 사실상 관련성이 낮은 교과목의 수강으로 인해 비효율적인 교육일 수밖에 없었고, 더욱이 해당 학생이 원하는 직무에 밀접한 교과목은 사실상 누락될 우려가 있었다.
특히, 대학의 각 학과에서는 매년(혹은, 주기적) 교과목에 대한 지정을 수행하는데, 이의 과정에서 구성원들 간 서로 다른 의견의 개진에 의해 직무에 관련성이 낮은 교과목이 수강 과목으로 설정됨과 더불어 직무에 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교과목은 오히려 수강 과목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발생되거나 현실과의 괴리가 나타났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학생이나 산업체의 수요 측면에서의 중요성이 간과되었으며, 졸업 이후 수행하여야 할 전공 영역과 관련된 직무와는 상관없이 학년/학기별로 교과목이 설정되거나 체계적인 진로지도 없는 교과목을 수강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학생이 원하고 산업에서 요구되는 직무 밀접 교과목이 누락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학생 입장에서는 졸업을 위한 학점을 채우는 것이 목적인 비체계적인 교과목을 이수할 수밖에 없는 등의 비효율적인 교육이 양산되었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교육의 효과성 제고와 대학 및 학과의 교육목표 달성, 전공별 산업의 추세나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상기한 교육 과정의 설계는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
물론, 최근에는 각 학생에 관련한 수강 과목이나 학점 등을 고려한 관련 직무를 판단함과 더불어 이를 토대로 진로를 설계하여 안내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이 요구되었으며, 각 대학에서도 국가직무능력기준(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고려한 다양한 직무 기반의 교육과정을 제공하려는 운영 사례가 일부 존재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다만, 상기한 운영 사례는 특정 전공 영역에 국한되어 학생과 관련된 수강 과목 및 학점을 고려하고, 이를 토대로 진로를 탐색하여 안내하는 형태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이 제공되었으며, 주로 전문대학을 필두로 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고려하여 다양한 전공 분야에서 직무 기반의 교육과정을 제공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667482호, 공개특허 제10-2017-0006831호, 등록특허 제10-0716506호, 등록특허 제10-1429569호, 공개특허 제10-2015-0053317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서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NCS를 일반적인 대학 교육과정 설계에 직접 적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각종 이슈로 인한 문제점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즉, 대학 내 특정 전공 영역이 존재하고, 대학 및 학과가 보유한 지역 사회와의 특수성, 그리고 교육 수요자와 제공자의 역량 및 합의점을 도출해야만 하는 문제점과,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한 융합형 인재 양상을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하기가 힘들었던 문제점, 학생 개별로 맞춤형 교과목을 진로 지도하기에 미흡하다는 것이다.
이로써, 종래에는 NCS를 기준으로 한 일괄적인 교육과정의 설계가 이루어짐에 따라 사실상 해당 학과에서 추구하는 직무나 교과목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의 설계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등록특허 제10-1667482호 공개특허 제10-2017-0006831호 등록특허 제10-0716506호 등록특허 제10-1429569호 공개특허 제10-2015-0053317호
정보시스템연구.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5년 12월. 제24권, 제4호.(오창규 외 2인. 경영정보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방안) 한국조경학회. 2015년 2월 제43권, 제1호.(변재상 외 2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근거한 조경분야 교육과정 개발 방법론-갭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산기술학회논문지.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년. 제17권, 제11호.(송정호 외 1인. 정보보호 산업분야 신규 인력 양성을 위한 NCS기반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무를 기반으로 한 교과목 수강지도와 특정 교과목에 대한 직무 및 직능과의 관련성 지도를 함으로써 대학의 학과에는 학과 특성에 맞춘 직무기반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 수요자(수강생)에게는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과정이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각종 정보를 입력받고, 이 입력받은 정보를 토대로 교과목 및 직무를 진단한 후 교육 과정을 설계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서비스서버에 의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학과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교과목을 입력받고, 학과에서 추구하는 복수의 직무 타입 및 직무 타입별로 필요로 하는 복수의 직무 능력을 각 사용자의 개인용단말기를 통해 각각 입력받는 정보 입력단계; 상기 정보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각 사용자의 개인용단말기를 통해 필요 직무 능력의 달성을 위한 각 직무 능력별 복수의 교과목을 지정하도록 요청하는 교과목 지정단계; 상기 교과목 지정단계에서 설정된 직무 능력별 각 교과목을 각 사용자의 개인용단말기를 통해 중요도별로 분류하여 지정하도록 요청하는 중요도 지정단계; 상기 직무 능력별 교과목의 중요도 혹은, 직무 타입별 교과목 개수나 교과목 점수를 근거로 각 직무에 속한 교과목의 우선순위 및 직무의 우선순위를 각각 산출하는 교과목 및 직무 진단단계; 상기 교과목 및 직무 진단단계를 통해 산출된 각 우선순위별 교과목 혹은, 우선순위별 직무에 따라 복수의 교과목을 확정하는 교과목 확정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입력단계에서 입력받는 복수의 교과목은 상기 교과목 확정단계에서 최종적으로 교육할 것으로 확정되는 복수의 교과목 수(數)에 비해 충분히 많은 수의 교과목을 입력받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과목 확정단계는 상기 각 교과목의 우선순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수(數)나 개설 학점만큼의 교과목이 순서대로 확정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과목 및 직무 진단단계에서 산출된 각 교과목의 우선순위에 따라 전공 필수 과목 및 전공 선택 과목이 각각 구분되어 분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과목 및 직무 진단단계에서 상기 각 교과목들은 동일한 중요도일 경우 더 중요한 직무에 속한 교과목의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과목 및 직무 진단단계에서는 직무 타입에 반영된 교과목 전체의 개수(ci)에 대한 해당 교과목이 반영되어 있는 직무의 개수 비율(cri)과 교과목 전체의 중요도 합계(si)에 대한 해당 교과목의 중요도 합계의 비율(sri)의 평균값(ari)이 클수록 해당 교과목의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교과목 중 일부 교과목의 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해당 교과목별 직무 타입의 개수 행렬에 대한 해당 직무 타입의 가중치 행렬의 곱(cwi)과 해당 교과목별 직무 타입의 점수 행렬에 대한 해당 직무 타입의 가중치 행렬의 곱(swi)의 평균값(awi)이 클수록 해당 교과목의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과목 및 직무 진단단계에서는 직무 타입별로 요구되는 교과목의 전체 개수(cj)에 대한 해당 직무 타입에서 요구되는 교과목 개수의 비율(crj)과 직무 타입별로 요구되는 교과목의 전체 중요도 합계(srj)에 대한 해당 직무 타입에서 요구되는 교과목의 중요도 합계의 비율(srj)의 평균값(arj)이 클수록 해당 직무의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직무 중 일부 직무의 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해당 직무 타입별 교과목 개수 행렬에 대한 해당 교과목 개수의 가중치 행렬의 곱(cwj)과 해당 직무 타입별 교과목의 점수 행렬에 대한 해당 교과목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 행렬의 곱(swj)의 평균값(awj)이 클수록 해당 직무의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은 직무를 기반으로 한 교과목의 중요도에 따라 그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교육하고자 하는 각 교과목들이 확정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직무를 기반으로 한 교과목 수강지도와 특정 교과목에 대한 직무 및 직능과의 관련성 지도가 가능함과 더불어 대학의 학과에는 학과 특성에 맞춘 직무기반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 수요자에게는 맞춤형 교육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설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설계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의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은 특정 학과나 전공의 교육과정을 NCS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해당 학과(전공)의 비전 및 교육목표와 제약사항에 맞도록 맞춤형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진단하며 구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NCS의 범주 하에서 NCS를 근간으로 이를 따르는 교육과정이 개발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학과의 실정에 맞춘 교육과정이 설계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각 직무나 교과목이 미리 지정된 것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또는, 해당 학교나 학과의 운영 방침에 따라 달라지더라도 이에 맞춘 설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에서는 각 교과목의 우선순위에 따라 개설학점만큼의 교과목 목록이 구성되고, 전공필수 및 전공 선택 과목이 각각 구분되어 분류되도록 함에 따라 교육 과정의 설계가 객관적이라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에서는 일부 교과목들의 중요도가 동일할 경우 더 중요한 직무에 속한 교과목의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도록 설정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더욱 많은 직무에 관련된 교과목일수록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교과목에 대한 교육 과정의 설계가 객관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중 교과목을 입력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중 직무 타입을 설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중 직무 타입별 필요 직무 능력을 설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중 필요 직무 능력별 교과목을 선택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중 필요 직무 능력별 교과목의 중요도를 설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중 교과목 진단과 직무 진단을 위한 가중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중 교과목 진단과 직무 진단을 위한 우선 순위의 부여 규칙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표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학과 맞춤형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는 온라인 연결된 서비스서버(도시는 생략됨)를 통해 제공된다.
여기서, 서비스서버는 각 사용자(예컨대, 교수들)의 컴퓨터나 모바일 단말기(이하, “사용자단말기”라 함)(도시는 생략됨)와 온라인 연결된 상태로 각종 정보를 입력받고, 이 입력받은 정보를 토대로 교과목 및 직무를 진단한 후 교육 과정을 설계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웹서버 컴퓨터이다. 물론, 상기 서비스서버는 필요에 따라 오프라인을 통해서도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서버는 각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각 교수들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혹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축된다.
이하, 상기한 서비스서버에 의한 본 발명의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은 정보 입력단계(S100)와, 교과목 지정단계(S200)와, 중요도 지정단계(S300)와, 교과목 진단단계(S400) 및 교과목 확정단계(S500)를 포함하여 진행되며, 이를 통해 각 교과목의 직무 능력별 우선순위에 따라 최종적인 수강 교과목이 결정됨과 더불어 이를 토대로 한 객관적인 교육 과정의 확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교육과정 설계를 위해 서비스서버가 수행하게 되는 서비스 과정을 각 단계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발명의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각 과정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정보 입력단계(S100)는 교과목 확정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정보 입력단계(S100)는 서비스서버가 온라인 접속된 각 사용자(예컨대, 해당 학과의 교수들)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해당 학과 혹은, 전공에서 학생들에게 가르칠 복수의 교과목들에 대한 리스트를 입력(S110) 받음과 더불어 학과에서 추구하는 복수의 직무 타입 및 직무 타입별로 필요로 하는 복수의 직무 능력을 각각 추가로 입력(S120,S130) 받음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상기 각 교과목들에 대한 리스트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학년별 및 학기별로 해당 학과의 교수들이 개인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각각 개별적으로 입력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학년 및 학기별 교과목의 리스트가 서비스서버로 취득된다.
특히, 상기 정보 입력단계(S100)에서 입력받는 복수의 교과목은 최종적으로 교육할 것으로 확정될 복수의 교과목 수(數)에 비해 더욱 많은 수의 교과목을 입력받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학과에서 추구하는 직무 타입은 해당 학과에서 추구하는 인재상과 교육 목표에 따라 설정된다. 물론, 상기 직무 타입에는 해당 학과에 소속된 교수나 해당 학과에 관련된 교수들이 서로 모여서 협의하여 추가로 결정될 수도 있고, 기업체에서 해당 학과에 요구하는 정보를 토대로 추가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직무 타입에는 ‘회사에서 일반 사무 업무 수행 중에 컴퓨터 혹은, 정보시스템에 문제 발생시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 ‘회사에서 일반 사무 업무 수행 중에 IT 활용 능력과 엔드 유저 컴퓨팅(ECU) 능력을 바탕으로 정보화 가능’, ‘회사의 업무에 적합한 IT 솔루션의 탐색, 평가, 선정 가능’등 다양한 직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함께, 직무 타입별로 필요로 하는 직무 능력이라 함은 해당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능력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직무 타입이 ‘회사에서 일반 사무 업무 수행 중에 컴퓨터 혹은, 정보시스템에 문제 발생시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일 경우 상기 직무 능력은 ‘회사의 전반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컴퓨터 H/W 및 S/W,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등에 대한 기본 구조 및 매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정보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최신 IT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등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교과목 지정단계(S200)는 직무 능력별로 교과목을 지정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교과목 지정단계(S200)에서는 상기 정보 입력단계(S100)에서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필요 직무 능력의 달성을 위한 직무 능력별 복수의 교과목을 지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교과목 지정단계(S200)는 서비스서버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각 교과목을 토대로 자동으로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정보 입력단계(S100)에서 각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각 직무 능력별 리스트 및 교과목 리스트를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각 직무 능력별 교과목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직무 능력이 ‘회사의 전반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일 경우 이에 관련한 복수의 교과목은 ‘경영의 세계’, ‘경영활동과 회계’, ‘경영정보시스템’, ‘인사조직관리’, ‘재무관리’, ‘인터넷 마케팅’, ‘인턴십실습’등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상에서 최초 입력된 각 교과목들 중 해당 직무 능력에 관련한 교과목을 각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선택함으로써 수행된다.
물론, 상기 직무 능력에 대한 교과목은 해당 학과나 학교에서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중요도 지정단계(S300)는 각 교과목을 중요도별로 분류하여 지정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중요도 지정단계(S300)는 상기 교과목 설정단계(S200)에서 설정된 직무 능력별 각 교과목을 각 사용자가 각 개인용단말기를 통해 중요도별로 분류하여 지정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상기 중요도별 분류는 예컨대, 매우 중요, 중요, 필요 등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직무 및 교과목 진단단계(S400)는 각 교과목 및 각 직무의 우선순위를 산출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직무 및 교과목 진단단계(S400)에서는 서비스서버가 상기 중요도 지정단계(S300)에서 지정된 직무 능력별 각 교과목의 중요도를 토대로 각 교과목의 우선순위 및 각 직무의 우선순위를 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첨부된 도 11은 상기한 직무 및 교과목 진단단계(S400)를 통한 각 교과목들에 대한 우선순위 및 각 직무의 우선순위를 순위별로 확인하기 쉽게 나타낸 표로써, X축은 인재상(직무 타입)에 대한 리스트이고, Y축은 교과목 리스트이다.
한편, 상기 각 교과목들은 동일한 중요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직무 능력별 교과목의 중요도만으로는 상기 각 교과목들에 대한 우선순위나 직무 타입에 대한 우선순위를 산출할 수가 없는 경우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교과목들에 대한 우선순위는 동일한 중요도일 경우 더 중요한 직무에 속한 교과목의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됨과 더불어 더욱 많은 직무에 관련된 교과목일수록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직무 타입에 반영된 교과목 전체의 개수(ci)에 대한 해당 교과목이 반영되어 있는 직무의 개수 비율(cri)과 교과목 전체의 중요도 합계(si)에 대한 해당 교과목의 중요도 합계의 비율(sri)의 평균값(ari)이 클수록 해당 교과목의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직무의 개수 비율(cri)은 아래의 [수학식 1]을 통해 구하고, 상기 중요도 합계의 비율(sri)은 아래의 [수학식 2]를 통해 구하며, 상기 비율의 평균값(ari)은 아래의 [수학식 3]을 통해 구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만일, 전술된 각 수학식에 관련한 규칙(rule)을 이용한 교과목의 우선순위에 대한 판단 결과 상기 각 교과목 중 일부 교과목의 우선순위가 동일하다면 해당 교과목 별 직무 타입의 개수 행렬에 대한 해당 직무 타입의 가중치 행렬의 곱(cwi: 개수에 대한 기중치 행렬의 값)과 해당 교과목별 직무 타입의 점수 행렬에 대한 해당 직무 타입의 가중치 행렬의 곱(swi:중요도에 대한 가중치 행렬 값)의 가중치의 평균값(awi)이 클수록 해당 교과목의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직무 타입의 가중치 행렬의 곱(cwi)은 아래의 [수학식 4]를 통해 구하고, 상기 직무 타입의 가중치 행렬의 곱(swi)은 아래의 [수학식 5]를 통해 구하며, 상기 가중치의 평균값(awi)은 아래의 [수학식 6]을 통해 구한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또한, 각 직무에 대한 우선순위 역시 동일한 중요도일 경우 더 중요한 교과목에 속한 직무의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됨과 더불어 더욱 많은 교과목에 관련된 직무일수록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교과목 및 직무 진단단계에서는 직무 타입별로 요구되는 교과목의 전체 개수(cj)에 대한 해당 직무 타입에서 요구되는 교과목 개수의 비율(crj)과 직무 타입별로 요구되는 교과목의 전체 중요도 합계(srj)에 대한 해당 직무 타입에서 요구되는 교과목의 중요도 합계의 비율(srj)의 평균값(arj)이 클수록 해당 직무의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과목 개수의 비율(crj)은 아래의 [수학식 7]을 통해 구하고, 상기 중요도 합계의 비율(srj)은 아래의 [수학식 8]를 통해 구하며, 상기 비율의 평균값(arj)은 아래의 [수학식 9]을 통해 구한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만일, 전술된 각 수학식에 관련한 룰(rule)을 이용한 직무의 우선순위에 대한 판단 결과 상기 각 직무 중 일부 직무의 우선순위가 동일하다면 해당 직무 타입별 교과목 개수 행렬에 대한 해당 교과목 개수의 가중치 행렬의 곱(cwj: 개수에 대한 기중치 행렬의 값)과 해당 직무 타입별 교과목의 점수 행렬에 대한 해당 교과목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 행렬의 곱(swj:중요도에 대한 가중치 행렬 값)의 평균값(awj)이 클수록 해당 직무의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교과목 개수의 가중치 행렬의 곱(cwj)은 아래의 [수학식 10]을 통해 구하고, 상기 교과목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 행렬의 곱(swj)은 아래의 [수학식 11]을 통해 구하며, 상기 가중치의 평균값(awj)은 아래의 [수학식 12]를 통해 구한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전술된 바와 같은 각 교과목 및 직무의 우선 순위 부여를 위한 규칙은 첨부된 도 12의 표로써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교과목 확정단계(S500)는 최종적으로 교육하게 될 교과목들을 확정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교과목 확정단계(S500)에서 서비스서버는 상기 교과목 진단단계(S400)를 통해 산출된 우선순위별 교과목 혹은, 우선순위별 직무에 따라 복수의 교과목을 확정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교과목 확정단계(S500)가 상기 각 교과목의 우선순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수(數)나 개설 학점만큼의 교과목이 순서대로 확정되도록 함을 제시한다.
따라서, 상기한 각 교과목의 우선순위에 따라 금번 학기에서 교육하지 않을 교과목에 대한 선정이 객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상기 교과목 진단단계(S400)에서 산출된 각 교과목의 우선순위에 따라 전공 필수 과목 및 전공 선택 과목을 구분하는 것이 객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필수적으로 이수하여야 하는 과목과 그렇지 않은 과목이 상기 각 교과목에 대한 직무별 우선순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수 수강 교육과목의 선정이 객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은 직무를 기반으로 한 교과목의 중요도에 따라 그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교육하고자 하는 각 교과목들이 확정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직무를 기반으로 한 교과목 수강지도와 특정 교과목에 대한 직무 및 직능과의 관련성 지도가 가능함과 더불어 대학의 학과에는 학과 특성에 맞춘 직무기반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 수요자에게는 맞춤형 교육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설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설계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은 특정 학과나 전공의 교육과정을 NCS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해당 학과(전공)의 비전과 제약사항에 맞도록 맞춤형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진단하며 구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NCS의 범주하에서 NCS를 근간으로 이를 따르는 교육과정이 개발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학과의 실정에 맞춘 교육과정이 설계될 수 있게 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은 각 직무나 교과목이 미리 지정된 것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또는, 해당 학교나 학과의 운영 방침에 따라 달라지더라도 이에 맞춘 설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에서는 각 교과목의 우선순위에 따라 전공 필수 과목 및 전공 선택 과목이 각각 구분되어 분류되도록 함에 따라 교육 과정의 설계가 객관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에서는 일부 교과목들의 중요도가 동일할 경우 더 중요한 직무에 속한 교과목의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도록 설정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더욱 많은 직무에 관련된 교과목일수록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교과목에 대한 교육 과정의 설계가 객관적일 수 있게 된다.
S100. 정보 입력단계 S200. 교과목 지정단계
S300. 중요도 지정단계 S400. 교과목 진단단계
S500. 교과목 확정단계

Claims (9)

  1.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각종 정보를 입력받고, 이 입력받은 정보를 토대로 교과목 및 직무를 진단한 후 교육 과정을 설계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서비스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학과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교과목을 입력받고, 학과에서 추구하는 복수의 직무 타입 및 직무 타입별로 필요로 하는 복수의 직무 능력을 각 사용자의 개인용단말기를 통해 각각 입력받는 정보 입력단계;
    상기 정보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각 사용자의 개인용단말기를 통해 필요 직무 능력의 달성을 위한 각 직무 능력별 복수의 교과목을 지정하도록 요청하는 교과목 지정단계;
    상기 교과목 지정단계에서 설정된 직무 능력별 각 교과목을 각 사용자의 개인용단말기를 통해 중요도별로 점수화하여 지정하도록 요청하는 중요도 지정단계;
    상기 직무 능력별 교과목의 중요도 혹은, 직무 타입별 교과목 개수나 교과목 점수를 근거로 각 직무에 속한 교과목의 우선순위 및 직무의 우선순위를 각각 산출하는 교과목 및 직무 진단단계;
    상기 교과목 및 직무 진단단계를 통해 산출된 각 우선순위별 교과목 혹은, 우선순위별 직무에 따라 복수의 교과목을 확정하는 교과목 확정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단계에서 입력받는 복수의 교과목은 상기 교과목 확정단계에서 최종적으로 교육할 것으로 확정되는 복수의 교과목 수(數)에 비해 더욱 많은 수의 교과목을 입력받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과목 확정단계는
    상기 각 교과목의 우선순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수(數)나 개설 학점만큼의 교과목이 순서대로 확정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과목 및 직무 진단단계에서 산출된 각 교과목의 우선순위에 따라 전공 필수 과목 및 전공 선택 과목이 각각 구분되어 분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과목 및 직무 진단단계에서 상기 각 교과목들은 동일한 중요도일 경우 더 중요한 직무에 속한 교과목의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과목 및 직무 진단단계에서는
    직무 타입에 반영된 교과목 전체의 개수(ci)에 대한 해당 교과목이 반영되어 있는 직무의 개수 비율(cri)과 교과목 전체의 중요도 합계(si)에 대한 해당 교과목의 중요도 합계의 비율(sri)의 평균값(ari)이 클수록 해당 교과목의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교과목 중 일부 교과목의 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해당 교과목별 직무 타입의 개수 행렬에 대한 해당 직무 타입의 가중치 행렬의 곱(cwi)과 해당 교과목별 직무 타입의 점수 행렬에 대한 해당 직무 타입의 가중치 행렬의 곱(swi)의 평균값(awi)이 클수록 해당 교과목의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과목 및 직무 진단단계에서는
    직무 타입별로 요구되는 교과목의 전체 개수(cj)에 대한 해당 직무 타입에서 요구되는 교과목 개수의 비율(crj)과 직무 타입별로 요구되는 교과목의 전체 중요도 합계(srj)에 대한 해당 직무 타입에서 요구되는 교과목의 중요도 합계의 비율(srj)의 평균값(arj)이 클수록 해당 직무의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직무 중 일부 직무의 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해당 직무 타입별 교과목 개수 행렬에 대한 해당 교과목 개수의 가중치 행렬의 곱(cwj)과 해당 직무 타입별 교과목의 점수 행렬에 대한 해당 교과목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 행렬의 곱(swj)의 평균값(awj)이 클수록 해당 직무의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KR1020180052882A 2017-06-29 2018-05-09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KR102044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82329 2017-06-29
KR1020170082329 2017-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93A true KR20190002293A (ko) 2019-01-08
KR102044219B1 KR102044219B1 (ko) 2019-11-13

Family

ID=6502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882A KR102044219B1 (ko) 2017-06-29 2018-05-09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697B1 (ko) 2020-07-24 2020-12-31 이태신 종합 정보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749A (ko) * 2002-06-07 2003-12-18 고려아카데미컨설팅(주) 인적자원 역량 평가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JP2006133443A (ja) * 2004-11-05 2006-05-25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教育受講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716506B1 (ko) 2006-11-15 2007-05-09 이형남 인터넷망을 이용한 사용자 상시 진로안내방법
KR101429569B1 (ko) 2013-07-23 2014-08-13 주식회사 디지털존 교육이력사항을 기반으로 한 직업 매칭 시스템
KR20150053317A (ko) 2013-11-07 2015-05-18 권태욱 전생애 발달 기반의 맞춤형 교육 추천 시스템
KR101667482B1 (ko) 2015-03-30 2016-10-20 주식회사 씨큐브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06831A (ko) 2015-07-10 2017-01-18 (주)이녹스소프트 직무중심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한 인재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749A (ko) * 2002-06-07 2003-12-18 고려아카데미컨설팅(주) 인적자원 역량 평가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JP2006133443A (ja) * 2004-11-05 2006-05-25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教育受講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716506B1 (ko) 2006-11-15 2007-05-09 이형남 인터넷망을 이용한 사용자 상시 진로안내방법
KR101429569B1 (ko) 2013-07-23 2014-08-13 주식회사 디지털존 교육이력사항을 기반으로 한 직업 매칭 시스템
KR20150053317A (ko) 2013-11-07 2015-05-18 권태욱 전생애 발달 기반의 맞춤형 교육 추천 시스템
KR101667482B1 (ko) 2015-03-30 2016-10-20 주식회사 씨큐브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06831A (ko) 2015-07-10 2017-01-18 (주)이녹스소프트 직무중심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한 인재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변재상 외 2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근거한 조경분야 교육과정 개발 방법론-갭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2015년 2월, 제43권, 제1호, pp.40-53.* *
송정호 외 1인. 정보보호 산업분야 신규 인력 양성을 위한 NCS기반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산기술학회논문지.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년, 제17권, 제11호, pp.537-544.* *
오창규 외 2인. 경영정보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방안: K대학 e-비즈니스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5년12월, 제24권, 제4호, pp.117-138.* *
정보시스템연구.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5년 12월. 제24권, 제4호.(오창규 외 2인. 경영정보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방안)
한국산기술학회논문지.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년. 제17권, 제11호.(송정호 외 1인. 정보보호 산업분야 신규 인력 양성을 위한 NCS기반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2015년 2월 제43권, 제1호.(변재상 외 2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근거한 조경분야 교육과정 개발 방법론-갭분석을 중심으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697B1 (ko) 2020-07-24 2020-12-31 이태신 종합 정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219B1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ittel et al. Entrepreneurial competences revised: developing a consolidated and categorized lis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s
Li Top management team characteristics and firm internationalization: The moderating role of the size of middle managers
Green Measuring and assessing internationalization
WO2006039384A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the employability of a job applicant
Vlasova et al. Matrix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environment algorithms application in the educational process
Kaushik et al. HR Functions Productivity Boost by using AI
Harteis Research on workplace learning in times of digitalisation
Anderson et al. Inequity is woven into the fabric: a discourse analysis of assessment in pediatric residency training
JP202211105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Beauregard et al. Leveraging previously reported research to create a decision support tool for institutional facility maintenance
Eliades et al. Perspectives on implementation considerations and costs of malaria case management supportive supervision
KR20190002293A (ko)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Zhao et al. The roles of aspirations, coefficients and utility functions in multiple objective decision making
Parnell et al. Improving resource allocation within the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Jacobson et al. Computerized systems of career information and guidance: A state-of-the-art
JP2019086908A (ja) マッチング装置
Raissi Using QFD Method for Assessing Higher Education Programs: An Examination of Key Stakeholders’ Visions
JP6613433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Ellermann University of Ljubljana: Applying the design-thinking approach to entrepreneurship education
Huang et al. Mobile performance support systems: Characteristics, benefits, and conditions
WO2003009187A1 (en) A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Cursino et al. Agile requirements validation in Brazilian software development companies: A survey
Fernandes et al. FLOSS in technology-enhanced learning
AlEssa 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Human Resources During the Pandemic Covid-19
JP7487986B1 (ja) Eq(心の知能指数)の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