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482B1 -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482B1
KR101667482B1 KR1020150044342A KR20150044342A KR101667482B1 KR 101667482 B1 KR101667482 B1 KR 101667482B1 KR 1020150044342 A KR1020150044342 A KR 1020150044342A KR 20150044342 A KR20150044342 A KR 20150044342A KR 101667482 B1 KR101667482 B1 KR 101667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data
career
information
stu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516A (ko
Inventor
김라중
전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큐브
Priority to KR1020150044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48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합 진단지를 통해 분석된 적합직업과 개인의 선호직업을 도표로 제공하여 검사자의 직업에 대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도모하며, 합리적 의사결정에 따라 검사자의 직업에서 요구되는 커리어 로드맵을 작성하여 제공하는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은 검사자에게 적합한 직무를 분석하기 위한 종합진단지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적합한 직무를 선정하는 직무분석 서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상기 종합진단지를 독출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제공된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상기 직무분석 서버로 제공하는 진로설정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developing the ability of the student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진로취업에 필요한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인특성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7년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한국에서는 기업의 인적자원 관리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구조조정이 상시화되고, 평생직장에 대한 인식변화 등의 영향으로 노동시장에서의 진입과 유지, 탈락 등이 특정 계층에 직면하는 과제가 아니라 누구나 체감할 수 있는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였다.
개인의 입장에서는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이 더욱 어려워졌고, '평생직장'[0004] 의 개념이 희박해지면서 직업생활 동안 자신의 경력을 개발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해야만 노동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었다. 조직의 입장에서도 산업사회에서 요구되었던 매뉴얼에 따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표준형의 인재를 대거 채용하는 방식, 끊임없이 고용할 인재가 밀고 들어오며 나가는 회전문식 고용은 지식기반사회의 무한경쟁에서 더 이상 통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종신고용, 연공서열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조직에서 개인에게 무조건적인 충성심을 요구하지 못하고 조직원의 진입과 탈락이 자유로운 환경에서 장기간에 걸친 인재육성보다는 외부 인재 영입에 중점을 두는 풍토도 형성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일단 직장에 입문하면 조직과 함께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던 직장 기반 경력개발이 종전과 같이 용이하지 않게 되었고 이에 따라 개인 스스로 직업세계, 노동시장에 대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자기 자신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직시할 수 있는 진로역량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32944호에는 '웹서버 기반의 진로 설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로 설정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웹서버, IP망,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진로 설정 시스템에 있어서, 웹서버는,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사전조사 체크리스트 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전조사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전조사모듈과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오리엔테이션 데이터를 전송하고, 오리엔테이션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OT모듈과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라이프 트리생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라이프 트리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라이프 트리모듈과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직업탐색 데이터를 전송하고, 직업탐색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직업탐색모듈과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 재능탐색 데이터를 전송하고, 재능탐색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재능탐색모듈과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직업 트리생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직업트리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직업트리 모듈과 IP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커리어포트폴리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커리어포트폴리오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커리어포트폴리오 모듈과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라이프플래닝 데이터를 전송하고, 라이프플래닝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라이프 플래닝모듈과 및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아카데미플래닝 데이터를 전송하고, 아카데미플래닝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아카데미플래닝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에는 직업과 진로설정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며, 직업에 필요한 경력개발을 위하여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언제까지 준비해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제공을 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진단지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직업군만을 제시할 뿐이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직업 등에 대한 고려가 없어 실제 제시된 직업군을 사용자가 이용하지 않거나 단지 참고사항 등으로 여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도학생의 진로취업 의식수준, 개별특성 탐색, 역량개발준비정도 등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데이터 자료로 제공하는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학교전체, 단과대학, 전공학과 간 학생들의 진로개발, 진로설정, 경력관리 등의 단계별 비교분석데이터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단계별 모니터링을 통해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도 있다.
그리고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선택으로 자기주도적 경력개발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은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진단 데이터가 저장된 진단부(100); 상기 진단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특성을 평가하는 의식검사부(200); 상기 개인의 특성 평가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직무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직무분석부(300); 및 상기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른 개인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개인역량 특성정보를 제공하는 역량개발부(400);를 포함한다.
한편, (a)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진단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 (b) 개인의 특성 평가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직무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석결과에 따른 개인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개인역량 특성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지도학생의 진로취업 의식수준, 개별특성 탐색, 역량개발준비정도 등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데이터 자료로 제공하여 학생 상담시 진로취업에 대한 전문적인 상담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학교전체, 단과대학, 전공학과 간 학생들의 진로개발, 진로설정, 경력관리 등의 단계별 비교분석데이터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단계별 모니터링을 통해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선택으로 자기주도적 경력개발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의 개략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의 개략적인 특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의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의 역량개발 로드맵과 연도별 취업통계현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의 취업을 위한 입사서류등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의 역량개발의 어학, 자격면허, 대내외활동 등의 역량개발활동을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을 나타낸 전체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개인특성 평가(검사) 단계이전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개인특성을 평가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개인특성 평가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직무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분석결과를 서비스웹 또는 서비스앱상에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개인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개인역량 특성정보를 서비스웹 또는 서비스앱상에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에 의하면,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진단 데이터가 저장된 진단부; 상기 진단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특성을 평가하는 의식검사부; 상기 개인의 특성 평가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직무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직무분석부; 및 상기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른 개인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개인역량 특성정보를 제공하는 역량개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부는 개인의 진로설계에 대한 의식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진로설계모듈; 상기 개인특성 설문지 정보의 각 항목별 선택에 따라 전공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전공진로모듈; 및 상기 전공진로모듈의 각 진로선택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의 전공준비 행동의식을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전공준비 행동의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진단부는 개인의 취업설계에 대한 의식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취업설계모듈; 상기 개인특성 설문지 정보의 각 항목별 선택에 따라 전공취업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취업진로모듈; 및 상기 취업진로모듈의 각 전공취업 진로선택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의 취업준비 행동의식을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취업준비 행동의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식검사부는 상기 진단 데이터의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단모듈; 상기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에 따라 직업별 흥미도를 검사하는 직업흥미도 모듈; 상기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에 따라 직업가치관을 검사하는 직업가치관 모듈; 및 상기 직업흥미도 검사결과와 직업가치관 검사결과를 취합하여 직업적성을 검사하는 직업적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의식검사부는 상기 진단 데이터의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되, 개인별 특성을 비교하는 검사결과 특성비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직무분석부는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정보와 직무에 따른 요구자질 역량 정보를 저장하는 직무 데이터베이스; 상기 의식검사부를 통해 수신하는 개인의 특성평가결과에 해당하는 상기 직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직무정보를 탐색하는 직무탐색모듈; 및 상기 직무탐색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직무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분석결과로 요구자질 역량 정보를 제공하는 직무개요 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역량개발부는 상기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른 개인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개인역량개발 목표와 현재역량 및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상기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교육자료를 토대로 개인역량 로드맵을 설정하는 로드맵 생성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은 (a)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진단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 (b) 개인의 특성 평가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직무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석결과에 따른 개인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개인역량 특성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a) 단계 이전에, (a-1) 개인의 진로설계에 대한 의식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a-2) 개인특성 설문지 정보의 각 항목별 선택에 따라 전공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및 (a-3) 각 진로선택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의 전공준비 행동의식을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a-4) 개인의 취업설계에 대한 의식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a-5) 개인특성 설문지 정보의 각 항목별 선택에 따라 전공취업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및 (a-6) 각 전공취업 진로선택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의 취업준비 행동의식을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a) 단계는 (a1)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a2) 상기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에 따라 직업별 흥미도를 검사하는 단계; (a3) 상기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에 따라 직업가치관을 검사하는 단계; 및 (a4) 상기 직업흥미도 검사결과와 직업가치관 검사결과를 취합하여 직업적성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a5) 진단 데이터의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되, 개인별 특성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b) 단계는 (b1)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정보와 직무에 따른 요구자질 역량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b2) 개인의 특성평가결과에 해당하는 직무정보를 탐색하는 단계; 및 (b3) 상기 직무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분석결과로 요구자질 역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c) 단계는 (c1)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른 개인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자료를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단계; 및 (c2)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개인역량개발 목표와 현재역량 및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상기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교육자료를 토대로 개인역량 로드맵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은 진단부(100), 의식검사부(200), 직무분석부(300), 역량개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부(100)는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진단부(100)는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진로설계모듈(110), 전공진로모듈(120), 전공준비 행동의식모듈(130), 취업설계모듈(140), 취업진로모듈(150), 취업준비 행동의식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진로설계모듈(110)은 개인의 진로설계에 대한 의식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생성하여 저장된 구성이다.
전공진로모듈(120)은 개인특성 설문지 정보의 각 항목별 선택에 따라 전공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된 구성이다.
전공준비 행동의식모듈(130)은 전공진로모듈의 각 진로선택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의 전공준비 행동의식을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구성이다.
취업설계모듈(140)은 개인의 취업설계에 대한 의식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는 구성이다.
취업진로모듈(150)은 개인특성 설문지 정보의 각 항목별 선택에 따라 전공취업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는 구성이다.
취업준비 행동의식모듈(160)은 취업진로모듈의 각 전공취업 진로선택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의 취업준비 행동의식을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00) 구성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진로취업의식진단으로서, 진로/취업의식을 검사할 수 있도록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20문항으로 구성된 간명성과 활용성을 갖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학생들의 진로발달적 관점에서 진로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예측적 성격을 가진 의식 진단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지도교수님들의 학생 상담지도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의식검사부(200)는 진단부(100)의 진단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의식검사부는 진단모듈(210), 직업흥미도 모듈(220), 직업가치관 모듈(230), 직업적성 모듈(240), 검사결과 특성비교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진단모듈(210)은 진단 데이터의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직업흥미도 모듈(220)은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에 따라 직업별 흥미도를 검사하는 구성이다.
직업가치관 모듈(230)은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에 따라 직업가치관을 검사하는 구성이다.
직업적성 모듈(240)은 직업흥미도 검사결과와 직업가치관 검사결과를 취합하여 직업적성을 검사하는 구성이다.
검사결과 특성비교모듈(250)은 진단 데이터의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되, 개인별 특성을 비교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식검사부(200) 구성은 진로발달이론에 근거한 개인특성진단을 할 수 있고, 최신 취업트랜드인 직무적합도와 높은 진로선택과 계획수립이 가능하도록 학생 개인의 직업적 적성, 흥미, 가치관 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무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비교분석하여 개인과 직무와의 적합도를 확인하여 빠르고 정확한 진로선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직무분석부(300)는 개인의 특성 평가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직무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분석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직무분석부(300)는 직무 데이터베이스(310), 직무탐색모듈(320), 직무개요 정보제공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직무 데이터베이스(310)는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정보와 직무에 따른 요구자질 역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직무탐색모듈(320)은 의식검사부를 통해 수신하는 개인의 특성평가결과에 해당하는 상기 직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직무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직무개요 정보제공모듈(330)은 직무탐색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직무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분석결과로 요구자질 역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직무분석부(300)는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능력진단인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기반으로 직업기초능력과 직무능력진단 검사를 통해 학생들에게 기업 또는 기관에서 요구하는 직무중심 인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직무개요 정보제공모듈 구성은 데이터 통계 기능을 지원하도록 하여 가독성 높은 통계자료, 누적되 데이터를 활용한 상관관계 분석, 학생 지원정책이 가능한 다양한 통계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통계자료로서, 데이터 비교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데, 학교전체/단과대학/전공학과 간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학생 진로취업 준비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학교/단과대학/전공별 의식검사, 직업심리검사, 직무선택, 역량수준 등의 비교통계 데이터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지도교수/상담인력 상담 및 정책을 지원하는데 있어서, 연도별/월별 취업,진학 현황, 진로탐색/역량개발/실전지원/상담실적 등 전체메뉴, 비교 통계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현장실습 신청관리 데이터와 동문기업/졸업생 취업기업 통계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직무분석부 구성의 관리자모드에서는 학생 및 지도교수 전체 비교 통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로인식조사, 자기특성탐색, 희망직무탐색, 취업인식조사를 통해 개인별 특성에 따른 기초데이터를 수집하여 개인특성을 진단하고 자기특성에 따른 희망직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희망직무를 위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특징이 있다. 즉, 진로취업에 필요한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인역량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경력개발 가이드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대학 생활설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특징이 있다.
역량개발부(400)는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른 개인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개인역량 특성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역량개발부(400)는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410), 로드맵 생성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410)는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른 개인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구성이다.
로드맵 생성모듈(420)은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개인역량개발 목표와 현재역량 및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상기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교육자료를 토대로 개인역량 로드맵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로드맵 생성모듈(420)은 개인역량 개발 목표와 현재 역량 및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교육정보데이터베이스의 교육자료를 토대로 개인역량 로드맵을 설정하여 제공하며, 개인역량 로드맵을 시간경과에 따라 필요한 경력 또는 스펙을 연대기의 도표로 제시할 수 있고, 검사대상자의 경력 및 스펙 개발에 대한 이력을 분석하고 진단시 스펙과 현재의 스펙 또는 진단지의 진로직업과 현재의 직업의식 수준에 대한 진단 데이터를 재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교육자료와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관관계를 재부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생의 진로/취업의 필요성 인식과 적극적인 참여로 실전지원 대비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도록 진로/취업에 따른 역량개발을 로드맵 생성모듈을 통해 서비스웹 또는 서비스앱상에 등록하여 지도교수의 확인 및 상담을 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교육기반 원-스탑 진로취업 시스템으로서, 학생들의 학년별 또는 학기별 또는 단계별로 모니터링을 통해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보의 대학평가 기준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처와 대학의 장기적인 정책수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진로취업지원서비스의 교육접목 시스템이 어우러진 원스탑 지원체계를 구축할 수 있고, 학생 경력개발단계에 맞는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전공학과와 취업부서와의 업무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진로개발, 진로설정, 경력관리에 실전지원에 이르는 단계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지원정책 결정에 있어서, 획일화된 진로취업 지원정책을 탈피한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체계적인 지원정책을 결정할 수 있고, 효율적인 대응으로 정부의 대학평가 및 재정지원 기준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처가 가능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을 설명하면, 진단부(100) 구성으로 자기주도적 경력개발이 가능하도록 이론적 근거와 현장의 요구를 접목한 진단지를 통해 의식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의식검사부(200) 구성으로는 개인특성을 파악하여 진로설계의식, 전공진로의식, 전공준비 행동의식의 전공 진로에 대한 의식검사를 할 수 있고, 취업설계의식, 전공취업의식, 취업준비행동의식의 취업에 대한 의식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직무분석부(300) 구성으로 개인특성을 파악하여 직업흥미도, 직업가치관, 직업적성 검사, 개인별 특성비교할 수 있고, NCS기반 직무개요, 요구자질 역량 선택, 검사결과 특성을 비교할 수 있다.
역량개발부(400) 구성으로 학점, 어학, 자격증, 대내외 활동, 입사서류, 포트폴리오 관리, 역량 특성 비교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자료 제공으로는 학교전체/단과 대학/전공학교 간 데이터를 비교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들로 체계적인 교육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학생의 역량개발자료를 활용하여 개인 및 전공학생 전체에게 필요한 교육을 지원할 수 있다.
교수 측면에서 보면, 지도학생 진로취업 의식수준, 개별특성탐색, 역량개발준비 정도 등을 세부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데이터 자료로 제공함으로써, 학생 상담시 진로취업에 대한 전문적인 상담이 가능할 수 있다.
학생 측면에서 보면, 학교전체-단과대학-전공학과 간 학생들의 진로개발, 진로설정, 경력관리 등의 포트폴리오를 통해 단계별 비교분석데이터로 학생들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다. 학교/단과대학/전공별 의식검사, 직업심리검사, 직무선택, 역량수준 등의 비교통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비교분석데이터 기반으로 관리자 측면에서 보면, 전공특성을 감안한 학생들에게 필요한 체계적인 지원방안을 결정할 수 있고, 취업통계, 동문관리, 대학정보 등의 다양한 통계데이터를 제공하여 전공지도교수님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전공(학과)중심 진로취업지원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비교분석데이터를 제공하고 관리자들의 업무효율성을 중심으로 설계할 수 있다.
즉, 지도교수/상담인력 상담 및 정책지원으로서, 연도별/월별 취업, 진학현황, 진로탐색/역량개발/실전지원/상담실적 등 전체메뉴, 비교통계 데이터 제공, 현장실습 신청관리 데이터 제공, 동문기업/졸업생 취업기업 통계 데이터 제공 등을 할 수 있다.
역량개발부(400) 구성으로 기존의 저조한 학생활용도 문제를 교육과의 연동을 통해 시스템 안정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현장실습 신청관리, 프로그램 신청관리, 지도교수 상담현황 등의 업무 관리지원을 통한 관리자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KEDI 취업통계/학생, 교수 역량 및 상담통계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학생중심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의 개략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내 구성원이 쌍방향 소통이 가능하도록 커뮤니티 기능을 수행하도록 환경을 제공하여 학생과 지도교수간, 취업부서와 학생간 상담신청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며 모바일, 태블릿, PC등의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에 접근하여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의 개략적인 특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생 의식검사, 개인특성파악, 직무탐색을 통한 직무선택, 이들 결과로 개인역량에 따른 계획수립으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일련의 자기주도적 경력개발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의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를 고려한 Flat Square로서, 쉽고 명확하게 서비스 가입을 통한 학생, 교수, 관리자 외 일반가입회원 등의 구성원 모두가 사용가능하고, 학생 자가진단과 한 눈에 확인 가능한 졸업생(동문) 분포, 사용자 유형별 명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의 역량개발 로드맵과 연도별 취업통계현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량개발 로드맵을 시기에 따른 필요한 정보습득 경로를 안내하고, 시스템을 통한 역량개발 관리할 수 있고, 통계자료의 상관관계를 통한 정책방향성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의 취업을 위한 입사서류등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을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단기, 중장기 학생진로/취업 교육을 할 수 있고, 교육의 결과물이 시스템에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누구나 신청가능한 상담창구를 통한 교수 및 관리자와 학생간의 쌍방향 소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의 역량개발의 어학, 자격면허, 대내외활동 등의 역량개발활동을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량개발에 따른 어학, 자격면허, 대내외활동을 서비스웹 또는 서비스앱을 통해 등록하여 교수의 상담 또는 학생이 교수에게 역량개발 인증신청을 통한 상담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을 나타낸 전체 흐름도이다.
우선, (a)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진단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특성을 평가(검사)한다. 다음으로 (b) 개인의 특성 평가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직무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분석결과를 서비스웹 또는 서비스앱상에 제공한다. 그리고 (c) 분석결과에 따른 개인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개인역량 특성정보를 서비스웹 또는 서비스앱상에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개인특성 평가(검사) 단계이전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때, 개인의 특성을 평가(검사)하는 제 (a) 단계 이전에, (a-1) 개인의 진로설계에 대한 의식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a-2) 개인특성 설문지 정보의 각 항목별 선택에 따라 전공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a-3) 각 진로선택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의 전공준비 행동의식을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a-4) 개인의 취업설계에 대한 의식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a-5) 개인특성 설문지 정보의 각 항목별 선택에 따라 전공취업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및 (a-6) 각 전공취업 진로선택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의 취업준비 행동의식을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개인특성을 평가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의 특성을 평가(검사)하는 제 (a) 단계는 (a1)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a2) 상기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에 따라 직업별 흥미도를 검사하는 단계; (a3) 상기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에 따라 직업가치관을 검사하는 단계; (a4) 상기 직업흥미도 검사결과와 직업가치관 검사결과를 취합하여 직업적성을 검사하는 단계; (a5) 진단 데이터의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되, 개인별 특성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개인특성 평가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직무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분석결과를 서비스웹 또는 서비스앱상에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의 특성 평가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직무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분석결과를 서비스웹 또는 서비스앱상에 제공하는 제 (b) 단계는 (b1)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정보와 직무에 따른 요구자질 역량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b2) 개인의 특성평가결과에 해당하는 직무정보를 탐색하는 단계; 및 (b3) 상기 직무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분석결과로 요구자질 역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개인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개인역량 특성정보를 서비스웹 또는 서비스앱상에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b) 단계의 분석결과에 따른 개인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개인역량 특성정보를 서비스웹 또는 서비스앱상에 제공하는 제 (c) 단계는 (c1)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른 개인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자료를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단계; 및 (c2)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개인역량개발 목표와 현재역량 및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상기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교육자료를 토대로 개인역량 로드맵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본 발명의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지도학생의 진로취업 의식수준, 개별특성 탐색, 역량개발준비정도 등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데이터 자료로 제공하여 학생 상담시 진로취업에 대한 전문적인 상담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학교전체, 단과대학, 전공학과 간 학생들의 진로개발, 진로설정, 경력관리 등의 단계별 비교분석데이터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단계별 모니터링을 통해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선택으로 자기주도적 경력개발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진단부 110 : 진로설계모듈
120 : 전공진로모듈 130 : 전공준비 행동의식모듈
140 : 취업설계모듈 150 : 취업진로모듈
160 : 취업준비 행동의식모듈 200 : 의식검사부
210 : 진단모듈 220 : 직업흥미도 모듈
230 : 직업가치관 모듈 240 : 직업적성 모듈
250 : 검사결과 특성비교모듈 300 : 직무분석부
310 : 직무 데이터베이스 320 : 직무탐색모듈
330 : 정보제공모듈 400 : 역량개발부
410 :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 420 : 로드맵 생성모듈

Claims (14)

  1. 학교전체, 단과대학, 전공학과 간 학생들의 진로개발, 진로설정, 경력관리 등의 단계별 비교분석데이터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단계별 모니터링을 통해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진단 데이터가 저장된 진단부;
    상기 진단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특성을 평가하는 의식검사부;
    상기 개인의 특성 평가결과에 따라 직무에서 요구하는 요구자질 역량정보에 해당하는 직무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직무분석부;
    상기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른 개인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개인역량 특성정보를 제공하는 역량개발부; 및
    상기 개인특성 평가결과와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취업부서와 학생 간, 또는 학생과 지도교수 간에 쌍방향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부는,
    개인의 진로설계에 대한 의식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진로설계모듈;
    상기 진로설계모듈의 설문지 정보의 각 항목별 선택에 따라 전공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전공진로모듈; 및
    상기 전공진로모듈의 각 진로선택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의 전공준비 행동의식을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전공준비 행동의식모듈;을 포함하거나,
    개인의 취업설계에 대한 의식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취업설계모듈;
    상기 취업설계모듈의 설문지 정보의 각 항목별 선택에 따라 전공취업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취업진로모듈; 및
    상기 취업진로모듈의 각 전공취업 진로선택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의 취업준비 행동의식을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취업준비 행동의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의식검사부는,
    상기 진단 데이터의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단모듈;
    상기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에 따라 직업별 흥미도를 검사하는 직업흥미도 모듈;
    상기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에 따라 직업가치관을 검사하는 직업가치관 모듈; 및
    상기 직업흥미도 검사결과와 직업가치관 검사결과를 취합하여 직업적성을 검사하는 직업적성 모듈;을 포함하거나,
    상기 진단 데이터의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되, 개인별 특성을 비교하는 검사결과 특성비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직무분석부는 개인의 특성 평가결과에 따라 직업흥미도, 직업가치관, 직업적성, 개인별 특성을 학교전체/단과 대학/전공학교 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데이터 비교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정보와 직무에 따른 요구자질 역량 정보를 저장하는 직무 데이터베이스;
    상기 의식검사부를 통해 수신하는 개인의 특성평가결과에 해당하는 상기 직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직무정보를 탐색하는 직무탐색모듈; 및
    상기 직무탐색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직무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분석결과로 요구자질 역량 정보를 제공하는 직무개요 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역량개발부는 학점, 어학, 자격증, 대내외 활동, 입사서류, 포트폴리오 관리, 역량 특성 비교를 제공하되 학교전체/단과 대학/전공학교 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공하며, 검사대상자 진단시 스펙과 현재의 스펙 또는 진단지의 진로직업과 현재의 직업의식 수준에 대한 진단 데이터를 재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교육자료와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관관계를 재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른 개인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개인역량개발 목표와 현재역량 및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상기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교육자료를 토대로 개인역량 로드맵을 설정하는 로드맵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학교전체, 단과대학, 전공학과 간 학생들의 진로개발, 진로설정, 경력관리 등의 단계별 비교분석데이터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단계별 모니터링을 통해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진단부, 의식검사부, 직무분석부 및 역량개발부를 포함하는 학생 역량 개발시스템을 이용한 학생 역량 개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진단 데이터를 통해 의식검사부로 개인의 특성을 평가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개인의 특성 평가결과에 따라 직무에서 요구하는 요구자질 역량정보에 해당하는 직무정보를 직무분석부를 통해 비교하여 매칭되는 분석결과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분석결과에 따른 개인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역량개발부를 통해 개인역량 특성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개인특성 평가결과와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취업부서와 학생 간, 또는 학생과 지도교수 간에 쌍방향 소통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a) 단계 이전에,
    (a-1)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진단부를 통해 개인의 진로설계에 대한 의식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a-2)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진단부를 통해 상기 (a-1)단계에서 생성한 설문지 정보의 각 항목별 선택에 따라 전공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및
    (a-3)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진단부를 통해 각 진로선택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의 전공준비 행동의식을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 (a) 단계 이전에,
    (a-4)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진단부를 통해 개인의 취업설계에 대한 의식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a-5)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진단부를 통해 상기 (a-4) 단계에서 생성한 설문지 정보의 각 항목별 선택에 따라 전공취업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및
    (a-6)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진단부를 통해 각 전공취업 진로선택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의 취업준비 행동의식을 선택하기 위한 설문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a) 단계는,
    (a1)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의식검사부로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a2)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의식검사부로 상기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에 따라 직업별 흥미도를 검사하도록 하는 단계;
    (a3)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의식검사부로 상기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에 따라 직업가치관을 검사하도록 하는 단계; 및
    (a4)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의식검사부로 상기 (a2) 단계의 직업별 흥미도 검사결과와 상기 (a3) 단계의 직업가치관 검사결과를 취합하여 직업적성을 검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 (a) 단계는,
    (a5)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의식검사부로 진단 데이터의 설문지 정보에 따른 개인특성 진단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되, 개인별 특성을 비교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b) 단계에서 상기 직무분석부가 개인의 특성 평가결과에 따라 직업흥미도, 직업가치관, 직업적성, 개인별 특성을 학교전체/단과 대학/전공학교 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데이터 비교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 (b) 단계는,
    (b1)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직무분석부로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정보와 직무에 따른 요구자질 역량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b2)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직무분석부로 개인의 특성평가결과에 해당하는 직무정보를 탐색하도록 하는 단계; 및
    (b3)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직무분석부로 직무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분석결과로 요구자질 역량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c) 단계에서 학점, 어학, 자격증, 대내외 활동, 입사서류, 포트폴리오 관리, 역량 특성 비교를 제공하되 학교전체/단과 대학/전공학교 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공하며, 검사대상자 진단시 스펙과 현재의 스펙 또는 진단지의 진로직업과 현재의 직업의식 수준에 대한 진단 데이터를 재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교육자료와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관관계를 재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제 (c) 단계는,
    (c1)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른 개인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자료를 상기 역량개발부를 통해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및
    (c2) 상기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이 상기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개인역량개발 목표와 현재역량 및 직무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상기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교육자료를 토대로 상기 역량개발부를 통해 개인역량 로드맵을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 역량 개발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044342A 2015-03-30 2015-03-30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7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342A KR101667482B1 (ko) 2015-03-30 2015-03-30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342A KR101667482B1 (ko) 2015-03-30 2015-03-30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516A KR20160116516A (ko) 2016-10-10
KR101667482B1 true KR101667482B1 (ko) 2016-10-20

Family

ID=5714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342A KR101667482B1 (ko) 2015-03-30 2015-03-30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4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293A (ko) 2017-06-29 2019-01-0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KR20200108568A (ko) 2019-03-11 2020-09-21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리검사를 이용한 학생관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054B1 (ko) * 2017-03-13 2020-02-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글로벌 건설인적자원 정보인프라 제공방법
KR101961144B1 (ko) * 2017-10-12 2019-03-22 주식회사 디지털존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직무적합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50010A (ko) 2018-10-30 2020-05-11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학생 활동 기록 및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14150B1 (ko) * 2018-12-06 2021-10-15 엄신조 딥러닝 기반 직업별 직무역량 표준화 및 인공지능을 이용한 취업 준비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2521561B1 (ko) * 2021-02-25 2023-04-14 메이저맵 주식회사 직무역량 기반의 직업 추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
KR102579959B1 (ko) * 2021-08-16 2023-09-18 하지민 진로 탐색 독서 시스템 및 진로 탐색 독서 관리 서버
KR102634888B1 (ko) * 2021-10-01 2024-02-08 (주)아리오씨오에스 맞춤형 직무교육을 통한 구인구직 매칭방법 및 이를 위한 구인구직 매칭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831B1 (ko) 2011-12-12 2013-05-14 주식회사 디비케이에듀케이션 맞춤형 진로 설계 및 로드맵 제공 시스템
KR101352602B1 (ko) 2013-08-19 2014-02-06 주식회사 잡담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831B1 (ko) 2011-12-12 2013-05-14 주식회사 디비케이에듀케이션 맞춤형 진로 설계 및 로드맵 제공 시스템
KR101352602B1 (ko) 2013-08-19 2014-02-06 주식회사 잡담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293A (ko) 2017-06-29 2019-01-0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KR20200108568A (ko) 2019-03-11 2020-09-21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리검사를 이용한 학생관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516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482B1 (ko)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Hedge et al. Exploring the concept of acceptability as a criterion for evaluating performance measures
Ahmed et al.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top management support and project success: An international study
Galbraith et al. The Potential Power of Internships and the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KR102417185B1 (ko) 개인 맞춤형 커리어 추천 방법 및 서버
Lazaros et al. Malcol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 (MBNQA) dimensions in greek tertiary education system
KR101352602B1 (ko)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Anjum et al. Performance appraisal systems in public sector universities of Pakistan
Xiao et al. A critical analysi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Ghana’s telecommunications industry
JP4009632B2 (ja) 検査方法、検査システム、検査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及び検査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
KR102521561B1 (ko) 직무역량 기반의 직업 추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
Hernandez Landscape of assessments of mentoring relationship processes in postsecondary STEMM contexts: A synthesis of validity evidence from mentee, mentor, institutional/programmatic perspectives
Ryan Safety perception survey
Brandon et al. Which Experience Factors Predict Overall Expertise and Percent Success?
Aragon et al. The Role of National Industry-Based Skill Standards in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of Community College Curriculum.
Chrzastowski Assessment 101 for librarians: a guidebook
Gibson Generalized work dimension analysis
Stankeviciene Assessment of Teaching Quality: Survey of University Graduates.
Van der Waldt Conducting Skills Audits in Local Government
Arah Needs analysis in technology education programme: Purposes and procedures in curriculum development in Nigeria
Melvin et al. THE IMPORTANCE and CHALLENGE of ABILITY ASSESSMENT.
Mulyanto et al. An Evaluation of Implementation and Development Strategy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ISO 9001: 2008
Sahay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design and methods used to study the Impact of Competency Variables on the Performance of Highly Effective Employees in Indian Telecom Industry
Robby et al. Influence of Human Resource Planning Practices on Lecturers’ Performance in Kenyan Public Universities
Yazici Can Formal Learning Certify All Learning Outco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