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760Y1 -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760Y1
KR200234760Y1 KR2020000032329U KR20000032329U KR200234760Y1 KR 200234760 Y1 KR200234760 Y1 KR 200234760Y1 KR 2020000032329 U KR2020000032329 U KR 2020000032329U KR 20000032329 U KR20000032329 U KR 20000032329U KR 200234760 Y1 KR200234760 Y1 KR 200234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gas
gas mask
container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유상우
차희상
Original Assignee
(주)버추얼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버추얼메디 filed Critical (주)버추얼메디
Priority to KR2020000032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760Y1/ko

Links

Landscapes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독면 또는 방독 마스크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것의 구성을 보면,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용기(40)와, 이 산소용기(40)가 나사 결합 등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귤레이터(32)와, 이 레귤레이터(32)의 상부에 설치되어 산소용기(40)로부터 배출되는 산소량을 조절하는 산소량 조절노브(30)와, 호스 삽입구(22)를 지닌 방독수단과, 상기 레귤레이터(32)를 통해서 상기 산소용기(40)내에 저장된 산소를 상기 호스 삽입구(22)를 통해서 방독수단으로 공급하는 연결호스(5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방독수단으로는 정화통(18)이 부착된 방독면(10) 또는 방독 마스크(60)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POTABLE OXYGEN SUPPLING DEVICE FOR ANTI-GAS MASK}
본 고안은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소량 조절노브를 구비한 레귤레이터에 산소용기를 나사 결합시킨 다음에, 레귤레이터와 방독면 또는 방독 마스크에 설치된 캡너트를 이용하여 호스를 연결하여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전시나 화재시에 유독가스에 의한 인명피해를 방지함과 동시에 산소가 부족한 화재현장에서도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막고 재난 구조활동을 효과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방독면은 전시에 적의 화학무기의 공격으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독가스는 정화통을 통해서 정화되고 공기만이 흡입되어 호흡을 가능케 하는 구조를 지닌다. 최근에는 전시뿐만 아니라 화재시에 발생되는 각종 유독가스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다목적 방독면에 대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목적 방독면의 경우에, 전시나 화재 발생시에 유독가스를 정화하는 능력은 우수하나 화재시에 산소가 결핍된 장소에서 착용하게 되면 오히려 질식사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보통 대기중에는 대략 21%정도의 산소가 존재하지만 화재 발생시에는 산소의 급격한 소모로 인해서 3∼5분만에 산소의 농도가 10%이하로 저하된다. 대기중의 산소농도가 10∼12%이하이면 의식이 혼미해지기 시작하며, 8∼9%로 저하되면 실신하여 7∼8분 이내에 사망에 이르게 된다. 결국, 대부분의 화재사고에서는 화염에 의한 직접적인 화상보다는 유독가스의 흡입이나 산소결핍으로 인한 질식사가 주된 원인으로 규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산소가 결핍된 화재 현상에서 종래의 방독면이나 방독 마스크를 착용한다면 유해독가스에 의한 사망은 막을 수 있다해도 산소부족에 의한 질식사는예방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재 통용되고 있는 전시용 방독면이나 화재 예방 겸용 다목적 방독면의 효용 가치는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시나 화재시에 유독가스의 정화를 위해 사용하는 방독면 또는 방독 마스크의 고유한 기능 이외에도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산소 결핍에 따른 사망을 방지하고 재난 구조활동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방독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산소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산소공급장치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방독 마스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산소공급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방독면 20, 62:캡너트
22, 64:호스 삽입구 30:산소량 조절노브
32:레귤레이터 40:산소용기
50:연결호스 60:방독 마스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는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용기와, 이 산소용기가 나사 결합 등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귤레이터와, 이 레귤레이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산소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산소량을 조절하는 산소량 조절노브를 포함하는 산소공급장치에 있어서, 호스 삽입구를 지닌 방독수단과,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해서 상기 산소용기 내에 저장된 산소를 상기 호스 삽입구를 통해서 방독수단으로 공급하는 연결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방독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산소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산소공급장치의 조립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에 유포되는 화학약품이나 화재시에 발생되는 각종 유독가스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독면(10)은 두건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12)에는 시야확보를 위한 투명 글래스(16)가 부착되어 있다. 방독면(10)의 전면(12)테두리 부분에는 다수의 고정끈(14)이 길이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 사용자는 다수의 고정끈(14)을 맨 상태에서 자신의 머리 사이즈에 맞게 적절히 조절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방독면의 전면 하부의 일측(도면에서 우측)에는 유독가스의 정화를 위한 정화통(18)이 부착되어 있으며, 타측(도면에서 좌측)에는 물이나 음료수를 빨아들이기 위해 빨대나 호스 등을 끼울 수 있는 호스 삽입구(22)가 형성된 급수부(60)가 구비되어 있다. 이 급수부(60)에는 호스 삽입구(22)에 삽입된 호스의 고정을 위한 캡너트(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방독면(10)에 있어서, 산소 결핍장소에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분리 가능한 산소용기(40)를 구비한 휴대용 산소공급장치를 개시하였다. 이 휴대 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방독면(10)과,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용기(40)와, 이 산소용기(40)가 나사 결합 등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귤레이터(32)와, 이 레귤레이터(32)의 상부에 설치되어 산소용기(40)로부터 배출되는 산소량을 조절하는 산소량 조절노브(30)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소용기(40)내의 산소는 방독면 내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연결호스(50)를 통해서 방독면 착용자에게 공급된다.
산소용기(40)의 교체를 위해서 레귤레이터(32)에는 암나사(32a)가 형성되어있으며, 산소용기(40)에는 레귤레이터(32)의 암나사(32a)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내부의 산소가 모두 방전된 산소용기(40)는 이들 암나사(32a)와 수나사(42)에 의해서 레귤레이터(32)로부터 분리해 낸 다음에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산소용기(40)와 레귤레이터(32)를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그 밖의 다른 구조로도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산소용기(40)내의 가스를 방독면(10)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호스(50)의 일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32)에 형성된 연결구(34)에 결합된다. 한편, 타단의 연장단(50a)은 급수부(60)의 삽입구(64)를 통과하여 방독면(10)안쪽으로 연장됨으로써 방독면(10)을 착용한 사람의 마우스 부위까지 연장 배치된다.
이때, 연결호스(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캡너트(20)를 돌리게 되면, 통상 캡너트(20)는 회전되면서 죄어짐으로써 호스 삽입구(22)에 끼워져 있는 연결호스(50)가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지닌다.
이렇게 연결호스(50)를 조립한 상태에서 방독면(10) 착용자가 연결호스(50)의 연장단(50a)을 입에 물고 호흡하거나 힘을 주어 공기를 빨아들이면, 산소용기(40)내에 저장되어 있던 산소는 연결호스(50)를 통해서 착용자의 입속으로 흡인된다. 이때, 착용자는 주위 상황을 감안하여 레귤레이터(32)상에 장착되어 있는 산소량 조절노브(30)를 회전시켜 산소의 공급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산소농도가 높은 장소에서는 산소량 조절노브(30)를 잠궈 산소 공급량을 줄임으로써 보다 오랜 시간동안 산소 공급이 가능하게 하며, 산소농도가 희박한 장소에서는 산소량 조절노브(30)를 열어 최대한 많은 양의 산소량이 공급되도록 하여 호흡 및 생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다음에,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방독 마스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산소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간단한 구조의 방독 마스크(60)를 통해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를 예시하였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 마스크(60)에는 머리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끈(14)이 길이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정화기능은 미약하나 유독가스의 유입을 초대한 억제함으로써 화학가스 사용지역이나 화재 발생지역에서 방독면 대신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방독 마스크(60)에서도 도 1과 도 2에서 설명한 산소공급장치를 사용하며, 도 1과 도 2에 도시한 구조와 동일부품은 동일부호로 표시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를 위해서, 방독 마스크(60)의 전면 하단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호스 삽입구(64)를 지는 캡너트(62)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연결호스(50)의 일단을 호스 삽입구(64)에 끼운 상태에서 캡너트(62)를 죄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 다음, 연결호스(50)의 타단은 레귤레이터(32)에 형성된 연결구(34)에 끼우면 된다. 그에 따라 방독 마스크(60)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스를 입에 물고 산소용기(40)내의 산소를 빨아들임으로써 산소 결핍지역에서의 호흡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산소용기가 결합되는 레귤레이터에 산소량 조절노브가 구비되어 있어, 주변 산소의 농도에 따라 적정량의 산소를 흡입할 수 있으며, 호스를 통해서 산소용기 내의 산소를 방독면 또는 방독 마스크로 공급함으로써, 전시나 화재시에 유독가스에 의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서 산소가 부족한 화재현장에서도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으며, 각종 재난 구조에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활동을 전개하여 효율적인 재난 구조체계를 확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산소공급장치가 구비된 본 발명의 방독면이나 방독 마스크를 일반 가정이나 각종 유흥업소 등에서 구입 보관함으로써 재난이나 화재 발생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방독면의 전국민 보급화에도 박차를 가할 수 있다.

Claims (3)

  1.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용기(40)와, 이 산소용기(40)가 나사 결합 등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귤레이터(32)와, 이 레귤레이터(32)의 상부에 설치되어 산소용기(40)로부터 배출되는 산소량을 조절하는 산소량 조절노브(30)를 포함하는 산소공급장치에 있어서,
    호스 삽입구(22)를 지닌 방독수단과,
    상기 레귤레이터(32)를 통해서 상기 산소용기(40)내에 저장된 산소를 상기 호스 삽입구(22)를 통해서 방독수단으로 공급하는 연결호스(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독수단은 다수의 고정끈(14) 및 정화통(18)이 구비되어 있으며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투명 글래스(16)가 부착된 방독면(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독수단은 고정끈(66)에 의해서 마우스 부위에 착용하는 방독 마스크(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
KR2020000032329U 2000-11-18 2000-11-18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 KR200234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329U KR200234760Y1 (ko) 2000-11-18 2000-11-18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329U KR200234760Y1 (ko) 2000-11-18 2000-11-18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760Y1 true KR200234760Y1 (ko) 2001-09-25

Family

ID=7306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329U KR200234760Y1 (ko) 2000-11-18 2000-11-18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76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1002A3 (en) * 2009-02-03 2010-12-16 Avon Protection Systems, Inc. Respirator kit and contoured plenum therefor
KR101870114B1 (ko) 2018-03-03 2018-06-21 박대수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2121213B1 (ko) * 2019-06-26 2020-06-10 임재현 휴대용 산소발생기, 그 휴대용 산소발생기의 캐릭터 마스크, 및 그 휴대용 산소발생기의 캐릭터 마스크 사용방법
WO2022235437A1 (en) * 2021-05-06 2022-11-10 Duke University Gas inhalation delivery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1002A3 (en) * 2009-02-03 2010-12-16 Avon Protection Systems, Inc. Respirator kit and contoured plenum therefor
KR101870114B1 (ko) 2018-03-03 2018-06-21 박대수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2121213B1 (ko) * 2019-06-26 2020-06-10 임재현 휴대용 산소발생기, 그 휴대용 산소발생기의 캐릭터 마스크, 및 그 휴대용 산소발생기의 캐릭터 마스크 사용방법
WO2022235437A1 (en) * 2021-05-06 2022-11-10 Duke University Gas inhalation delivery devices and relate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333B1 (ko) 다기능 마스크
KR101404760B1 (ko) 다기능 마스크
US4233972A (en) Portable air filtering and breathing assist device
EP1786523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breathable air and bodily protection in a contaminated environment
KR102173429B1 (ko) 산소 증강형 미세 먼지 제거 마스크
AU3101501A (en) Respirator that includes an integral filter element, an exhalation valve, and impactor element
KR20080073270A (ko) 화재대피용 방독마스크
KR102267747B1 (ko) 공기호흡장치
KR20170110791A (ko) 산소 마스크
KR100579691B1 (ko) 휴대용 다용도 방연/방독 마스크
KR101340583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20180027483A (ko) 산소 마스크
US4057058A (en) Protection-hood or helmet-mask for use in environments dangerous to work
KR200234760Y1 (ko) 휴대가능한 방독용 산소공급장치
KR200431561Y1 (ko) 산소호흡기용 후드
CN212548005U (zh) 一种过滤式防毒面具
CN213848887U (zh) 一种防护面罩
KR200346391Y1 (ko) 방독면
KR101777464B1 (ko) 휴대용 마스크
RU195443U1 (ru) Узел защиты органов дыхания от воздействия опасных веществ химической и биологической природы
KR100452167B1 (ko) 개인휴대용 화재안전 방독가스 마스크
CN217697689U (zh) 一种智慧消防用穿戴舒适的过滤式消防自救呼吸器
KR102562485B1 (ko) 화재대피용 마스크
KR200154880Y1 (ko) 어린이용 방독면
KR102236928B1 (ko)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화재 현장 대피용 간이 호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