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251U - 재호흡기 - Google Patents

재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251U
KR20190002251U KR2020180000900U KR20180000900U KR20190002251U KR 20190002251 U KR20190002251 U KR 20190002251U KR 2020180000900 U KR2020180000900 U KR 2020180000900U KR 20180000900 U KR20180000900 U KR 20180000900U KR 20190002251 U KR20190002251 U KR 201900022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base
coupled
mouthpiece
ve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073Y1 (ko
Inventor
김일
하명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Priority to KR2020180000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7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2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2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재호흡기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연통되는 제1연통부와, 상기 제1연통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연통부에 대하여 절곡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는 통기관; 일측이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연통부와 결합하는 지지대; 상기 제2연통부와 연통되고 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렉시블호스(flexible hose); 상기 플렉시블호스의 일측에 결합하는 마우스피스; 및 상기 마우스피스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호흡기{Inspirometer}
실시예는, 사용자의 호흡을 돕는 재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은 호흡해야만 생존할 수 있으므로, 인공호흡기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화재현장에서 매연 등으로 인해 인간이 자연적으로 호흡할 수 없는 경우, 인간의 호흡을 유지하기 위해 인공호흡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응급상태의 환자가 스스로 호흡을 하기 어려운 경우, 환자가 호흡을 유지하도록 인공호흡기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쿠버다이빙, 수중탐사 등의 경우, 사용자가 수중에서 호흡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인공호흡기가 사용될 수 있다.
간단한 구조의 인공호흡기는 산소 또는 공기 등의 호흡기체가 수용되는 저장탱크와, 이에 연결되고 호흡기체가 유동하는 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들숨으로 상기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호흡기체를 들이마시고, 날숨으로 체내의 이산화탄소 등이 포함된 기체를 내뿜어 호흡을 하게된다.
이러한 간단한 구조의 인공호흡기는 사용자가 날숨으로 체내의 기체를 내뿜는 경우, 이러한 체내의 기체를 전부 외부로 버리게 된다. 따라서, 인공호흡기가 커지고 무거워지게 되고, 체내의 기체 중 인간의 호흡에 유용한 산소를 그대로 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체내의 기체에 함유된 산소 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재호흡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재호흡기는 인간이 내뿜은 체내의 기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재순환시켜 상기 체내의 기체 중 유용한 산소 등의 기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동일한 질량의 호흡기체를 사용하는 경우, 개방된 기체유동회로를 갖는 일반적인 인공호흡기와 비교하여, 전부 또는 일부가 폐쇄된 기체유동회로를 갖는 재호흡기는 사용시간이 훨씬 길어지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효율적인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진 재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재호흡기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연통되는 제1연통부와, 상기 제1연통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연통부에 대하여 절곡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는 통기관; 일측이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연통부와 결합하는 지지대; 상기 제2연통부와 연통되고 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렉시블호스(flexible hose); 상기 플렉시블호스의 일측에 결합하는 마우스피스; 및 상기 마우스피스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통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통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통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통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정된 범위에서 평행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거치대에는 슬릿(slit)형상의 장착부가 형성되고, 일 실시예의 재호흡기는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통기관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거치대를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통기관에 부착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슬릿형상의 관통홀; 및 슬릿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며, 상기 체결구의 헤드가 안착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거치대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에 상기 개구부가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마우스피스는 거치대의 중공에 수용되어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재호흡기의 보관시 재호흡기 특히, 플렉시블호스와 마우스피스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의 이동시 사용자의 불편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마우스피스의 사용자의 구강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은 거치대의 중공에 수용될 수 있고, 따라서 재호흡기의 보관 또는 이동시 마우스피스의 외부노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마우스피스에 결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건강을 지키고 감염을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의 재호흡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회전시킨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의 재호흡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를 X-X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의 재호흡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재호흡기는 응급상황 등에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호흡장치이다. 예를 들어, 화재를 비롯한 각종 재난발생시 각종 유독성 가스에 의한 질식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는 동안에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호흡장치이다.
재호흡기는 사용자가 내쉰 공기,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산소 등의 기체를 전부 외부로 배출하는 개방형 호흡기와 달리, 사용자가 내쉰 기체의 적어도 일부를 재순환시킴으로써 호흡장치의 하중 및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동일한 공기 또는 산소를 저장하는 개방형 호흡기에 비해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재호흡기는 사용자가 내쉰 기체를 다시 순환시키고, 기체가 이러한 순환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호흡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여과시키고, 부족하게 된 산소를 더 보충시켜, 사용자가 편하게 호흡할 수 있는 조성을 가진 호흡기체를 만들 수 있다.
실시예의 재호흡기는 베이스(100), 실린더(200), 통기관(300), 지지대(400), 플렉시블호스(500), 마우스피스(600) 및 거치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실린더(200), 통기관(300), 지지대(400) 등의 구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도 1을 참조하면, 재호흡기가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린더(200)는 상기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200)는 공기 또는 산소 등 사용자가 호흡하는데 필요한 호흡기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200)는 사용자가 내쉰 기체에 함유된 이산화탄소를 여과하는 여과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200)는 사용자가 편안한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호흡기체에 함유된 질소의 농도, 양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린더(200)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상기 실린더(2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실린더(200) 중 일부는 호흡기체를 저장하고, 다른 일부는 이산화탄소를 여과하고, 다른 일부는 질소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각각 할 수 있다.
통기관(300)은 내측에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통로를 통해 기체가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실린더(200)는 재호흡기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따라서 실린더(200)가 통기관(300)에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재호흡기의 구조를 설계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관(300)은 제1연통부(310)와 제2연통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통부(310)는 상기 실린더(200)의 일측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200)와 연통을 위해, 제1연통부(310)는 실린더(200)의 제1연통부(310) 장착위치에 연통을 위한 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제1연통부(310)는 기체가 유동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연통부(320)는 상기 제1연통부(310)와 연통되고 상기 제1연통부(310)에 대하여 절곡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100)와 결합할 수 있다. 제2연통부(320)는 제1연통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제2연통부(320)도 기체가 유동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연통부(310)와 제2연통부(320)는 별도로 형성되고, 제1연통부(310)와 제2연통부(320)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연통부(310)와 제2연통부(320) 서로간 연통을 위해, 제1연통부(310)와 제2연통부(320) 각각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연통부(320)는 플렉시블호스(500)의 일측이 장착되고, 상기 플렉시블호스(500)와 연통되는 통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호스(500)가 제2연통부(320)의 상기 통기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2연통부(320)는 설계될 수 있다.
지지대(400)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100)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연통부(310)와 결합할 수 있다. 지지대(400)는 제1연통부(3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통부(310), 제2연통부(320) 및 지지대(4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복수의 실린더(20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400)는 제1연통부(31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연통부(310)와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실린더(200)는 재호흡기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플렉시블호스(500)(flexible hose)는 상기 제2연통부(320)와 연통되고 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호스(500)는 일측이 제2연통부(320)와 결합 및 연통되고, 타측에는 마우스피스(600)가 결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변형가능한 플렉시블호스(500)를 변형시킴으로써 편안하게 재호흡기를 사용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600)는 상기 플렉시블호스(500)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피스(600)를 통해 호흡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600)를 통해 숨을 들이쉬면, 호흡기체는 실린더(200)로부터 제1연통부(310), 제2연통부(320), 플렉시블호스(500) 및 마우스피스(600)로 유동하고, 사용자는 상기 호흡기체를 들이마실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마우스피스(600)를 통해 숨을 내쉬면, 사용자가 내쉰 기체는 거꾸로 마우스피스(600)로부터 플렉시블호스(500), 제2연통부(320) 및 제1연통부(310)를 유동하여 실린더(200)로 유입될 수 있다. 실린더(200)에서는 유입된 기체에 함유된 이산화탄소, 질소 등의 가스의 함유량을 조절하고, 필요한 경우 새로운 공기, 산소 등의 호흡기체를 추가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를 회전시킨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거치대(7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거치대(700)는 상기 마우스피스(60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00) 및 상기 통기관(30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일 실시예로서, 거치대(700)가 베이스(100) 상에 배치된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거치대(700)는 마우스피스(6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마우스피스(600)를 거치대(700)의 상기 개구부에 끼움으로써, 마우스피스(600)는 거치대(7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마우스피스(600)는 거치대(700)에 예를 들어, 형상 끼워맞춤 또는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마우스피스(600)는 상기 거치대(700)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형상 끼워맞춤 또는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거치대(700)의 중공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마우스피스(600)를 거치대(700)에 부착하고 또한, 마우스를 거치대(700)에서 탈착시킬 수 있다.
거치대(700)가 없는 경우 다음의 문제점이 있다. 먼저,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거치대(700)가 없는 경우, 마우스피스(600)는 재호흡기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 이동될 수 있다.
재호흡기를 보관하는 경우, 플렉시블호스(500)가 변형 가능하므로, 플렉시블호스(500)가 재호흡기의 다른 부품 또는 별도의 장치에 걸리거나 꼬일 수 있으므로, 재호흡기의 보관과정에서 특히 플렉시블호스(500)와 마우스피스(600)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재호흡기를 이동하는 경우, 작업자는 플렉시블호스(500)와, 재호흡기의 다른부위를 모두 잡고 옮겨야 하므로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다. 거치대(700)가 없는 경우, 마우스피스(600)는 재호흡기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상태의 마우스피스(600)에는 인체에 유해한 생물학적 또는 비생물학적 이물질이 부착될 가능성이 매우높다. 따라서, 사용자의 구강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600)에 부착된 이물질은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고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마우스피스(600)는 거치대(700)의 중공에 수용되어 거치대(7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재호흡기의 보관시 재호흡기 특히, 플렉시블호스(500)와 마우스피스(60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600)의 이동시 사용자의 불편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마우스피스(600)의 사용자의 구강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은 거치대(700)의 중공에 수용될 수 있고, 따라서 재호흡기의 보관 또는 이동시 마우스피스(600)의 외부노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마우스피스(600)에 결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건강을 지키고 감염을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거치대(700)는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마우스피스(600)를 거치대(700)에 탈부착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거치대(700)는 중공의 길이방향이 실린더(2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거나 또는 대략적으로 평행하고, 거치대(700)의 개구부가 거치대(700)의 상단에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꿔말하면, 거치대(700)는 상기 베이스(100)에 상기 개구부가 상기 실린더(2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거나 또는 대략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거치대(70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고, 거치대(700)는 사용자의 편의, 재호흡기의 구체적인 구조와 크기 등을 고려하여 베이스(100) 상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거치대(700)의 중공의 단면적은, 마우스피스(600)가 상기 중공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하여 강제로 상기 마우스피스(600)를 이탈시키면 용이하게 거치대(700)와 마우스피스(600)가 분리될 수 있을 정도로, 마우스피스(600)의 크기를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의 재호흡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700)는 베이스(100) 및 통기관(30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거치대(700)는 베이스(100) 상면에 상기 베이스(100)에 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또는 거치대(700)는 통기관(300), 예를 들어 제2연통부(320)의 측면에 상기 제2연통부(320)에 부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거치대(700)는 베이스(100) 상면 및 통기관(300), 예를 들어 제2연통부(320)에 모두 배치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거치대(700)의 배치위치와 개수는 재호흡기의 구조,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호스(500)의 길이가 긴 경우, 재호흡기를 보관하는 상태에서 플렉시블호스(500)가 꼬이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거치대(700)는 베이스(100) 상면에 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플렉시블호스(500)의 길이가 매우 짧은 경우, 재호흡기를 보관하는 상태에서 플렉시블호스(500), 마우스피스(600), 거치대(700) 등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거치대(700)는 제2연통부(320)의 측면에 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실린더(200), 통기관(300)의 크기가 큰 경우, 사용자가 마우스피스(600)를 거치대(700)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거치대(700)는 베이스(100)의 상면 및 제2연통부(320)의 측면에 모두 배치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거치대(700)는 상기 베이스(100) 및 상기 통기관(300) 중 적어도 하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는, 거치대(700)는 상기 베이스(100) 및 상기 통기관(30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또는, 거치대(700)는 상기 베이스(100) 및 상기 통기관(3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정된 범위에서 평행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에 대하여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를 X-X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거치대(700)가 베이스(100) 상면에 결합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거치대(700)가 통기관(300) 예를 들어, 제2연통부(320)의 측면에 결합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700)는 베이스(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또는 설정된 범위에서 평행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치대(700)에는 슬릿(slit)형상의 장착부(7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재호흡기에는 상기 장착부(710)에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100)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거치대(700)를 상기 베이스(100) 상에 부착하는 체결구(8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거치대(700)의 하면은 베이스(100)의 상면에 놓이므로, 거치대(700)를 베이스(100)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장착부(710)는 거치대(7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710)는 관통홀(711) 및 단차부(712)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711)은 슬릿형상으로 형성되고, 체결구(800)는 상기 관통홀(711)을 관통하여 베이스(100) 상에 결합할 수 있다.
체결구(800)는 체결장치를 사용하여 베이스(100)에 탈부착 가능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크류볼트, 나사못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구(800)를 조이거나 반대로 풀어서, 사용자는 체결구(800)를 베이스(100)에 결합하거나 베이스(10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거치대(700)를 베이스(100)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치대(700)의 세척시, 사용자는 체결구(800)를 풀어 거치대(700)를 베이스(100)로부터 탈착하여 세척하고 다시 체결구(800)를 조여 거치대(700)를 베이스(100)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거치대(700)를 세척할 수 있다.
단차부(712)는 슬릿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711)을 둘러싸며, 상기 체결구(800)의 헤드(810)가 안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체결구(800)에 의해 거치대(700)가 베이스(100)에 결합하는 경우, 체결구(800)의 헤드(810)는 상기 단차부(712)에 수용될 수 있다.
체결구(800)의 헤드(810)가 단차부(712)에 수용됨으로써, 거치대(700)가 베이스(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구(800)의 헤드(810)는 거치대(70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체결구(800)의 헤드(810)가 돌출되지 않는 도피구조로 인해, 마우스피스(600)를 거치대(700)에 삽입 및 장착하는 경우에 체결구(800) 및 체결구(800)의 헤드(810)에 의해 마우스피스(600)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체결구(800)의 헤드(810)가 단차부(712)와 접촉하고, 따라서 체결구(800)가 거치대(700)에 대하여 적당한 가압력을 가하도록 체결구(800)를 적절히 조이면, 사용자는 거치대(700)에 적당한 힘을 가하여 상기 거치대(700)를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거치대(700)를 적당히 움직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마우스피스(600)를 거치대(70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거치대(7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거치대(700)의 위치조절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거치대(700)에 적당한 힘을 가하여 곡선형의 양쪽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7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거치대(700)에 적당한 힘을 가하여 직선형의 양쪽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700)를 용이하게 평행이동 즉,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거치대(70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평행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거치대(700)의 평행이동은 설정된 범위에서 가능하고, 상기 관통홀(711)의 길이에 의해 거치대(700)의 평행이동의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700)는 통기관(300), 예를 들어 제2연통부(3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또는 설정된 범위에서 평행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치대(700)에는 슬릿형상의 장착부(7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재호흡기에는 상기 장착부(710)에 삽입되고, 상기 통기관(300)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거치대(700)를 상기 통기관(300) 상에 부착하는 체결구(8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거치대(700)의 측면은 통기관(300) 예를 들어 제2연통부(320)의 측면에 결합하므로, 거치대(700)를 통기관(300)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장착부(710)는 거치대(7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710)는 관통홀(711) 및 단차부(712)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711)은 슬릿형상으로 형성되고, 체결구(800)는 상기 관통홀(711)을 관통하여 제2연통부(320) 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체결구(800)는 체결장치를 사용하여 통기관(300)에 탈부착 가능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크류볼트, 나사못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구(800)를 조이거나 반대로 풀어서, 사용자는 체결구(800)를 통기관(300)에 결합하거나 통기관(300)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거치대(700)를 통기관(300)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단차부(712)는 슬릿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711)을 둘러싸며, 상기 체결구(800)의 헤드(810)가 안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체결구(800)에 의해 거치대(700)가 베이스(100)에 결합하는 경우, 체결구(800)의 헤드(810)는 상기 단차부(712)에 수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체결구(800)의 헤드(810)가 단차부(712)에 수용됨으로써, 거치대(700)가 통기관(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구(800)의 헤드(810)는 거치대(700)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체결구(800)의 헤드(810)가 돌출되지 않는 도피구조로 인해, 마우스피스(600)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체결구(800)가 거치대(700)에 대하여 적당한 가압력을 가하도록 체결구(800)를 적절히 조이면, 사용자는 거치대(700)에 적당한 힘을 가하여 상기 거치대(700)를 움직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거치대(700)에 적당한 힘을 가하여 곡선형의 양쪽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7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거치대(700)에 적당한 힘을 가하여 직선형의 양쪽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700)를 용이하게 평행이동 즉,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거치대(70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평행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베이스
200: 실린더
300: 통기관
310: 제1연통부
320: 제2연통부
400: 지지대
500: 플렉시블호스
600: 마우스피스
700: 거치대
800: 체결구

Claims (9)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연통되는 제1연통부와, 상기 제1연통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연통부에 대하여 절곡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는 통기관;
    일측이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연통부와 결합하는 지지대;
    상기 제2연통부와 연통되고 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렉시블호스(flexible hose);
    상기 플렉시블호스의 일측에 결합하는 마우스피스; 및
    상기 마우스피스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거치대
    를 포함하는 재호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통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호흡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통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호흡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통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호흡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통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정된 범위에서 평행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호흡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는 슬릿(slit)형상의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통기관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거치대를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통기관에 부착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호흡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슬릿형상의 관통홀; 및
    슬릿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며, 상기 체결구의 헤드가 안착하는 단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호흡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거치대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호흡기.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에 상기 개구부가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호흡기.
KR2020180000900U 2018-02-28 2018-02-28 재호흡기 KR200492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00U KR200492073Y1 (ko) 2018-02-28 2018-02-28 재호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00U KR200492073Y1 (ko) 2018-02-28 2018-02-28 재호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51U true KR20190002251U (ko) 2019-09-05
KR200492073Y1 KR200492073Y1 (ko) 2020-07-31

Family

ID=6790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900U KR200492073Y1 (ko) 2018-02-28 2018-02-28 재호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7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0228A (en) * 1976-11-05 1979-10-09 C. R. Bard, Inc. Variable flow incentive spirometer
KR20120000675A (ko) * 2010-06-28 2012-01-04 노상철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KR20120001354U (ko) * 2010-08-18 2012-02-28 최광식 치약튜브 거치대
KR101759972B1 (ko) 2012-09-13 2017-07-20 하펠라 오와이 호흡기 질환의 치료 및 폐 기능의 개선을 위한 장치
KR101975786B1 (ko) 2017-03-15 2019-05-08 홍성태 스마트 호흡 훈련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0228A (en) * 1976-11-05 1979-10-09 C. R. Bard, Inc. Variable flow incentive spirometer
KR20120000675A (ko) * 2010-06-28 2012-01-04 노상철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KR20120001354U (ko) * 2010-08-18 2012-02-28 최광식 치약튜브 거치대
KR101759972B1 (ko) 2012-09-13 2017-07-20 하펠라 오와이 호흡기 질환의 치료 및 폐 기능의 개선을 위한 장치
KR101975786B1 (ko) 2017-03-15 2019-05-08 홍성태 스마트 호흡 훈련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재호흡기 인터넷 게시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073Y1 (ko)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650B2 (en) Multitask medical treatment respiratory apparatus
KR101536265B1 (ko) 두건형 방독면
US20040025878A1 (en) Personal respirator
US20060225738A1 (en) In-mouth filtration apparatus
BRPI0517361B1 (pt) dispositivo de proteção respiratória pessoal
HK1001491A1 (en) Aerosol inhalation device
JP2018504205A (ja) 呼吸装置
JPS6014864A (ja) ガス除去装置
CN203750046U (zh) 消防过滤式自救呼吸器
ATE83939T1 (de) Atemvorrichtung.
US7814909B2 (en) Breathing mask
KR101340583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1513859B1 (ko) 두건형 방독면
KR101536264B1 (ko) 두건형 방독면
KR20190002251U (ko) 재호흡기
US20210093900A1 (en) Respirator mask
KR101393686B1 (ko) 스위칭 마스크 및 호흡수단이 구비된 긴급구조용 호흡장비
CN210813221U (zh) 一种单向呼吸装置
JPH0679617B2 (ja) 酸素発生形呼吸用保護具収納体
CN206896623U (zh) 消防员应急自救装置
KR200234760Y1 (ko)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
DE1784600C3 (de) Atemschutzgerät mit Sauerstoffvorratsbehälter, Atembeutel und Regenerationspatrone
JP3245013U (ja) 災害時 防煙,防毒マスク
US20230364450A1 (en) Protection Device for the Respiratory Tract
KR20170104257A (ko) 자가 호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