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124U -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및 이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및 이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124U
KR20190002124U KR2020180000661U KR20180000661U KR20190002124U KR 20190002124 U KR20190002124 U KR 20190002124U KR 2020180000661 U KR2020180000661 U KR 2020180000661U KR 20180000661 U KR20180000661 U KR 20180000661U KR 20190002124 U KR20190002124 U KR 201900021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ver
convector
bodies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617Y1 (ko
Inventor
강명철
Original Assignee
(주)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에스 filed Critical (주)이에스
Priority to KR2020180000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617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6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는 냉난방기의 상부에 제공되며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토출구 커버 및 이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토출구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냉난방기용 토출구 커버는 길이 방향이 제1방향으로 제공되는 제1프레임,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상기 제1프레임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길이 방향이 상기 제1방향으로 제공되는 제2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바디들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바디들은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2방향으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바디들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제공되는 복수의 굴곡부들을 가진다. 이에 따라 냉난방기용 토출부 커버는 굴려져 감길 수 있으므로 감길 수 있으므로 냉난방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및 이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어셈블리 {Cover with hole of convector for Heating and Cooling Device, and Assembly with the cover}
본 고안은 냉난방기용 컨벡터에 제공되며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및 이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기로는 라디에이터, 냉풍 또는 온풍기, 히터, 에어컨 등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냉난방기들은 에어를 가열 또는 냉각된 후, 그 상부에 설치된 커버의 토출구를 통해서 실내로 공급된다.
도 1은 커버가 설치된 냉난방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버는 냉난방기의 상부에 제공된다. 커버는 대체로 단단한 재질로 일체로 제공된다. 냉난방기의 상부에는 하나의 커버가 배치되거나,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커버가 배치된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일반적인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 초기에 커버를 장착할 때 비교적 부피가 큰 커버를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커버의 일부가 파손된 경우 커버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난방기는 주기적으로 유지보수되어야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일반적인 구조의 커버가 사용되는 냉난방기를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커버를 냉난방기로부터 각각 분리해야 하고,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이들 커버를 각각 장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 등록 실용 신안 제0376819호
본 고안은 설치가 편리한 냉난방기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냉난반기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냉난방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냉난방기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은 냉난방기용 컨벡터에 제공되며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및 이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는 길이 방향이 제1방향으로 제공되는 제1프레임,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상기 제1프레임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길이 방향이 상기 제1방향으로 제공되는 제2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바디들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바디들은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2방향으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바디들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제공되는 복수의 굴곡부들을 가진다.
각각의 상기 바디는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굴곡부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결합부들 사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굴곡부는 위로 볼록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바디들은 각각 양측에 체결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굴곡부들로부터 연장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홀에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은 제1폭을 가지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제2폭을 가지는 제2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공간에 삽입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공간에 삽입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폭은 상기 제2폭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홀보다 큰 면적을 가져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걸림부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홀들은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인의 사이에서 상기 바디들에 체결되는 중간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중간 프레임은 상기 굴곡부, 상기 바닥부, 그리고 상기 삽입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에는 그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장되는 통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통공 및 상기 체결홀은 서로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가 굴려져 감길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커버를 복수 개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커버들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서로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각각은 그 일단 및 타단에 서로 인접하는 상기 커버들 간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홈 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는 길이 방향이 제1방향으로 제공되는 제1프레임,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상기 제1프레임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길이 방향이 상기 제1방향으로 제공되는 제2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바디들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바디들은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2방향으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바디들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가 굴려져 감길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공된다.
각각의 상기 바디는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각각 상기 바디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굴곡부와 교차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바디들은 각각 체결홀들 및 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홀은 상기 바디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바디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통공 및 상기 체결홀은 서로 독립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냉난방기용 토출부 커버는 굴려져 감길 수 있으므로 감길 수 있으므로 냉난방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냉난방기용 토출부 커버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에 바디들이 탈착되는 구조이므로 냉난방기에 설치가 편리하고, 부품 손상시 손상된 부품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은 커버가 제공된 냉난방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어셈블리가 제공된 냉난방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냉난방기용 토출구 커버들이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냉난방용 토출구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프레임의 저면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제1프레임의 측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바디의 측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중간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냉난방기를 유지 보수 시 커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된 것이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어셈블리가 설치된 냉난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난방기(10)는 하우징(100) 및 가열 또는 냉각 부재(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상부에 개구를 가지는 통 형상을 가진다. 냉난방기(10)는 그 내부에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가열 또는 냉각 부재(200)를 가지고, 공기는 개구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커버 어셈블리(300)는 개구에 설치되며, 공기가 흐르는 토출구들을 가진다.
커버 어셈블리(300)는 냉난방기(10)의 개구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일 예에 의하면, 커버 어셈블리(300)는 복수 개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냉난방기용 토출구 커버들이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들은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커버들은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커버 어셈블리(300)는 1 개의 커버만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냉난방용 토출구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프레임의 저면을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제1프레임의 측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커버는 제1프레임(500a), 제2프레임(500b), 바디(400), 그리고 중간 프레임(600)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500a)과 제2프레임(500b)은 복수 개의 바디들(400)을 지지한다. 제1프레임(500a)은 제1방향을 향하는 길이 방향을 가진다. 제1프레임(500a)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제1프레임(500a)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감겨져 말아질 수 있다.
제1프레임(500a)은 결합부(540) 및 굴곡부(520)를 가진다. 결합부(540)는 바디(400)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 굴곡부(520)는 제1프레임(500a)이 감겨져 말아지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결합부(540) 및 굴곡부(520)는 각각 복수 개로 제공된다. 굴곡부(520)는 서로 인접한 2 개의 결합부(540)들 사이에 위치된다. 굴곡부(520)는 서로 인접한 결합부(540)들로부터 연장되게 제공된다. 예컨대, 결합부(540) 및 굴곡부(520)는 제1방향으로 교차되게 위치될 수 있다. 굴곡부(520)는 위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결합부(540)의 저면은 편평하게 제공된다. 굴곡부(520)들은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결합부(540)는 결합부(540)는 바닥부(550), 삽입부(560), 그리고 걸림부(570)를 가진다. 바닥부(550)는 서로 인접한 굴곡부(520)들 사이에 위치된다. 바닥부(550)는 편평하게 제공된다.. 삽입부(560)는 바닥부(550)로부터 위로 연장되게 제공된다. 삽입부(560)는 후술하는 바디(400)의 체결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바디(400)가 제1프레임(500a)에 결합시 삽입부(560)는 바디(400)의 체결홀 내로 삽입된다.. 삽입부(560)는 제1영역(562) 및 제2영역(564)을 가진다. 제1영역(562)은 제2영역(564)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걸림부(570)는 삽입부(560)가 체결홀에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부(570)는 삽입부(560)로부터 그 외측으로 연장된다. 걸림부(570)는 체결홀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제1프레임(500a)은 제1방향으로 일단에 홈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돌기(584)가 형성된다. 돌기(584)는 커버와 인접한 다른 커버의 제1프레임(500a)에 형성된 홈(582)에 삽입된다. 커버에 형성된 홈(582) 및 돌기(584)는 인접한 커버들이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제2프레임(500b)은 제1프레임(500a)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제2방향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1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제2프레임(500b)은 그 길이방향이 제1방향으로 제공된다. 제2프레임(500b)은 제1프레임(500a)과 대체로 동일한 구조로 제공된다.
도 7은 도 4의 바디의 측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바디(400)는 대체로 직사각의 판 형상을 가진다. 바디(400)는 그 길이 방향이 제2방향으로 배치된다. 바디(400)는 제1프레임(500a) 및 제2프레임(500b)과 상이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400)는 제2프레임(500b) 및 제2프레임(500b)에 비해 더 단단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400)는 강성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리스를 포함하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바디(400)는 복수 개가 제공된다. 바디들(400)은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바디들(400) 간의 이격된 공간은 냉난방기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로 기능한다. 바디들(400)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는 바디들(400)이 프레임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바디들(400)이 프레임에 결합시 바디들(400)은 그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회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디(400)에는 통공(420) 및 체결홀이 형성된다. 도 4는 도 3의 바디(4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통공(420) 및 체결홀 각각은 바디(40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게 제공된다. 통공(420) 및 체결홀 각각은 그 길이방향이 제2방향으로 제공된다. 통공(420) 및 체결홀은 서로 분리되게 제공된다. 일 예에 의하며, 통공(420)은 바디(400)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고, 체결홀은 바디(40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다. 통공(420)은 바디(400)를 경량화한다. 체결홀은 통공(420)의 아래에 제공된다. 체결홀은 바디(400)의 하단까지 연장된다. 체결홀은 제1공간(442) 및 제2공간(444)을 가진다. 제1공간(442) 및 제2공간(444)은 각각 복수 또는 단일로 제공된다. 제1공간(442)은 삽입부(560)의 제1영역(562)이 삽입되는 공간이고, 제2공간(444)은 삽입부(560)의 제2영역(564)이 삽입되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는 제1공간(442) 및 제2공간(444)이 각각 2 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공간(442) 및 제2공간(444)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서로 교차되게 위치되고 서로 통하도록 제공된다. 제1공간(442)은 제1폭을 가지며, 제2공간(444)은 제2폭을 가진다. 여기서 제1폭 및 제2폭은 체결홀을 제2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방향을 향하는 길이로 정의한다. 제1폭은 제2폭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일 예에 의하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제1공간(442), 제2공간(444), 제1공간(442), 그리고 제2공간(444)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폭은 삽입부(560)의 제1영역(562)보다 작은 폭으로 제공된다. 이로 인해 바디(400)가 프레임(500a,500b)에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체결홀이 제2방향으로 바디(40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체결홀은 바디(40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서로 분리되도록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중간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중간 프레임(600)은 바디들(400)의 일단과 타단의 중간 영역을 체결한다. 중간 프레임(600)은 제2방향에 대해 제1프레임(500a)과 제2프레임(500b)의 사이에 위치된다. 중간 프레임(600)은 제1프레임(500a) 및 제2프레임(500b)에서 걸림부(570)가 제거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중간 프레임(600)은 체결홀을 통해 바디(400)의 일단 또는 타단에서 중앙 영역까지 삽입 가능하다.
이로 인해 바디들(400)에 제1프레임(500a), 제2프레임(500b), 그리고 중간 프레임(600)을 체결시키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제1프레임(500a)과 중간 프레임(600) 중 어느 하나를 바디들(400)에 체결하고, 다른 하나를 바디들(400)에 체결한다. 이후에 제2프레임(500b)을 바디들(400)에 체결할 수 있다. 제1프레임(500a), 제2프레임(500b), 그리고 중간 프레임(600)는 일부가 굴곡진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커버 어셈블리(300)은 제2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굴려져 감길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 9와 같이 커버 어셈블리(300)의 일부를 편평한 상태에서 굴려 감겨진 상태로 변형시켜 냉난방기의 하우징(100)의 개방 영역 중 일부를 개방하고, 그 내부 공간을 유지보수할 수 있다.
300: 커버 어셈블리 400: 바디
500a: 제1프레임 500b: 제2프레임
520: 굴곡부 540: 결합부
600: 중간 프레임

Claims (16)

  1. 길이 방향이 제1방향으로 제공되는 제1프레임과;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상기 제1프레임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길이 방향이 상기 제1방향으로 제공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바디들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바디들은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2방향으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바디들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제공되는 복수의 굴곡부들을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바디는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결합부들 사이에 각각 제공되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위로 볼록하게 제공되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6.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바디들은 각각 양측에 체결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굴곡부들로부터 연장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홀에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제1폭을 가지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제2폭을 가지는 제2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공간에 삽입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공간에 삽입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폭은 상기 제2폭보다 크게 제공되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홀보다 큰 면적을 가져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걸림부를 더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들은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인의 사이에서 상기 바디들에 체결되는 중간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중간 프레임은 상기 굴곡부, 상기 바닥부, 그리고 상기 삽입부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그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장되는 통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통공 및 상기 체결홀은 서로 이격되게 제공되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가 굴려져 감길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공되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12.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0항의 커버를 복수 개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커버들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서로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각각은 그 일단 및 타단에
    서로 인접하는 상기 커버들 간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홈 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어셈블리.
  14. 길이 방향이 제1방향으로 제공되는 제1프레임과;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상기 제1프레임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길이 방향이 상기 제1방향으로 제공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바디들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바디들은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2방향으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바디들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가 굴려져 감길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공되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바디는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각각 상기 바디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굴곡부와 교차되게 배열되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디들은 각각 체결홀들 및 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홀은 상기 바디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바디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통공 및 상기 체결홀은 서로 독립되게 위치되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KR2020180000661U 2018-02-12 2018-02-12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및 이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어셈블리 KR200490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661U KR200490617Y1 (ko) 2018-02-12 2018-02-12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및 이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661U KR200490617Y1 (ko) 2018-02-12 2018-02-12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및 이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24U true KR20190002124U (ko) 2019-08-21
KR200490617Y1 KR200490617Y1 (ko) 2019-12-09

Family

ID=6776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661U KR200490617Y1 (ko) 2018-02-12 2018-02-12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및 이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61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175U (ko) * 1995-03-23 1996-10-24 공기조화기 그릴
KR100376819B1 (ko) 1999-09-28 2003-03-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 코크
CN203628960U (zh) * 2013-12-13 2014-06-04 佛瑞德(郑州)工业有限公司 一种地板嵌入式对流器进出风格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175U (ko) * 1995-03-23 1996-10-24 공기조화기 그릴
KR100376819B1 (ko) 1999-09-28 2003-03-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 코크
CN203628960U (zh) * 2013-12-13 2014-06-04 佛瑞德(郑州)工业有限公司 一种地板嵌入式对流器进出风格栅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컨벡터 카탈로그(한창열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617Y1 (ko)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5565B2 (en) Air handling unit with integral inner wall features
EP2952822B1 (en)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CN205279261U (zh) 空调柜机
AU2018200043B2 (en) Reverse combustion type combustion apparatus
US9903600B2 (en)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9777962B2 (en) Coil support having condensate management functionality
ES2682021T3 (es) Aparato de refrigeración
CN105352040A (zh) 空调柜机
US5170550A (en) Double-walled cabinet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equipment
KR200490617Y1 (ko)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및 이를 가지는 냉난방기용 컨벡터 토출구 커버 어셈블리
JP6448987B2 (ja) 空気調和機
JP4890602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7106284B2 (ja) ルーバ、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組立方法
KR200490909Y1 (ko) 냉난방기용 연결덕트
EP3757467B1 (en) Air outflow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KR101990139B1 (ko) 파이프용 고정클립
EP3026363B1 (en)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CN111035772A (zh) 消毒柜
JP695685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5188832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517590B1 (ko) 복사패널 연결기구
JP684773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101045958B1 (ko) 공기조화기의 히터 장착 구조
KR1020708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EP3794290B1 (en) Air handl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