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602B1 -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602B1
KR101352602B1 KR1020130097983A KR20130097983A KR101352602B1 KR 101352602 B1 KR101352602 B1 KR 101352602B1 KR 1020130097983 A KR1020130097983 A KR 1020130097983A KR 20130097983 A KR20130097983 A KR 20130097983A KR 101352602 B1 KR101352602 B1 KR 10135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eer
examiner
job
server
insp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규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잡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잡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잡담
Priority to KR102013009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합 진단지를 통해 분석된 적합직업과 개인의 선호직업을 도표로 제공하여 검사자의 직업에 대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도모하며, 합리적 의사결정에 따라 검사자의 직업에서 요구되는 커리어 로드맵을 작성하여 제공하는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은 검사자에게 적합한 직무를 분석하기 위한 종합진단지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적합한 직무를 선정하는 직무분석 서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상기 종합진단지를 독출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제공된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상기 직무분석 서버로 제공하는 진로설정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 A career guid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big data }
본 발명은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합 진단지를 통해 분석된 적합직업과 개인의 선호직업을 도표로 제공하여 검사자의 직업에 대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도모하며, 합리적 의사결정에 따라 검사자의 직업에서 요구되는 커리어 로드맵을 작성하여 제공하는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7년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한국에서는 기업의 인적자원 관리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구조조정이 상시화되고, 평생직장에 대한 인식변화 등의 영향으로 노동시장에서의 진입과 유지, 탈락 등이 특정 계층에 직면하는 과제가 아니라 누구나 체감할 수 있는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였다.
개인의 입장에서는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이 더욱 어려워졌고, '평생직장'의 개념이 희박해지면서 직업생활 동안 자신의 경력을 개발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해야만 노동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었다.
조직의 입장에서도 산업사회에서 요구되었던 매뉴얼에 따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표준형의 인재를 대거 채용하는 방식, 끊임없이 고용할 인재가 밀고 들어오며 나가는 회전문식 고용은 지식기반사회의 무한경쟁에서 더 이상 통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종신고용, 연공서열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조직에서 개인에게 무조건적인 충성심을 요구하지 못하고 조직원의 진입과 탈락이 자유로운 환경에서 장기간에 걸친 인재육성보다는 외부 인재 영입에 중점을 두는 풍토도 형성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일단 직장에 입문하면 조직과 함께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던 직장 기반 경력개발이 종전과 같이 용이하지 않게 되었고 이에 따라 개인 스스로 직업세계, 노동시장에 대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자기 자신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직시할 수 있는 진로역량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32944호에는 '웹서버 기반의 진로 설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로 설정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웹서버, IP망,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진로 설정 시스템에 있어서, 웹서버는,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사전조사 체크리스트 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전조사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전조사모듈과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오리엔테이션 데이터를 전송하고, 오리엔테이션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OT모듈과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라이프 트리생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라이프 트리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라이프 트리모듈과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직업탐색 데이터를 전송하고, 직업탐색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직업탐색모듈과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 재능탐색 데이터를 전송하고, 재능탐색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재능탐색모듈과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직업 트리생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직업트리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직업트리 모듈과 IP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커리어포트폴리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커리어포트폴리오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커리어포트폴리오 모듈과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라이프플래닝 데이터를 전송하고, 라이프플래닝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라이프 플래닝모듈과 및 IP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아카데미플래닝 데이터를 전송하고, 아카데미플래닝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아카데미플래닝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또 다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826705호에는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전문위원 컴퓨터 및 회원기업 컴퓨터와 연결되어 웹 사이트를 통해서 상시 진로지도 및 취업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진로 및 취업지도 서비스 시스템(100)을 구축하되, 상기 진로 및 취업 지도 서비스 시스템(100)은, 웹 사이트를 구축하여 인터넷을 통해서 상시진로지도와 취업지도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110)와 학년별 전공별 진로지도를 위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및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주별 프로그램으로 상시 진로지도 서비스를 상기 웹서버를 통해서 제공하는 상시 진로지도 서버(120)와 상기 진로지도에 따른 평가를 이용하여 취업 진로 추천과, 취업을 위한 전략 아카데미, 취업 인턴십, 기업탐방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취업정보를 서비스하는 취업 지도 서버(130)와 상기 진로지도 서버(120)와 상기 취업지도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상시 진로지도 및 취업 지도를 위한 각종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온라인/오프라인 특강 등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진로지도 서버와 취업지도 서버로 평가 및 교육 수행 정보를 제공하는 교육 관리 서버(140)와 상기 진로지도 및 취업지도를 위한 이력서, 자기소개서, 영문 자기소개서, 인터뷰 등의 스킬에 대한 작성법 지도와 전문가 지도 등을 수행하는 클리닉 서버(150)와 회원의 정보를 관리하면서 각종 지도 및 교육 프로그램의 이수정보와 진로와 취업지도 정보를 관리하고 전문가 평가 및 진단정보를 이메일로 서비스하는 등의 회원관리를 하는 회원관리 서버(160)와 상기 각 서버들의 운영프로그램과 교육자료 및 회원정보 등을 데이터 베이스화시켜 저장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17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데일리 서버를 통하여 실시간 정보를 얻기 위하여 상기 웹서버(110)를 통해 각 회원들의 클라이언트컴퓨터에 다운로드하여 메신저와 같은 독립된 접속 프로그램으로 포커스 이-다이어리(E-diary)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진로 및 취업지도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 외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16506호에는 사용자를 계열별, 단계별로 구분한 상태에서 보다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사용자 중심의 특정한 진로 및 취업 안내 프로그램으로 취업마인드를 고취시켜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여 선택하고 스스로 준비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직장에 취업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 성공한 직업인으로서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망을 이용한 사용자 상시 진로안내방법(Lifelong Career Guidance Program)'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진로 및 취업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과,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아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진로를 제공 및 안내해주는 서비스중개시스템(2)과,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이용시스템(3)이 구비된 인터넷망을 이용한 사용자 상시 진로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1)에서 다양한 정보 루트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따라 진로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서비스중개시스템(2)에서는 운영방식 및 자료방식을 결정한 후, 서비스제공시스템(예로서, 한국인재연구원을 지칭함)(1)의 홈페이지에 사용자회원으로 가입한 후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진로 및 취업 정보를 인터넷망(4)을 통해 주차별로 다운로드 받는 제2단계와 사용자가 서비스이용시스템(3)을 이용하여 상기 진로안내서비스 이용을 희망하면, 상기 서비스중개시스템의 취업안내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1)의 서비스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진로 및 취업정보에 관한 프로그램 자료를 인터넷망(4)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후, 진로안내에 대한 각종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1학년(1과정) 경우에는 자신에 대한 이해, 사용자의 생활과 진로, 기초적인 진로정보를 위한 진로탐색 과정과, 2학년(2과정) 경우에는 자신의 인생목표 설정, 자신의 능력 개발, 전공별 진로 정보 습득을 위한 진로선택 과정과, 3학년(3과정) 경우에는 직종, 업종 선택, 입사희망 기업선정을 위한 직업선택 과정과, 4학년(4과정) 경우에는 입사희망기업 시험 준비, 업종, 직종별 입사 전략을 위한 사회진입 및 취업 준비과정을 수행하여 진로안내를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서비스중개시스템(2)에서 단계별로 진로담당부를 통해 진로를 안내하고, 진로담당부의 개인별 담당과목을 할당(30분 정도)된 시간 동안 안내 및 정보를 제공하고 진로안내 과목을 선정하는 제4단계와 상기 서비스중개시스템(2)의 취업안내부를 통해 진로 제공 및 안내를 실시하는 제5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문헌에서는 직업과 진로설정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며, 직업에 필요한 경력개발을 위하여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언제까지 준비해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제공을 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선행문헌에서는 진단지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직업군만을 제시할 뿐이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직업 등에 대한 고려가 없어 실제 제시된 직업군을 사용자가 이용하지 않거나 단지 참고사항 등으로 여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3-0032944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826705호 (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7165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석 서버가 분석하여 제시하는 적합직업군과 검사자 개인이 선택한 선택직업군을 바탕으로 검사자 개인에게 최적의 직업을 합리적인 의사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사자가 합리적인 의사로 결정한 최적의 직업에 대하여 필요한 경력이나 자격증 등을 언제까지 어느 수준으로 향상시켜야 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커리어 로드 맵을 작성하여 제시하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검사자에게 제시된 커리어 로드 맵을 이용하여 경력을 개발하고 관리한 사람들의 현재 직업을 학습하여 검사자가 직업을 선택하면 필요한 경력개발 목표를 보완하여 반영토록 하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은 검사자에게 적합한 직무를 분석하기 위한 종합진단지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적합한 직무를 선정하는 진로분석 서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상기 종합진단지를 독출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제공된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상기 진로분석 서버로 제공하는 진로설정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인간의 기본척도와 직무에 관한 빅 데이터가 분석된 상관 매트릭스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기본척도를 토대로 검사자에게 적합한 직무를 분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합진단지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검사자가 선호하는 직업이 선택될 수 있도록 각 직군이 레이어 방식으로 저장된 선호직업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직업을 검증할 수 있는 검증진단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진로분석 서버는 상기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각 항목에 설정된 점수표 및 가중치에 의해 검사자에게 적합한 복수의 직업리스트를 선정하는 적합직업 분석수단과 상기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직업을 검증할 수 있는 검증진단지의 평가결과를 각 항목에 설정된 점수표 및 가중치에 의해 검사자에게 제공할 제안직업을 선정하는 제안직업 분석수단과 상기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진로직업에 관한 상황분석(SWOT)를 제공하는 상황분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진로설정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상기 종합진단지, 선호직업 또는 검증진단지를 독출하는 데이터입력부와 상기 독출된 종합진단지, 선호직업 또는 검증진단지를 상기 검사자에게 시각 또는 청각으로 제공하는 시청각 수단과 상기 제공된 종합진단지, 선호직업 또는 검증진단지에 대한 검사자의 평가결과가 입력되는 입력수단과 상기 검사자의 평가결과를 상기 진로분석 서버로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진로설정 서버의 시청각 수단은 상기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진로직업에 필요한 경험 또는 스펙을 제공하며, 상기 진로설정 서버는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검사자의 경험 또는 스펙을 근거로 상기 검사자의 경력개발 목표를 수립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피드백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설정 방법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검사자에게 적합한 직무를 분석하기 위한 종합진단지를 진로설정 서버가 독출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제공하는 종합진단지 제공단계와 상기 제공된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진로분석 서버가 분석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적합한 직무를 선정하는 적합직업 분석단계와 상기 적합직업과 상기 검사자가 선호하는 선호직업을 상기 진로설정 서버가 상기 검사자에게 제공하는 후보직업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설정 방법은 상기 후보직업 제공단계 이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직업을 검증할 수 있는 검증진단지를 진로설정 서버가 독출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제공하는 검증진단지 제공단계와 상기 제공된 검증진단지의 평가결과를 분석서버가 분석하여 제안직업을 선정하는 제안직업 선정단계와 상기 검사자의 진로직업이 합리적으로 선정되도록 상기 선정된 제안직업과 분석결과가 상기 진로설정 서버에서 합리적 의사결정 도표로 상기 검사자에게 제공되는 진로직업 선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설정 방법은 상기 진로직업 선정단계 이후에 상기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진로직업에 필요한 경험 또는 스펙을 상기 진로설정 서버가 제공하는 스펙 제공단계와 상기 스펙 제공단계에서 제공된 경험 또는 스펙에 대응하여 검사자가 입력한 경험 또는 스펙을 근거로 상기 분석서버에서 작성된 상황분석(SWOT)표를 상기 검사자에게 제공하는 상황분석(SWOT)표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설정 방법은 상기 상황분석(SWOT)표 제공단계 이후에 상기 검사자의 경험 또는 스펙을 근거로 상기 진로설정 서버가 검사자의 경력개발 목표를 수립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피드백하는 경력개발 목표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설정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분석 서버가 분석하여 제시하는 적합직업군과 검사자 개인이 선택한 선택직업군을 바탕으로 검사자 개인에게 최적의 직업을 합리적인 의사로 결정할 수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검사자가 합리적인 의사로 결정한 최적의 직업에 대하여 필요한 경력이나 자격증 등을 언제까지 어느 수준으로 향상시켜야 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커리어 로드 맵을 작성하여 제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검사자에게 제시된 커리어 로드 맵을 이용하여 경력을 개발하고 관리한 사람들의 현재 직업을 학습하여 검사자가 직업을 선택하면 필요한 경력개발 목표를 보완하여 반영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로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진로 설정 시스템에 적용되는 상황분석표의 일례.
도 3은 본 발명의 커리어 로드맵의 일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로 설정 방법의 플로우차트.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로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진로 설정 시스템은 크게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진로분석 서버 및 진로설정 서버로 나누어진다.
데이터베이스 서버에는 인간의 기본척도와 직무에 관한 빅 데이터가 분석된 상관관계가 상관 매트릭스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인간의 기본 척도는 개인에게 적합한 직업 또는 직무를 선정하기 위하여 개인의 성격, 성향, 가치관, 검사자가 보유한 스킬, 전문지식, 적성분야를 도표화하거나 수치화한 것이다.
이러한 인간의 기본척도는 개인의 성향, 가치관 등 쉽게 변화될 수 없는 것이며, 이러한 기본 척도가 인간의 직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많은 논문과 학술서적을 통해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진로 설정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인간의 기본 척도와 직무에 대한 빅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인간의 직무에 대하여 인간의 기본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매트릭스 형태로 나타내고, 인간의 기본척도 중에서 어느 항목이 인간의 특정 직무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한다.
이러한 인간의 기본척도를 이용하여 검사자의 직무를 분석하기 위한 종합진단지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종합진단지는 검사자 개개인의 적성, 성격, 가치관, 성장배경, 경제력, 전문지식 등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도록 기본척도와 진로 설정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진단지이다.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토대로 검사자의 진로를 설계하며, 때에 따라서는 오프라인 상에서 진로교육의 방향성을 제고할 수 있다.
종합진단지의 진단내용은 검사자의 적성, 강점, 약점, 성격, 가치관, 성장배경, 전문지식 등에 관하여 최대한 신뢰도 높은 결과를 추출하기 위하여 많은 항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로 설정 시스템에서는 약 240~250 문항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러한 문항 수는 검사자의 학력수준, 나이, 진로설정에 소요되는 시간,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당하게 가감할 수 있다.
종합진단지의 각 항목은 항목의 평가결과를 수치화하기 위하여 리커트 척도 또는 명목 척도를 사용할 수 있다.
리커트 척도는 개인, 대상, 관념, 현상 등에 대한 개인의 태도나 성향의 강도를 측정하는 기법으로, 응답되는 항목은 하나의 극단적 입장에서 중립을 거쳐 또 다른 극단으로 나아가는 단순한 양분론적인 연속체라고 가정한다.
검사자는 각각의 진술에 대해 그들이 어느 정도까지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는가에 따라 3점, 5점, 혹은 7점을 부여하는 질문을 받는다. 5점 척도가 일반적으로 가장 좋은 것으로 간주된다.
명목 척도는 척도값이 분류의 의미만을 가지는 척도이며, 예를 들어 '그렇다' 또는 '아니다' 등으로 판별되는 척도이다.
명목 척도도 경우에 따라서는 리커트 척도와 같이 수치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렇다'고 응답한 명목 척도에 대하여 5점을 부여하며, '아니다'라고 응답한 명목 척도에 대하여는 1점을 부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종합 진단의 각 항목에는 문항의 종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각 항목의 사이 사이에 검사자의 응답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을 삽입할 수도 있다.
특히, 검사자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분석하거나 또는 심층적인 검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종류의 종합진단지를 통해 검사자의 기본 척도를 재조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는 검사자를 파악하거나 이해하는 정보를 얻기 위한 작업으로 진로상담 및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참여시 기본 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는 검사자의 기본척도와는 다르게 검사자 개인이 선호하는 직업이 선택되도록 하여, 검사자의 기본 척도에 의해 검사자에게 적합한 적합직업을 선정하는 오류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는 검사자가 선호하는 직업이 선택되도록 각 직군이 레이어 방식으로 저장된 선호직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선호직업 데이터베이스는 직업을 크게 일정 개수의 직무군으로 분류하며, 분류된 직무군을 2단계 또는 3단계의 레이어로 파생시켜 검사자가 세부적인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직무를 분류한다.
예를 들어, 일정 개수로 분류된 직무군은 기업직무군, 전문직업군, 사회복지 직업군, 예체능군, 일반직군, 이색직군 등으로 1단계에서 분류될 수 있으며, 기업직무군은 제조업 직무군, 서비스업 직무군, 1차산업 직무군 등으로 2단계에서 분류될 수 있으며, 제조업 직무군은 기계부품 직무군, 전자부품 직무군, 화학제품 직무군 등으로 3단계에서 분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각 직무군을 3단계가 아닌 6~7 단계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단계의 수는 필요에 따라 더욱 세분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선호직업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직무 또는 직업에 대한 평균소득, 평균 근무연수, 근무지, 근무요건 등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어떤 직무를 수행하는 지 등을 도표 또는 동영상 등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선호직업 데이터베이스는 종합진단지에서 나타나는 적합직업으로만 검사자의 진로직업이 설정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본 발명의 진로설정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종합진단지를 독출하는 데이터입력부를 포함한다.
데이터입력부에서는 종합진단지뿐만 아니라 선호직업도 독출하여 검사자에게 시청각 수단을 통해 시각 또는 청각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시각 및 청각이 동시에 제공되는 시청각 형태로 제공한다. 이때 선호직업은 필요한 경우 동영상 또는 도표로 필요한 정보를 검사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검사자는 제공된 종합진단지를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진로설정 서버에 부착된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하며, 선호직업도 입력한다.
본 발명의 진로설정 서버는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데이터 출력부를 통해 진로분석 서버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진로분석 서버는 적합직업 분석수단에 의해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제공받아 각 항목에 설정된 리커트 척도 또는 명목 척도 및 가중치에 의해 검사자에게 적합한 복수의 직업 리스트를 선정한다.
상기 적합직업 분석수단은 리커트 척도 또는 명목 척도 및 가중치에 의해 검사자의 적성과 성격, 가치관 등 기본척도에 따른 세부항목을 서열화시키며,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빅 데이터 또는 상관 매트릭스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검사자에게 적합한 소정 개수, 예를 들어 5개의 직업리스트를 선정한다.
이때 선정된 직업리스트의 숫자는 검사자 개인이 입력하는 선호직업의 숫자와 일치시킴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선정된 직업리스트의 숫자와 선호직업의 숫자가 불일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진로분석 서버는 검사자 개인의 종합진단지의 분석결과를 적성, 성격, 가치관 등 기본 척도에 대하여 점수화하여 그래프 형태로 나타내며, 하단에는 이 자료를 근거로 검사자 개인에게 적합한 직업리스트를 제시한다.
또한, 진로분석 서버에서 분석된 검사자 개인의 종합진단지 분석결과와 검사자에게 제시된 직업리스트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진로설정서버는 종합진단지에서 선정된 직업리스트와 검사자 개인이 선택한 선호직업이 무엇이었는지를 벤 다이어그램 등의 형태로 제공하여 검사자가 합리적으로 진로직업을 선정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벤 다이어그램은 합집합과 교집합의 관계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도표로서, 하나의 원에는 종합진단지에서 선정된 직업리스트를 제시하고, 다른 하나의 원에는 검사자 개인이 선택한 선호직업을 제시한다.
만일 종합진단지에서 선정된 직업리스트와 검사자 개인이 선택한 선호직업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벤 다이어그램의 교집합에 이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검사자는 진로설정 시스템이 선정한 직업리스트와 개인의 선호직업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검사자는 진로직업을 선정하기 위하여 진로설정 시스템이 선정한 직업리스트와 개인의 선호직업에서 일정 개수, 예를 들어 3개의 후보직업을 선택한다.
이때 후보직업의 수는 직업리스트의 숫자 또는 개인의 선호직업의 숫자보다는 적어야만 진로설정을 위한 경력개발 목표 등 유효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진로설정 서버는 검사자가 선택한 후보직업을 올바르게 선택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적인 환경 또는 외부적인 환경에 대한 심층적 판단을 할 수 있는 검증진단지를 검사자에게 제공한다.
검증진단지는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직업을 검증할수 있는 진단지로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진로설정 서버는 데이터입력부를 통해 검증진단지를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독출하여 검사자에게 제공하며, 검사자는 각 항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다.
진로분석 서버에 포함된 제안직업 분석수단은 검사자가 실시한 검증진단지의 평가결과를 검사자 개인의 선호도, 숙련도, 성격과의 매칭정도, 가치관과의 매칭정도, 학업성적, 전공, 경제력 등을 점수화 또는 리커트 척도 등을 통해 점수화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여 검사자에게 최적인 직업을 제안직업으로 선정한다.
이때 진로분석 서버는 후보직업에 대한 분석결과를 합리적인 의사결정표로서 그래프 또는 점수화하여 나타내며, 또한 각 후보직업에서 요구하는 경력, 스펙, 학력수준, 경제력 등을 제시하여 검사자가 왜 제안직업이 검사자에게 최적의 직업인지를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검증진단지에서의 항목과 후보직업에 대한 분석결과가 매트릭스의 2차원 형태 또는 3차원 형태인 합리적 의사결정표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진로설정 서버는 진로분석 서버에서 선정된 제안직업 및 분석결과를 검사자에게 제시하여 검사자가 진로직업을 합리적인 의사로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검사자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검사자의 진로직업을 선정할 수 있으며, 선정된 진로직업에서 요구하는 경력 및 스펙 등에 대하여도 진로설정 서버를 통해 일정부분 제시받는다.
즉, 진로설정 서버는 검사자가 진로직업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 경력, 스펙 등에 필요한 자료를 검사자에게 동영상 또는 인터넷 등의 자료를 통해 제공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검사자가 필요로 하는 자료는 진로설정 서버의 시청각 수단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음성을 통해 검사자가 알 수 있도록 정보가 제공된다.
진로설정 서버는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진로직업과 검사자의 역량의 상황분석(SWOT)을 위하여 입력수단를 통해 검사자의 경험, 경제력, 스펙 등을 입력받는다.
검사자의 스펙 입력은 최대한 수치화된 자료를 기본으로 하지만 명목 척도와 같이 분류상 의미가 있는 것인 경우에는 명목척도를 기재한다.
진로설정 서버는 검사자가 선택한 진로직업에서 필요한 스펙과 유사한 스펙이 입력된 경우에 입력된 스펙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를 그대로 이용하나, 참고만 할 사항인 경우에는 참고사항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영어에 대한 스펙으로 텝스(TEPS) 800이 입력된 경우에, 검사자가 선택한 진로직업이 대기업 입사인 경우에는 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대로 이용하나, 검사자가 선택한 진로직업이 외국에서 학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토플(TOEFL)성적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참고사항으로 한다.
또한, 검사자가 선택한 진로직업에서 필요로 하는 자격증이 전기기사이며, 검사자가 전기공사기사를 스펙으로 입력한 경우에는 이를 동일한 자격으로 인정하거나 때에 따라서는 참고사항으로 분류한다.
진로설정 서버는 검사자에 의해 입력된 스펙 또는 경험 등을 진로분석 서버에 제공하며, 진로분석 서버는 검사자가 선택한 진로직업에 전략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상황분석(SWOT)표를 작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진로설정 시스템에 적용되는 상황분석표의 일례이다.
상황분석표는 내부역량으로 검사자 개인의 장점(Strength)과 약점(Weakness)과 외부환경인 기회(Opportunity)와 위협(Threat)을 통해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도표이다.
상황분석표는 검사자가 원하는 직무를 얻기 위해 어떤 요소들이 있는지 충분히 검토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본 초석을 위해 작성되어야 한다. 또한 이를 통해 검사자의 커리어 로드맵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강점은 진로직업에서 요구하는 것 또는 다른 경쟁자와 비교하여 검사자가 강점으로 인식되는 것은 무엇인지, 약점은 진로직업에서 요구하는 것 또는 다른 경쟁자와 비교하여 검사자가 약점으로 인식되는 것은 무엇인지, 기회는 외부환경에서 유리한 기회요인은 무엇인지, 위협은 외부환경에서 불리한 위협요인은 무엇인지를 찾아내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진로직업을 얻기 위한 전략을 도출할 수 있다.
진로설정 서버는 상황분석표 또는 검사자가 입력한 스펙을 향후 어떻게 달성하여야 하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인 목표를 수립하여 검사자에게 피드백하는 프로세서를 통해 검사자의 경력개발목표로 검사자에게 제시한다.
예를 들어 검사자에게 선택된 진로직업을 가진 평균 입사자의 토익(Toeic) 점수가 800점이라면 경력개발의 목표는 800점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력개발 목표는 검사자가 가지고 있는 다른 요인에 의해서도 일정 부분 보완될 수 있다면 경력개발의 목표가 하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검사자에게 선택된 진로직업이 7급 공무원이고, 검사자가 유공자라면 그 경력개발의 목표는 입사자의 평균 토익(Toeic) 점수인 800점이 아니라 750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검사자에게 선택된 진로직업에서 요구되는 자격증, 해외경험, 봉사활동 등에 관한 것도 경력개발의 목표로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진로설정 서버는 경력개발의 목표와 검사자의 현재에 대한 역량 및 진로분석 서버에서 분석된 상황분석표를 토대로 검사자에게 적합하거나 요구되어지는 커리어 로드맵을 제시할 수 있다.
커리어 로드맵은 시간경과에 따라 필요한 경력, 스펙 등을 연대기 등의 도표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역량에 맞는 막대 그래프 또는 단순한 표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커리어 로드맵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도 3의 ①은 자격증 필기시험 합격 ②는 토익 600점 ③은 해외연수 1년 등으로 시간에 따라 연대기 형태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구분이 내용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검사자가 필요에 따라 입력할 수 있는 빈칸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구분 현재 목표 기간 실행계획
학부성적 3.3 3.5 2013.12. 예습 철저
봉사활동 1 3 2013.9. 1달에 한번 헌혈
자격증 전기기사 2급 전기기사 1급 2014. 06. 학원/기출문제
진로설정 서버에서 작성된 커리어 로드 맵은 본 발명의 진로설정 시스템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그림파일 또는 pdf파일로 저장된다.
또한, 검사자가 커리어 로드 맵에서 요구하는 경력 또는 스펙 등을 달성한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커리어 로드맵을 수정하여 재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되는 커리어 로드맵은 통상의 기술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나, 데이터 관리를 위하여 최근 5개까지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저장은 필히 검사자에 의해 저장버튼이 눌러졌을 때만 저장되는 것이며 1개의 항목이 수정되었다고 1번의 저장으로 보지 않는다. 즉, 2개의 항목이 수정되었더라도 1번의 저장버튼이 눌러지면 1번의 저장으로 카운트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분석결과와 커리어 로드맵 등은 검사자의 진로설정을 위해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에서 상담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로설정 시스템은 온 라인에서 진로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진로설정에 대한 웹 사이트를 구축하여 상기 진로설정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로설정 시스템은 기존 검사자의 경력 및 스펙 개발에 대한 이력을 분석하고 진단시의 스펙과 현재의 스펙 또는 진단지의 진로직업과 현재의 직업에 대한 빅 데이터 등을 재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관 매트릭스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관 매트릭스 데이터베이스와 비교된 결과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관관계를 재부여하는 학습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빅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보안하며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진로설정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진로설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진로 설정 시스템은 크게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진로분석 서버 및 진로설정 서버로 나누어진다.
데이터베이스 서버에는 인간의 기본척도와 직무에 관한 빅 데이터가 분석된 상관관계가 상관 매트릭스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인간의 기본척도를 이용하여 검사자의 직무를 분석하기 위한 종합진단지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종합진단지는 검사자 개개인의 적성, 성격, 가치관, 성장배경, 경제력, 전문지식 등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도록 기본척도와 진로 설정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진단지이다.
먼저, 본 발명의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설정 방법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검사자에게 적합한 직무를 분석하기 위한 종합진단지를 진로설정 서버가 독출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제공하는 종합진단지 제공단계로 시작된다.(S 1)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는 검사자의 기본척도와는 다르게 검사자 개인이 선호하는 직업이 선택되도록 하여, 검사자의 기본 척도에 의해 검사자에게 적합한 적합직업을 선정하는 오류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는 검사자를 파악하거나 이해하는 정보를 얻기 위한 작업으로 진로상담 및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참여시 기본 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진로설정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종합진단지를 독출하는 데이터입력부를 포함한다.
검사자는 제공된 종합진단지를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진로설정 서버에 부착된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하며, 선호직업도 입력한다.
본 발명의 진로설정 서버는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데이터 출력부를 통해 진로분석 서버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진로분석 서버는 적합직업 분석수단에 의해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제공받아 각 항목에 설정된 리커트 척도 또는 명목 척도 및 가중치에 의해 검사자에게 적합한 복수의 직업 리스트를 선정하는 적합직업 분석단계를 포함한다. (S 2)
진로분석 서버는 검사자 개인의 종합진단지의 분석결과를 적성, 성격, 가치관 등 기본 척도에 대하여 점수화하여 그래프 형태로 나타내며, 하단에는 이 자료를 근거로 검사자 개인에게 적합한 직업리스트를 제시한다.
진로설정서버는 종합진단지에서 선정된 직업리스트와 검사자 개인이 선택한 선호직업이 무엇이었는지를 벤 다이어그램 등의 형태로 제공하여 검사자가 합리적으로 진로직업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후보직업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S 3)
이를 통해, 검사자는 진로설정 시스템이 선정한 직업리스트와 개인의 선호직업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진로설정 서버는 검사자가 선택한 후보직업을 올바르게 선택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적인 환경 또는 외부적인 환경에 대한 심층적 판단을 할 수 있는 검증진단지를 검사자에게 제공한다. (검증진단지 제공단계 S 4)
진로분석 서버에 포함된 제안직업 분석수단은 검사자가 실시한 검증진단지의 평가결과를 검사자 개인의 선호도, 숙련도, 성격과의 매칭정도, 가치관과의 매칭정도, 학업성적, 전공, 경제력 등을 점수화 또는 리커트 척도 등을 통해 점수화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여 검사자에게 최적인 직업을 제안직업으로 선정하는 제안직업 선정단계(S 5)를 포함한다.
이때 진로분석 서버는 검사자의 진로직업이 선정되도록 후보직업에 대한 분석결과를 그래프 또는 점수화하여 나타낸 합리적인 의사결정표와 함께 검사자에게 최적의 직업인 제안직업을 제공하는 진로직업 선정단계(S 6)을 포함한다.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진로직업에 대한 커리어 로드맵을 준비하여 위하여 진로설정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필요한 스펙, 핵심역량, 경험 등을 독출하여 검사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종합진단지의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검사자에게 필요한 커리어가 어떤 것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커리어 로드맵 준비단계, S7)
또한, 진로설정 서버는 검사자가 진로직업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 경력, 스펙 등에 필요한 자료를 검사자에게 동영상 또는 인터넷 등의 자료를 통해 제공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자에게 제공한다. (스펙 제공단계, S8)
진로설정 서버는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진로직업과 검사자의 역량의 상황분석(SWOT)을 위하여 입력수단를 통해 검사자의 경험, 경제력, 스펙 등을 입력받는다.
진로설정 서버는 검사자에 의해 입력된 스펙 또는 경험 등을 진로분석 서버에 제공하며, 진로분석 서버는 검사자가 선택한 진로직업에 전략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상황분석(SWOT)표를 작성한다. (상황분석표 제공단계, S 9)
진로설정 서버는 상황분석표 또는 검사자가 입력한 경험 또는 스펙을 근거로 향후 어떻게 달성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경력개발 목표를 수립하여 검사자에게 피드백한다. (경력개발 목표 제공단계, S 10)
또한, 진로설정 서버는 경력개발의 목표와 검사자의 현재에 대한 역량 및 진로분석 서버에서 분석된 상황분석표를 토대로 검사자에게 적합하거나 요구되어지는 커리어 로드맵을 제시할 수 있다. (커리어 로드맵 제시단계, S 11)
커리어 로드맵은 시간경과에 따라 필요한 경력, 스펙 등을 연대기 등의 도표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역량에 맞는 막대 그래프 또는 단순한 표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진로설정 서버에서 작성된 커리어 로드 맵은 본 발명의 진로설정 시스템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그림파일 또는 pdf파일로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에 기재한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설정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이다.
이러한 저장매체를 통해 본 발명의 진로설정 방법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다른 단말기 또는 웹서버를 통해 진로상담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분석 서버가 분석하여 제시하는 적합직업군과 검사자 개인이 선택한 선택직업군을 바탕으로 검사자 개인에게 최적의 직업을 합리적인 의사로 결정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의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검사자가 합리적인 의사로 결정한 최적의 직업에 대하여 필요한 경력이나 자격증 등을 언제까지 어느 수준으로 향상시켜야 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커리어 로드 맵을 작성하여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데이터베이스 서버 200 : 진로분석 서버 300 : 진로설정 서버
S 1: 종합진단지 제공단계, S 2: 적합직업 분석단계
S 3: 후보직업 제공단계, S 4: 검증진단지 제공단계
S 5: 제안직업 선정단계, S 6: 진로직업 선정단계
S 7: 커리어 로드맵 준비단계, S 8: 스펙 제공단계
S 9: 상황분석표 제공단계, S 10: 경력개발 목표 제공단계
S 11: 커리어 로드맵 제시단계

Claims (10)

  1. 검사자의 직무를 분석하기 위한 종합진단지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검사자의 직무를 제공하는 진로분석 서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상기 종합진단지를 독출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제공된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상기 진로분석 서버로 제공하는 진로설정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종합진단지의 각 항목은 항목의 평가결과를 수치화하기 위하여 리커트 척도 또는 명목척도를 사용하며,
    상기 진로설정서버는 경력개발의 목표와 상기 검사자의 현재역량 및 진로설정서보에서 분석된 상황분석표를 토대로 상기 검사자에게 요구되어지는 커리어로드맵을 제공하며,
    상기 커리어로드맵은 시간경과에 따라 필요한 경력 또는 스펙을 연대기의 도표로 제시하며,
    기존 검사자의 경력 및 스펙 개발에 대한 이력을 분석하고 진단시의 스펙과 현재의 스펙 또는 진단지의 진로직업과 현재의 직업에 대한 빅 데이터를 재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관 매트릭스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관관계를 재부여하는 학습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인간의 기본척도와 직무에 관한 빅 데이터가 분석된 상관 매트릭스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기본척도를 토대로 검사자의 직무를 분석하기 위한 종합진단지가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합진단지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검사자가 선호하는 직업이 선택될 수 있도록 각 직군이 레이어 방식으로 저장된 선호직업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직업을 검증할 수 있는 검증진단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선호직업 데이터베이스는 각 직무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아 어떤 직무를 수행하는지를 도표 또는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로분석 서버는
    상기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각 항목에 설정된 점수표 및 가중치에 의해 검사자에게 복수의 직업리스트를 제공하는 적합직업 분석수단;과
    상기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직업을 검증할 수 있는 검증진단지의 평가결과를 각 항목에 설정된 점수표 및 가중치에 의해 검사자에게 제공할 제안직업을 선정하는 제안직업 분석수단;과
    상기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진로직업에 관한 상황분석(SWOT)를 제공하는 상황분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로설정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선호직업, 검증진단지 또는 상기 종합진단지를 독출하는 데이터입력부;와
    상기 독출된 종합진단지, 선호직업 또는 검증진단지를 상기 검사자에게 시각 또는 청각으로 제공하는 시청각 수단;과
    상기 제공된 종합진단지, 선호직업 또는 검증진단지에 대한 검사자의 평가결과가 입력되는 입력수단;과
    상기 검사자의 평가결과를 상기 진로분석 서버로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부;를 포함며,
    상기 종합진단지를 통해 선정된 직업리스트와 검사자 개인이 선택한 선호직업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로설정 서버의 시청각 수단은 상기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진로직업에 필요한 경험 또는 스펙을 제공하며,
    상기 진로설정 서버는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검사자의 경험 또는 스펙을 근거로 상기 검사자의 경력개발 목표를 수립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피드백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6.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검사자의 직무를 분석하기 위한 종합진단지를 진로설정 서버가 독출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제공하는 종합진단지 제공단계;와
    상기 제공된 종합진단지의 평가결과를 진로분석 서버가 분석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직무를 제공하는 적합직업 분석단계;와
    상기 적합직업과 상기 검사자가 선호하는 선호직업을 상기 진로설정 서버가 상기 검사자에게 제공하는 후보직업 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종합진단지의 각 항목은 항목의 평가결과를 수치화하기 위하여 리커트 척도 또는 명목척도를 사용하며,
    상기 후보직업 제공단계는 상기 적합직업과 상기 검사자가 선호하는 선호직업을 벤 다이어그램의 형태로 제공하며,
    상기 후보직업 제공단계 이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직업을 검증할 수 있는 검증진단지를 진로설정 서버가 독출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제공하는 검증진단지 제공단계;와
    상기 제공된 검증진단지의 평가결과를 분석서버가 분석하여 제안직업을 선정하는 제안직업 선정단계;와
    상기 검사자의 진로직업이 합리적으로 선정되도록 상기 선정된 제안직업과 분석결과가 상기 진로설정 서버에서 합리적 의사결정 도표로 상기 검사자에게 제공되는 진로직업 선정단계;와
    경력개발의 목표와 상기 검사자의 현재역량 및 진로설정서보에서 분석된 상황분석표를 토대로 상기 검사자에게 요구되어지는 커리어로드맵을 제공하는 커리어 로드맵 제시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리어로드맵은 시간경과에 따라 필요한 경력 또는 스펙을 연대기의 도표로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설정 방법.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로직업 선정단계와 상기 커리어 로드맵 제시단계 사이에 상기 검사자에 의해 선택된 진로직업에 필요한 경험 또는 스펙을 상기 진로설정 서버가 제공하는 스펙 제공단계;와
    상기 제공된 경험 또는 스펙에 대응하여 검사자에 의해 입력된 경험 또는 스펙을 근거로 상기 분석서버에서 작성된 상황분석(SWOT)표를 상기 검사자에게 제공하는 상황분석(SWOT)표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설정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분석(SWOT)표 제공단계와 상기 커리어 로드맵 제시단계 사이에
    상기 검사자의 경험 또는 스펙을 근거로 상기 진로설정 서버가 검사자의 경력개발 목표를 수립하여 상기 검사자에게 피드백하는 경력개발 목표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설정 방법.
  10. 청구항 제6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설정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20130097983A 2013-08-19 2013-08-19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352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983A KR101352602B1 (ko) 2013-08-19 2013-08-19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983A KR101352602B1 (ko) 2013-08-19 2013-08-19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602B1 true KR101352602B1 (ko) 2014-02-06

Family

ID=5026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983A KR101352602B1 (ko) 2013-08-19 2013-08-19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60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676B1 (ko) 2014-02-10 2015-11-05 김희동 빅 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역량 중심 이력서 및 자기 소개서 작성 방법
KR20160112756A (ko) 2015-03-20 2016-09-28 김문수 데이터 제공 서버와 통신에 기초하는 개별 건강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16516A (ko) *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씨큐브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20981A (ko) * 2015-04-09 2016-10-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례 베이스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평가 기준 정보의 생성 방법
KR20170021454A (ko) 2015-08-18 2017-02-28 주식회사 엠젠플러스 사용자 매체의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수집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별 상품 추천 방법 및 상품 추천 시스템
KR20180035747A (ko) * 2018-03-16 2018-04-0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로지도를 위한 웹서비스 기반의 하이브리드 코칭 방법
KR20220111950A (ko) * 2021-02-03 2022-08-10 (주)스마트소셜 직업 정보 제공 서버 및 그것의 진로 추천 방법
KR20230072725A (ko)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베어런 빅데이터 기반 직업역량패턴과 사용자 개인역량패턴간 유사도 측정 및 가중치 계산법을 이용한 추천진로 제공 시스템
KR20240028168A (ko) 2022-08-24 2024-03-05 조영주 생태교육 프로그램 및 이에 대한 결과 분석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289A (ko) * 2007-08-30 2009-03-04 화이트정보통신 주식회사 직무지향성과 경력지향성을 이용한 온라인 직무 적합성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170997B1 (ko) * 2010-10-12 2012-08-08 송영선 진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2944A (ko) * 2011-09-26 2013-04-03 주식회사 미래와비젼 웹서버 기반의 진로 설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로 설정 방법
KR101248831B1 (ko) * 2011-12-12 2013-05-14 주식회사 디비케이에듀케이션 맞춤형 진로 설계 및 로드맵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289A (ko) * 2007-08-30 2009-03-04 화이트정보통신 주식회사 직무지향성과 경력지향성을 이용한 온라인 직무 적합성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170997B1 (ko) * 2010-10-12 2012-08-08 송영선 진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2944A (ko) * 2011-09-26 2013-04-03 주식회사 미래와비젼 웹서버 기반의 진로 설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로 설정 방법
KR101248831B1 (ko) * 2011-12-12 2013-05-14 주식회사 디비케이에듀케이션 맞춤형 진로 설계 및 로드맵 제공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676B1 (ko) 2014-02-10 2015-11-05 김희동 빅 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역량 중심 이력서 및 자기 소개서 작성 방법
KR20160112756A (ko) 2015-03-20 2016-09-28 김문수 데이터 제공 서버와 통신에 기초하는 개별 건강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16516A (ko) *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씨큐브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7482B1 (ko) 2015-03-30 2016-10-20 주식회사 씨큐브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20981A (ko) * 2015-04-09 2016-10-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례 베이스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평가 기준 정보의 생성 방법
KR101687482B1 (ko) * 2015-04-09 2016-12-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례 베이스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평가 기준 정보의 생성 방법
KR20170021454A (ko) 2015-08-18 2017-02-28 주식회사 엠젠플러스 사용자 매체의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수집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별 상품 추천 방법 및 상품 추천 시스템
KR20180035747A (ko) * 2018-03-16 2018-04-0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로지도를 위한 웹서비스 기반의 하이브리드 코칭 방법
KR20220111950A (ko) * 2021-02-03 2022-08-10 (주)스마트소셜 직업 정보 제공 서버 및 그것의 진로 추천 방법
KR102584127B1 (ko) * 2021-02-03 2023-10-05 (주)스마트소셜 직업 정보 제공 서버 및 그것의 진로 추천 방법
KR20230072725A (ko)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베어런 빅데이터 기반 직업역량패턴과 사용자 개인역량패턴간 유사도 측정 및 가중치 계산법을 이용한 추천진로 제공 시스템
KR20240028168A (ko) 2022-08-24 2024-03-05 조영주 생태교육 프로그램 및 이에 대한 결과 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602B1 (ko)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Bodenhausen et 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 involvement: Perspectives from millennial workforce entrants
Mohammed et al. Total quality management in Saudi higher education
Ashraf Examining the public sector recruitment and selection, in relation to job analysis in Pakistan
Badurdeen et al. An analytical hierarchy process‐based tool to evaluate value systems for lean transformations
Quraishi et al. An investigation of authentic leadership and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secondary schools of Pakistan
KR20150021161A (ko) 입사지원서 자동완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565676B1 (ko) 빅 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역량 중심 이력서 및 자기 소개서 작성 방법
AU2013205850A1 (en) Assessment method and apparatus
Pariafsai et al. Core competencies for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Presley et al. Creating legal data for public health monitoring and evaluation: Delphi standards for policy surveillance
Thalhah et al. Development of lecturer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through the plomp model in higher education
KR20220121324A (ko) 직무역량 기반의 직업 추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
Almagro et al. Teacher’s Work Values in Public Schools: The Influence of Web-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to Self Efficacy and Resilience in Davao Region
Russell A meta-analysis: The full range of leadership model impacting policing organizations
KR101509386B1 (ko) 개인 맞춤형 역량 중심 이력서 및 자기 소개서 작성 방법
Umukoro et al. New normal and competitive advantage: A higher education experience
Seymour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thical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Mackenzie et al. How does the library profession grow managers? It doesn't–they grow themselves
Feleke Assessment of training and development practice the case of human rights commission hawassa branch
Athanasou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different inventoried approaches to assessing career interests
Najafabadi et al. Total quality management in higher education case study: quality in practice at university college of Borås
Ngussa et al. Correlations between Leadership Styles and Self-Esteem of Employees: A Case of Technical Colleges in Arusha City, Tanzania
Merkač Skok et al. Some findings on career counselling in higher education
Sohail et al. Influence of Organization Based Self-Esteem, Role Breadth Self-Efficacy and Voluntary Learning Behavior on Perceived Employ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